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861A -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861A
KR20180107861A KR1020170036691A KR20170036691A KR20180107861A KR 20180107861 A KR20180107861 A KR 20180107861A KR 1020170036691 A KR1020170036691 A KR 1020170036691A KR 20170036691 A KR20170036691 A KR 20170036691A KR 20180107861 A KR20180107861 A KR 20180107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laser
roller
hopper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상
신지욱
이승목
안재광
송동익
Original Assignee
(주)컨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컨셉션 filed Critical (주)컨셉션
Priority to KR102017003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7861A/ko
Publication of KR20180107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21Feeding
    • B29C64/329Feeding using h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41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 B29C64/153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using layers of powder being selectively joined, e.g. by selective laser sintering or me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20Direct sintering or melting
    • B22F10/28Powder bed fusion, e.g. selective laser melting [SLM] or electron beam melting [EB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50Means for feeding of material, e.g. heads
    • B22F12/52H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60Planarisation devices; Compression devices
    • B22F12/63Rollers
    • B22F3/105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18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2F2003/105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적층체를 형성시키는 레이저 3D 프린터에서 조형영역에 맞춰 효율적으로 분말을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소결되는 분말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여 분말 레이어를 형성한 후 기 설정된 모델링 데이터의 슬라이스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여 분말을 소결시킴으로써, 분말 레이어에 슬라이스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레이저 3D 프린터에서 조형영역에 맞춰 효율적으로 분말을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에 있어서, 수직한 고정 축과 상기 고정 축에 결합되어 고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링 형태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가 일측에 배치되되, 내부에 적재된 분말을 도포하기 위한 호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호퍼는 고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조형영역에 맞춰 분말을 부채꼴 형태로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optimal powder feeder using wiper type hopper based on laser 3D printer technology}
본 발명은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적층체를 형성시키는 레이저 3D 프린터에서 조형영역에 맞춰 효율적으로 분말을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차원 또는 3차원 형태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절삭 가공 또는 사출 성형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고가의 금형 제조비로 인해 소량 생산의 경우 대부분 절삭가공에 의존하고 있다.
반면, 공구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절삭가공의 한계로 인해 제조하기 어려운 형태의 제품들이 존재하였으며, 복잡한 제품을 보다 쉽고 빠르게 제조하기 위한 필요성에 의해 입력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품을 적층하여 제조하는 3D 프린터가 개발되었다.
그중 기능성 고분자 또는 금속분말을 사용하여 레이저 광선으로 주사하여 기능성 고분자 또는 금속분말을 소결시켜 성형하는 원리를 이용한 SLS(Selective Laser Sintering)방식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705696호 "3D 프린터"와 같은 기술이 있다.
이와 같은 SLS방식의 프린터는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소결되는 분말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여 분말 레이어를 형성한 후 기 설정된 모델링 데이터의 슬라이스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여 분말을 소결시킴으로써, 분말 레이어에 슬라이스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적층체를 형성하게 된다.
분말의 도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하게 이송되는 호퍼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있으며, 주로 볼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형태가 이용되고 있으나, 볼ㅅ크류를 이용할 경우, 매우 정밀한 이송이 가능한 반면, 구성이 복잡하고, 이송에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38444호 "3차원 조형 장치"와 같이 조형을 위한 수단과 호퍼의 이송을 교차하도록 배치하는 방법이 개발되ㅇj 조형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게 되었으나, 여전히 호퍼의 이송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5696호 "3D 프린터"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38444호 "3차원 조형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호퍼의 구성을 간단하게 구성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면서, 호퍼의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축소하기 위한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포된 분말을 평탄화시키기 위한 롤러에 분말이 달라붙어 평탄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는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소결되는 분말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여 분말 레이어를 형성한 후 기 설정된 모델링 데이터의 슬라이스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여 분말을 소결시킴으로써, 분말 레이어에 슬라이스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레이저 3D 프린터에서 조형영역에 맞춰 효율적으로 분말을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에 있어서, 수직한 고정 축과 상기 고정 축에 결합되어 고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링 형태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가 일측에 배치되되, 내부에 적재된 분말을 도포하기 위한 호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호퍼는 고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조형영역에 맞춰 분말을 부채꼴 형태로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소결되는 분말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여 분말 레이어를 형성한 후 기 설정된 모델링 데이터의 슬라이스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여 분말을 소결시킴으로써, 분말 레이어에 슬라이스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레이저 3D 프린터에서 조형영역에 맞춰 효율적으로 분말을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에 있어서,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복수 개의 수직한 고정 축과 상기 각 고정 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형태의 결합부와 상기 각 고정축의 결합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링크와 상기 링크 각 단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되, 내부에 적재된 분말을 도포하기 위한 호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호퍼는 고정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복수 개의 링크에 의해 평행하게 이송되면서 조형영역에 맞춰 분말을 아치 형태로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을 따라 기어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의 기어산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퍼의 배면에 분말을 롤러를 회전시켜 평탄화시키기 위한 평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탄부는 도포된 분말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평탄화시키기 위한 롤러와 상기 롤러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롤러의 외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와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롤러의 외표면에 부착된 분말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퍼의 배면에 분말을 롤러를 회전시켜 평탄화시키기 위한 평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탄부는 도포된 분말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평탄화시키기 위한 롤러와 상기 롤러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롤러의 외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와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롤러의 표면에 부착된 분말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분사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어 에어분사부에 의해 분사된 압축공기 및 롤러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된 분말을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에어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퍼의 배면에 분말을 롤러를 회전시켜 평탄화시키기 위한 평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탄부는 도포된 분말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평탄화시키기 위한 롤러와 상기 롤러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롤러의 외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와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롤러의 표면에 부착된 분말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분사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어 에어분사부에 의해 분사된 압축공기 및 롤러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된 분말을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에어흡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롤러의 표면을 향해 사선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분사된 압축공기가 롤러의 표면과 접촉하는 시간을 증가시켜 분말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에 의하면, 고정 축을 중심으로 부채꼴 형태로 회동하도록 호퍼의 구성을 간단하게 구성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면서, 빠른 회동을 통해 호퍼의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에 의하면, 도포된 분말을 평탄화시키기 위한 롤러에 달라붙은 분말을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제거함으로써, 평탄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3D 프린터용 호퍼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 중 평탄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 또는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 중 평탄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 또는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소결되는 분말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여 분말 레이어를 형성한 후 기 설정된 모델링 데이터의 슬라이스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여 분말을 소결시킴으로써, 분말 레이어에 슬라이스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레이저 3D 프린터에서 조형영역에 맞춰 효율적으로 분말을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에 있어서, 수직한 고정 축(2)과 상기 고정 축(2)에 결합되어 고정 축(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링 형태의 결합부(3)와 상기 결합부(3)가 일측에 배치되되, 내부에 적재된 분말을 도포하기 위한 호퍼(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호퍼(1)는 일측에 배치된 상기 결합부(3)에 의해 고정 축(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조형영역(100)에 맞춰 분말을 101과 같이 부채꼴 형태로 균일하게 도포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부채꼴 형태로 도포된 분말(101)에 소정의 조형영역(100)이 배치됨으로써, 조형체를 형성할 때 보다 효율적으로 분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호퍼(1)가 고정 축(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동안 호퍼(1)가 상,하로 진동하거나, 비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상기 호퍼(1)의 일측에는 복수 개의 결합부(3)가 상,하로 배치되고, 각 결합부(3)가 고정 축(2)에 결함됨이 바람직하다.
반면, 결합부(3)가 지름의 크기보다 높이가 더 크게 형성될 경우, 진동 및 비틀림을 일부 억제할 수 있음에 따라, 하나의 결합부(3)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3)가 고정 축(2)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각 결합부(3)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해 고정 축(2)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복수 개의 지지단(3a)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지지단(3a)이 각 결합부(3)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결합부(3) 및 결합부(3)와 결합된 호퍼(1)가 고정 축(1)을 중심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3)는 외주면을 따라 기어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3)의 기어산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부(3)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구동부(4)에 의해 상기 결합부(3) 및 호퍼(1)의 회동이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또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호퍼(1)의 배면에는 호퍼(1)의 회동에 따른 이송(d2)시 호퍼(1)의 하단에 배치된 블레이드(5)를 통해 1차로 평탄화된 분말을 롤러(11)를 회전시켜 2차로 보다 평탄화시키기 위한 평탄부(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11)를 호퍼(1)의 이송방향(d2)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말을 밀어주면서 평탄화시키도록 도 4의 d3과 같은 회전방향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탄부(4)는 도포된 분말(101)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분말을 평탄화시키기 위한 롤러(11)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롤러(11)의 외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빈 공간(S)이 형성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11)와 프레임(10) 사이의 이격된 공간(S)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롤러(11)의 외표면에 부착된 분말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분사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부(12)는 프레임(10) 내부에 횡으로 형성된 공급유로(12b)와 상기 공급유로(12b)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분사노즐(12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사노즐(12a)을 통해 분사된 압축공기는 d3와 같이 회전하는 롤러(11)을 표면에 달라붙은 분말을 롤러(11)의 표면으로부터 박리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12a)은 각각 사선으로 배치되어 도 2의 d1과 같은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롤러(11)와 프레임(10) 사이의 이격된 공간(S)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롤러(11)의 표면에 부착된 분말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분사부(12)의 분사노즐(12a)이 상기 롤러(11)의 표면을 향해 사선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분사된 압축공기가 롤러(11)의 표면과 접촉하는 시간을 증가시켜 분말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분사부(12)에 의해 분사된 압축공기 및 롤러(11)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된 분말을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에어흡입부(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에어흡입부(13)는 프레임(10) 내부에 횡으로 형성된 배출유로(13b)와 상기 배출유로(13b)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흡입노즐(13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흡입부(13)를 통해 흡입되는 유량이 상기 에어분사부(12)를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유량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압축공기의 유출로 인한 분말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에어흡입부(13)를 통해 흡입되는 유량과 상기 에어분사부(12)를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차이에 의한 압력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프레임(10) 내부의 공간(S)에서 외부로 관통되는 유량 조정 홀(1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 또는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소정의 간격(L1)으로 평행하게 이격배치되되 높이가 상이한 복수 개의 수직한 고정 축(2)과 상기 각 고정 축(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형태의 결합부(3)와 상기 각 고정축(2)의 결합부(3)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링크(14)와 상기 링크(14) 각 단부가 소정의 간격(L2)으로 이격되어 각각 상측과 하측에 결합되되, 내부에 적재된 분말을 도포하기 위한 호퍼(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호퍼(1)는 각 고정 축(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복수 개의 링크(14)에 의해 평행하게 이송되면서 조형영역(100)에 맞춰 분말을 101과 같이 아치 형태로 균일하게 도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높이가 각각 상이한 각 고정축(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부(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각 링크(14a, 14b)는 각각 호퍼(1)의 상측과 하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되 각 링크(14a, 14b)가 평행하게 회동하도록 구성하고, 각 링크(14a, 14b)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회동시 각 링크(14a, 14b)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조형영역(100)의 형상에 맞춰 보다 효율적으로 분말을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호퍼
2 : 고정 축
3 : 결합부
4 : 평탄부
5 : 블레이드
10 : 프레임
11 : 롤러
12 : 에어분사부
13 : 에어흡입부
14 : 링크
15 : 유량 조정 홀
100 : 조형영역
101 : 도포된 분말

Claims (6)

  1.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소결되는 분말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여 분말 레이어를 형성한 후 기 설정된 모델링 데이터의 슬라이스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여 분말을 소결시킴으로써, 분말 레이어에 슬라이스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레이저 3D 프린터에서 조형영역에 맞춰 효율적으로 분말을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에 있어서,
    수직한 고정 축과;
    상기 고정 축에 결합되어 고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링 형태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가 일측에 배치되되, 내부에 적재된 분말을 도포하기 위한 호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호퍼는 고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조형영역에 맞춰 분말을 부채꼴 형태로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
  2.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소결되는 분말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여 분말 레이어를 형성한 후 기 설정된 모델링 데이터의 슬라이스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여 분말을 소결시킴으로써, 분말 레이어에 슬라이스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레이저 3D 프린터에서 조형영역에 맞춰 효율적으로 분말을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에 있어서,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복수 개의 수직한 고정 축과;
    상기 각 고정 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형태의 결합부와;
    상기 각 고정축의 결합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링크와;
    상기 링크 각 단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되, 내부에 적재된 분말을 도포하기 위한 호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호퍼는 고정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복수 개의 링크에 의해 평행하게 이송되면서 조형영역에 맞춰 분말을 아치 형태로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을 따라 기어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의 기어산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배면에 분말을 롤러를 회전시켜 평탄화시키기 위한 평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탄부는
    도포된 분말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평탄화시키기 위한 롤러와;
    상기 롤러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롤러의 외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와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롤러의 외표면에 부착된 분말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배면에 분말을 롤러를 회전시켜 평탄화시키기 위한 평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탄부는
    도포된 분말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평탄화시키기 위한 롤러와;
    상기 롤러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롤러의 외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와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롤러의 표면에 부착된 분말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분사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어 에어분사부에 의해 분사된 압축공기 및 롤러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된 분말을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에어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배면에 분말을 롤러를 회전시켜 평탄화시키기 위한 평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탄부는
    도포된 분말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평탄화시키기 위한 롤러와;
    상기 롤러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롤러의 외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와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롤러의 표면에 부착된 분말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분사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어 에어분사부에 의해 분사된 압축공기 및 롤러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된 분말을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에어흡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롤러의 표면을 향해 사선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분사된 압축공기가 롤러의 표면과 접촉하는 시간을 증가시켜 분말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
KR1020170036691A 2017-03-23 2017-03-23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 KR20180107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691A KR20180107861A (ko) 2017-03-23 2017-03-23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691A KR20180107861A (ko) 2017-03-23 2017-03-23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861A true KR20180107861A (ko) 2018-10-04

Family

ID=6386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691A KR20180107861A (ko) 2017-03-23 2017-03-23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786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846A (ko) 2018-11-26 2020-06-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중 호퍼를 구비한 이종 소재 적층 장치 및 방법
KR102252790B1 (ko) 2019-11-27 2021-05-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소재 보충용 호퍼 장치 및 소재 적층 장치
WO2022223603A1 (de) * 2021-04-21 2022-10-27 SLM Solutions Group AG Technik zum entfernen von pulver und/oder partikeln aus einem pulverbett
KR20230045290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테라웍스 제품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성형 방법
CN116175730A (zh) * 2023-03-23 2023-05-30 中国科学院空间应用工程与技术中心 一种光固化陶瓷3d打印铺料中辊子刮刀的改进方法及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846A (ko) 2018-11-26 2020-06-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중 호퍼를 구비한 이종 소재 적층 장치 및 방법
KR102252790B1 (ko) 2019-11-27 2021-05-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소재 보충용 호퍼 장치 및 소재 적층 장치
WO2022223603A1 (de) * 2021-04-21 2022-10-27 SLM Solutions Group AG Technik zum entfernen von pulver und/oder partikeln aus einem pulverbett
KR20230045290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테라웍스 제품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성형 방법
CN116175730A (zh) * 2023-03-23 2023-05-30 中国科学院空间应用工程与技术中心 一种光固化陶瓷3d打印铺料中辊子刮刀的改进方法及装置
CN116175730B (zh) * 2023-03-23 2023-09-08 中国科学院空间应用工程与技术中心 一种光固化陶瓷3d打印铺料中辊子刮刀的改进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7861A (ko) 레이저 3d 프린터 기술 기반 와이퍼형 호퍼를 이용한 최적분말 공급장치
JP6471228B2 (ja) 食品生地片の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装置
CN102892296B (zh) 3d食品成型设备和过程
KR101890551B1 (ko) 용기뚜껑 제조장치
JP6485617B2 (ja) 支持なしで水平にフィラメントを配列する3次元印刷方法
JP7353785B2 (ja) 可食物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N107709612B (zh) 用于形成3d物体的设备和方法
JP2017149141A (ja) 三次元円筒形物体を造形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JP2021534017A (ja) 層状の材料被着により3次元の成形物を製造する方法
WO2018096860A1 (ja) 搬送装置、印刷装置および搬送方法
JP7072019B2 (ja) スラリーを均一に分配するための装置
TW202147430A (zh) 於輸送帶上之研磨墊的積層製造
US4888214A (en) Aparatus and method for coating fasteners
EP27137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ly coating confectionary product
JP2011518044A (ja) 物品を成形するためのプラントおよび装置
TWM513742U (zh) 噴頭結構與三維列印裝置
JP2008150059A (ja) 充填機、及び、物品の製造方法
US10842167B2 (en) Cutter having varied cavity draft angle
JP2007229981A (ja) 溶融樹脂供給方法及び溶融樹脂供給装置
JP6275550B2 (ja) 散粉方法及び散粉装置
JP2009073095A (ja) 溶融樹脂供給装置
WO2024029244A1 (ja) 充填剤塗布装置
JP5628783B2 (ja) コーティング装置
TW202108247A (zh) 積層面材之製造方法及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