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852A -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환자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환자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852A
KR20130100852A KR1020120012768A KR20120012768A KR20130100852A KR 20130100852 A KR20130100852 A KR 20130100852A KR 1020120012768 A KR1020120012768 A KR 1020120012768A KR 20120012768 A KR20120012768 A KR 20120012768A KR 20130100852 A KR20130100852 A KR 20130100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ituation
radio signal
wireless signal
signal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건
이상호
이대일
김호
유정미
백준호
임창연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우리들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우리들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법인 우리들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20012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0852A/ko
Publication of KR20130100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환자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은, 환자에 대한 상황정보를 입출력하는 의사단말기; 환자에 의해 소지되며,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신호송신기; 병원 내의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며, 무선신호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번호, 무선신호, 및 무선신호의 수신 시각정보를 포함하는 환자상황정보를 송신하는 무선신호수신기; 및 환자에 대응하는 상황보고레벨을 설정하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가 설정된 상황보고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의사단말기로 전송하는 환자정보전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환자관리 방법{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환자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기록하며, 담당의사가 해당 환자에 대한 상황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에 대한 최적의 진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환자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몸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거나 질병이 의심스러운 환자는 진료기관을 방문하여 전문의사로부터 진료를 받게 된다. 이때, 몸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거나 질병에 대한 의심의 강도가 높을수록, 진료를 받고자 하는 환자는 보다 전문화된 의료진과 진료 설비를 갖추고 있는 대형화된 진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기를 원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대형의 전문 진료기관일수록 몸의 건강상태나 의심스러운 질병의 정도가 심각한 환자들이 많이 몰리게 되며, 따라서 대형의 전문 진료기관의 의사는 환자 개개인에 대하여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하지만, 의사 일인당 관리할 수 있는 환자의 수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전문의사가 담당하는 모든 환자들에 대하여 일일이 진료상태 및 호전 정도를 기억하고, 각각의 환자의 상황에 적합한 새로운 진료계획을 수립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대형의 전문 진료기관은 입원환자뿐만 아니라 외래환자에 대한 환자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의사나 간호사에 의한 환자에 대한 진료, 검진 등의 상황을 기록하며, 전문의사가 수시로 해당 환자에 대한 진료기록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사의 환자들에 대한 관리를 보조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환자관리 시스템은 의사나 간호사에 의해 기록된 과거의 진료기록과 해당 환자에 대한 현재의 진료, 검진 등의 결과를 비교하여 새로운 진료계획을 수립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문의사는 해당 환자가 진료, 검진 등을 실행한 후 새로운 진료, 검진 등을 실행하기까지의 실시간적인 상황변화를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척추, 심장, 뇌 등의 대형 수술을 앞둔 환자나 대형 수술을 끝낸 환자의 경우, 담당 전문의사는 해당 환자의 상황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종래의 환자관리 시스템에 의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환자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기록하며, 담당의사가 해당 환자에 대한 상황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에 대한 최적의 진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환자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은, 환자에 대한 상황정보를 입출력하는 의사단말기; 환자에 의해 소지되며,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신호송신기; 병원 내의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며, 무선신호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번호, 무선신호, 및 무선신호의 수신 시각정보를 포함하는 환자상황정보를 송신하는 무선신호수신기; 및 환자에 대응하는 상황보고레벨을 설정하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가 설정된 상황보고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의사단말기로 전송하는 환자정보전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무선신호송신기는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되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통증지수, 장애지수, 약복용 여부, 재활운동 여부, 타과진료 여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신호를 무선신호와 함께 무선신호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신호송신기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중의 어느 하나에 기초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중의 어느 하나에 기초한 이동통신 방식으로 무선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신호수신기는 병원 내의 진료실, 검진실, 병실, 화장실, 복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무선신호수신기는 일정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무선신호송신기로부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환자상황정보를 환자정보전송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환자정보전송기는, 환자에 대응하는 상황보고레벨을 설정하는 보고레벨설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환자정보전송기는, 입원환자 및 외래환자에 대한 진료기록, 검진기록을 포함하는 환자정보를 저장하는 환자정보저장부; 환자상황에 대한 레벨을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상황레벨저장부;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가 상황레벨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상황레벨 중 어느 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며, 판단된 레벨이 보고레벨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황보고레벨 이상인지를 비교하는 상황정보비교부; 및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의 레벨이 보고레벨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황보고레벨 이상이면,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의사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황정보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환자정보저장부는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대응하는 환자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의 환자관리 방법은, 환자에 대응하는 상황보고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무선신호수신기가 환자에 의해 소지된 무선신호송신기로부터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식별번호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환자식별번호, 무선신호수신기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번호, 및 환자식별번호의 수신 시각정보를 포함하는 환자상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가 설정된 상황보고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결과에 따라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의사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신호송신기는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되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통증지수, 장애지수, 약복용 여부, 재활운동 여부, 타과진료 여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신호를 무선신호와 함께 무선신호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신호수신기는, 병원 내의 진료실, 검진실, 병실, 화장실, 복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환자관리 방법은, 입원환자 및 외래환자에 대한 진료기록, 검진기록을 포함하는 환자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환자상황에 대한 레벨을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판단단계는,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가 저장된 환자상황에 대한 레벨 중 어느 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레벨이 설정된 상황보고레벨 이상인지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송단계는,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의 레벨이 설정된 상황보고레벨 이상인 경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의사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환자관리 방법은,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대응하는 환자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환자관리 방법은 환자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환자 상황의 정도를 판단하여 담당의사에게 즉시 보고함으로써, 담당의사가 해당 환자에 대한 상황의 변화에 따라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환자에 대한 최적의 진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무선신호송신기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된 경우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환자정보전송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환자관리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100)은 의사단말기(110), 무선신호송신기(120), 무선신호수신기(130) 및 환자정보전송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의사단말기(110)는 환자에 대한 상황정보를 입출력하는 단말기로서, 의사 및/또는 간호사가 소지한 단말기를 말한다. 의사단말기(110)는 병원 내의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연결된 유선 또는 근거리 무선단말기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에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신호송신기(120)는 환자에 의해 소지되며,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한다. 무선신호송신기(120)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RF(Radio Frequency) 태그로 구현되어 환자의 의복 등에 부착되거나, 손목 띠 또는 카드 등의 형태로 환자에 의해 소지될 수 있다. 또는,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칩으로 탑재되거나 프로그램의 형태로 설치되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환자관리 시스템(100)과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 방식으로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
도 2는 무선신호송신기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된 경우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송신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칩으로 탑재되거나 프로그램의 형태로 설치되며,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터치 패널의 화면상에 통증지수, 장애지수, 식사 여부, 약복용 여부, 타과진료 여부, 사고기록 여부, 기타 전달사항, 증명서 열람신청 등에 대한 선택메뉴를 제공하며, 각각의 선택메뉴에 대응하여 세부적인 관련항목을 질의하거나 설정된 범위 내에서 관련 정도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통증지수 선택메뉴를 선택하면,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수술을 시행한 병과 또는 계속적인 진료를 받고 있는 병과에 관련된 신체부위의 통증의 정도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당의사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100)에 기초하여 수술 또는 진료 후의 호전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은 환자가 통증지수 메뉴를 선택하면, 수술을 시행한 병과 또는 계속적인 진료를 받고 있는 병과의 선택항목, 해당 병과에 관련된 세부적인 질문항목 등을 표시하고 환자가 선택 또는 응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당의사가 보다 구체적으로 통증의 정도를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가 장애지수 선택메뉴를 선택하면,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수술을 시행한 병과 또는 계속적인 진료를 받고 있는 병과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신체부위의 장애의 정도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당의사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100)에 기초하여 수술 또는 진료 후의 다른 질병의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은 환자가 장애지수 메뉴를 선택하면, 장애가 있는 신체부위에 대한 선택항목, 장애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항목 등을 표시하고 환자가 선택 또는 응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당의사가 보다 구체적으로 통증의 정도를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식사 여부, 약복용 여부, 타과진료 여부, 사고발생의 여부 등을 조회하는 항목을 표시하고, 수술 또는 진료 후의 환자가 각각의 항목에 대응하여 선택 또는 응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당의사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100)에 기초하여 환자의 상황변동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시에 이동통신 또는 무선인터넷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100)에 자동접속 기능을 구비하며, 그에 따라 환자식별번호 및 환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하고 설명한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일 예일 뿐이며, 각각의 선택메뉴에 대한 항목 및 애플리케이션의 형태 등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무선신호수신기(130)는 병원 내의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며, 무선신호송신기(120)에 의해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번호, 무선신호, 및 무선신호의 수신시각정보를 포함하는 환자상황정보를 송신한다. 즉, 무선신호수신기(130)는 병원 내의 진료실, 검진실, 병실, 화장실, 복도 등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정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무선신호송신기(120)로부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무선신호수신기(130)는 무선신호송신기(120)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환자식별번호를, 해당 무선신호수신기(130)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번호 및 무선신호의 수신시각정보와 함께 환자상황정보에 포함시켜 환자정보전송기(140)에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또한, 무선신호수신기(130)는 해당 위치에서 일정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상황기록단말기(도시하지 않음)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상황기록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진료, 검진 등의 데이터를 환자상황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X-ray 촬영실을 방문한 경우, X-ray 촬영실에 설치된 무선신호수신기(130)는 환자가 소지한 무선신호송신기(120)로부터 환자식별번호를 수신하며, X-ray 검진실의 상황기록단말기로부터 환자에 대한 X-ray 검진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식별번호 및 X-ray 검진데이터를 위치식별번호 및 수신시각정보와 함께 환자상황정보로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신호송신기(120)가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칩으로 탑재되거나 프로그램의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무선신호수신기(130)는 해당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이동통신 또는 무선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환자정보전송기(140)는 환자에 대응하는 상황보고레벨을 설정하며,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가 설정된 상황보고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의사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환자정보전송기(1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정보저장부(141), 보고레벨설정부(143), 상황레벨저장부(145), 상황정보비교부(147) 및 상황정보전송부(14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환자정보저장부(141)는 입원환자 및 외래환자에 대한 진료기록, 검진기록을 포함하는 환자정보를 저장한다. 즉, 환자정보저장부(141)는 등록된 입원환자 및 외래환자에 대응하여 담당의사에 의한 진료기록, X-ray 검사 또는 혈액검사 등과 같은 검진기록 등을 포함하는 환자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다.
보고레벨설정부(143)는 환자정보저장부(141)에 저장된 각각의 환자에 대응하여 상황보고레벨을 설정한다. 이를 위해, 보고레벨설정부(143)는 각각의 환자에 대응하는 진료 병과의 의사단말기(110)로부터 해당 환자의 상황보고레벨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동일한 환자가 둘 이상의 진료 병과로부터 진료를 받는 경우, 보고레벨설정부(143)는 각각의 진료 병과의 의사단말기(110)로부터 상황보고레벨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황레벨저장부(145)는 환자상황에 대한 레벨을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황레벨저장부(145)는 척추수술을 받은 환자에 대하여 척추수술 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상황을 분류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황정보비교부(147)는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가 상황레벨저장부(145)에 저장된 상황레벨 중 어느 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며, 판단된 레벨이 보고레벨설정부(143)에 의해 설정된 상황보고레벨 이상인지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척추수술을 받은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환자에 대하여, 해당 환자의 병실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복도의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환자상황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상황정보비교부(147)는 상황레벨저장부(145)에 저장된 상황레벨 중 해당 환자가 이동이 가능한 레벨에 해당하는지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상황정보비교부(147)는 해당 환자의 병실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순차적으로 환자상황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수신된 각각의 환자상황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환자의 이동거리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황정보전송부(149)는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의 레벨이 보고레벨설정부(143)에 의해 설정된 상황보고레벨 이상이면,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의사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척추수술이 시행된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환자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상의 이동이 금지되었다고 가정하면, 상황정보전송부(149)는 전술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자의 병실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순차적으로 환자상황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금지된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상황보고레벨 이상으로 판단하여 의사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정보저장부(141)는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대응하는 환자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함으로써, 담당의사가 해당 환자에 대한 진료계획을 수립하는데 자료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와 같이 척추수술이 시행된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환자가 병실로부터 이동하는 경우, 이동이 금지된 거리에 대응하는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수신한 상황보고레벨에 해당하지 않는 환자상황정보 또한 환자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함으로써 담당의사가 해당 환자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200)은 도 1의 환자관리 시스템(100)에서 무선신호송신기(120)가 이동통신 방식으로 무선신호수신기(130)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를 위해, 중계기(400)가 무선신호송신기(120)와 무선신호수신기(130) 사이의 이동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이때, 중계기(4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이동통신의 중계뿐만 아니라, 무선인터넷을 통한 이동통신의 중계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신호송신기(120)는 혈당측정기, 혈압측정기, 체지방측정기, 심전도측정기, 운동기기에 설치된 맥박측정기 등의 자가측정장치(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해당 자가측정장치(400)에 의해 측정된 값을 환자가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신호송신기(120)는 자가측정장치(450)에 의해 측정된 값을 환자식별번호와 함께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무선신호수신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외의 의사단말기(110), 무선신호송신기(120), 무선신호수신기(130) 및 환자정보전송기(140)의 기능 및 동작은 도 1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200)은 외래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지 않는 경우에도 해당 외래환자에 대응하는 무선신호송신기(120)로부터 자가측정값을 수신하여 기록하며 상황을 판단함으로써, 담당의사가 외래환자에 대한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최적의 진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환자정보저장부(141)는 입원환자 및 외래환자에 대한 진료기록, 검진기록을 포함하는 환자정보를 저장한다(S510). 즉, 환자정보저장부(141)는 등록된 입원환자 및 외래환자에 대응하여 담당의사에 의한 진료기록, X-ray 검사 또는 혈액검사 등과 같은 검진기록 등을 포함하는 환자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다.
상황레벨저장부(145)는 환자상황에 대한 레벨을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한다(S520). 이때, 상황레벨저장부(145)는 진료 병과에 따라 환자상황을 분류하여 단계적으로 레벨을 설정할 수도 있다.
보고레벨설정부(143)는 환자정보저장부(141)에 저장된 각각의 환자에 대응하여 상황보고레벨을 설정한다(S530). 이를 위해, 보고레벨설정부(143)는 각각의 환자에 대응하는 진료 병과의 의사단말기(110)로부터 해당 환자의 상황보고레벨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동일한 환자가 둘 이상의 진료 병과로부터 진료를 받는 경우, 보고레벨설정부(143)는 각각의 진료 병과의 의사단말기(110)로부터 상황보고레벨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각각의 상황보고레벨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신호수신기(130)는 환자에 대응하는 무선신호송신기(120)로부터 환자식별번호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해당 무선신호수신기(130)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번호 및 무선신호의 수신시각정보와 함께 환자상황정보에 포함시켜 환자정보전송기(140)로 전송한다. 이때, 무선신호수신기(130)는 상황기록단말기로부터 해당 환자에 대응하는 진료 또는 검진기록을 수신하여 환자상황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자가측정장치(450)에 의해 측정된 값을 환자상황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환자정보전송기(140)의 환자정보저장부(141)는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환자상황정보가 수신되면(S540), 수신된 환자상황정보를 해당 환자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다(S550). 이로써, 환자정보저장부(141)는 환자에 대한 실시간적인 상황변동을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상황정보비교부(147)는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가 상황레벨저장부(145)에 저장된 상황레벨 중 어느 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며(S560), 판단된 레벨이 보고레벨설정부(143)에 의해 설정된 상황보고레벨 이상인지를 비교한다(S570).
상황정보전송부(149)는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의 레벨이 보고레벨설정부(143)에 의해 설정된 상황보고레벨 이상이면, 무선신호수신기(130)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의사단말기(110)로 전송한다(S580).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환자관리 시스템은 환자에 대한 상황을 실시간적으로 기록할 수 있게 되며, 상황의 변동이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담당의사에게 즉각적인 보고를 함으로써 해당 환자의 변동상황에 대하여 담당의사가 신속하고 적합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110: 의사단말기 120: 무선신호송신기
130: 무선신호수신기 140: 환자정보전송기
400: 중계기 450: 자가측정장치

Claims (14)

  1. 환자에 대한 상황정보를 입출력하는 의사단말기;
    상기 환자에 의해 소지되며,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신호송신기;
    병원 내의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신호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번호, 상기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신호의 수신 시각정보를 포함하는 환자상황정보를 송신하는 무선신호수신기; 및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상황보고레벨을 설정하며,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가 설정된 상기 상황보고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상기 의사단말기로 전송하는 환자정보전송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송신기는,
    상기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상기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통증지수, 장애지수, 약복용 여부, 재활운동 여부, 타과진료 여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신호를 상기 무선신호와 함께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송신기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중의 어느 하나에 기초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중의 어느 하나에 기초한 이동통신 방식으로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는,
    병원 내의 진료실, 검진실, 병실, 화장실, 복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는 일정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상기 무선신호송신기로부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환자상황정보를 상기 환자정보전송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정보전송기는,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상황보고레벨을 설정하는 보고레벨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정보전송기는,
    입원환자 및 외래환자에 대한 진료기록, 검진기록을 포함하는 환자정보를 저장하는 환자정보저장부;
    환자상황에 대한 레벨을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상황레벨저장부;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가 상기 상황레벨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상황레벨 중 어느 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며, 판단된 레벨이 상기 보고레벨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황보고레벨 이상인지를 비교하는 상황정보비교부; 및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의 레벨이 상기 보고레벨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황보고레벨 이상이면,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상기 의사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황정보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정보저장부는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대응하는 환자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 시스템.
  9. 환자관리 시스템의 환자관리 방법에 있어서,
    환자에 대응하는 상황보고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무선신호수신기가 상기 환자에 의해 소지된 무선신호송신기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식별번호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상기 환자식별번호, 상기 무선신호수신기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번호, 및 상기 환자식별번호의 수신 시각정보를 포함하는 환자상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가 설정된 상기 상황보고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상기 의사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송신기는 상기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상기 환자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통증지수, 장애지수, 약복용 여부, 재활운동 여부, 타과진료 여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신호를 상기 무선신호와 함께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는,
    병원 내의 진료실, 검진실, 병실, 화장실, 복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입원환자 및 외래환자에 대한 진료기록, 검진기록을 포함하는 환자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환자상황에 대한 레벨을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가 저장된 상기 환자상황에 대한 레벨 중 어느 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레벨이 설정된 상기 상황보고레벨 이상인지를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의 레벨이 설정된 상기 상황보고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상기 의사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상황정보를 대응하는 환자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 방법.
KR1020120012768A 2012-02-08 2012-02-08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환자관리 방법 KR20130100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768A KR20130100852A (ko) 2012-02-08 2012-02-08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환자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768A KR20130100852A (ko) 2012-02-08 2012-02-08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환자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852A true KR20130100852A (ko) 2013-09-12

Family

ID=4945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768A KR20130100852A (ko) 2012-02-08 2012-02-08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환자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08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0884A (zh) * 2021-05-12 2021-08-10 四川大学华西第二医院 一种监控装置
KR102584410B1 (ko) 2023-03-22 2023-10-04 주식회사 이노메디제이 병원 및 환자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0884A (zh) * 2021-05-12 2021-08-10 四川大学华西第二医院 一种监控装置
KR102584410B1 (ko) 2023-03-22 2023-10-04 주식회사 이노메디제이 병원 및 환자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9934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patient care
US10755807B2 (en) Automatic association of medical elements
TWI646496B (zh) 用於促進病患照護之實施的系統、非暫時性電腦可讀媒體及方法
US20140278475A1 (en) Tele-analytics based treatment recommendations
Park et al. Requirement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smart emergency medical services
EP2574953A1 (en) Method for providing remote health monitoring data and associated system
CN102299952A (zh) 一种远程医疗系统及智能家居医疗系统
CN107092799B (zh) 一种基于云计算的生命体征数据管理系统及方法
US20180052958A1 (en) Patient-owned electronic health records system and method
US20180165417A1 (en) Bathroom Telemedicine Station
US20180256111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cord health care vitals and information on a stand-alone and mobile device.
CN107615393A (zh) 输入构件、生物体信息管理系统、医疗和护理中的数据输入装置及其使用方法
US201300356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health screening form
KR20130113100A (ko) 진료예약 시스템, 진료예약 서버 및 그 진료예약 방법
KR20130100852A (ko)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환자관리 방법
CN104665777A (zh) 一种人体体温实时监测系统
KR20180108049A (ko) 상품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Reid et al. The role of the advanced practitioner in a comprehensive lung cancer screening and pulmonary nodule program
CN104873171B (zh) 一种医疗系统及医疗信息传输方法
Jeong et al. Trend of wireless u-health
JP2018527133A (ja) 別の検査を提案するパルスオキシメータ
JP2012090784A (ja) 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
Al-Dmour Fuzzy Logic Based Patients' Monitoring System
KR20160060807A (ko) 환자관리 시스템, 환자관리 서버, 환자단말기 및 그 환자관리 방법
Shade et al. Addressing the unique needs of an electronic health record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