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647A -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647A
KR20180111647A KR1020180036556A KR20180036556A KR20180111647A KR 20180111647 A KR20180111647 A KR 20180111647A KR 1020180036556 A KR1020180036556 A KR 1020180036556A KR 20180036556 A KR20180036556 A KR 20180036556A KR 20180111647 A KR20180111647 A KR 20180111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ime
recording
real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6183B1 (ko
Inventor
히로후미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11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1Preprocessing measurements, e.g. data collection rate adjustment;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Time series or signal analysis, e.g. frequency analysis or wavelets; Trustworthiness of measurements; Indexes therefor; Measurements using easily measured parameters to estimate parameters difficult to measure; Virtual sensor creation; De-noising; Sensor fusion; Unconventional preprocessing inherently present in specific fault detection methods like PCA-based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5Digital input using the sampling of an analogue quantity at regular intervals of time, input from a/d converter or output to d/a conver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2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i.e. in which the programme is recorded from a cycle of operations, e.g. the cycle of operations being manually controlled, after which this record is played back on the same mach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26Reducing size or complexity of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4Management of space entities, e.g. partitions, extents, po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9Command handling arrangements, e.g. command buffers, queues, command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득한 데이터의 전부를 메모리에 기록하지 않는 경우라도, 발생한 사상을 정확하게 해석하여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사상 발생 검출부(15)가,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한 실데이터의 값에 관한 추이를 검증하여, 미리 지정되어 있는 사상의 발생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들 실데이터 중 사상에 관한 실데이터를 사상 데이터로서 특정하고, 사상 데이터 처리부(16)가, 사상의 발생 검출에 따라 특정된 사상 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한다.

Description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TIME SERIES DATA}
본 발명은 시계열 데이터를 한정된 기록 용량의 메모리에 효율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시계열 데이터 기록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장이나 빌딩 등의 시설에서 이용되는 지시 조절계 등의 산업용의 필드 기기에 대해서는, IoT(Internet of Things) 등의 사고 방식에 따라, 제어 대상의 상태나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기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이들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고장 예지나 수율 개선 등, 여러 가지 유용성도 발견되고 있다.
한편으로, 단순한 데이터 수집이면 데이터량이 방대해지기 때문에, 데이터 기록이나 처리가 어려워지는 측면도 있다. 따라서, 필드 기기로 데이터의 특징량을 파악하여, 필요한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특징량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실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록해 둘 필요가 있지만, 필드 기기에는 저비용으로 소형화가 요구되기 때문에, 한정된 기록 용량으로 효율적으로 기록할 필요가 있다.
통상, 지시 조절계 등의 필드 기기에는, 제어 대상의 상태나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를 메모리에 일시 기록해 두는 시계열 데이터 기록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관리자는, 기록되어 있는 시계열 데이터를 판독하여 해석할 수 있어, 제어 대상의 상태나 제어 내용의 추이에 더하여, 발생한 사상에 대하여 어떠한 제어가 행하여졌는지에 대해서도 검증할 수 있다.
제어 대상으로부터 검출한 검출 온도가 설정 온도가 되도록 히터를 제어하는 지시 조절계(온도 조절계)에서는, 검출 온도(PV값), 설정 온도(SP값), 검출 온도와 설정 온도로부터 구한 조작량(MV값), 조작량에 기초한 히터 제어용 액츄에이터로부터의 출력 전류값(CT값) 등의 각종 시계열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하게 된다. 또한, 검출 온도의 이외에 검출 압력 등 복수의 입력 변수를 이용하여, 보다 고도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나, 복수 계통의 제어 출력을 갖는 경우에는, 기록하여야 하는 시계열 데이터가 더욱 증가한다.
예컨대, 32종류의 데이터를 제어 주기 50 ㎳마다 기록하는 경우, 기록 데이터수는 24시간에 약 550만개가 된다. 여기서, 1 데이터를 단정밀도 부동 소수점으로 기록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길이가 4 바이트가 되기 때문에, 전체로서는 약 22 메가바이트의 기록 용량이 필요로 된다. 또한, 필드 기기는, 수개월이나 연속하여 계속해서 가동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얻어진 실데이터를 전부 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종래, 시계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메모리에 기록하는 기술로서, 메모리의 빈 용량이 적어진 경우에 데이터의 기록 간격을 그때까지보다 길게 하거나, 설정한 기준값을 넘은 경우에 기록 간격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기록 데이터수를 삭감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등 참조). 이에 의해, 일정한 기록 간격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록 용량을 증대시키는 일없이, 기록 가능한 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1236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05-040517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메모리의 빈 용량이 적어진 경우나, 설정한 기준값을 넘은 경우에, 기록 간격이 길어지기 때문에, 일정 기록 간격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록하는 데이터가 시간 방향으로 적출되게 된다. 이 때문에, 기록 간격이 연장된 경우에는, 기록 타이밍 사이에 이상 등의 각종 사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사상 발생 시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기록된 시계열 데이터를 나중에 해석하여도, 유용한 데이터가 적출된 경우에는, 사상 발생 시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던 것인지를 파악하는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록 간격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는 경우, 각 데이터와 함께 기록 간격도 기록해 두어야 한다. 특히, PV값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은, 제어 대상의 특성이나 제어 결과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 때문에, 기록한 시계열 데이터를 해석하는 경우에는, 각 데이터의 기록 간격을 차례대로 대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잡해져 처리 부담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취득한 데이터의 전부를 메모리에 기록하지 않는 경우라도, 발생한 사상을 정확하게 해석하여 검증할 수 있는 시계열 데이터 기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은, 미리 정해진 주기로 취득한 시계열의 실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순차 기록하는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한 상기 실데이터의 값에 관한 추이를 검증하여, 미리 지정되어 있는 사상의 발생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들 실데이터 중 상기 사상에 관한 실데이터를 사상 데이터로서 특정하는 사상 발생 검출 단계와, 상기 사상의 발생 검출에 따라 특정된 상기 사상 데이터를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하는 사상 데이터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의 일구성예는, 상기 사상 발생 검출 단계가, 상기 사상 데이터를 특정할 때, 상기 사상의 발생 타이밍의 전후에 위치하는 연속한 일련의 실데이터를, 상기 사상 데이터로서 특정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의 일구성예는, 상기 사상 데이터 처리 단계가, 상기 사상의 발생 검출에 따라 특정된 상기 사상 데이터를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사상 데이터 기억부로 이전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의 일구성예는, 시계열로 연속하는 일정량의 상기 실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실데이터 세트를, 이들 실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량 데이터로 축약하는 데이터 축약 단계와,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의 빈 용량을 감시하여, 새로운 실데이터를 취득하였을 때에, 상기 실데이터를 그대로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기록 가능하면 상기 실데이터를 그대로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하는 한편, 기록 불가하면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실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상 데이터를 제외하고 시계열로 연속하는 일정량의 실데이터를 실데이터 세트로서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 축약 단계에 의해 축약하여, 얻어진 특징량 데이터를 상기 실데이터 세트의 실데이터 대신에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하며, 상기 새로운 실데이터를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의 일구성예는,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의 빈 용량을 감시하여, 새로운 실데이터를 취득하였을 때에, 상기 실데이터를 그대로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기록 가능하면 상기 실데이터를 그대로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하는 한편, 기록 불가하면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실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상 데이터를 제외하고 일부의 실데이터를 삭제한 후, 상기 새로운 실데이터를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취득한 시계열의 실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순차 기록하는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로서,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한 상기 실데이터의 값에 관한 추이를 검증하여, 미리 지정되어 있는 사상의 발생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들 실데이터 중 상기 사상에 관한 실데이터를 사상 데이터로서 특정하는 사상 발생 검출부와, 상기 사상의 발생 검출에 따라 특정된 상기 사상 데이터를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하는 사상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지정되어 있는 사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버퍼로부터 사상 데이터가 취득되어, 실데이터인 채로, 즉 취득한 데이터(생데이터)인 채로 메모리에 기록된다. 이 때문에, 취득한 실데이터의 전부를 메모리에 기록하지 않는 경우라도, 발생한 사상을 정확하게 해석하여 검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비용 상승이나 대형화의 요인이 되는, 대규모 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일없이, 발생한 장해의 원인이나 사상 사이의 상호 관계의 구명, 고장 예지, 수율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데이터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특징량 데이터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특징량 데이터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특징량 데이터의 기록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사상 데이터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사상 데이터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사상 데이터의 기록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때 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전체로서 CPU나 메모리 등의 회로부로 구성되어, 미리 정해진 주기로 취득한 시계열의 실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순차 기록하는 장치이며, 공장이나 빌딩 등의 시설에서 이용되는 지시 조절계 등의 산업용의 필드 기기에 탑재되어, 혹은, 필드 기기에 접속되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필드 기기로 메모리에 기록한 시계열 데이터는, 제어 대상의 상태나 제어 내용의 추이, 또한 발생한 사상에 대하여 어떠한 제어가 행하여졌는지를, 관리자가 나중에 해석하여 검증할 때에 이용된다. 따라서, 이들 시계열 데이터가 실데이터인 채로, 즉 취득한 데이터(생데이터)인 채로 기록되어 있으면, 관리자는 가장 상세하게 해석하여 검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시계열 데이터와 사상의 해석·검증에 필요로 되는 데이터의 관계에 착안하여, 메모리에 기록된 실데이터의 추이를 검증하여, 미리 지정되어 있는 사상의 발생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들 실데이터 중 사상에 관한 실데이터를 사상 데이터로서 특정하여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1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10)가, 제어 대상으로부터 검출한 검출 온도가 설정 온도가 되도록 히터를 제어하는 지시 조절계(온도 조절계)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필드 기기에 적용하여도 좋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10)에는, 주된 기능부로서, 입출력 I/F부(11), 메모리(12), 데이터 축약부(13), 기록 제어부(14), 사상 발생 검출부(15) 및 사상 데이터 처리부(16)가 마련되어 있다.
입출력 I/F부(11)는, 외부 회로나 외부 장치(함께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출력된 실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실데이터는, 예컨대 취득 주기 50 ㎳마다 취득되는 시계열 데이터이며, 1종류의 시계열 데이터여도 좋고, 복수 종류의 시계열 데이터를 1조로 통합한 것이어도 좋다. 지시 조절계의 경우, 시계열 데이터로서는, 검출 온도(PV값), 설정 온도(SP값), 검출 온도와 설정 온도로부터 구한 조작량(MV값), 조작량에 기초한 히터 제어용 액츄에이터로부터의 출력 전류값(CT값) 등의 데이터가 있다.
이 외에, 제어 블록에서 연산한 조작량이나 온/오프 출력, PID 연산 도중의 결과(내부 조작량에 상당하며, 조작량 상하한에 따른 리미트 처리 전의 값), 사용자 설정에 따른 경보(PV 상한·하한·편차), 이상(센서 단선, 센서 측정 범위 상한 이상, 지시 조절계 본체 고장), 디지털 입력 등의 각종 스테이터스, 가동 시간, 불휘발 메모리의 기록 횟수, 설정 변경의 이력 등의 각종 에셋 정보, 현재 시각 혹은 전원 투입 후의 경과 시간 등의 시각 정보 등의 데이터도 시계열 데이터로서 기록하여도 좋다.
메모리(12)는, 반도체 메모리로 이루어지며, 실데이터, 특징량 데이터, 사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메모리(12)에는, 실데이터 및 특징량 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인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와, 사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인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가, 정적 또는 동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메모리(12)의 구체예로서는, 배터리 백업되어 있는 DRAM이나 S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여도 좋고, 플래시 메모리나 F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메모리(12)는,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10)의 내부에 실장된 전용 메모리여도 좋고, 외부로부터 삽입/발출 가능한 SD 카드나 USB 메모리 등의 외부 메모리여도 좋다. 이때, 내부·외부 메모리의 양방을 이용하여, 내부 메모리의 빈 영역이 없어진 시점에, 자동 혹은 수동에 의해 외부 메모리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내부 메모리에 빈 영역을 확보하도록 하여도 좋다.
데이터 축약부(13)는, 시계열로 연속하는 일정량의 실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실데이터 세트를, 이들 실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량 데이터로 축약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징량 데이터의 구체예로서는, 제어 루프의 특성값, 제정 시의 PV의 진동폭, SP마다의 제정 시의 조작량의 평균값 등의 데이터가 있다.
특히, 제어 루프의 특성값에 대해서는, SP 단계 변경 후에 PV가 변화하기까지의 낭비 시간, PV가 변화되고 나서 SP 부근(예컨대 SP-3%FS)에 도달하기까지의 상승 시간, PV가 SP 부근(예컨대 SP-3%FS)에 도달하고 나서 안정 상태(예컨대 SP-1%FS에 일정 시간 머문 상태)가 되기까지의 소요 시간,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응답 경향 모델과 진단 결과, AT 실시 결과에 있어서의 PID값 등이 있다.
기록 제어부(14)는,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의 빈 용량을 감시하여, 새로운 실데이터를 취득하였을 때에, 실데이터를 그대로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과, 기록 가능하면 실데이터를 그대로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하는 기능과, 기록 불가하면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실데이터로부터, 사상 데이터를 제외하고 시계열로 연속하는 일정량의 실데이터를 실데이터 세트로서 추출하여 데이터 축약부(13)에 의해 축약하는 기능과, 얻어진 특징량 데이터를 실데이터 세트의 실데이터 대신에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한 후, 새로운 실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때, 기록 제어부(14)는, 실데이터를 그대로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 불가하면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실데이터로부터, 사상 데이터를 제외하고 일부의 실데이터를 삭제한 후, 새로운 실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사상 발생 검출부(15)는,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한 실데이터의 값에 관한 추이를 검증하여, 미리 지정되어 있는 사상의 발생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들 실데이터 중 검출한 사상에 관한 실데이터를 사상 데이터로서 특정하는 기능과, 사상 데이터를 특정할 때, 사상의 발생 타이밍의 직전 직후에 위치하는 연속한 일련의 실데이터를 사상 데이터로서 특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상 데이터 처리부(16)는, 사상 발생 검출부(15)에서의 사상의 발생 검출에 따라 특정된 사상 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때,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상 데이터 처리부(16)가, 사상 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로부터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로 이전시켜도 좋다.
여기서 말하는 사상이란, 필드 기기에 있어서의, 단선, 언더 레인지, 내부 메모리 이상 등의 계량기 알람 발생, 시계열 데이터의 값이 제정 시에 정상이라고 판단되는 편차보다 커지는 데이터 일탈 발생, 미리 경보로서 설정한, 예컨대 PV의 상한값 이상, 하한값 이상, 변화량 이상 등의 이벤트 발생, 필드 기기마다 설정되어 있는 각종 이상 상태의 발생 등의 사상이 있다.
이러한 사상에 대해서는, 관리자가 나중에 해석하여 검증할 때, 상세한 시계열 데이터가 필요로 된다. 따라서, 이들 사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사상 발생 검출부(15)에 의해,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로부터 사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실데이터인 채로, 즉 취득한 데이터(생데이터)인 채로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로 이전(이동)시킨다. 특히, 사상 데이터는, 사상 발생 타이밍 이후의 사후 기간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사전 기간에 있어서의 시계열 데이터도 포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상 발생의 전조 현상을 상세하게 해석하여 검증할 수 있어, 사상 발생 원인의 특정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사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이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상 데이터 처리부(16)가, 사상 발생 검출부(15)에서의 사상의 발생 검출에 따라, 사상 발생 검출부(15)에서 취득한 사상 데이터를, 예컨대 플래그 관리를 행함으로써,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 내에서 축약 및 삭제의 대상 외로서 보호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사상 데이터 처리부(16)는, 사상 발생 검출부(15)에서의 사상의 발생 검출에 따라,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의 빈 용량에 기초하여 사상 발생 검출부(15)에서 얻어진 사상 데이터를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에 기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기록 가능한 경우에는 사상 데이터를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에 기록하는 기능과, 사상 데이터를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에 기록 불가능한 경우에는,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되어 있는 실데이터 중 오래된 것부터 시계열의 순서로 삭제하여, 얻어진 빈 영역에 사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되도록 실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해 두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제어 대상이 안정 상태에 있는 정상 기간에 대해서는, 특징량 데이터에 의해 충분히 해석·검증할 수 있는 제어 대상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되어 있는 실데이터 중, 사상 발생이 검출되지 않은 정상 기간에 있어서의 실데이터를 특징량 데이터로 축약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실데이터에 의한 기록 영역의 소비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으로는, 기록 제어부(14)에, 사상 발생 검출부(15)에서의 사상의 발생 검출에 따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되어 있는 실데이터를 데이터 축약부(13)에서 특징량 데이터로 축약하여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하며, 이들 실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과, 사상 발생 검출부(15)에서 얻어진 사상 데이터를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에 기록하는 기능을 마련하면 좋다. 이때, 실데이터는,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실데이터를 특징량 데이터로 축약함으로써, 매우 효율적으로 메모리(12)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실데이터는, 하나의 특징량 데이터로 축약하여도 좋고, 미리 설정한 기간이나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특징량 데이터로 축약하여도 좋다.
또한, 메모리(12)에, 실데이터, 특징량 데이터, 사상 데이터 등, 상이한 종별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실제로는, 어떤 어드레스에 어떤 종별의 데이터를 기록하였는지 관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메모리 관리 테이블을 마련하여, 어드레스마다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종별을 관리하여도 좋지만, 데이터 종별마다 기록 영역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각 기록 영역의 선두 어드레스와 말미 어드레스 또는 영역 사이즈를 관리하는 것만으로 되어, 메모리 관리 테이블보다 적은 메모리 용량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으로는, 기록 제어부(14)에, 실데이터 세트를 기록하는 실데이터 기록 영역, 특징량 데이터를 기록하는 특징량 데이터 기록 영역, 또한 사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사상 데이터 기록 영역을 메모리(12)에 마련하는 기능과, 메모리(12)에 대한 기록 개시 시에는 기록 영역 전역을 실데이터 기록 영역에 할당하는 기능과, 특징량 데이터를 기록할 때, 실데이터 기록 영역으로부터 실데이터를 소거하여 얻어진 빈 영역을 특징량 데이터 기록 영역으로서 순차 할당하는 기능과, 사상 데이터를 기록할 때, 실데이터 기록 영역으로부터 실데이터를 소거하여 얻어진 빈 영역을 사상 데이터 기록 영역으로서 순차 할당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동작]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데이터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외부로부터의 기록 개시 지시 또는 전원 투입 후의 기동에 따라, 도 2의 데이터 기록 처리를 개시한다.
먼저, 입출력 I/F부(11)는, 외부로부터 일정 기간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시계열 데이터를, 실데이터로서 취득한다(단계 100).
사상 발생 검출부(15)는, 취득한 실데이터를 검증하여(단계 101), 미리 지정되어 있는 사상의 발생이 검출된 경우에는(단계 101: 예), 후술하는 사상 데이터 기록 처리로 이행한다(단계 105).
한편, 미리 지정되어 있는 사상의 발생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단계 101: 아니오), 기록 제어부(14)는,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의 빈 용량에 기초하여 실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102).
여기서,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실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 이상의 빈 영역이 존재하고 있어, 기록 가능한 경우(단계 102: 예), 기록 제어부(14)는, 실데이터를 축약하는 일없이 그대로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의 빈 영역에 기록하고(단계 103), 단계 10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실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 이상의 빈 영역이 존재하지 않아, 기록 불가능한 경우(단계 102: 아니오), 기록 제어부(14)는, 후술하는 특징량 데이터 기록 처리로 이행한다(단계 104).
[특징량 데이터 기록 처리]
다음에,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10)의 특징량 데이터 기록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특징량 데이터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특징량 데이터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도 2의 단계 104에 있어서, 도 3의 특징량 데이터 기록 처리를 실행한다.
먼저, 기록 제어부(14)는,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실데이터로부터, 시계열로 연속하는 일정량의 실데이터, 도 4에서는 세트 기간(Ts)분의 실데이터를 실데이터 세트로서 추출하고(단계 110), 이 실데이터 세트를 데이터 축약부(13)에서 축약 처리함으로써, 실데이터 세트에 포함되는 일정량의 실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량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111).
이때, 실데이터 세트로서 추출하는 실데이터에 대해서는, 몇 가지의 선택 방법이 생각된다. 그 하나로서,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실데이터 중에서, 취득된 일시가 오래된 순서로, 시계열로 연속하는 일정량의 실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이 있다. 이에 의해, 관리자가 나중에 해석하여 검증할 가능성이 낮은 실데이터를 삭제하여 특징량 데이터로 축약할 수 있어, 해석이나 검증에 대한 축약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그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데이터 세트에 대해서는, 실데이터의 값이 규정 범위 내에서 일정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시계열로 연속하는 일정량의 실데이터를 일정량만 취득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해석이나 검증에 대한 축약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그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기록 제어부(14)는,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의 빈 용량에 기초하여, 데이터 축약부(13)에서 생성한 특징량 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112).
여기서,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특징량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 이상의 빈 영역이 존재하고 있어, 기록 가능한 경우(단계 112: 예), 기록 제어부(14)는, 특징량 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의 빈 영역에 기록하고(단계 113), 일련의 특징량 데이터 기록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특징량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 이상의 빈 영역이 존재하지 않아, 기록 불가능한 경우(단계 112: 아니오), 기록 제어부(14)는,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되어 있는 실데이터 중에서, 예컨대 특징량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분만큼 삭제하여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빈 영역을 확보하여(단계 114), 확보한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의 빈 영역에 특징량 데이터를 기록하고(단계 115), 일련의 특징량 데이터 기록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삭제하는 실데이터에 대해서는, 몇 가지의 선택 방법이 생각된다. 그 하나로서,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실데이터 중에서, 취득된 일시가 오래된 순서로 실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이에 의해, 관리자가 나중에 해석하여 검증할 가능성이 낮은 실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어, 해석이나 검증에 대한 축약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그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데이터의 값이 규정 범위 내에서 일정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삭제하는 실데이터를 선택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해석이나 검증에 대한 축약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그치게 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실데이터 중에서, 세트 기간(Ts)분의 실데이터가 실데이터 세트로서 추출되고 있다. 이 추출에 의해, 실데이터 세트에 상당하는 실데이터는,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로부터 삭제되어 빈 영역이 확보된다. 또한, 특징량 데이터는 실데이터 세트보다 데이터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적은 기록 영역에서 실데이터 세트보다 많은 특징량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으며, 기록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삭제하는 실데이터의 양이 적어도 된다. 이에 의해, 결과로서, 메모리(12)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는 특징량 데이터의 기록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의 예에서는, 실데이터 및 특징량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으로서, 실데이터 기록 영역(Ma) 및 특징량 데이터 기록 영역(Mb)을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동적으로 마련하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대한 기록 개시 시에 있어서, 실데이터 기록 영역(Ma)이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의 기록 영역 전역으로 설정된다. 어느 시점에 있어서,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되어 있는 실데이터의 기록량이 Mn이고, 나머지 영역이 빈 영역이 된다.
그 후, 취득한 실데이터가 순차 실데이터 기록 영역(Ma)에 기록되어,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빈 영역(빈 용량)이 제로가 된 경우, 이 이후에 있어서 새로운 실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실데이터 기록 영역(Ma)에 기록되어 있는 실데이터의 일부가 실데이터 세트로서 추출되어 특징량 데이터로 축약된다.
이에 의해,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추출에 의해 실데이터가 실데이터 기록 영역(Ma)으로부터 삭제되어,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빈 영역이 확보되고, 도 5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빈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특징량 데이터 기록 영역(Mb)에 할당되어, 여기에 특징량 데이터가 기록된다.
일반적으로, 시계열 데이터는, 관리자에 의한 해석·검증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보아, 과거의 데이터보다 새로운 데이터 쪽이 가치가 높다고 되어 있다. 이것은, 과거의 데이터 쪽이 현재의 상황과의 관련성이 낮고, 새로운 데이터 쪽이 현재의 상황과의 관련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록 용량을 확보할 때,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되어 있는 실데이터 중, 오래된 것부터 순서대로 삭제하여 기록 용량을 확보함으로써, 메모리(12)보다 가치가 높은 데이터를 남겨 둘 수 있어, 해석·검증에 도움이 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기록해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상 데이터 기록 처리]
다음에,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10)의 사상 데이터 기록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사상 데이터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사상 데이터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도 2의 단계 105에 있어서, 도 6의 사상 데이터 기록 처리를 실행한다.
먼저, 사상 발생 검출부(15)는,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되어 있는 실데이터 중, 지정한 사상(P)의 발생이 검출된 선두의 실데이터의 시간 위치를 사상 발생 타이밍(Tp)으로 하고, 이 Tp로부터 미리 사상(P)으로 설정되어 있는 사전 기간(Ta)과 사후 기간(Tb)으로 이루어지는 사상 관련 기간(Tc)분의 실데이터를, 사상 데이터로서 특정한다(단계 120).
다음에, 기록 제어부(14)는,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의 빈 용량에 기초하여 사상 발생 검출부(15)에서 취득한 사상 데이터를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에 기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121).
여기서,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에 사상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 이상의 빈 영역이 존재하고 있어, 기록 가능한 경우(단계 121: 예), 기록 제어부(14)는, 사상 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로부터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의 빈 영역으로 이전시키고(단계 122), 일련의 사상 데이터 기록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에 사상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 이상의 빈 영역이 존재하지 않아, 기록 불가능한 경우(단계 121: 아니오), 기록 제어부(14)는, 메모리(12)에 기록되어 있는 실데이터 중에서, 예컨대 사상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분만큼 삭제하여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에 빈 영역을 확보하여(단계 123), 확보한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의 빈 영역에 사상 데이터를 기록하고(단계 124), 일련의 사상 데이터 기록 처리를 종료한다.
도 7의 예에서는,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실데이터 중에서, 지정한 사상(P)이 검출된 경우, 그 선두의 실데이터의 시간 위치가 사상 발생 타이밍(Tp)이 되고, 이 Tp로부터 미리 사상(P)으로 설정되어 있는 사전 기간(Ta)과 사후 기간(Tb)으로 이루어지는 사상 관련 기간(Tc)분의 실데이터가, 사상 데이터로서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로부터 추출되어, 이 사상 데이터가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에 기록된다.
이에 의해, 지정한 사상(P)의 발생 전후에 있어서의 시계열 데이터가, 실데이터인 채로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에 기록되게 된다. 이 때문에, 관리자는 사상(P)에 대해서 정확하게 해석·검증할 수 있어, 메모리(12) 전체로서 보다 가치가 높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기록해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은 사상 데이터의 기록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의 예에서는, 실데이터, 특징량 데이터 및 사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으로서, 실데이터 기록 영역(Ma), 특징량 데이터 기록 영역(Mb) 및 사상 데이터 기록 영역(Mc)을 메모리(12)에 동적으로 마련하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이들 기록 영역 중, 실데이터 기록 영역(Ma) 및 특징량 데이터 기록 영역(Mb)이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상당하고, 사상 데이터 기록 영역(Mc)이 사상 데이터 기억부(12B)에 상당한다.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시점에 있어서, 실데이터 기록 영역(Ma)과 특징량 데이터 기록 영역(Mb)이 메모리(12)에 마련되어 있고, 빈 영역은 없는 것으로 한다.
그 후, 지정한 사상(P)의 발생이 검출된 경우,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데이터 기록 영역(Ma)에 기록되어 있는 실데이터의 일부가 삭제되고, 도 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에 의해 확보된 기록 영역이 사상 데이터 기록 영역(Mc)에 할당되어, 여기에 사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일반적으로, 시계열 데이터는, 관리자에 의한 해석·검증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보아, 과거의 데이터보다 새로운 데이터 쪽이 가치가 높다고 되어 있다. 이것은, 과거의 데이터 쪽이 현재의 상황과의 관련성이 낮고, 새로운 데이터 쪽이 현재의 상황과의 관련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록 용량을 확보할 때,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되어 있는 실데이터 중, 오래된 것부터 순서대로 삭제하여 기록 용량을 확보함으로써, 메모리(12) 전체로서 보다 가치가 높은 데이터를 남겨 둘 수 있어, 해석·검증에 도움이 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기록해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사상 발생 검출부(15)가,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한 실데이터의 값에 관한 추이를 검증하여, 미리 지정되어 있는 사상의 발생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들 실데이터 중 사상에 관한 실데이터를 사상 데이터로서 특정하고, 사상 데이터 처리부(16)가, 사상의 발생 검출에 따라 특정된 사상 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해, 미리 지정되어 있는 사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사상 발생 검출부(15)에 의해,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로부터 사상에 관한 실데이터가 사상 데이터로서 특정되고, 사상 데이터 처리부(16)에 의해, 실데이터인 채로, 즉 취득한 데이터(생데이터)인 채로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12A)에 기록된다.
이 때문에, 실데이터를 특징량 데이터에 집약하여 메모리(12)에 기록하는 경우, 또한 기록 간격의 연장에 의해 기록하는 실데이터를 추출하여 메모리(12)에 기록하는 경우 등, 취득한 실데이터의 전부를 메모리(12)에 기록하지 않는 경우라도, 발생한 사상을 정확하게 해석하여 검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비용 상승이나 대형화의 요인이 되는, 대규모 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일없이, 발생한 장해의 원인이나 사상 사이의 상호 관계의 구명, 고장 예지, 수율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상 발생 검출부(15)가 사상에 관한 실데이터를 사상 데이터로서 특정할 때, 사상의 발생 타이밍의 전후에 위치하는 연속한 일련의 실데이터를 사상 데이터로서 특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사상 발생의 전후에 있어서의 실데이터가 사상 데이터로서 기록되기 때문에, 사상 발생 전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던 것인지, 즉 어떠한 전조 현상이 있었던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어, 장해의 원인이나 사상 사이의 상호 관계의 구명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의 확장]
이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에는, 본 발명의 스코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경을 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모순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도 5 및 도 8에서는, 메모리(12)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각 기록 영역을 동적으로 확보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설계상 이러한 동적인 영역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는, 각각의 기록 영역을 미리 고정적으로 확보해 두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 사상이 발생하지 않거나 사상 발생 횟수가 상정보다 적었던 경우, 사상 데이터 기록 영역은 사용되지 않는 채로 되기 때문에, 메모리(12)를 완전히 다 쓸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사상 발생 횟수가 상정보다 많아진 경우도, 전체로서는 메모리(12)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래된 사상 데이터를 버리거나 새로운 사상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다고 하는 대책이 필요로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10)를 정기적으로 메인터넌스하여, 메모리(12)에 기록된 실데이터, 특징량 데이터, 사상 데이터를 폐기하거나, 혹은 상위 장치에 전송하거나 하게 된다. 이 때문에, 메모리(12)로서는, 그때까지의 동작 기간에 취득한 이들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충분한 기록 용량을 갖는 메모리를 준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도중에 기록 영역을 다 써 버린 경우, 예컨대 실데이터 기록 영역이 전혀 빈 공간이 없어져 특징량 데이터 기록 영역을 확보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설정 내용에 따라, 메모리(12)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예컨대 특징량 데이터가 오래된 쪽부터 순서대로 소거하여 덮어쓰기하도록 하여도 좋고, 새로운 데이터는 기록하지 않고 파기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실데이터 세트를 메모리(12)에 기록할 수 없는 경우, 하나의 실데이터 세트로부터 하나의 특징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실데이터 세트와 특징량 데이터의 관계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하나의 실데이터 세트에 대해서 복수의 특징량 데이터를 생성하여도 좋고, 복수의 실데이터 세트에 대해서 하나의 특징량 데이터를 생성하여도 좋다. 또한, 실데이터 세트로 하는 실데이터의 수는, 일정하여도 좋고 가변이어도 좋다.
10…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 11…입출력 I/F부, 12…메모리, 12A…시계열 데이터 기억부, 12B…사상 데이터 기억부, 13…데이터 축약부, 14…기록 제어부, 15…사상 발생 검출부, 16…사상 데이터 처리부, 17…버퍼, Ma…실데이터 기록 영역, Mb…특징량 데이터 기록 영역, Mc…사상 데이터 기록 영역, Mn…실데이터 기록량, Ts…세트 기간, P…사상, Tp…사상 발생 타이밍, Ta…사전 기간, Tb…사후 기간, Tc…사상 관련 기간.

Claims (6)

  1. 미리 정해진 주기로 취득한 시계열의 실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순차 기록하는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한 상기 실데이터의 값에 관한 추이를 검증하여, 미리 지정되어 있는 사상(事象)의 발생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들 실데이터 중 상기 사상에 관한 실데이터를 사상 데이터로서 특정하는 사상 발생 검출 단계와,
    상기 사상의 발생 검출에 따라 특정된 상기 사상 데이터를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하는 사상 데이터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 발생 검출 단계는, 상기 사상 데이터를 특정할 때, 상기 사상의 발생 타이밍의 전후에 위치하는 연속한 일련의 실데이터를, 상기 사상 데이터로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 데이터 처리 단계는, 상기 사상의 발생 검출에 따라 특정된 상기 사상 데이터를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사상 데이터 기억부로 이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계열로 연속하는 일정량의 상기 실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실데이터 세트를, 이들 실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량 데이터로 축약하는 데이터 축약 단계와,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의 빈 용량을 감시하여, 새로운 실데이터를 취득하였을 때에, 상기 실데이터를 그대로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기록 가능하면 상기 실데이터를 그대로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하는 한편, 기록 불가하면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실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상 데이터를 제외하고 시계열로 연속하는 일정량의 실데이터를 실데이터 세트로서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 축약 단계에 의해 축약하여, 얻어진 특징량 데이터를 상기 실데이터 세트의 실데이터 대신에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하며, 상기 새로운 실데이터를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의 빈 용량을 감시하여, 새로운 실데이터를 취득하였을 때에, 상기 실데이터를 그대로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기록 가능하면 상기 실데이터를 그대로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하는 한편, 기록 불가하면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실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상 데이터를 제외하고 일부의 실데이터를 삭제한 후, 상기 새로운 실데이터를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
  6. 미리 정해진 주기로 취득한 시계열의 실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순차 기록하는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로서,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한 상기 실데이터의 값에 관한 추이를 검증하여, 미리 지정되어 있는 사상의 발생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들 실데이터 중 상기 사상에 관한 실데이터를 사상 데이터로서 특정하는 사상 발생 검출부와,
    상기 사상의 발생 검출에 따라 특정된 상기 사상 데이터를 상기 시계열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하는 사상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열 데이터 기록 장치.
KR1020180036556A 2017-03-31 2018-03-29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KR102136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1797 2017-03-31
JP2017071797A JP6857068B2 (ja) 2017-03-31 2017-03-31 時系列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647A true KR20180111647A (ko) 2018-10-11
KR102136183B1 KR102136183B1 (ko) 2020-07-22

Family

ID=63844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556A KR102136183B1 (ko) 2017-03-31 2018-03-29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57068B2 (ko)
KR (1) KR102136183B1 (ko)
CN (1) CN108694013B (ko)
TW (1) TWI662470B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517A (ja) 1991-08-05 1993-02-19 Yamatake Honeywell Co Ltd 制御系の故障診断方法
JPH08328651A (ja) * 1995-06-06 1996-12-13 Hitachi Ltd データ収集方法及び装置
JP2000020367A (ja) * 1998-06-30 2000-01-21 Toshiba Corp 情報記憶方法および情報記憶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2091562A (ja) * 2000-09-19 2002-03-29 Toshiba Corp 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2112363A (ja) 2000-09-29 2002-04-12 Omron Corp 通信機能付機器およびデータ収集システム
KR20150095718A (ko) * 2012-11-30 2015-08-21 임페리얼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유체운반 도관 망을 감시하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7721B2 (ja) * 1996-06-07 2006-05-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データ記憶装置、画像データ記憶方法、撮像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5049945A (ja) * 2003-07-29 2005-02-24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 Corp 監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US7409594B2 (en) * 2004-07-06 2008-08-05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errors and predict potential failures
SG176797A1 (en) * 2009-06-30 2012-01-30 Lam Res Corp Automatic faul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in a plasm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8051050B2 (en) * 2009-07-16 2011-11-01 Lsi Corporation Block-level data de-duplication using thinly provisioned data storage volumes
CN101630290B (zh) * 2009-08-17 2011-06-08 成都市华为赛门铁克科技有限公司 重复数据处理方法和装置
JP5435126B2 (ja) * 2010-04-26 2014-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時系列データ診断圧縮方法
JP2011258064A (ja) * 2010-06-10 2011-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収集記録装置及びデータ収集記録方法
US8806154B1 (en) * 2011-05-06 2014-08-12 Chelsio Communications, Inc. Thin provisioning row snapshot with reference count map
US20140172516A1 (en) * 2012-12-17 2014-06-19 John Tuck Davison Systems and methods for streamlining data compilation and report generation
US9847961B2 (en) * 2013-02-25 2017-12-19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IoT device social network expansion
JP6320200B2 (ja) * 2014-07-01 2018-05-09 アズビル株式会社 Pidコントローラおよびデータ収集方法
US9286313B1 (en) * 2014-12-27 2016-03-15 Ascava, Inc. Efficient lossless reduction of data by deriving data from prime data elements resident in a content-associative siev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517A (ja) 1991-08-05 1993-02-19 Yamatake Honeywell Co Ltd 制御系の故障診断方法
JPH08328651A (ja) * 1995-06-06 1996-12-13 Hitachi Ltd データ収集方法及び装置
JP2000020367A (ja) * 1998-06-30 2000-01-21 Toshiba Corp 情報記憶方法および情報記憶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2091562A (ja) * 2000-09-19 2002-03-29 Toshiba Corp 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2112363A (ja) 2000-09-29 2002-04-12 Omron Corp 通信機能付機器およびデータ収集システム
KR20150095718A (ko) * 2012-11-30 2015-08-21 임페리얼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유체운반 도관 망을 감시하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62470B (zh) 2019-06-11
KR102136183B1 (ko) 2020-07-22
JP2018173840A (ja) 2018-11-08
JP6857068B2 (ja) 2021-04-14
CN108694013B (zh) 2021-10-22
CN108694013A (zh) 2018-10-23
TW201837700A (zh)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7922B2 (en) Autonomous event logging for drive failure analysis
CN101174473A (zh) 在包括闪存的半导体存储装置中提供块状态信息的方法
CN109684140A (zh) 一种慢盘检测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567670B2 (en) Firmware-based SSD block failure prediction and avoidance scheme
US11500753B2 (en) Multi-non-volatile memory solid state drive block-level failure prediction with unified device log
CN110618892A (zh) 一种固态硬盘的bug定位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20160204997A1 (en) Extracting Log Files From Storage Devices
CN112416670A (zh) 硬盘测试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JP2010204851A (ja) 記憶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CN112673326A (zh) 控制装置及控制程序
JP2011258064A (ja) データ収集記録装置及びデータ収集記録方法
KR102136183B1 (ko)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CN109633331B (zh) 一种数据存储方法和故障录波装置
KR20180111626A (ko) 시계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US20220308548A1 (en)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setting tool, and recording medium
JP4963847B2 (ja) ログ情報管理方式
JP5319985B2 (ja) ストレージ機器の使用限界予想方法又はその使用限界予想装置若しくはその使用限界予想時間解析用プログラム
JP5853596B2 (ja) 半導体ディスク寿命監視装置
CN106484564B (zh) 一种采集数据存储方法
JP4431898B2 (ja) データ記録装置
US9053006B2 (en) Method for memory management
JP2021192491A5 (ko)
JP7358031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寿命予測装置、寿命予測方法、及び寿命予測プログラム
JP4593301B2 (ja) エレベータの故障解析装置
KR20180122409A (ko) 처리 활동 추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