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169A - 멀티 니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니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169A
KR20180108169A KR1020170037593A KR20170037593A KR20180108169A KR 20180108169 A KR20180108169 A KR 20180108169A KR 1020170037593 A KR1020170037593 A KR 1020170037593A KR 20170037593 A KR20170037593 A KR 20170037593A KR 20180108169 A KR20180108169 A KR 20180108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jection needles
injection
needle
electrod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7796B1 (ko
Inventor
이종대
Original Assignee
봄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봄텍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봄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7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796B1/ko
Priority to PCT/KR2018/002917 priority patent/WO2018174454A1/ko
Publication of KR20180108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61M5/425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e.g. vacuum cylinders, vein immobil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멀티 니들 모듈이 개시된다. 개시된 멀티 니들 모듈은, 복수의 가이드 관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가이드 관을 통하여 케이스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복수의 주사 바늘을 포함한 가동유닛과, 케이스에 고정된 복수의 전극단자와, 가동유닛을 상기 케이스 내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복수의 전극과 가동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니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Multi-needle module and medicine injec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 니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 바늘을 통하여 약물주입과 동시에 고주파를 전달하여, 세포 내에 약물을 전달하는 멀티 니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노화방지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시술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피부에 직접 영양성분이 포함된 물질이나, 약제를 피부에 직접 주입하거나, 피부에 도포하여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 주사기의 바늘을 통해 피부에 약물을 직접 주입하는 주사 요법이 많이 이용되며, 미용성형 분야에서는 메조테라피(Mesotherapy)라는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메조테라피는 메조 건(gun)에 장착되는 멀티 니들 모듈이나 주사 바늘을 이용해 피부층에 직접 약물(영약 액이나 약제)을 주입하는 시술법을 말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약물을 투입하는 방법은 피부의 표피층으로 영양분을 공급할 수는 있지만, 영양분이 표피층에 지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주파를 이용하는 경우, 피부에 약물을 도포하고, 도포한 약물은 약물이 도포된 피부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표피층에서 진피층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고주파를 이용하는 경우 세포의 내측으로 약물을 공급할 수 있지만, 간접적으로 약물이 전달되어 약물의 전달효율이 낮았다.
따라서, 종래의 멀티 니들 모듈을 이용한 약물 주입 방법들은 피부 세포에 직접적으로 약물을 전달하지 못하여, 세포내 침투율이 떨어지고, 영양액이나 약제의 효과 지속시간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주사 바늘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주사 바늘을 통하여 주입되는 액체가 피부 세포의 내측으로 직접 공급할 수 있는 멀티 니들 모듈 및 약제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가이드 관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관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복수의 주사 바늘을 포함한 가동유닛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복수의 전극단자와, 상기 가동유닛을 상기 케이스 내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전극과 상기 가동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멀티 니들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전극단자는 상기 케이스 외부에 고정되고, 일부는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가동유닛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전극단자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는 상기 복수의 주사 바늘을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선단부에 피부가 인입되는 흡입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주사 바늘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주사 바늘은 상기 매트릭스의 행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사 바늘의 길이가 순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관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주사 바늘의 길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끼움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돌기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복수의 주사 바늘과, 상기 복수의 주사 바늘과 결합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주사 바늘에 약물을 공급하는 주사 바늘 허브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일부는 케이스 내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전극단자와, 상기 복수의 전극단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주사 바늘 허브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주사 바늘 허브로 약물을 공급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주사기와, 상기 주사기 및 상기 피스톤을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약물주입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주사 바늘을 통하여 피부 내측으로 약물을 공급할 때 고주파를 이용하여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킴에 따라 약물이 효과적으로 피부 세포 내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주사 바늘의 최대 돌출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열되도록 하여 다양한 굴곡이 있는 인체에 약물을 주입할 때 복수의 주사 바늘이 모두 일정하게 피부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약물을 치료 부위에 균일하게 주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니들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멀티 니들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멀티 니들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멀티 니들 모듈의 A-A'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멀티 니들 모듈의 B-B'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인쇄회로기판에 인쇄된 도체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주사 바늘 지지부재의 액체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주사 바늘 허브의 액체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니들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니들 모듈이 굴곡을 가지는 면에서 주사 바늘이 돌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 및 멀티 니들 모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약물 주입 장치(1)는 전원부(10), 본체(30), 고주파 발생기(40), 구동부(50) 및 멀티 니들 모듈(100)로 이루어진다.
본체(30)는 주사기(20)를 전후진할 수 있고, 주사기(20)가 안착되는 주사기장착대(미도시)를 포함하고, 주사기장착대의 피스톤을 고정하고 연동하는 클램프(미도시)를 포함한다.
전원부(10)는 고주파 발생기(40) 및 구동부(50)로 전력을 공급한다.
고주파 발생기(40)는 공급된 전원으로 고주파를 발생시켜, 멀티 니들 모듈(100)로 고주파 펄스를 전달한다.
구동부(50)는 주사기를 이송시키는 제1 모터와 제1 리드스크류, 피스톤을 전진시키는 제2 모터와 제2 리드스크류를 포함하는 리드스크류식 선형왕복수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모터의 축에 제1 리드스크류의 일단이 결합되고, 제1 리드스크류의 타단이 주사기장착대의 하단에 고정되어, 제1 모터의 동력으로 주사기(20)는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터의 축에 제2 리드스크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클램프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제2 모터의 동력으로 피스톤(25)은 전진할 수 있다.
제1 모터가 정, 역회전을 하면, 제1 리드스크류를 따라 주사기장착대에 안착된 주사기(20)는 전후진한다. 제2 모터가 정, 역회전을 하면 제2 리드스크류를 따라 클램프에 의해 연동되는 피스톤(25)이 주사기(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모터의 정회전으로 주사기가 전진하면, 멀티 니들 모듈(100)의 내부에 배치된 주사 바늘들이 전진하여 피부에 삽입된다. 주사 바늘들이 피부에 삽입된 이후, 제2 모터의 정회전으로 피스톤(25)이 주사기(25)내로 전진하면, 주사 바늘들을 통해 피부에 주사기(20) 내부의 약물은 공급된다.
본체(30)에는 멀티 니들 모듈(100)이 장착되는 장착홈(33)이 형성되고, 장착홈의 양측으로는 후술하는 제1 및 제2 결합부재(111, 113)의 끼움돌기(112)가 각각 결합되는 끼움홈(31)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니들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멀티 니들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멀티 니들 모듈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멀티 니들 모듈의 A-A'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멀티 니들 모듈의 B-B'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인쇄회로기판에 인쇄된 도체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멀티 니들 모듈(100)은, 케이스(110), 가동유닛(130), 탄성부재(150) 및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172)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일부분(110a)에서 케이스의 전방을 향해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가이드 관(119)과 케이스(110)의 일부분(110a)의 테두리로부터 복수의 가이드 관(119)보다 더 길게 연장 형성된 흡입부(120)를 포함한다.
복수의 가이드 관(119)은 각각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가이드 관(119)의 배치는 매트릭스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이격된 상태로 다양한 배열을 이룰 수도 있다.
케이스(110)로부터 연장된 흡입부(120)의 일면은 개구(125)를 포함한다. 개구(125)는 흡입관(60, 도 1 참조)이 연결될 수 있다. 흡입관(60)은 진공원(미도시)으로부터 발생하는 부압이 흡입부(120) 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흡입부(120) 내측에 부압이 형성되면 케이스(110) 선단이 접하는 피부가 흡입부(120) 내측으로 빨려 들어가 가이드 관(119)의 선단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주사 바늘(131)이 피부에 동일한 깊이로 삽입되어 약물을 피부 내측으로 침투시킬 수 있다.
케이스(110)는 양 측면에 제1 및 제2 결합부재(111, 113)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제1 결합부재(111)는 본체의 끼움홈(31)에 대응되는 끼움돌기(112)를 포함한다. 제2 결합부재(113)도 본체의 반대측 끼움홈에 대응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결합부재(111, 113)는 일단이 케이스(110)의 양측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멀티 니들 모듈(100)을 본체의 장착홈(33)에 삽입할 경우, 제1 및 제2 결합부재(111, 113)는 장착홈(33)의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각 결합부재의 끼움돌기(112)가 장착홈의 끼움홈(31)에 각각 스냅 결합된다.
가동유닛(130)은 복수의 주사 바늘(131)과,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132)과, 주사 바늘 지지부재(160)와, 주사 바늘 허브(140)를 포함한다.
복수의 주사 바늘(131)은 니들 유닛(130)을 케이스(110)의 후방 공간부(110b)에 결합 시 복수의 가이드 관(119)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복수의 주사 바늘(131)은 복수의 가이드 관(119)과 동일하게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즉, 복수의 주사바늘(131)의 배열은 복수의 가이드 관(119)의 배열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회로기판(132)은 복수의 주사 바늘(131)과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결합공(133)이 형성된다. 인쇄회로기판(132)은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172) 및 탄성부재(150)를 통해 전류가 인가될 때, 인가된 전류를 복수의 주사 바늘(131)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복수의 주사 바늘(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132)은 후술하는 주사 바늘 지지부재(160)의 선단에 형성된 안착홈(169)에 결합된다. 하지만 인쇄회로기판(132) 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각각의 주사 바늘(131)로 고주파 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전도성 도체로 형성된 통전부재를 포함하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 172)는 일부는 케이스(110)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케이스(110)에 형성된 결합개구(117, 118, 도 4 참조)를 통하여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된다. 제1 전극단자(171)는 제1 외부 전원 단자(181)과 연결되고, 제2 전극단자(172)는 제2 외부 전원 단자(182)와 연결된다. 제1 및 제2 외부 전원 단자 중 하나는 +극성을 가지고, 나머지 하나는 -극성을 가진다.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 172)는 케이스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의 일단에 제1 결합돌기(173a,174a)가 형성되고, 결합개구(117, 118)를 통하여 케이스 내부로 삽입된 부분의 끝단에 제2 결합돌기(173b, 174b)를 가진다. 각 전극단자의 제1 결합돌기(173a,174a)는 케이스 외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결합홈(114a)에 결합되고, 제2 결합돌기(173b, 174b)는 케이스 내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결합홈(114b)에 결합된다.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 172)는 복수의 가이드 관(119)중 일부 가이드 관(119a, 119b)의 후단부(119c)가 삽입되는 개구(175, 176)를 포함한다. 복수의 주사 바늘(131) 중 해당 가이드 관(119a, 119b)을 통과하는 주사 바늘은 가이드 관(119a, 119b)의 후단부(119c)에 둘러싸여 있으므로 전극단자(171, 172)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는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어 주사 바늘 지지부재(16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주사 바늘 지지부재(160)가 주사기(20)의 전진에 의해 전진할 때 제1 내지 제4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주사기(20)의 전진을 위해 가해진 외력이 제거될 때 제1 내지 제4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의 탄성력에 의해 후진하여 원위치로 이동된다.
제1 내지 제4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는 주사 바늘 지지부재(160)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탄성부재(150a, 150b) 각각은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 172)와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가 주사 바늘(131)을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것으로 표현하였지만, 서로 단락되지 않도록, 주사 바늘(131)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면 족하다. 또한, 제1 내지 제4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가 절연체(미도시)로 둘러싸일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탄성부재(150)를 4개의 제1 내지 제4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로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 172)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2개만으로 구성하여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 172)와 가동유닛(130)이 서로 통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주사 바늘 지지부재(160)는 선단에 인쇄회로기판(132)이 결합되고, 후단에 주사 바늘(131)로 약물을 공급할 수 있는 주입구와 액체유로를 가지는 주사 바늘 허브(140)가 결합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주사 바늘 지지부재(160)는 상면 및 저면에 각각 슬라이딩 돌기(161, 162)가 형성되고, 케이스(110)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115, 116)에 결합한다. 이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132)을 통해 주사 바늘 지지부재(160)에 결합된 복수의 주사 바늘(131)은 케이스의 복수의 가이드 관을 통해 선단이 케이스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 돌기(161, 162)의 이동거리(h)는 케이스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115, 116)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복수의 주사 바늘(131)의 돌출 길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주사 바늘(131)은 인쇄회로기판(132)을 관통하고, 주사 바늘 지지부재(160)의 주사 바늘 결합부(166)에 각 주사 바늘(131)의 일단이 고정된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주사 바늘 지지부재(160)와 주사 바늘 허브(14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액체유로(145, 165)를 포함한다. 주사 바늘 허브(140)는 주사 바늘 허브(140)의 액체유로(145)와 결합되는 액체주입관(141)을 포함한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132)과 주사 바늘 허브(140)는 주사 바늘 지지부재(160)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케이스(110)의 후방 공간부(110b)에 배치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 172)와 케이스의 결합관계와, 제1 및 제2 탄성부재(150a, 150b)를 통한 인쇄회로기판(132)과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 172)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되, 도 2의 B-B'의 라인에 위치하는 제1 전극단자(171)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전극단자(171)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173a)는 케이스 외부에 형성된 제1 결합홈(114a)에 결합되고, 케이스(110) 외부의 결합개구(117)을 통하여 케이스 내부로 돌출된 제1 전극단자(171)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173b)는 케이스 내부의 가이드 관 주위에 형성된 제2 결합홈(114b)에 결합된다.
제1 전극단자(171)로 인가되는 전류를 인쇄회로기판(132)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도전체인 제1 탄성부재(150a)는 일단이 제1 전극단자(171)와 접촉되고, 타단이 인쇄회로기판(132)의 도전 패턴과 접촉된다.
제1 전극단자(171)와 연결되지 않는 제3 탄성부재(150c)는 가이드 관(119) 주위에 형성된 탄성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ㄷ"형의 홈(110c, 도 5 참조)에 결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32)는 주사바늘(131)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133)을 가지고 있다. 결합공(133)은 제1 및 제2 도체 패턴(135a, 135b)과 연결된다. 제1 도체패턴(135a)은 제2 연결영역(134b)에서 제1 탄성부재(15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도체패턴(135b)은 제1 연결영역(134a)에서 제2 탄성부재(15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하여, 제1 및 제2 외부 전원 단자(181, 182)로부터 공급된 전류가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 172)로 전달되고,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 172)에 연결된 제1 및 제2 탄성부재(150a, 150b)를 통하여 제1 및 제2 도체 패턴(135a, 135b)으로 전달된다.
제1 및 제2 도체패턴(135a, 135b)를 통하여, 각각의 주사바늘(131)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및 제2 도체 패턴(135a, 135b)의 형상은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각각의 주사바늘(131)에 필요한 극성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주사 바늘 지지부재의 액체유로와 주사 바늘 허브의 액체유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주사 바늘 지지부재(160)에 형성된 액체유로(165)는 주사 바늘 결합부(166)가 위치한 면의 반대 면에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주사 바늘 허브(140)에 형성된 액체유로(145)는 액체주입관(141)의 끝단에 배치된다.
각각의 액체유로(145, 165)는 복수의 주사 바늘(131)로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액체주입관(141)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액체유로(145, 16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격자형태(田)나 "卍" 등의 형상으로 모든 복수의 주사 바늘(131)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주사 바늘(131)과 연결되는 형상이면 족하다.
주사 바늘 지지부재(160)에 형성된 액체유로(165)에는 주사 바늘 결합부(166)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통로에 복수의 액체유출구(167)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니들 모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사기(20)를 주사기장착대에 안착시키고, 피스톤(25)의 끝단을 클램프로 고정시킨다.
시술자는 케이스(110)의 일면에 형성된 흡입부(120)가 환자의 피부에 접촉한다. 필요에 따라, 개구(125)에 연결된 흡입관(60)은 진공원(70)을 통하여 흡입부(120) 내부 공기를 흡입하면, 피부는 가이드 관(119)으로 흡착된다.
고주파 발생기(40)에 전원이 공급되면, 고주파 발생기(40)로부터 제1 및 제2 외부 전원 단자(181, 182)와 연결된 전극단자(171, 172)로 전류가 인가된다. 제1 외부 전원 단자(181)가 +극성을 가지면, 제1 외부 전원 단자(181)에 연결된제1 전극단자(171)에 인가된 전류는 제1 탄성부재(150a)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132)의 제1 도전패턴(135a)으로 전달된다. 제1 도전패턴(135a)에 연결된 주사바늘(131)을 통하여 전류가 피부로 흐르게 된다. 피부에 흐르는 전류는 제2 도전패턴(135b)에 연결된 주사바늘(131)을 통하여 전류가 제2 도전패턴(135b)로 전달되고, 제2 탄성부재(150b)를 통하여, 제2 전극단자(172) 및 제2 외부 전원 단자(182)로 순차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시술자의 피부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주사기(20)가 구동부(50)의 제1 모터와 제1 리드스크류에 의해 전진하면, 주사 바늘(131)은 가이드 관(119)의 안내에 따라 케이스(110)외부로 돌출된다. 주사 바늘(131)은 피부 내부로 침투하게 되고, 피부에 주사 바늘(131)을 통하여 고주파를 공급하게 된다. 주사 바늘(131)은 피부로 고주파를 전달하여 세포조직을 활성화 시킨다.
이후, 구동부(50)의 제2 모터와 제2 리드스크류에 의해 기 설정된 주입량에 따라 피스톤(25)이 전진하면, 액체가 주사 바늘 허브(140)로 공급되고, 주사 바늘 허브(140) 및 주사 바늘 지지부재(160)에 형성된 액체유로(145, 165)를 통하여 복수의 주사 바늘(131) 각각에 액체가 공급된다. 주사 바늘(131)을 통하여 배출되는 액체는, 피부 내부로 전달되고, 활성화된 세포조직을 따라 진피층으로 액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니들 모듈(100)을 이용하는 경우, 피부에 침투하는 주사 바늘(131)에 고주파를 인가할 수 있어, 주사 바늘(131)을 통하여 약제가 주입된 피부의 세포를 고주파로 활성화 시킬 수 있어서 주입된 약물이 세포내로 원활히 흡수된다. 따라서, 주입된 약제의 지속효과가 길고, 치료효과도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50a, 150b)는 전극단자(171, 172)와 인쇄회로기판(13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통전을 위한 부품을 줄이고,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에 의해서, 사용하고 난 주사 바늘(131)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감염의 위험으로부터 시술자나 환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이 인쇄회로기판(132)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132)의 이동에 따른 도선의 배치에 어려움이 있고, 도선의 움직임에 의한 마찰, 도선의 끊어짐, 피복의 벗겨짐에 따른 문제점을 회피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니들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니들 모듈이 굴곡을 가지는 면에서 주사 바늘이 돌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니들 모듈(200)은 주사 바늘(231), 가이드 관(225) 및 흡입부(220)의 형상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니들 모듈(10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니들 모듈(200)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니들 모듈(100)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주사 바늘(231)과 가이드 관(22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니들 모듈(100)과 마찬가지로 상호 이격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의 행에 따라 복수의 주사 바늘(231a, 231b, 231c)과 가이드 관(225a, 225b, 225c)의 길이가 상이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주사 바늘(231)은 제1행에 배치된 주사 바늘(231a), 제2행에 배치된 주사 바늘(231b) 및 제3행에 배치된 주사 바늘(231c)로 구별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3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주사 바늘(231)의 길이는 제1행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짧아진다.
복수의 주사 바늘(231)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이드 관(225)도 제1행에 배치된 가이드 관(225a), 제2행에 배치된 가이드 관(225b) 및 제3행에 배치된 가이드 관(225c)로 구별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관(225)의 길이는 각 행에 따른 복수의 주사 바늘(231)의 길이의 차이에 대응하도록 제1행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짧아진다.
흡입부(220)는 케이스(210)로부터 가이드 관(225)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가이드 관(225)의 측면을 감싸는 흡입부(220)의 테두리는 가이드 관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주사 바늘(231)의 선단이 기울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시술자는 멀티 니들 모듈(200), 이를 장착한 주사기 또는 약제 주입 장치를 환자의 피부에 기울인 채 밀착시켜 시술 할 수 있다. 또한, 피부의 굴곡을 가지는 경우에도, 복수의 주사 바늘(231)이 피부에 삽입되는 길이(d)는 거의 일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피부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멀티 니들 모듈(200)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른 경사도를 가진 멀티 니들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멀티 니들 모듈(200)이 주사 바늘(231)을 9개로 형성되어 3행으로 배치되었지만, 대면적의 치료를 위해서 3행 이상의 주사바늘(231)을 배치한다면, 경사면이 변하도록 곡률을 가지는 멀티 니들 모듈(200)을 제작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약물 주입 장치 100: 멀티 니들 모듈
110: 케이스 130: 가동유닛
140: 주사 바늘 허브 150: 탄성부재
160: 주사 바늘 지지부재 171, 172 : 전극단자

Claims (9)

  1. 복수의 가이드 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관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복수의 주사 바늘을 포함한 가동유닛;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복수의 전극단자; 및
    상기 가동유닛을 상기 케이스 내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전극과 상기 가동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멀티 니들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단자는 상기 케이스 외부에 고정되고, 일부는 내부로 돌출되는, 멀티 니들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가동유닛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전극단자와 접촉되는, 멀티 니들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는 상기 복수의 주사 바늘을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니들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선단부에 피부가 인입되는 흡입부를 형성한, 멀티 니들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사 바늘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멀티 니들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사 바늘은 상기 매트릭스의 행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사 바늘의 길이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멀티 니들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관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주사 바늘의 길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멀티 니들 모듈.
  9. 끼움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돌기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복수의 주사 바늘;
    상기 복수의 주사 바늘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주사 바늘에 약물을 공급하는 주사 바늘 허브;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일부는 케이스 내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전극단자;
    상기 복수의 전극단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주사 바늘 허브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주사 바늘 허브로 약물을 공급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주사기; 및
    상기 주사기 및 상기 피스톤을 각각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약물주입장치.
KR1020170037593A 2017-03-24 2017-03-24 멀티 니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 KR101977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593A KR101977796B1 (ko) 2017-03-24 2017-03-24 멀티 니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
PCT/KR2018/002917 WO2018174454A1 (ko) 2017-03-24 2018-03-13 멀티 니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593A KR101977796B1 (ko) 2017-03-24 2017-03-24 멀티 니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169A true KR20180108169A (ko) 2018-10-04
KR101977796B1 KR101977796B1 (ko) 2019-05-13

Family

ID=6358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593A KR101977796B1 (ko) 2017-03-24 2017-03-24 멀티 니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7796B1 (ko)
WO (1) WO201817445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442A (ko) * 2018-10-31 2020-05-08 서석배 니들 유닛, 니들 팁 및 피부 관리 장치
CN111569190A (zh) * 2020-04-13 2020-08-25 昆山安卓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五孔水光针
WO2020222462A1 (ko) * 2019-04-30 2020-11-05 주식회사 파나시 내입형 약물주입주사장치
KR102203123B1 (ko) * 2020-06-29 2021-01-14 (주)풍림파마텍 시술용 멀티니들 모듈
WO2022071712A1 (ko) * 2020-09-29 2022-04-07 봄텍전자 주식회사 피부시술장치용 멀티니들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603B1 (ko) * 2019-06-11 2021-07-20 (주)비올 바늘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피부 자극기 및 그 제조 방법
CN111588982A (zh) * 2020-05-07 2020-08-28 昆山安卓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十六孔水光针
CN112169161B (zh) * 2020-10-09 2022-03-04 深圳睿蚁科技有限公司 一种美容仪美容头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890A (ko) * 2012-10-11 2014-04-21 김근식 멀티니들장치
US20160228178A1 (en) * 2014-12-19 2016-08-11 Chongqing Derma Optic&Electronic Technique Co., Ltd. Radio frequency treatment apparatus
KR20160118024A (ko) * 2015-04-01 2016-10-11 봄텍전자 주식회사 니들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문신장치
KR20170019024A (ko) * 2015-08-10 2017-02-21 주식회사 로보맥스 전류인가형 니들모듈과 자동주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271B1 (ko) * 2010-12-24 2014-03-06 방시열 피부 시술용 니들유닛
KR101740950B1 (ko) * 2015-02-17 2017-06-15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니들을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890A (ko) * 2012-10-11 2014-04-21 김근식 멀티니들장치
US20160228178A1 (en) * 2014-12-19 2016-08-11 Chongqing Derma Optic&Electronic Technique Co., Ltd. Radio frequency treatment apparatus
KR20160118024A (ko) * 2015-04-01 2016-10-11 봄텍전자 주식회사 니들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문신장치
KR20170019024A (ko) * 2015-08-10 2017-02-21 주식회사 로보맥스 전류인가형 니들모듈과 자동주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442A (ko) * 2018-10-31 2020-05-08 서석배 니들 유닛, 니들 팁 및 피부 관리 장치
WO2020222462A1 (ko) * 2019-04-30 2020-11-05 주식회사 파나시 내입형 약물주입주사장치
US11596778B2 (en) 2019-04-30 2023-03-07 Huons Medical Co., Ltd. Insertion type drug injection device
CN111569190A (zh) * 2020-04-13 2020-08-25 昆山安卓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五孔水光针
KR102203123B1 (ko) * 2020-06-29 2021-01-14 (주)풍림파마텍 시술용 멀티니들 모듈
WO2022071712A1 (ko) * 2020-09-29 2022-04-07 봄텍전자 주식회사 피부시술장치용 멀티니들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74454A1 (ko) 2018-09-27
KR101977796B1 (ko)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796B1 (ko) 멀티 니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
US7840260B2 (en) Iontophoretic intra-tympanic drug delivery system
US20200054874A1 (en) Electrode introducer device
KR101066883B1 (ko) 전류 인가형 멀티 주사 바늘 및 자동주사장치
JP4899020B2 (ja) 組織の予防的処置又は治療に用いるための装置
US10589088B2 (en)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a pulsed radio frequency therapy in a vascular system or another cavity or tissue of the human or animal body
US20070225773A1 (en) Implantable transcranial pulse generator having a collapsible portion
US94151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with photonic stimulation capabilities
CN113784745B (zh) 具有球形滚针的拆装式皮肤手术装置
AU2009232117B2 (en) Eye injection device and method
US20100298761A1 (en) Electroporation device with improved tip and electrode support
US201400395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a multi-lead introducer for use with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s
US20120283186A1 (en) Therapeutic agent delivery apparatus and process
KR101768647B1 (ko) 멀티 주사 바늘 및 무선 자동주사장치
WO2006078924A2 (en) Minimally invasive, sustained, intra-tympanic drug delivery system
CN215608765U (zh) 美容手柄
CN217793261U (zh) 一种浅部实体肿瘤瘤内持续给药装置
KR20230051930A (ko) 피부 시술용 주사장치
KR20200122008A (ko)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KR102626572B1 (ko) 체내 삽입용 마이크로 니들 의료장치
US20210353878A1 (en) Hypodermic device with an array of hypodermic needles
KR102576111B1 (ko) 미들커넥터를 포함하는 가역적 전기천공시스템
CN219763494U (zh) 一种穿刺针和穿刺针系统
KR101499854B1 (ko) 약물 주입형 메조 니들
CN220404107U (zh) 一种基于电刀的组织切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