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049A -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049A
KR20180108049A KR1020170037227A KR20170037227A KR20180108049A KR 20180108049 A KR20180108049 A KR 20180108049A KR 1020170037227 A KR1020170037227 A KR 1020170037227A KR 20170037227 A KR20170037227 A KR 20170037227A KR 20180108049 A KR20180108049 A KR 20180108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gory
supplies
product information
product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욱
이재호
현정근
유우경
Original Assignee
한국인터넷의료정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인터넷의료정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인터넷의료정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7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8049A/ko
Publication of KR20180108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에서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 의료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및 의료 분야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수집된 상품 정보를 분류하는 상품 정보 수집부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료 분야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및 상기 의료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AND DEALING GOOD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효율적으로 상품을 관리하고 거래할 수 있는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이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가격 비교 등을 통해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어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는 포털이나 쇼핑몰에서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검색한 후 해당 상품의 제조사, 브랜드, 가격 등을 고려하여 상품을 구매한다. 이때, 상품 명칭은 구체적으로 입력할 필요가 있으며, 상품 명칭이 구체적이지 않으면 상품 검색 목록에 불필요한 상품이 다수 포함되어 상품 검색이 불편하여 원하는 상품 구매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의료기술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의료 기술의 고도화로 인해 의료행위에 이용되는 의료기기는 매우 다양해 지고있다. 이로인해 의사, 간호사 등 의료인들도 의료기기를 관리하기 어려워지고 있지만, 의료기기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 체계가 부재하여 의료기기 검색이 불편하고 정확하지 않아 원하는 의료기기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색된 의료기기를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개별 의료기기뿐만 아니라, 소정의 의료 행위를 위해 필요한 의료기기 세트에 대한 제품 정보를 제공하면 의료인들이 매우 편리하게 의료기기를 구매할 수 있어 이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상품을 관리하고 거래할 수 있는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는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의료기기 정보를 수집하고 소정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도록 분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의료기기를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는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에서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 의료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및 의료 분야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수집된 상품 정보를 분류하는 상품 정보 수집부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료 분야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및 상기 의료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품 정보 수집부는 상기 의료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부터 상기 의료 분야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순차로 적용하여 상품 정보를 분류하고; 제어부는 상기 의료 분야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부터 상기 의료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순차로 적용하여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의료 분야를 구분하기 위한 카테고리는 상기 의료기기를 이용하는 의료 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분되는 제1 카테고리와; 의사의 전문 분야를 고려하여 구분되는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 수집부는 상기 제2 카테고리로부터 상기 제1 카테고리로 순차로 적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분류하고, 제어부는 상기 제1 카테고리로부터 상기 제2 카테고리로 순차로 적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테고리는 임상의학, 기초의학 및 치의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카테고리는 상기 의료기기의 사용 용도를 고려하여 구분되는 제3 카테고리와; 의료기기의 명칭으로 구분되는 제4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 수집부는 상기 제4 카테고리로부터 상기 제3 카테고리로 순차로 적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분류하고, 제어부는 상기 제3 카테고리로부터 상기 제4 카테고리로 순차로 적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3 카테고리는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수술용품 및 보철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에서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 순차로 적용되는 복수의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상품 정보를 분류하는 상품 정보 수집부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을 고려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는 포함하는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복수의 분류 기준은 상품의 제조사 및 브랜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제1 분류 기준과; 상품 거래 실정에 따라 호칭되는 상품 명칭에 관한 제2 분류 기준과; 상품 제조사에서 결정한 상품 명칭 및 해당 상품 명칭과 유사한 상품 명칭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제3 분류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 제조사, 브랜드, 상품 명칭, 유사어 등을 이용하여 상품을 분류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어 상품 구매가 용이하다.
또한, 상품이 의료기기인 경우, 의료기기를 이용하는 의료 분야의 특성, 의사의 전문 분야, 의료기기의 사용 용도를 고려하여 의료기기를 분류하므로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의료기기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의료기기 검색시에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의료기기를 검색할 수 있어 의료기기 구매가 용이하다.
또한, 소정의 의료 행위를 위해 필요한 의료기기 세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의료기기를 검색하고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정보 수집 및 분류를 위한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거래를 위한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거래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상품 거래 시스템(10)은 제1 내지 제3 쇼핑몰 서버(110,120,130) 및 서버(100)를 포함하며, 제1 내지 제3 쇼핑몰 서버(110,120,130) 및 서버(100)는 인터넷망(140)을 통해 연결된다.
제1 내지 제3 쇼핑몰 서버(110,120,130)는 복수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가 상품 구매를 원하는 경우 온라인을 통해 상품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내지 제3 쇼핑몰 서버(110,120,130)에서 제공하는 상품 정보는 상품의 명칭, 제조사, 브랜드, 가격, 기능, 다른 사용자의 구매 의견, 유사 상품 정보, 판매자 정보 등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버(100)는 제1 내지 제3 쇼핑몰 서버(110,120,130)에서 제공하는 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소정의 분류 기준에 따라 상품을 분류하여 저장한다. 사용자가 소정 상품을 검색하면, 서버(100)는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상품에 대한 제조사, 브랜드, 기능, 가격 등을 비교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 상품의 구매를 원하는 경우, 해당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절차를 진행한다.
도 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PC 등 단말을 통해 제1 내지 제3 쇼핑몰 서버(110,120,130) 및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버(100)는 입력부(200), 통신부(210), 상품 정보 수집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등을 입력받으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휠, 조그 스위치, 푸쉬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1 내지 제3 쇼핑몰 서버(110,120,130), 사용자 단말(미도시) 등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 인터넷부(미도시), 방송 송수신부(미도시), 이동 통신부(미도시), 근거리 통신부(미도시), 유선 통신부(미도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부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송신하는데, 무선 인터넷부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은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ess)등 일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는 각종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방송 송수신부를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방송 시스템은,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MediaFLO(Media Foe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 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Tereestrial) 등일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방송 신호에는 교통 데이터, 생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것이며,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등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는 다른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이며, USB Port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USB 모듈일 수 있다.
상품 정보 수집부(220)는 제1 내지 제3 쇼핑몰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일 예로 상품 정보 수집부(220)는 제1 내지 제3 쇼핑몰(110,120,130)을 소정 주기로 방문하여 상품 정보를 수집하거나, 제1 내지 제3 쇼핑몰(110,120,130)에 신규 상품이 등록되면 바로 방문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상품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 분류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품 구매를 원하는 경우, 구매 절차를 진행하는 등 본 발명의 서버(1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한편, 상품 정보 수집부(220)는 상품 정보를 수집한 후 소정의 분류 기준에 따라 상품을 분류하여 저장하는데, 상품 분류는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 항목에 대응하도록 분류할 수 있다. 일 예로, 대분류는 제조사명 또는 상품 브랜드, 중분류는 상품의 포괄 명칭, 소분류는 구체적인 상품의 명칭 또는 유사 명칭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품의 명칭은 동일한 상품에 대해 상품 거래 실정상 일반적으로 호칭되는 상품 명칭이 있고, 제조사에서 결정한 명칭이 있는데, 거래 실정상 일반적으로 호칭되는 상품 명칭과 제조사에서 결정한 명칭이 다를 수 있으며, 각 제조사마다 명칭을 다르게 결정할 수 있음을 고려한다.
따라서, 상품의 포괄 명칭은 거래 실정상 일반적으로 호칭되는 상품 명칭이 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상품의 명칭 또는 유사 명칭은 각 제조사에서 결정한 명칭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유사 명칭으로 상품을 분류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서버(100)는 소정의 상품에 대한 유사 명칭에 대한 정보, 상품 사이의 유사 정보 등 유사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거래 실정을 반영하여 기계 학습을 통해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상품 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을 분류하면, 상품 검색시 사용자가 상품에 대한 명칭을 정확히 알지 못해도 제어부(240)는 분류 기준을 고려하여 상품을 검색하고,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보다 정확도가 높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품이 의료기기인 경우, 서버(100)는 의료기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의료기기를 복수의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데, 카테고리는 의료기기를 이용하는 의료 분야의 특성, 의사의 전문분야, 의료기기의 사용 용도, 의료기기의 명칭 등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품 정보 수집부(220)는 의료기기를 [표 1]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1 내지 제4 카테고리에 대응되도록 분류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카테고리는 각각 세부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카테고리 제2 카테고리 제3 카테고리 제4 카테고리
제1 및 제2 카테고리는 의료기기를 이용하는 의료분야를 구분한 것으로,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세부 항목은 의료기기를 이용하는 의료 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분되며, 제2 카테고리에 포함된 세부 항목은 의사의 전문분야를 고려하여 구분된다. 일 예로, 제1 카테고리의 세부 항목으로는 임상의학, 기초의학, 치의학, 공통용품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임상의학은 내과, 외과와 같이 병원에서 의사가 환자를 직접 진료하는 분야이며, 환자를 직접 진료하지 않지만 다른 분야와 연결되어 환자를 진료하는 서비스 부분인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및 치료방사선과 등을 포함한다. 기초의학은 의사가 환자를 직접 진료하지 않고 진료과에 의뢰하는 분야로 병리과 및 진단검사의학과가 해당된다. 공통용품은 임상의학, 기초의학 및 치의학에서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의료기기에 대한 것으로 공통용품에 대한 제2 카테고리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모든 전문분야가 해당될 수 있다.
제2 카테고리에 포함된 세부 항목은 의사의 전문분야를 고려하여 구분되는데, 재활의학과, 흉부외과, 신경과 등과 같이 세부 전문분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구분함으로써 의료기기는 각 전문 분야에 대응되도록 분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구체적인 항목은 [표 2]와 같다.
제1 카테고리 제2 카테고리
임상의학 재활의학과
순환기내과
흉부외과
진단검사의학과
이비인후과
소화기내과
호흡기내과
비뇨기과
신장내과
혈액종양내과
알레르기내과
류마티스내과
감염내과
소아청소년과
정신건강의학과
신경과
신경외과
산부인과
안과
피부과
정형외과
마취통증의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외과
성형외과
임상약리학과
산업의학과
응급의학과
가정의학과
기초의학 해부병리학과
예방의학과
치의학 일반치과
구강내과
영상치의학과
구강악안면외과
치주과
치과보존과
치과보철과
치과교정과
소아치과
구강병리과
치과마취과
예방치과
공통용품
제3 및 제4 카테고리는 의료기기를 구분한 것으로, 제3 카테고리에 포함된 세부 항목은 의료기기의 사용 용도를 고려하여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수술용품, 보철용품, 기타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타 용품은 의료분야에서 필요한 물품이지만,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수술용품 및 보철용품을 구분하기 어려운 물품이 해당된다. 제4 카테고리에 포함된 세부 항목은 각 의료기기의 명칭을 고려하여 구분되는데, 각 제조사에서 결정한 명칭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동일 또는 유사한 의료기기이지만 명칭이 다를 수 있으므로 제4 카테고리에는 의료 분야 또는 거래 실정상 이용되고 있는 각 의료기기의 대표 명칭으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및 제4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구체적인 항목은 [표 3]과 같다.
제3 카테고리 제4 카테고리
진단용품 근전도기기
자기공명 영상장치
·
·
·
치료용품 전기자극 치료기
산소마스크
·
·
·
모니터링 용품 산소포화도 측정기
초음파 심장검사기
·
·
·
수술용품 척추고정용 스크류
관상동맥 스텐트
·
·
·
보철용품 전동 휠체어
수동형 의족
·
·
·
기타용품 마취 캐비넷
환자 체위 변경 보조기
·
·
·
의사의 전문 분야별로 필요한 의료기기의 용도가 다를 수 있는데, 의사의 전문 분야별로 필요한 의료기기의 용도를 살펴보면, [표 4]와 같다. [표 4]에서 제2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각각의 전문 분야에 필요한 의료기기의 용도는 제3 카테고리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다.
제2 카테고리 제3 카테고리
재활의학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순환기내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흉부외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수술용품, 기타용품
진단검사의학과 진단용품, 기타용품
이비인후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수술용품, 기타용품
소화기내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호흡기내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비뇨기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수술용품, 기타용품
신장내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기타용품
혈액종양내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알레르기내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류마티스내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기타용품
감염내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소아청소년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정신건강의학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신경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신경외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수술용품, 기타용품
산부인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수술용품, 기타용품
안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수술용품, 기타용품
피부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수술용품, 기타용품
정형외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수술용품, 기타용품
마취통증의학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영상의학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핵의학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방사선종양학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기타용품
외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수술용품, 기타용품
성형외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수술용품, 기타용품
임상약리학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기타용품
산업의학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기타용품
응급의학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수술용품, 기타용품
가정의학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해부병리학과 진단용품, 기타용품
예방의학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기타용품
일반치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수술용품, 기타용품
구강내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영상치의학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구강악안면외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수술용품, 기타용품
치주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치과보존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치과보철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치과교정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소아치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수술용품, 기타용품
구강병리과 진단용품, 기타용품
치과마취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보철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예방치과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기타용품
상품 정보 수집부(220)가 의료기기를 분류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의료기기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면, 수집된 정보에 포함된 의료기기의 명칭을 이용하여 해당 의료기기를 제4 카테고리에 포함된 소정의 항목으로 분류한다. 이때, 수집된 정보 에 포함된 명칭을 이용하거나, 또는 앞서 살펴본 바와같이 의료기기를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 항목에 대응하도록 분류하고, 중분류 또는 소분류에서 이용한 상품의 명칭을 이용하여 제4 카테고리에 포함된 소정의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4 카테고리에 포함된 항목으로 분류되면 분류된 제4 카테고리의 항목에 대응하는 제3 카테고리에 포함된 소정의 항목으로 분류하는데, 이때, 의료기기가 제4 카테고리에 포함된 항목 중에서 복수의 항목에 해당되는 경우, 상품 정보 수집부(220)는 각 해당 항목으로 분류하고, 각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제3 카테고리에 포함된 소정의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3 카테고리의 항목으로 분류되면, 분류된 제3 카테고리의 항목에 대응하는 제2 카테고리에 포함된 소정의 항목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제2 카테고리의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소정의 항목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집된 의료기기는 제4 내지 제1 카테고리에 대응되도록 분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의료기기를 검색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소정의 의료기기 명칭을 입력하여 검색하거나, 제1 내지 제4 카테고리에 포함된 세부 항목을 선택하여 의료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의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미도시)에 제1 내지 제4 카테고리의 세부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1 내지 제4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제1 내지 제4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해당 의료기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가 제1 내지 제4 카테고리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료기기 정보를 수집하여 의료기기를 분류할 때는 제4 카테고리로부터 제1 카테고리로 순차적으로 분류하였지만, 분류된 의료기기를 검색할 때는 제1 카테고리로부터 제4 카테고리로 순착적으로 선택하여 의료기기를 검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에 포함된 세부 항목만 선택하고 제4 카테고리에서 세부 항목을 선택하지 않고 검색하면, 제어부(240)는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검색을 하면, 사용자는 소정의 의료 행위를 하기 위해 필요한 의료기기를 세트로 검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으로 의료기기를 검색하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의료기기를 검색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재활의학과를 살펴보면, 재활의학과가 전문 분야인 의사가 재활의학과에 필요한 의료기기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카테고리로부터 제4 카테고리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면 관련 의료기기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다. 즉, 제1 카테고리는 임상의학, 제2 카테고리는 재활의학과를 선택하면 재활의학과에서 필요한 의료기기가 검색되며, 더 한정하여 제3 카테고리에서 진단용품, 치료용품 및 보철용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사용 용도에 해당되는 의료기기를 검색할 수 있으며, 진단, 치료, 보철 등의 의료 행위를 위해 필요한 의료기기 셋트를 검색할 수 있다. 제4 카테고리에서 세부 의료기기의 명칭을 선택하면 해당 의료기기에 대해 검색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표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1 카테고리 제2 카테고리 제3 카테고리 제4 카테고리
임상의학 재활의학과 진단용품 전극 케이블
시치계
·
·
·
치료용품 파라핀 욕조
적외선 램프
·
·
·
보철용품 전동 휠체어
수동형 의족
·
·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정보 수집 및 분류를 위한 서버(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서버(100)의 저장부(230)에 제1 내지 제3 쇼핑몰(110,120,130)에 관한 도메인이 저장되면(300), 상품 정보 수집부(220)는 제1 내지 제3 쇼핑몰(110,120,130)에 접속하여 각 쇼핑몰에서 상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상품 페이지를 추출한다(310). 상품 페이지가 추출되면 해당 상품 페이지에서 상품 정보를 추출하여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320), 소정의 기준에 따라 수집된 상품을 분류한다(330). 이때, 상품이 의료기기인 경우(340의 예), 상품 정보 수집부(220)는 제4 카테고리 내지 제1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항목에 대응되도록 상품을 분류하고(350), 해당 상품 정보를 저장한다(36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거래를 위한 서버(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사용자로부터 상품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400), 제어부(240)는 사용자에게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410), 이때, 제어부(240)는 의료기기를 검색하기 원하는 사용자를 위해 제1 내지 제4 카테고리에 포함된 소정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정의 상품을 선택하면(420의 예), 제어부(240)는 선택된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로 접속하고(430), 사용자가 상품 구매를 할 수 있도록 상품 판매를 위한 절차를 진행한다(440). 이때, 선택된 상품이 서버(100)에서 판매하는 상품인 경우에는 다른 쇼핑몰에 방문하지 않고 상품 판매를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입력부 210: 통신부
220: 상품 정보 수집부 230: 저장부
240: 제어부

Claims (10)

  1.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에서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 의료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및 의료 분야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수집된 상품 정보를 분류하는 상품 정보 수집부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료 분야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및 상기 의료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수집부는 상기 의료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부터 상기 의료 분야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순차로 적용하여 상품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료 분야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부터 상기 의료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순차로 적용하여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분야를 구분하기 위한 카테고리는 상기 의료기기를 이용하는 의료 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분되는 제1 카테고리와;
    의사의 전문 분야를 고려하여 구분되는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수집부는 상기 제2 카테고리로부터 상기 제1 카테고리로 순차로 적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카테고리로부터 상기 제2 카테고리로 순차로 적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테고리는 임상의학, 기초의학 및 치의학을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카테고리는 상기 의료기기의 사용 용도를 고려하여 구분되는 제3 카테고리와;
    상기 의료기기의 명칭으로 구분되는 제4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수집부는 상기 제4 카테고리로부터 상기 제3 카테고리로 순차로 적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카테고리로부터 상기 제4 카테고리로 순차로 적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카테고리는 진단용품, 치료용품, 모니터링 용품, 수술용품 및 보철용품을 포함하는 장치.
  9.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에서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 순차로 적용되는 복수의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상품 정보를 분류하는 상품 정보 수집부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을 고려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는 포함하는 장치.
  1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은 상품의 제조사 및 브랜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제1 분류 기준과;
    상품 거래 실정에 따라 호칭되는 상품 명칭에 관한 제2 분류 기준과;
    상품 제조사에서 결정한 상품 명칭 및 해당 상품 명칭과 유사한 상품 명칭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제3 분류 기준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70037227A 2017-03-23 2017-03-23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08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227A KR20180108049A (ko) 2017-03-23 2017-03-23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227A KR20180108049A (ko) 2017-03-23 2017-03-23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049A true KR20180108049A (ko) 2018-10-04

Family

ID=6386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227A KR20180108049A (ko) 2017-03-23 2017-03-23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80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384B1 (ko) * 2019-02-20 2020-02-03 주식회사 대훈 서비스 플랫폼 공유 서버 및 그 공유방법
KR20210041393A (ko) * 2019-10-07 2021-04-15 이용대 소비자 데이터 기반의 쇼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470154B1 (ko) 2022-04-22 2022-11-24 주식회사 대하에프앤씨 블록체인 기반 의료기기 거래 및 공유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384B1 (ko) * 2019-02-20 2020-02-03 주식회사 대훈 서비스 플랫폼 공유 서버 및 그 공유방법
KR20210041393A (ko) * 2019-10-07 2021-04-15 이용대 소비자 데이터 기반의 쇼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470154B1 (ko) 2022-04-22 2022-11-24 주식회사 대하에프앤씨 블록체인 기반 의료기기 거래 및 공유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7375B2 (en) Automatic association of medical elements
Franklin et al. Beyond joint implant registries: a patient-centered research consortium for comparative effectiveness in total joint replacement
Jewett et al. External laryngeal trauma analysis of 392 patients
US20040230458A1 (en) Cyber hospital system for providing doctors' assistances from remote sites
US8595026B2 (en) System and methods of obtaining reimbursements for patient treatment
US7174335B2 (en)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645155B2 (en) Automatic loading of medical data i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US20060226957A1 (en) Health care operating system with radio frequency information transfer
US20110137680A1 (en) Hospital administration system and method
JP2004280807A (ja) サイバーホスピタルシステム
AU2009290908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ized medical data
KR20180108049A (ko)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WO2019106882A1 (ja) 支援システム、支援方法、および支援プログラム
JP2013137645A (ja) 医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システム、マッチング装置、および医師の派遣方法
KR20170123172A (ko) 증상 검색을 통한 맞춤형 질병 정보 제공 시스템
JP2005189915A (ja) カンファレンス支援装置
KR20180019865A (ko) 자가 건강관리 정보 기반의 맞춤형 문진지원 시스템
Wilson et al. Value of unique device identification in the digital health infrastructure
JP2004258978A (ja) バーチャルペーシェントシステム、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医療情報提供方法
JP6169850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医療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80004844A (ko) 증상 검색을 통한 맞춤형 질병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30100852A (ko)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환자관리 방법
Pahontu et al. An IHE based gateway architecture to link healthcare IT with medical devices in the operating room
US20150149188A1 (en) System and methods of obtaining reimbursements for patient treatment
Kaufmann et al. Special requirements for electronic health records in dermat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