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519A -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519A
KR20180110519A KR1020170040195A KR20170040195A KR20180110519A KR 20180110519 A KR20180110519 A KR 20180110519A KR 1020170040195 A KR1020170040195 A KR 1020170040195A KR 20170040195 A KR20170040195 A KR 20170040195A KR 20180110519 A KR20180110519 A KR 20180110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body
lever
adjusting
cathete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3920B1 (ko
Inventor
박의준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0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92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9/041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Strength or flexi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6Handl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Strength or flexi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 A61M2025/0081Soft tip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로서,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로서,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카테터 바디, 2개 이상의 선으로서, 각각의 일단이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의 2개 이상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고정부로부터, 상기 카테터 바디 선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동한 지점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인입홀을 통하여 각각이 상기 카테터 바디 내부로 인입되는 유도선, 및 상기 카테터 바디의 선단에 연결되며, 외면에 조절 레버가 배치된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레버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에 고정된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로서,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카테터 바디, 2개 이상의 선으로서, 각각의 일단이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의 2개 이상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고정부로부터, 상기 카테터 바디 선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동한 지점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인입홀을 통하여 각각이 상기 카테터 바디 내부로 인입되는 유도선, 및 상기 카테터 바디의 선단에 연결되며, 외면에 조절 레버가 배치된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1)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인 카테터 바디가,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단계, 및 (2) 상기 조절 레버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에 고정된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따르면, 카테터 바디, 2개 이상의 선으로서, 각각의 일단이 카테터 바디 말단의 2개 이상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2개 이상의 고정부로부터 카테터 바디 선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동한 지점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인입홀을 통하여 각각이 카테터 바디 내부로 인입되는 유도선, 및 조절 레버 및 조절 레버와 함께 회전되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이 연결된 연결 레버가 배치된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조절 레버의 회전에 따른,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의 위치의 조절에 의해,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 레버 및 연결 레버와 함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톱니, 및 톱니의 홈에 걸리게 하기 위한 돌출부가 배치된 돌출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돌출부가 톱니의 홈에 걸린 상태로 톱니가 고정되도록 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 조절을 위하여 조절 레버가 회전된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톱니에 걸린 돌출부에 의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복잡한 구조를 갖는 방향 조절이 가능한 카테터와는 달리, 간단한 구조를 갖는 비교적 저렴한 카테터로 구성됨으로써, 의료 시설에서 카테터를 재사용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환자들의 2차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CATHETER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DISTAL ANGLE OF THE CATHETER BODY USING AN ADJUSTMENT LEVER AND METHOD OF USING SAME}
본 발명은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catheter)는 관 모양 기구의 일반적 명칭의 하나로서, 체강 또는 내강이 있는 장기 내로 삽입하기 위한 튜브형의 장치를 의미한다. 카테터는 체강이나 각종 기관 내의 저류물의 배출, 세정용 관류액의 흡인, 심혈행 동태나 중심정맥압 등의 측정, 약물이나 조영제의 체내 주입 등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 크기, 형태로 구성될 수가 있다.
카테터를 이용하는 치료에 있어서, 카테터가 목표하는 혈관을 찾아 들어가게 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이는 사람들의 혈관 위치, 방향, 각도가 각각 상이하기 때문이다. 특히, 기존의 카테터는 가늘고 긴 튜브 형상으로 튜브의 방향 조절이 불가하거나, 방향 조절이 가능한 경우라 하더라도, 튜브가 일정 각도로만 굽어질 수 있었기 때문에, 혈관 상황에 따라 필요한 정도로 카테터 튜브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굽어있는 카테터들을 필요에 따라 교체해가면서 이용하고 있으나, 앞서 언급했듯이, 사람들마다 구조가 다른 혈관의 특성상, 여러 종류의 카테터를 이용하더라도 목표하는 혈관으로의 진입이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며,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카테터를 교체해가면서 이용하는 것으로 인하여 시술 시간 및 시술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 사용되고 있는 양방향으로의 방향 조절이 가능한 카테터는, 카테터를 구성하는 부품수의 증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있으며, 카테터 자체가 고가의 의료 장치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의료 시설에서 카테터를 재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환자들의 2차 감염의 위험이 존재하게 되는 등 각도 조절 카테터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6-0113360호(발명의 명칭: 카테터 및 카테터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카테터 바디, 2개 이상의 선으로서, 각각의 일단이 카테터 바디 말단의 2개 이상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2개 이상의 고정부로부터 카테터 바디 선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동한 지점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인입홀을 통하여 각각이 카테터 바디 내부로 인입되는 유도선, 및 조절 레버 및 조절 레버와 함께 회전되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이 연결된 연결 레버가 배치된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조절 레버의 회전에 따른,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의 위치의 조절에 의해,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 레버 및 연결 레버와 함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톱니, 및 톱니의 홈에 걸리게 하기 위한 돌출부가 배치된 돌출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돌출부가 톱니의 홈에 걸린 상태로 톱니가 고정되도록 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 조절을 위하여 조절 레버가 회전된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톱니에 걸린 돌출부에 의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존의 복잡한 구조를 갖는 방향 조절이 가능한 카테터와는 달리, 간단한 구조를 갖는 비교적 저렴한 카테터로 구성됨으로써, 의료 시설에서 카테터를 재사용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환자들의 2차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는,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로서,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로서,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카테터 바디;
2개 이상의 선으로서, 각각의 일단이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의 2개 이상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고정부로부터, 상기 카테터 바디 선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동한 지점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인입홀을 통하여 각각이 상기 카테터 바디 내부로 인입되는 유도선; 및
상기 카테터 바디의 선단에 연결되며, 외면에 조절 레버가 배치된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레버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에 고정된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기 조절 레버;
상기 조절 레버의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 레버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조절부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이 연결된 연결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연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 레버에 연결된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부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톱니; 및
상기 조절부 내부에, 상기 톱니와 수직되게 배치된 돌출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 레버는, 상기 톱니의 홈에 걸리게 하기 위한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톱니의 홈에 상기 돌출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상기 톱니의 홈에 걸린 상태로 상기 톱니가 고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축 하나에는, 상기 조절 레버, 상기 연결 레버, 상기 톱니 및 상기 돌출 레버가 각각 하나씩 연결되어, 각각의 개수는 동일하며, 상기 회전축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선이 2개인 경우, 상기 2개의 유도선의 타단은, 각각 2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1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선이 4개인 경우, 상기 4개의 유도선의 타단은, 각각 4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2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 각각에 대한, 상기 2개 이상의 고정부는,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으로부터의 거리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 각각에 대한, 상기 2개 이상의 고정부는,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일부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는,
인체에 무해한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의 각도 조절은, 상기 조절 레버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시키는 방향의 상기 유도선이 당겨지면서 상기 유도선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이 일방향으로 굽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은,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로서,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카테터 바디; 2개 이상의 선으로서, 각각의 일단이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의 2개 이상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고정부로부터, 상기 카테터 바디 선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동한 지점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인입홀을 통하여 각각이 상기 카테터 바디 내부로 인입되는 유도선; 및 상기 카테터 바디의 선단에 연결되며, 외면에 조절 레버가 배치된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1)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인 카테터 바디가,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단계; 및
(2) 상기 조절 레버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에 고정된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기 조절 레버;
상기 조절 레버의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 레버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조절부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이 연결된 연결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연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 레버에 연결된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부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톱니; 및
상기 조절부 내부에, 상기 톱니와 수직되게 배치된 돌출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 레버는, 상기 톱니의 홈에 걸리게 하기 위한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톱니의 홈에 상기 돌출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상기 톱니의 홈에 걸린 상태로 상기 톱니가 고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축 하나에는, 상기 조절 레버, 상기 연결 레버, 상기 톱니 및 상기 돌출 레버가 각각 하나씩 연결되어, 각각의 개수는 동일하며, 상기 회전축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선이 2개인 경우, 상기 2개의 유도선의 타단은, 각각 2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1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선이 4개인 경우, 상기 4개의 유도선의 타단은, 각각 4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2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 각각에 대한, 상기 2개 이상의 고정부는,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으로부터의 거리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 각각에 대한, 상기 2개 이상의 고정부는,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일부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는,
인체에 무해한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의 각도 조절은, 상기 조절 레버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시키는 방향의 상기 유도선이 당겨지면서 상기 유도선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이 일방향으로 굽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따르면, 카테터 바디, 2개 이상의 선으로서, 각각의 일단이 카테터 바디 말단의 2개 이상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2개 이상의 고정부로부터 카테터 바디 선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동한 지점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인입홀을 통하여 각각이 카테터 바디 내부로 인입되는 유도선, 및 조절 레버 및 조절 레버와 함께 회전되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이 연결된 연결 레버가 배치된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조절 레버의 회전에 따른,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의 위치의 조절에 의해,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 레버 및 연결 레버와 함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톱니, 및 톱니의 홈에 걸리게 하기 위한 돌출부가 배치된 돌출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돌출부가 톱니의 홈에 걸린 상태로 톱니가 고정되도록 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 조절을 위하여 조절 레버가 회전된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톱니에 걸린 돌출부에 의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복잡한 구조를 갖는 방향 조절이 가능한 카테터와는 달리, 간단한 구조를 갖는 비교적 저렴한 카테터로 구성됨으로써, 의료 시설에서 카테터를 재사용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환자들의 2차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카테터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조절부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조절 레버가 2개인 경우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조절 레버가 2개인 경우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조절 레버가 4개인 경우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기존의 카테터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양방향으로의 방향 조절이 가능한 카테터는, 카테터 튜브 본체와 카테터 튜브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조절 장치를 구성하는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대부분이 고가의 장치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10)는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로서,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로서,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카테터 바디(100), 2개 이상의 선으로서, 각각의 일단이 카테터 바디(100) 말단의 2개 이상의 고정부(110)에 고정되고, 2개 이상의 고정부(110)로부터, 카테터 바디(100) 선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동한 지점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인입홀(120)을 통하여 각각이 카테터 바디(100) 내부로 인입되는 유도선(200), 및 카테터 바디(100)의 선단에 연결되며, 외면에 조절 레버(310)가 배치된 조절부(300)를 포함하되, 조절 레버(310)의 회전을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에 고정된 2개 이상의 유도선(20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먼저, 카테터 바디(100)는,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을 신체 내부로 삽입시킴으로써, 목표하는 혈관 또는 신체 기관으로 향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카테터 바디(100)는 일반적으로 인체에 무해한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에 배치되는 고정부(110)는, 2개 이상의 유도선(200)의 일단을 각각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부(110)에서는, 카테터 바디(100)의 선단에 연결된 조절부(300)에서 유도선(200)의 타단을 당기는 경우, 유도선(200)이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는, 유도선(200)의 타단을 당김으로써 최종적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을 움직이게 하기 위한 것이다.
2개 이상의 유도선(200) 각각에 대한, 2개 이상의 고정부(110)는, 카테터 바디(100) 말단으로부터의 거리가 모두 동일할 수 있으며(이하 도 4 내지 도 7 참조), 실시예에 따라서는, 카테터 바디(100) 말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일부 상이할 수도 있다(이하 도 8 내지 도 9 참조).
인입홀(120)은, 2개 이상의 고정부(110)에 고정된 유도선(200)의 타단이, 각각 카테터 바디(1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카테터 바디(100)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2개 이상의 인입홀(120)은, 카테터 바디(100) 말단에 배치된 2개 이상의 고정부(110)로부터, 카테터 바디(100) 선단 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동한 지점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고정부(110)로부터 각각의 인입홀(120)까지의 간격은 일정 간격으로 한정된 것이 아니고, 상황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유도선(200)은, 2개 이상의 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카테터 바디(100) 말단의 고정부(110)에 고정되고, 각각 인입홀(120)을 통하여 카테터 바디(100) 내부로 인입된다. 카테터 바디(100) 내부로 인입된 유도선(200)은, 카테터 바디(100) 선단에 연결된 조절부(300) 내부로 인입되어, 조절부(300) 내부에 배치된 연결 레버(330)에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레버(330)의 회전을 이용하여 유도선(200)의 타단을 카테터 바디(100) 말단으로부터 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유도선(200) 타단의 위치 이동으로 유도선(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을 굽어지게 하는 것이다.
조절부(300)는, 카테터 바디(100)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카테터 바디(100)의 인입홀(120)을 통하여 카테터 바디(100)의 내부로 인입된 2개 이상의 유도선(200)의 타단이 조절부(300) 내부에 배치된 연결 레버(330)에 연결되며, 조절부(300)는, 조절부(300)의 외면에 배치된 조절 레버(310)의 회전을 통하여, 연결 레버(330)에 연결된 유도선(200)의 타단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조절부(300)에서는 유도선(200)의 길이 조절을 통하여, 카테터 바디(100) 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하 도 3에서는, 조절부(300)의 내부에 배치된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조절부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10)에 있어서, 조절부(300)는, 조절부(30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조절 레버(310), 조절 레버(310)의 중심에 연결되어 조절 레버(31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320), 및 조절부(300)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320)에 연결되어, 회전축(320)과 함께 회전하고, 2개 이상의 유도선(200)의 타단이 연결된 연결 레버(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축(320)과 함께 회전되는 연결 레버(330)의 회전에 따라, 연결 레버(330)에 연결된 2개 이상의 유도선(200)의 타단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이용하여, 2개 이상의 유도선(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조절부(300)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320)에 연결되어, 회전축(320)과 함께 회전하는 톱니(340), 및 조절부(300) 내부에, 톱니(340)와 수직되게 배치된 돌출 레버(3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 레버(350)는, 톱니(340)의 홈에 걸리게 하기 위한 돌출부(352)를 더 포함하며, 톱니(340)의 홈에 돌출부(352)가 걸림으로써, 돌출부(352)가 톱니(340)의 홈에 걸린 상태로 톱니(340)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 각도 조절을 위하여 조절 레버(310)가 회전된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톱니(340)에 걸린 돌출부(352)에 의하여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20) 하나에는, 조절 레버(310), 연결 레버(330), 톱니(340)가 각각 하나씩 연결되게 되므로, 각각의 개수는 동일하다. 회전축(320)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므로, 2개, 4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조절 레버(310), 연결 레버(330), 톱니(340)의 개수는 각각 2개, 4개가 된다. 물론, 회전축(320)의 개수는 상기에 나열된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절 레버(310)는, 조절부(300) 외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회전시키고자 하는 조절 레버(310)를 선택하고, 선택한 조절 레버(310)의 회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카테터 바디(100) 말단을 어느 방향으로 굽어지게 할 것인지, 어느 정도의 각도로 굽어지게 할 것인지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축(320)은, 조절부(300) 외면에 배치된 조절 레버(310)와 조절부(300) 내부에 배치된 연결 레버(330)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조절 레버(310)와 연결 레버(33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절부(300) 외면의 조절 레버(310)를 회전시키는 경우, 조절부(300) 내부의 연결 레버(330)가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한다.
회전축(320)의 회전으로 인하여 회전되는, 연결 레버(330)는 유도선(200)의 타단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결 레버(330)의 양 끝에 유도선(200)의 타단이 연결될수록, 연결 레버(330)의 회전 시, 유도선(200) 타단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게 되므로, 유도선(200) 타단을 많이 당기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유도선(200)이 2개인 경우, 2개의 유도선(200)의 타단이, 1개의 연결 레버(33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2개의 유도선(200)의 타단은 각각 2개의 연결 레버(330)의 어느 일단에 연결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유도선(200)이 4개인 경우에는, 4개의 유도선(200)의 타단은, 2개의 연결 레버(33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 4개의 연결 레버(330)의 일단에 연결될 수도 있다.
카테터 바디(100) 말단의 각도 조절은, 조절 레버(3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시키는 방향의 유도선(200)이 당겨지면서 유도선(20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이 일방향으로 굽어지도록 함으로써,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 레버(310)를 이용한 카테터 바디(100) 말단 각도의 조절에 관하여는 이하 도 4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300)의 외면에 배치된 조절 레버(3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부(300)의 내부에 배치된 연결 레버(330)가 조절 레버(310)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연결 레버(330)의 왼쪽에 연결된 유도선(200)의 타단은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이는 곧, 카테터 바디(100)의 왼쪽에 배치된 유도선(200)을 뒤로 당기는 것과 동일한 효과로서, 카테터 바디(100) 말단이 왼쪽으로 굽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조절 레버(3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부(300)의 내부에 배치된 연결 레버(330)가 조절 레버(310)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연결 레버(330)의 오른쪽에 연결된 유도선(200)의 타단을 당기게 되어, 카테터 바디(100) 말단이 오른쪽으로 굽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당기기 전에는 카테터 바디(100)의 고정부(110)와 인입홀(120) 사이의 거리와 동일했던 유도선(200)의 길이가, 유도선(200)의 타단을 당긴 후에는 카테터 바디(100)의 고정부(110)와 인입홀(120) 사이의 거리보다 짧아지게 되면서, 짧아진 유도선(200)의 길이만큼 고정부(110)와 인입홀(120)이 가까워지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에 배치된 고정부(110)가 인입홀(120) 쪽으로 굽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조절 레버가 2개인 경우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카테터 바디(100)의 4개의 고정부(110)에는 각각 4개의 유도선(200)이 고정되어 있으며, 4개의 유도선(200)의 타단이 각각 2개의 연결 레버(330)의 양단에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테터 바디(100) 말단에 좌우로 배치된 2개의 유도선(200)은 조절부(300)의 상면에 배치된 조절 레버(310)와 연결된 연결 레버(330)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에 배치된 조절 레버(310)의 회전을 통하여 카테터 바디(100) 말단을 좌우로 굽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같은 원리로서, 카테터 바디(100) 말단에 상하로 배치된 2개의 유도선(200)은 조절부(300)의 측면에 배치된 조절 레버(310)와 연결된 연결 레버(330)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측면에 배치된 조절 레버(310)의 회전을 통하여, 카테터 바디(100) 말단을 상하로 굽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조절 레버가 2개인 경우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에서와 같이, 4개의 유도선(200)의 타단이 2개의 연결 레버(33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것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도 5와는 달리, 연결 레버(330)가 모두 조절부(300)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도 5 및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조절 레버(310)는 조절부(300)의 어느 일면에라도 배치될 수 있으며, 반드시 동일한 면에 배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2개의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조절 레버(310)를 (Right)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카테터 바디(100) 말단이 오른쪽으로 굽어지며(도 7의 (a)), 조절 레버(310)를 (Down)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카테터 바디(100) 말단이 아래쪽으로 굽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도 7의 (b)), 2개의 조절 레버(310)((Right)방향 및 (Down)방향)를 동시에 회전시키면, 카테터 바디(100) 말단이 오른쪽 아래 방향을 향하여 굽어지게 된다(도 7의 (c)). 이와 같이, 조절 레버(310)는 동시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조절하고자 하는 방향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조절 레버(310)를 회전시킴으로써,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을 360°, 즉 모든 방향으로 굽어지도록 조절할 수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조절 레버가 4개인 경우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4개의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유도선(200) 8개가 도시된 것으로서, 카테터 바디(100) 말단으로부터 가까이에 배치된 고정부(110)에 고정되고 인입홀(120)로 인입되는 유도선(200) 4개((a)부분)와, (a)부분 보다 카테터 바디(100)의 선단 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동된 지점에 배치된 고정부(110)에 고정되고 인입홀(120)로 인입되는 유도선(200) 4개((b)부분)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a)부분의 유도선(200)에 있어서, 카테터 바디(100)의 좌우에 배치된 유도선(200) 2개는 (A) 조절 레버(310)에 연결된 연결 레버(330)에 연결되고, 카테터 바디(100)의 상하에 배치된 유도선(200) 2개는 (B) 조절 레버(310)에 연결된 연결 레버(330)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b)부분의 유도선(200)에 있어서, 카테터 바디(100)의 좌우에 배치된 유도선(200) 2개는 (C) 조절 레버(310)에 연결된 연결 레버(330)에 연결되고, 카테터 바디(100)의 상하에 배치된 유도선(200) 2개는 (D) 조절 레버(310)에 연결된 연결 레버(330)에 연결된다. 카테터 바디(100) 말단의 (a)부분, (b)부분의 각도는 각각의 유도선(200)이 연결된 조절 레버(310)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테터 장치의 경우,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은, 상하좌우의 방향으로 16가지의 방법이 있으며, 각각의 조절 레버(310)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경우까지 고려한다면 그 이상의 방법으로 조절할 수가 있다. 도 9는 (a)부분의 유도선(200)을 조절하는 (A) 조절 레버(310)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b)부분의 유도선(200)을 조절하는 (B) 조절 레버(310)를 왼쪽으로 회전시킨 경우로서, 카테터 바디(100) 말단의 (a)부분은 오른쪽으로, (b)부분은 왼쪽으로 굽어진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10)를 이용하는 방법은,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인 카테터 바디(100)가,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단계(S100), 및 조절 레버(310)의 회전을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에 고정된 2개 이상의 유도선(20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카테터 바디(100)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단계들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들은,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10)와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는, 카테터 바디, 2개 이상의 선으로서, 각각의 일단이 카테터 바디 말단의 2개 이상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2개 이상의 고정부로부터 카테터 바디 선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동한 지점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인입홀을 통하여 각각이 카테터 바디 내부로 인입되는 유도선, 및 조절 레버 및 조절 레버와 함께 회전되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이 연결된 연결 레버가 배치된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조절 레버의 회전에 따른,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의 위치의 조절에 의해,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절 레버 및 연결 레버와 함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톱니, 및 톱니의 홈에 걸리게 하기 위한 돌출부가 배치된 돌출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돌출부가 톱니의 홈에 걸린 상태로 톱니가 고정되도록 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 조절을 위하여 조절 레버가 회전된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톱니에 걸린 돌출부에 의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복잡한 구조를 갖는 방향 조절이 가능한 카테터와는 달리, 간단한 구조를 갖는 비교적 저렴한 카테터로 구성됨으로써, 의료 시설에서 카테터를 재사용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환자들의 2차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100: 카테터 바디
110: 고정부
120: 인입홀
200: 유도선
300: 조절부
310: 조절 레버
320: 회전축
330: 연결 레버
340: 톱니
350: 돌출 레버
352: 돌출부

Claims (20)

  1.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로서,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로서,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카테터 바디;
    2개 이상의 선으로서, 각각의 일단이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의 2개 이상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고정부로부터, 상기 카테터 바디 선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동한 지점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인입홀을 통하여 각각이 상기 카테터 바디 내부로 인입되는 유도선; 및
    상기 카테터 바디의 선단에 연결되며, 외면에 조절 레버가 배치된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레버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에 고정된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기 조절 레버;
    상기 조절 레버의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 레버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조절부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이 연결된 연결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연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 레버에 연결된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톱니; 및
    상기 조절부 내부에, 상기 톱니와 수직되게 배치된 돌출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 레버는, 상기 톱니의 홈에 걸리게 하기 위한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톱니의 홈에 상기 돌출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상기 톱니의 홈에 걸린 상태로 상기 톱니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하나에는, 상기 조절 레버, 상기 연결 레버, 상기 톱니가 각각 하나씩 연결되어, 각각의 개수는 동일하며, 상기 회전축은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선이 2개인 경우, 상기 2개의 유도선의 타단은, 각각 2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1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선이 4개인 경우, 상기 4개의 유도선의 타단은, 각각 4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2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 각각에 대한, 상기 2개 이상의 고정부는,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으로부터의 거리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 각각에 대한, 상기 2개 이상의 고정부는,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일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바디는,
    인체에 무해한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의 각도 조절은, 상기 조절 레버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시키는 방향의 상기 유도선이 당겨지면서 상기 유도선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이 일방향으로 굽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11.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로서,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카테터 바디; 2개 이상의 선으로서, 각각의 일단이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의 2개 이상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고정부로부터, 상기 카테터 바디 선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동한 지점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인입홀을 통하여 각각이 상기 카테터 바디 내부로 인입되는 유도선; 및 상기 카테터 바디의 선단에 연결되며, 외면에 조절 레버가 배치된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1)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인 카테터 바디가,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단계; 및
    (2) 상기 조절 레버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에 고정된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기 조절 레버;
    상기 조절 레버의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 레버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조절부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이 연결된 연결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연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 레버에 연결된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타단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톱니; 및
    상기 조절부 내부에, 상기 톱니와 수직되게 배치된 돌출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 레버는, 상기 톱니의 홈에 걸리게 하기 위한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톱니의 홈에 상기 돌출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상기 톱니의 홈에 걸린 상태로 상기 톱니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하나에는, 상기 조절 레버, 상기 연결 레버, 상기 톱니가 각각 하나씩 연결되어, 각각의 개수는 동일하며, 상기 회전축은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선이 2개인 경우, 상기 2개의 유도선의 타단은, 각각 2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1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선이 4개인 경우, 상기 4개의 유도선의 타단은, 각각 4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2개의 상기 연결 레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 각각에 대한, 상기 2개 이상의 고정부는,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으로부터의 거리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유도선 각각에 대한, 상기 2개 이상의 고정부는,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일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바디는,
    인체에 무해한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바디 말단의 각도 조절은, 상기 조절 레버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시키는 방향의 상기 유도선이 당겨지면서 상기 유도선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이 일방향으로 굽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KR1020170040195A 2017-03-29 2017-03-29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1943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195A KR101943920B1 (ko) 2017-03-29 2017-03-29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195A KR101943920B1 (ko) 2017-03-29 2017-03-29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519A true KR20180110519A (ko) 2018-10-10
KR101943920B1 KR101943920B1 (ko) 2019-01-30

Family

ID=6387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195A KR101943920B1 (ko) 2017-03-29 2017-03-29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9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637A (ko) * 2020-01-03 2021-07-13 부산대학교병원 정밀 시술을 위한 모터 구동식 카테터 조향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정밀 시술을 위한 모터 구동식 카테터 조향 방법
KR102287468B1 (ko) * 2021-02-10 2021-08-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카테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0145A (en) * 1997-01-21 1999-09-28 Sanchez; Jorge O. Optical fiber image conduit and method using same
JP3645107B2 (ja) * 1998-10-27 2005-05-11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
US20140088497A1 (en) * 2012-09-27 2014-03-2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erable catheter with brake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0145A (en) * 1997-01-21 1999-09-28 Sanchez; Jorge O. Optical fiber image conduit and method using same
JP3645107B2 (ja) * 1998-10-27 2005-05-11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
US20140088497A1 (en) * 2012-09-27 2014-03-2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erable catheter with brake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637A (ko) * 2020-01-03 2021-07-13 부산대학교병원 정밀 시술을 위한 모터 구동식 카테터 조향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정밀 시술을 위한 모터 구동식 카테터 조향 방법
KR102287468B1 (ko) * 2021-02-10 2021-08-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카테터
WO2022173080A1 (ko) * 2021-02-10 2022-08-1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920B1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6749B2 (ja) ガイドワイヤおよびカテーテルを固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1849489B1 (ko) 극세경 내시경 보조 시스템 및 사용 방법
CN103239790B (zh) 换向器和包括该换向器的医疗设备组装体
JP2009539504A (ja) 選択的な腎挿管および注入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AU2017227540A1 (en) Flexible endoscopic support system
BRPI0401080B1 (pt) Sistema de derivação para drenar o fluido em um paciente e kit compreendendo o sistema
KR101943920B1 (ko)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N110234264A (zh) 具有多个观察方向的内窥镜
JP2018183588A (ja) ガイドワイヤマニピュレータ
JP6758638B2 (ja) カテーテル
CN112244961A (zh) 鞘管调节机构及可调弯鞘管
JP6753655B2 (ja) 医療用装置
JP2021526068A (ja) 制御可能な挿入スリーブ
US8460248B2 (en) Endoscopic bite guard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1906945B1 (ko) 상하좌우 4방향의 4가지 유도선을 이용한, 말단 각도 조절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1906953B1 (ko) 좌우 양방향의 2가지 유도선을 이용한, 말단 각도 조절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EP3691713B1 (en) Cannula for fluid perfusion
KR20190013141A (ko) 주름진 외피를 이용하여 말단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2041356B1 (ko) 말단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1937724B1 (ko) 카테터 바디의 말단 각도를 2단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2123122B1 (ko) 대동맥의 분지동맥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N215424825U (zh) 一种介入装置
BR112020015968A2 (pt) Conjunto de tubo e ponta dissolúvel
WO2022041903A1 (zh) 一种支架装置及支架系统
JPH035606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