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227A - 주사기 - Google Patents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227A
KR20180108227A KR1020170037710A KR20170037710A KR20180108227A KR 20180108227 A KR20180108227 A KR 20180108227A KR 1020170037710 A KR1020170037710 A KR 1020170037710A KR 20170037710 A KR20170037710 A KR 20170037710A KR 20180108227 A KR20180108227 A KR 20180108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yringe
gauze
present
elastic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597B1 (ko
Inventor
장상훈
Original Assignee
장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훈 filed Critical 장상훈
Priority to KR1020170037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59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61F2013/00468Plasters use haemostatic applying local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76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with various devices or meth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 외부면, 더욱 구체적으로 넥크부 외부면에 거즈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전단측에 배치된 넥크부를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하고, 내부에 약제를 저장할 수 있는 원통형상의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내부공간에서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플런저; 및 실린더의 외부면에 거즈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사기 {Syringe}
본 발명은 주사기, 특히 거즈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주사기는 약을 주사하거나, 혈액을 채취하거나, 약제를 공급하는 등의 의료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주사기는 내부에 약제를 저장하는 원통형의 실린더와 함께 실린더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압하여 약제를 공급하는 플런저로 구성된다.
예컨대 혈관 손상시, 의사 혹은 전문 간호사는 주사기를 수단으로 하여 지혈제를 혈관의 손상 부위에 주사(注射)/분사한 다음에 코튼오이드(cottonoid)를 이용하여 손상 부위에 뿌려진 지혈제를 문질러 주어 지혈제를 골고루 펼쳐지게 한다. 물론, 의사 혹은 전문 간호사는 코튼오이드를 통해 혈관의 손상부위를 압박(compression)하여 출혈을 지혈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혈관 손상 부위 혹은 출혈 부위에 지혈제를 분사한 다음에, 분말형 지혈제를 신속하게 코튼오이드로 문지르지 않으면 분말형 지혈제가 들러붙지 않고 유실되어 지혈효과가 현저하게 저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지혈과정 중에, 의사 혹은 전문 간호사는 한 손으로 실린더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플런저를 가압해야 하는데, 코튼오이드를 통해 지혈제를 문지르기 위해 다른 어시스트를 추가로 배치해야만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7947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약제를 주사하고 거즈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실린더 외부면, 구체적으로 실린더 본체 및/또는 넥크부의 외부면에 거즈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약제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실린더 본체와, 이 실린더 본체의 전단측에 유체연통가능하게 배치된 넥크부를 갖춘 원통형상의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내부공간에서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플런저; 및 실린더의 외부면에 거즈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 클립은 실린더 본체의 외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클립은 넥크부의 외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실린더의 외부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된 탄성 후크와, 실린더의 외부면과 탄성 후크로 한정된 삽설홈으로 이루어진 고정 클립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 후크는 실린더의 외부면과 대향되는 자유단의 하부에 걸림턱부와; 이 걸림턱부의 전단측에서 후단측으로 하향 경사져 있는 경사 안내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 후크는 상광하협의 V자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턱부를 구비하는 한편, 넥크부는 탄성 후크와 대향되는 외부면에 V자 단면형상의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클립은 다수의 탄성 후크를 다단으로 적층배열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하나 이상의 거즈를 스택상태로 배열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각각의 탄성 후크의 자유단을 주사기의 후단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배열되도록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약제를 주사할 뿐만 아니라 거즈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사기의 실린더, 구체적으로 환부에 더욱 근접배치되는 실린더 본체 및/또는 넥크부 상에 배치된 고정 클립을 수단으로 하여 거즈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 클립은 실린더의 외부면과 일체로 연장형성된 고정 클립의 탄성 후크로 이루어져, 내구성 향상과 함께 사출성형을 통한 제작공정을 줄이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거즈를 실린더의 외부면과 탄성 후크의 자유단 사이에 진입로로부터 간단하게 밀어 넣어 체결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거즈를 소정의 외력으로 신속하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다양한 유형의 주사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주사기 외부면에 거즈, 예컨대 코튼오이드, 알코올 솜, 일회용 밴드, 패치 등을 탄성지지하는 탄성 후크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원호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에 거즈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약제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12)을 구비한 실린더 본체(참조부호 없음)로 구성된 원통형상의 실린더(10)와, 실린더(10)의 내부공간(12)에서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플런저(20), 및 실린더(10)의 외부면에 거즈(G)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 클립(30)으로 이루어진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플런저(20)는 실린더(10)의 내부공간에서 전진 및/또는 후진이동을 통해 실린더(10) 내부로 약제를 흡입하거나 실린더 내부에 저장된 약제를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약제는 분말 또는 액체 약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분말형 지혈제를 기본으로 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또한, 거즈(G;gauze)라는 용어는 수술중에 혈액을 흡수하거나 닦아내는 코튼오이드(cottonoid), 주사부위를 소독하는 알코올 솜, 일회용 밴드(band), 패치 등과 같이 상처 부위의 지혈이나 압박 및 보호를 위한 부재를 통칭하여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1)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거즈(G)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 클립(30)을 실린더(10)의 외부면에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10)는 이의 전단측에는 실린더 본체보다 직경이 축소된 원통형상의 넥크부(11)를 돌출되게 배치하는 한편, 실린더(10)의 후단측 외부면 둘레에 손잡이부(13)를 배치한다. 손잡이부(13)는 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후단측 외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넥크부(11)는 실린더(10)의 내부공간(12)과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넥크부(11)의 끝단에 주사바늘(미도시)을 압입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의사 혹은 전문 간호사가 분말 지혈제를 혈관의 손상 부위에 주사(분사)하고서 거즈, 예컨대 코튼오이드를 손상 부위에 신속하게 가져다 놓을 수 있도록 주사기(1)의 외부면 상에 거즈를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클립(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1)는 고정 클립(30)을 수단으로 하여 실린더의 외부면에서 거즈(G)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여, 손상 부위로부터 거즈(G) 간에 이격거리를 줄일 수 있다. 이는 거즈를 환부에 더욱 인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어, 거즈를 빠른 시간 내에 환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고정 클립(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1), 바람직하기로 실린더 본체의 외부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실린더 본체의 외부면 둘레를 따라 관둘레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고정 클립은 실린더의 축선방향(관축방향)을 따라 실린더 본체의 외부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분말형 지혈제를 주사(분사)하는 주사기 이외에 다른 주사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독감백신을 주사하고 주사 부위를 알코올 솜, 일회용 밴드, 멸균 거즈, 패치 등으로 소독해야 하는 일회용 주사기, 당뇨환자에게 인슐린을 투여하고 주사 부위에 알코올 솜, 일회용 밴드, 멸균 거즈, 패치 등으로 감염을 방지해야 하는 펜(pen) 타입 인슐린 투여기 등에도 채용될 수 있다.
고정 클립(30)은 삽설홈(32) 내에 거즈(G)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해서 탄성적으로 진입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탄성 후크(31)를 구비하는데, 탄성 후크(31)는 실린더의 외부면, 예컨대 실린더 본체의 외부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바,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상으로 절곡형성된다. 삽설홈(32)은 실린더 본체의 외부면과 탄성 후크(31)로 한정되되, 거즈(G)를 삽입고정하는 공간이다. 고정 클립(30)은 도 3을 토대로 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후크(31)의 고정단은 실린더, 예컨대 실린더 본체의 외부면에 위치고정되는 한편 탄성 후크(31)의 자유단은 실린더 본체의 관둘레방향을 따라 외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실린더 본체와 일체로 결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탄성 후크(31)의 자유단과 실린더 본체의 외부면 사이에 진입로(참조부호 없음)를 형성하여 거즈(G)를 주사기(1)로부터 잡아당겨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진입로를 주사기의 끝단인 넥크부(11)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약액의 분사위치, 분사상태 등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돕는 한편, 거즈(G)를 더욱 신속하고 손상 부위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1)는 거즈(G)를 고정 클립(30)으로 간단하게 밀어 넣어 삽설홈(32) 내에서 탄성지지할 수 있는 한편 소정의 외력으로 거즈(G)를 주사기의 전단측 및/또는 둘레를 따라 잡아당김으로써 삽설홈(32)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1)는 내부에 약제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 실린더 본체로 구성된 원통형상의 실린더(10)와, 이 실린더(10)의 내부공간에서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플런저(20), 및 넥크부(11)의 외부면에 하나 이상의 거즈(G)를 분리가능하게 스택상태로 장착할 수 있는 고정 클립(30)으로 이루어진다. 넥크부(11)는 실린더 본체의 전단측에서 내부공간과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되, 실린더 본체보다 직경이 축소된 원통형상의 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의 변형예로서, 고정 클립(30)의 위치와 연장방향을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배제할 것이다.
전술되었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1)는 거즈(G)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 클립(30)을 넥크부(11)의 외부면에 배치할 수 있다. 넥크부(11)는 실린더(10)의 내부공간(12)과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넥크부(11)의 끝단에 주사바늘(미도시)을 압입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고정 클립(30)은 삽설홈(32) 내에 거즈(G)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해서 탄성적으로 진입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탄성 후크(31)를 구비하는데, 탄성 후크(31)는 실린더, 특히 넥크부(11)의 외부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바,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상으로 절곡형성된다. 삽설홈(32)은 넥크부(11)의 외부면과 탄성 후크(31)로 한정되되, 거즈(G)를 삽입고정하는 공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후크(31)의 고정단은 실린더(10)의 외부면, 특히 넥크부(11)의 외부면에 위치고정되는 한편 탄성 후크(31)의 자유단은 넥크부(11)의 축선방향을 따라 전단측을 향해 배치되되, 넥크부와 일체로 결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탄성 후크(31)의 자유단과 넥크부(11)의 외부면 사이에 진입로(참조부호 없음)를 형성하여 거즈(G)를 주사기(1)의 전단측으로 잡아당겨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진입로를 주사기의 전단측을 향하게 배치하여, 거즈(G)를 더욱 신속하고 손상 부위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탄성 후크(31)는 삽설홈(32)에 삽입된 거즈(G)의 불필요한 이탈을 방지하고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거즈(G)를 가압하는 걸림턱부(311)를 넥크부의 외부면과 대향되게 배치된 자유단의 하부에 구비한다.
본 발명은 진입로를 통해 삽설홈(32)으로 거즈(G)의 용이한 진입을 보장할 수 있는 경사 안내면(312)을 걸림턱부(311) 전면에 구비한다. 경사 안내면(312)은 탄성 후크(31)의 전단측에서 후단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바, 거즈(G)의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진입로의 간격을 좁혀 거즈(G)의 삽입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탄성 후크(31)의 자유단은 가장자리를 라운딩처리하여 탄성 후크의 자유단 모서리에 가해지는 응력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환부에 걸려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1)는 거즈(G)를 고정 클립(30)으로 간단하게 밀어 넣어 삽설홈(32) 내에서 탄성지지할 수 있는 한편 소정의 외력으로 거즈(G)를 주사기의 전단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삽설홈(32)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원호부는 주사기의 요부를 전단측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를 갖는 걸림턱부(311)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부(311)는 상광하협의 V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대응되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탄성 후크(31)와 대향되는 넥크부(11)의 외부면에 오목형상의 안착부(111)를 구비한다. 안착부(111)는 걸림턱부(3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V자형상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한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걸림턱부를 구비한 고정 클립(30)을 실린더 본체의 관둘레방향으로 연장하고, 이와 대응되는 실린더 본체에 오목형상의 안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고정 클립(30) 내에 끼움 결합된 거즈(G)를 걸림턱부(311)로 가압되어 V자형상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이는 거즈(G)의 처짐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거즈(G)의 폭 길이를 줄여 거즈와 환부의 접촉기회를 줄일 수 있으며, 거즈(G)를 삽설홈(32)으로부터 분리할 경우에 주사기 위에서 거즈(G)를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물론, 걸림턱부(311)는 이의 전면에 경사 안내면(도 3 참조)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내부에 약제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실린더(10)와, 이 실린더(10)의 내부공간에서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플런저(20), 및 실린더(10)의 외부면, 특히 넥크부(11)의 외부면에 하나 이상의 거즈(G)를 분리가능하게 스택상태로 장착할 수 있는 고정 클립(30)으로 이루어진다. 넥크부(11)는 실린더(10)의 전단측에서 내부공간과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되, 실린더 본체보다 직경이 축소된 원통형상의 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고정 클립(30)은 하나 이상의 거즈(점선으로 표시됨)를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클립(30)는 다수의 탄성 후크(31;31a,31b)를 다단으로 적층배열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탄성 후크(31a,31b)를 다단으로 적층배열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3개 이상의 탄성 후크를 다단으로 적층배열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하나 이상의 거즈(G)를 비스듬하게 스택상태로 배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제1 탄성 후크(31a)의 자유단과 제2 탄성 후크(31b)의 자유단을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게 배치하지 않고, 각각의 자유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의 후단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배열되도록 적층된다.
다시 말하자면, 제1 탄성 후크(31a)는 탄성변형가능하게 넥크부(11)의 외부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2 탄성 후크(31b)가 제1 탄성 후크(31a)의 탄성변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2 탄성 후크(31b)의 고정단은 제1 탄성 후크(31a)의 고정단 후단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제2 탄성 후크(31b)의 자유단은 제1 탄성 후크(31a)의 자유단보다 짧은 길이부를 갖도록 한다. 이로써, 2개의 거즈(G)가 비스듬하게 배열되어, 거즈(G)를 쉽게 파지하여 고정 클립(30)으로부터 순서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다수의 탄성 후크를 구비한 고정 클립(30)을 실린더 본체 상에서 관둘레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실린더,
20 ----- 플런저,
30 ----- 고정 클립,
31,31a,31b ----- 탄성 후크,
32 ----- 삽설홈,
311 ----- 걸림턱부,
312 ----- 경사 안내면,
G ----- 거즈.

Claims (8)

  1. 내부에 약제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12)을 제공하는 실린더 본체와, 상기 실린더 본체의 전단측에 유체연통가능하게 배치된 넥크부(11)를 갖춘 원통형상의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의 내부공간(12)에서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플런저(20); 및
    상기 실린더(10)의 외부면에 거즈(G)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 클립(30);으로 이루어진 주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30)은 상기 실린더 본체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주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30)은 상기 넥크부(11)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주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30)은 상기 실린더(10)의 외부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된 탄성 후크(31)와, 상기 실린더(10)의 외부면과 상기 탄성 후크(31)로 한정된 삽설홈(32)으로 이루어지는 주사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 후크(31)는,
    상기 실린더(10)의 외부면과 대향되는 자유단의 하부에 걸림턱부(311)와;
    상기 걸림턱부(311)의 전단측에서 후단측으로 하향 경사져 있는 경사 안내면(312);을 구비하는 주사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 후크(31)는 상광하협의 V자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턱부(311)를 구비하고,
    상기 넥크부(11)는 상기 탄성 후크(31)와 대향되는 외부면에 V자 단면형상의 안착부(111)를 구비하는 주사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30)은 다수의 탄성 후크(31:31a,31b)를 다단으로 적층배열하는 주사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탄성 후크(31a,31b)의 자유단은 주사기의 후단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배열되게 적층되는 주사기.

KR1020170037710A 2017-03-24 2017-03-24 주사기 KR101993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710A KR101993597B1 (ko) 2017-03-24 2017-03-24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710A KR101993597B1 (ko) 2017-03-24 2017-03-24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227A true KR20180108227A (ko) 2018-10-04
KR101993597B1 KR101993597B1 (ko) 2019-06-27

Family

ID=6386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710A KR101993597B1 (ko) 2017-03-24 2017-03-24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5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509A (ko) * 2005-03-17 2006-09-21 데이비드 학모 리 알코올솜이 결합된 일회용 주사기.
KR20140017947A (ko) 2012-08-02 2014-02-12 조희민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
KR101453068B1 (ko) * 2014-08-18 2014-11-04 윤석주 위생캡이 구비된 주사기
KR101490381B1 (ko) * 2014-03-10 2015-02-05 김민영 의료용 다용도 키트
KR20160047508A (ko) * 2013-08-29 2016-05-02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외부 금속 부분과 내부 플라스틱 부분으로 이루어진 주사 장치용 하우징 및 뚜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509A (ko) * 2005-03-17 2006-09-21 데이비드 학모 리 알코올솜이 결합된 일회용 주사기.
KR20140017947A (ko) 2012-08-02 2014-02-12 조희민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
KR20160047508A (ko) * 2013-08-29 2016-05-02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외부 금속 부분과 내부 플라스틱 부분으로 이루어진 주사 장치용 하우징 및 뚜껑
KR101490381B1 (ko) * 2014-03-10 2015-02-05 김민영 의료용 다용도 키트
KR101453068B1 (ko) * 2014-08-18 2014-11-04 윤석주 위생캡이 구비된 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597B1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24567B (zh) 保护帽和带有保护帽的注射器适配器
JP5907969B2 (ja) カートリッジ薬剤の送達のための1回使いきりデバイス
FI106536B (fi) Injektioruisku
KR950008520B1 (ko) 고형 또는 반고형 제제 투여 장치
JP5669730B2 (ja) 針を安全に偏向させる装置
RU2459639C2 (ru) Инъектор карпульный одноразовый
KR101503886B1 (ko) 주삿바늘 조립체, 이를 이용한 안전주사기 및 안전주사기 장치
EA021547B1 (ru) Системы для введ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пациентам с ревматоидным артритом
JP2008504928A (ja) 使い捨て注射器
CN101102804A (zh) 有关注射器及针的改进
JP2007510502A (ja) シリンジ用安全シールドシステム
KR101993597B1 (ko) 주사기
KR200473467Y1 (ko) 인슐린 투약용 안전 주사바늘
US20080097305A1 (en) Safety hypodermic syringe
JPH10179737A (ja) 注射器
KR20160070545A (ko) 스틱인저리와 감염 방지기능을 갖는 수액 주사니들 유닛
KR200423645Y1 (ko) 안전 주사기
KR100660317B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CN213284946U (zh) 一种针尖保护装置
CN211561376U (zh) 一种自带拔针时所用的消毒棉签的留置针装置
KR102512519B1 (ko) 재사용 방지용 주사장치
TWI686222B (zh) 注射針筒
JP3223479U (ja) 注射器用補助具
CN211512959U (zh) 一种点阵注射针头
CN215080213U (zh) 一种防断针畜牧兽医用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