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213A -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213A
KR20180112213A KR1020170042162A KR20170042162A KR20180112213A KR 20180112213 A KR20180112213 A KR 20180112213A KR 1020170042162 A KR1020170042162 A KR 1020170042162A KR 20170042162 A KR20170042162 A KR 20170042162A KR 20180112213 A KR20180112213 A KR 20180112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e blocking
fluid
blocking device
responding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773B1 (ko
Inventor
이필승
현 정
김용욱
김정호
이동화
이현경
정근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4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773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6Temporary equipment for stopping leaks, e.g. collision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63B17/0036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082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시, 내부에 투입하여 선박의 파공을 막음으로써 유출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파공봉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출 물질이 저장된 탱크의 내부로 봉쇄장치를 투입함으로써 봉쇄장치에 의한 파공부를 봉쇄하도록 하며, 또한 탱크 내부에서의 유출 흐름을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봉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APPARATUS FOR BLOCKING FLUID OUTFLOW IN VESSEL ACCIDENT}
본 발명은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시, 내부에 투입하여 선박의 파공을 막음으로써 유출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파공봉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 유류 또는 HNS(위험,유해물질)의 유출사고 발생시, 해상에서의 오염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신속하고 철저하게 유출부위인 파공을 봉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선체 외부에서 유출중인 파공을 봉쇄하려는 시도가 있어왔으나, 유출중인 물질의 강한 유출압과 더불어, HNS의 높은 반응성 및 폭발성으로 인한 위험성 때문에, 파공 봉쇄 성공률이 매우 낮고, 이에 따라 해상으로의 유출범위가 크게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001761 B1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유출 물질이 저장된 탱크의 내부로 봉쇄장치를 투입함으로써 봉쇄장치에 의한 파공부를 봉쇄하도록 하며, 또한 탱크 내부에서의 유출 흐름을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봉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는, 오목한 형태의 중심부와, 일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로서 타부분보다 큰 밀도를 가져 무게중심부가 존재하는 직진 전방부를 구비하는 직진형 파공봉쇄기구; 전체적으로 고른 밀도를 가지며, 오목한 형태의 중심부를 구비하는 요동형 파공봉쇄기구; 및 오목한 형태의 중심부와, 일방향으로 굽어지면서 좁아지는 형태로서 타부분보다 큰 밀도를 가져 무게중심부가 존재하는 회전 전방부를 구비하는 회전형 파공봉쇄기구 중, 한가지 형태의 파공봉쇄기구로 구성되거나 또는 두가지 이상의 형태의 파공봉쇄기구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형 파공봉쇄기구는, 회전 전방부가 평면상에서 굽어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회전형 파공봉쇄기구는, 회전 전방부가 나선형으로 굽어진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는, 선박의 파공부를 봉쇄하여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주 봉쇄부; 유체 투입시 상기 주 봉쇄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다수의 장대(pole); 상기 장대와 연결되어, 유체 투입시 상기 장대가 펼쳐짐에 따라 상기 주 봉쇄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그물 형태의 유도 로프(rope); 및 상기 유도 로프에 부착된 다수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는, 유체 투입시, 유체 표면 위에 떠 있도록 형성된 부유체; 상기 부유체 하부에 연결된 연결 로프(rope); 상기 연결 로프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부착된 다수의 주 봉쇄부; 유체 투입시 상기 각 주 봉쇄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다수의 장대(pole); 상기 장대와 연결되어, 유체 투입시 상기 장대가 펼쳐짐에 따라 상기 주 봉쇄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그물 형태의 유도 로프(rope); 및 상기 유도 로프에 부착된 다수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장대는, 상기 파공봉쇄 장치의 보관을 위해 상기 주 봉쇄부 표면의 접선방향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유체 투입시, 상기 주 봉쇄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대의 상기 주 봉쇄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짐은, 상기 장대의 탄성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체는, 상기 장대 및 유도 로프가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경우,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좁아지는 원뿔, 원뿔대, 다각뿔 또는 다각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도체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인 경우, 넓은 밑면은 뚫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도체는, 상기 주 봉쇄부보다 작은 부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출 물질이 저장된 탱크의 내부로 봉쇄장치를 투입함으로써 봉쇄장치에 의한 파공부를 봉쇄하도록 하며, 또한 탱크 내부에서의 유출 흐름을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봉쇄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유체 탱크 내부로 투입되는 파공봉쇄장치가 탱크의 파공을 봉쇄함으로써 유체 유출을 방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시, 유체 탱크의 파공을 봉쇄하기 위해 유체 탱크 내부로 투입되는, 제1 실시예로서의 파공봉쇄 장치를 구성하는 다양한 형태의 파공봉쇄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선박 유체 유출사고시, 유체 탱크의 파공을 봉쇄하기 위해 유체 탱크 내부로 투입되는, 제2 실시예로서의 파공봉쇄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파공봉쇄 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유도체의 일 실시예로서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시, 유체 탱크의 파공을 봉쇄하기 위해 유체 탱크 내부로 투입되는, 제3 실시예로서의 파공봉쇄 장치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유체 탱크 내부로 투입되는 파공봉쇄장치가 탱크의 파공을 봉쇄함으로써 유체 유출을 방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시, 유체 탱크의 파공을 봉쇄하기 위해 유체 탱크 내부로 투입되는 다양한 형태의 파공봉쇄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투입된 파공봉쇄 장치는, 유체 탱크의 파공부(11)로의 유체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여 결국 파공부(11)를 봉쇄함으로써 유체 유출을 중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파공봉쇄 장치의 여러 실시예로서, 도 2에서는 파공부(11)를 봉쇄하기 위해 다수 투입되는 단일체로서의 파공봉쇄기구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아이디어에 따라 각각 다른 장점 및 특징을 가지는 여러 형태의 파공봉쇄기구를 도시하였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직진형' 파공봉쇄기구(도 2(a),110,120), '요동형' 파공봉쇄기구(도 2(b),130), '회전형' 파공봉쇄기구(도 2(c),14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직진형', '회전형' 및 '요동형'이라는 명칭은 각 형태에 있어서 유체 투입시 유체의 흐름을 따라 흐를 때의 주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하여 붙인 이름이며, 각 형태에 있어서, 다른 형태의 특징을 약간씩 나타낼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도 2에서 직접적으로 예시하지 않은 형태로서, 도 2의 각 형태의 특징을 적절히 조합한 형태를 가지는 파공봉쇄기구도 역시 가능하며, 이들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직진형' 파공봉쇄기구도 유체의 흐름을 따라 이동시 '요동'하는 특징을 약간씩 나타낼 수 있는 것이며, '직진형' 파공봉쇄기구의 형태적 특징과 '요동형' 파공봉쇄기구의 형태적 특징을 조합하여 도 2에 직접적으로는 도시되지 않은 형태의 파공봉쇄기구 역시 본원발명으로부터 충분히 가능하고, 이 역시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각 형태에 따른 특징을 개별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는 직진형 파공봉쇄기구(110,120)로서, 오목한 형태의 중심부와, 일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로서 타부분보다 큰 밀도를 가져 무게중심부가 존재하는 직진 전방부(111,121)를 구비한다. 즉, 대체적으로 편평한 형태를 가지나, 중심부에서는 약간 오목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유체 내에서 지나치게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나치게 빠르게 유체 내에서 이동할 경우, 유체 탱크의 파공부(11)에 이르기 전에 탱크 바닥에 가라앉아 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직진 전방부(111,121)는, 일방향으로는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또한 그 좁아지는 부분이 타 부분보다 큰 밀도를 가짐으로써 무게중심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것은 그러한 직진 전방부(111,121)가 유체의 흐름을 따라 이동시 전방에 위치하게 되고, 타부분(중심부)에 발생되는 양력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다른 형태들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이동을 하게 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로써 최대한 빠른 파공부(11) 봉쇄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도 2(b)는 요동형 파공봉쇄기구(130)로서, 전체적으로 비교적 고른 밀도를 가지며, 오목한 형태의 중심부를 구비한다. 도 2(a)의 직진형 파공봉쇄기구(110,120)와 달리, 좁은 형태의 무게중심부를 가지지 않아, 직진성이 약하며, 중심부의 오목형태로 인하여, 유체 내에서 사방으로 요동하는 형태로 서서히 유체의 흐름을 따라 파공부(11)를 향하여 진행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이 서서히 파공부(11)를 향하여 진행하게 되는 특징으로 말미암아, 직진형 파공봉쇄기구(110,120)만큼 빠르게 파공부(11)에 도달하기는 어려우나, 직진형 파공봉쇄기구(110,120)가 빠른 이동으로 파공부(11)에 도달하지 못하고 유체 탱크 내에 가라앉는 경우에도, 요동형 파공봉쇄기구(130)는 파공부(11)에 도달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c)는 회전형 파공봉쇄기구(140)로서, 오목한 형태의 중심부와, 일방향으로 굽어지면서 좁아지는 형태로서 타부분보다 큰 밀도를 가져 무게중심부가 존재하는 회전 전방부(14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회전형 파공봉쇄기구(140)는, 직진형 파공봉쇄기구(110,120)와 같이 전방부에 좁아지는 형태의 무게중심부를 가지나, 직진형 파공봉쇄기구(110,120)와는 달리, 그러한 무게중심부가 일 방향을 향하여 뻗어있지 않고, 중심부로부터 약간 회전하는 형태로 굽어있는 형태의 회전 전방부(141)를 가진다. 이로써, 회전 전방부(141) 방향으로 진행하게 됨으로써 유체 내에서 회전하면서 파공부(11)를 향하여 진행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와 같은 회전 특징을 더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회전 전방부(141)는, 단지 평면상에서 일측으로 굽어진 형태일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약간 나선형태로 굽어진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형 파공봉쇄기구(140)는, 직진형 파공봉쇄기구(110,120)보다는 파공부(11)에 도달하는 속도가 느리나, 요동형 파공봉쇄기구(130)보다는 빠르게 파공부(11)에 도달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유체 유출사고 발생시, 유체 탱크내에 투입하는 제1 실시예로서의 파공봉쇄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직진형 파공봉쇄기구(110,120), 요동형 파공봉쇄기구(130), 회전형 파공봉쇄기구(140) 중, 어느 한가지 형태의 파공봉쇄기구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두가지 이상의 형태의 파공봉쇄기구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직진형 파공봉쇄기구(110,120)에 대하여는 빠른 유체 내 진행으로 빠른 파공봉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직진형 파공봉쇄기구(110,120)가 빠른 진행으로 파공부(11)에 도달하기 전에 탱크 바닥면에 가라앉아 버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할지라도, 요동형 파공봉쇄기구(130)의 느린 진행으로 여전히 파공부(11)를 봉쇄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이 남아 있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회전형 파공봉쇄기구(140)는 타 2 형태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어 타 2 형태와 함께 투입하여 더욱 좋은 파공봉쇄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선박 유체 유출사고시, 유체 탱크의 파공을 봉쇄하기 위해 유체 탱크 내부로 투입되는, 제2 실시예로서의 파공봉쇄 장치(2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 또는 도 5의 파공봉쇄 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유도체(240,340)의 일 실시예로서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로서의 파공봉쇄 장치(200)는, 선박의 파공부(11)를 봉쇄하여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주 봉쇄부(210)와, 유체 투입시 주 봉쇄부(210)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다수의 장대(pole)(220)와, 장대(220)와 연결되어, 유체 투입시 장대(220)가 펼쳐짐에 따라 주 봉쇄부(210)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그물 형태의 유도 로프(rope)(230) 및, 유도 로프(230)에 부착된 다수의 유도체(240)를 포함한다.
도 3(a)는, 이러한 파공봉쇄 장치(200)를 보관하는 경우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보관시에 장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봉쇄부(210) 표면의 접선방향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유체 투입시, 도 3(b)와 같이 주 봉쇄부(210)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 3(a)와 같이 접힌 형태로 보관을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접힌 형태로 묶어놓는 끈과 같은 기구에 의할 수 있다. 이후, 유체 투입시에는 투입하면서 끈을 풀고, 이에 따라 장대(220)와, 장대(220)에 연결된 유도 로프(230)가 주 봉쇄부(210)를 중심으로 주 봉쇄부(210)로부터 방사형으로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로서, 장대(220)의 접히는 부분이 탄성을 가진 물체로 이루어져서, 탄성에 의해 펼쳐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파공봉쇄 장치(200)는, 전체적으로 중성부력보다 약간 더 큰 밀도로 부유하며 천천히 가라앉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성부력이란, 주변 유체와 비교하여, 그 유체와 거의 비슷한 밀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급격히 부상하거나 침몰하지 않고 부유하면서 유도체(240)를 주변에 퍼뜨리고, 유체 흐름에 따라 주 봉쇄부(210)가 파공부(11)에 접근하였을 때, 유도체(240)가 유출 흐름에 적극적으로 이끌려 주 봉쇄부(210)를 포함한 전체 파공봉쇄 장치(200)를 파공부(11)로 이끌게 된다.
유도체(240)는 유출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작은 유체 흐름에도 이끌릴 뿐만 아니라, 유출 흐름에 노출되었을 때 파공봉쇄장치를 끌어당길만큼 유출 흐름에 적극적으로 이끌려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통발의 구조를 본뜬, 바닥이 뚫린 컵 모양의 유도체(240,340)는 유출 흐름에 노출되었을 때, 유출 흐름을 따라 정렬되어 큰 유체 저항력을 발생시키며 파공봉쇄장치를 적극적으로 이끌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의 유도체(240,340)는 원뿔대 형상만 도시되었으나, 도 3과 같이 장대(220) 및 유도 로프(230)가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경우 유도체(240,340)는,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좁아지는 형태라면 원뿔, 원뿔대, 다각뿔 또는 다각뿔대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도체(240,340)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인 경우, 넓은 밑면은 뚫린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체(240)는, 상기 주 봉쇄부(210)보다 작은 부피로 형성된다.
유출 흐름으로 유도된 파공봉쇄 장치(200)는, 유출 흐름에 노출되어 적극적으로 파공부(11)로 이끌린다. 이때 유도체(240)는 파공부(11)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고, 이 경우 유도체(240)는 파공부(11)를 봉쇄하지 못하고 그대로 유출될 수 있으나, 최종적으로 크기가 크고 탄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주 봉쇄부(210)에 의해 파공부(11)가 봉쇄된 후, 그 뒤에 따라 오는 잔존한 유도체(240)들이 그 파공부(11)의 일부 미봉쇄 부분을 봉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 파공봉쇄장치들은, 본원발명에서와 같은 탄성 장대(220)를 구비하지 않아, 유체 안에서 봉쇄기구와 연결 로프 및 유도체(240)들이 유체 내에서 방사형으로 펼쳐지기 어려워서 방향성이 없이 부유하고 있게 되어, 유체의 흐름에 반응하는 시간이 길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공봉쇄장치(200)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파공봉쇄장치(300)는, 다수의 탄성 장대(220,320)에 의해 유체 내에서 사방으로 곧게 펼쳐진 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어느 방향으로 이루어지든지, 그 유체의 흐름에 가장 민감하고 신속하게 반응하여 유체에 이끌리게 됨으로써, 파공부(11)에 가장 신속하게 도착하게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시, 유체 탱크의 파공을 봉쇄하기 위해 유체 탱크 내부로 투입되는, 제3 실시예로서의 파공봉쇄 장치(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 실시예로서의 파공봉쇄 장치는, 유체 투입시, 유체 표면 위에 떠 있도록 형성된 부유체(350)와 부유체(350) 하부에 연결된 연결 로프(rope)(360)를 가지고,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로프(360)를 따라 다수개 설치된, 도 3과 동일한 형태 및 구성의 단위 파공봉쇄장치(주 봉쇄부, 장대, 유도 로프, 유도체)들을 다수 구비한다. 또한 각 단위 파공봉쇄장치들은, 도 3(a)와 같은 형태로 접어져서 보관이 가능하며, 유체 투입시 각 단위 파공봉쇄장치들이 펴지는 원리도 도 3(b)와 동일하다.
즉, 연결 로프(360)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부착된 다수의 주 봉쇄부(310)와, 유체 투입시 상기 각 주 봉쇄부(310)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다수의 장대(pole)(320)와, 각 장대(320)와 연결되어, 유체 투입시 장대(320)가 펼쳐짐에 따라 상기 주 봉쇄부(310)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그물 형태의 유도 로프(rope)(330) 및, 유도 로프(330)에 부착된 다수의 유도체(340)를 포함한다.
도 3의 제2 실시예로서의 파공봉쇄장치(200)는 주 봉쇄부(210), 장대(220), 유도체(240)들의 전체적인 밀도는 유체보다는 약간 크도록 구성되므로, 최악의 경우 유체 흐름에 따라 파공부(11)를 봉쇄하지 못한 경우에는, 유체 탱크 바닥에 가라앉아 버리게 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의 제3 실시예로서의 파공봉쇄장치(300)는, 유체 표면에 떠 있는 부유체(350)로 인하여 각각의 주 봉쇄부(310), 장대(320), 유도체(340)들은, 가라앉지 않게 되며, 또한 봉쇄장치가 연결 로프(360)를 따라 다층으로 형성되어, 파공부(11)가 어느 높이에 형성되어 있든지, 파공부(11)에 가장 가까운 높이의 주 봉쇄부(310)가 유체 흐름에 따라 파공부(11)로 이끌리어 더욱 신속하게 파공부(11)를 봉쇄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10: 유체 탱크
11: 파공부
12: 유체
13: 유체 표면
50: 유효 범위
110,120: 직진형 파공봉쇄기구
111,121: 직진 전방부(111,121)
130: 요동형 파공봉쇄기구
140: 회전형 파공봉쇄기구
141: 회전 전방부(141)
200: 제2 실시예로서의 파공봉쇄장치
210: 주 봉쇄부
220: 장대(pole)
230: 유도 로프(rope)
240: 유도체
300: 제3 실시예로서의 파공봉쇄장치
310: 주 봉쇄부
320: 장대(pole)
330: 유도 로프(rope)
340: 유도체
350: 부유체
360: 연결 로프(rope)

Claims (10)

  1.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로서,
    오목한 형태의 중심부와, 일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로서 타부분보다 큰 밀도를 가져 무게중심부가 존재하는 직진 전방부를 구비하는 직진형 파공봉쇄기구;
    전체적으로 고른 밀도를 가지며, 오목한 형태의 중심부를 구비하는 요동형 파공봉쇄기구; 및
    오목한 형태의 중심부와, 일방향으로 굽어지면서 좁아지는 형태로서 타부분보다 큰 밀도를 가져 무게중심부가 존재하는 회전 전방부를 구비하는 회전형 파공봉쇄기구
    중, 한가지 형태의 파공봉쇄기구로 구성되거나 또는 두가지 이상의 형태의 파공봉쇄기구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파공봉쇄기구는,
    회전 전방부가 평면상에서 굽어진 형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파공봉쇄기구는,
    회전 전방부가 나선형으로 굽어진 형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4.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로서,
    선박의 파공부를 봉쇄하여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주 봉쇄부;
    유체 투입시 상기 주 봉쇄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다수의 장대(pole);
    상기 장대와 연결되어, 유체 투입시 상기 장대가 펼쳐짐에 따라 상기 주 봉쇄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그물 형태의 유도 로프(rope); 및
    상기 유도 로프에 부착된 다수의 유도체
    를 포함하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5.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로서,
    유체 투입시, 유체 표면 위에 떠 있도록 형성된 부유체;
    상기 부유체 하부에 연결된 연결 로프(rope);
    상기 연결 로프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부착된 다수의 주 봉쇄부;
    유체 투입시 상기 각 주 봉쇄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다수의 장대(pole);
    상기 장대와 연결되어, 유체 투입시 상기 장대가 펼쳐짐에 따라 상기 주 봉쇄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그물 형태의 유도 로프(rope); 및
    상기 유도 로프에 부착된 다수의 유도체
    를 포함하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장대는,
    상기 파공봉쇄 장치의 보관을 위해 상기 주 봉쇄부 표면의 접선방향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유체 투입시, 상기 주 봉쇄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장대의 상기 주 봉쇄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펼쳐짐은,
    상기 장대의 탄성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8.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상기 장대 및 유도 로프가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경우,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좁아지는 원뿔, 원뿔대, 다각뿔 또는 다각뿔대 형상을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인 경우, 넓은 밑면은 뚫린 형태를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10.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상기 주 봉쇄부보다 작은 부피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KR1020170042162A 2017-03-31 2017-03-31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KR101976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162A KR101976773B1 (ko) 2017-03-31 2017-03-31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162A KR101976773B1 (ko) 2017-03-31 2017-03-31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13A true KR20180112213A (ko) 2018-10-12
KR101976773B1 KR101976773B1 (ko) 2019-05-13

Family

ID=63876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162A KR101976773B1 (ko) 2017-03-31 2017-03-31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7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6587A (ko) * 2009-02-24 2010-09-02 박철홍 선박 파공부 응급처치 킷
KR101001761B1 (ko) 2008-01-11 2010-12-15 박방자 선박 긴급보수용 밀폐기
KR20130137358A (ko) * 2012-06-07 2013-12-17 한국과학기술원 선박 사고 시 유체 유출차단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761B1 (ko) 2008-01-11 2010-12-15 박방자 선박 긴급보수용 밀폐기
KR20100096587A (ko) * 2009-02-24 2010-09-02 박철홍 선박 파공부 응급처치 킷
KR20130137358A (ko) * 2012-06-07 2013-12-17 한국과학기술원 선박 사고 시 유체 유출차단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773B1 (ko)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7601B2 (en) Underwater noise abatement panel and resonator structure
FI58249C (fi) Anordning foer automatisk upptagning av ryssjor kraeftburar naet och liknande
US90104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emergency killing of an underwater oil/gas well
KR101976773B1 (ko) 선박 유체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파공봉쇄 장치
KR20160118626A (ko) 원유운반선의 수밀주머니를 이용한 밸러스트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JP4512915B2 (ja) 波力による動力発生装置
Chia et al. Laboratory experiments on fronts: Part II: The formation of cyclonic eddies at upwelling fronts
KR102403084B1 (ko) 수중 글라이더를 이용한 파공봉쇄장치
KR101751312B1 (ko) 팽창형 오일펜스
JP2012087581A (ja) トレミー管を用いた土砂の投入方法および土砂の投入装置
US2200552A (en) Spill boom
US20210287819A1 (en) Combination of containers and method for eliminating radioactive substances
JPS54105313A (en) Two-liquids storage tank
AU2019233772B2 (en) Explosively driven jet disruptor with configurable shape
KR101525107B1 (ko) 튜브구조체를 이용한 해안침식 방지공법
RU224637U1 (ru) Рукав для заряжания обводненных скважин низкоплотным взрывчатым составом
JP2018135727A (ja) 函体の水中への据付方法及びこの函体の揺動防止用タンク
RU169102U1 (ru) Льдодробилка-поплавок
JPH02106486A (ja) 作業台船
KR20070072209A (ko) 방파제의 항내수 배출장치
JPS592713Y2 (ja) 海中貯油タンク
KR101722206B1 (ko) 앵커
JP6145242B2 (ja) 汚濁防止装置及び汚濁防止方法
JP2017128375A (ja) 貯蔵タンク、及び災害対策方法
JP2005014661A (ja) 遊魚舟艇内生簀の余剰水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