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608A -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608A
KR20180112608A KR1020170043897A KR20170043897A KR20180112608A KR 20180112608 A KR20180112608 A KR 20180112608A KR 1020170043897 A KR1020170043897 A KR 1020170043897A KR 20170043897 A KR20170043897 A KR 20170043897A KR 20180112608 A KR20180112608 A KR 20180112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witchboard
cover
plat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050B1 (ko
Inventor
신혁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3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05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배전반의 방출부를 덮고 있는 방출부 커버의 개방 각도를 제어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에 의한 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가 제공된다. 방출부 커버는, 배전반의 상부면에 형성된 방출부를 덮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측단에서 상향 절곡된 3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커버 본체 및 상기 3개의 측벽 중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측벽 각각과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커버 본체가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으로부터 개방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링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Release portion cover of switchgear}
본 발명은 고압의 배전반의 내부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과 압력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부의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버의 개방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산업용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해주는 전기용 설비이다. 수배전반은 지하철 등의 대형 직류 고속 차단기 및 고압, 특고압 기기들을 철제 외함 등에 안전하게 수납 처리한 제품이다.
이러한 수배전반은 내부에 차단기, 단로기 등의 전력기기와 제어회로 및 모선이 함께 설치되므로 전력 계통에서 아크(Arc) 또는 섬락(Flash-Over) 등과 같은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 내부에서 고온/고압의 가스 또는 증기가 발생된다. 이러한 고온/고압의 가스 또는 증기는 배전반 내부를 파괴하거나 그 내부의 기기 및 회로를 파손시키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에, 종래의 수배전반에서는 아크 등의 발생에 따른 고온 및 고압의 가스 또는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출부가 구성되며, 방출부는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배전반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출부는 평시, 즉 수배전반 내부에서 아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커버에 의해 덮여 외부로부터 차폐된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에 구비된 방출부 커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방출부 커버의 개방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10)의 상부면(11)에 방출부(15)가 구성된다. 방출부(15)는 배전반(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크에 의한 고온 및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가 배출되는 곳으로, 평상 시에는 방출부 커버(20)에 의해 덮혀 외부로부터 차폐된다.
방출부 커버(20)는 방출부(15)를 덮도록 배전반(10) 상부면(11)에 결합된다. 방출부 커버(20)는 상면 및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태를 가진다. 방출부 커버(20)는 다수개의 결합부(25)에 의해 배전반(10) 상부면(11)에 힌지 결합된다.
다시 말해, 배전반(10)의 상부면(11)에는 고정부(24) 및 힌지부(23)로 구성된 결합부(25)가 다수 배치된다. 힌지부(23)는 고정부(24)에 의해 고정되며 힌지 회전한다. 그리고, 방출부 커버(20)는 일측벽(21)이 결합부(25)의 힌지부(23)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방출부 커버(20)의 일측벽(21)은 힌지부(23)와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방출부 커버(20)는 평상 시, 즉 배전반(10) 내부에서 아크 등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배전반(10)의 방출부(15)를 덮고 있다. 이때, 배전반(10) 내부에서 아크가 발생되면, 이로 인한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가 방출부(15)를 통해 방출부 커버(20)를 밀어 올리게 되며, 그 힘에 의해 힌지부(23)가 180도 회전되면서 방출부 커버(20)가 개방된다. 따라서,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는 방출부(15)를 통해 배전반(10)의 상부로 방출된다.
그러나, 상술된 방출부 커버(20)는 그 개방 각도가 조절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전반(10)에서는 방출부 커버(20)가 과도하게 개방되면서 내부의 고압 증기 또는 가스가 배전반(10)의 상부뿐만 아니라 측부로 과도하게 방출된다. 이로 인해, 배전반(10) 근처의 작업자들이 사고에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배전반의 방출부를 덮고 있는 방출부 커버의 개방 각도를 제어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에 의한 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는, 배전반의 상부면에 형성된 방출부를 덮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측단에서 상향 절곡된 3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커버 본체 및 상기 3개의 측벽 중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측벽 각각과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으로부터 개방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링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부는, 일측이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에 결합된 제1링크 및 일측이 상기 제1링크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측벽에 결합되는 제2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링크는 제1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1링크과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회전되고, 상기 커버 본체의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으로부터 최대 90도의 각도로 개방된다.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 중 하나가 회전되고,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 중 하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개방된다.
상기 커버 본체의 상기 3개의 측벽은, 하나 이상의 결합부에 의해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에 결합된 제1측벽, 일측이 상기 제1측벽의 일측에 연결되며, 타측에 상기 링크부가 연결된 제2측벽 및 상기 제2측벽에 대향되고, 일측이 상기 제1측벽의 타측에 연결되며, 타측에 상기 링크부가 연결된 제3측벽을 포함한다.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는, 상기 플레이트의 배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밀폐보조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밀폐보조장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 사이에 자력을 형성하거나 제거하는 전자석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아크가 발생되면, 상기 밀폐보조장치에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아크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밀폐보조장치에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또한, 방출부 커버는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배전반의 상부면에 밀착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는 개방보조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방보조장치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측벽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된 레일 및 상기 레일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추를 포함한다.
또한, 개방보조장치는 상기 레일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추는 상기 홈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에 의해 상기 홈을 따라 상기 레일 상에서 이동된다. 개방보조장치의 레일의 상면은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는 측벽에 결합되는 링크부를 구성하고, 링크부의 움직임에 따라 커버의 개방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배전반 내부의 고온 및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가 배전반의 측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출부 커버는 밀폐보조장치를 더 포함하고, 밀폐보조장치는 방출부 커버를 배전반의 상부면에 밀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배전반과 방출부 커버 간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어 사고의 위험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방출부 커버는 개방보조장치를 더 포함하고, 개방보조장치는 방출부 커버를 배전반의 상부면에 밀착시키거나 또는 개방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아크가 발생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배전반과 방출부 커버 간의 절연을 유지하고, 아크가 발생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 및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가 배전반의 측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에 구비된 방출부 커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방출부 커버의 개방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출부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링크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링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출부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출부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도 7을 Ⅶa~Ⅶb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7을 Ⅶc~Ⅶd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7에 도시된 방출부 커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출부 커버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출부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링크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방출부 커버(110)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온 및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가 배출되는 방출부(105)가 구성될 수 있다. 방출부 커버(110)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서 방출부(105)에 대응되어 이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출부 커버(110)는 방출부(105)를 덮는 커버 본체와 이의 개방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링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는 금속 재질의 사각 박스 형태로 구성되되, 상면과 하나의 측벽이 제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커버 본체는 방출부(105)에 대응되는 플레이트(111)와 상기 플레이트(111)의 측단에서 상향 절곡된 측벽들(112, 113, 114)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11)는 방출부(105)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방출부(105)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측벽들(112, 113, 114)은 제1측벽(112), 제2측벽(113) 및 제3측벽(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벽(112) 내지 제3측벽(114)은 서로 연결되는 그 측부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측벽(112)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구비되는 다수의 제1결합부(15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결합부(150)는 고정부(153)와 힌지부(151)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153)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고정될 수 있다. 힌지부(151)는 고정부(153)에 결합되며, 소정 방향으로 180도 회전될 수 있다. 제1측벽(112)은 제1결합부(150)의 힌지부(15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측벽(112)은 체결볼트에 의해 힌지부(151)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측벽(113) 및 제3측벽(114)은 각각 제1측벽(112)의 측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제2측벽(113) 및 제3측벽(114)은 각각이 후술될 링크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200)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과 제2측벽(113) 사이 및 상부면(101)과 제3측벽(114)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링크부(200)는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200)의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과 측벽, 예컨대 제2측벽(113) 또는 제3측벽(114)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 본체의 제2측벽(113)과 배전반(100)의 상부면(101) 사이에 배치되는 링크부(200)를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커버 본체의 제3측벽(114)과 배전반(100)의 상부면(101) 사이에도 동일한 구조의 링크부(200)가 구비된다.
링크부(200)의 제1링크(210)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과 제2링크(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링크(210)의 일측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구비된 제2결합부(107)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링크(210)의 타측은 제2링크(22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결합부(107)는 L자 형태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일측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1링크(2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링크(210)의 일측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링크부(200)의 제2링크(220)는 제1링크(210)와 제2측벽(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링크(220)의 일측은 제1링크(21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링크(220)의 타측은 제2측벽(113)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링크(210)와 제2결합부(107),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 및 제2링크(220)와 제2측벽(113)은 체결볼트(108)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200)의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는 배전반(100)의 내부가 고압의 상태일 때, 예컨대 배전반(100)의 내부에서 아크가 발생된 경우에 소정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제2측벽(113), 즉 커버 본체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이격되어 방출부(105)가 개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200)의 제1링크(210)는 배전반(100) 내부에서 아크 발생 시, 제1방향, 예컨대 x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링크부(200)의 제2링크(220)는 아크 발생 시 제1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제2방향, 예컨대 y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링크(220)에 연결된 제2측벽(113)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이격되며, 따라서 커버 본체가 개방되어 방출부(105)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는 모두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출부 커버(110), 즉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최대 90도의 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는 하나의 링크만이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개방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111)는 앞서 설명된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가 모두 움직일 때의 개방 각도, 즉 최대 90도 보다 작은 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출부 커버(110)는 커버 본체의 제2측벽(113)에 연결된 링크부(200)의 움직임에 따라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서의 개방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링크부(200)의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의 움직임은 배전반(100)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에 의한 압력의 세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링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먼저, 평시 상태, 즉 배전반(100)의 내부에서 아크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방출부 커버(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을 덮고 있다. 이때, 링크부(200)의 제1링크(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의 제2측벽(113)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링크부(200)의 제2링크(220)는 제1링크(210)와 소정의 각도로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방출부 커버(110)는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가 배전반(100)의 방출부(105)에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링크부(200)의 제2링크(220)는 제1링크(210)와 나란하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배전반(100)의 내부에서 아크가 발생되면, 이로 인해 고온 및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가 발생될 수 있다.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는 배전반(100) 상부면(101)의 방출부(105)를 통해 방출부 커버(110)의 배면, 즉 플레이트(111)를 밀어 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111)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이격되며, 이와 함께 링크부(200)의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가 소정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커버 본체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배전반(100)의 방출부(105)를 통해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가 방출되면, 링크부(200)의 제1링크(210)는 제1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링크(210)가 회전됨에 따라 커버 본체의 제2측벽(113)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본체, 즉 플레이트(111)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서 소정 각도, 예컨대 90도 보다 작은 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링크(210)는 예각의 범위 내에서 제1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어, 도 5b를 참조하면, 링크부(200)의 제1링크(210)가 제1방향으로 회전된 후, 제2링크(220)는 제2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링크(220)가 회전됨에 따라 커버 본체의 제2측벽(113)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대략 90도의 각도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서 대략 90도의 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링크(220)는 최대 90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제1링크(210)와 일직선이 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100) 내부의 아크 발생 유무에 따라 방출부 커버(110)의 링크부(200)가 소정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따라서 방출부 커버(110)의 커버 본체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최대 90도의 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전반(100) 내부의 고온 및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구성된 방출부(105)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방출부 커버(110)는 커버 본체의 측벽, 예컨대 제2측벽(113) 및 제3측벽(114) 각각에 결합된 링크부(200)에 의해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의 개방 각도가 최대 90도가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100)에서 고온 및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가 방출될 때 근처 작업자에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링크부(200)의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는 배전반(100) 내부의 압력 세기에 따라 그 움직임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배전반(100)에서 발생된 아크의 크기가 작으면 이에 따라 발생되는 증기 또는 가스의 압력 역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게 된다. 이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200)의 제1링크(210)는 제1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링크(220)는 최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방출부 커버(110)의 커버 본체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배전반(100)에서 발생된 아크의 크기가 크면, 이에 따라 발생되는 증기 또는 가스의 압력 역시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게 된다. 이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200)의 제1링크(210)는 제1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링크(220)는 제2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방출부 커버(110)의 커버 본체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대략 90도의 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출부 커버(110)는 커버 본체의 적어도 2개의 측벽과 배전반(100)의 상부면(101)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링크부(20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전반(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크의 세기에 따라 링크부(200)의 움직임이 제어되어 방출부 커버(110)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개방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방출부 커버(110)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서 최대 90도의 각도로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아크 발생에 따라 배전반(100)으로부터 고온 및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가 방출될 때, 배전반(100)의 측면에 상주하는 작업자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출부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방출부 커버(120)는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 사이에 하나 이상의 밀폐보조장치(230a, 230b)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앞서 도 3에서 설명된 방출부 커버(1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나타내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방출부 커버(120)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서 방출부(105)에 대응되어 이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출부 커버(120)는 커버 본체, 링크부(200) 및 하나 이상의 밀폐보조장치(230a, 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는 플레이트(111)와 이의 3개의 측단에서 각각 상향 절곡된 제1 내지 제3측벽(112~114)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11)는 방출부(105)에 대응되어 배치되며, 방출부(105)보다 큰 면적으로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측벽(112~114)은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측벽(112)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구비된 다수의 제1결합부(150)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측벽(113) 및 제3측벽(114)은 서로 대향되며, 각각에 링크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200)는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210)는 일측이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구비된 제2결합부(107)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제2링크(22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링크(220)는 일측이 제1링크(2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커버 본체의 측벽, 즉 제2측벽(113)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200)의 제1링크(210)는 제1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링크(220)는 제2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2링크(220)는 제1링크(210)와 일직선의 형태가 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방출부 커버(120)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최대 90도의 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밀폐보조장치(230a, 230b)는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밀폐보조장치(230a, 230b)는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가 배전반(100)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플레이트(111)에 의한 방출부(105)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다.
밀폐보조장치(230a, 230b)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해 자력이 제어되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전반(100)에는 제어부(250)가 구비되고, 제어부(250)는 제어신호(CTr), 예컨대 소정의 전류를 밀폐보조장치(230a, 230b)로 제공하여 자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50)는 배전반(100) 내부에서 아크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평시 상태, 즉 아크가 발생되지 않으면, 제어부(250)는 소정의 전류를 제어신호(CTr)로 밀폐보조장치(230a, 230b)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폐보조장치(230a, 230b)에서는 자력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자력으로 고정되어 밀착됨으로써, 방출부 커버(120)에 의해 방출부(105)가 밀폐되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반면, 배전반(100)의 내부에서 아크가 발생되면, 제어부(250)는 밀폐보조장치(230a, 230b)로 제공되던 제어신호(CTr)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폐보조장치(230a, 230b)에서는 기 형성되었던 자력이 제거되며, 이로 인해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고정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된 링크부(200)의 동작에 따라 방출부 커버(120)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개방됨으로써, 방출부(105)를 통해 배전반(100) 내부의 고온 및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출부 커버(120)는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 배면에 전자석 등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밀폐보조장치(230a, 230b)를 구비함으로써, 평시, 즉 배전반(100)에서 아크가 발생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방출부 커버(120)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100)과 방출부 커버(120) 간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어 사고의 위험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방출부 커버(120)의 플레이트(111) 배면에 하나 이상의 밀폐보조장치(230a, 230b)가 배치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밀폐보조장치(230a, 230b)는 플레이트(111)의 배면에 대응되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그 개수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출부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7을 Ⅶa~Ⅶb의 선 및 Ⅶc~Ⅶd의 선으로 각각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방출부 커버(130)는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 상면에 개방보조장치(300)가 추가로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 앞서 도 3에서 설명된 방출부 커버(110)와 동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나타내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방출부 커버(130)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서 방출부(105)에 대응되어 이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출부 커버(130)는 커버 본체, 링크부(200) 및 개방보조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는 플레이트(111)와 이의 3개의 측단에서 각각 상향 절곡된 제1 내지 제3측벽(112~114)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11)는 방출부(105)에 대응되어 배치되며, 방출부(105)보다 큰 면적으로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측벽(112~114)은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측벽(112)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구비된 다수의 제1결합부(150)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측벽(113) 및 제3측벽(114)은 서로 대향되며, 각각에 링크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200)는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210)는 일측이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구비된 제2결합부(107)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제2링크(22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링크(220)는 일측이 제1링크(2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커버 본체의 측벽, 즉 제2측벽(113)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200)의 제1링크(210)는 제1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링크(220)는 제2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2링크(220)는 제1링크(210)와 일직선의 형태가 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방출부 커버(130)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최대 90도의 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개방보조장치(300)는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개방보조장치(300)는 배전반(100) 내부의 아크 발생 여부에 따라 방출부 커버(130)의 커버 본체, 예컨대 플레이트(111)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또는 커버 본체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이격되어 개방되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개방보조장치(300)는 레일(310) 및 추(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방보조장치(300)의 레일(310)은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310)은 커버 본체의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측벽, 예컨대 제2측벽(113) 및 제3측벽(114) 사이에서 제2측벽(113) 또는 제3측벽(114)과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레일(310)은 플레이트(111)의 일측에서부터 타측까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일(310)의 일측은 커버 본체의 제1측벽(112)에 인접되고, 타측은 플레이트(111)의 끝단, 즉 측벽이 제거된 플레이트(111)의 끝단에 인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개방보조장치(300)의 추(320)는 레일(31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추(320)는 커버 본체의 개방 정도에 따라 레일(310) 상에서 소정 방향, 예컨대 레일(31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추(320)의 움직임에 의해 본 실시예의 방출부 커버(130)는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가 배전반(100)의 상부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커버 본체가 배전반(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개방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레일(31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홈(315)이 구성될 수 있다. 홈(315)은 레일(31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320)의 배면에는 레일(310)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홈(315)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325)가 구성될 수 있다. 롤러(325)는 레일(310)의 홈(315)을 따라 레일(31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추(320)는 레일(310)의 상부에서 레일(3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레일(310)은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레일(310)의 상면은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본체의 제1측벽(112)에 인접되는 레일(310)의 일측 상면 높이는 플레이트(111)의 끝단에 인접되는 레일(310)의 타측 상면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레일(310)의 상면은 일측에서 타측까지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레일(310)의 상면이 경사진 형태를 가짐으로써, 그 상면에 배치된 추(320)는 별도의 이동 수단이 추가되지 않더라도 최초 상태, 예컨대 레일(310)의 타측에 배치되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배전반(100)의 내부에서 아크가 발생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추(320)는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의 끝단에 대응되는 레일(310)의 타측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100)의 정상 상태에서 방출부 커버(130)의 커버 본체는 추(320)의 자체 무게로 인해 플레이트(111)가 배전반(10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플레이트(111)에 의한 방출부(105)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7에 도시된 방출부 커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상태, 즉 배전반(100)의 내부에서 아크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방출부 커버(130)의 커버 본체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을 덮고 있다. 따라서, 배전반(100)의 방출부(105)는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또한, 개방보조장치(300)의 추(320)는 레일(310)의 타측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11)의 끝단에는 추(320)의 무게만큼의 압력이 가중되어 플레이트(111)에 의한 방출부(105)의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배전반(100) 내부에서 아크가 발생되면, 방출부 커버(130)의 커버 본체는 링크부(200)의 움직임에 따라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이격되어 소정 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100)에서 발생된 아크에 의한 증기 또는 가스가 방출부(10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방출부 커버(130)의 링크부(200)는 배전반(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크의 세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예컨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100)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세기의 아크가 발생되면, 방출부 커버(130)의 링크부(200)는 제1링크(210)만이 회전 동작되어 커버 본체가 90도 보다 작은 소정 각도로 배전반(100)의 상부면으로부터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100)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예컨대 도 9b와 대비하여 큰 세기의 아크가 발생되면, 방출부 커버(130)의 링크부(200)는 제1링크(210) 및 제2링크(220)가 모두 회전 동작되어 커버 본체가 대략 90도의 각도로 배전반(100)의 상부면으로부터 개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100)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세기의 아크가 발생되면, 그에 의해 발생되는 증기 또는 가스의 압력 역시 작은 세기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방출부 커버(130)의 링크부(200)에서는 제1링크(210)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링크(220)는 최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방출부 커버(130)의 커버 본체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소정 각도, 예컨대 90도 보다 작은 각도로 이격되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배전반(100)의 방출부(105)를 통해 아크에 의한 증기 또는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 상부에 배치된 개방보조장치(300)에서, 추(320)는 레일(310)을 따라 이동되어 레일(310)의 중간 부분, 즉 레일(31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는 그 개방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방출부 커버(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배전반(100)의 방출부(105)를 통해 아크에 의한 증기 또는 가스의 배출이 완료되면, 방출부 커버(130)의 커버 본체는 제1링크(2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도 9a에 도시된 상태로 원복될 수 있다. 이때, 개방보조장치(300)의 추(320)는 레일(310)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이동되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1)의 끝단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11)의 끝단에는 추(320)의 무게만큼의 압력이 가중되어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100)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큰 세기의 아크가 발생되면, 그에 의해 발생되는 증기 또는 가스의 압력 역시 큰 세기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방출부 커버(130)의 링크부(200)의 제1링크(210)는 제1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링크(220)는 제2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방출부 커버(130)의 커버 본체는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으로부터 대략 90도의 각도로 이격되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배전반(100)의 방출부(105)를 통해 아크에 의한 증기 또는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 상부에 배치된 개방보조장치(300)에서, 추(320)는 레일(310)을 따라 이동되어 레일(310)의 일측 끝단, 예컨대 제1측벽(112)에 인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는 그 개방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방출부 커버(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배전반(100)의 방출부(105)를 통해 아크에 의한 증기 또는 가스의 배출이 완료되면, 방출부 커버(130)의 커버 본체는 제1링크(2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도 9a에 도시된 상태로 원복될 수 있다. 이때, 개방보조장치(300)의 추(320)는 레일(310)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이동되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1)의 끝단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11)의 끝단에는 추(320)의 무게만큼의 압력이 가중되어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출부 커버(130)는 커버 본체의 플레이트(111) 상면에 레일(310)과 추(320)로 구성되는 개방보조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보조장치(300)는 방출부 커버(130)의 개방 각도에 따라 추(320)가 레일(310) 상에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방출부 커버(130)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방출부 커버(130)가 배전반(100)의 상부면(101)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방출부 커버(130)는 배전반(100)에서 아크가 발생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개방보조장치(300)에 의해 배전반(100)과 방출부 커버(130) 간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어 사고의 위험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방출부 커버(130)는 개방보조장치(300)에 의해 개방 각도가 조절되어 유지됨으로써, 배전반(100)으로부터 아크에 의한 고온 및 고압의 증기 또는 가스가 방출될 때, 배전반(100)의 측면에 상주하는 작업자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배전반 105: 방출부
110, 120, 130: 방출부 커버 111: 플레이트
112, 113, 114: 측벽 200: 링크부
210: 제1링크 220: 제2링크
230a, 230b: 밀폐보조장치 300: 개방보조장치
310: 레일 320: 추

Claims (12)

  1. 배전반의 상부면에 형성된 방출부를 덮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측단에서 상향 절곡된 3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커버 본체; 및
    상기 3개의 측벽 중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측벽 각각과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으로부터 개방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측이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에 결합된 제1링크; 및
    일측이 상기 제1링크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측벽에 결합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제1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1링크과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회전되고,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으로부터 최대 90도의 각도로 개방되는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 중 하나가 회전되고,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 중 하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개방되는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의 상기 3개의 측벽은,
    하나 이상의 결합부에 의해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에 결합된 제1측벽;
    일측이 상기 제1측벽의 일측에 연결되며, 타측에 상기 링크부가 연결된 제2측벽; 및
    상기 제2측벽에 대향되고, 일측이 상기 제1측벽의 타측에 연결되며, 타측에 상기 링크부가 연결된 제3측벽을 포함하는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배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밀폐보조장치를 더 포함하는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보조장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 사이에 자력을 형성하거나 제거하는 전자석으로 구성되는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아크가 발생되면, 상기 밀폐보조장치에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아크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밀폐보조장치에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배전반의 상부면에 밀착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는 개방보조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보조장치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측벽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된 레일; 및
    상기 레일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추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추는 상기 홈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에 의해 상기 홈을 따라 상기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면은 경사진 형태를 갖는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KR1020170043897A 2017-04-04 2017-04-04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KR101939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897A KR101939050B1 (ko) 2017-04-04 2017-04-04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897A KR101939050B1 (ko) 2017-04-04 2017-04-04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608A true KR20180112608A (ko) 2018-10-12
KR101939050B1 KR101939050B1 (ko) 2019-01-16

Family

ID=6387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897A KR101939050B1 (ko) 2017-04-04 2017-04-04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0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066Y1 (ko) * 1996-12-10 1999-09-15 오세귀 안전문
JP2012178901A (ja) * 2011-02-25 2012-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配電盤の据付装置
KR101467528B1 (ko) * 2014-04-21 2014-12-01 세명엔지니어링(주) 다각도 개방형 아크방출 장치
KR20160138453A (ko) * 2014-04-18 2016-12-05 가부시키가이샤 닛쇼 인더스트리얼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066Y1 (ko) * 1996-12-10 1999-09-15 오세귀 안전문
JP2012178901A (ja) * 2011-02-25 2012-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配電盤の据付装置
KR20160138453A (ko) * 2014-04-18 2016-12-05 가부시키가이샤 닛쇼 인더스트리얼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
KR101467528B1 (ko) * 2014-04-21 2014-12-01 세명엔지니어링(주) 다각도 개방형 아크방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050B1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1604B2 (en) Arc-resistant switchgear cabinet
RU2639310C2 (ru) Пассив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дугой с газоотводящей камерой
EP3118954B1 (en) Structure of switchgear with arc eliminator
US20200130186A1 (en) Switchgear or controlgear with unmanned operation and maintena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0209714A (ja) 多重極遮断器組立体及びその操作方法
KR101869725B1 (ko) 아크 제거기 적용 수배전단 구조
KR102095408B1 (ko) 아크 제거장치
US7986061B2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US20160118200A1 (en) Adjustable door assembly
US8648273B2 (en) Switching installation with arc protection and arc protection method
CA2857716C (en) Mechanical means to redirect internal arc location
KR101939050B1 (ko)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RU2718797C1 (ru)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ий выключатель,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отрасли
EP2340591B1 (en) Switching installation with arc protection and arc protection method
US10665410B2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active arc control features
KR200494261Y1 (ko)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US9825438B2 (en) Switchgear
US20220368115A1 (en) Arc ventilation system of distributing board
KR102160052B1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KR102362783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CN114026756B (zh) 具有开关设备和滑入式单元的保护系统以及将滑入式单元插入开关设备的方法
KR102648597B1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TWI833157B (zh) 開關設備系統、接觸臂總成及形成接觸臂總成之方法
US9741512B2 (en) Switchgear system,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ssembly and maintaining method therefor
Sullivan Failures Of Equipment Operating Under Normal Operating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