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144B1 -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144B1
KR101334144B1 KR1020110118068A KR20110118068A KR101334144B1 KR 101334144 B1 KR101334144 B1 KR 101334144B1 KR 1020110118068 A KR1020110118068 A KR 1020110118068A KR 20110118068 A KR20110118068 A KR 20110118068A KR 101334144 B1 KR101334144 B1 KR 101334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air
drying chamber
ejecto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2810A (ko
Inventor
이병승
Original Assignee
에스피엑스플로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피엑스플로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피엑스플로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8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1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8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as dry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4Alumi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80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설비에 사용되는 고압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흡착 제거하는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제의 재생 시 사용되는 압축 공기의 일정 양을 이젝터를 통해 흡입한 외부공기로 대체하여 흡착제의 재생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제가 충전된 두 개의 좌우 측 건조챔버와; 두 개의 건조챔버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입라인과; 건조챔버를 통해 건조된 압축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라인과; 건조챔버의 내부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챔버감압라인과; 건조챔버에 외부공기와 건조된 압축공기를 주입하면서 흡착제를 재생하거나 건조챔버를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재생냉각라인으로 구성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냉각라인에 사용되는 외부공기가 이젝터를 통해 흡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Adsorption Type Drier For Compressed Air Using Ejector}
본 발명은 공압설비에 사용되는 고압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흡착 제거하는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제의 재생 시 사용되는 압축 공기의 일정 양을 이젝터를 통해 흡입한 외부공기로 대체하여 흡착제의 재생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 속에는 대기 중의 수분, 먼지, 공해 물질, 윤활유 등이 농축 및 혼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상태의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시스템에서 그대로 사용하면 수분에 의해 배관이 부식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여기서 먼지, 공해 물질, 윤활유 등의 고형물은 필터를 통해 완벽하게 제거되지만 수분은 그렇지 못하다. 이를 위해 공기압축기의 토출구 측 압축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압축 공기용 건조장치를 설치하여 압축공기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압축공기용 건조장치는 압축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에 따라, 냉동식과 흡수식 및 흡착식 등으로 구분되는데, 냉동식은 압축공기를 냉매 등에 의해 열교환 하여 온도를 노점(이슬점)까지 낮추어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는 방식이다. 상기 흡수식은 염화리튬, 브롬화리툼 등의 액상의 수용성 흡수제를 이용하여 수분을 흡수하여 제거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흡착식은 수분을 흡착하는 성질을 가진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등의 흡착제로 충전(充塡)된 건조챔버 속에 압축공기를 유입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산업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상기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는 흡착제가 충전된 두 개의 좌우 측 건조챔버와; 두 개의 건조챔버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입라인과; 건조챔버를 통해 건조된 압축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라인과; 건조챔버의 내부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챔버감압라인과; 건조챔버에 외부공기와 건조된 압축공기를 주입하면서 흡착제를 재생하거나 건조챔버를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재생냉각라인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정상 시에는 주입라인을 통해 두 개의 건조챔버에 압축공기를 동시에 주입하여 건조한 후, 건조된 압축공기를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재생시에는 주입라인을 통해 두 개의 건조챔버 중 어느 하나에만 압축공기가 주입되도록 한 후, 압축공기가 주입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건조챔버를 챔버감압라인과 재생냉각라인을 차례로 운용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게 된다.
또한 건조챔버의 재생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압축공기를 연속해서 건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는 재생냉각라인을 구성할 때,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블로우나 팬 등이 사용됨으로써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건조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블로우나 팬을 사용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전력이 투입됨으로써 에너지의 절약이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조챔버에 충전된 흡착제의 재생시 사용되는 에너지를 최대한 줄이는 것과 동시에 건조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흡착제가 충전된 두 개의 좌우 측 건조챔버와; 두 개의 건조챔버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입라인과; 건조챔버를 통해 건조된 압축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라인과; 건조챔버의 내부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챔버감압라인과; 건조챔버에 외부공기와 건조된 압축공기를 주입하면서 흡착제를 재생하거나 건조챔버를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재생냉각라인으로 구성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냉각라인에 사용되는 외부공기가 이젝터를 통해 흡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공기와 건조된 압축공기를 이젝터를 통해 적정량 혼합 사용하여 흡착제를 재생함으로써 건조된 압축공기의 소모량이 감소함에 따라 에너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이젝터를 통해 건조장치의 구조가 단순화됨에 따라 건조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제조가 간편해짐과 동시에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건조된 압축공기가 지닌 에너지만을 사용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외부공기를 흡입하던 구조보다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를 구성하는 재생냉각라인을 굵은 실선으로 명확하게 표시한 장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를 구성하는 주입라인을 굵은 실선으로 명확하게 표시한 장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를 구성하는 배출라인을 굵은 실선으로 명확하게 도시한 장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를 구성하는 감압라인을 굵은 실선으로 명확하게 도시한 장치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100)는 흡착제가 충전된 두 개의 좌우 측 건조챔버(1)(1`)와; 두 개의 건조챔버(1)(1`)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입라인과; 건조챔버를 통해 건조된 압축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라인과; 건조챔버의 내부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챔버감압라인과; 건조챔버에 외부공기와 건조된 압축공기를 주입하면서 흡착제를 재생하거나 건조챔버를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재생냉각라인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재생냉각라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라인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분기되어 각 건조챔버(1)(1`)의 상단에 연결된 바이패스관(2)과; 바이패스관(2)의 유입측에 설치되어 바이패스관(2)에 건조된 압축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차단하는 제1개폐밸브(3)와; 제1개폐밸브(3)와 건조챔버(1) 사이의 바이패스관(2)에 설치되며, 건조된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필터(4)가 설치된 외부공기 유입측으로 외부공기를 자동 흡입하여 건조된 압축공기와 외부공기를 바이패스관(2)으로 혼합 배출하는 이젝터(5)와; 이젝터(5)의 토출측 바이패스관(2)에 설치되어 건조된 압축공기와 외부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가열하는 히터(6)와; 건조챔버(1)(1`)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이패스관(2)을 통해 건조챔버(1)(1`)로 유입된 혼합공기를 배출하며, 배출측에 제2개폐밸브(7)(7`)가 설치된 혼합공기배출관(8)(8`)과; 건조챔버(1)에 설치되어 히터(6)를 조작하는 센서(9)(9`)와; 이젝터(5)의 유입측에 설치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조작하는 제3개폐밸브(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젝터(5)는 고속도로 분출되는 제1유체(압축공기)를 통해, 제2유체(외부공기)를 자동으로 흡입하여 제1유체와 제2유체를 혼합(혼합공기)하여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주입라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공기 압축기와 연결되고, 타단이 분기되면서 각 건조챔버(1)(1`)의 하부에 연결되어 건조챔버(1)(1`)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관(11)과; 주입관(11)의 타단에 각각 설치되어 건조챔버(1)(1`)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4개폐밸브(12)(12`)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라인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분기되어 각 건조챔버(1)(1`)와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합쳐지면서 하나로 연결되며, 건조된 압축공기가 유출되는 타단에 바이패스관(2)의 유입측이 연결된 건조공기배출관(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챔버감압라인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공기배출관(8)(8`)에 설치되어 건조챔버(1)(1`)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감압밸브(14)(14`)로 구성된다.
상기 바이패스관(2)과 건조공기배출관(13)에는 각 건조챔버(1)(1`)로 건조된 압축공기나 가열된 혼합공기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복수 개의 체크밸브(15)가 각 건조챔버(1)(1`)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건조챔버(1)(1`)에 충전된 흡착제의 재생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과 동시에 건조장치(100)의 구조를 단순화시킨 특징이 있다.
이를 압축공기의 건조과정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압축공기가 주입라인의 주입관(11)을 통해 건조챔버(1)(1`)로 유입된다.
이때, 주입관(11)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건조챔버(1)(1`) 중 어느 하나에만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4개폐밸브(12)(12`)가 설치된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제4개폐밸브(12`)가 열려 좌측에 위치한 건조챔버(1`)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우측에 위치한 건조챔버(1) 측, 제4개폐밸브(12)가 닫히면서 분기된 주입관(11)의 우측을 막아 우측에 위치한 건조챔버(1)로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좌측에 위치한 건조챔버(1`)로만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건조된다.
그리고 좌측에 위치한 건조챔버(1`)에 구성된 제2개폐밸브(7`)와 감압밸브(14`)는 닫힌 상태로, 혼합공기배출관(8`)을 통해 압축공기가 누출되지 못한다.
이렇게 좌측에 위치한 건조챔버(1`)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건조챔버(1`)에 충전된 흡착제와 접촉하면서 수분이 제거되어 배출라인의 건조공기배출관(13)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건조된 압축공기가 바이패스관(2)과 통합구성된 건조공기배출관(13)에서 바이패스관(2)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체크밸브(15)가 바이패스관(2)과 건조공기배출관(13)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공기가 주입되지 못하도록 차단된 우측 건조챔버(1)는 흡착제의 재생을 위해 챔버감압라인을 구성하는 감압밸브(14)가 작동하면서 건조챔버(1) 내부의 압력을 혼합공기배출관(8)을 통해 배출하여 떨어뜨리게 된다.
우측 건조챔버(1)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재생냉각라인의 히터(6)가 가동되며, 동시에 제1개폐밸브(3)와 제2개폐밸브(7)가 열리면서 건조된 압축공기가 건조공기배출관(13)으로부터 바이패스관(2)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좌측에 위치한 건조챔버(1)는 주입라인으로부터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연속으로 건조하면서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관(2)으로 건조된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바이패스관(2)을 따라 우측에 위치한 건조챔버(1)로 흐르게 된다.
이때, 건조된 압축공기는 고압임에 따라 바이패스관(2)을 따라 고속으로 이동하게 되고, 바이패스관(2)에 설치된 이젝터(5)를 지나면서 외부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흡입된 외부공기는 건조된 압축공기와 동일한 압력과 속도를 가지게되며, 건조된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되고, 이 혼합공기가 히터(6)를 지나면서 고온으로 가열되어 우측에 위치한 건조챔버(1)로 유입된다.
여기서 건조공기배출관(13)을 흐르는 건조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바이패스관(2)을 따라 흐르는 혼합공기의 압력보다 낮음에 따라 체크밸브(15)의 닫힘이 견고히 유됨으로써 건조공기배출관(13)으로 혼합공기의 역류가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이젝터(5)는 건조된 압축공기가 가진 운동에너지 이외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 없이도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음에 따라 팬 등을 사용하여 외기를 바이패스관(2)으로 흡입하던 종래와 달리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팬 등과 같은 장비를 설치하게 되면 건조장치의 부피가 증대되나, 팬 보다 소형이고, 구조가 단순한 이젝터(5)를 사용함으로써 건조장치(100)의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해진다.
이뿐만 아니라 건조장치(100)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오작동의 염려가 해소되고,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해지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젝터(5)의 유입측에는 필터(4)가 설치되어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되면서 바이패스관(2)으로 유입된다.
다시 건조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조챔버(1)로 유입된 고온의 혼합공기는 흡착제를 가열하여 흡착제에서 수분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수분을 혼합공기배출관(8)을 통해 건조챔버(1)의 내부에서 배출하게 된다.
그런 다음, 건조챔버(1)의 온도가 열단절점에 도달하게 되면, 건조챔버(1)에 설치된 센서(9)가 이를 감지하여 히터(6)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참고로 좌측에 위치한 건조챔버(1`)의 흡착제 재생시 히터(6)의 작동은 좌측에 구성된 센서(9`)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렇게 히터(6)의 작동이 중지되면, 이젝터(5)의 흡입측에 설치된 제3개폐밸브(10)가 닫히면서 외부공기를 차단하게 되며, 바이패스관(2)으로 유입되는 건조된 압축공기는 대기압까지 내려가면서 냉각되어 우측에 위치한 건조챔버(1)로 흘러들어가 냉각을 실시한 후, 혼합공기배출관(8)에 설치된 제2개폐밸브(7)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우측에 위치한 건조챔버(1)의 냉각이 완료되면, 제1개폐밸브(3)와 제2개폐밸브(7)와 감압밸브(14)가 닫히게 되고, 건조챔버(1)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면서 압축공기의 건조를 준비하게 된다.
그리고 좌측에 위치한 건조챔버(1`)의 흡착제의 재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우측에 위치한 건조챔버(1)와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가 대칭되게 구성됨으로써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100)는 외부공기와 건조된 압축공기를 이젝터(5)를 통해 적정량 혼합 사용하여 흡착제를 재생함으로써 건조된 압축공기의 소모량이 감소함에 따라 에너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젝터(5)를 통해 건조장치(100)의 구조가 단순화됨에 따라, 건조장치(100)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제조가 간편해지며, 제조 원가가 절감된다.
이뿐만 아니라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건조된 압축공기가 지닌 에너지만을 사용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외부공기를 흡입하던 구조보다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1, 1` : 건조챔버 2 : 바이패스관
3 : 제1개폐밸브 4 : 필터
5 : 이젝터 6 : 히터
7, 7` : 제2개폐밸브 8, 8` : 혼합공기배출관
9, 9` : 센서 10 : 제3개폐밸브
11 : 주입관 12, 12` : 제4개폐밸브
13 : 건조공기배출관 14, 14` : 감압밸브
15 : 체크밸브 100 : 건조장치

Claims (2)

  1. 흡착제가 충전된 두 개의 좌우 측 건조챔버(1)(1`)와; 두 개의 건조챔버(1)(1`)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입라인과; 건조챔버를 통해 건조된 압축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라인과; 건조챔버의 내부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챔버감압라인과; 건조챔버에 외부공기와 건조된 압축공기를 주입하면서 흡착제를 재생하거나 건조챔버를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재생냉각라인으로 구성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냉각라인에 사용되는 외부공기가 이젝터(5)를 통해 흡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냉각라인은 배출라인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분기되어 각 건조챔버(1)(1`)의 상단에 연결된 바이패스관(2)과; 바이패스관(2)의 유입측에 설치되어 바이패스관(2)에 건조된 압축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차단하는 제1개폐밸브(3)와; 제1개폐밸브(3)와 건조챔버(1) 사이의 바이패스관(2)에 설치되며, 건조된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필터(4)가 설치된 외부공기 유입측으로 외부공기를 자동 흡입하여 건조된 압축공기와 외부공기를 바이패스관(2)으로 혼합 배출하는 이젝터(5)와; 이젝터(5)의 토출측 바이패스관(2)에 설치되어 건조된 압축공기와 외부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가열하는 히터(6)와; 건조챔버(1)(1`)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이패스관(2)을 통해 건조챔버(1)(1`)로 유입된 혼합공기를 배출하며, 배출측에 제2개폐밸브(7)(7`)가 설치된 혼합공기배출관(8)(8`)과; 건조챔버(1)에 설치되어 히터(6)를 조작하는 센서(9)(9`)와; 이젝터(5)의 유입측에 설치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조작하는 제3개폐밸브(10)로 구성된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
KR1020110118068A 2011-11-14 2011-11-14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 KR101334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068A KR101334144B1 (ko) 2011-11-14 2011-11-14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068A KR101334144B1 (ko) 2011-11-14 2011-11-14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810A KR20130052810A (ko) 2013-05-23
KR101334144B1 true KR101334144B1 (ko) 2013-11-29

Family

ID=4866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068A KR101334144B1 (ko) 2011-11-14 2011-11-14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1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655B1 (ko) 2016-08-16 2017-12-06 (주)대주기계 흡착식 건조기의 교체방법
KR102373185B1 (ko) 2021-04-13 2022-03-11 김경희 에너지 절약형 듀플렉스 에어드라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9476A1 (de) * 2013-08-30 2015-03-05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Regeneration eines Zweikammer-Lufttrockners
CN111318138B (zh) * 2020-04-21 2020-10-09 广东顺德伟科特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配电箱的除湿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244A (ko) * 2001-07-26 2003-02-05 주식회사 은하양행 블로워를 채용한 순환가열 재생식 공기 건조장치
KR20050005892A (ko) * 2003-07-07 2005-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비가열식의 재생식 공기 건조 장치
KR20110085810A (ko) * 2010-01-21 2011-07-27 이상하 이젝터를이용한 압축공기제조방식
KR101083713B1 (ko) 2011-01-14 2011-11-15 (주)세한플랜트 비가열식 압축공기 건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244A (ko) * 2001-07-26 2003-02-05 주식회사 은하양행 블로워를 채용한 순환가열 재생식 공기 건조장치
KR20050005892A (ko) * 2003-07-07 2005-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비가열식의 재생식 공기 건조 장치
KR20110085810A (ko) * 2010-01-21 2011-07-27 이상하 이젝터를이용한 압축공기제조방식
KR101083713B1 (ko) 2011-01-14 2011-11-15 (주)세한플랜트 비가열식 압축공기 건조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655B1 (ko) 2016-08-16 2017-12-06 (주)대주기계 흡착식 건조기의 교체방법
KR102373185B1 (ko) 2021-04-13 2022-03-11 김경희 에너지 절약형 듀플렉스 에어드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810A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7033B2 (ja) 気体を乾燥させる方法と該方法に使用する装置
KR101957260B1 (ko)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KR101334144B1 (ko) 이젝터를 이용한 압축 공기용 흡착식 건조장치
KR101906531B1 (ko) 블로워를 이용한 넌퍼지 흡착식 제습장치
KR101906529B1 (ko) 블로워를 이용한 넌퍼지 흡착식 제습장치
KR100701218B1 (ko) 흡착식 제습시스템의 재생/제습공정 절환장치
RU2468281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компрессорным блоком и компрессорный блок
US9463434B2 (en) Heat reactivated adsorbent gas fractionator and process
KR100609840B1 (ko) 블로워를 이용한 재생공기 순환 압축공기 건조장치
KR101817154B1 (ko)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장치의 제어방법
CN201454369U (zh) 机车用双塔空气吸附干燥器
US20100281891A1 (en) Device and method for drying fluids conducted in closed circuits
CN103480246A (zh) 一种多功能组合式低露点气体干燥装置
KR101602380B1 (ko) 흡착식 압축 공기 건조 시스템 및 방법
CN202155140U (zh) 不泄压零损耗加热吸附式干燥机
CN107921359A (zh) 压缩和干燥气体的方法及装置
CN208642257U (zh) 一种高效热回收组合干燥机
KR102079461B1 (ko) 압축 공기 처리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1083713B1 (ko) 비가열식 압축공기 건조시스템
CN210186754U (zh) 余热再生吸附式干燥器
KR101214541B1 (ko) 건조-재생 싸이클을 갖는 압축공기 건조장치
KR100753190B1 (ko) 흡착식 제습시스템의 재생용 방향절환 밸브
CN102068883B (zh) 气体干燥装置
KR100417295B1 (ko) 에어 드라이어 시스템
KR101728228B1 (ko)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