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890A -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 Google Patents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890A
KR20180107890A KR1020170036770A KR20170036770A KR20180107890A KR 20180107890 A KR20180107890 A KR 20180107890A KR 1020170036770 A KR1020170036770 A KR 1020170036770A KR 20170036770 A KR20170036770 A KR 20170036770A KR 20180107890 A KR20180107890 A KR 20180107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orker
shoe
external wal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557B1 (ko
Inventor
이민철
근 박
강지수
서동일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55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외벽작업용 안전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벽작업용 안전장비는, 건물 상부에 체결된 안전로프와 연결되고 작업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과, 좌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등판과, 건물 외벽과 좌판 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위해 상기 좌판의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이격지지부로 구성되는 외벽작업용 의자; 및 상기 외벽작업용 의자와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작업자의 신발 바닥면에 탈부착되어 건물 외벽에 대한 고정력을 발휘하는 발고정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엉덩이와 등을 각각 지지해주는 외벽작업용 의자가 마련됨에 따라 장시간 외벽작업시에도 둔부 통증이나 다리 저림 없이 편안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좌판의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이격지지부가 마련됨에 따라 고소(高所)에서 강하게 부는 바람에도 작업자가 흔들림 없이 건물 외벽에 견고하게 지지(2점 지지)되며 안정적인 자세로 외벽작업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외벽작업용 안전장비{SAFETY EQUIPMENT FOR WORKING OF EXTERNAL WALL}
본 발명은 외벽작업용 안전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작업시 안전로프에 매달린 작업자가 고소(高所)의 강풍에도 건물과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흔들리지 않고 건물 외벽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외벽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이 도모될 수 있는 안전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용 안전장비는, 고층의 건축물 또는 특정 구조물 같은 곳에서 크레인 같은 기계에 의존하지 않고 외줄 또는 한 쌍의 안전로프에 의해 고정된 벨트나 좌판에 몸을 안정되게 고정 또는 안착시켜 외벽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장비이다.
이러한 안전벨트나 안전좌판은, 작업자가 고공에서 일정시간 동안 편안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둔부를 거치할 수 있어야 하고, 팔과 다리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하며, 고소에서 강하게 부는 바람에도 안정적인 자세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다양하게 제시된 안전벨트는 작업자의 어깨나 다리 또는 가랑이 사이를 강하게 압박하여 장시간 작업시 신체 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안전좌판은 신체에 견고하게 견착되지 못하는 관계상 고소에서 부는 강풍에 의해 신체 균형을 유지하기 힘들어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관련 선행기술 중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1729호(등록일: 2014.03.05)는 "산업용 그네식 안전벨트"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선행기술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인 작업자의 상체의 전면에서 어깨에 위치되는 어깨벨트 및 작업자의 등에 안착하는 등받이 벨트를 구비하고 있고, 가슴전방에서 수평으로 체결되는 가슴벨트 및 등받이 벨트에 설치되는 안전고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때 등받이 벨트는 어깨 벨트를 수평으로 연결하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와,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를 수직으로 서로 연결시켜주는 하나의 수직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안전 고리는 수직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안전벨트의 하단부에는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서 체결하는 고리 형상인 한 쌍의 허벅지 체결벨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은, 단순한 구성의 스트랩을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시켜 등받이 벨트에 장착되는 안전고리의 지지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안전성이 증대되고 편한한 착용감이 제공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산업용 그네식 안전벨트는 허벅지를 감싸서 체결하는 한 쌍의 체결 벨트 간을 연결한 얇은 스트랩에 둔부가 위치하게 되는 관계상, 장시간 외벽작업시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둔부나 다리가 지속적으로 압박될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둔부 통증이나 다리 저림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또한, 단지 등받이 벨트에 장착되는 안전고리와 외줄의 안전로프가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통해 작업자를 지지할 뿐이어서 고소에서 강하게 부는 바람에 작업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외벽작업의 효율이나 작업자의 안전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소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외벽작업을 가능하게 해줄 안전장비에 대한 꾸준한 개선 내지 개량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1729호(등록일: 2014.03.05)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편하게 앉을 수 있는 좌판 방식으로 구현하여 장시간 외벽작업시 작업자의 하중에 의한 압박으로 인해 발생되는 둔부 통증이나 다리 저림을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한편, 고소(高所)에서 강하게 부는 바람에도 작업자가 흔들림 없이 건물 외벽에 견고하게 지지되며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외벽작업이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외벽작업용 안전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건물 상부에 체결된 안전로프와 연결되고 작업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과, 좌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등판과, 건물 외벽과 좌판 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위해 상기 좌판의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이격지지부로 구성되는 외벽작업용 의자; 및 상기 외벽작업용 의자와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작업자의 신발 바닥면에 탈부착되어 건물 외벽에 대한 고정력을 발휘하는 발고정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용 안전장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발고정패드는, 탄성변형되며 신발의 앞축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링형상의 제1 걸림부; 상기 제1 걸림부와 연결되어 신발 전족부와 중족부 영역에 위치하고 다수 개의 흡착체가 전면에 배열되어 매끈한 표면의 외벽에 대한 흡착 고정력을 발휘하는 전방고정부; 상기 전방고정부와 연결되어 신발 뒤꿈치 영역에 위치하고 다수 개의 흡착체가 전면에 배열되어 매끈한 표면의 외벽에 대한 흡착 고정력을 발휘하는 후방고정부; 및 상기 후방고정부와 연결되고, 탄성변형되며 신발의 뒷축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링형상의 제2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고정부는, 신발 전족부 영역에 소형의 흡착체가 다수 개로 배열되고, 신발 중족부 영역에 중형의 흡착체가 다수 개로 배열되며, 상기 후방고정부는, 신발 뒤꿈치 영역에 대형의 흡착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어, 작업자의 발디딤면 조절을 통해 매끈한 표면의 외벽에 대한 흡착 고정력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방고정부 및 상기 후방고정부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돌출형 마찰고무돌기가 각각 배열되어 거친 표면의 외벽에 대한 마찰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전방고정부의 양측에는, 신발의 발등 영역을 둘러싸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버클체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격지지부는, 상기 좌판의 양측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되고, 회전축의 상방으로 돌출된 핸들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벽작업용 의자는, 상기 좌판과 상기 등판 사이에 작업자의 어깨에 각각 견착되는 한 쌍의 어깨스트랩이 더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어깨 스트랩 사이에는 상기 안전로프와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가로스트랩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착체는,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는 소정공간이 형성되어 건물 외벽에 대하여 접촉되는 반구형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고정부 또는 상기 후방고정부에 결합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흡착판에는, 매끈한 표면의 외벽에 대한 흡착 고정력의 조절을 위해 미세타공이 더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체는, 매끈한 표면의 외벽에 대한 용이한 탈부착을 위해 반구형 흡착판의 중앙부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엉덩이와 등을 각각 지지해주는 외벽작업용 의자가 마련됨에 따라 장시간 외벽작업시에도 둔부 통증이나 다리 저림 없이 편안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좌판의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이격지지부가 마련됨에 따라 고소(高所)에서 강하게 부는 바람에도 작업자가 흔들림 없이 건물 외벽에 견고하게 지지(2점 지지)되며 안정적인 자세로 외벽작업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격지지부와 함께 외벽작업용 의자와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작업자의 신발 바닥면에 탈부착되어 건물 외벽에 대한 고정력을 발휘하는 발고정패드가 마련됨에 따라 더욱 건물 외벽에 견고하게 지지(총 4점 지지)되며 안정적인 자세로 외벽작업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작업용 안전장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고정패드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외벽작업용 안전장비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외벽작업용 안전장비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작업용 안전장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고정패드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외벽작업용 안전장비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외벽작업용 안전장비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벽작업용 안전장비(100)는, 장시간 외벽작업시에도 둔부 통증이나 다리 저림 없이 편안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고소(高所)에서 강하게 부는 바람에도 작업자가 흔들림 없이 건물 외벽에 견고하게 지지(총 4점 지지즉, 한 쌍의 이격지지부(116) 및 작업자의 신발에 고정된 한 쌍의 발고정패드(120))되며 안정적인 자세로 외벽작업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원활하게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외벽작업용 안전장비(100)는, 외벽작업용 의자(110) 및 발고정패드(1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외벽작업용 의자(110)는, 종래에 안전벨트 방식에 따른 작업자의 신체압박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보다 편안한 외벽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좌판(112)이 외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한 외벽작업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작업용 의자(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좌판(112), 등판(114) 및 이격지지부(11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좌판(112)은 건물 상부에 체결된 안전로프(10)와 연결되고 작업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고, 등판(114)은 좌판(11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작업자의 등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이격지지부(116)는 건물 외벽과 좌판(112) 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위해 좌판(112)의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이를 통해 좌판(112)은 건물 외벽에 대하여 2점 지지되며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좌판(112)과 등판(114)은 다리가 없는 의자와 유사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의 엉덩이와 등에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는 구조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충분하다. 좌판(112)과 등판(114)은 나무, 합성수지, 경량의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경우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좌판(112)과 연결되는 안전로프(10)는 좌판(112)의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좌판(112)의 테두리에서 대칭형태로 이격되어 연결된 다수 개의 보조연결로프(12)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이격지지부(116)를 전방 즉, 건물의 외벽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한 이유는, 작업자의 다리와 간섭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격지지부(116)를 통한 이격거리 조절은 이하에서 설명할 안전장비(100)의 변형예(도 3)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발고정패드(120)는, 상술한 이격지지부(116)(2점 지지)와 함께 작업자가 건물 외벽에 대하여 중첩적(총 4점 지지, 작업자의 양발)으로 견고하게 지지 내지 고정되며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외벽작업용 의자(110)와 연결부재(121)로 연결되되 작업자의 신발 바닥면에 탈부착되며 건물 외벽에 대한 고정력을 발휘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고정력이란 작업자의 신발에 착용된 발고정패드(120)가 건물 외벽에 대하여 슬립되지 않고 발디딤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을 말하는 것으로, 마찰에 의하거나 흡착에 의한 힘 등을 모두 아우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121)는, 작업자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는 강성을 갖고 경량인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와이어로 제작될 수 있다.
상술한 기능 내지 작용의 구현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고정패드(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제1 걸림부(122), 전방고정부(124), 후방고정부(126) 및 제2 걸림부(12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걸림부(122)는 탄성변형되며 신발의 앞축 즉, 신발의 앞쪽에 돌출된 부분에 끼워져 걸리도록 이루어진 링형상의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전방고정부(124)는 제1 걸림부(122)와 연결되어 신발 전족부(F)와 중족부(M) 영역에 위치하는 판상의 구성요소로서, 다수 개의 흡착체(124a)가 전면에 배열되어 매끈한 표면의 외벽에 대하여 흡착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신발 전족부(F)는 사람의 발가락이 위치하는 영역을 말하고, 중족부(M)는 발가락 아래쪽의 앞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을 말한다.
이때, 흡착체(124a)는, 구체적으로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는 소정공간이 형성되어 건물 외벽에 대하여 접촉되는 반구형 흡착판(AP)과, 흡착판(AP)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술한 전방고정부(124) 또는 후술할 후방고정부(126)에 결합되는 지지체(S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흡착체(124a)의 고정원리는, 유리, 타일과 같은 매끈한 외벽에 흡착판(AP)을 놓고 손으로 지지체(SB)를 가압하게 되면 소정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후 지지체(SB)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탄력으로 흡착판(AP)이 복원되면서 소정공간은 외부 대기압과 비교시 상대적으로 저압상태가 되며, 이러한 압력차에 의해 결국, 외부 대기압이 흡착체(124a)의 표면을 가압함에 따라 흡착체(124a)는 외벽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매끈한 외벽과 흡착체(124a) 간의 흡착 고정력은, 흡착판(AP)의 넓이와 비례관계를 이루게 되고, 소정공간과 외기(外氣) 간의 압력차와도 비례관계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흡착판(AP) 자체의 넓이나 흡착판(AP)의 내외부 간 압력차를 조절하게 되면, 흡착체(124a)에 의한 흡착 고정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후방고정부(126)는 전방고정부(124)와 연결되어 신발 뒤꿈치(R) 영역에 위치하는 판상의 구성요소로서, 다수 개의 흡착체(126a)가 전면에 배열되어 매끈한 표면의 외벽에 대하여 흡착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제2 걸림부(128)는, 후방고정부(126)와 연결되고 탄성변형되며 신발의 뒷축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링형상의 구성요소이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고정패드(120)에 의하면, 탄성변형되는 제1,2 걸림부(122,128)를 통해 작업자의 신발 크기를 불문하고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전방고정부(124) 및 후방고정부(126)를 통해 신발의 앞쪽 및 뒤쪽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매끈한 외벽 간의 흡착 고정력을 작업상황이나 상공의 기상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외벽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매끈한 외벽에 대한 작업자의 발디딤 이동 즉, 매끈한 외벽에 대한 흡착체(124a,126a)의 탈거 및 재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흡착판(AP)에는 미세타공(M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흡착판(AP)에 형성된 미세타공(MH)은, 흡착판(AP)의 내외부 간에 공기의 유동이 미세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이들 간의 압력차를 저감시키게 되므로, 흡착체(124a,126a)와 매끈한 외벽 간에는 과도한 흡착 고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됨에 따라 외벽에 대한 작업자의 발디딤 이동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미세타공(MH)의 크기 및 개수와 흡착판(AP)의 흡착 고정력은 상호 반비례 관계를 이루게 되므로, 이러한 반비례 관계와 흡착체(124a,126a)에 대하여 요구되는 흡착 고정력의 정도를 충분히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와 개수로 미세타공(MH)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미세타공(MH)과 같이 흡착 고정력의 직접 저감을 통한 방식과는 다르게 매끈한 표면의 외벽에 대하여 흡착체(124a,126a)가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반구형 흡착판(AP)의 중앙부에서 편심된 위치에 지지체(S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일반적으로 중앙부에 배치되는 지지체(SB)를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하게 되면, 해당 편심된 쪽의 흡착판(AP) 영역은 반대편 흡착판(AP) 영역보다 작은 넓이를 갖게 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흡착 고정력이 저감되므로, 해당 지지체(SB)를 편심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기울이게 되면, 손쉽게 외벽으로부터 흡착체(124a,126a)를 탈거할 수 있게 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발고정패드(120)는, 앞서 기술한 실시예와 비교시 발고정패드(120)에 결합되는 흡착체(124a1,124a2,126a1)를 그 크기에 따라 구별되게 배치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작업자가 매끈한 외벽에 대한 흡착 고정력을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이에 따른 전방고정부(124)는, 신발 전족부(F)영역에 소형의 흡착체(124a1)가 다수 개로 배열되도록 하는 한편, 신발 중족부(M)영역에 중형의 흡착체(124a2)가 다수 개로 배열되도록 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후방고정부(126)는, 신발 뒤꿈치(R) 영역에 대형의 흡착체(126a1)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도록 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흡착체(124a1,124a2,126a1)의 크기(흡착 고정력과 비례관계)별로 배치되는 영역을 달리한 결과, 신발 전족부(F) 영역에서는 매끈한 외벽에 대하여 작은 크기의 흡착 고정력이 발휘됨에 따라 작업자는 신발 전족부(F) 영역을 이용하여 외벽을 따라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발의 중족부(M)와 뒤꿈치(R) 영역에서는 매끈한 외벽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흡착 고정력이 각각 커지게 되므로, 작업자는 작업상황이나 상공의 기상상황에 따라 발디딤면의 조절(중족부(M) 및 뒤꿈치(R)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을 밀착시킴)을 통해 매끈한 외벽에 대한 흡착 고정력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며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발고정패드(120)는, 앞서 기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발고정패드(120)의 전면에는 흡착체(124a,126a)를 결합시킨 한편, 배면에는 작업자가 매끈한 표면이 아닌 거친 표면의 외벽에 대하여서도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부가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전방고정부 및 후방고정부의 배면(124',126')에는, 다수 개의 돌출형 마찰고무돌기(124b,126b)가 각각 배열되어 거친 표면의 외벽에 대하여 마찰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마찰고무돌기(124b,126b)는 거친 표면의 외벽에 대하여 탄성변형되며 밀착되는 방식으로 마찰 고정력이 발현되도록, 탄성재질의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등을 소재로 하여 원판 또는 도넛형상 등으로 제작할 수 있고, 거친 표면의 외벽에 대하여 보다 강한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모래 등과 같은 거칠고 작은 알갱이를 소정의 비율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고무돌기(124b,126b)는 도 1에 도시된 흡착체(124a,126a)와 같이 일정한 크기로 제작하여 전방고정부 및 후방고정부의 배면(124',126')에 배열될 수 있고, 또는 도 2(a)에 도시된 흡착체(124a1,124a2,126a1)와 같이 영역별로 그 크기를 달리하는 방식으로 배열하여 작업자가 발디딤면 조절(전족부, 중족부(M)및 뒤꿈치(R)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을 밀착시킴)을 통해 마찰 고정력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발고정패드(120)는, 전방고정부(124,124')의 양측면에 신발의 발등 영역을 둘러싸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버클체결부(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버클체결부(130)는, 상술한 제1,2 걸림부(122,128)와 함께 작업자의 신발과 발고정패드(120) 간의 고정을 강화함에 따라 외벽에 대한 발고정패드(120)의 탈거 및 부착이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게 되며, 작업자가 실수나 사고로 외벽청소용 의자(110)에서 낙하하더라도 버클체결부(130)에 의해 작업자의 신발에 견고히 고정된 발고정패드(120)와 이와 좌판(112)을 연결한 연결부재(121)를 통해 작업자의 낙하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외벽작업용 안전장비(100)에 의하면, 외벽작업용 의자(110)는 좌판(112)과 등판(114) 사이에 작업자의 어깨에 각각 견착되는 한 쌍의 어깨스트랩(118a)이 더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어깨 스트랩 사이에는 안전로프(10)와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가로스트랩(118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견착구조의 추가로 인해 외벽작업용 의자(110)로부터 작업자의 낙하가 원천적으로 방지됨에 따라 작업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며 자유로우면서도 안전한 외벽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변형예에 따른 이격지지부(116)는, 좌판(112)의 양측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되고, 회전축의 상방으로 돌출된 핸들바(116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지지부(116)의 구조는, 작업자의 신체조건이나 외벽작업의 상황에 따라 외벽과 작업자 간의 이격거리가 다양하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와 외벽작업의 안전을 보다 증대하기 위한 것이다.
변형예에 따른 이격지지부(116)의 회전 구조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12)을 좌우로 가로지른 상태로 회전하는 힌지축의 양단에 이격지지부(116)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격지지부(116)의 신축 구조는,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형 파이프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핸들바(116b)와, 일단이 외벽과 맞닿고 타단은 L자형 파이프에 신축가능하게 끼워지고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대(116a)와, 지지대(116a)의 암나사산에 대하여 정역회전하며 나사결합되어 지지대(116a)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작동로드(116c)와, 핸들바(116b)의 회전력을 작동로드(116c)에 전달하는 한 쌍의 베벨기어(116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L자형 파이프의 내측에는 핸들바(116b) 및 작동로드(116c)의 회전을 각각 지지하는 베어링(B)이 내설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이격지지부(116)는, 작업자가 외벽작업용 의자(110)에 착석한 상태에서 양손을 이용하여 핸들바(116b)를 단순히 정역회전시키게 되면 양단의 지지대(116a)가 각각 선택적으로 신축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위와 같은 이격지지부(116)의 신축 구조는 일례일 뿐이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전동식 리니어 액추에이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안전로프 12: 보조연결로프
F: 신발 전족부 M: 신발 중족부
R: 신발 뒤꿈치
100: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110: 외벽청소용 의자
112: 좌판 114: 등판
116: 이격지지부 116a: 지지대
116b: 핸들바 116c: 작동로드
116d: 베벨기어 118a: 어깨스트랩
118b: 가로스트랩 120: 발고정패드
121: 연결부재 122: 제1 걸림부
124,124': 전방고정부(전면, 배면) 124a,126a: 흡착체
AP: 흡착판 SB: 지지체
MH: 미세타공 124b, 126b: 마찰고무돌기
124a1,124a2,126a1: 소형, 중형, 대형의 흡착체
126,126': 후방고정부(전면, 배면) 128: 제2 걸림부
130: 버클체결부

Claims (8)

  1. 건물 상부에 체결된 안전로프와 연결되고 작업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과, 좌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등판과, 건물 외벽과 좌판 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위해 상기 좌판의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이격지지부로 구성되는 외벽작업용 의자; 및
    상기 외벽작업용 의자와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작업자의 신발 바닥면에 탈부착되어 건물 외벽에 대한 고정력을 발휘하는 발고정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고정패드는,
    탄성변형되며 신발의 앞축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링형상의 제1 걸림부;
    상기 제1 걸림부와 연결되어 신발 전족부와 중족부 영역에 위치하고 다수 개의 흡착체가 전면에 배열되어 매끈한 표면의 외벽에 대한 흡착 고정력을 발휘하는 전방고정부;
    상기 전방고정부와 연결되어 신발 뒤꿈치 영역에 위치하고 다수 개의 흡착체가 전면에 배열되어 매끈한 표면의 외벽에 대한 흡착 고정력을 발휘하는 후방고정부; 및
    상기 후방고정부와 연결되고, 탄성변형되며 신발의 뒷축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링형상의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고정부는,
    신발 전족부 영역에 소형의 흡착체가 다수 개로 배열되고, 신발 중족부 영역에 중형의 흡착체가 다수 개로 배열되며,
    상기 후방고정부는,
    신발 뒤꿈치 영역에 대형의 흡착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어,
    작업자의 발디딤면 조절을 통해 매끈한 표면의 외벽에 대한 흡착 고정력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고정부 및 상기 후방고정부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돌출형 마찰고무돌기가 각각 배열되어 거친 표면의 외벽에 대한 마찰 고정력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고정부의 양측에는,
    신발의 발등 영역을 둘러싸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버클체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지지부는,
    상기 좌판의 양측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되고, 회전축의 상방으로 돌출된 핸들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작업용 의자는,
    상기 좌판과 상기 등판 사이에 작업자의 어깨에 각각 견착되는 한 쌍의 어깨스트랩이 더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어깨 스트랩 사이에는 상기 안전로프와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가로스트랩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체는,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는 소정공간이 형성되어 건물 외벽에 대하여 접촉되는 반구형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고정부 또는 상기 후방고정부에 결합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흡착판에는, 매끈한 표면의 외벽에 대한 흡착 고정력의 조절을 위해 미세타공이 더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체는, 매끈한 표면의 외벽에 대한 용이한 탈부착을 위해 반구형 흡착판의 중앙부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KR1020170036770A 2017-03-23 2017-03-23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KR101968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770A KR101968557B1 (ko) 2017-03-23 2017-03-23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770A KR101968557B1 (ko) 2017-03-23 2017-03-23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890A true KR20180107890A (ko) 2018-10-04
KR101968557B1 KR101968557B1 (ko) 2019-04-12

Family

ID=63862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770A KR101968557B1 (ko) 2017-03-23 2017-03-23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5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10199A (zh) * 2023-06-28 2023-08-01 江苏锐金钢丝绳索具有限公司 一种钢丝绳索的连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046A (ja) * 1992-03-30 1993-10-26 Bridgestone Corp 壁面昇降装置
KR20060093692A (ko) * 2006-08-07 2006-08-25 (주) 영진산업안전 고통 경감용 스텝안전장치
KR20120050942A (ko) * 2012-03-30 2012-05-21 (주)칠칠공사 운반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달비계용 작업의자
KR200471729Y1 (ko) 2012-07-20 2014-03-19 박숙임 산업용 그네식 안전벨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046A (ja) * 1992-03-30 1993-10-26 Bridgestone Corp 壁面昇降装置
KR20060093692A (ko) * 2006-08-07 2006-08-25 (주) 영진산업안전 고통 경감용 스텝안전장치
KR20120050942A (ko) * 2012-03-30 2012-05-21 (주)칠칠공사 운반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달비계용 작업의자
KR200471729Y1 (ko) 2012-07-20 2014-03-19 박숙임 산업용 그네식 안전벨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10199A (zh) * 2023-06-28 2023-08-01 江苏锐金钢丝绳索具有限公司 一种钢丝绳索的连接装置
CN116510199B (zh) * 2023-06-28 2023-09-08 江苏锐金钢丝绳索具有限公司 一种钢丝绳索的连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557B1 (ko) 2019-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2750B2 (ja) ハーネス
JP5788768B2 (ja) ハーネス
KR101307223B1 (ko)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CN106455818A (zh) 婴儿承载装置
US20110162509A1 (en) Apparatus for using a person's hips to carry the load of marching percussion equipment or other objects which are carried near waist-height and in front of a person
KR101968557B1 (ko) 외벽작업용 안전장비
KR101482769B1 (ko) 자세보조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KR101607921B1 (ko) 자세유지 보조 용구
CN110381906A (zh) 矫形的站立和行走辅助设备
CN105828751A (zh) 椅子
RU12085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носки ребенка
US20110193392A1 (en) Foot Rest and Method of Improving Motor Vehicle Occupant Comfort During Extended Travel
JP2019528218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と協働するデバイス
US10426678B2 (en) Child support structure
KR101710380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JP2006034440A (ja) 歩行支援装置
EP3302170B1 (en) Carrier frame for a rucksack or equivalent
US20150059087A1 (en) Physical aid device with a holder
JP2020192040A (ja) 体重支持装置
KR20150097971A (ko) 계단용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
CN211244427U (zh) 一种伸缩助行器
RU2799646C1 (ru) Экзоскелет безопасный для работников
CN211163927U (zh) 行走支撑装置
KR20160149415A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CN211163926U (zh) 行走装置的臀部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