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833A - System for recovering metal comprising removing cyanide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covering metal comprising removing cyan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833A
KR20180110833A KR1020170040653A KR20170040653A KR20180110833A KR 20180110833 A KR20180110833 A KR 20180110833A KR 1020170040653 A KR1020170040653 A KR 1020170040653A KR 20170040653 A KR20170040653 A KR 20170040653A KR 20180110833 A KR20180110833 A KR 20180110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metal
auxiliary
cyanide
electroly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6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영민
김내형
Original Assignee
(주)다남이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남이엔이 filed Critical (주)다남이엔이
Priority to KR1020170040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0833A/en
Priority to PCT/KR2017/003726 priority patent/WO2018182083A1/en
Publication of KR2018011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8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2Electrodes; Connect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8Obtaining noble metals by cyani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1/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 C25C1/2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of noble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 Y02W30/822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l recovering system capable of removing cyanide, comprising: a metal recovering reactor; and a decomposition solution supply portion supplying a decomposition solution capable of decomposing cyanide in the metal recovering reactor, wherein the metal recovering reactor includes an electrolytic cell which is provided with a leachate including metal ions and cyanide from the outside, and reduces and precipitates metal ions of a solution on the surface of a cathode when a reacting space formed between an anode and the cathode surrounding the anode is provided with the solution.

Description

시안화물 제거를 포함하는 금속회수시스템{System for recovering metal comprising removing cyanide}≪ Desc / Clms Page number 1 > System for recovering metal comprising removing cyanide &

본 발명은 시안화물 제거를 포함하는 금속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l recovery system comprising cyanide removal.

반도체 제조공정 등과 같은 전자산업에서 발생하는 폐액, 도금 폐액 또는 세척수 중에는 유용 금속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귀금속이 사용되는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액이나 세척수 중에는 상당량의 귀금속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를 회수하여 재활용할 필요가 있다.It is common that a waste liquid, a plating waste liquid or a washing water generated in an electronic industry such as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contains a useful metal. In particular, since waste water or washing water generated in an industrial process in which a precious metal is used contains a considerable amount of precious metal, it is necessary to recover and recycle the precious metal.

일반적으로 폐액이나 세척수 중에 함유되는 귀금속의 회수방법은 이온교환수지법, 활성탄소법 및 전해채취 방법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회수 후의 용액은 중화처리하여 폐기하거나 정액처리 하여 재순환시켜 사용하기도 한다. In general, the method of recovering precious metals contained in waste liquid or washing water is often adopted by ion exchange resin method, activated carbon method, and electrolytic sampling method. The recovered solution may be neutralized, discarded, or semen treated and recycled.

이들 중 전해채취방법은 귀금속이 함유되어 있는 수용액 또는 침출액을 전해액으로서 전해환원하여 목적하는 귀금속을 음전극면 위에 석출시키는 방법이다. 전해채취방법은 조금속 같은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한 번에 고순도의 금속이 얻어지는 이점과, 전해에 따라서 용매가 재생되어 침출공정에 재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mong them, the electrolytic collection method is a method of electrolytically reducing an aqueous solution or a leaching solution containing a noble metal as an electrolyte to deposit a desired noble metal on a cathode surface. The electrolytic harvesting method has an advantage that a high-purity metal can be obtained at a time without going through a middle step, and the solvent can be regenerated according to electrolysis and can be reused in the leaching step.

그러나 전해채취의 경우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수용액 내의 금속 이온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 적용이 용이하며,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금속이온이 음전극 표면으로 이동되는 속도가 느려 금속의 회수율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electrolytic harvesting, it is easy to apply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metal ion in the aqueous solution is high in spite of this advantage, and when the concentration is low, the rate of the metal ion moving to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is slow, .

또한 폐 PCB 등의 유가금속을 용해하기 위해 시안화합물을 사용하는데, 시안화합물에 의해 전해채취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Further, a cyanide compound is used to dissolve a valuable metal such as waste PCB, but the efficiency of electrolytic collection is lowered by the cyanide compoun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38912 (2012. 12. 27. 공개)Korea Open Patent No. 2012-0138912 (Dec. 27, 201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안화물 제거를 포함하는 금속회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al recovery system including cyanide removal.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안화물 제거를 포함하는 금속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금속회수 반응기; 상기 금속회수 반응기에 시안화물을 분해할 수 있는 분해용액을 공급하는 분해용액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회수 반응기는, 외부로부터 금속이온과 시안화물이 포함된 침출액을 공급받으며, 양전극과 상기 양전극을 둘러싸고 있는 음전극 간에 형성되는 반응공간에 상기 수용액이 공급되면 상기 수용액의 금속이온을 상기 음전극 표면에서 환원 석출하는 전해기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al recovery system including cyanide removal, comprising: a metal recovery reactor; And a decomposition solution supply unit for supplying a decomposition solution capable of decomposing cyanide to the metal recovery reactor, wherein the metal recovery reactor is supplied with an extract solution containing metal ions and cyanide from the outside, And an electrolyzer for reducing and precipitating metal ions of the aqueous solution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when the aqueous solution is supplied to the reac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surrounding negative electrode.

상기 분해용액은 차염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composition solution may include secondary salts.

상기 시안화물은 KCN을 포함할 수 있다.The cyanide may comprise KCN.

상기 금속이온은 금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al ion may include gold ions.

상기 침출액은 폐PCB의 침출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The leach can be obtained through the leaching of waste PCB.

상기 음전극은 주음전극과, 상기 주음전극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주음전극으로부터 탈착가능한 보조 음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may include a main negative electrode and an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disposed inside the main negative electrode and detachable from the main negative electrode.

상기 주음전극은 고리형상이며, 상기 보조 음전극은 판형상이며 권취하여 상기 주음전극 내에 위치할 수 있다.The main negative electrode may have a ring shape, and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may have a plate shape and may be wound and positioned in the main negative electrode.

상기 보조 음전극은 얇은 판상일 수 있다.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may be a thin plate.

상기 보조음전극은 상기 주음전극과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음전극은 상기 주음전극의 내면을 실질적으로 모두 덮고 있을 수 있다.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negative electrode, and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may substantially cover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negative electrode.

본 발명에 따르면 시안화물 제거를 포함하는 금속회수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al recovery system comprising cyanide remov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회수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회수 시스템의 제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해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해기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해기의 양전극 형상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전극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전극의 조립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전해기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IX-IX'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염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염 공급장치의 제어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염 공급장치의 운전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회수 시스템에서 차염 추가에 따른 잔류 금 농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회수 시스템에서 보조탱크 레벨에 따른 운전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회수 시스템에서 고액분리기 세척을 수행하는 운전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ta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trol structure of a meta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y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ly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hape of a positive electrode of an electroly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ssembly of a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ly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X-IX 'in Fig. 8,
10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hromat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 control structure of a decalc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hromat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graph showing the residual gold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the secondary salt in the meta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auxiliary tank level in a meta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performing a solid-liquid separator cleaning in a meta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회수방법에 사용되는 금속회수반응기 및 금속회수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al recovery reactor and a metal recovery system used in the metal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회수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회수 시스템의 제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ta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trol structure of a meta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금속회수 시스템(1)은 전해기(100, 금속회수반응기), 보조탱크(200), 고액분리기(300) 및 수용조(400)를 포함한다. 회수대상인 금속이온 및/또는 금속입자를 포함한 수용액(이하 '수용액')의 이송 및 차단을 위한 펌프(501, 502)와 밸브(601, 602, 603, 60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보조탱크(200)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측정기(210)와 고액분리기(300) 등의 운전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800)가 마련되어 있고, 레벨측정기(210)와 타이머(80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펌프(501, 502)와 밸브(601, 602, 603, 604)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또한 금속회수시스템(1)에는 전해기(100)에 차염을 공급하는 차염 공급장치(900)가 마련되어 있다.The metal recovery system 1 includes an electrolyzer 100 (metal recovery reactor), an auxiliary tank 200, a solid-liquid separator 300, and a receiving tank 400. Pumps 501 and 502 and valves 601, 602, 603, and 604 for transferring and blocking an aqueous solu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queous solution') containing metal ions and / or metal particles to be recovered are provided. A level meter 210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auxiliary tank 200 and a timer 800 for measur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are provided. The level meter 210 and the timer 800 And a controller 7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mps 501 and 502 and the valves 601, 602, 603, and 604 based on the signals. In addition, the metal recovery system 1 is provided with a decontamination supply device 900 for supplying decontamination to the electrolyzer 100.

전해기(100)는 수용조(400)로부터 수용액을 공급받으며, 사이클론 전해채취방법으로 수용액으로부터 금속을 채취(회수)한다. 전해기(100)에 대해서는 다시 자세히 설명한다.The electrolyzer 100 receives an aqueous solution from the water receiving tank 400 and collects (recovers) metals from the aqueous solution by a cyclone electrolytic sampling method. The electrolyze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gain.

보조탱크(200)는 전해기(100)에서 전해채취된 수용액을 공급받는다. 보조탱크는 전해기(100)와 수용조(400) 사이에서 버퍼 역할을 수행하며, 제1펌프(501)와 제2펌프(502)간의 통과유량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운전안정성 문제를 해결한다. 보조탱크(200)에는 레벨센서(210)가 있으며, 레벨센서(210)는 보조탱크(200)의 레벨이 적정범위인지, 상한값 이상인지 또는 하한값 이하인지 센싱한다. 레벨센서(210)는 보조탱크(200)의 전체 무게나 압력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auxiliary tank 200 receives the aqueous solution electrolyzed from the electrolyzer 100. The auxiliary tank serves as a buffer between the electrolyzer 100 and the receiving tank 400 and solves the operational stability problem that may arise from the flow rat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ump 501 and the second pump 502. [ The auxiliary tank 200 has a level sensor 210. The level sensor 210 senses whether the level of the auxiliary tank 200 is within an appropriate range, an upper limit value, or a lower limit value. The level sensor 2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by using the total weight or pressure of the auxiliary tank 200.

고액분리기(300)는 입자 형태의 금속을 수용액으로부터 분리한다. 입자 형태의 금속은 전해기(100)에서 전해채취된 금속이 성장하여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다. 고액분리기(300)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입자를 분리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separates the metal in the form of particles from the aqueous solution. The metal in the form of particles can be generated by the separation and growth of the electrolytically collected metal from the electrolyzer 100.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filter capable of separating particles.

고액분리기(300)에서 금속입자가 분리된 수용액은 수용조(400)로 다시 수용된다.The aqueous solution in which the metal particles are separated in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is received again in the receiving tank 400.

수용조(400)에는 도금과정 등에서 공급된 회수대상 금속을 포함하는 수용액과 전해기(100)와 고액분리기(300)를 거친 회수대상 금속이 회수된 수용액이 합쳐진다. 다른 실시예서는 도금과정 등에서 공급된 수용액과 전해기(100)와 고액분리기(300)를 거친 수용액은 합쳐지지 않고, 전해기(100)와 고액분리기(300)를 거친 수용액은 별도의 설비/공정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In the receiving tank 400,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metal to be recovered supplied from the plating process, an aqueous solution recovered from the recovered metal through the electrolyzer 100 and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are combined. In another embodiment, the aqueous solution supplied through the plating process, the aqueous solution passed through the electrolyzer 100 and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are not combined, and the aqueous solution passed through the electrolyzer 100 and the solid- Lt; / RTI >

금속회수시스템에는 또한 고액분리기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부를 포함한다. 세척부는 세척수 공급부, 밸브(603, 604), 세척수 배출부 및 세척수 라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metal recovery system also includes a wash section capable of washing the solid-liquid separator. The washing section includes a washing water supplying section, valves 603 and 604, a washing water discharging section, and a washing water line.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해기(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3 to 9, the electrolyz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해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해기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해기의 양전극 형상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전극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전극의 조립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제1실시예에 따른 전해기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IX-I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yz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lyz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6 shows the structur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ssembl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FIG. 8.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ly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해기(100)는 전해조(10), 음전극(20, 22) 및 양전극(30)을 구비한다.3 to 9, an electrolyz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tic bath 10, negative electrodes 20 and 22, and a positive electrode 30.

전해조(10)는 후술할 전해채취공정이 진행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해조(10)는 싸이클론 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부(11)와 원추부(15)를 구비한다.The electrolytic bath 10 serve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an electrolytic picking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is per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lytic bath 10 is formed in a cyclone shape and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1 and a conical portion 15.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서 하부까지 직경이 일정하다. 그리고 본체부(11)의 일측에는 후술할 수용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관통하는 유입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액을 유입구(12)로 안내하기 위한 유입포트(13)가 유입구(12)로 연결된다. 또한, 본체부(11)의 일측에는후술할 음전극(20, 22)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공(14)이 마련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1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constant diameter from top to bottom. An inlet 1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1 so as to pass betwee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so that an aqueous solution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troduced. And an inlet port (13) for guiding the aqueous solution to the inlet (12) is connected to the inlet (12). A connection hole 1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1 so that electric wires for applying power to the negative electrodes 20 and 22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본 실시예에서 원추부(15)는 본체부(11)의 하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져서 전체적으로 원추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원추부(15)의 하부에는 본체부(11)로 유입된 수용액이 유출되는 유출구(16)가 마련된다. 그리고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포트(17)가 유출구(16)에 연결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ical portion 15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 and its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o form a conical shape as a whole. And an outlet 16 through which the aqueous solution flowing into the main body 11 flows out is provided below the conical portion 15. [ And an outlet port 17 for discharging the aqueous solution to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outlet 16.

또한, 본체부(11)의 내측 공간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밀폐캡(18)이 마련된다. 즉, 본체부(11)의 상측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밀폐캡(18)의 외주면에도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밀폐캡(18)은 본체부(11)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밀폐캡(18)과 본체부(11) 사이에는 오링(18a)이 개재되어 밀폐성을 확보한다.Further, a sealing cap 1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1 is provided. The sealing cap 18 is screwed to the main body 11. The sealing cap 18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cap 18 by screw threads. An O-ring 18a is interposed between the sealing cap 18 and the main body 11 to ensure airtightness.

밀폐캡(18)에는 상면과 하면 사이를 관통하는 삽입공(18b)이 형성되며, 이 삽입공(18b)에는 후술할 봉 형상의 양전극(30)이 삽입된다. 그리고 이 삽입공(18b)을 둘러싸며 오링(18c)이 개재되어 후술할 양전극(30)과 삽입공(18b) 사이로 기밀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오링(18c)을 밀폐캡(18)의 상면에 압착시켜 기밀성을 강화하도록 밀폐캡(18)의 상부에는 압착캡(19)이 나사결합된다. 압착캡(19)의 중앙에도 관통공(19c)이 형성되어 양전극(30)이 끼워질 수 있다.The sealing cap 18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18b passing through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d a rod-like positive electrode 3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8b. The O-ring 18c surrounds the insertion hole 18b to prevent the airtightness from being released between the anode 30 and the insertion hole 18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mpression cap 19 is screw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ing cap 18 to compress the O-ring 18c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cap 18 to enhance the airtightness. A through hole 19c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mpression cap 19 so that the positive electrode 30 can be f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전극 구조를 설명한다.A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음전극(20, 22)은 전체적으로는 원통형이며 본체부(11)의 내측에 끼워져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음전극(20, 22)은 전체적으로는 상하부 전체에 걸쳐 일정한 직경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The negative electrodes 20 and 22 are generally cylindrical and are fit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 and join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egative electrodes 20 and 22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constant diameter over the entire upper and lower portions as a whole.

음전극(20, 22)은 주음전극(20)과 보조음전극(22)을 포함한다. 주음전극(20)은원통형상이다. 보조음전극(22)은 판상이며, 조립 시 휘게 만들어 주음전극(20) 내부에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주음전극(20)과 보조음전극(22)은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고, 필요시 언제든 탈착이 가능하다.The negative electrodes 20 and 22 include a main negative electrode 20 and an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is cylindrical.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is plate-shaped, and is made to bend during assembly to be mounted inside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and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are not physically coupled an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t any time, if necessary.

주음전극(20)에 형성된 입구부(21)는 본체부(11)의 유입구(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본체부(11)의 유입구(12)와 연통된다. 보조음전극(22)에도 주음전극(20)의 입구부(21)에 대응하는 보조 입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액은 유입구(12), 입구부(21) 및 보조 입구부(23)를 통해 음전극(20, 22)의 내측으로 유입된다.The inlet portion 21 formed in the main cathode electrode 2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port 12 of the main body portion 11 and communicates with the inlet port 12 of the main body portion 11. [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also has an auxiliary inlet portion 23 corresponding to the inlet portion 21 of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metal ions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s 20 and 22 through the inlet 12, the inlet 21 and the auxiliary inlet 23. [

본 발명에서는 수용액이 음전극(20, 22)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전해조(10) 내에서 난류를 형성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수용액이 음전극(20, 22)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입방향이 대략 원통형 음전극의 접선방향이어야 한다. 즉, 원통형 음전극을 원으로 상정하였을 때, 원의 가장자리에서 접선방향으로 유입되어야 한다. 이렇게 접선방향으로 유입되어야만 수용액이 음전극(20, 2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면서 난류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queous solution should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athode electrodes 20 and 22 to form a turbulent flow in the electrolytic bath 10. For this purpo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aqueous solution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cathode electrodes 20 and 22, . That is, when a cylindrical negative electrode is assumed to be a circle, it must flow in a tangential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circle. The turbulence can be formed while the aqueous solution rotat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thode electrodes 20 and 22 only when it flows in the tangential direction.

예컨대, 음전극의 중심을 향해 반경방향을 따라 유입되는 경우 전해조(10) 내에서 난류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For example, when flowing along the radial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negative electrode, turbulence is not formed in the electrolyzer 10, so that a desired effect can not be obtained.

주음전극(20)은 본체부(11)에 형성된 연결공(14)을 통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주음전극(20)과 보조음전극(22)은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보조음전극(22)은 주음전극(20)을 통해 전원과 연결된다.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hrough a connection hole 14 formed in the main body 11. [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and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through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보조음전극(22)은 주음전극(20)과 밀착되어 있으며, 주음전극(20)의 내면을 실질적으로 모두 덮고 있다. 이에 의해 금속이온의 환원 및 석출은 보조음전극(22)의 내부 표면에서 집중적으로 일어난다. 주음전극(20) 내부면에서의 금속이온의 환원 및 석출은 매우 미미하거나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보조음전극(22)의 외부면에서의 금속이온 환원 및 석출도 매우 미미하다.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and substantially covers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Whereby the reduction and precipitation of the metal ions occur intensive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The reduction and precipitation of metal ion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may be very small or substantially not occur. Metal ion reduction and precipita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are also very slight.

금속이온의 환원 및 석출이 미미한 주음전극(20)의 바깥면은 테프론 코팅하여 불필요한 환원 및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보조음전극(22)의 내부면 및 외부면은 귀금속의 석출을 원활하게 하고, 음전극으로부터의 전기전도도 확보를 위해 코팅하지 않는다.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in which the reduction and precipitation of metal ions is insignificant, can be suppressed by unnecessary reduction and precipitation by Teflon coa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smoothly deposit the noble metal and do not coat to secure electrical conductivity from the negative electrode.

전해채취공정이 진행되면 보조 음전극(22)의 내측 표면에서 회수 대상 금속이 석출된다. 공정 후 보조음전극(22)은 용이하게 주음전극(20)으로부터 분리되고 보조 음전극(22)으로부터 금과 같은 회수 대상 금속을 분리하는 후공정이 진행된다. 산에 녹는 금속을 보조음전극(22)으로 사용하면 금이나 백금 같은 귀금속은 산용액에 녹지 않고 보조음전극(22)만 용해되므로 귀금속을 음전극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회수 대상 금속 회수에는 질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공정의 편의를 위해 보조음전극(22)을 자르거나 분쇄 후 산용액 처리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lytic picking process proceeds, the metal to be recovered is deposi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After the process,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and a post-process for separating the target metal such as gold from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proceeds. When the metal dissolving in the acid is used as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the noble metal such as gold or platinum is not dissolved in the acid solution and only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is dissolved, so that the noble metal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negative electrode. Nitric acid may be used for recovering the recovered metal, and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may be cut or pulverized and treated with an acid solution for convenience of the process.

보조음전극(22)은, 예를 들어 철, 아연, 주석, 니켈 또는 구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보조음전극(22)은 특히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탄성을 가져 주음전극(20)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음전극(22)과 주음전극(20)이 밀착되어야 전기전도도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보조음전극(22)은 베릴륨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께는 0.2mm 내지 0.5mm일 수 있다. 또한 석출이 이루어지는 보조음전극(22)의 내부면이 거칠면 석출된 귀금속이 유속에 의해 박리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조음전극(22)의 표면은 경면처리될 수 있다.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may be made of, for example, iron, zinc, tin, nickel or copp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has a particularly thin thickness and is in contact with the negative electrode 20 with elasticity. This is because the electric conductivity can be maintained when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and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For this,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may be made of beryllium copper and may have a thickness of 0.2 mm to 0.5 mm. Further, if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to be deposited is rough, the deposited noble metal can be peeled off by the flow veloci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can be mirror-finished.

주음전극(20)은 보조음전극(22)과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티타늄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stainless steel or titanium.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음전극(22)은 주음전극(20)과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음전극(20) 내부로의 삽입 및 공정 후 분리가 용이하다. 이에 의해, 공정 후에 보조음전극(22)만을 분리하여 표면의 금속을 회수하면 된다. 주음전극(20)은 그대로 유지하고 새로운 보조음전극(22) 만을 삽입하면 새로운 공정이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주음전극(20)에는 금속 석출이 미미하기 때문에 세정 등의 작업이 용이하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is not physically coupled to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it is easy to insert it into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and to separate it after the process. Thereby, only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is separated after the process to recover the surface metal. A new process can be started when the main negative electrode 20 is maintained as it is and only the new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is inserted. In addition, since the main cathode electrode 20 has little metal precipitation, it is easy to work such as cleaning.

한편, 회수 대상 금속의 석출량이 증가하면 석출된 금속이 입자형태로 음전극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금속입자는 고액분리기(300)에서 분리된다. 또한 수지상으로 성장하는 특성을 가진 금속의 경우에는 음전극에서 쉽게 분리되어 고액분리기(300)에서 분리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recipitation amount of the metal to be recovered increases, the precipitated metal can be separated from the negative electrode in the form of particles, and the separated metal particles are separated in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In the case of a metal having a dendritic growth characteristic, the metal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negative electrode and separated in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양전극(30)은 봉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압착캡(19)의 관통공(19c)과 밀폐캡(18)의 삽입공(18b)을 통해 전해조(1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양전극(30)의 상부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positive electrode 30 is elongated in a rod shape and inserted into the electrolytic bath 10 through the through hole 19c of the compression cap 19 and the insertion hole 18b of the sealing cap 18. [ The upper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또한 양전극(3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양전극(30)의 중공부를 통해 전해조(10)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된다. 전해조(10) 내부의 수용액은 원추부(15)로 하강한 후, 일부는 원추부 하측의 유출구(16)를 통해, 나머지 일부는 양전극(30)의 내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lso, the positive electrode 3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with its interior being hollow, and the inside of the electrolytic cell 1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hollow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30. The aqueous solution in the electrolytic bath 10 is lowered to the conical part 15 and then partly discharged through the outflow port 16 on the lower part of the conical part and the other par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30.

양전극(30)의 외표면에는 다수의 그루브(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32)는 양전극(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동일한 폭(d)과 간격(c)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32)는 양전극(30)의 표면적을 넓혀주는 역할을 한다. 그루브(32) 형성은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제조원가가 낮다. 또한 그루브(32)를 형성하는 것은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양전극(30)의 표면적을 넓히기 용이하다. 그루브(32)를 형성하여 양전극(30)의 표면적을 넓히는 것은 회수효율에 영향을 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30, a plurality of grooves 32 are formed. The grooves 3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30 and are formed with the same width d and spacing c. The groove 32 serves to enlarge the surface area of the positive electrode 30. The formation of the grooves 32 has a lower manufacturing cost than that of forming the through holes. In addition, forming the groove 32 facilitates widening the surface area of the positive electrode 30 compared to forming the through hole. Widening the surface area of the positive electrode 30 by forming the grooves 32 affects the recovery efficienc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양전극(30)의 표면적은 그루브(32)의 폭(d), 간격(c) 및 깊이(y)을 변화시켜 조절할 수 있다.The surface area of the positive electrode 30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width d, the gap c and the depth y of the groove 32.

그루브(32)의 형태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 그루브(32)의 폭(d)이 다를 수 있으며, 불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루브(32)는 양전극(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격자형태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루브(32)의 단면도 실시예와 같은 직사각형이 아닌 사다리꼴이나 반원형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grooves 32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another embodiment, the width d of each groove 32 may be different and may be formed at irregular intervals. The grooves 32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30, or may be formed in a lattice shape or the like. The cross section of the groove 32 may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a trapezoidal or semicircular shape other than a rectangular shape as in the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양전극(30)은 티타늄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티타늄 위에 이리듐 옥사이드를 코팅시켜 강도를 증대시킨다. 티타늄에 이리듐 옥사이트를 코팅한 양전극은 강산성 용액이나 강알칼리성 용액에서도 녹지 않고 안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양전극(30)은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이를 백금으로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ve electrode 30 can be made of titanium, and the strength is increased by coating iridium oxide on titanium. The positive electrode coated with iridium oxide on titanium is not dissolved in a strongly acidic solution or a strong alkaline solution and is stably maintained. The positive electrode 30 may be coated with stainless steel or platinum.

전해채취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높은 분해전압이 요구되는데, 예컨대 흑연을 양전극으로 사용하면서 과전압이 걸리는 경우 흑연 양전극은 표면이 약화되어 고속으로 흐르는 유체에 의해 마모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티타늄에 이리듐 옥사이드를 코팅한 전극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에 백금을 코팅한 전극을 사용하면, 자체적인 기계적 강도로 인해 높은 과전압과 빠른 유속에서도 전극이 마모되지 않고 원형 그대로 유지되므로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다.Generally, a high decomposition voltage is required in an electrolytic sampling process. For example, when an overvoltage is applied while graphite is used as a positive electrode, the graphite anode has a weakened surface and is often worn by a fluid flowing at high speed. Howev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electrode coated with iridium oxide or an electrode coated with platinum in stainless steel is used, the electrode is not worn and remains unchanged even at high overvoltage and high oil flow rate due to its own mechanical strength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stability.

본 발명에 따른 전해기(100)가 낮은 금속이온 농도에서도 효과적으로 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것은 본 출원 발명자의 한국공개특허 제2012-0138921호에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The electrolyz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ffectively recovering the metal even at a low metal ion concentration, which is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138921 of the present inventor.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차염 공급장치(900)에 대해 설명한다. The following will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염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염 공급장치의 제어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염 공급장치의 운전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10 shows a configuration of a chromat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shows a control structure of a chromat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lten sal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차염 공급장치(900)는 염수공급부(910), 전해모듈(920), 차염수 탱크(930), 연결배관(951, 952, 953, 954) 및 차염 제어부(940)를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일부의 연결배관(951, 952, 953, 954) 상에는 펌프 및/또는 밸브가 위치하고 있으며, 각종 계측기를 포함한다. 계측기는 타이머, pH미터, 염소농도센서, 염도센서, 온도센서, 유량계 및 레벨센서 등을 포함한다.The supply system 900 includes a brine supply unit 910, an electrolytic module 920, a brine tank 930, connection pipes 951, 952, 953 and 954 and a decontamination control unit 940. Although not shown, pumps and / or valves are located on at least some of the connecting pipes 951, 952, 953 and 954, and include various measuring instruments. The instrument includes a timer, a pH meter, a chlorine concentration sensor, a salinity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flow meter and a level sensor.

염수공급부(910)는 전기분해대상인 염수를 전해모듈(920)로 공급한다. 염수공급부(910)는 일정한 농도의 염수를 공급하거나 소금 탱크를 이용해 염수를 공급할 수 있다. 소금 탱크를 이용할 경우 포화상태의 염수가 공급될 수 있다.The brine supply unit 910 supplies the brine to be electrolyzed to the electrolysis module 920. The brine supply unit 910 may supply brine with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of salt water or may supply salt water using a salt tank. If salt tank is used, saturated salt water can be supplied.

전해모듈(920)은 공급된 염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염수를 생성한다. 전해모듈(920)에는 연결배관(951)을 통해 염수공급부(910)로부터 염수가 공급되거나 연결배관(954)을 통해 차염수 탱크(930)에 저장되어 있는 차염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차염수의 차염 농도는 다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염수와 차염수가 동시에 공급될 수도 있다.The electrolytic module 920 electrolyzes the supplied brine to generate brine. The electrolytic module 920 may be supplied with brine from the brine supply unit 91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951 or the brine stored in the brine tank 93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954. At this time, the concentration of sodium chloride can be varied. In another embodiment, brine and brine may be supplied simultaneously.

즉, 전해모듈(920)에 공급되는 전기분해대상수는 다양한 차염 농도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전기분해대상수는 다양한 염도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전해모듈(920)은 염도 변화에 의해 인가전류가 변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정전류 기능의 정류기를 사용할 수 있다.That is, the electrolysis target water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module 920 may have various concentrations of the decontamination salt. In addition, the electrolysis target number may have various salinity. The electrolytic module 920 can use a rectifier having a constant current function to prevent the applied current from changing due to the salinity change.

전해모듈(920)에서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된 차염수 또는 추가 전기분해를 통해 차염농도가 높아진 차염수는 연결배관(953)을 통해 차염수 탱크(930)로 공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해모듈(920)에서 생성된 차염수를 직접 부하에 공급하는 추가의 연결배관이 있을 수 있다.The electrolytic module 920 electrolyzes the electrolytic water or the electrolytic water, and the electrolytic module 920 electrolyzes the electrolytic water. In another embodiment, there may be additional connecting piping that directly supplies the brine produced in the electrolytic module 920 to the load.

차염수 탱크(930)는 레벨이 측정되고 레벨이 관리된다. 레벨 관리는 여러 방법으로 할 수 있으며, 관리하한레벨과 관리상한레벨을 가질 수 있다. 관리하한레벨은 이 값에 도달하거나 일정시간 내에 이 값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으면 차염수 탱크(930)의 전해수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는 값이다. 관리상한레벨은 이 값에 도달하거나 일정시간 내에 이 값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으며 차염수 탱크(930)에 전해수를 공급하지 않는 값이다.The salt water tank 930 is leveled and the level is managed. Level management can be done in several ways, and can have a lower management level and an upper management level. The lower management level is a value that does not discharge the electrolytic water of the fresh water tank 930 to the outside if it is possible to reach this value or reach this value within a certain time. The upper management level is a value that reaches this value or reaches this value within a certain time and does not supply electrolytic water to the brine tank 930.

차염수 탱크(930)의 차염수는 연결배관(953)을 통해 전해기(100)로 공급된다.The brine of the brine tank 930 is supplied to the electrolyzer 10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953.

제어부(940)는 계측기의 측정값, 예를 들어 차염수의 차염 농도와 레벨을 기초로 밸브나 펌프 등을 제어하여 부하의 살균, 차염수 탱크(930)의 레벨, 전해모듈(920)의 운전시간 및/또는 차염수의 차염 농도 등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940 controls the valve, the pump, and the like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meter, for example, the concentration and level of the decontamination of the deionized water to control the sterilization of the load, the level of the deionized water tank 930, Time and / or the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 of the brine.

도 12를 참조하여 제어부(940)의 제어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control unit 9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염수공급 및 전기분해를 통해 차염수를 생성한다(S10).First, the brine is supplied through salt water supply and electrolysis (S10).

생성된 차염수는 차염수 탱크(930)로 주입되고 일정 조건이 되면 전해기(100)로 공급한다(S20). 여기서 일정조건은 차염수 탱크(930)의 레벨이 일정수준 이상이 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차염수 공급을 위한 일정 조건은 전해기(100)의 운전상황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The generated deionized water is injected into the deionized water tank 930 and supplied to the electrolyzer 100 at a predetermined condition (S20). Here,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mean that the level of the brine tank 930 is above a certain level. Howeve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for supplying the brine may vary depending on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ctrolyzer 100 and the like.

차염 제어부(940)는 차염수의 차염 농도와 차염수 탱크(930)의 레벨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고농도 차염 생산 여부를 결정한다(S30).The decontamination controller 940 determines whether to produce high concentration decontamination on the basis of the decontamination concentration of the decontamination water and the level measurement result of the decontamination tank 930 (S30).

고농도 차염수 생산은 전해모듈(920)에 차염수 탱크(930)의 차염수를 공급하여 더 높은 농도의 차염수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는 차염수의 염도가 충분히 높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전기분해시 차염제조에 사용되는 소금은 소량이기 때문에, 1차 생성된 차염수의 염도는 최초 염수의 염도와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1차 생성된 차염수를 전기분해하면 더 높은 농도의 2차 차염수를 생산할 수 있으며, 2차 차염수를 전기분해하면 또 다시 더 높은 농도의 3차 차염수를 생산할 수 있다.The production of high concentration of brine produces the brine water of the brine tank 930 to the electrolysis module 920 to produce brine of higher concentration.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salinity of the brine is sufficiently high. That is, since the amount of salt used in the electrolytic decomposition is small, the salinity of the primary generated brine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salinity of the original brine. Therefore, electrolysis of the primary generated brine can produce a higher concentration of secondary brine, and electrolysis of the secondary brine can produce a higher concentration of tertiary brine.

이상의 방법으로 실제 고농도의 차염수를 제조한 결과는 표 1과 같다.Table 1 shows the results of the actual high concentration of deionized water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5회까지 차염수를 생산한 경우 염도와 염소농도 변화를 실험하였다. 실험조건은 다음과 같다.Changes in salinity and chlorine concentration were tested when the salt water was produced up to 5 time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re as follows.

전극셀 구조 ; 240㎜ㅧ220㎜의 크기, Ti 위에 IrO 코팅한 전극 3장을 복극으로 구성Electrode cell structure; 240 mm ㅧ 220 ㎜ size, composed of 3 electrodes of IrO coated on Ti

초기 조건 ; 염도 3% 내외의 염수 1,100㎖, 전류 130A, 전압 11 내지 12VInitial conditions; 1,100 ml of saline having a salinity of about 3%, a current of 130 A, a voltage of 11 to 12 V

순환 조건 ; 별도로 염수를 공급하지 않고 생성된 차아염소산을 포함한 살균수를 사용하며, 유량은 약 1,000㎖, 전류 130A, 전압 11.5 내지 12.5VCirculation condition; Sterilized water containing hypochlorous acid produced separately without supplying brine was used, and the flow rate was about 1,000 ml, a current of 130 A, a voltage of 11.5 to 12.5 V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횟수Number of times 염도(%)Salinity (%) 염소농도(ppm)Chlorine concentration (ppm) 1회1 time 2.82.8 1,6001,600 2회Episode 2 2.62.6 3,4003,400 3회3rd time 2.62.6 4,2004,200 4회4 times 2.52.5 5,2005,200 5회5 times 2.52.5 5,4005,400

표 1을 보면 전해 횟수에 따라 염수농도는 크게 감소하지 않으면서 차염수의 차염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concentration of sodium chloride in the salt water is steadily increasing without decreasing the salt concentration by the number of electrolysis.

차염 제어부(930)가 고농도 차염수 생산 조건에 부합하다고 판단되면 연결배관(954)을 통해 차염수 탱크(930)의 차염수를 전해모듈(920)에 공급한다(S4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inage control unit 930 is in conformity with the high concentration brine production condition, the brine of the brine tank 930 is supplied to the electrolysis module 92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954 (S40).

고농도 차염수 생산을 결정하는 기준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염수 탱크(30)의 레벨이 일정 수준 이상이며, 차염수의 차염 농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것이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전해기(100)의 운전조건, 예를 들어, 운전 정지 여부 등도 기준이 될 수 있다.Criteria for determining the production of high-concentration brine can vary widely. For example, it may be a standard that the level of the brine tank 30 is higher than a certain level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brine salt of the brine is lower than a certain level. Also,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ctrolyzer 100, for example,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is stopped can be a standard.

이상 설명한 금속 회수 시스템을 이용한 금속회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metal recovery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metal recovery system will be described.

수용조(400)의 침출액(회수대상용액)은 제1펌프(501)에 의해 전해기(100)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전해기(100)의 유입구(12)를 통해 전해기(100) 내부로 공급된다. 전해기(100)의 음전극(20, 22)과 양전극(30)에는 각각 전원이 연결되어 있다.The liquid (the liquid to be recovered) of the receiving tank 400 is supplied to the electrolyzer 100 by the first pump 501. Specifically, the water is supplied into the electrolyzer 100 through the inlet 12 of the electrolyzer 100. Power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s (20, 22) and the positive electrode (30) of the electrolyzer (100).

침출액을 전해기(100) 내부로 유입시킬 때 유입속도는 2 ~ 10 m/sec 의 범위이다. 2m/sec 미만으로 유입되면 음전극 내에서 난류를 발생시키지 못하므로 원하는 성과를 얻을 수 없으며, 10m/sec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The inflow rate when the leach solution is introduced into the electrolyzer 100 is in the range of 2 to 10 m / sec. If the flow rate is less than 2 m / sec, the desired result can not be obtained because the turbulence is not generated in the negative electrode. If the flow rate is more than 10 m / sec, it is not economical.

침출액은 음전극(20, 22)의 접선방향으로 유입되어 음전극(20, 2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하강하고, 원추부(15)에서 일부는 유출구(16)를 통해 배출되고 일부는 양전극(30)의 중공부 내측으로 유입 및 상승되어 배출된다. 이렇게 싸이클론 형태의 전해조에서 접선방향으로 유입된 침출액은 전해조의 하부에서 상승류를 형성하면서 양전극 내부를 통해 배출된다.The leachate flows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s 20 and 22 and descends while rotat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s 20 and 22 so that part of the leachat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flow port 16, And is discharged. In this way, the leaching solution flowing in the tangential direction in the cyclone type electrolytic cell is discharged through the in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while forming a rising current in the lower part of the electrolytic cell.

전해조 내부의 침출액을 통해 양전극(30)과 음전극(20, 22)은 상호 통전되고, 금, 은, 백금과 같은 금속 이온은 음전극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받아 환원되면서 보조음전극(22) 표면에서 고체 상태로 석출된다.The positive electrode 30 and the negative electrodes 20 and 22 are energized through the leaching solution in the electrolytic cell and metal ions such as gold, silver and platinum are reduced by receiving electrons emitted from the negative electrode, .

기존의 전해채취에서는 일반적으로 침출액 내의 금속 이온이 3g/L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 전해채취를 통한 금속의 회수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침출액 내의 금속 이온 농도가 0.3g/L 이하에서도 전해채취가 가능한데, 이는 싸이클론 방식의 전해조가 사용되어 금속 이온의 이동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In the conventional electrolytic harvesting, metal recovery through electrolytic harvesting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hen metal ions in the leaching solution are present in an amount of 3 g / L or mor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a cyclone-type electrolytic cell is used and the migration speed of metal ions is fast.

침출액은 전해조 내부에서 난류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난류의 형성은 유속을 나타내는 무차원 상수 레이놀즈 수(Reynolds number, Re)와 물질이동을 나타내는 무차원 상수 셔우드 수(Sherwood number, Sh)와의 관계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The leachate forms a turbulent flow in the electrolytic cell. The formation of this turbulence is also confirm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dimensional constant Reynolds number (Reynolds number, Re) representing the flow rate and the dimensionless constant Sherwood number (Sherwood number, Sh) .

난류 형성은 사이클론이 갖는 고유한 기하학적 특징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난류에서는 금속 이온의 물질이동(mass transfer)이 급격히 빨라지게 된다. 즉, 금속 이온이 확산(diffusion)하는 거리인 확산층(diffusion layer)이 얇아지기 때문에 금속이온이 음극 표면으로 확산해 가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져 반응속도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특히 난류가 가지는 고유한 특징인 금속 이온이 변칙적 요동(random fluctuation)을 하게 되어 이것이 금속 이온을 순간적으로 음극 표면으로 이동시켜 물질이동을 급격히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urbulent formation is due to the inherent geometry of the cyclone. In this turbulent flow, the mass transfer of the metal ions is rapidly accelerated. That is, since the diffusion layer, the diffusion distance of the metal ions, becomes thinner, the diffusion distance of the metal ions to the surface of the cathode is relatively shortened and the reaction rate is increased. In particular, metal ions, which ar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urbulence, randomly fluctuate, which moves the metal ions instantaneously to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thereby rapidly increasing the mass transfer.

전해과정을 거친 후 전해기(100)의 유출구(16)와 양전극(30)의 내측을 통해 배출된 침출액은 보조탱크(200)로 공급된다. 보조탱크(200)는 전해기(100)와 수용조(400) 사이에서 버퍼역할을 수행한다. 즉, 전해기(100)에 침출액을 공급하는 펌프(501)의 통과유량과 전해기(100)로부터 수용조(400)에 침출액을 공급하는 펌프(502) 간의 통과유량이 일치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공정불안정을 해소하는 것이다.After the electrolysis process, the leachat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6 of the electrolyzer 100 and the in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30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tank 200. The auxiliary tank 200 serves as a buffer between the electrolyzer 100 and the receiving tank 400. This is because the flow rate of the pump 501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electrolyzer 100 and the flow rate of the liquid between the electrolyzer 100 and the pump 502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receiving tank 400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reby eliminating the process instability.

보조탱크(200)의 침출액은 제2펌프(502)에 의해 고액분리기(300)로 공급된다. 고액분리기(300)에서는 침출액 중 금속입자를 분리하여 수용조(400)에 액상만이 공급되도록 한다. The leachate of the auxiliary tank 200 is supplied to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by the second pump 502. In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the metal particles in the leach solution are separated and only the liquid phase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tank (400).

일정 시간 운전 후 공정을 정지시킨 후 전해기(100)에서 보조 음전극(22)에 전착된 금속과 고액분리기(300)에서 분리된 금속을 회수하고 다시 운전한다.After the operation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etal recovered from the metal electrodeposited on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22 and the metal separated from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in the electrolyzer 100 is operated again.

이상 설명한 금속회수 공정에서는 보조탱크(200)에 의해 연속운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경제성이 매우 높아진다. 또한 고액분리기(300)를 이용하여 음전극(20, 22)에서 분리되기 쉬운 금속을 효과적으로 회수하고, 연속운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전해기(100)와 고액분리기(300)를 동시에 사용하여 회수 특성이 다른 2가지 이상의 성분을 가진 침출액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metal recovery step, continuous operation is stably performed by the auxiliary tank 200,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very high. In addition, by using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metals which are liable to be separated from the cathode electrodes 20 and 22 are effectively recovered, and the continuous operation is stably performed. Also, the electrolytic cell 100 and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to effectively treat the leaching solution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having different recovery characteristics.

한편, 침출액에는 시안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시안화합물은 폐PCB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 특히 금과 같은 귀금속을 침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런데, 침출액에 시안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전해기(100)의 음극(20)에 전해석출된 귀금속이 시안화합물에 의해 재용해되어 귀금속 회수가 어려워진다.On the other hand, the leaching solution may contain a cyanide compound. Cyanide compounds are used to leach metals contained in waste PCBs, especially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However, when the leaching solution contains a cyanide compound, the noble metal electrolytically deposited on the cathode 20 of the electrolyzer 100 is redissolved by the cyanide compound, making it difficult to recover the noble metal.

따라서 시안화합물을 제거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시안화합물을 분해할 수 있는 분해용액을 사용하며, 구체적으로는 차염 공급장치(900)에서 차염을 공급하여 시안화합물을 분해한다. 차염에 의해 시안화합물은 시안산으로 산화된 후 이산화탄소와 질소로 산화된다.Therefore, the cyanide compound should be remo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composition solution capable of decomposing the cyanide compound is used. Specifically, the cyanide compound is decomposed by supplying decahydrate in the decahydrate supply device 900. The cyanide compound is oxidized by cyanide to cyanogen and then to carbon dioxide and nitrogen.

차염 공급에 따른 귀금속 회수 거동은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다.The noble metal recovery behavior according to the supply of the decahydrate is as shown in Fig.

실험에서는 시안화합물로 KCN을 사용하였으며, 0분, 10분, 30분, 60분, 120분, 240분 및 480분에서 침출액의 금 잔류농도(ppm)을 관찰하였다. 침출액량은 7.4리터, 유량은 10리터/분, 유속은 5.03미터/초, 인가전류는 3.5A였다. 침출액 중에 차염농도는 5000 내지 5100ppm이었다.In the experiment, KCN was used as a cyanide and the residual gold concentration (ppm) of the leachate was observed at 0, 10, 30, 60, 120, 240 and 480 min. The amount of the leach solution was 7.4 liters, the flow rate was 10 liters / min, the flow rate was 5.03 meters / sec, and the applied current was 3.5A. The sodium salt concentration in the leach solution was 5000 to 5100 ppm.

1kg의 KCN 당 1.0 내지 2.0kg의 차염을 투입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인 회수 거동을 보여주었다. 즉 차염을 시안화합물 무게의 1배 내지 2배 넣었을 때 귀금속 회수 효율이 우수한 것이다.The most effective recovery behavior was shown when 1.0 to 2.0 kg of secondary salt per kg of KCN was added. That is, the efficiency of recovery of noble metal is excellent when the titration salt is put in one to two times the weight of the cyanide compound.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정상상태에서의 공정과 다른 보조탱크(200)의 레벨에 문제가 있는 경우와 고액분리기(300)를 세척할 경우의 운전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problem in the level of the auxiliary tank 200 different from the process in the steady state described above, and the operation in the case where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is cleaned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4를 참조하여 보조탱크(200)의 레벨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4, a case where there is a problem in the level of the auxiliary tank 200 will be described.

정상적인 운전(S100) 과정에서도 펌프(501, 502) 간의 통과유량의 차이에 의해 보조탱크(200)의 유량은 변화한다. 전해기(100)로 공급되는 유량보다 고액분리기(300)로 공급되는 유량이 많으면 보조탱크(200)의 레벨을 계속 감속하고, 반대의 경우 보조탱크(200)의 레벨이 계속 증가하게 된다. 감소된 레벨과 증가된 레벨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보조탱크(200)는 적절한 버퍼 역할을 할 수 없다.In the normal operation (S100), the flow rate of the auxiliary tank 200 change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between the pumps 501 and 502. The level of the auxiliary tank 200 is continuously decelerated when the flow rate supplied to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is higher than the flow rate supplied to the electrolyzer 100, and conversely, the level of the auxiliary tank 200 continuously increases. When the reduced level and the increased level are above a certain level, the auxiliary tank 200 can not function as a proper buffer.

제어부(700)는 보조탱크(200)의 레벨센서(210)로부터 레벨값을 입력 받아 레벨이 설정되어 있는 하이와 로우 레벨 사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The controller 700 receives the level value from the level sensor 210 of the auxiliary tank 2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level is between a high level and a low level at which the level is set (S110)

레벨값이 로우 이하로 매우 낮은 경우, 제어부(700)는 고액분리기(300)로 수용액을 공급하는 제2펌프(502)의 작동을 중지한다(S120). 이에 의해 보조탱크(200)의 레벨이 증가한다. 일정시간 경과 후, 제어부(700)는 다시 레벨을 판단하여 하이와 로우 레벨 사이에 있다면 제2펌프(502)를 작동시켜 정상운전(S140)한다. If the level value is very low, which is below the low level, the controller 7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pump 502 for supplying the aqueous solution to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S120). As a result, the level of the auxiliary tank 200 increases.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controller 700 determines the level again and operates the second pump 502 to operate normally (S140) if the level is between the high level and the low level.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700)는 제2펌프(502)의 작동을 중지한 후 보조탱크(200)의 레벨이 로우와 하이 사이의 일정수준(예를 들어, 50%, 60%, 70% 등)이 되면 펌프(502)를 재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502)의 작동을 중지하지 않고 작동유량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The controller 700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second pump 502 so that the level of the auxiliary tank 200 i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e.g., 50%, 60%, 70%, etc.) ), The pump 502 can be reactivated.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operation flow rate without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502.

레벨값이 하이 이상으로 매우 높은 경우, 제어부(700)는 전해기(100) 수용액을 공급하는 제1펌프(501)의 작동을 중지한다(S130). 이에 의해 보조탱크(200)의 레벨이 감소한다. 일정시간 경과 후, 제어부(700)는 다시 레벨을 판단하여 하이와 로우 레벨 사이에 있다면 제1펌프(501)를 작동시켜 정상운전(S140)한다. If the level value is extremely high or higher, the controller 7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mp 501 that supplies the aqueous solution of the electrolyzer 100 (S130). Whereby the level of the auxiliary tank 200 is reduc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controller 700 determines the level again and operates the first pump 501 to perform normal operation (S140) if the level is between the high level and the low level.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700)는 제1펌프(501)의 작동을 중지한 후 보조탱크(200)의 레벨이 로우와 하이 사이의 일정수준(예를 들어, 30%, 40%, 50% 등)이 되면 제1펌프(501)를 재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펌프(501)의 작동을 중지하지 않고 작동유량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The controller 7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mp 501 so that the level of the auxiliary tank 200 i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e.g., 30%, 40%, 50%, etc.) ), The first pump 501 can be restarted. 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operation flow rate without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mp 501.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600)는 보조탱크(200)의 레벨이 낮을 경우, 제1펌프(501)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제2펌프(502)의 유량을 감소시키고, 보조탱크(200)의 레벨이 높을 경우에는, 펌프(501)의 유량을 감소시키고 펌프(502)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절은 보조탱크(200)의 레벨이 일정수준(예를 들어, 40%, 50%, 60% 등)이 되도록 항시 수행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600 may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first pump 501 and reduce the flow rate of the second pump 502 when the level of the auxiliary tank 200 is low, When the level is high, the flow rate of the pump 501 can be decreased and the flow rate of the pump 502 can be increased. This adjustment may also be performed at any time so that the level of the auxiliary tank 200 becomes a certain level (for example, 40%, 50%, 60%, etc.).

이상과 같은 보조탱크(200)의 레벨제어에 의해 보조탱크(200)의 버퍼역할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연속공정의 신뢰도가 향상된다.By the level control of the auxiliary tank 200 as described above, the buffering function of the auxiliary tank 200 can be stably maintain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continuous process.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고액분리기(300)를 세척하는 경우의 운전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washing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정상운전 중 제어부(600)의 세척개시의 판단(S200)에 의해 세척운전이 시작된다. 제어부(600)은 타이머(800)로부터 입력받은 시간정보에 근거해 일정 운전 시간마다 세척개시를 판단할 수 있다. During the normal operation, the cleaning operation is started by the determination of the start of cleaning of the control unit 600 (S200). The control unit 600 can determine the start of the cleaning operation every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imer 800.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600)는 고액분리기(300)의 압력 등을 기초로 세척개시를 판단할 수 있으며(압력이 일정수준 이상되면 세척개시), 세척개시의 판단에 수용액의 금속 농도(금속 농도가 높으면 더 빨리 세척개시)를 고려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600 can determine the start of cleaning based on the pressure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when the pressure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the control unit 600 determines whether the metal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solution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the faster the cleaning is started).

세척개시가 판단되면 먼저 전해기(100)에 수용액을 공급하는 제1펌프(501)과 보조탱크(200)의 출구에 마련된 제1밸브(601)를 오프한다(S210). 이어서, 고액분리기(300)에 수용액을 공급하는 제2펌프(502)와 고액분리기이 출구에 마련된 제2밸브(602)를 오프한다(S220). 이에 의해 전해기(100)와 고액분리기(300)에서는 수용액 흐름이 없어진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rt of cleaning is started, the first pump 501 for supplying the aqueous solution to the electrolyzer 100 and the first valve 601 provided at the outlet of the auxiliary tank 200 are turned off (S210). Subsequently, the second pump 502 for supplying the aqueous solution to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and the second valve 602 provided at the outlet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are turned off (S220). Thereby, in the electrolyzer 100 and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the aqueous solution flow disappears.

다음으로 세척부를 가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세척수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3밸브(603), 고액분리기(300)에 연결된 제2펌프(502) 및 세척수 배출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4밸브(604)를 온시킨다(S230). 이에 의해 세척수가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고액분리기(300)로 공급되어 고액분리기(300)를 세척한 후 세척수 배출부로 배출되는 세척과정이 진행된다(S240).Next, the cleaning unit is operated. Specifically, the third valve 603 connected to the wash water supply unit, the second pump 502 connected to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and the fourth valve 604 connected to the wash water discharge unit are turned on (S230) . Thereby,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to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washed with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and discharged to the washing water discharging unit (S240).

세척이 완료되면, 제3밸브(603)를 오프하여 세척수 공급을 중단하고 제2펌프(502)도 오프시키고, 제4밸브(604)도 오프시킨다(S250). 이에 의해 세척수공급부와 세척수배출부는 고액분리기(300)와 분리되어, 세척부의 가동이 중지된다.When the cleaning is completed, the third valve 603 is turned off to stop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the second pump 502 is turned off, and the fourth valve 604 is turned off (S250). Thereby, the washing water supply part and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art are separated from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and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part is stopped.

이상과 같은 세척 공정을 완료한 이후에는 정상상태 운전(S260)을 실시한다.After completing the clean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normal operation (S260) is performed.

이상 설명한 금속회수시스템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특히 운전안정성 및 운전연속성을 위해 전해기(100) 및/또는 고액분리기(300)를 병렬로 복수 개 마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al recovery system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the electrolyzer 100 and / or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may be provided in parallel for operation stability and operation continuity.

전해기(100)를 병렬로 마련할 경우 어느 하나의 전해기(100)로부터 전착된 금속을 회수할 경우, 다른 전해기(100)를 이용하여 연속공정을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lyzer 100 is provided in parallel, when a metal electrodeposited from one electrolyzer 100 is recovered, the continuous process can be maintained using another electrolyzer 100.

고액분리기(300)를 병렬로 마련할 경우 어느 하나의 고액분리기(300)를 세척 또는 필터로부터 금속을 회수하는 경우에도 다른 고액분리기(300)를 사용하여 연속공정을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solid-liquid separator 300 is provided in parallel,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ntinuous process by using another solid-liquid separator 300 even in the case of cleaning one solid-liquid separator 300 or recovering metal from the filter.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9)

시안화물 제거를 포함하는 금속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금속회수 반응기;
상기 금속회수 반응기에 시안화물을 분해할 수 있는 분해용액을 공급하는 분해용액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회수 반응기는,
외부로부터 금속이온과 시안화물이 포함된 침출액을 공급받으며, 양전극과 상기 양전극을 둘러싸고 있는 음전극 간에 형성되는 반응공간에 상기 수용액이 공급되면 상기 수용액의 금속이온을 상기 음전극 표면에서 환원 석출하는 전해기를 포함하는 금속회수 시스템.
A metal recovery system comprising cyanide removal,
Metal recovery reactor;
And a decomposition solution supply unit for supplying a decomposition solution capable of decomposing cyanide to the metal recovery reactor,
The metal recovery reactor includes:
And an electrolyzer for reducing and precipitating the metal ion of the aqueous solution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when the aqueous solution is supplied to the reac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surrounding the positive electrode and supplied with the leaching solution containing the metal ion and the cyanide from the outside, Metal recover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용액은 차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회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omposition solution comprises a secondary sal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안화물은 KC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회수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RTI ID = 0.0 > 1, < / RTI > wherein the cyanide comprises KC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은 금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회수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etal ion comprises gold io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액은 폐PCB의 침출을 통해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회수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each liquor is obtained through leaching of waste PCB.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극은 주음전극과, 상기 주음전극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주음전극으로부터 탈착가능한 보조 음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회수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negative electrode includes a main negative electrode and an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disposed inside the main negative electrode and detachable from the main negative electro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음전극은 고리형상이며,
상기 보조 음전극은 판형상이며 권취하여 상기 주음전극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회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ain negative electrode is annular,
Wherein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is in a plate shape and is wound and positioned in the main negative electro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음전극은 얇은 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회수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is in the form of a thin pla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음전극은 상기 주음전극과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음전극은 상기 주음전극의 내면을 실질적으로 모두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회수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negative electrode,
And the auxiliary negative electrode covers substantially all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negative electrode.
KR1020170040653A 2017-03-30 2017-03-30 System for recovering metal comprising removing cyanide KR2018011083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653A KR20180110833A (en) 2017-03-30 2017-03-30 System for recovering metal comprising removing cyanide
PCT/KR2017/003726 WO2018182083A1 (en) 2017-03-30 2017-04-05 Metal recovery method including cyanide removal and metal recovery syste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653A KR20180110833A (en) 2017-03-30 2017-03-30 System for recovering metal comprising removing cyan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833A true KR20180110833A (en) 2018-10-11

Family

ID=6386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653A KR20180110833A (en) 2017-03-30 2017-03-30 System for recovering metal comprising removing cyani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083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5067A (en) * 2020-07-09 2020-10-13 柳州市中联机械有限公司 Collecting, sucking and conveying system for electrolytic manganese metal anode mu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5067A (en) * 2020-07-09 2020-10-13 柳州市中联机械有限公司 Collecting, sucking and conveying system for electrolytic manganese metal anode mu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60778A1 (en) Metal recovery reactor and metal recovery system
KR101416429B1 (en) Reactor for Recovering Metal and System for Recovering Metal
US8986519B2 (en) Electrowin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useful metals from aqueous solutions
CN110422948A (en) Copper sulphate Sewage treatment metallic copper treatment process is electroplated
KR101611951B1 (en) Method for Recovering Metal
JP2017530004A (en) Electrocoagulation reactor
KR1008746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ated jewerly recovering
KR20180110833A (en) System for recovering metal comprising removing cyanide
KR20180110834A (en) Method for recovering metal comprising removing cyanide
KR101891906B1 (en) Seawater electrolysis system and electrolytic solution infusion method
TWI652230B (en) Gold-containing iodine-based etching solu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JP20051878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copper from copper etching waste solution by electrolysis
KR101545245B1 (en) Device for regeneration of etchant and copper recovery using rgb color sensor and orp sensor
JP4501726B2 (en) Electrowinning of iron from acidic chloride aqueous solution
JPS6338435B2 (en)
KR102195794B1 (en) Electrolytic Apparatus for recovering metal
KR101961251B1 (en)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wastewater containing cyanide and heavy metal
KR101912205B1 (en) electrolysis-electrodeposition bath for water treatment
JPS5919994B2 (en) Method for producing metal powder from dilute solution of metal
KR101416428B1 (en) Reactor for Recovering Metal, System for Recovering Metal and Method for Recovering Metal
JP2006305487A (en) Electrolytic nitrogen removal system
CN102134120A (en) Method f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in acidic waste liquid
Kim et al. Electrowinning of palladium using a modified cyclone reactor
JP2005270779A (en) Separation method for heavy metal and separation apparatus therefor
KR101461502B1 (en) System for Recovering Metal using Electrolysis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Metal using Electrolysis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