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382A - Variable focus double convex lens - Google Patents

Variable focus double convex l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382A
KR20180114382A KR1020170046029A KR20170046029A KR20180114382A KR 20180114382 A KR20180114382 A KR 20180114382A KR 1020170046029 A KR1020170046029 A KR 1020170046029A KR 20170046029 A KR20170046029 A KR 20170046029A KR 20180114382 A KR20180114382 A KR 20180114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nner circumferential
opening
electrod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0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22098B1 (en
Inventor
최동수
김상연
정재우
신은재
배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6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098B1/en
Publication of KR20180114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3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0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6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fluids in transparent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02B26/00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based on electrowe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15Electrowett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which changes curvature of upper and lower convex lenses by applying a voltage to an electrod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substrate on which a first opening is formed; a lower substrate having a second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opening; and a transmissive unit locat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and including the first lens surface expo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lens surface expos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characterized by that the curvature of the first lens surface and the second lens surface is variable.

Description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Variable focus double convex lens}Variable focus double convex lens < RTI ID = 0.0 >

본 발명은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대향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렌즈면의 곡률이 변경 가능한 것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variable focus positive lens in which the curvature of two lens surfaces opposed to each other is variable.

렌즈란, 하나 이상의 광 파장을 포커싱할 수 있는 장치이다. 가변 렌즈란, 렌즈의 초점거리 또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 가능한 렌즈를 의미한다. 가변 렌즈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5683호(2014.10.02 공고)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에 사용되는 렌즈의 줌 기능을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는 카메라용 초점 가변 렌즈를 개시한다. A lens is a device capable of focusing one or more light wavelengths. The variable lens means an adjustable lens that allows the focal length or position of the lens to be changed. Korean Patent No. 10-1445683 (published Oct. 20, 2014) discloses a zoom lens of a lens used in a camera mounted on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etc., A focus variable lens is disclosed.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6626호(2013.04.12 공개)는 전자기력 기반의 원동기를 이용한 가변형 유체렌즈에 관한 것으로, 인가된 전압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을 통해 광투과성 탄성막을 팽창시킬 수 있는 유체렌즈를 개시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36626 (published on Apr. 13, 2013) discloses a variable-type fluid lens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based prime mover and is capable of expanding a light transmissive elastic film through a magnetic force generated by an applied voltage Discloses a fluid lens.

그런데 종래의 가변 렌즈는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면을 한쪽에만 갖추고 있어 초점거리 조절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양 면의 초점거리를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비대칭적인 렌즈를 만들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variable le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cal distance adjustment is limited because the focal length adjusting surface is provided only on one sid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n asymmetric lens can not be made by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focal distance on both side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초점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두 개의 렌즈면이 대향하여 배치된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in which two lens surfaces whose focal lengths can be changed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대향하여 배치된 렌즈면의 초점거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capable of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focal length of lens surfaces opposed to each other.

본 발명은, 제 1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기판; 상기 제 1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하부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개구부로 노출되는 제 1 렌즈면과 상기 제 2 개구부로 노출되는 제 2 렌즈면을 포함하는 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렌즈면과 상기 제 2 렌즈면은 곡률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substrate on which a first opening is formed; A lower substrate having a second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opening; And And a transmissiv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and including a first lens surface expo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lens surface expos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And the second lens surface has a variable curvature.

또한, 상기 투과부는 전기활성 고분자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ssive portion may be an electroactive polymer.

또한, 상기 제1 렌즈면 및 상기 제2 렌즈면은 평면이 될 수 있다.The first lens surface and the second lens surface may be planar.

또한, 상기 제1 렌즈면 및 상기 제2 렌즈면은 볼록한 면이 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lens surface and the second lens surface may be convex surfaces.

또한, 상기 제 1 렌즈면은 상기 제 1 개구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 2 렌즈면은 상기 제 2 개구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first lens surfac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lens surfac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opening.

또한, 상기 제 1 렌즈면 및 상기 제 2 렌즈면의 곡률을 비대칭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rvature of the first lens surface and the second lens surface can be changed asymmetrically.

또한, 상기 상부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bstrate may include at least one electrode, and the lower substrate may include at least one electrode.

또한, 상기 상부기판은 상기 제 1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상부전극 및 상기 제 1 상부전극을 둘러싸는 제 2 상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기판은 상기 제 2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하부전극 및 상기 제 1 하부전극을 둘러싸는 제 2 하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substrate may include a first upper electrode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upper electrode surrounding the first upper electrode. The lower substrate may be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And a second lower electrode surrounding the first lower electrode.

또한, 상기 제 1 상부전극 및 상기 제 1 하부전극은 양극이고, 상기 제 2 상부전극 및 상기 제 2 하부전극은 음극일 수 있다.The first upper electrode and the first lower electrode may be an anode, and the second upper electrode and the second lower electrode may be a cathode.

또한, 본 발명은 제 1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기판; 상기 제 1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하부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개구부로 노출되는 제 1 렌즈면과 상기 제 2 개구부로 노출되는 제 2 렌즈면을 포함하는 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렌즈면과 상기 제 2 렌즈면은 곡률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가 결합하여 구성된 렌즈 어레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n upper substrate having a first opening formed therein; A lower substrate having a second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opening; And a transmissiv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and including a first lens surface exposed to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lens surface exposed to the second opening, And the second lens surface has a variable curvature. The plurality of variable focus biconvex lenses are combined to form a lens array.

또한, 본 발명은 원통형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부; 및 상기 개구부의 상부로 노출되는 제 1 렌즈면과 상기 개구부의 하부로 노출되는 제 2 렌즈면을 포함하는 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렌즈면과 상기 제 2 렌즈면은 곡률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 substrate having a cylindrical opening; And a transmissive portion including a first lens surface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and a second lens surface expos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lens surface and the second lens surface have variable curvatures And a variable focus positive biconvex lens.

또한, 상기 기판부는 적어도 두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trate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two electrodes.

또한, 상기 기판부는 상기 개구부의 상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전극, 상기 개구부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전극 및 상기 개구부의 중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중부전극 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bstrat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electrode formed along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a lower electrode formed along a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and a center electrode formed along a centr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또한, 상기 상부전극 및 상기 하부전극은 양극이고, 상기 중부전극은 음극일 수 있다.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may be an anode, and the center electrode may be a cathode.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는 초점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렌즈면을 양쪽에 구비하고, 이에 따라 한 면에서만 초점거리 변경이 일어나는 렌즈보다 넓은 범위의 초점거리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ns surface on both sides of which the focal length can be changed and thus the focal length can be adjusted over a wider range than the lens in which the focal length is changed on only one side.

또한, 본 발명은 대향하여 배치된 렌즈면의 초점거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초점거리의 가변 범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surface opposed to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the variable range and accuracy of the focal length.

또한, 본 발명은 낮은 전압에도 큰 초점거리의 변동이 일어나면서 렌즈 구동을 위한 전압증폭기가 단순하고 가벼워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and lighten the voltage amplifier for driving the lens while a large focal length fluctuation occurs even at a low volt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체형으로 조립하여 패키징이 용이한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which is assembled integrally and is easy to packa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의 도면으로서, 수직방향 단면을 함께 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초점거리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에 있어서, 전압을 비대칭적으로 인가하였을 때의 초점거리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초점거리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초점거리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서 도시된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를 어레이 형태로 구성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 도시된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를 어레이 형태로 구성한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의 도면으로서, 수직방향 단면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초점거리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전기활성 폴리머에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와 일반 평볼록 렌즈에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초점거리 변화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of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focal length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focal length when a voltage is applied asymmetrically in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focal length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focal length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variable foci-positive convex lenses shown in FIG. 1 are arranged in an array form.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variable-focus biconvex lens shown in FIG. 1 is configured in an array form.
Fig. 9 is a view of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diagram showing a vertical cross section together.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focal length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active polymer.
12 is a graph illustrating changes in focal length when voltage is applied to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nd a normal flat convex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의 도면으로서, 수직방향 단면을 함께 표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초점거리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of a variable-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vertically cross-sectional views are shown together,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focal length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100)는 투과부(110), 제1 개구부(121)가 형성된 상부기판(120) 및 제2 개구부(131)가 형성된 하부기판(130)을 포함한다. 투과부(110)는 상부기판(120)과 하부기판(130)의 사이에 결합된다.1 to 3,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ssive portion 110, an upper substrate 120 on which a first opening 121 is formed, And a lower substrate 130 having openings 131 formed therein. The transmissive portion 110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120 and the lower substrate 130.

투과부(110)는 제1 렌즈면(111), 제2 렌즈면(112), 제1 렌즈부(114), 제2 렌즈부(115) 및 몸체(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면(111)은 상기 제1 개구부(121)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2 렌즈면(112)은 상기 제2 개구부(131)를 통해 노출된다. 한편, 제1 렌즈부(114)는 표면에 제1 렌즈면(111)을 갖는 몸체(113)의 일부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렌즈부(115)는 표면에 제2 렌즈면(112)을 갖는 몸체(113)의 일부로 이해될 수 있다.The transmissive portion 110 may include a first lens surface 111, a second lens surface 112, a first lens portion 114, a second lens portion 115, and a body 113. The first lens surface 111 is expo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21 and the second lens surface 112 is expos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131. The first lens unit 114 may be understood as a part of the body 113 having the first lens surface 111 on its surface and the second lens unit 115 may have a second lens surface 112 on the surface thereof.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110)는 전기활성 폴리머(Electroactive Polimer : EAP)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ve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an electroactive polymer (EAP).

투과부(110)의 몸체(113)는 소정 두께의 판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113)의 상부에는 제1 렌즈부(11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 렌즈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3)는 상부기판(120) 및 하부기판(130)의 사이에 구비되며, 몸체(113)의 상부표면 및 하부표면은 제1 렌즈부(114) 및 제2 렌즈부(115)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면 상부기판(120)의 저면과 하부기판(130)의 상면에 접촉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The body 113 of the transmissive portion 1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one embodiment, the first lens part 114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113, and the second lens part 115 may be formed on the lower part. The body 113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120 and the lower substrate 130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3 are formed with the first lens portion 114 and the second lens portion 115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3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있어서 렌즈부(114, 115)는 몸체(113)의 일부가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형상이 가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units 114 and 115 may be formed by deforming a part of the body 113 and may be controlled so as to vary the shape as required.

초기 상태에서, 상기 렌즈부(114, 115)는 몸체(113)로 일부를 이루는 평면 형태이거나, 평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투과부(110)를 형성함에 있어서 렌즈부(114, 115)가 돌출되도록 성형할 수 있다. 또는, 평평한 판의 형태로 제조된 투과부(110)가 상부기판(120) 및 하부기판(130)과의 결합과정에서 상부기판(120) 및 하부기판(130)에 의해 압착되면서 투과부(110)의 일부가 제1 개구부(121)와 제2 개구부(131)로 돌출되어 제1 렌즈부(114) 및 제2 렌즈부(115)의 기본 형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initial state, the lens portions 114 and 115 may be formed in a planar shape as a part of the body 113, or may be formed to project outward in a plane. For example, when forming the transmissive portion 110, the lens portions 114 and 115 may be formed to protrude. The transmissive portion 110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is pressed by the upper substrate 120 and the lower substrate 130 in the process of joining with the upper substrate 120 and the lower substrate 130, The first lens portion 114 and the second lens portion 115 may be formed in a basic shape by being partially protruded from the first opening portion 121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131. [

상부기판(120)은 제1 개구부(121), 제1 상부전극(122) 및 제2 상부전극(123)을 포함하고, 제1 상부전극도선(124) 및 제2 상부전극도선(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기판(120)은 평평한 판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몸체(113)의 상부표면과 접촉한다.The upper substrate 120 includes a first opening 121, a first upper electrode 122 and a second upper electrode 123 and includes a first upper electrode lead 124 and a second upper electrode lead 125, . The upper substrate 120 i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3.

제1 개구부(121)는 상부기판(120)을 관통하는 원통형의 구멍이다. 몸체(113)의 상부표면은 상부기판(120)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제1 렌즈부(114)가 돌출되려면 상부기판(120)에 빈공간이 필요한데, 제1 렌즈부(114)는 제1 개구부(121)를 통해서 돌출될 수 있고, 제1 렌즈면(111)은 외부로 노출된다.The first opening 121 is a cylindrical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bstrate 120.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3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bstrate 120, a space is required for the upper substrate 120 to protrude from the first lens unit 114. The first lens unit 114 has a first opening And the first lens surface 111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1 상부전극(122)은 제1 개구부(121)의 내주면을 따라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상면부(122a), 내주면부(122b) 및 하면부(122c)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면부(122a)는 상부기판(120)의 상부표면으로 연장되는 부분이고, 내주면부(122b)는 제1 개구부(121)의 내주면에 형성된 부분이며, 하면부(122c)는 상부기판(120)의 하부표면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상부전극(122)의 내주면부(122b)의 일부는 제1 렌즈부(114)의 일부와 접촉하고, 하면부(122c)는 몸체(113)의 상부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상부전극(122)은 양(+)극이 될 수 있다.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is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121 and includes a top surface portion 122a,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122b and a bottom surface portion 122c, Quot; C " shape. The upper surface portion 122a is a portion exte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120.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122b is a por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121. The lower surface portion 122c is a portion of the upper substrate 120, As shown in Fig.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122b of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is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first lens portion 114 and a lower surface portion 122c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3 can do.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may be a positive pole.

제1 상부전극도선(124)은 제1 상부전극(122)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제1 상부전극(122)과 외부전압원을 연결하는 도선이다. 상기 제1 상부전극도선(124)은 상부기판(12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upper electrode lead 124 is a lead connecting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and an external voltage source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The first upper electrode lead 12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120.

제2 상부전극(123)은 상부기판(120)의 제1 개구부(121)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상부기판(120)의 하부표면에 형성되어 몸체(113)의 상부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상부전극(123)은 제1 상부전극(122)과 원의 중심을 같이하고 제1 상부전극(122)보다 반경이 큰 고리 형태를 가지며 제1 상부전극(122)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부전극(123)은 음(-)극이 될 수 있다.The second upper electrode 123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120 having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first opening 121 of the upper substrate 120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3.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upper electrode 123 has a ring shape having a radiu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with the center of the circle and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As shown in Fig. And the second upper electrode 123 may be a negative (-) electrode.

제2 상부전극도선(125)은 제2 상부전극(123)과 외부전압원을 연결하는 도선이다. 제2 상부전극도선(125)은 상부기판(12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upper electrode lead 125 is a lead connecting the second upper electrode 123 and an external voltage source. The second upper electrode lead 125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120.

하부기판(130)은 제2 개구부(131), 제1 하부전극(132) 및 제2 하부전극(133)을 포함하고, 제1 하부전극도선(134) 및 제2 하부전극도선(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기판(130)은 평평한 판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몸체(113)의 하부표면과 접촉한다.The lower substrate 130 includes a second opening 131 and a first lower electrode 132 and a second lower electrode 133. The first lower electrode lead 134 and the second lower electrode lead 135, . The lower substrate 130 i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3.

제2 개구부(131)는 하부기판(130)을 관통하는 원통형의 구멍이다. 몸체(113)의 하부표면은 하부기판(130)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제2 렌즈부(115)가 돌출되려면 상부기판(130)에 빈공간이 필요한데, 제2 렌즈부(115)는 제2 개구부(131)를 통해서 돌출될 수 있고, 제2 렌즈면(112)은 외부로 노출된다.The second opening 131 is a cylindrical hole penetrating the lower substrate 130.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3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bstrate 130, a space is required in the upper substrate 130 for the second lens unit 115 to protrude. The second lens unit 115, (131), and the second lens surface (112)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1 하부전극(132)은 제2 개구부(131)의 내주면을 따라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하면부(132a), 내주면부(132b) 및 상면부(132c)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면부(132a)는 하부기판(130)의 하부표면으로 연장되는 부분이고, 내주면부(132b)는 제2 개구부(1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부분이며, 상면부(132c)는 하부기판(130)의 상부표면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제1 하부전극(132)의 내주면부(132b)의 일부는 제2 렌즈부(115)의 일부와 접촉하고, 상면부(132c)는 몸체(113)의 하부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하부전극(132)은 양(+)극이 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electrode 132 is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131 and includes a lower surface portion 132a,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132b,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132c, Quot; C " shape. The lower surface portion 132a is a portion exte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30.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132b is a por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131. The upper surface portion 132c is a portion of the lower substrate 130, As shown in FIG.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132b of the first lower electrode 132 may contact a portion of the second lens portion 115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132c may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3. [ The first lower electrode 132 may be a positive pole.

제1 하부전극도선(134)은 제1 하부전극(132)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제1 하부전극(132)과 외부전압원을 연결하는 도선이다. 제1 하부전극도선(134)은 하부기판(130)의 하부표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electrode conductor 134 is a conductor connecting the first lower electrode 132 and an external voltage source to apply a voltage to the first lower electrode 132. The first lower electrode lead 134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30.

제2 하부전극(133)은 하부기판(130)의 제2 개구부(131)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하부기판(130)의 상부표면에 형성되어 몸체(113)의 하부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하부전극(133)은 제1 하부전극(132)과 원의 중심을 같이하고 제1 하부전극(132)보다 반경이 큰 고리 형태를 가지며 제1 하부전극(132)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부전극(133)은 음(-)극이 될 수 있다.The second lower electrode 133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30 having a predetermined gap from the second opening 131 of the lower substrate 130 and may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3. The second lower electrode 133 has a ring shape having a radiu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lower electrode 132 and has the same center as that of the first lower electrode 132, As shown in Fig. And the second lower electrode 133 may be a negative (-) electrode.

제2 하부전극도선(135)은 제2 하부전극(133)과 외부전압원을 연결하는 도선이다. 제2 하부전극도선(135)은 하부기판(13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lower electrode lead 135 is a lead connecting the second lower electrode 133 to an external voltage source. The second lower electrode lead 135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30.

도 3을 참조하여,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100)에 전압이 인가되기 전후의 변화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100 will be described.

도 3의 (a)는 전압이 인가되기 전의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100)이다. 돌출된 제1 렌즈부(114)의 일부는 제1 상부전극(122)의 내주면부(122b)에 접촉하고 있고, 돌출된 제2 렌즈부(115)의 일부는 제1 하부전극(132)의 내주면부(132b)에 접촉하고 있다.3 (a) is a variable foci positive lens 100 before a voltage is applied. A part of the protruding first lens part 114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art 122b of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and a part of the protruding second lens part 115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part 122b of the first lower electrode 132 A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132b.

도 3의 (b)는 제1 상부전극(122)과 제2 상부전극(123) 및 제1 하부전극(132)과 제2 하부전극(133)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의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3B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tage of the variable focus-type positive lens 2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the second upper electrode 123, the first lower electrode 132 and the second lower electrode 133, Fig.

투과부(110)를 구성하는 전기활성 폴리머(EAP)는 전압이 인가된 전극에 최대한 가까이 가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도 3의 (b)에서와 같이 제1 상부전극(122)과 제2 상부전극(123)에 전압을 인가하면, 제1 개구부(121)를 통하여 돌출되는 제1 렌즈부(114)의 제1 상부전극(122)에 가까이 있는 부분들은 제1 개구부(12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상부전극(122)의 내주면부(122b)로 이끌리게 된다. 제1 렌즈부(114)가 제1 상부전극(122)의 내주면부(122b)에 접촉하는 정도는 제1 상부전극(122)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The electroactive polymer (EAP) constituting the transmissive portion 110 has a property of approaching the electrode to which voltage is applied as close as possible. Therefore, as shown in FIG. 3B,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and the second upper electrode The portions of the first lens portion 114 protrud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portion 121 and closer to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 portion 121 through the first opening 121, And is attra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122b of the upper electrode 122.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lens portion 114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122b of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depends on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

제1 렌즈부(114)가 제1 상부전극(122)의 내주면부(122b)에 접촉하면서 그 형태가 달라지게 되므로, 제1 렌즈면(111)도 형태가 달라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압 인가에 따라 제1 렌즈면(111)은 전압이 인가하기 전보다 곡률이 작은(즉, 곡률 반지름이 커진) 볼록한 면이 된다.The shape of the first lens portion 114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lens portion 114 because the first lens portion 114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122b of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As a result, as the voltage is applied, the first lens surface 111 becomes a convex surface having a smaller curvature (i.e., a larger radius of curvature) than that before the voltage is applied.

이에 따라, 제1 렌즈면(111)을 포함한 제1 렌즈부(114)는 전압인가 전보다 초점거리가 길어지게 된다.Accordingly,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unit 114 including the first lens surface 111 becomes longer than that before the voltage application.

마찬가지로, 제1 하부전극(132)과 제2 하부전극(133)에 전압을 인가하면, 제2 렌즈부(115)의 제1 하부전극(132)에 가까이 있는 부분들이 제2 개구부(13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하부전극(132)의 내주면부(132b)로 이끌리게 되고, 제2 렌즈면(112)의 형태가 달라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압 인가에 따라 제2 렌즈면(112)은 전압이 인가하기 전보다 곡률이 작은 볼록한 면이 된다.Similarly,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lower electrode 132 and the second lower electrode 133, portions of the second lens unit 115 that are close to the first lower electrode 132 move toward the second opening 131 The second lens surface 112 is attra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132b of the first lower electrode 132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second lens surface 112 is changed. As a result, the second lens surface 112 becomes a convex surface with a smaller curvature than before the voltage is applied.

이에 따라, 제2 렌즈면(112)은 전압인가 전보다 초점거리가 길어지게 된다.Accordingly, the focal length of the second lens surface 112 becomes longer than that before the voltage applic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인가에 따라 제1 렌즈부(114)와 제2 렌즈부(115)의 형태를 함께 변화시킬 수 있어 제1 개구부(121)와 제2 개구부(131)를 통과하는 광의 초점거리를 보다 크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3, the shapes of the first lens unit 114 and the second lens unit 115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so that the first opening 121 and the second opening 115 can be chang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ocal distance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131 more greatl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상부전극(122)과 제2 상부전극(123)에만 전압을 인가하고 제1 하부전극(132)과 제2 하부전극(133)에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거나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다르게 함에 따라 초점거리의 가변 범위나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voltage is applied only to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and the second upper electrode 123,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lower electrode 132 and the second lower electrode 133,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variable range and the accuracy of the focal length.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에 있어서, 전압을 비대칭적으로 인가하였을 때의 초점거리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focal length when a voltage is applied asymmetrically in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와 같이 제1 상부전극(122)에만 전압을 인가하면, 제1 렌즈면(111)의 곡률만 변경되고, 도 4의 (b)와 같이 제1 하부전극(132)에만 전압을 인가하면, 제2 렌즈면(112)의 곡률만 변경된다. 결과적으로, 상하부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에 따라 2개의 렌즈면의 곡률이 비대칭적인 렌즈를 형성할 수도 있다.When a voltage is applied to only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as shown in FIG. 4A, only the curvature of the first lens surface 111 is changed. As shown in FIG. 4B, only the first lower electrode 132 When a voltage is applied, only the curvature of the second lens surface 112 is changed. As a result, depending on the voltage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a lens in which the curvatures of the two lens surfaces are asymmetric may be form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초점거리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focal length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200)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언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 실시예의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200)는 제1 실시예의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100)와 유사한 것이 될 수 있다.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200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similar to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100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as noted.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전압이 인가되기 전의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200)의 투과부(210)는 제1 렌즈면(211), 제2 렌즈면(212), 제1 렌즈부(214), 제2 렌즈부(215) 및 몸체(213)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의 투과부(110)와 달리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투과부(210)는 돌출되는 부분이 없다. 따라서, 제1 렌즈부(214)는 제1 렌즈면(211)과 동일한 평면이고, 제2 렌즈부(215)는 제2 렌즈면(212)과 동일한 평면이다. 5A, the transmissive portion 210 of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200 before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lens surface 211, the second lens surface 212, the first lens portion 214, a second lens unit 215, and a body 213. Unlike the transmissive portion 110 of the first embodiment, the transmissive portion 210 does not protrude in a state where no voltage is applied. Therefore, the first lens portion 214 is flush with the first lens surface 211, and the second lens portion 215 is flush with the second lens surface 212.

몸체(213)의 상부표면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평면인 제1 렌즈면(211)이 형성되고, 몸체(213)의 하부표면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평면인 제2 렌즈면(212)이 형성된다. A planar first lens surface 211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13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lens surface 212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13, .

투과부(210)에 돌출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제1 상부전극(222)의 내주면부(222b)는 제1 렌즈부(214)와 접촉하지 않고, 제1 하부전극(232)의 내주면부(232b)는 제2 렌즈부(215)와 접촉하지 않는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222b of the first upper electrode 222 does not contact the first lens portion 214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232b of the first lower electrode 232 does not contact the transmissive portion 210. Therefore, Is not in contact with the second lens portion 215.

도 5의 (b)를 참조하여,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200)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5 (b), the operation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variable focus double convex lens 200 will be described.

도 5의 (b)에서와 같이 제1 상부전극(222)과 제2 상부전극(223)에 전압을 인가하면, 제1 상부전극(222) 내주면부(222b)에 가까이 있는 제1 렌즈부(214)는 내주면부(222b)에 가까워지도록 팽창하게 된다. 이 때, 제1 렌즈부(214)는 내주면부(222b)에 접촉할 수도 있고,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렌즈부(214)가 팽창하는 정도는, 제1 상부전극(222)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5B,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upper electrode 222 and the second upper electrode 223, the first lens portion (the second lens portion) 222 nea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222b of the first upper electrode 222 214 expan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222b. At this time, the first lens unit 214 may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222b or may not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222b.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lens unit 214 expands depends on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upper electrode 222.

제1 렌즈부(214)의 팽창에 따라, 평면이었던 제1 렌즈면(211)은 곡률을 가지는 볼록한 면이 되고, 초점거리가 변경된다.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the first lens portion 214, the first lens surface 211 which has been flat becomes a convex surface having a curvature, and the focal length is changed.

마찬가지로, 제1 하부전극(232)과 제2 하부전극(233)에 전압을 인가하면, 제1 하부전극(232) 내주면부(232b)에 가까이 있는 제2 렌즈부(215)는 내주면부(232b)로 가까워지도록 팽창하게 되고, 제2 렌즈부(215)의 팽창에 따라, 평면이었던 제2 렌즈면(212)은 곡률을 가지는 볼록한 면이 되고, 초점거리가 변경된다.Likewise,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lower electrode 232 and the second lower electrode 233, the second lens portion 215, which is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232b of the first lower electrode 232, And the second lens surface 212 which has been flat becomes a convex surface having a curvature and the focal lengt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second lens portion 215. [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초점거리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focal length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을 참조하여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300)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A third embodiment of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언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3 실시예의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300)는 제1 실시예의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100)와 유사한 것이 될 수 있다.Except where noted,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300 of the third embodiment may be similar to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100 of the first embodiment.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전압이 인가되기 전의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300)의 투과부(310)는 제1 렌즈면(311), 제2 렌즈면(312), 제1 렌즈부(314), 제2 렌즈부(315) 및 몸체(313)를 포함한다. 6A, the transmission portion 310 of the variable focus positive biconvex lens 300 before the voltage is applied is divided into a first lens surface 311, a second lens surface 312, a first lens portion 314, a second lens unit 315, and a body 313.

제1 렌즈부(314)는 제1 상부전극(322)의 내주면부(322b)의 전체표면과 접촉하고, 제2 렌즈부(315)는 제1 하부전극(332) 내주면부(332b)의 전체표면과 접촉한다. The first lens portion 314 contacts the entire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322b of the first upper electrode 322 and the second lens portion 315 contacts the entire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332b of the first lower electrode 332 Surface.

제1 렌즈부(314)가 상부기판(320)의 상부표면을 넘어 돌출되었으므로, 제1 렌즈면(311)은 제1 개구부(321)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Since the first lens portion 314 protrudes beyo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320, the first lens surface 31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321.

제1 렌즈면(311)과 마찬가지로, 제2 렌즈면(312)은 제2 개구부(331)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The second lens surface 31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opening 331 similarly to the first lens surface 311. [

도 6의 (b)에서와 같이 제1 상부전극(322)과 제2 상부전극(323)에 전압을 인가하면, 제1 개구부(321) 외부로 돌출된 제1 렌즈부(314)는 제1 상부전극(322)의 상단부(322a)에 접촉하게 된다. 제1 렌즈부(314)가 상단부(322a)에 접촉하는 정도는, 제1 상부전극(322)과 제2 상부전극(323)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6 (b),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upper electrode 322 and the second upper electrode 323, the first lens unit 314 protruding out of the first opening 321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322a of the upper electrode 322. The extent to which the first lens portion 314 contacts the upper end portion 322a depends on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upper electrode 322 and the second upper electrode 323.

제1 렌즈부(314)의 변형에 따라, 제1 렌즈면(311)이 가지는 곡률은 작아지게 되고, 초점거리가 늘어나게 된다.With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lens portion 314, the curvature of the first lens surface 311 is reduced, and the focal length is increased.

마찬가지로, 제1 하부전극(332)과 제2 하부전극(333)에 전압을 인가하면, 제2 렌즈부(315)는 제1 하부전극(332)의 하단부(332a)에 접촉하게 되고, 제2 렌즈부(315)의 변형에 따라, 제2 렌즈면(312)이 가지는 곡률은 작아지게 되고, 초점거리가 늘어나게 된다. Similarly,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lower electrode 332 and the second lower electrode 333, the second lens portion 31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332a of the first lower electrode 332, With the deformation of the lens portion 315, the curvature of the second lens surface 312 is reduced, and the focal length is increased.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의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300)에서 제1 상부전극(322)의 상면부(322a) 및 제1 하부전극(332)의 하면부(332a)에 제1 렌즈부(314) 및 제2 렌즈부(315)가 접촉하게 되면, 제1 실시예의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100)에서 제1 상부전극(122)의 내주면부(122b) 및 제1 하부전극(132)의 내주면부(132b)에 제1 렌즈부(114) 및 제2 렌즈부(115)가 접촉하는 것보다 렌즈면의 곡률 변화량이 더 클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300 of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lens portion 31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322a of the first upper electrode 322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332a of the first lower electrode 332, And the second lens unit 315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22b of the first upper electrode 12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lower electrode 132 of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100 of the first embodiment, The amount of change in curvature of the lens surface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lens portion 114 and the second lens portion 115 contacting the first lens portion 132b.

이상의 설명에서 제1 렌즈부(314)와 제2 렌즈부(315) 각각이 제1 상부전극(322) 및 제1 하부전극(332)에 전압 인가전 접촉하는 상태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접촉 면적이나 비율 또는 제1 렌즈부(314)와 제2 렌즈부(315)의 형상에 따라 전압인가에 따른 곡률(또는 초점거리)의 변화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lens unit 314 and the second lens unit 315 are illustrated as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electrode 322 and the first lower electrode 332 before voltage application is described abov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variation of the curvature (or the focal length)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contact area or the ratio or the shape of the first lens unit 314 and the second lens unit 315 .

도 7은 도 1에서 도시된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를 어레이 형태로 구성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variable foci-positive convex lenses shown in FIG. 1 are arranged in an array form.

도 7을 참조하면,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100)가 육각형의 모양으로 모여서 어레이를 형성하였다. 복수개인 투과부(110)의 몸체(113), 상부기판(120) 및 하부기판(130)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일체를 이루어 하나의 육각형 판의 형태가 된다. 복수개의 렌즈부 및 개구부들은 몸체(113) 및 기판들의 형태에 따라 배치되므로 육각형의 모양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7,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es 100 are gathered in a hexagonal shape to form an array. The body 113, the upper substrate 120, and the lower substrate 130 of the multi-individual transmitting portion 11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us they are integrally formed into a single hexagonal plate. The plurality of lens units and the opening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dy 113 and the substrates so that they ar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a hexagonal shape.

제1 상부전극도선(124)은 복수개의 제1 상부전극(122)들을 연결한다. 하나의 제1 상부전극(122)에는 여섯개의 제1 상부전극도선(124)이 결합하여 여섯개의 다른 제1 상부전극(122)들과 연결되게 한다. The first upper electrode lead 124 connects the plurality of first upper electrodes 122. Six first top electrode leads 124 are coupled to one first top electrode 122 to couple to six other first top electrodes 122.

제1 하부전극도선(134), 제2 상부전극도선(125) 및 제2 하부전극도선(135)도 제1 상부전극도선(124)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The first lower electrode lead 134, the second upper electrode lead 125 and the second lower electrode lead 135 are also formed similarly to the first upper electrode lead 124.

도 8은 도 1에서 도시된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를 어레이 형태로 구성한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variable-focus biconvex lens shown in FIG. 1 is configured in an array form.

도 8을 참조하면,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100)가 사각형의 모양으로 모여서 어레이를 형성하였다. 복수개인 투과부(110)의 몸체(113), 상부기판(120) 및 하부기판(130)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일체를 이루어 하나의 사각형 판의 형태가 된다. 복수개의 렌즈부 및 개구부들은 몸체(113) 및 기판들의 형태에 따라 배치되므로 사각형의 모양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8,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es 100 are gathered in a square shape to form an array. The body 113, the upper substrate 120, and the lower substrate 130 of the multi-individual transmitting portion 11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refore, they are integrally formed into a single rectangular plate. The plurality of lens units and the opening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dy 113 and the substrates so that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quadrangular shape.

제1 상부전극도선(124)은 복수개의 제1 상부전극(122)들을 연결한다. 하나의 제1 상부전극(122)에는 네개의 제1 상부전극도선(124)이 결합하여 네개의 다른 제1 상부전극(122)들과 연결되게 한다. The first upper electrode lead 124 connects the plurality of first upper electrodes 122. Four first upper electrode leads 124 are coupled to one first upper electrode 122 to connect to four different first upper electrodes 122.

제1 하부전극도선(134), 제2 상부전극도선(125) 및 제2 하부전극도선(135)도 제1 상부전극도선(124)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The first lower electrode lead 134, the second upper electrode lead 125 and the second lower electrode lead 135 are also formed similarly to the first upper electrode lead 124.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의 도면으로서, 수직방향 단면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초점거리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9 is a view of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the change in focal length when a voltage is applied.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400)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a fourth embodiment of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400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400)는 상하로 별도 구분되지 않은 하나의 기판부(420)에 상하로 관통된 개구부(42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421)에 투과부(410)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ning 421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one substrate portion 420 which is not separately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410) is located.

제4 실시예의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400)는 투과부(410) 및 개구부(421)가 형성된 기판부(4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원통형의 형태인 투과부(410)의 외주면은 기판부(420) 개구부(421)의 내주면과 접촉 또는 결합된다.The variable focus positive biconvex lens 400 of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portion 420 having a transmissive portion 410 and an opening portion 421 formed therein. In one embodim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missive portion 410 in the form of a cylinder is in contact with or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421 of the substrate portion 420.

몸체(413)는 투과부(410)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원통형의 형태를 가진다. 몸체(413)의 상부에는 제1 렌즈부(41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 렌즈부(415)가 형성된다. The body 413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ransmission portion 410 and has a cylindrical shape. The first lens unit 414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413 and the second lens unit 415 is formed on the lower part.

제4 실시예의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400)에 있어서, 렌즈부(414, 415)가 형성되는 방법은, 원통형의 투과부(410)가 상하부에 돌출되는 부분을 구비한 형태로 제조되는 방법과, 상하부가 평평한 원통형으로 제조된 투과부(410)가 기판부(420)와의 결합과정에서 기판부(420)에 의해 압착되면서 투과부(410)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In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400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lens portions 414 and 415 are formed by a method in which a cylindrical transmission portion 410 is provided with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 may be a method in which a portion of the transmissive portion 410 is protruded while being pressed by the substrate portion 420 in the process of engaging the transmissive portion 410 made of a flat upper and lower portion with the substrate portion 420.

이에 따라, 렌즈부(414, 415)가 돌출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고,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의 렌즈부(114, 115, 214, 215, 314, 315)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degree to which the lens portions 414 and 415 are projected can be varied and can be similar to that of the lens portions 114, 115, 214, 215, 314 and 315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have.

기판부(420)는 평평한 판의 형태이고, 개구부(421), 상부전극(422), 하부전극(423), 공통전극(424), 상부전극도선(425), 하부전극도선(426) 및 공통전극도선(427)을 포함한다. The substrate portion 420 i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includes an opening 421, an upper electrode 422, a lower electrode 423, a common electrode 424, an upper electrode lead 425, a lower electrode lead 426, And an electrode lead 427.

개구부(421)는 기판부(420)의 상하부를 원통형으로 관통하는 구멍이고, 개구부(421)에는 상부전극(422), 하부전극(423) 및 공통전극(424)이 형성된다. 개구부(421)의 내주면에는 투과부(410)의 외주면이 접촉하게 된다.The opening portion 421 is a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bstrate portion 420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upper electrode 422, the lower electrode 423 and the common electrode 424 are formed in the opening portion 42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missive portion 4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421.

상부전극(422)은 개구부(421)의 상부 내주면을 따라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상면부(422a) 및 내주면부(422b)를 포함한다. 상면부(422a)는 기판부(420)의 상부표면으로 연장되는 부분이고, 내주면부(422b)는 개구부(421)의 내주면에 형성된 부분이다.The upper electrode 422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upp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421 and includes an upper surface portion 422a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422b. The upper surface portion 422a is a portion exte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42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422b is a port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421. [

상부전극(422)의 내주면부(422b)는 제1 실시예의 내주면부(122b)와 같이 제1 렌즈부(414)와 일부만 접촉할 수 있고, 제2 실시예의 내주면부(222b)와 같이 제1 렌즈부(414)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고, 제3 실시예의 내주면부(322b)와 같이 제1 렌즈부(414)와 전체표면이 접촉할 수 있다. 상부전극(422)은 양극이 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422b of the upper electrode 422 can be in contact with only part of the first lens portion 414 lik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122b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lens portion 414 may not contact the lens portion 414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lens portion 414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portion 322b of the third embodiment. The upper electrode 422 may be an anode.

상부전극도선(425)은 기판부(420)의 상부표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전극도선(425)은 상부전극(422)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부전극(422)과 외부전압원을 연결하는 도선이다.The upper electrode lead 425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420. The upper electrode lead 425 is a lead connecting the upper electrode 422 to an external voltage source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upper electrode 422. [

하부전극(423)은 개구부(421)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하면부(423a) 및 내주면부(423b)를 포함한다. 하면부(423a)는 기판부(420)의 하부표면으로 연장되는 부분이고, 내주면부(423b)는 개구부(421)의 내주면에 형성된 부분이다.The lower electrode 423 is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421 and includes a lower surface portion 423a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423b. The lower surface portion 423a is a portion exte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42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423b is a por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421. [

하부전극(423)의 내주면부(423b)는 제1 실시예의 내주면부(132b)와 같이 제2 렌즈부(415)와 일부만 접촉할 수 있고, 제2 실시예의 내주면부(232b)와 같이 제2 렌즈부(415)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고, 제3 실시예의 내주면부(332b)와 같이 제2 렌즈부(415)와 전체표면이 접촉할 수 있다. 하부전극(423)은 양극이 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423b of the lower electrode 423 can contact only a part of the second lens portion 415 lik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132b of the first embodiment, It may not contact the lens portion 415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lens portion 415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econd lens portion 415 lik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332b of the third embodiment. The lower electrode 423 may be an anode.

하부전극도선(426)은 기판부(420)의 하부표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전극도선(426)은 하부전극(423)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하부전극(423)과 외부전압원을 연결하는 도선이다. The lower electrode lead 426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420. The lower electrode wire 426 is a wire connecting the lower electrode 423 and an external voltage source to apply a voltage to the lower electrode 423. [

공통전극(424)은 개구부(421)의 중앙부 내주면에 고리형태로 형성된다. 공통전극(424)은 상부전극(422) 및 하부전극(423)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내주면에 형성된다. 공통전극(424)은 투과부(410) 몸체(413)의 외주면과 접촉한다. 공통전극(424)은 음극이 될 수 있다.The common electrode 424 is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421. The common electrode 424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electrode 422 and the lower electrode 423. The common electrode 424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413 of the transmission portion 410. The common electrode 424 may be a cathode.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400)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operation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0의 (a)는 전압이 인가되기 전의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4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압이 인가되기 전에는 제1 렌즈부(414) 및 제2 렌즈부(415)가 상부전극(422) 및 하부전극(423)의 내주면부(422b, 423b)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고, 일부만 접촉할 수 있고, 전체표면이 접촉할 수 있다.10 (a) is a view for explaining a variable focus positive lens system 400 before a voltage is applied. The first lens portion 414 and the second lens portion 415 are not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s 422b and 423b of the upper electrode 422 and the lower electrode 423 before the voltage is applied Can only partially contact, and the whole surface can contact.

도 10의 (b)는 상부전극(422)과 하부전극(423) 및 공통전극(424)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의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4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0B is a view for explaining a variable focus positive lens 400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upper electrode 422, the lower electrode 423, and the common electrode 424. FIG.

도 10의 (b)에서와 같이 상부전극(422) 및 하부전극(423)의 내주면부(422b, 423b)에 렌즈부(414, 415)의 일부가 접촉하는 경우, 전압을 인가하면 렌즈부(414, 415)는 상부전극(422) 및 하부전극(423)의 내주면부(422b, 423b)에 더 접촉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렌즈면(411) 및 제2 렌즈면(412)은 전압을 인가하기 전보다 곡률이 작은 볼록한 면이 된다.When a portion of the lens portions 414 and 415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s 422b and 423b of the upper electrode 422 and the lower electrode 423 as shown in Figure 10B, 414 and 415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s 422b and 423b of the upper electrode 422 and the lower electrode 423,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irst lens surface 411 and the second lens surface 412 become convex surfaces with a smaller curvature than before the voltage is applied.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부전극(422) 및 하부전극(423)의 내주면부(422b, 423b)에 렌즈부(414, 415)가 접촉하지 않는 경우, 전압을 인가하면 렌즈부(414, 415)는 상부전극(422) 및 하부전극(423)의 내주면부(422b, 423b)를 향하여 팽창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렌즈면(411) 및 제2 렌즈면(412)은 평면이었다가 곡률을 가지는 볼록한 면이 된다.When the lens portions 414 and 415 do not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s 422b and 423b of the upper electrode 422 and the lower electrode 423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Is expanded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s 422b and 423b of the upper electrode 422 and the lower electrode 423. As a result, the first lens surface 411 and the second lens surface 412 are flat and convex surfaces having a curvature.

제3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부전극(422) 및 하부전극(423) 내주면부(422b, 423b)의 전체표면에 렌즈부(414, 415)가 접촉하는 경우, 전압을 인가하면 렌즈부(414, 415)는 상부전극(422)의 상단부(422a) 및 하부전극(423)의 하단부(423a)에 더 접촉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렌즈면(411) 및 제2 렌즈면(412)은 전압을 인가하기 전보다 곡률이 작은 볼록한 면이 된다.When the lens portions 414 and 415 contact the entire surfaces of the upper electrode 42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s 422b and 423b of the lower electrode 423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415 are further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portion 422a of the upper electrode 422 and the lower end portion 423a of the lower electrode 423. Accordingly, the first lens surface 411 and the second lens surface 412 become convex surfaces with a smaller curvature than before the voltage is applied.

또한,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전극(422)과 하부전극(423) 중 어느 하나와 공통전극(424)에만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fourth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voltage only to one of the upper electrode 422 and the lower electrode 423 and the common electrode 424.

도 11은 전기활성 폴리머(EAP)에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an electroactive polymer (EAP).

상기 투과부(110)는 재질을 전기활성 폴리머(EAP)로 할 수 있고, 전기활성 폴리머(EAP)의 일례로 엔피브이씨겔(nPVC gel)을 들 수 있다. The transmissive portion 110 may be made of an electroactive polymer (EAP), and an example of an electroactive polymer (EAP) is nPVC gel.

엔피브이씨겔(nPVC gel)은 피브이씨 체인(PVC chain)(510)과 디부틸아디페이트(Dibutyl Adipate : DBA) 가소제로 이루어 진다. 순수한 피브이씨(PVC)는 디부틸아디페이트(DBA)에 의해 가소성이 되는데, 디부틸아디페이트(DBA)는 피브이씨 체인(PVC chain)의 자유 부피를 증가시키고, 피브이씨 체인(PVC chain)의 분자간 인력을 감소시킨다. The nPVC gel is composed of a PVC chain 510 and a dibutyl adipate (DBA) plasticizer. Pure PVC (PVC) is plasticized by dibutyl adipate (DBA), dibutyl adipate (DBA) increases the free volume of PVC chain, and PVC chain intermolecular attraction.

도11a와 같이 엔피브이씨겔(nPVC gel)에 외부전압이 가해지지 않으면, 엔피브이씨겔(nPVC gel) 내부에 존재하는 디부틸아디페이트(DBA)분자(520)는 불규칙적인 운동을 한다.As shown in FIG. 11A, if an external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nVVC gel, the dibutyl adipate (DBA) molecule 520 existing in the nVC gel does irregular motion.

도11b 와 같이 외부 전압이 가해지는 경우, 디부틸아디페이트(DBA)분자(520)는 전극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디부틸아디페이트(DBA)분자(520)는 피브이씨 체인(PVC chain)(510)의 분자 움직임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피브이씨 체인(PVC chain)(510)은 전극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엔피브이씨겔(nPVC gel)은 전극 방향으로 변형하게 된다. The dibutyl adipate (DBA) molecule 52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nd the dibutyl adipate (DBA) molecule 52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when the external voltage is applied as shown in FIG. Lt; RTI ID = 0.0 > 510 < / RTI > Accordingly, the PVC chain 51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nd the nVVC gel is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이와 같은 현상은 투과부(110)가 전압인가로 인하여 변형하는 것을 설명해준다.This phenomenon explains that the transmissive portion 110 is deformed due to voltage applica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와 일반 평볼록 렌즈에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초점거리 변화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12 is a graph illustrating changes in focal length when voltage is applied to a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and a normal flat convex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여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의 초점거리 조절범위가 일반 평볼록 렌즈에 비해 큰 것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2, it is explained that the focal length adjustment range of the variable foci-positive convex lens is larger than that of the normal flat convex lens.

그래프를 보면, 0V에서 400V 까지의 전압에서 평볼록 렌즈의 초점거리 변화는 약 7mm 이고,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100)의 초점거리 변화는 약 14mm 이다. 제안된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100)가 양 방향으로 변형이 가능 하기 때문에 기존의 평볼록 렌즈보다 넓은 초점 거리의 변동 가질 수 있는 것이다. In the graph, the focal length change of the flat convex lens at a voltage from 0 V to 400 V is about 7 mm, and the focal length variation of the variable foci double convex lens 100 is about 14 mm. Since the proposed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100 can be deformed in both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have a wider focal length variation than the conventional flat convex lens.

이 결과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100)가 평볼록 렌즈보다 낮은 전압에서 사용될 수 있고, 좁은 전압 범위에서 가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렌즈 구동을 위한 전압 증폭기가 단순해지고, 가벼워지고, 낮은 가격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This result means that the variable focus biconvex lens 100 can be used at a lower voltage than a plano-convex lens and can be operated in a narrow voltage range. As a result, the voltage amplifier for driving the lens can be made simple, light, and low cos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110 : 투과부
111 : 제1 렌즈면
112 : 제2 렌즈면
113 : 몸체
120 : 상부기판
121 : 제1 개구부
122 : 제1 상부전극
130 : 하부기판
131 : 제2 개구부
132 : 제1 하부전극
400 :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410 : 투과부
420 : 기판부
100: variable focus biconcave lens
110:
111: first lens surface
112: second lens surface
113: Body
120: upper substrate
121: first opening
122: first upper electrode
130: Lower substrate
131: second opening
132: first lower electrode
400: Variable Focus Biconcave Lens
410:
420:

Claims (15)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기판;
상기 제1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된 하부기판; 및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개구부로 노출되는 제1 렌즈면과 상기 제2 개구부로 노출되는 제2 렌즈면을 포함하는 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면과 상기 제2 렌즈면은 곡률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An upper substrate on which a first opening is formed;
A lower substrate having a second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opening; And
And a transmissiv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and including a first lens surface expo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lens surface expos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Wherein the first lens surface and the second lens surface have variable curvatur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전기활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ve portion is an electroactive poly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면 및 상기 제2 렌즈면의 곡률을 비대칭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rvature of the first lens surface and the second lens surface can be changed asymmetrical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은 상기 제1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상부전극 및 상기 제1 상부전극을 둘러싸는 제2 상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기판은 상기 제2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하부전극 및 상기 제1 하부전극을 둘러싸는 제2 하부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bstrate includes a first upper electrode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upper electrode surrounding the first upper electrode,
Wherein the lower substrate comprises a first lower electrode formed along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and a second lower electrode surrounding the first lower electro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전극은 상기 상부기판의 상부표면으로 연장되는 상면부; 및
상기 제1 개구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주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전극은 상기 하부기판의 하부표면으로 연장되는 하면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주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rein the first upper electrode extends to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And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lower electrode extends to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And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전압 인가 전 상태에서 상기 제1 상부전극의 상기 내주면부 및 상기 제1 하부전극의 상기 내주면부는 상기 투과부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upper electrod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lower electrode are not in contact with the transmissive portion in a state before voltage application.
제 5 항에 있어서,
전압 인가 전 상태에서 상기 제1 상부전극의 상기 내주면부 및 상기 제1 하부전극의 상기 내주면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투과부와 접촉하거나, 상기 제1 상부전극의 상기 내주면부 및 상기 제1 하부전극의 상기 내주면부는 전체 표면이 상기 투과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6. The method of claim 5,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upper electrod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lower electrode are in contact with the transmissive portion in a state before voltage application is performed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irst upper electrod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irst lower electrode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transmissive portion.
원통형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부; 및
상기 개구부의 상부로 노출되는 제 1 렌즈면과 상기 개구부의 하부로 노출되는 제 2 렌즈면을 포함하는 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렌즈면과 상기 제 2 렌즈면은 곡률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A substrate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opening portion; And
And a transmissive portion including a first lens surface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and a second lens surface expos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lens surface and the second lens surface have variable curvatur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의 재질은 전기활성 고분자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ransmissive portion is made of an electroactive polym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면 및 상기 제 2 렌즈면의 곡률을 비대칭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urvature of the first lens surface and the second lens surface can be changed asymmetricall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개구부의 상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전극, 상기 개구부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전극 및 상기 개구부의 중앙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ubstrate portion includes an upper electrode formed along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a lower electrode formed along a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and a common electrode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 및 상기 하부전극은 양극이고,
상기 공통전극은 음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are positive electrodes,
Wherein the common electrode is a cathod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은 상기 기판부의 상부표면으로 연장되는 상면부; 및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주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전극은 상기 기판부의 하부표면으로 연장되는 하면부; 및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주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upper electrode comprises: an upper surface portion exten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And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Wherein the lower electrode extends to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And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전압 인가 전 상태에서 상기 상부전극의 상기 내주면부 및 상기 하부전극의 상기 내주면부는 상기 투과부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of the upper electrod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of the lower electrode do not contact the transmissive portion in a state before voltage applica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전압 인가 전 상태에서 상기 상부전극의 상기 내주면부 및 상기 하부전극의 상기 내주면부는 일부분이 상기 투과부와 접촉하거나, 상기 상부전극의 상기 내주면부 및 상기 하부전극의 상기 내주면부는 전체 표면이 상기 투과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14. The method of claim 13,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of the upper electrod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of the lower electrode are in contact with the transmissive portion in a state before the voltage is applied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of the upper electrod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of the lower electrode are in contact with the transmissive portion Wherein the variable focal point convex lens is a convex lens.
KR1020170046029A 2017-04-10 2017-04-10 Variable focus double convex lens KR1019220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29A KR101922098B1 (en) 2017-04-10 2017-04-10 Variable focus double convex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29A KR101922098B1 (en) 2017-04-10 2017-04-10 Variable focus double convex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382A true KR20180114382A (en) 2018-10-18
KR101922098B1 KR101922098B1 (en) 2018-11-26

Family

ID=64132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029A KR101922098B1 (en) 2017-04-10 2017-04-10 Variable focus double convex l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098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451A1 (en) * 2019-12-17 2021-06-2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responsive gel lens having automatic multifocal and image stabilization functions
KR20210077299A (en) * 2019-12-17 2021-06-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Three-dimensional fresnel gel lens with variable focus
KR20210077300A (en) * 2019-12-17 2021-06-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Three-dimensional focal variable gel lense with flat electrodes
KR20210086518A (en) * 2019-12-30 2021-07-08 한국과학기술원 Pouch type soft actuator with hetero space charge layer and dielectric fluid
WO2022265133A1 (en) * 2021-06-17 2022-12-22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Pvc-gel-based electroactive fresnel zone plate lens system
WO2023003096A1 (en) * 2021-07-20 2023-01-2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variable focus lens, variable focus lens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30025215A (en) 2021-08-13 2023-02-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Varifocal lens composition comprising poly(vinyl chloride-co-vinyl acetate), varifocal lens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230025216A (en) 2021-08-13 2023-02-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Varifocal lens composition comprising transparency polymer and poly(vinyl chloride-co-vinyl acetate), varifocal lens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230033344A (en) 2021-09-01 2023-03-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Varifocal lens composition comprising internal plasticized PVC with organic polymer and varifocal lens having the same
KR20230084859A (en) 2021-12-06 2023-06-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Lens composition with environment-friendly plastic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lens
KR20230084858A (en) 2021-12-06 2023-06-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Lens composition with environment-friendly plastic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len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9723B1 (en) * 2001-11-09 2008-05-06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High speed piezoelectric optical system with tunable focal length
CN100342258C (en) 2002-10-25 2007-10-1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Zoom lens
JP2005128518A (en) 2003-10-02 2005-05-19 Citizen Watch Co Ltd Variable focus lens
US20080063022A1 (en) 2006-09-12 2008-03-13 Kevin Thomas Gahagan Semiconductor laser and tunable fluid lenses
CN101587224B (en) 2008-05-21 2012-08-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Lens module
WO2010015093A1 (en) 2008-08-08 2010-02-11 Optotune Ag Electroactive optical device
JP5986402B2 (en) 2012-03-13 2016-09-06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Gel-like polymer device showing electro-optic effect
US9634225B2 (en) 2012-12-17 2017-04-25 Apple Inc. Artificial muscle camera lens actuator
US9612362B2 (en) 2015-01-27 2017-04-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hin active optical zoom len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451A1 (en) * 2019-12-17 2021-06-2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responsive gel lens having automatic multifocal and image stabilization functions
KR20210077299A (en) * 2019-12-17 2021-06-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Three-dimensional fresnel gel lens with variable focus
KR20210077300A (en) * 2019-12-17 2021-06-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Three-dimensional focal variable gel lense with flat electrodes
KR20210086518A (en) * 2019-12-30 2021-07-08 한국과학기술원 Pouch type soft actuator with hetero space charge layer and dielectric fluid
WO2022265133A1 (en) * 2021-06-17 2022-12-22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Pvc-gel-based electroactive fresnel zone plate lens system
KR20230013877A (en) 2021-07-20 2023-01-2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Varifocal lens composition, varifocal lens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WO2023003096A1 (en) * 2021-07-20 2023-01-2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variable focus lens, variable focus lens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30025215A (en) 2021-08-13 2023-02-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Varifocal lens composition comprising poly(vinyl chloride-co-vinyl acetate), varifocal lens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230025216A (en) 2021-08-13 2023-02-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Varifocal lens composition comprising transparency polymer and poly(vinyl chloride-co-vinyl acetate), varifocal lens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240044405A (en) 2021-08-13 2024-04-0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Varifocal lens composition comprising transparency polymer and poly(vinyl chloride-co-vinyl acetate), varifocal lens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230033344A (en) 2021-09-01 2023-03-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Varifocal lens composition comprising internal plasticized PVC with organic polymer and varifocal lens having the same
KR20230084859A (en) 2021-12-06 2023-06-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Lens composition with environment-friendly plastic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lens
KR20230084858A (en) 2021-12-06 2023-06-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Lens composition with environment-friendly plastic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098B1 (en) 201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098B1 (en) Variable focus double convex lens
KR101496157B1 (en) Polymer lens
KR102064872B1 (en) Shape-variable optical element
KR102217098B1 (en) Camera module
JPH11133210A (en) Variable focus lens
US7729068B2 (en) Polymer actuator and optical unit
WO2009072748A1 (en) Camera module using polymer metal composite
KR20150098188A (en) Reflective varifocal lens and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1009768B2 (en) Liquid len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05467735B (en) Projection arrangement
US20230026612A1 (en) Electro-responsive gel lens having automatic multifocal and image stabilization functions
KR20180094615A (en) Liquid lens and camera module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445683B1 (en) Focus adjustable lens
JP2002357774A (en) Varifocal optical element
GB2591646A (en) Tuneable optical device
US10996432B2 (en) Reflective active variable len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50113538A (en) Micro Iris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198578B1 (en) Reflective active variable lens and method of facbricating the same
KR20160110111A (en) Active reflective len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326252B1 (en) Three-dimensional focal variable fresnel gel lens with flat electrodes
KR20150034845A (en) Adjustable lens for the camera
KR102326249B1 (en) Three-dimensional focal variable gel lense with flat electrodes
KR102113511B1 (en) Reflective mirror with variable focal length
TWI437272B (en) Deformable lens
WO2022170962A1 (en) Lens assembly, optical lens, camera module and continuous zoom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