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256A -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09256A KR20180109256A KR1020170038578A KR20170038578A KR20180109256A KR 20180109256 A KR20180109256 A KR 20180109256A KR 1020170038578 A KR1020170038578 A KR 1020170038578A KR 20170038578 A KR20170038578 A KR 20170038578A KR 20180109256 A KR20180109256 A KR 201801092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compressed air
- pipe
- dried
- adsorp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는, 흡착제가 각각 충전된 2개의 흡착탑과, 상기 2개의 흡착탑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압축공기유입관과, 상기 2개의 흡착탑 중 어느 하나에서 건조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2개의 흡착탑에 연결된 배관들이 하나로 합류되어 구성된 건조공기배출관과, 일단은 상기 건조공기 배출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되어 상기 2개의 흡착탑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건조된 압축공기의 일부와 외부 공기의 혼합공기를 상기 2개의 흡착탑 중 다른 하나에 공급하는 재생냉각관과, 상기 2개의 흡착탑 중 다른 하나에서 배출되는 상기 혼합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혼합공기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냉각관은, 상기 건조공기배출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건조된 압축공기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혼합공기를 토출하는 이젝터와, 상기 혼합공기를 가열하는 스팀 히터와, 상기 혼합공기가 상기 스팀 히터를 바이패스 하도록 구성된 제1 바이패스 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압 설비에 사용되는 고압의 압축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 속에는 수분, 먼지, 공해 물질, 윤활유 등이 농축 및 혼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의 압축공기를 각종 공압 기기에 그대로 사용하면 고장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공기 속에 혼합된 먼지, 공해 물질 등의 고형물은 필터를 통해 제거하고, 수분은 압축공기용 에어 드라이어를 설치하여 제거하는 공기 건조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에어 드라이어는 압축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에 따라, 냉동식, 흡수식 및 흡착식 등의 공기 건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방식 중에서 흡착식은, 수분을 흡착하는 성질을 가진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등의 흡착제로 충전된 흡착탑 내에 압축공기를 유입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종래의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에서 흡착탑에 충전된 흡착제를 재생할 때에는, 건조된 압축공기 또는 블로워나 팬으로 흡입한 외부 공기를 전기 히터에서 가열시킨 후 흡착탑으로 공급하고 있다. 또한, 흡착제의 재생 후에는 전기 히터를 정지시키고 동일한 배관을 통해 흡착탑으로 압축공기 또는 외부 공기를 보냄으로써 흡착제를 냉각시키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재생이 완료된 흡착탑을 냉각시키기 위한 압축공기 또는 외부공기가 완전히 식지 않은 히터를 통과함으로써 냉각 시간이 길어지고, 그 만큼 압축공기 소모량이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흡착제의 재생 및 냉각을 위해 사용되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공급양이 고정되어 있어서, 건조된 압축공기의 생산량 변화에 적절한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여, 흡착탑 내의 흡착제의 재생 및 냉각시에 필요한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하고, 흡착제의 재생 및 냉각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흡착제의 재생 및 냉각시에 사용되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양을 에어 드라이어의 생산량 변화에 따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착제가 각각 충전된 2개의 흡착탑과; 상기 2개의 흡착탑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압축공기유입관과; 상기 2개의 흡착탑 중 어느 하나에서 건조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2개의 흡착탑에 연결된 배관들이 하나로 합류되어 구성된 건조공기배출관과; 일단은 상기 건조공기배출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되어 상기 2개의 흡착탑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건조된 압축공기의 일부와 외부 공기의 혼합공기를 상기 2개의 흡착탑 중 다른 하나에 공급하는 재생냉각관과; 상기 2개의 흡착탑 중 다른 하나에서 배출되는 상기 혼합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혼합공기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냉각관은, 상기 건조공기배출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건조된 압축공기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혼합공기를 토출하는 이젝터와, 상기 혼합공기를 가열하는 스팀 히터와, 상기 혼합공기가 상기 스팀 히터를 바이패스 하도록 구성된 제1 바이패스관을 포함하는,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는, 상기 재생냉각관에 상기 스팀 히터의 상류 또는 하류 측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공기를 가열하는 전기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관은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전기 히터 중 하나 이상을 바이패스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는, 일단이 상기 건조공기배출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재생냉각관에 연결되는 제2 바이패스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바이패스관은 상기 이젝터 및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전기 히터를 모두 바이패스 할 수 있다.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는, 병렬 연결된 복수의 이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는, 상기 복수의 이젝터의 상류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밸브와, 상기 밸브 각각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2개의 흡착탑 중 어느 하나에서 건조된 압축공기의 유량을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젝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건조된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복수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흡착탑 내의 흡착제의 재생 및 냉각시에 필요한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고, 재생 및 냉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흡착제의 재생 및 냉각을 위해 공급되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양을 에어 드라이어의 생산량 변화에 따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개시는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흡착식 에어드라이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1)를 도시한다.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1)는, 흡착제가 각각 충전된 2개의 흡착탑(10,20)과, 2개의 흡착탑(10,2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압축공기유입관(1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1)는, 흡착탑(10, 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건조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건조공기배출관(120)과, 흡착제를 재생 및 냉각시키기 위해 건조된 압축공기와 외부 공기의 혼합공기가 유통되는 재생냉각관(140)과, 흡착탑(10, 20) 중 다른 하나의 내부 압력을 감소시키고, 또한 재생 및 냉각에 사용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혼합공기배출관(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공기유입관(100)의 일단은 건조시켜야 할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되어 각 흡착탑(10,20)의 하단에 각각 연결된다. 분기된 압축공기유입관(100)에는 2개의 흡착탑(10,2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1밸브(102)가 설치될 수 있다.
건조공기배출관(120)은, 2개의 흡착탑(10, 20)에 연결된 배관들(122, 124)이 하나로 합류되어 구성되고, 2개의 흡착탑(10,20) 중 어느 하나(10)에서 건조된 압축공기가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의 출구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재생냉각관(140)은, 일단이 건조공기배출관(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되어 2개의 흡착탑(10,20)에 연결될 수 있다. 재생냉각관(140)에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는 유입측에 설치되어, 건조된 압축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하는 제2밸브(142)와, 제2밸브(142)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자동 흡입하여 건조된 압축공기와 외부공기의 혼합공기를 토출하는 이젝터(ejector) (144)와, 이젝터(144)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혼합공기를 흡착제의 재생이 가능한 온도(예컨대, 150℃ 이상)로 가열하는 히터(146)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건조된 압축공기와 외부공기의 혼합공기는 2개의 흡착탑(10, 20) 중 다른 하나(20)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혼합공기배출관(160)은, 일단이 압축공기유입관(100)에 연결되거나 흡착탑(10,20)에 직접 연결되고, 타단은 소음기(164)에 연결될 수 있다. 혼합공기배출관(160)에는 외부로 압축공기나 혼합공기를 배출 또는 차단하는 제3 밸브(162)가 설치되어 있다.
이젝터(144)에는 외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1441) 및 외부공기의 유입 및 차단을 조절하는 밸브(144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밸브(142)를 통해 이젝터(144)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이젝터(144)를 구성하는 노즐을 고속으로 통과한 후 이어지는 디퓨저를 향해 흐르는데, 이 때 노즐과 디퓨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개방된 밸브(1442)를 통해 외부공기가 자동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젝터(144)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 없이도 건조된 압축공기가 가진 운동에너지로만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므로, 외부 에너지를 사용하여 팬 등에 의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던 종래와 달리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젝터(144)는 팬 등을 사용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것에 비해,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1)의 구조를 단순하고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1)에서 재생냉각관(140)에 설치되는 히터(146)는 스팀 히터일 수 있고, 이젝터(144)에서 토출되는 혼합공기가 스팀 히터(146)를 바이패스하도록 구성된 제1 바이패스관(17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 히터(146)는 산업 현장 내의 비교적 저온의 폐열을 이용하여 약 120℃ 이상의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열을 사용하여 혼합공기가 스팀과 열 교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재생시 히터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전기 에너지 등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에어 드라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바이패스관(170)에 의하면, 흡착제의 재생이 완료된 후 혼합공기를 이용하여 흡착제를 다시 냉각시킬 때, 혼합공기는 가열된 상태의 스팀 히터(146)를 즉시 바이패스할 수 있다. 따라서, 흡착제를 냉각하기 위한 총 냉각시간을 스팀 히터(146)의 냉각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스팀 히터(146)의 냉각에 사용되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사용량만큼을 감소시켜 결국 건조된 압축공기의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조된 압축공기의 생산을 위해 투입되는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혼합공기가 스팀 히터(146)를 통과하지 않고 바이패스하므로, 스팀 히터(146)의 온도는 크게 감소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재생을 위해 혼합공기를 다시 가열할 때, 냉각된 스팀 히터를 다시 가열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량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의 건조 및 재생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압축공기유입관(100)의 일단을 통해 건조시켜야 할 압축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어기(미도시)는 압축공기유입관(100)에 설치된 한 쌍의 제1 밸브(102)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도록 제어함으로써, 2개의 흡착탑(10, 20) 중 어느 하나(10)에만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측의 흡착탑(10)에 연결된 혼합공기배출관(160)에서 제3 밸브(162)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흡착탑(10)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흡착탑(10) 내에 충전된 흡착제와 접촉하면서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된 압축공기가 건조공기배출관(12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않은 다른 흡착탑(20)에서는 제어기에 의해 흡착제의 재생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제어기는 제3 밸브(162)를 개방시켜서 흡착탑(20)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흡착탑(20) 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재생냉각관(140)에 연결된 제2밸브(142)를 개방시켜서 건조된 압축공기의 일정량이 건조공기배출관(120)으로부터 재생냉각관(140)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재생냉각관(140)에 유입된 건조된 압축공기는 고속으로 이젝터(144)를 통과하면서 이젝터(144)를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건조된 압축공기와 외부 공기의 혼합공기가 이젝터(144)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토출된 혼합공기는 스팀 히터(146)에서 스팀과 열 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후, 흡착탑(20)으로 보내질 수 있다.
흡착탑(20)으로 유입된 고온의 혼합공기는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킨 후, 혼합공기배출관(160)에 연결된 제3밸브(16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흡착탑(20)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기는 혼합공기가 스팀 히터(146)를 바이패스하여 제1 바이패스관(170)을 통과하도록, 제4 밸브(172)를 개방하고 제5 밸브(174)를 폐쇄시킬 수 있다. 히터(146)를 통과하지 않은 저온의 혼합공기는 제1 바이패스관(170)을 통해 흡착탑(20)으로 유입되어 흡착제를 10℃~50℃로 냉각을 실시한 후, 혼합공기배출관(160)에 연결된 제3 밸브(16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1)에서, 흡착탑(20)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예컨대, 150℃~300℃ 사이의 특정 온도)에 도달하거나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제어기는 이젝터(144)의 외부공기 흡입측에 설치된 밸브(1442)를 폐쇄하여, 건조된 압축공기만이 이젝터(144)를 통과하게 할 수 있다. 이젝터(144)를 통과한 건조된 압축공기는 스팀 히터(146)를 바이패스하여 제1 바이패스 관(170)을 통과한 후, 흡착탑(20)의 냉각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1a)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따른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1a)는 도 1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재생냉각관(140)에 전기 히터(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산업 현장에서 스팀의 발생을 위한 폐열의 발생량이 부족할 때나, 혼합공기를 급속히 가열하고자 할 때, 또는 재생온도가 스팀 온도보다 높은 흡착제를 사용할 때에는 전기 히터(148)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혼합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관(170)은 스팀 히터(146) 및 전기 히터(148) 중 하나 이상을 바이패스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착탑(2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전기 히터(148)의 작동을 즉시 중지시키고, 혼합공기는 스팀 히터(146) 및 전기 히터(148) 중 하나 이상을 바이패스하여 제1 바이패스관(170)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관(170)은 스팀히터(146) 또는 전기 히터(148)의 정비 또는 수리시에, 해당 히터만을 바이패스할 수 있으므로, 에어 드라이어 전체의 가동을 정지하지 않고도 히터의 정비 또는 수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흡착탑(20)에서 흡착제의 냉각이 완료되면, 제2밸브(142)와 제3밸브(162)가 폐쇄되고, 흡착탑(20) 내부의 압력이 다시 상승하면서 압축공기의 건조과정을 준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와 같이, 일단이 건조공기배출관(1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재생냉각관(140)의 전기 히터(148)의 하류측에 연결된 제2 바이패스관(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착탑(20)을 냉각할 때, 건조된 압축공기가 이젝터(144) 및 히터(146, 148)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배관의 차압을 현저히 줄여서 압축공기의 유동 에너지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재생시에도 히터의 사용 없이 건조된 압축공기만으로 흡착제를 재생하는 히터리스 기능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1b)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의 흡착식 에어드라이어(1b)는, 도 2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한 개의 이젝터 대신에, 병렬 연결된 2개의 이젝터(144a, 144b)를 포함한다. 병렬 연결된 2개의 이젝터(144a, 144b)의 상류측에는 각각 건조된 압축공기를 이젝터에 유입 또는 차단시키는 2개의 제2 밸브(142a, 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밸브(142a, 142b)는 흡착탑(10)에서 배출되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생산량에 따라 복수의 이젝터 중 하나 이상에 건조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3에는 2개의 이젝터만 도시되어 있으나,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에서 단위시간당 생산할 수 있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양 및 개별 이젝터 성능에 따라 3개 이상의 이젝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4개의 이젝터를 이용한 혼합공기의 유량 조절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에서는, 사용처에서의 압축공기 수요량 변동 또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생산량 변동에 상관없이, 재생 또는 냉각을 위해 공급되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유량은 고정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착탑에서 생산되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생산량에 기초하여, 재생 및 냉각을 위해 공급되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흡착탑에서 생산되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생산량이 100%일 때 4개의 이젝터에 약 7%의 건조된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건조된 압축공기의 생산량이 75%로 감소하면, 3개의 이젝터로만 건조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4개의 이젝터 중 하나의 상류측 밸브는 제어기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건조된 압축공기의 생산량이 50%로 감소하면, 2개의 이젝터로만 건조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4개의 이젝터 중 2개의 상류측 밸브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건조된 압축공기의 생산량이 25%로 감소하면, 1개의 이젝터로만 건조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4개의 이젝터 중 3개의 상류측 밸브가 폐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 1개의 이젝터당 공급되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유량은 1.75%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흡착제의 재생 또는 냉각을 위한 건조된 압축공기의 사용량을 에어 드라이어의 건조된 압축공기의 생산량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이젝터당 공급되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유량을 대략 일정 범위에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에 따르면, 각 흡착탑에서 생산되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유량을 흡착탑의 후단 또는 건조공기배출관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 …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10, 20 … 흡착탑, 100 … 압축공기유입관, 120 … 건조공기배출관, 140 … 재생냉각관, 160 … 혼합공기배출관, 102 … 제1 밸브, 142 … 제2 밸브, 162 … 제3 밸브, 172 … 제4 밸브, 174 … 제5 밸브, 144 … 이젝터, 146 … 스팀 히터, 148 … 전기 히터, 164 … 소음기, 170 … 제1 바이패스관, 180 … 제2 바이패스관
Claims (7)
- 흡착제가 각각 충전된 2개의 흡착탑과,
상기 2개의 흡착탑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압축공기유입관과,
상기 2개의 흡착탑 중 어느 하나에서 건조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2개의 흡착탑에 연결된 배관들이 하나로 합류되어 구성된 건조공기배출관과,
일단은 상기 건조공기 배출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되어 상기 2개의 흡착탑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건조된 압축공기의 일부와 외부 공기의 혼합공기를 상기 2개의 흡착탑 중 다른 하나에 공급하는 재생냉각관과,
상기 2개의 흡착탑 중 다른 하나에서 배출되는 상기 혼합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혼합공기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냉각관은,
상기 건조공기 배출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건조된 압축공기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혼합공기를 토출하는 이젝터와,
상기 혼합공기를 가열하는 스팀 히터와,
상기 혼합공기가 상기 스팀 히터를 바이패스 하도록 구성된 제1 바이패스 관을 포함하는,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냉각관은 상기 스팀 히터의 상류 또는 하류 측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공기를 가열하는 전기 히터를 더 포함하는,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패스관은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전기 히터 중 하나 이상을 바이패스 하도록 구성된,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 제3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건조공기배출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재생냉각관에 연결되는 제2 바이패스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바이패스관은 상기 이젝터 및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전기 히터를 모두 바이패스 하도록 구성된,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병렬 연결된 복수의 이젝터를 포함하는,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젝터의 상류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밸브와,
상기 밸브 각각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2개의 흡착탑 중 어느 하나에서 배출되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유량을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젝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건조된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복수의 밸브를 제어하는,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8578A KR101957260B1 (ko) | 2017-03-27 | 2017-03-27 |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8578A KR101957260B1 (ko) | 2017-03-27 | 2017-03-27 |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9256A true KR20180109256A (ko) | 2018-10-08 |
KR101957260B1 KR101957260B1 (ko) | 2019-03-14 |
Family
ID=6386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8578A KR101957260B1 (ko) | 2017-03-27 | 2017-03-27 |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7260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37646A (zh) * | 2019-05-14 | 2019-09-17 | 杭州哲达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压缩空气制备的低能耗通用多模式智慧吸附干燥方法 |
KR102036331B1 (ko) * | 2019-06-20 | 2019-10-24 | 이상진 | 에어 드라이어시스템 |
KR20200090087A (ko) | 2019-09-10 | 2020-07-28 | (주)바우만테크 | 2단계 에어 드라이어 시스템 |
KR20200089817A (ko) | 2019-01-18 | 2020-07-28 | 에스피엑스플로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2단계 에어 드라이어 시스템 |
KR102287888B1 (ko) * | 2020-02-04 | 2021-08-09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 전기식 공기 히터와 증기식 공기 히터를 사용하는 발전소용 공기 건조기 |
CN117358009A (zh) * | 2023-12-04 | 2024-01-09 | 浙江正大空分设备有限公司 | 一种采用蒸汽换热的余热再生干燥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8047A (ko) | 2022-01-10 | 2023-07-18 | 주식회사 케이디이앤에스 | 수분량 의존 스위칭 방식의 제습장치 및 제습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1627A (ko) * | 2004-12-22 | 2006-06-27 | 주식회사 포스코 | 재생가스의 바이패스라인이 설치된 히터를 구비한 온도스윙 흡착증착 |
JP2010104964A (ja) * | 2008-10-31 | 2010-05-13 | Smc Corp | 冷凍式エアドライヤ |
KR101187295B1 (ko) * | 2012-07-27 | 2012-10-02 | (주)대주기계 | 흡착식 압축공기 건조기 |
KR101520319B1 (ko) * | 2014-03-04 | 2015-05-15 | 황철용 | 승압 블로워를 사용한 넌퍼지 및 퍼지 겸용 흡착식 공기 건조 시스템 |
-
2017
- 2017-03-27 KR KR1020170038578A patent/KR1019572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1627A (ko) * | 2004-12-22 | 2006-06-27 | 주식회사 포스코 | 재생가스의 바이패스라인이 설치된 히터를 구비한 온도스윙 흡착증착 |
JP2010104964A (ja) * | 2008-10-31 | 2010-05-13 | Smc Corp | 冷凍式エアドライヤ |
KR101187295B1 (ko) * | 2012-07-27 | 2012-10-02 | (주)대주기계 | 흡착식 압축공기 건조기 |
KR101520319B1 (ko) * | 2014-03-04 | 2015-05-15 | 황철용 | 승압 블로워를 사용한 넌퍼지 및 퍼지 겸용 흡착식 공기 건조 시스템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9817A (ko) | 2019-01-18 | 2020-07-28 | 에스피엑스플로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2단계 에어 드라이어 시스템 |
US11904271B2 (en) | 2019-01-18 | 2024-02-20 | Spx Flow Technology Korea Co., Ltd | Two-stage air dryer system |
CN110237646A (zh) * | 2019-05-14 | 2019-09-17 | 杭州哲达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压缩空气制备的低能耗通用多模式智慧吸附干燥方法 |
KR102036331B1 (ko) * | 2019-06-20 | 2019-10-24 | 이상진 | 에어 드라이어시스템 |
KR20200090087A (ko) | 2019-09-10 | 2020-07-28 | (주)바우만테크 | 2단계 에어 드라이어 시스템 |
KR102287888B1 (ko) * | 2020-02-04 | 2021-08-09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 전기식 공기 히터와 증기식 공기 히터를 사용하는 발전소용 공기 건조기 |
CN117358009A (zh) * | 2023-12-04 | 2024-01-09 | 浙江正大空分设备有限公司 | 一种采用蒸汽换热的余热再生干燥器 |
CN117358009B (zh) * | 2023-12-04 | 2024-05-31 | 浙江正大空分设备有限公司 | 一种采用蒸汽换热的余热再生干燥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7260B1 (ko) | 2019-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7260B1 (ko) |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 |
JP4917033B2 (ja) | 気体を乾燥させる方法と該方法に使用する装置 | |
KR101906531B1 (ko) | 블로워를 이용한 넌퍼지 흡착식 제습장치 | |
KR101906529B1 (ko) | 블로워를 이용한 넌퍼지 흡착식 제습장치 | |
KR101904556B1 (ko) | 화석 연료 발전소로부터의 배출 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의 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
EP3099408B1 (en) | System for regenerating an adsorbent in an off-line adsorption chamber | |
CN106091175A (zh) | 低露点干燥室用低温再生干燥除湿系统 | |
KR101805252B1 (ko) |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퍼지 및 논퍼지 겸용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 |
KR101187295B1 (ko) | 흡착식 압축공기 건조기 | |
RU2009123437A (ru) | Кондицион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тока приточного воздуха сушильной кабины лакировальной установки и способ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потока приточного воздуха | |
KR20060075882A (ko) | 블로워를 이용한 재생공기 순환 압축공기 건조장치 | |
TWI680794B (zh) | Voc處理系統、其控制器及其運行方法 | |
KR102014459B1 (ko) | 압축 공기의 수분 제거 장치 및 방법 | |
KR101027804B1 (ko) | 에어 건조 장치 | |
KR101334144B1 (ko) |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 | |
KR101602380B1 (ko) | 흡착식 압축 공기 건조 시스템 및 방법 | |
WO2019181864A1 (ja) | 除湿装置 | |
KR100965625B1 (ko) | 에어 건조 장치의 제어 방법 | |
KR101728241B1 (ko) | 재생공정 중 냉각과정에 사용된 건조공기를 회수하는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 |
EP3959444B1 (en) | Compress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delivering a compressed gas | |
AU2020262381A1 (en) | Compress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delivering a compressed gas | |
JP3237792U (ja) | 圧縮ガスを乾燥させるための乾燥装置 | |
CN208553487U (zh) | 浓缩转轮废气处理装置 | |
KR200405286Y1 (ko) | 블로워를 이용한 재생공기 순환 압축공기 건조장치 | |
CN204563891U (zh) | 一种高效节能的鼓风再生零气耗吸附干燥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