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187A - 트러스 텐트 구조 - Google Patents

트러스 텐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187A
KR20180108187A KR1020170037627A KR20170037627A KR20180108187A KR 20180108187 A KR20180108187 A KR 20180108187A KR 1020170037627 A KR1020170037627 A KR 1020170037627A KR 20170037627 A KR20170037627 A KR 20170037627A KR 20180108187 A KR20180108187 A KR 20180108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unit
truss
bent
pa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리렉스
강주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리렉스, 강주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리렉스
Priority to KR102017003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8187A/ko
Publication of KR20180108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05Structures with a longitudinal horizontal axis, e.g. cylindrical or prismatic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93Details of framework supporting structure, e.g. posts 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41Frame 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52Cove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 텐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러스 구조의 지붕트러스 및 상기 지붕트러스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지붕트러스를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한 쌍의 벽체트러스를 포함하며 상호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트러스부; 상기 트러스부가 이격 배치되는 방향을 향해 길이가 긴 바 형태로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트러스부의 둘레를 따라 그 외면에 다수 결합되는 마감프레임; 및 단위 유닛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감프레임들의 둘레를 감싸 연속적으로 마감하는 패널유닛;을 포함하여 풍압 및 하중에 의한 강성이 개선되고 화재시 그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는 트러스 텐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러스 텐트 구조{The structure of truss tent}
본 발명은 트러스 텐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체육관, 격납고, 창고 등의 용도로 제작되는 트러스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조립식 천막으로 된 구조물은 일반 구조물에 비해 자재비가 저렴하여 시공 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외형이 독특하여 색다른 심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크기 및 형태의 변경이 용이하여 설치 공간에 대한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철거가 용이하여 설치 이후 이전이 용이한 등의 장점이 있어 전시시설, 공항시설, 공장시설, 군사시설, 항만시설, 체육시설, 쇼핑몰 등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천막 구조물들은 설치가 용이한 반면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쉽게 흔들리거나 바람에 의해 펄럭이는 등 매우 불안정한 설치상태를 갖는 것이 사실이며, 눈이나 비 도는 바람에 의해 천막의 처짐과 누수가 발생하고 더 나아가 붕괴의 위험성도 내포하게 된다.
또한, 천막으로 된 구조물은 화재시 천막이 전소 되게 되므로 그 피해가 상당하며, 소방관련법규에 따라 불연성 소재로의 전환시 시공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187676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트러스부의 외면을 천막 재질이 아닌 불연성 재질의 패널유닛이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마감시킴으로써, 풍압 및 하중에 의한 강성이 개선되고 화재시 그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증대되는 트러스 텐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트러스 텐트 구조는 트러스 구조의 지붕트러스 및 상기 지붕트러스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지붕트러스를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한 쌍의 벽체트러스를 포함하며 상호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트러스부; 상기 트러스부가 이격 배치되는 방향을 향해 길이가 긴 바 형태로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트러스부의 둘레를 따라 그 외면에 다수 결합되는 마감프레임; 및 단위 유닛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감프레임들의 둘레를 감싸 연속적으로 마감하는 패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패널유닛은 체결위치에 따라, 상기 지붕트러스에 구성된 마감프레임에 결합되는 지붕패널; 및 상기 벽체트러스에 구성된 마감프레임에 결합되는 벽체패널;로 구분되고, 상기 지붕패널의 양단 폭은 한 쌍의 상기 벽체패널 간 폭보다 긴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패널유닛은 판부; 상기 판부의 일단에 제1절곡면, 제2절곡면, 제3절곡면이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하향 개구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는 수용부; 및 상기 판부의 타단에 제4절곡면, 제5절곡면이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ㄱ'자 형태의 삽입부;를 포함하여, 연속 배열되는 일 패널유닛과 이웃하는 타 패널유닛 간 결합시, 일 패널유닛의 수용부에 타 패널유닛의 삽입부가 삽입되되, 일 패널유닛 수용부의 제2절곡면과 타 패널유닛 삽입부의 제 5절곡면이 나란히 밀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례로써, 상기 판부에는 상기 제5절곡면의 끝단을 향해 돌출되는 수밀단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른 예로써, 상기 판부에는 그 외측을 향해 뾰족하게 절곡되어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연속 배열되는 일 패널유닛과 이웃하는 타 패널유닛 간 결합시, 일 패널유닛의 수용부에 타 패널유닛의 삽입부가 삽입되되, 일 패널유닛 수용부의 제2절곡면과 타 패널유닛 삽입부의 제5절곡면이 나란히 밀착시키고, 일 패널유닛의 제3절곡면을 제2절곡면과 나란하게 절곡시켜 제 2절곡면과 제3절곡면 사이에 타 패널유닛의 제5절곡면이 개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텐트 구조는 트러스부의 외면을 천막 재질이 아닌 불연성 재질의 패널유닛이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마감시킴으로써, 풍압 및 하중에 의한 강성이 개선되고 화재시 그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텐트 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트러스 텐트 구조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패널유닛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패널유닛이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패널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패널유닛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4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텐트 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트러스 텐트 구조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패널유닛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패널유닛이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패널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패널유닛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4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텐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부(100), 마감프레임(200) 및 패널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트러스부(100)는 지붕트러스(110)와 벽체트러스(1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지붕트러스(110)와 벽체트러스(120)는 트러스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텐트 구조가 비교적 넓은 공간에 걸쳐 설치되는 바, 넓은 분포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지붕트러스(110)는 도면에서와 같이 횡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형상으로는 아치형, 원호형, 직선형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벽체트러스(120)는 한 쌍이 상기 지붕트러스(1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지붕트러스(110)를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것으로, 한 쌍의 벽체트러스(120) 간 간격에 텐트 내부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러스부(1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마련되어 상호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된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횡방향이라함은 상기 지붕트러스(110)의 길이방향 및 한 쌍의 벽체트러스(120)가 이격된 방향이라 정의하고, 종방향이라함은 횡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트러스부(100)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이라 정의 한다.
이어서, 상기 마감프레임(200)은 상기 트러스부(100)가 이격배치되는 방향 즉, 종방향을 향해 길이가 긴 바 형태로 마련되어 도 1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상기 트러스의 둘레를 따라 그 외면에 다수 결합되게 된다.
상기 패널유닛(300)은 단위 유닛으로 다수 마련하여 도 1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프레임(200)들의 둘레를 감싸 연속적으로 마감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패널유닛(300)은 다수의 마감프레임(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패널유닛(300)과 마감프레임(200) 간 결합수단으로는 도 4에서와 같이 피스(400)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피스(400) 외에 종래 다양한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유닛(300)의 재질로는 금속, 합성수지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아연도강판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패널유닛(300)은 그 체결위치에 따라 지붕패널(310) 및 벽체패널(320)로 구분될 수 있는데, 도 1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패널(310)은 상기 지붕트러스(110)에 구성되는 마감프레임(200)에 결합되는 패널유닛(300)이고, 상기 벽체패널(320)은 상기 벽체트러스(120)에 구성되는 마감프레임(200)에 결합되는 패널유닛(300)이다.
이러한 상기 지붕패널(310)은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 폭이 한 쌍의 벽체패널(320) 간 이격된 폭보다 길게 구성하여 비나 눈이 텐트 구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패널유닛(300)을 지붕패널(310)과 벽체패널(320)로 구분하지 않고 트러스 텐트 구조에서 벽체와 지붕을 한 번에 감아 마감하는 일체형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패널유닛(3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패널유닛(300)은, 판부(330), 수용부(340) 및 삽입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판부(330)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평평한 형태로써, 도 2c와 같이 일측으로 길게 구성되어 패널유닛(300)이 트러스부(100)의 형태에 따라 직선면 또는 곡면 형태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340)는 상기 판부(33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판부(330)의 일단에서 제1절곡면(341), 제2절곡면(342), 제3절곡면(343)이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하향 개구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삽입부(350)는 상기 판부(33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판부(330)의 타단에서 제4절곡면(351), 제5절곡면(352)이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ㄱ'자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마감프레임(200)들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마감프레임(200)에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패널유닛(300)이 상호 간에 견고하면서도 수밀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바,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패널유닛(300)과 이웃하는 타 패널유닛(300) 간 결합시, 일 패널유닛(300)의 수용부(340)에 타 패널유닛(300)의 삽입부(350)가 삽입되되, 일 패널유닛(300) 수용부(340)의 제2절곡면(342)과 타 패널유닛(300) 삽입부(350)의 제 5절곡면을 나란히 밀착시켜 피스(400)를통해 일 패널유닛(300)의 제2절곡면(342)과 타 패널유닛(300)의 제5절곡면(352)을 관통시킨 상태로 마감프레임(200)에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5절곡면(352)이 상기 제1절곡면(341)과 제3절곡면(343) 사이 공간에 인입될 수 있도록 제5절곡면(352)의 길이는 제1절곡면(341)과 제3절곡면(343)의 간격보다 작게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스(400)는 방수피스를 적용시켜 피스(400)를 통한 일 패널유닛(300)과 타 패널유닛(300) 간 결합시 트러스 텐트 구조의 내측으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시킴이 타당하다.
한편,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 패널유닛(300) 간 결합 구조에서 상기 수용부(340)의 제3절곡면(343)이 물리적 충격 등에 의한 꺽임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제1절곡면(341), 제2절곡면(342), 제3절곡면(343)이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수용부(340) 내측으로 빗물 등이 유입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트러스 텐트 구조의 내측으로 누수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3절곡면(343)이 꺽인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면서 트러스 텐트 구조의 내측으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밀단(336)이 더 구성되는 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상기 수밀단(3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부(330)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판부(330)에 있어 상기 제5절곡면(352) 끝단의 대향지점에서 제5절곡면(352)을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수밀단(336)의 구성에 의해 일 패널유닛(300)의 수용부(340)에 타 패널유닛(300)의 삽입부(350)가 삽입되어 결합될 때, 일 패널유닛(300)의 제1절곡면(341)은 타 패널유닛(300)의 제4절곡면(351)에, 그리고 일 패널유닛(300)의 제3절곡면(343)은 타 패널유닛(300)의 수밀단(336)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므로, 상기 수밀단(336)에 의해 제3절곡면(343)의 자세가 제어될 수 있어 제3절곡면(34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판부(330)와 제3절곡면(343)의 틈새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수밀단(336)이 이를 차단하여 트러스 텐트 구조의 내측으로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패널유닛(3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부(330)에는 그 외측을 향해 뾰족하게 절곡되어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337)를 형성시켜 판부(330)를 보강하여 풍압 또는 하중에 대하여 저항성이 강화되어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트러스 텐트 구조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패널유닛(300)이 상호간 결합시 보다 견고하면서 수밀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다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실시 예(도 4)와 마찬가지로 일 패널유닛(300)과 이웃하는 타 패널유닛(300) 간 결합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패널유닛(300)의 수용부(340)에 타 패널유닛(300)의 삽입부(350)가 삽입되되, 일 패널유닛(300) 수용부(340)의 제2절곡면(342)과 타 패널유닛(300) 삽입부(350)의 제5절곡면(352)을 나란히 밀착하도록 구성시킨 다음에, 도 7b와 7c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패널유닛(300)의 제3절곡면(343)이 타 패널유닛(300)의 제5절곡면(352)에 밀착되도록 절곡시킴으로써, 제3절곡면(343)과 제2절곡면(342) 사이에 제5절곡면(352) 개재되어 제2절곡면(342), 제5절곡면(352), 제3절곡면(343)이 순서대로 밀착 배열되고, 그 상태로 피스(400)가 제2절곡면(342), 제5절곡면(352), 제3절곡면(343)을 관통하여 마감프레임(200)에 체결됨으로써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패널유닛(300)이 상호 간 결합시 결합부위에 대한 견고성과 수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 트러스부 200 : 마감프레임
300 : 패널유닛

Claims (6)

  1. 트러스 구조의 지붕트러스 및 상기 지붕트러스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지붕트러스를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한 쌍의 벽체트러스를 포함하며 상호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트러스부;
    상기 트러스부가 이격 배치되는 방향을 향해 길이가 긴 바 형태로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트러스부의 둘레를 따라 그 외면에 다수 결합되는 마감프레임;
    단위 유닛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감프레임들의 둘레를 감싸 연속적으로 마감하는 패널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텐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유닛은 체결위치에 따라,
    상기 지붕트러스에 구성된 마감프레임에 결합되는 지붕패널; 및
    상기 벽체트러스에 구성된 마감프레임에 결합되는 벽체패널;로 구분되고,
    상기 지붕패널의 양단 폭은 한 쌍의 상기 벽체패널 간 폭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텐트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유닛은
    판부;
    상기 판부의 일단에 제1절곡면, 제2절곡면, 제3절곡면이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하향 개구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는 수용부; 및
    상기 판부의 타단에 제4절곡면, 제5절곡면이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ㄱ'자 형태의 삽입부;를 포함하여,
    연속 배열되는 일 패널유닛과 이웃하는 타 패널유닛 간 결합시,
    일 패널유닛의 수용부에 타 패널유닛의 삽입부가 삽입되되,
    일 패널유닛 수용부의 제2절곡면과 타 패널유닛 삽입부의 제5절곡면이 나란히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텐트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에는 상기 제5절곡면의 끝단을 향해 돌출되는 수밀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텐트 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에는 그 외측을 향해 뾰족하게 절곡되어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텐트 구조.
  6. 제 3항에 있어서,
    연속 배열되는 일 패널유닛과 이웃하는 타 패널유닛 간 결합시,
    일 패널유닛의 수용부에 타 패널유닛의 삽입부가 삽입되되,
    일 패널유닛 수용부의 제2절곡면과 타 패널유닛 삽입부의 제5절곡면이 나란히 밀착시키고,
    일 패널유닛의 제3절곡면을 제2절곡면과 나란하게 절곡시켜 제 2절곡면과 제3절곡면 사이에 타 패널유닛의 제5절곡면이 개재되어 상기 제5절곡면의 상하면은 각각 상기 제2절곡면 및 제3절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텐트 구조.
KR1020170037627A 2017-03-24 2017-03-24 트러스 텐트 구조 KR20180108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627A KR20180108187A (ko) 2017-03-24 2017-03-24 트러스 텐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627A KR20180108187A (ko) 2017-03-24 2017-03-24 트러스 텐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187A true KR20180108187A (ko) 2018-10-04

Family

ID=6386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627A KR20180108187A (ko) 2017-03-24 2017-03-24 트러스 텐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81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85001A (en) Edging strip for a dry wall structure
US99327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scia hinge connections
KR20180108187A (ko) 트러스 텐트 구조
KR102533647B1 (ko) 지붕 시공용 이중 아치패널 조립체
US3142937A (en) Covering for roofs and walls
KR101570104B1 (ko)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101920746B1 (ko) 방수부재가 구비된 지붕판넬조립체
KR20100006512A (ko)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KR101905274B1 (ko) 스플릿형 가림막장치
KR100511475B1 (ko) 건물 지붕판넬 연결용 신축 크립
KR101551251B1 (ko) 강풍에 의한 지붕 날림을 방지한 지붕 건축 방법 및 지붕 구조
JP5003975B2 (ja) 水切り構造及び入隅用水切り構造。
GB2323611A (en) A panel for a fencing system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877186A (en) Building structure
KR200459774Y1 (ko) 건축용 조립 판넬의 연결구조
KR200493321Y1 (ko) 건축물 내외장재
JP4595693B2 (ja) 外壁パネル
KR101962423B1 (ko) 곡면 커튼월 창호 프레임의 단열 구조
JPH0790947A (ja) ガスケット挿着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られるガスケット
JP5040857B2 (ja) 水切り構造、入隅用水切り構造、及び出隅用水切り構造。
KR20090001916U (ko) 금속제의 추녀끝 마감재 구조
JP3742068B2 (ja) 金属板横葺外壁の端部接続構造
WO1992012304A1 (de) Bauelement für die erstellung von flächigen gebäudeteilen und zugehöriger montage-bausatz zur errichtung von gebäuden
JP5924495B2 (ja) 本瓦葺屋根軽量化屋根及びその工法
KR20240000085U (ko) 비틀림방지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