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509A - 운반 장치 - Google Patents
운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2509A KR20180112509A KR1020170043677A KR20170043677A KR20180112509A KR 20180112509 A KR20180112509 A KR 20180112509A KR 1020170043677 A KR1020170043677 A KR 1020170043677A KR 20170043677 A KR20170043677 A KR 20170043677A KR 20180112509 A KR20180112509 A KR 201801125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moving
- fixed
- unit
- fixed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2—Load-carriers, roller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8—Rails or switches
-
- B65G2812/182—
-
- B65G2812/18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운반 장치를 제공한다. 운반 장치는 자재를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고정 레일에 대한 걸림 상태에서 상기 고정 레일의 장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걸림 이동부와, 상기 걸림 이동부를 지지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이동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받침부와 상기 이동 프레임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재 등과 같은 물건을 운반하기 위하여 대차가 이용될 수 있다. 대차는 물건을 지지하는 지지 패널 및 지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대차가 이용됨으로써 다수의 중량물도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운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운반 장치의 일 면(aspect)은 자재를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고정 레일에 대한 걸림 상태에서 상기 고정 레일의 장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걸림 이동부와, 상기 걸림 이동부를 지지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이동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받침부와 상기 이동 프레임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 이동부는 상기 고정 레일에 대한 걸림 상태 또는 걸림 해제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 레일에 대한 고정 상태에서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 레일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 레일을 상기 고정 레일에 대한 고정 상태 또는 고정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 레일에서 양쪽 측면으로 연장된 연장 레일, 및 상기 연장 레일을 상기 고정 레일에 대한 고정 상태 또는 고정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조절부가 동작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이동부가 이동 로드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이동부가 고정 레일에 걸린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가 자재를 운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 이동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 이동부가 고정 레일에 걸린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가 고정 레일에 걸린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가 자재를 운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가 자재를 운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조절부가 동작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이동부가 이동 로드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이동부가 고정 레일에 걸린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가 자재를 운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 이동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 이동부가 고정 레일에 걸린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가 고정 레일에 걸린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가 자재를 운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가 자재를 운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조절부가 동작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이동부가 이동 로드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이동부가 고정 레일에 걸린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운반 장치(100)는 받침부(110), 걸림 이동부(120), 이동 프레임(130) 및 거리 조절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부(110)는 자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자재는 받침부(110)에 지지되어 운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받침부(110)는 자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플레이트의 형태로 받침부(110)가 제공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받침부(11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로드가 교차되어 받침부(1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받침부(110)의 하단에는 바퀴(111)가 구비될 수 있다. 바퀴(111)는 받침부(110)와 지면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지면상에서 운반 장치(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걸림 이동부(120)는 받침부(1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운반 장치(100)와 고정 레일(미도시)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트롤리(trolley)가 걸림 이동부(1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고정 레일은 운반 장치(10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 형강이 고정 레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정 레일의 형상이 H 형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T 형강 등 걸림 이동부(120)를 지지하면서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이하, H 형강의 형태를 가진 고정 레일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걸림 이동부(120)는 고정 레일에 대하여 걸림 상태 또는 걸림 해제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다. 걸림 이동부(120)는 고정 레일에 대한 걸림 상태에서 고정 레일의 장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이에, 운반 장치(100)는 고정 레일의 장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하는 걸림 이동부(120)와 고정 레일간의 마찰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걸림 이동부(120)에는 마찰 완화 수단(12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휠의 형태를 갖는 마찰 완화 수단(121)을 도시하고 있으나, 베어링 또는 윤활유 등의 형태로 마찰 완화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휠의 형태로 마찰 완화 수단(121)이 제공된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프레임(130)은 걸림 이동부(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이동 프레임(130)은 이동 로드(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로드(131)는 이동 프레임(130)을 관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이동부(120)의 내부에는 이동 로드(131)를 관통시키는 관통홀(120H)이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120H)의 직경은 이동 로드(131)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걸림 이동부(120)는 이동 로드(131)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 로드(131)의 장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걸림 이동부(120)는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걸림 이동부(120)의 사이에 고정 레일(FR)이 구비된 상태에서 2개의 걸림 이동부(120)를 근접하게 이동시킨 경우 걸림 이동부(120)가 고정 레일(FR)에 걸릴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걸림 이동부(120)에는 걸림홈(120G)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레일(FR)의 플랜지를 걸림홈(120G)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2개의 걸림 이동부(120)를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BT1)으로 체결시키는 경우 걸림 이동부(120)가 견고하게 고정 레일(FR)에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체결 수단(BT1)을 이용한 체결을 위하여 걸림 이동부(120)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BH1)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걸림 이동부(120)의 걸림 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걸림 이동부(120)가 체결 수단(BT1)에 의하여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 레일(FR)에 걸려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반하여, 2개의 걸림 이동부(120)가 이격되어 고정 레일(FR)의 플랜지가 걸림홈(120G)에서 방출된 상태는 걸림 이동부(120)의 걸림 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다시 도 1을 설명하면, 거리 조절부(140)는 받침부(110)와 이동 프레임(13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거리 조절부(140)는 받침부(110)와 이동 프레임(130)을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프레임(130)은 받침부(110)의 상측에 구비되는데, 받침부(110)에 지지된 자재의 크기에 따라 자재의 상부가 이동 프레임(130)에 간섭될 수 있다. 이에, 받침부(110)와 이동 프레임(130)의 사이에 자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받침부(110)와 이동 프레임(130)을 연결하는 거리 조절부(140)의 길이가 충분하게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기둥 형상의 거리 조절부(140)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거리 조절부(14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받침부(110)와 이동 프레임(130)을 이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거리 조절부(140)의 형상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거리 조절부(140)는 받침부(110)와 이동 프레임(130)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거리 조절부(140)는 실린더(141) 및 피스톤(1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142)은 실린더(141)에 삽입되거나 실린더(141)에서 방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에 의하여 피스톤(142)이 실린더(141)에서 방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거리 조절부(140)의 구성이 실린더(141) 및 피스톤(142)을 포함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거리 조절부(140)는 랙기어(미도시), 랙기어 지지 수단(미도시) 및 구동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랙기어 지지 수단 및 구동 모터가 받침부(110)에 구비되고, 랙기어가 이동 프레임(1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랙기어 지지 수단이 랙기어를 지지한 상태에서 구동 모터의 피니언이 랙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받침부(110)와 이동 프레임(130)간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하, 실린더(141) 및 피스톤(142)을 포함하여 구성된 거리 조절부(14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피스톤(142)이 실린더(141)에 삽입됨에 따라 받침부(110)와 이동 프레임(130)간의 거리가 감소되고, 피스톤(142)이 실린더(141)에서 방출됨에 따라 받침부(110)와 이동 프레임(130)간의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도 4는 피스톤(142)이 실린더(141)에서 방출되어 받침부(110)와 이동 프레임(130)간의 거리가 증가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림 이동부(120)를 고정 레일(FR)에 걸기 위하여 받침부(110)와 이동 프레임(130)간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100)에 의하여 자재가 운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가 자재를 운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운반 장치(100)는 자재(M)를 운반할 수 있다. 자재(M)는 받침부(110)에 의하여 지지되어 운반될 수 있다. 받침부(110)의 하단에는 지면(F)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바퀴(111)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운반 장치(100)를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운반 장치(100)의 이동 경로의 지면(F)상에 장애물(OB)이 존재할 수 있다. 장애물(OB)은 예를 들어, 문턱일 수 있다. 바퀴(111)의 직경이 충분히 크지 않은 경우 장애물(OB)을 넘어가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장애물(OB)의 극복을 위하여 운반 장치(100)의 이동 경로상에는 고정 레일(FR)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정 레일(FR)은 운반 장치(100)의 상측에 이동 경로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레일(FR)은 천장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거리 조절부(140)는 받침부(110)와 이동 프레임(130)간의 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
실린더(141)에서 피스톤(142)에 방출됨에 따라 거리 조절부(140)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거리 조절부(140)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이동 프레임(130)의 높이가 증가하게 되고, 걸림 이동부(120)가 고정 레일(FR)의 높이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된다.
걸림 이동부(120)가 고정 레일(FR)에 근접한 경우 걸림 이동부(120)를 걸림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걸림 이동부(120)가 걸림 상태인 경우 거리 조절부(140)는 받침부(110)와 이동 프레임(130)간의 거리를 축소할 수 있다.
실린더(141)로 피스톤(142)이 삽입됨에 따라 거리 조절부(140)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거리 조절부(140)의 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받침부(110)가 지면(F)에서 이탈하여 리프팅될 수 있다. 받침부(110)의 리프팅은 바퀴(111)의 하단의 높이가 장애물(OB)의 높이보다 높게 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받침부(110)가 리프팅된 상태에서 운반 장치(100)는 고정 레일(FR)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걸림 이동부(120)가 고정 레일(FR)의 플랜지에 걸려있고, 걸림 이동부(120)의 마찰 완화 수단(121)이 걸림 이동부(120)와 고정 레일(FR)간의 마찰을 완화시키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운반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운반 장치(100)의 이동은 받침부(110)에 구비된 모든 바퀴(111)가 장애물(OB)을 넘어설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모든 바퀴(111)가 장애물(OB)을 넘어서면 거리 조절부(140)는 받침부(110)와 이동 프레임(130)간의 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
실린더(141)에서 피스톤(142)에 방출됨에 따라 거리 조절부(140)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거리 조절부(140)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받침부(110)가 지면(F)으로 하강하게 된다. 받침부(110)의 하강은 바퀴(111)가 지면(F)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받침부(110)가 지면(F)에 도달하면 걸림 이동부(120)를 고정 레일(FR)에서 제거하고, 거리 조절부(140)의 길이를 감소시켜 이동 프레임(13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지면(F)에 밀착한 운반 장치(100)를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 이동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 이동부가 고정 레일에 걸린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이동 로드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가 고정 레일에 걸린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운반 장치(200)는 받침부(210), 걸림 이동부(220), 이동 프레임(230), 거리 조절부(240), 이동 레일(250) 및 고정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부(210)는 자재(M)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면과의 마찰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받침부(210)의 하단에는 바퀴(211)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 이동부(220)는 받침부(2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운반 장치(200)와 고정 레일(FR)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프레임(230)은 걸림 이동부(22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거리 조절부(240)는 받침부(210)와 이동 프레임(230)을 연결하고, 받침부(210)와 이동 프레임(230)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거리 조절부(240)는 실린더(241) 및 피스톤(2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210), 걸림 이동부(220), 이동 프레임(230) 및 거리 조절부(240)의 형태 및 기능은 전술한 받침부(110), 걸림 이동부(120), 이동 프레임(130) 및 거리 조절부(140)의 형태 및 기능과 유사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걸림 이동부(220)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걸림 이동부(220)는 수평 이동부(220a) 및 수직 이동부(2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 이동부(220a)의 내부에는 이동 프레임(230)의 이동 로드(231)를 관통시키는 관통홀(220H)이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220H)의 직경은 이동 로드(231)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수평 이동부(220a)는 이동 로드(231)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 로드(231)의 장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수평 이동부(220a)의 상부에는 걸림핀(222)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핀(222)은 몸체 및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의 직경은 몸체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이동부(220b)는 수평 이동부(220a)의 걸림핀(222)을 수용하는 걸림홈(223)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홈(223)의 입구의 직경은 걸림핀(222)의 헤드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홈(223)은 걸림핀(222)의 헤드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수직 이동부(220b)는 수평 이동부(220a)에 체결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만큼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걸림 이동부(220)는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걸림 이동부(220)의 사이에 고정 레일(FR)이 구비된 상태에서 2개의 걸림 이동부(220)를 근접하게 이동시킨 경우 걸림 이동부(220)가 고정 레일(FR)에 걸릴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걸림 이동부(220)에는 걸림홈(220G)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레일(FR)의 플랜지를 걸림홈(220G)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2개의 걸림 이동부(220)를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BT2)으로 체결시키는 경우 걸림 이동부(220)가 견고하게 고정 레일(FR)에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체결 수단(BT2)을 이용한 체결을 위하여 수직 이동부(220b)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BH2)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설명하면, 이동 레일(250)은 이동 프레임(23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 레일(FR)과 마찬가지로 이동 레일(250)도 H 형강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30)은 이동 레일(250)의 장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30)에는 이탈 방지부(2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232)는 기역자의 형태를 갖고 이동 프레임(230)의 하단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이탈 방지부(232)가 이동 레일(250)의 플랜지를 걸고 있음에 따라 이동 프레임(230)에서 이동 레일(250)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232)에는 마찰 완화 수단(233)이 구비될 수 있다. 마찰 완화 수단(233)은 이동 프레임(230)과 이동 레일(250)간의 마찰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프레임(230)은 이동 레일(2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데, 마찰 완화 수단(233)으로 인하여 이동 프레임(230)은 마찰이 완화된 상태로 이동 레일(250)의 장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레일(250)은 고정 레일(FR)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 프레임(23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 레일(FR)에 고정되기 위하여, 이동 레일(250)에는 고정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260)는 이동 레일(250)을 고정 레일(FR)에 대한 고정 상태 또는 고정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고정 상태는 이동 레일(250)이 고정 레일(FR)에 고정되어 이탈이 제한된 상태를 나타내고, 고정 해제 상태는 이동 레일(250)이 고정 레일(FR)에서 자유롭게 이탈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부(260)는 고정 몸체(261) 및 걸림부(2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몸체(261)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동 레일(25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 레일(250)의 상부에는 걸림핀(251)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핀(251)은 몸체 및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헤드의 직경은 몸체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몸체(261)는 이동 레일(250)의 걸림핀(251)을 수용하는 걸림홈(261G)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홈(261G)의 입구의 직경은 걸림핀(251)의 헤드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홈(261G)은 걸림핀(251)의 헤드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고정 몸체(261)는 이동 레일(250)에 체결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만큼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 몸체(261)는 걸림부(262)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 로드(261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 로드(261a)는 걸림부(262)를 관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62)의 내부에는 이동 로드(261a)를 관통시키는 관통홀(262H)이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262H)의 직경은 이동 로드(261a)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걸림부(262)는 이동 로드(261a)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 로드(261a)의 장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걸림부(262)는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걸림부(262)의 사이에 고정 레일(FR)이 구비된 상태에서 2개의 걸림부(262)를 근접하게 이동시킨 경우 걸림부(262)가 고정 레일(FR)에 걸릴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걸림부(262)에는 걸림홈(262G)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레일(FR)의 플랜지를 걸림홈(262G)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2개의 걸림부(262)를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BT3)으로 체결시키는 경우 걸림부(262)가 견고하게 고정 레일(FR)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체결 수단(BT3)을 이용한 체결을 위하여 걸림부(262)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BH3)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이동 레일(250)의 고정 상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걸림부(262)가 체결 수단(BT3)에 의하여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 레일(FR)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반하여, 2개의 걸림부(262)가 이격되어 고정 레일(FR)의 플랜지가 걸림홈에서 방출된 상태는 이동 레일(250)의 고정 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도 15 내지 도 21을 통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200)에 의하여 자재(M)가 운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가 자재를 운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운반 장치(200)의 이동 경로상에 장애물(OB)이 존재할 수 있다. 바퀴(211)의 직경이 충분히 크지 않은 경우 장애물(OB)을 넘어가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장애물(OB)의 극복을 위하여 운반 장치(200)의 이동 경로상에는 고정 레일(FR)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레일(FR)은 이동 경로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레일(FR)을 이용한 장애물(OB) 극복을 위하여 운반 장치(200)는 고정 레일(FR)에 지지되어 지면(F)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거리 조절부(240)의 길이 확장, 걸림 이동부(220)의 걸림 상태 전환 및 거리 조절부(240)의 길이 축소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고정 레일(FR)은 2개로 분할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2개의 고정 레일(FR1, FR2)의 인접한 말단이 서로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문틀(DF)에 의하여 고정 레일(FR)이 분할되어 제공된 것일 수 있다. 이하, 걸림 이동부(220)에 연결된 고정 레일을 제 1 고정 레일(FR1)이라 하고, 운반 장치(200)가 이동하고자 하는 장소에 구비된 고정 레일을 제 2 고정 레일(FR2)이라 한다.
걸림 이동부(220)는 제 1 고정 레일(FR1) 및 제 2 고정 레일(FR2)간을 이동할 수 없다. 분할된 고정 레일간을 이동하기 위하여 고정부(260)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운반 장치(200)는 자재(M)를 운반할 수 있다. 자재(M)는 받침부(210)에 의하여 지지되어 운반될 수 있다.
도 15는 거리 조절부(240)의 길이 확장 및 걸림 이동부(220)의 걸림 상태 전환이 완료된 이후에 거리 조절부(240)의 길이가 감소되어 받침부(210)가 지면(F)에서 이탈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받침부(210)가 리프팅된 상태에서 운반 장치(200)는 제 1 고정 레일(FR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걸림 이동부(220)가 제 1 고정 레일(FR1)의 플랜지에 걸려있고, 걸림 이동부(220)의 마찰 완화 수단(221)이 걸림 이동부(220)와 제 1 고정 레일(FR1)간의 마찰을 완화시키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운반 장치(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고정 레일(FR1) 및 제 2 고정 레일(FR2)이 이격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걸림 이동부(220)는 제 1 고정 레일(FR1)에서 제 2 고정 레일(FR2)로 이동할 수 없다.
도 17을 참조하면, 고정부(260)는 제 1 고정 레일(FR1) 및 제 2 고정 레일(FR2)에 고정되고, 걸림 이동부(220)는 제 1 고정 레일(FR1)에서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이동 레일(250)의 양측 말단에 구비된 2개의 고정부(260)가 제 1 고정 레일(FR1) 및 제 2 고정 레일(FR2)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60)를 고정 레일(FR1, FR2)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동 레일(250)에 대한 고정부(26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고정부(260)가 고정 레일(FR1, FR2)에 고정됨에 따라 이동 레일(250)이 고정 레일(FR1, FR2)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이동 레일(250)이 고정 레일(FR1, FR2)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 프레임(230)은 이동 레일(2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30)이 이동함에 따라 이에 연결된 거리 조절부(240) 및 받침부(21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30)의 이동은 걸림 이동부(220)가 제 2 고정 레일(FR2)의 하단에 위치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걸림 이동부(220)가 제 2 고정 레일(FR2)의 하단에 위치하면 고정부(260)는 제 1 고정 레일(FR1) 및 제 2 고정 레일(FR2)에서 고정 해제되고, 걸림 이동부(220)는 제 2 고정 레일(FR2)에 체결될 수 있다. 걸림 이동부(220)를 제 2 고정 레일(FR2)에 체결시키기 위하여 이동 프레임(230)에 대한 걸림 이동부(2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걸림 이동부(220)가 제 2 고정 레일(FR2)에 걸린 상태에서 운반 장치(200)는 제 2 고정 레일(FR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걸림 이동부(220)가 제 2 고정 레일(FR2)의 플랜지에 걸려있고, 걸림 이동부(220)의 마찰 완화 수단(221)이 걸림 이동부(220)와 제 2 고정 레일(FR2)간의 마찰을 완화시키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운반 장치(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운반 장치(200)의 이동은 받침부(210)에 구비된 모든 바퀴(211)가 장애물(OB)을 넘어설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모든 바퀴(211)가 장애물(OB)을 넘어서면 거리 조절부(240)는 받침부(210)와 이동 프레임(230)간의 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
실린더(241)에서 피스톤(242)에 방출됨에 따라 거리 조절부(240)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거리 조절부(240)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받침부(210)가 지면(F)으로 하강하게 된다. 받침부(210)의 하강은 바퀴(211)가 지면(F)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받침부(210)가 지면(F)에 도달하면 걸림 이동부(220)를 제 2 고정 레일(FR2)에서 제거하고, 거리 조절부(240)의 길이를 감소시켜 이동 프레임(23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지면(F)에 밀착한 운반 장치(200)를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운반 장치(300)는 받침부(310), 걸림 지지부(320), 이동 프레임(330), 거리 조절부(340), 이동 레일(350), 연장 레일(370) 및 고정부(360, 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부(310)는 자재(M)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받침부(310)의 하단에는 지면과의 마찰을 완화시키기 위한 바퀴(311)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 지지부(320)는 받침부(3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운반 장치(300)와 고정 레일(FR)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걸림 지지부(320)는 걸림 이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330)은 걸림 지지부(32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거리 조절부(340)는 받침부(310)와 이동 프레임(330)을 연결하고, 받침부(310)와 이동 프레임(330)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거리 조절부(340)는 실린더(341) 및 피스톤(3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레일(350)은 고정 레일(FR)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 프레임(33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 레일(FR)에 고정되기 위하여, 이동 레일(350)에는 고정부(36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360)는 이동 레일(350)을 고정 레일(FR)에 대한 고정 상태 또는 고정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받침부(310), 걸림 이동부, 이동 프레임(330), 거리 조절부(340), 이동 레일(350) 및 고정부(360, 380)의 형태 및 기능은 전술한 받침부(110, 210), 걸림 이동부(120, 220), 이동 프레임(130, 230), 거리 조절부(140, 240), 이동 레일(250) 및 고정부(260)의 형태 및 기능과 유사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걸림 지지부(320)는 걸림 몸체(321) 및 걸림 이동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 몸체(321)는 걸림 이동부(322)를 지지할 수 있다. 걸림 이동부(322)를 지지하기 위하여 걸림 몸체(321)에는 이동 로드(321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걸림 몸체(321)는 이동 프레임(3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 프레임(330)에는 회전핀(331)이 구비되고, 걸림 몸체(321)에는 회전홈(321G)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홈(321G)의 입구의 직경은 회전핀(331)의 헤드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걸림 몸체(321)는 이동 프레임(330)에서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회전핀(331)의 중심축(Ax)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걸림 이동부(322)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걸림 이동부(322)는 수평 이동부(322a) 및 수직 이동부(32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 이동부(322a)의 내부에는 이동 프레임(330)의 이동 로드(321a)를 관통시키는 관통홀(322H)이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322H)의 직경은 이동 로드(321a)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수평 이동부(322a)는 이동 로드(321a)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 로드(321a)의 장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수평 이동부(322a)의 상부에는 걸림핀(323)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핀(323)은 몸체 및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의 직경은 몸체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이동부(322b)는 수평 이동부(322a)의 걸림핀(323)을 수용하는 걸림홈(324)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홈(324)의 입구의 직경은 걸림핀(323)의 헤드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홈(324)은 걸림핀(323)의 헤드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수직 이동부(322b)는 수평 이동부(322a)에 체결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만큼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도 22를 설명하면, 연장 레일(370)은 이동 레일(350)의 양쪽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레일(350)의 장축과 연장 레일(370)의 장축은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이동 레일(350)과 연장 레일(370)의 결합체는 십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동 레일(350)과 마찬가지로 연장 레일(370)의 말단에는 고정부(38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380)는 연장 레일(370)을 고정 레일(FR)에 대하여 고정 상태 또는 고정 해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4 내지 도 30을 통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300)에 의하여 자재(M)가 운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가 자재를 운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자재(M)를 수용하고 있는 운반 장치(300)는 고정 레일(FR)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고정 레일(FR)에 걸린 상태로 이동하기 위하여 걸림 이동부(322)는 고정 레일(FR)에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 레일(FR)은 2개로 분할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2개의 고정 레일(FR3, FR4)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 장치(300)를 지지하고 있는 고정 레일(이하, 제 3 고정 레일이라 한다)(FR3)의 말단이 다른 고정 레일(이하, 제 4 고정 레일이라 한다)(FR4)의 측면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고정 레일(FR3)의 장축과 제 4 고정 레일(FR4)의 장축은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걸림 이동부(322)는 제 3 고정 레일(FR3) 및 제 4 고정 레일(FR4)간을 이동할 수 없다. 분리된 고정 레일(FR3, FR4)간을 이동하기 위하여 이동 레일(350) 및 연장 레일(370)에 구비된 고정부(360, 380)가 이용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운반 장치(300)는 제 3 고정 레일(FR3)을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운반 장치(300)의 이동은 연장 레일(370)의 고정부(380)가 제 4 고정 레일(FR4)의 하단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고정부(360, 380)는 제 3 고정 레일(FR3) 및 제 4 고정 레일(FR4)에 고정되고, 걸림 이동부(322)는 제 3 고정 레일(FR3)에서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이동 레일(350)에 구비된 고정부(360)가 제 3 고정 레일(FR3)에 고정되고, 연장 레일(370)의 양측 말단에 구비된 2개의 고정부(380)가 제 4 고정 레일(FR4)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360, 380)를 고정 레일(FR3, FR4)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동 레일(350) 및 연장 레일(370)에 대한 고정부(360, 38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고정부(360, 380)가 고정 레일(FR3, FR4)에 고정됨에 따라 이동 레일(350) 및 연장 레일(370)의 결합체가 고정 레일(FR3, FR4)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27을 참조하면, 이동 레일(350) 및 연장 레일(370)의 결합체가 고정 레일(FR3, FR4)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 프레임(330)은 이동 레일(3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330)이 이동함에 따라 이에 연결된 거리 조절부(340) 및 받침부(31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330)의 이동은 걸림 지지부(320)가 제 4 고정 레일(FR4)의 하단에 위치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걸림 지지부(320)는 이동 프레임(3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걸림 이동부(322)가 제 3 고정 레일(FR3)에 걸려 있었기 때문에 해당 자세에서는 걸림 이동부(322)가 제 4 고정 레일(FR4)에 체결될 수 없다. 이에, 걸림 이동부(322)와 제 4 고정 레일(FR4)간의 체결을 위하여 걸림 지지부(320)는 이동 프레임(3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걸림 지지부(320)의 회전이 완료되면 고정부(360, 380)는 제 3 고정 레일(FR3) 및 제 4 고정 레일(FR4)에서 고정 해제되고, 걸림 이동부(322)는 제 4 고정 레일(FR4)에 체결될 수 있다.
걸림 이동부(322)와 제 4 고정 레일(FR4)간의 체결을 위하여 이동 프레임(330)에 대하여 걸림 지지부(3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걸림 이동부(322)가 제 4 고정 레일(FR4)에 체결된 상태에서 운반 장치(300)는 제 4 고정 레일(FR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걸림 이동부(322)가 제 4 고정 레일(FR4)의 플랜지에 걸려있고, 걸림 이동부(322)의 마찰 완화 수단이 걸림 이동부(322)와 제 4 고정 레일(FR4)간의 마찰을 완화시키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운반 장치(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300: 운반 장치
110, 210, 310: 받침부
120, 220, 322: 걸림 이동부
130, 230, 330: 이동 프레임
140, 240, 340: 거리 조절부
250, 350: 이동 레일
260, 360, 380: 고정부
320: 걸림 지지부
370: 연장 레일
FR, FR1, FR2, FR3, FR4: 고정 레일
110, 210, 310: 받침부
120, 220, 322: 걸림 이동부
130, 230, 330: 이동 프레임
140, 240, 340: 거리 조절부
250, 350: 이동 레일
260, 360, 380: 고정부
320: 걸림 지지부
370: 연장 레일
FR, FR1, FR2, FR3, FR4: 고정 레일
Claims (5)
- 자재를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고정 레일에 대한 걸림 상태에서 상기 고정 레일의 장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걸림 이동부;
상기 걸림 이동부를 지지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이동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받침부와 상기 이동 프레임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이동부는 상기 고정 레일에 대한 걸림 상태 또는 걸림 해제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운반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일에 대한 고정 상태에서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 레일을 더 포함하는 운반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레일을 상기 고정 레일에 대한 고정 상태 또는 고정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운반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레일에서 양쪽 측면으로 연장된 연장 레일; 및
상기 연장 레일을 상기 고정 레일에 대한 고정 상태 또는 고정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운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3677A KR101954715B1 (ko) | 2017-04-04 | 2017-04-04 | 운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3677A KR101954715B1 (ko) | 2017-04-04 | 2017-04-04 | 운반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2509A true KR20180112509A (ko) | 2018-10-12 |
KR101954715B1 KR101954715B1 (ko) | 2019-03-06 |
Family
ID=6387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3677A KR101954715B1 (ko) | 2017-04-04 | 2017-04-04 | 운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471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22542A (ja) * | 1998-02-26 | 2001-11-13 | デーイーケイ プリンテイング マシーンズ リミテツド | 多重レール基板運搬システム |
KR101446095B1 (ko) * | 2014-08-06 | 2014-10-06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엔진적재카트 |
KR101534043B1 (ko) | 2014-01-24 | 2015-07-06 | (주)일양엔지니어링 | 마찰구동식 트롤리 컨베이어기구 |
KR20160066697A (ko) * | 2014-12-03 | 2016-06-13 | 석균용 | 시설하우스용 농산물 운반기 |
-
2017
- 2017-04-04 KR KR1020170043677A patent/KR1019547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22542A (ja) * | 1998-02-26 | 2001-11-13 | デーイーケイ プリンテイング マシーンズ リミテツド | 多重レール基板運搬システム |
KR101534043B1 (ko) | 2014-01-24 | 2015-07-06 | (주)일양엔지니어링 | 마찰구동식 트롤리 컨베이어기구 |
KR101446095B1 (ko) * | 2014-08-06 | 2014-10-06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엔진적재카트 |
KR20160066697A (ko) * | 2014-12-03 | 2016-06-13 | 석균용 | 시설하우스용 농산물 운반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4715B1 (ko) | 2019-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13394B2 (en) | Low headroom telescoping bridge crane system | |
CA2150197A1 (en) | Rail loading train for transporting and for loading and unloading long welded rails | |
US5738306A (en) | Articulating patient loading system and transport device for aircraft | |
KR20200090199A (ko) | 팰릿 셸핑 장치 | |
DE102007054351A1 (de) | Gegenstandtransportanlage | |
JP2018537603A (ja) | 荷物運搬用プラットフォーム | |
EP3411268B1 (en) | A device for support of loads | |
DE102007054352A1 (de) | Warentransportanlage | |
US11167962B2 (en) | Crane having a counterweight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a counterweight on a crane | |
US10611612B2 (en) | Lifter | |
CA304818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ipe handling | |
KR101954715B1 (ko) | 운반 장치 | |
CA2038685A1 (en) | Height adjustable vehicle parking apparatus | |
US20160280246A1 (en) | Hand Dolly with Electric Scissor Lift | |
EP2442774B1 (de) | Tragenaufnahmevorrichtung | |
CN108216284B (zh) | 货运动车门区接驳系统 | |
US11091883B2 (en) | System for securing railway apparatus equipped with a securing mechanism, and associated transport method and vehicle | |
EP3283416B1 (en) | Lift for lifting facade elements and associated locking member | |
DE29903147U1 (de) | Einrichtung zur Raumgestaltung und Raumumwandlung | |
JP2016192981A (ja) | 可搬型消防ポンプの積み下ろし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消防自動車 | |
KR101762881B1 (ko) | 트롤리 설치 장치 | |
JP2017088402A (ja) | 鋼板運搬装置 | |
USRE30914E (en) | Truck frame alignment apparatus | |
JP2004148656A (ja) | オートクレーブ養生設備 | |
CN211594962U (zh) | 高空作业运送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