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479A - 경추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경추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479A
KR20180110479A KR1020170040079A KR20170040079A KR20180110479A KR 20180110479 A KR20180110479 A KR 20180110479A KR 1020170040079 A KR1020170040079 A KR 1020170040079A KR 20170040079 A KR20170040079 A KR 20170040079A KR 20180110479 A KR20180110479 A KR 20180110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cking
weight
head fram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익
장윤수
Original Assignee
장문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문익 filed Critical 장문익
Priority to KR102017004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0479A/ko
Priority to PCT/KR2017/003717 priority patent/WO2018182081A1/ko
Publication of KR2018011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15User-manipulated weights pivoting about a fixed horizontal fulcr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5User-manipulated weights worn on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head; to the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경추운동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헤드프레임과, 헤드프레임의 전면에 전방축선에 대해 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와, 회동부재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바아와, 연장바아의 전방 자유단부에 연장방향에 가로방향의 지지축선을 갖는 회전지지부를 갖는 연장부재와, 회전지지부에 지지축선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중량체를 포함하고 있어 회전중량체가 회전하는 지지축선의 각도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방향의 목운동을 실시 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재와 연결로드를 통해 사용자의 목에 걸리는 하중이나 질량회전체의 회전반경을 조절할수 있어 사용자에 적합한 목운동을 실시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중량체의 무게를 변경하거나 중량추를 증감시키는 것으로 목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추운동기구{APPARATUS FOR EXERCISING A NECK}
본 발명은 경추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컴퓨터나 모바일기기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경추 또는 그와 관련된 근육의 외과적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유는 적절한 운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특허 제 10-1691849호에서 "경추운동기구"를 제안한 바 있다. 이 운동기구는 중량회전체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목의 상하운동은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추운동기구는 상하방향을 제외한 좌우 등 다른 방향의 운동은 제공하지 못하며, 사용자에 따른 운동량의 크기를 적절히 선택할 수 없다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방향의 목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경추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추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경추운동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헤드프레임과, 상기 헤드프레임의 전면에 전방축선에 대해 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바아와, 상기 연장바아의 전방 자유단부에 연장방향에 가로방향의 지지축선을 갖는 회전지지부를 갖는 연장부재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상기 지지축선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중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운동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중량체는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로부터 연장된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에 결합되는 중량추를 가지고 있어 중량추의 무게를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추는 상기 연결로드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중량추를 상기 연결로드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가능한 멈춤부재를 포함하고 있어 연결로드와 중량체와의 결합위치를 변경하여 회전중량체의 회전반경을 조절하는 것으로 목운동강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프레임은 헤드프레임본체와, 상기 헤드프레임본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연결부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회동부재 간의 상대 회동을 저지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회동 지지구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락킹부는, 상기 회동부재에 마련된 락킹홈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홈에 물리는 락킹위치와 상기 락킹홈으로부터 이탈된 해제위치 간을 이동가능한 락킹부재를 포함하여 간단히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바아는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바아와 상기 고정바아에 대해 연장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바아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연장바아의 길이조절을 통해 목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 운동기구는 다양한 방향으로 목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목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의 도 1에 도시된 경추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다른 목운동 방향에 따른 경추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의 도 3에 도시된 경추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중량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우춘동기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경추운동기구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운동기구의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3과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운동기구의 다른 목운동 방향에 따른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경추운동기구는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헤드프레임(100)을 가진다. 이러한 헤드프레임(100)은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프레임본체(110)와, 헤드프레임본체(110)를 지지하는 연장끈(130)과 목지지부(140)를 갖는다.
연장끈(130)은 헤드프레임본체(110)의 양측에 결합되고 종단에 손잡이(131)가 달려있는 긴 끈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131)를 잡아당기는 방법으로 헤드프레임(100)을 머리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끈은 일반적인 턱끈의 형태를 취할수도 있다.
목지지부(140)는 헤드프레임본체(110)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머리와 목이 만나는 영역과 양쪽 귀의 뒤쪽영역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경추운동기구의 상하 또는 좌우방향과 같은 다양한 방향의 운동을 연장끈(130)과 함께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헤드프레임본체(110)의 전면에는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회동부재(210)와 결합하는 지지부재(120)가 있다. 회동부재(210)는 지지부재(120)와 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된 상태에서 락킹부(300)에 의해 고정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축선(240)이 가로방향이 되도록 회동부재(210)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상하방향의 목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선(240)이 세로방향이 되도록 회동부재(210)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는 좌우방향의 목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이처럼 회동부재(210)를 조절하여 지지축선(240)을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으로 다양한 방향의 목운동을 실시 할 수 있다.
회동부재(210)의 전면에는 회동부재(210)의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바아(220a)가 서로 소정거리를 가지고 고정되어 있다. 연장바아(220a)는 연장바아(220a)의 자유단부에 마련된 회전지지부(230a)와 이를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중량체(400a)를 충분히 지지하기 위한 강도와, 이들을 헤드프레임(10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연장바아(220a)는 회전지지부(230a)와 회전중량체(400a)를 지지하며 헤드프레임(100)으로부터 이들을 소정거리 이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연장바아(220a)의 전방 자유단부에는 연장바아(220a)로부터 연장되어 가로방향으로 곡선을 그리며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지지축선(240)이 형성되는 회전지지부(230a)가 있다. 회전지지부(230a)는 지지축선(240)을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중량체(400a)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형태로 자유롭게 설계변경할 수 있다.
회전지지부(230a)의 지지축선(240)이 형성되는 부분은 중공 원기둥 형상의 회전축부(410a)를 관통하며 양단에는 회전축부(410a)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축지지턱(2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회전축부(410a)는 회전지지부(230a)의 지지축선(240)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양단이 회전축지지턱(241)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축선(240)을 벗어나지 않고 지지축선(240)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부(410a)는 일측에 중량추(430a)와 착탈 및 거리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로드(420a)를 가진다. 이로 인해 원하는 무게의 중량추(430a)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중량추(430a)와 회전축부(410a)와의 거리를 연결로드(420a)를 통해 변경하는 것으로 중량추(430a)와 지지축선(240)간의 회전반경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회전중량체(400a)가 지지축선(240)을 축으로 회전하게 하기 위한 방법은 회전지지부(230a)와 회전축부(410a)의 결합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선택될 수 있으며, 회전중량체(400a)의 회전반경을 조절하는 방법 또한 연결로드(420a)를 통한 거리조절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선택될 수 있다.
회전중량체(400a)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정면부에 회전중량체(400a)가 회전한 횟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31)와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와, 자이로센서에서 감지한 회전신호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디스플레이(431)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자이로 센서를 가속도 센서로 변경하여 회전중량체(400a)의 회전속도를 파악하게 할 수 있으며, 회전수를 소리로 알릴 수 있도록 스피커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회전중량체(400a)를 회전시키는 것에 더욱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해 회전중량체(400a)를 바이킹배, 원숭이, 사람 얼굴 형상 등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회전할 때마다 그 형상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중량체(400a)에 휴대폰 거치대를 마련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동량을 관리하게 하거나 단순히 휴대폰 거치대로서의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중량체(400a)는 다양한 무게를 가지거나 무게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경추운동기구의 운동방법과 기능를 설명하면, 사용자는 헤드프레임(100)을 머리에 착용하고 목을 움직이는 것으로 전방의 회전중량체(400a)를 요동시켜 지지축선(240)을 축으로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흥미를 가져 지속적으로 목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재(12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동부재(210)를 원하는 만큼 회동시킨 다음 락킹부(300)를 통해 고정시키는 것으로 회전중량체(400a)의 회전축을 변경하여 다양한 방향의 목운동을 실시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중량체(400a)의 회전반경을 조절하거나 무게를 변경하는 것으로 목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회전축지지턱(241)을 조절하여 회전중량체(400a)의 좌우측 요동범위를 안정화 시켜 정확한 목운동 자세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추운동기구의 목운동방향 변경을 위한 회동부재(210)의 회동과 회동 후 고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연결부(121)로 인해 지지부재(120)와 회동부재(210)는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락킹부(300)는 지지부재(120)와 회동부재(210) 간의 상호 회동을 저지한다. 락킹부(300)는 회동부재(210)에 마련된 락킹홈(211)과, 지지부재(120)에 설치되어 락킹홈(211)에 물리는 락킹위치와 락킹홈(211)으로부터 이탈된 해제위치 간을 이동하는 락킹부재(310)와, 락킹홈(211)을 통과하여 락킹부재(310)를 누르는 누름부재(320)를 포함하고 있다.
회동연결부(121)는 지지부재(120)의 전면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회동부재(210)는 회동연결부(121)가 결합되는 회동연결홈(212)을 가진다. 회동연결부(121)는 회동연결홈(212)에 장착되기 위해 삽입 시 종단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도록 안쪽으로 절취되어 형성된 절취홈(123)을 가지며, 회동연결홈(212)에 끝까지 삽입되어 종단의 크기가 회복되었을 때 회동연결홈(212)에 형성된 걸림턱(213)에 맞물려 회동연결부(12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122)를 가진다.
이로 인해 회동부재(210)는 지지부재(1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회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회동연결부(121)와 회동연결홈(212)의 결합방법은 지지부재(120)와 회동부재(21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회동가능 하도록 하기위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락킹부(300)는 지지부재(120)와 마주보는 회동부재(210)의 면에서 안쪽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락킹홈(211)과 지지부재(120)에 형성되어 락킹홈(211)에 물리는 락킹부재(310)와 락킹부재(310)를 누르는 누름부재(320)를 포함하고 있다.
락킹부재(310)의 안쪽은 락킹스프링(313)에 의해 지지되고, 바깥쪽은 락킹홈(211)에 물리는 락킹돌기(311)를 가진다. 이러한 락킹부재(310)는 지지부재(120)의 안쪽에서 탄성을 가진채로 락킹부재고정돌기(312)를 지지하는 락킹부재고정나사(314)에 의해 고정된다.
누름부재(320)는 락킹홈(211)을 관통하여 락킹돌기(311)를 누르기 위한 락킹부재누름부(321)와, 사용자가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스위치(325)를 가지며, 누름부재스프링(32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때, 누름부재(320)는 회동부재(210)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탄성을 가지기 위해 누름부재고정돌기(322)와 누름부재고정나사(324)에 의해 고정된다.
사용자는 스위치(325)에 외력을 가해 누르는 것으로 락킹돌기(311)를 락킹홈(211)으로부터 이탈시켜 해제위치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원하는 만큼 회동부재(210)를 회동시킨 후, 스위치(325)에 외력을 제거하여 락킹돌기(311)가 락킹홈(211)에 다시 물리게 하는 것으로 락킹위치로 전환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해제위치에서 회동부재(210)를 원하는 만큼 회동시켜 회전중량체(400a)의 회전축이 되는 지지축선(240)을 원하는 각도로 변경할 수 있고, 다시 락킹위치로 전환하여 변경된 회전축을 고정하는 것으로 목운동을 원하는 방향으로 실시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락킹홈(211)은 회동부재(210)의 중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락킹부(300)를 다수개 마련하여 회동부재(210)를 지지부재(12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120)와 회동부재(210) 및 이들의 회동과 고정을 위한 락킹부(300)는 회전중량체(400a)의 회전축을 변경시켜 다양한 방향의 목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과 상이하더라도 회전중량체(400a)의 회전축을 변경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6은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중량체(400b)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중량체(400b)는 회전축부(410b)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나사산을 가진 연결로드(420b)와 연결로드(420b)에 관통되어 삽입되는 중량추(430b)와 중량추(430b)를 연결로드(420b)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형태의 멈춤부재(42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중량추(430b)는 연결로드(420b)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멈춤부재(421b)로 인해 중량추(430b)는 연결로드(420b)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이 가능하다. 이 경우 보다 간단한 구조로 회전중량체(400b)를 구성할 수 있으며, 멈춤부재(421b)의 위치와 중량추(430b)의 개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회전반경과 무게를 조절할 수 있어 목운동량의 조절이 보다 간편해진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우춘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운동기구는 연장바아(220b)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본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2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연장바아(220b)가 고정되어 있다. 연장바아(220b)는 고정홈(223b)을 다수개 가지고 있는 한쌍의 고정바아(221b)와 고정바아(221b)의 고정홈(233b)에 물리는 고정돌기(224b)를 가지고 고정바아에 대해 연장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바아(222b)를 가진다.
사용자는 고정돌기(224b)를 누르고 이동바아(222b)를 움직여 고정돌기(224b)가 고정바아(221b)의 다른 고정홈(223b)에 물리게 하는 것으로 연장바아(220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헤드프레임(100)과 회전중량체(400a)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목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동바아(222b)는 종단영역에 축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지지부(230b)와 , 축공의 회전지지부(230b)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축핀(250b)을 가진다. 이때, 축핀(250b)의 길이방향은 회전중량체(400a)가 회전하는 지지축선(240)이 되며, 회전축부(410a)와 결합된다. 이러한 축공의 회전지지부(230b)와 축핀(250b)으로 인해 회전중량체(400a)는 한 쌍의 연장바아(220b) 사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가능하며, 회전축이 다양하게 변하더라도 안정적인 회전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경추운동기구는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프레임(100)과 헤드프레임(100)의 전면에 전방축선에 대해 각도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210)와 회동부재(210)에 고정된 연장바아(220a)와, 연장바아(220a)의 자유단부에 마련된 회전지지부(230a)와, 회전지지부(230a)를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중량체(400a)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는 회전중량체(400a)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흥미를 느껴 재미있는 놀이로서 목운동을 실시 할 수 있다. 이때, 회동부재(210)는 헤드프레임(100)의 전면에 고정된 지지부재(120)와 상호 회동가능하고 이 상호회동을 저지하는 락킹부(300)를 더 포함하고 있어, 회전중량체(400a)의 회전축을 원하는 각도로 변경하는 것으로 다양한 방향의 목운동을 실시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로드(420a, 420b)를 이용하여 회전중량체(400a, 400b)의 회전반경을 조절하거나 중량추(430a, 430b)의 무게를 조절하는 것으로 목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장바아(220b)의 길이를 조절하여 목운동강도를 조절하거나 경추운동기구의 부피를 줄여 보관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100 : 헤드프레임 110 : 헤드프레임본체
120 : 지지부재 121 : 회동연결부
122 : 걸림돌기 123 : 절취홈
130 : 연장끈 131 : 손잡이
140 : 목지지부 200 : 연장부재
210 : 회동부재 211 : 락킹홈
212 : 회동연결턱 213 : 걸림턱
220a, 220b : 연장바아 221b : 고정바아
222b : 이동바아 223b : 고정홈
224b : 고정돌기 230a, 230b : 회전지지부
240 : 지지축선 241 : 회전축지지턱
250b : 축핀 300 : 락킹부
310 : 락킹부재 311 : 락킹돌기
312 : 락킹부재고정돌기 313 : 락킹부스프링
314 : 락킹부재고정나사 320 : 누름부재
321 : 누름돌기 322 : 누름부재고정턱
323 : 누름부스프링 324 : 누름부재고정나사
325 : 스위치 400 : 회전중량체
410a, 410b : 회전축부 420a, 420b : 연결로드
421b : 멈춤부재 430a, 430b : 중량추
431 : 디스플레이

Claims (6)

  1. 경추운동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헤드프레임과,
    상기 헤드프레임의 전면에 전방축선에 대해 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바아와, 상기 연장바아의 전방 자유단부에 연장방향에 가로방향의 지지축선을 갖는 회전지지부를 갖는 연장부재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상기 지지축선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중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량체는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로부터 연장된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에 결합되는 중량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추는 상기 연결로드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중량추를 상기 연결로드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가능한 멈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프레임은 헤드프레임본체와 상기 헤드프레임본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연결부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회동부재 간의 상대 회동을 허용 및 저지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운동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회동부재에 마련된 락킹홈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홈에 물리는 락킹위치와 상기 락킹홈으로부터 이탈된 해제위치 간을 이동가능한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아는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바아와 상기 고정바아에 대해 연장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운동기구.
KR1020170040079A 2017-03-29 2017-03-29 경추운동기구 KR20180110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079A KR20180110479A (ko) 2017-03-29 2017-03-29 경추운동기구
PCT/KR2017/003717 WO2018182081A1 (ko) 2017-03-29 2017-04-05 경추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079A KR20180110479A (ko) 2017-03-29 2017-03-29 경추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479A true KR20180110479A (ko) 2018-10-10

Family

ID=6367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079A KR20180110479A (ko) 2017-03-29 2017-03-29 경추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110479A (ko)
WO (1) WO20181820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214B1 (ko) 2023-09-15 2024-02-01 김낙기 목 교정 및 치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9124A (en) * 1980-10-03 1982-07-13 Daniel Vogler Neck exercising device
KR20110094821A (ko) * 2010-02-18 2011-08-24 박제열 다목적 운동기구
KR101195953B1 (ko) * 2010-08-24 2012-10-29 김대승 전동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수동선회 전환장치
US9211438B2 (en) * 2013-09-12 2015-12-15 Theodore Henry Versteegh Neck muscle exerciser and method of assessing neck muscle performance
KR101691849B1 (ko) * 2015-06-19 2017-01-17 장문익 경추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214B1 (ko) 2023-09-15 2024-02-01 김낙기 목 교정 및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2081A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1325B2 (en) Balancing push up bar
TW201730721A (zh) 可調式滑鼠
JP6618753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固定器具
US9968505B2 (en) Massage device for tilting inversion exerciser
WO2018038752A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upright body stretching apparatus
EP3351232A1 (en) Surgical mask positioning system
KR20180110479A (ko) 경추운동기구
JP3547127B2 (ja) カメラ用支持具
JP7143321B2 (ja) 体を傾ける際または曲げる際に人体を少なくとも或る程度楽にするための着用可能な支持構造体
CN109529279B (zh) 安全型倒立装置
US5752887A (en) Golf aid device
JP3892476B1 (ja) 身体伸長矯正装置
JP6530269B2 (ja) エルボークラッチ
KR101817147B1 (ko)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JP2009247775A (ja) 検眼メガネ
KR101611385B1 (ko) 거꾸리 운동기구
CA3053967A1 (en) Massage tool
CN210637785U (zh) 可提高拍摄体验性的自拍杆
KR102232082B1 (ko) 휴대용 경추 교정장치
KR20220023334A (ko)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
JP3213277B2 (ja) 棒把持人形
KR20170073161A (ko) 웨어러블 카메라
JP6230035B2 (ja) 美容具
KR20210097795A (ko) 각도와 방향이 조정될 수 있는 그립을 갖는 게임 컨트롤러
CN114404905B (zh) 一种多功能健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