KR20210039166A - 필터 교환형 마스크 - Google Patents

필터 교환형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166A
KR20210039166A KR1020190121661A KR20190121661A KR20210039166A KR 20210039166 A KR20210039166 A KR 20210039166A KR 1020190121661 A KR1020190121661 A KR 1020190121661A KR 20190121661 A KR20190121661 A KR 20190121661A KR 20210039166 A KR20210039166 A KR 20210039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ilter
mask portion
mask par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희
Original Assignee
오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희 filed Critical 오병희
Priority to KR1020190121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9166A/ko
Publication of KR20210039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7/00Sachet pad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의 교환으로 마스크의 반복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얼굴 곡면과의 밀착으로 밀폐율이 높고 착용감이 우수하고 아로마테라피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고 양측에 귀에 거는 끈이 마련된 아우터 마스크부, 아우터 마스크부에 탈부착되는 이너 마스크부 및, 이너 마스크부를 상기 아우터 마스크부에 부착할 시 그 사이에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필터부가 구비된다.
상기의 이너 마스크부는 내측 테두리를 따라 얼굴에 밀착되는 쿠션재질의 윤곽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의 윤곽부재는 통기성 튜브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아로아 오일이 충전된 쿠션재가 삽입 내재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아우터 마스크부와 이너 마스크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사이에 필터부가 위치함으로써 마스크를 만졌을 때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필터부 또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얼굴과 밀착되는 이너 마스크부 내측면에 쿠션재질의 윤곽부재가 구비되고, 이 윤곽부재에 유체 또는 졸, 겔이 충전되어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압박부분의 유체 또는 졸, 겔이 비압박부분으로 이동하여 얼굴과의 이격공간을 없애 마스크의 밀폐력 향상으로 미세입자 차단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 착용시 윤곽부재 내의 쿠션재로부터 충전된 아로마 오일이 발향되고, 방향패드의 교환이 가능한 디퓨저가 마련되어 기분 전환이나 심신의 안정 등 아로마테라피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교환형 마스크{FILTER EXCHANGE MASK}
본 발명은 필터 교환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의 교환으로 마스크의 반복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얼굴 곡면과의 밀착으로 밀폐율이 높고 착용감이 우수하며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는 10micron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먼지 입자로, 대부분 연료 연소에 의해 발생되며, 특히 국내외적으로 난방용 연료사용이 증가하는 겨울철에 고농도 현상이 발생한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기오염물질 중 30~50% 내외가 국외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미세먼지로 인한 질병은 기침과 같은 호흡기 질환에서부터 천식 발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는 인간의 폐가 10micron보다 작은 입자를 걸러 낼 수 없기 때문이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어린이의 경우 어른보다 미세먼지에 더 취약하고 중국발 미세먼지로 인해 한국과 일본에서 연간 3만 명 정도가 조기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건당국에서는 미세먼지의 인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마스크의 착용을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5098호(2018. 3. 8. 공개)는 '커버 및 필터 교체식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양측에 귀에 거는 마스크 끈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는 마스크 프레임과 마스크 프레임 앞면에 탈착 자유롭게 장착되는 탈착식 마스크 커버 및 마스크 프레임 뒷면에 교체 자유롭게 장착되는 교체식 필터로 구성되고, 마스크 프레임은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며, 교체식 필터는 마스크 프레임과 접촉하는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박리지가 붙어 있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 마스크는 필터를 교환할 수 있다는 작용효과가 있으나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마스크 프레임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얼굴면에 충분히 밀착되지 못하여 밀폐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접착제에 의해 교체식 필터가 마스크 프레임에 부착되는 구조여서 잘못 부착하였을 때 재부착이 어렵고 반복 사용시 접착부분이 지저분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필터의 교환으로 마스크의 반복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얼굴 곡면과의 밀착으로 밀폐율이 높고 착용감이 우수하며 손쉬운 필터 교체 구조를 가진 필터 교환형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 착용시 기분 전환이나 심신의 안정 등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고 양측에 귀에 거는 끈이 마련된 아우터 마스크부, 아우터 마스크부에 탈부착되는 이너 마스크부 및, 이너 마스크부를 아우터 마스크부에 부착할 시 그 사이에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필터부가 구비된다.
상기의 아우터 마스크부에 이너 마스크부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아우터 마스크부와 이너 마스크부는 그 테두리 프레임이 고무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아우터 마스크부에 이너 마스크부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아우터 마스크부는 그 테두리 프레임을 따라 체결용 수용홈이 형성되고, 이너 마스크부는 그 테두리 프레임을 따라 체결돌기가 형성된다.
상기의 아우터 마스크부 또는 이너 마스크부는 방수재질로 이루어지고, 호흡 가능하도록 통기공이 천공된다.
상기의 아우터 마스크부는 콧등에 대응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가압시 변형되는 성형부재가 내재된다.
상기의 이너 마스크부는 내측 테두리를 따라 얼굴에 밀착되는 쿠션재질의 윤곽부재가 구비된다.
상기의 윤곽부재는 아로아 오일이 충전된 쿠션재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윤곽부재는 튜브 구조로 이루어져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압박에 의해 비압박부분이 팽창하여 얼굴과 밀착되도록 유체 또는 졸, 겔이 충전된다.
상기의 윤곽부재는 튜브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아로아 오일 또는 방향제가 충전된다.
상기의 윤곽부재는 얼굴에 접촉시 촉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섬유시트가 부착된다.
상기의 아우터 마스크부는 테두리 내측에 소정 간격으로 맞춤돌기가 형성되고, 필터부는 맞춤돌기에 대응하여 그 테두리 상에 맞춤홀이 천공된다.
상기의 아우터 마스크부는 날숨 때 밸브가 개방되어 입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호흡기가 취부된다.
상기의 호흡기는 밸브 후방에 방향제가 함침된 방향패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의 아우터 마스크부는 캡이 구비되어 방향제가 함침된 방향패드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된 디퓨저가 취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우터 마스크부와 이너 마스크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사이에 필터부가 위치함으로써 마스크를 만졌을 때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필터부 또한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얼굴과 밀착되는 이너 마스크부 내측면에 쿠션재질의 윤곽부재가 구비되고, 이 윤곽부재에 유체 또는 졸, 겔이 충전되어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압박부분의 유체 또는 졸, 겔이 비압박부분으로 이동하여 얼굴과의 이격공간을 없애 마스크의 밀폐력 향상으로 미세입자 차단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착용시 윤곽부재 내의 쿠션재로부터 충전된 아로마 오일이 발향되고, 방향패드의 교환이 가능한 디퓨저가 마련되어 기분 전환이나 심신의 안정 등 아로마테라피의 기능을 제공한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환형 마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환형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환형 마스크의 단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환형 마스크의 전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환형 마스크의 윤곽부재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환형 마스크의 호흡기, 디퓨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환형 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고 양측에 귀에 거는 끈이 마련된 아우터 마스크부, 아우터 마스크부에 탈부착되는 이너 마스크부 및, 이너 마스크부를 아우터 마스크부에 부착할 시 그 사이에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필터부가 구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환형 마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환형 마스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아우터 마스크부(10)는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공지의 마스크와 같은 형태로 제작되는데, 착용시 얼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면, 합성수지, 부직포, 실리콘, 우레탄, (인조)가죽 등 부드러운 재질로부터 선택된다.
이너 마스크부(20)는 아우터 마스크부(10)와 같거나 작은 크기로 제작되고, 재질은 아우터 마스크와 동일하거나 피부 접촉시 알러지 반응이 없는 재질로부터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필터부(30)는 병균이나 황사, (미세)먼지 등의 입자성 유해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착용 목적이나 오염여부에 따라 교환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KF80, KF94, KF99 등급으로부터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의 아우터 마스크부에 이너 마스크부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아우터 마스크부와 이너 마스크부는 그 테두리 프레임이 고무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아우터 마스크부(20)와 이너 마스크부(20)는 그 테두리를 따라 프레임(11,21)이 마련되는데, 서로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프레임(11,21)이 고무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아우터 마스크부(10)에 필터부(30)를 덧댄 다음 이너 마스크부(20)를 그 위로 포개면 고무자석에 의해 테두리 프레임(11,21)이 서로 달라붙게 되어 아우터 마스크부(10)와 이너 마스크부(20) 사이에 필터부(30)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고무자석은 착용시 마스크가 안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갖는다.
다음, 상기의 아우터 마스크부에 이너 마스크부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아우터 마스크부는 그 테두리 프레임을 따라 체결용 수용홈이 형성되고, 이너 마스크부는 그 테두리 프레임을 따라 체결돌기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환형 마스크의 단면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동 도면을 참조하면 아우터 마스크부(10)와 이너 마스크부(20)는 그 테두리 상에 일정 폭의 프레임(11,21)이 형성되고, 이들 프레임(11,21)은 마스크 착용시 얼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실리콘 등 부드러운 재질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아우터 프레임(11)은 수용공간보다 입구 폭이 좁은 체결용 수용홈(12)이 형성되고, 이너 프레임(21)은 아우터 프레임(11)의 체결용 수용홈(12)에 억지끼움되는 체결돌기(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아우터 마스크부(10) 내측면에 필터부(30)를 덧댄 다음 이너 마스크부(20)를 그 위로 포개고 양 프레임(11,21)을 가압하면 체결용 수용홈(12)에 체결돌기(22)가 삽입 체결되어 필터부(30)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아우터 프레임(11)과 이너 프레임(21)을 각각 잡고 반대로 벌릴 경우에는 아우터 마스크부(10)와 이너 마스크부(20) 사이의 필터부(30)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아우터 마스크부 또는 이너 마스크부는 방수재질로 이루어지고, 호흡 가능하도록 통기공이 천공된다.
도 2을 참조하면, 아우터 마스크부(10)가 방수재질로 이루어져 마스크 겉면을 만지더라도 필터부(3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우터 마스크부(10)에 호흡 가능하도록 통기공(41)이 천공되어 흡기저항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너 마스크부(20) 또한 아우터 마스크부(10)와 같이 방수재질로 이루어지고 통기공이 천공될 수 있다.
다음, 상기의 아우터 마스크부는 콧등에 대응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가압시 변형되는 성형부재가 내재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환형 마스크의 전면 형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터 마스크부(10)는 콧등에 대응하는 부분에 가압시 변형되는 성형부재(50)가 내재된다.
즉,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콧등의 양 측면을 누르게 되면 성형부재(50)가 콧등을 감싸는 형상으로 변형되어 마스크가 콧등면에 더욱 밀착하게 되어 밀폐력 향상으로 미세입자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성형부재(50)는 알루미늄 등 연성이 우수한 금속편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음, 상기의 이너 마스크부는 내측 테두리를 따라 얼굴에 밀착되는 쿠션재질의 윤곽부재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너 마스크부(20)는 착용시 얼굴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이너 마스크부(20) 내측 테두리를 따라 쿠션재질의 윤곽부재(60)가 구비된다.
윤곽부재(60)는 돌출된 콧등이나 뺨의 튀어나온 부분, 턱선 등 얼굴 윤곽에 밀착되게 입체 형상으로 제작된 부분으로, 스펀지, 메모리폼, 폴리우레탄 폼, 실리콘 등으로 양호하게 제작된다.
따라서 마스크가 얼굴 윤곽과 밀착되어 밀폐력 향상으로 미세입자 차단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윤곽부재(60)는 얼굴에 접촉시 촉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섬유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다음, 상기의 윤곽부재(60)는 아로마 오일이 충전된 쿠션재로 양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크 착용시 쿠션재에 충전된 아로마 오일이 윤곽부재(60)로부터 서서히 발향되어 기분 전환이나 심신의 안정 등 아로마테라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윤곽부재는 튜브 구조로 이루어져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압박에 의해 비압박부분이 팽창하여 얼굴에 밀착되도록 유체 또는 졸, 겔 등이 충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윤곽부재(60)는 내측에 공기나 액체, 졸, 겔 등을 충전할 수 있도록 라텍스와 폴리우레탄 등 신축성을 갖는 튜브 형상으로 제작되는데, 윤곽부재(60)에 공기나 액체, 졸, 겔 등 무형의 물질이 충전된 상태에서 일부분을 눌렸을 때 공기나 액체, 졸, 겔 등이 이동하여 주변이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뺨 부분의 압박으로 뺨과 콧등 사이의 비압박부분으로 공기나 액체, 졸, 겔이 이동하여 윤곽부재(60)가 상대적으로 팽창함으로써 얼굴과의 이격 공간을 밀폐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마스크가 얼굴 윤곽에 더욱 밀착되어 밀폐력 향상으로 미세입자 차단 효과를 더욱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윤곽부재(60)는 얼굴과 접촉시 촉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섬유시트가 부착되는데, 신축성을 갖는 스판덱스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의 윤곽부재는 튜브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아로마 오일 또는 방향제가 충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환형 마스크의 윤곽부재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로서, 동 도면을 참조하면 윤곽부재(60)는 기체투과 성질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튜브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액체나 졸, 겔과 함께 아로마 오일 또는 방향제가 혼합물 형태(70)로 충전된다.
이에 따라, 마스크 착용시 충전된 아로마 오일 또는 방향제가 윤곽부재(60)로부터 서서히 발향되어 기분 전환이나 심신의 안정 등 아로마테라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윤곽부재(60)는 얼굴에 접촉시 촉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섬유시트(65)가 부착된다(섬유시트는 일부분만 도시).
섬유시트(65)는 부직포나 면섬유 등으로 제작되어 얼굴에 윤곽부재(60)의 접촉시 촉감을 개선할 수 있고, 특히 입김이나 땀 등을 흡수함으로써 화장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감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아우터 마스크부는 테두리 내측에 소정 간격으로 맞춤돌기가 형성되고, 필터부는 맞춤돌기에 대응하여 그 테두리 상에 맞춤홀이 천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필터부(30)는 아우터 마스크부(10)와 이너 마스크부(20) 사이에 위치되는데, 삽입 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아우터 마스크부(10) 테두리 내측에 소정 간격으로 맞춤돌기(15)가 형성되고, 필터부(30)는 맞춤돌기(15)에 대응하여 그 테두리 상에 맞춤홀(35)이 천공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아우터 마스크부(10)의 정위치에 필터부(30)를 위치시킬 수 있고 이너 마스크부(20)를 조립할 때 필터부(30)가 흔들리지 않아 부정합에 의한 필터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아우터 마스크부는 날숨 때 밸브가 개방되어 입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호흡기가 취부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환형 마스크의 아우터 마스크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동 도면을 참조하면 아우터 마스크부는 호흡기(80)를 취부할 수 있도록 취부공(16)이 천공된다.
호흡기(80)는 돌출부에 배기공이 형성되고 후단에 취부공보다 큰 플랜지가 형성된 소켓부재(80a)와, 소켓부재(80a)에 맞물려 조립되고 날숨 때 개방되는 밸브(81)가 설치되며 후단에 취부공보다 큰 플랜지가 형성된 밸브부재(80b)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취부공(16)을 사이에 두고 소켓부재(80a)와 밸브부재(80b)가 맞물려 조립됨에 따라 아우터 마스크부(10)에 호흡기를 취부할 수 있다.
또한 소켓부재(80a)와 밸브부재(80b)에 취부공(16)보다 큰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호 맞물려 조립될 때 플랜지의 압착으로 취부공(16)과 밸브부재(80b) 사이의 틈이 밀폐되게 된다.
여기서, 밸브(81)는 얇은 막으로 이루어지고 밸브부재(80b)의 호흡 관로 상에 설치되는데, 일방향으로만 변형되게 설치되어 날숨 때만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호흡기(80)를 통해 입김을 쉽게 배출할 수 있어 안경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아우터 마스크부는 캡이 구비되어 방향제가 함침된 방향패드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된 디퓨저가 취부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아우터 마스크부(10)는 디퓨저(90)를 취부할 수 있도록 취부공(17)이 천공된다.
디퓨저(90)는 후단에 취부공(17)보다 큰 플랜지가 형성된 캡(90a)과, 캡(90a)과 나사결합되고 방향패드 삽입부가 마련되며 후단에 취부공(17)보다 큰 플랜지가 형성된 수용부재(90b)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취부공(17)을 사이에 두고 캡(90a)과 수용부재(90b)가 나사결합됨에 따라 아우터 마스크부(10)에 디퓨저(90)를 취부할 수 있다.
또한 캡(90a)과 수용부재(90b)에 취부공(17)보다 큰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될 때 플랜지의 압착으로 취부공(17)과 수용부재(90b) 사이의 틈이 밀폐되게 된다.
이에 따라, 방향패드(91)로부터 방향제가 발향되어 기분 전환이나 심신의 안정 등 아로마테라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디퓨저(90)는 나사결합된 캡(90a)의 마련으로 디퓨저 내의 방향패드(91)를 교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의 호흡기는 밸브 후방에 방향제가 함침된 방향패드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은 전술한 호흡기(80)와 디퓨저(90)를 일체로 구현하기 위한 구성으로, 밸브부재(80b)의 호흡 관로와 간섭되지 않도록 밸브부재(80b)의 내측 플랜지에 링 형상의 방향패드(미도시)를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호흡기능과 아로마테라피의 기능을 각각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아우터 마스크부
11: 아우터 프레임
12: 체결용 수용홈
15: 맞춤돌기
20: 이너 마스크부
21: 이너 프레임
22: 체결돌기
30: 필터부
35: 맞춤홀
41: 통기공
50: 성형부재
60: 윤곽부재
70: 쿠션재
80: 호흡기
90: 디퓨저

Claims (14)

  1.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고 양측에 귀에 거는 끈이 마련된 아우터 마스크부,
    상기 아우터 마스크부에 탈부착되는 이너 마스크부 및,
    상기 이너 마스크부를 상기 아우터 마스크부에 부착할 시 그 사이에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필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마스크부에 상기 이너 마스크부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상기 아우터 마스크부와 상기 이너 마스크부는 그 테두리 프레임이 고무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마스크부에 상기 이너 마스크부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상기 아우터 마스크부는 그 테두리 프레임을 따라 체결용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 마스크부는 그 테두리 프레임을 따라 체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마스크부 또는 상기 이너 마스크부는 방수재질로 이루어지고, 호흡 가능하도록 통기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마스크부는 콧등에 대응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가압시 변형되는 성형부재가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마스크부는 내측 테두리를 따라 얼굴에 밀착되는 쿠션재질의 윤곽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부재는 아로아 오일이 충전된 쿠션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부재는 튜브 구조로 이루어져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압박에 의해 비압박부분이 팽창하여 얼굴과 밀착되도록 유체 또는 졸, 겔이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부재는 튜브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아로아 오일 또는 방향제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
  10. 제 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부재는 얼굴에 접촉시 촉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섬유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마스크부는 테두리 내측에 소정 간격으로 맞춤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맞춤돌기에 대응하여 그 테두리 상에 맞춤홀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마스크부는 날숨 때 밸브가 개방되어 입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호흡기가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는 상기 밸브 후방에 방향제가 함침된 방향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마스크부는 캡이 구비되어 방향제가 함침된 방향패드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된 디퓨저가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형 마스크.
KR1020190121661A 2019-10-01 2019-10-01 필터 교환형 마스크 KR20210039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661A KR20210039166A (ko) 2019-10-01 2019-10-01 필터 교환형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661A KR20210039166A (ko) 2019-10-01 2019-10-01 필터 교환형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166A true KR20210039166A (ko) 2021-04-09

Family

ID=7544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661A KR20210039166A (ko) 2019-10-01 2019-10-01 필터 교환형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91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195B1 (ko) * 2022-01-05 2023-03-31 박민규 마스크에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제 조립체
KR20230072049A (ko) 2021-11-17 2023-05-24 안병로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049A (ko) 2021-11-17 2023-05-24 안병로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102516195B1 (ko) * 2022-01-05 2023-03-31 박민규 마스크에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6223B1 (en) Strapless respiratory facial mask for customizing to the wearer's face
US20180133524A1 (en)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pollutants
US20210346730A1 (en)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KR20100132661A (ko) 부착형 코마스크
US20220132949A1 (en) Nasal mask
US20240025096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face masks
KR102333134B1 (ko) 센서를 구비한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20200052218A (ko) 마스크용 배출 밸브,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및 상기 마스크의 착용부
CN107115603A (zh) 一种呼气‑吸气隔开的雾霾净化口罩
KR20210039166A (ko) 필터 교환형 마스크
CA3178380A1 (en) Respirator mask for long-term use
KR20190119804A (ko)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N111227383A (zh) 一种透明口罩
US20230181943A1 (en) Respirator mask for long-term use
US20210316169A1 (en) Reusable Respirator Mask Apparatus
KR20220075287A (ko) 마스크
KR20210078002A (ko) 필터 교환형 마스크
KR20200144883A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CN104248071A (zh) 微型气流控制模块、其用途及其制备的透气口罩
CN220360133U (zh) 一种口罩
CN214710572U (zh) 一种改良式防压疮口罩
CN111135498A (zh) 防护面罩
CN212185203U (zh) 一种防护隔离装置
KR102570836B1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CN220735977U (zh) 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