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334A - 콘텐츠 객체 이동 궤적의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객체 이동 궤적의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334A
KR20180108334A KR1020170037938A KR20170037938A KR20180108334A KR 20180108334 A KR20180108334 A KR 20180108334A KR 1020170037938 A KR1020170037938 A KR 1020170037938A KR 20170037938 A KR20170037938 A KR 20170037938A KR 20180108334 A KR20180108334 A KR 20180108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vement trajectory
object movement
animation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8395B1 (ko
Inventor
배재현
송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037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39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7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21Sports video; Sports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1Traje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객체 이동 궤적의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와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객체 이동 궤적 표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가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에 대한 요청이 입력된 경우 현재의 콘텐츠 재생 화면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제1 화면 영역에는 상기 콘텐츠 재생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가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처리를 위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한 후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가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처리하여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이 상기 분할된 제2 화면 영역에 표시되도록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텐츠 객체 이동 궤적의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OVEMENT TRACE OF CONTENTS OBJECT}
본 발명은 콘텐츠 객체 이동 궤적의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의 재생 표시 중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객체의 이동 궤적에 대한 표시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방송의 경우 선수들의 주요 행동 또는 경기 중 발생한 주요 상황에 대해서 느린 화면으로 재생시켜 시청자들이 해당 경기 내용을 보다 정확히 판단하거나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스포츠 방송의 경우는 모든 시청자들에게 동일한 화면(상술한 방송 화면은 물론이고, 다시 재생되는 느린 화면 역시 동일)을 제공함으로써, 각 시청자들 별 니즈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야구 생중계의 경우, 어떤 시청자는 투수의 투구 궤적을 다시 느린 화면으로 보기를 원할 수 있고, 또 다른 시청자는 주자의 도루 상황에 대해 느린 화면으로 보기를 원할 수도 있는데, 이처럼 각 시청자들마다 느린 화면으로 재생되기를 원하는 시점이 다를 수 있음에도 종래의 스포츠 방송은 송출하는 방송 콘텐츠의 일괄 처리로 인해 각 시청자들이 원하는 바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번호 제10-2002-000838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각 시청자들이 원하는 시점에 시청 방송에 포함된 특정 객체에 대한 궤적 변화를 표시해주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이동 궤적 표시 처리 시스템은,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에 대한 요청이 입력된 경우 현재의 콘텐츠 재생 화면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제1 화면 영역에는 상기 콘텐츠 재생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로부터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수신한 후, 그 수신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처리하여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이 상기 분할된 제2 화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와;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로부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처리를 위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한 후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 전송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콘텐츠 재생을 수행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콘텐츠 재생 처리부와;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처리하여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 애니메이션 영상을 출력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와;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입력된 경우, 현재의 콘텐츠 재생 화면 영역을 분할한 후 분할된 제1 화면 영역에는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가 출력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분할된 제2 화면 영역에는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가 출력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는,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로부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요청 확인부와; 상기 요청 확인부에서 확인한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처리를 위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와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객체 이동 궤적 표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가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에 대한 요청이 입력된 경우 현재의 콘텐츠 재생 화면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제1 화면 영역에는 상기 콘텐츠 재생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가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처리를 위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한 후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가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처리하여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이 상기 분할된 제2 화면 영역에 표시되도록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에 대한 요청이 입력된 경우 현재의 콘텐츠 재생 화면 영역을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분할된 제1 화면 영역에는 상기 콘텐츠 재생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와;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로부터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처리하여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이 상기 분할된 제2 화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은,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로부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확인한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처리를 위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추출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시청자는 해당 방송을 시청하면서도 그 방송에 포함된 특정 객체의 이동 궤적을 별도의 화면 영역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구 경기 방송 시청자는 해당 야구 경기 방송을 시청하면서도 동시에 바로 이전에 투수가 던진 공의 궤적을 별도의 화면을 통해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동 궤적을 표시함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 단말기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이동 궤적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재생 단말기 자체에서 처리할 수 있는 일종의 제어 텍스트를 수신하게 되므로, 이동 궤적 처리 표시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양이 감소되어 통신 트래픽 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궤적 처리를 위한 제어 텍스트로써 웹 페이지를 이용하는 경우, 웹 브라우저가 구비된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는 객체의 이동 궤적 처리를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도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 및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콘텐츠 재생 단말기상에 표시되는 화면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 및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 간의 통신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편의상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와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통신 시스템은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 자료 제공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자료 제공 서버(3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객체의 이동 궤적에 관련된 정보를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서 재생하고 있는 콘텐츠가 야구 생중계 방송인 경우, 자료 제공 서버(300)는 투수가 던진 각 투구의 구질, 속도, 시간대별 공의 위치 및 궤적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또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셋탑박스와 같은 유선으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가 재생하는 콘텐츠는 소정의 콘텐츠 제공 서버(미 도시함)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는데, 콘텐츠 서버로부터 소정의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은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던 중,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처리 방식 변경 요청이 입력된 경우, 콘텐츠에 대한 전송 전 처리 방식에 대한 변경을 요청하는 콘텐츠 처리 방식 변경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그 콘텐츠 처리 방식 변경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또는 자체 저장된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전송함에 있어서, 소정의 단위로 버퍼링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러한 버퍼링 처리 방식을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변경하거나 그 요청에 따라 이미 변경되어 있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를 든다면, 콘텐츠 제공 서버는 콘텐츠의 특정 구간에 해당하는 청크, 본 실시예에서는 6초길이에 해당하는 청크 3조각이 버퍼에 저장된 경우에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로부터 콘텐츠 처리 방식 변경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4초 길이의 청크 3 조각이 버퍼에 저장되는 시점에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 서버는 6초길이의 청크 2 조각이 버퍼에 저장된 시점에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해당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처음에는 18초의 지연이 발생한 콘텐츠를 수신하다가, 콘텐츠 처리 변경 요청 신호를 전송한 이후에는 12초의 지연이 발생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콘텐츠의 전송이 후술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에 이루어지는 경우, 상술한 콘텐츠 처리 방식 변경 요청 신호에 대한 처리 역시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에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객체의 이동 궤적을 처리하여 표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에 대한 요청이 입력된 경우 현재의 콘텐츠 재생 화면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제1 화면 영역에는 콘텐츠 재생에 따른 영상이 계속 표시되도록 함과 아울러,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에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수신한 후 그 수신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처리하여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이 분할된 제2 화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기능을 도 2의 기능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130), 표시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각종 요청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콘텐츠의 재생 요청을 입력받거나 또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이동 궤적의 표시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는 콘텐츠 재생을 수행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 스포츠 방송 경기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 서버로부터 VOD(VIDEO ON DEMAND)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130)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에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처리하여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 애니메이션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가 야구 생중계 방송인 경우,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130)는 야구 생중계 방송에서 투수가 던진 공에 대한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처리하여 해당 투구의 궤적을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애니메이션'이라 함은 소정의 이미지 처리를 통해 움직임을 표현하는 모든 종류의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130)는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130)는 그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에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로부터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가 수신되면 해당 웹 페이지를 파싱 및 렌더링 처리함으로써, 결국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을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130)가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에 전송하는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는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에 의해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식별 정보와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식별 정보는 후술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가 현재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로서, 각 콘텐츠마다 할당된 고유 번호일 수도 있고, 또는 현재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서 해당 콘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채널 정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 포함되는 시간 정보는 현 시점의 실시간 시간에 대응되는 실시간 시간 정보,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에 대응되는 콘텐츠 재생 경과 시간 정보,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에 의해 재생 중인 콘텐츠 프레임의 순서에 대응되는 프레임 순서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재생 경과 시간 정보는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가 콘텐츠 시작 시점(예를 들어 야구 경기 시작 시점)을 감지한 경우, 그 감지된 콘텐츠 시작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간 중계방송의 경우라도 지역별로 또는 특정 시청자 그룹별로 소정의 처리 과정을 거침에 따라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130)가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 콘텐츠 재생 경과 시간 정보를 포함시키게 되면 후술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는 각 시청자들에 대한 방송 시간 지연 처리를 전혀 고려할 필요 없이 시청자가 이동 궤적을 보고자 하는 방송 콘텐츠의 정확한 시점을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는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가 예를 들어 VOD 콘텐츠인 경우 상술한 프레임 순서 정보는 그 VOD 콘텐츠에 포함된 각 프레임별 고유 번호에 해당할 수 있다.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130)의 상술한 기능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동 추적 갱신이 설정된 경우,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로부터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새로 수신할 수도 있는 것이다.
표시 제어부(140)는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에 입력된 경우, 현재의 콘텐츠 재생 화면 영역을 분할한 후 분할된 제1 화면 영역에는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가 출력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분할된 제2 화면 영역에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130)가 출력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표시 제어부(140)는 앞서 설명한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와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130)를 제어하여 소정의 영상들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데, 만일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부(미 도시함)를 구비한 경우에는 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고, 만일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가 셋탑박스와 같이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TV(Television)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TV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화면 분할과 관련한 일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표시 제어부(140)는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구 중계방송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의 화면 전체 영역(141)에 표시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투수의 투구의 이동 궤적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있는 경우(일 예로 도 3(a)에서 일명 '투구 추적 보기(151)'선택한 경우) 도 3(b)와 같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의 화면 전체 영역을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그 중 제1 영역(142)에는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에 의해 야구 중계방송이 계속하여 표시되도록 하고, 제2 영역(143)에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130)에 의해 투구 이동 궤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명 '투구 추적 끄기(152)'를 선택하는 경우 도 3(c)와 같이 화면 분할 상태를 해제하고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의 화면 전체 영역(141)에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에 의한 야구 중계방송이 계속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화면상의 터치 조작만으로 전체 화면과 분할 화면 간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면 사용자 편의성이 상당히 증대된다.
또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던 중, 사용자로부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의 처리 방식 변경 요청이 입력된 경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의 처리 방식에 대한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의 처리 방식 변경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객체 이동궤적 처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이동궤적 처리서버가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을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전송함에 있어서, 소정의 단위로 버퍼링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러한 버퍼링 처리 방식을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변경하거나 그 요청에 따라 이미 변경되어 있는 방식으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를 든다면, 객체 이동궤적 처리서버는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의 특정 구간에 해당하는 청크, 본 실시예에서는 6초길이에 해당하는 청크 3조각이 버퍼에 저장된 경우에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로부터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 처리 방식 변경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4초 길이의 청크 3 조각이 버퍼에 저장되는 시점에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을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객체 이동궤적 처리서버는 6초길이의 청크 2 조각이 버퍼에 저장된 시점에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해당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처음에는 18초의 지연이 발생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을 수신하다가,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 처리 변경 요청 신호를 전송한 이후에는 12초의 지연이 발생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제어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화면 분할 개수는 필요에 따라 그보다 더 많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 제어부(140)는 다른 구성부의 활성화 처리도 수행할 수 있는데, 특히 사용자로부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에 대한 요청이 입력된 시점에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13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130)는 항상 활성화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표시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객체에 대한 이동 궤적의 표시가 필요한 시점에 비로소 활성화되고, 그 기능이 종료된 경우에는 다시 표시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140) 콘텐츠 재생과 관련하여 특별한 제어를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화면의 좌측과 우측에 대한 사용자의 상하 스크롤 입력이 감지된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콘텐츠 재생에 따라 출력되는 음량과 화면 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된 제1 화면 영역의 좌측 부분을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상하 스크롤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콘텐츠의 출력 음량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분할된 제1 화면 영역의 우측 부분을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상하 스크롤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콘텐츠의 밝기 정도가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화면이 분할됨에 따라 음량과 화면밝기를 제어하는 영역은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 전체 화면 영역의 좌,우측에서 분할된 영역중 야구 중계가 되고있는 영역의 좌,우측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40)는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복수 개의 콘텐츠가 동시에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술한 좌우측 스크롤에 따른 제어는 메인 콘텐츠에 대해서만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가 3개의 방송 콘텐츠를 수신한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전체 화면을 3 개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하고, 그 중 제1 분할 영역에는 제1 방송 콘텐츠가, 제2 분할 영역에는 제2 방송 콘텐츠가, 제3 분할 영역에는 제3 방송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고, 그 중 어느 하나를 메인 콘텐츠로 설정하고 나머지는 서브 콘텐츠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콘텐츠로 설정된 콘텐츠의 음량만이 출력되고, 서브 콘텐츠들은 화면이 표시되기는 하지만 음량은 출력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인 콘텐츠에 할당된 분할 영역(예를 들어 제1 분할 영역)의 좌측과 우측 부분을 상하 스크롤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음량 번경 또는 화면 밝기 변경)가 이루어지고, 만일 사용자가 서브 콘텐츠에 할당된 분할 영역(예를 들어 제2 분할 영역과 제3 분할 영역)의 좌측과 우측 부위를 터치한다 하여도 상술한 바와 같은 음량 변경 또는 화면 밝기 변경 처리는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메인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콘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그 서브 콘텐츠가 메인 콘텐츠가 되고, 이전의 메인 콘텐츠는 자동으로 서브 콘텐츠가 된다.
한편,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로부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처리를 위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한 후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는 요청 확인부(210), 추출부(220), 전송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요청 확인부(210)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로부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콘텐츠 식별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 각 콘텐츠를 구별할 수 있는 고유 번호일 수도 있고, 또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가 각 방송 채널별 현 시점에 송출되고 있는 방송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라면 콘텐츠 식별 정보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서 선택된 채널 번호일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요청 확인부(210)는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로부터 콘텐츠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추출부(220)는 요청 확인부(210)에서 확인한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처리를 위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추출부(220)는 요청 확인부(210)에서 콘텐츠 식별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확인한 경우에는 그 콘텐츠 식별 정보 및 시간 정보 모두에 대응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써, 요청 확인부(210)에서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로부터 확인한 정보에 콘텐츠 식별 정보만이 포함되어 있고 별도의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그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이 복수 개인 경우, 추출부(220)는 복수 개의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은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들의 묶음 즉,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는 영상 콘텐츠 데이터와는 구별되는 것으로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의해 해석되어 애니메이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텍스트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는 마크업 언어에서 이용될 수 있는 각각의 태그 또는 자바스크립트와 같은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명령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 추출부(220)에서 추출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은 웹 브라우저 상에서 애니메이션 처리가 가능한 포맷으로 이루어지는 일종의 웹 페이지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은 자료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객체 이동 궤적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부(220)는 자료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객체 이동 궤적 정보(투구 구질, 구속, 공의 시간대별 위치 등)를 기초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누적 저장하고 있다가,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 그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추출부(220)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로부터 요청이 있는 시점에 비로소 자료 제공 서버(300)에 요청하여 실시간으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출부(200)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로부터 자동 추적 갱신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새로 등록되거나 새로 생성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기 설정 시간 간격으로 자동 추출하여 해당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전송부(230)는 추출부(220)에서 추출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출부(220)에서 추출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이 일종의 웹 페이지인 경우 전송부(230)는 그 웹 페이지를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 및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 흐름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는 야구 생중계 방송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우선, 자료 제공 서버(300)는 주기적으로 생중계 방송 중인 야구 경기에서 투수가 던진 각 투구들에 대한 투구 궤적 자료를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에 제공한다(단계 S1).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는 자료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투구 궤적 자료를 이용하여 투구 궤적의 애니메이션 처리를 위한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단계 S3).
예를 들어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는 HTML5(Hyper Text Markup Language 5)에서 지원하는 'canvas' 태그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야구 생중계 방송을 수신하여 화면 전체에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단계 S5), 사용자의 투구 추적 요청을 감지하면(단계 S7) 화면 영역을 분할하고(단계 S9), 그 중 하나의 분할 화면 영역(즉, 제1 화면 영역)에는 야구 생중계 방송이 계속하여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S11).
이때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제2 화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함과 아울러(단계 S13) 해당 웹 브라우저에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의 주소(URL)를 전달하여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에 접속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웹 브라우저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에 투구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단계 S15).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투구 궤적 요청 신호에서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확인하고(단계 S17), 기 저장되어 있는 투구 궤적 처리용 웹 페이지들 중에서 해당 채널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추출하여(단계 S19)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21).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의 웹 브라우저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투구 궤적 처리용 웹 페이지를 파싱 및 렌더링 처리하여 제2 화면 영역에 표시한다(단계 S23).
결국 제2 화면 영역에는 투수가 던진 투구의 궤적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투구 궤적 요청 신호에 콘텐츠 식별 정보(채널 정보)만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서의 처리 과정을 도 6에 도시하였다.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야구 생중계 방송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단계 S31), 사용자의 투구 추적 요청을 감지하는 경우(단계 S33) 현재 야구 방송의 재생 경과 시간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35).
예를 들어 야구 생중계 방송이 시작되는 위치가 해당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고,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가 야구 생중계 방송 시작 위치를 감지한 시각(방송 시작 시각)을 미리 저장해 놓았다고 가정하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요청이 감지된 시점에서 판단한 시각과 방송 시작 시각 간의 차이를 기초로 야구 방송의 재생 경과 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앞서 추출한 야구 방송의 재생 경과 시간 정보와 해당 야구 방송을 수신하는 채널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투구 궤적 요청 신호를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37).
또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화면 분할을 수행한 후(단계 S39), 그 중 제1 분할 화면 영역에는 야구 방송이 계속 재생 표시되도록 하고, 제2 분할 화면 영역에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투구 궤적 애니메이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S41).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 및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200)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야구 경기 중에 투수가 던진 공을 객체로 선정하여 해당 투구의 이동 궤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야구 주자를 객체로 선정하여 도루 상황에서의 해당 야구 주자의 이동 궤적을 처리할 수도 있고, 또한 야구뿐만 아니라 테니스 경기에서의 공의 서브 궤적을 처리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반드시 스포츠 경기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을 처리하기 위해 콘텐츠 재생 단말기가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로부터 이미 애니메이션 처리를 위해 필요한 제어 텍스트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수신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콘텐츠 재생 단말기가 직접 자료 제공 서버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직접 애니메이션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이 경우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수행되는 애니메이션 처리를 위한 제어 텍스트 생성 과정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상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콘텐츠 재생 단말기 200 :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
300 : 자료 제공 서버 110 : 사용자 입력부
120 : 콘텐츠 재생 처리부 130 :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
140 : 표시 제어부 210 : 요청 확인부
220 : 추출부 230 : 전송부

Claims (28)

  1. 콘텐츠 재생 단말기와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객체 이동 궤적 표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가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에 대한 요청이 입력된 경우 현재의 콘텐츠 재생 화면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제1 화면 영역에는 상기 콘텐츠 재생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가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처리를 위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한 후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가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처리하여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이 상기 분할된 제2 화면 영역에 표시되도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궤적 표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2. (a)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에 대한 요청이 입력된 경우 현재의 콘텐츠 재생 화면 영역을 분할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 분할된 제1 화면 영역에는 상기 콘텐츠 재생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와;
    (c)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로부터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수신하는 단계와;
    (d)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처리하여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이 상기 분할된 제2 화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는 단계와;
    (c2) 상기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로부터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의한 상기 웹 페이지의 처리에 의해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이 상기 분할된 제2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재생하는 콘텐츠는 실시간 스포츠 중계방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전송하는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는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식별 정보와 시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정보는 현 시점의 실시간 시간에 대응되는 실시간 시간 정보, 상기 콘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에 대응되는 콘텐츠 재생 경과 시간 정보, 현 시점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프레임의 순서에 대응되는 프레임 순서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던 중,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처리 방식 변경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전송 전 처리 방식에 대한 변경을 요청하는 콘텐츠 처리 방식 변경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그 콘텐츠 처리 방식 변경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동 추적 갱신이 설정된 경우, 상기 (c) 단계에서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로부터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새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제1 화면 영역의 좌측과 우측에 대한 사용자의 상하 스크롤 입력에 대해서 상기 콘텐츠 재생에 따라 출력되는 음량과 화면 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a)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로부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 확인한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처리를 위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추출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추출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객체 이동 궤적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것이고, 웹 브라우저 상에서 애니메이션 처리가 가능한 포맷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서 콘텐츠 식별 정보와 콘텐츠 재생 경과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추출한 콘텐츠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재생 경과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확인한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이 복수 개인 경우, 그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기 설정된 크기의 청크로 구분하고 기 설정된 개수만큼 버퍼링한 후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처리 방식 변경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청크의 크기와 상기 버퍼링을 위한 청크의 개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한 후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로부터 자동 추적 갱신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 대하여 새로 등록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기 설정 시간 간격으로 자동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18.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에 대한 요청이 입력된 경우 현재의 콘텐츠 재생 화면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제1 화면 영역에는 상기 콘텐츠 재생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로부터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수신한 후, 그 수신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처리하여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이 상기 분할된 제2 화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와;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로부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처리를 위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한 후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 전송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궤적 표시 처리 시스템.
  19. 사용자의 요청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콘텐츠 재생을 수행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콘텐츠 재생 처리부와;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처리하여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 애니메이션 영상을 출력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와;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입력된 경우, 현재의 콘텐츠 재생 화면 영역을 분할한 후 분할된 제1 화면 영역에는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가 출력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분할된 제2 화면 영역에는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가 출력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에 대한 요청이 입력된 시점에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는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로부터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수신한 후, 상기 웹 페이지의 처리에 의해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영상을 생성 및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는 실시간 스포츠 중계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부가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에 전송하는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는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에 의해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식별 정보와 시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정보는 현 시점의 실시간 시간에 대응되는 실시간 시간 정보, 상기 콘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에 대응되는 콘텐츠 재생 경과 시간 정보, 현 시점에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에 의해 재생 중인 콘텐츠 프레임의 순서에 대응되는 프레임 순서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
  25.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로부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요청 확인부와;
    상기 요청 확인부에서 확인한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이동 궤적의 애니메이션 처리를 위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상기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객체 이동 궤적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것이고, 웹 브라우저 상에서 애니메이션 처리가 가능한 포맷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확인부는 상기 객체 이동 궤적 요청 신호로부터 콘텐츠 식별 정보와 시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요청 확인부에서 확인한 콘텐츠 식별 정보 및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요청 확인부에서 확인한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이 복수 개인 경우, 그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애니메이션 제어 텍스트 그룹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궤적 처리 서버.
KR1020170037938A 2017-03-24 2017-03-24 콘텐츠 객체 이동 궤적의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18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938A KR101918395B1 (ko) 2017-03-24 2017-03-24 콘텐츠 객체 이동 궤적의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938A KR101918395B1 (ko) 2017-03-24 2017-03-24 콘텐츠 객체 이동 궤적의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477A Division KR101985627B1 (ko) 2018-09-21 2018-09-21 콘텐츠 객체 이동 궤적의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334A true KR20180108334A (ko) 2018-10-04
KR101918395B1 KR101918395B1 (ko) 2018-11-13

Family

ID=6386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938A KR101918395B1 (ko) 2017-03-24 2017-03-24 콘텐츠 객체 이동 궤적의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354A (ko) 2019-11-12 2021-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140A (ja) * 2002-02-22 2003-09-05 Ricoh Co Ltd 映像配信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395B1 (ko)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8911C (en) Video branching
US8665374B2 (en) Interactive video insertions, and applications thereof
US9787627B2 (en) Viewer interface for broadcast image content
JP6122768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6157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osting site comments with program being viewed
US201202722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un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87257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un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5049810A1 (ja) 多視点動画配置システム
JP4621758B2 (ja) コンテンツ情報再生装置、コンテンツ情報再生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905534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40059134A1 (en) Multimedia delivery system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statistical graph related to auxiliary multimedia data
KR20150011943A (ko) 방송 제공 장치, 방송 제공 시스템 및 이들의 방송 제공 방법
CN111279687A (zh) 视频的字幕处理方法和导播系统
KR100989182B1 (ko) 동영상에 대응되는 투명 레이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90020930A (ko) 개인 맞춤형 녹화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302053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pplementary information about content in broadcasting system
CN112135159B (zh) 公屏演播方法、装置、智能终端及储存介质
KR101918395B1 (ko) 콘텐츠 객체 이동 궤적의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202498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un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985627B1 (ko) 콘텐츠 객체 이동 궤적의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5683756B1 (ja) 多視点動画配置システム
KR102143766B1 (ko) 콘텐츠의 주요 장면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5073535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2139331B1 (ko) 영상 콘텐츠 재생을 위한 장치, 서버 및 방법
KR20060055994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화면 캡쳐를 위한 정지 영상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