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357A -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357A
KR20180107357A KR1020170033408A KR20170033408A KR20180107357A KR 20180107357 A KR20180107357 A KR 20180107357A KR 1020170033408 A KR1020170033408 A KR 1020170033408A KR 20170033408 A KR20170033408 A KR 20170033408A KR 20180107357 A KR20180107357 A KR 20180107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housing
stopper
protruding
stee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980B1 (ko
Inventor
최원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3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98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1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조향축; 조향축에 장착되고, 조향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부; 하우징에 장착되고, 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 및 회전부를 조향축에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APPARATUS OF STEER BY WIRE}
본 발명은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향각을 강건하게 제한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워 핸들로 불리는 자동차의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유압 펌프의 유압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가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기 모터를 이용한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PS)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동력을 보조해 주는 동력원인 유압 펌프가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조향 핸들부의 회전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에너지를 소모한다. 하지만,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조향 핸들부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토크를 감지하여, 이 토크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조향 보조 동력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비해 자동차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Steer-By-Wire Type)는 상술한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한 방식으로, 조향 시스템을 기계적 연결 없이 전기적인 동력만으로 조향한다.
종래의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는 하단의 조향 기어 박스와 물리적인 연결이 끊어져 있어서, 물리적인 조향각을 제한하는 스톱터를 필요로 한다. 즉, 스톱퍼를 구비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에서는 조향 핸들부의 최대 회전시 과도한 토크에 의해 스톱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운전자가 조향 핸들부를 최대 회전 조향시 조향 반력 모터가 지지해 줄 수 있지만 토크가 부족하여 조향각이 설정 각도를 넘어갈 수 있다. 즉, 스톱퍼를 구비하지 않은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에서는 조향각의 오류 누적으로 인하여 조향 작동의 안정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9627호(2012.10.04 등록, 발명의 명칭: 스티어 바이 와이어 조향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향각을 강건하게 제한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조향축; 상기 조향축에 장착되고, 상기 조향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 및 상기 회전부를 상기 조향축에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조향축에 장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환형부; 및 상기 제1환형부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스톱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스톱퍼는 상기 제1환형부에서 상기 제1돌기부의 회전 경로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부의 회전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1환형부와 동일한 중심을 가지고, 상기 제1환형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환형부; 및 상기 제2환형부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스톱퍼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스톱퍼는 상기 제2환형부에서 상기 제2돌기부의 회전 경로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돌기부의 회전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돌기부와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스톱퍼는 상기 제1환형부의 내주면에서 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톱퍼는 상기 제2환형부의 외주면에서 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돌기 몸체부; 및 상기 제2돌기 몸체부에서 상기 하우징을 향해 굽어지게 형성되는 제2돌기 굴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돌기 몸체부가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제1스톱퍼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부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더 짧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스톱퍼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제1돌기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향축에 연결되고, 상기 조향축을 회전시키는 조향 핸들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향 핸들부는,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조향축과 연결되는 조향 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는 회전제한부에 의해 조향 핸들부의 조향각이 과도하게 벗어나게 되어 조향각의 에러 누적으로 시스템의 안정성이 취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칭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제한부에 의해 조향 핸들부의 과도한 토크에서도 파손되지 않고 적절한 조향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향 핸들부가 일체화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조립과 설치가 단순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의 조향 중립 상태를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에서 회전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에서 회전부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의 조향 중립 상태를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에서 회전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에서 회전부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는 하우징(10), 조향축(20), 회전부(40), 회전제한부(30), 체결부(5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조향축(20)이 장착된다. 하우징(10)의 일측(도 1 기준 상측)에는 회전제한부(40)가 장착된다. 조향축(20)은 하우징(10)의 내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조향축(20)은 조향 핸들부(60)와 연결되어, 조향 핸들부(6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회전부(40)는 조향축(20)에 장착되고, 조향축(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회전부(40)는 몸체부(41), 제1돌기부(43), 제2돌기부(45)를 포함한다.
몸체부(41)는 중심부에 관통공(42)이 형성된다. 관통공(42)을 통해 체결부(50)가 조향축(20)과 체결되어, 몸체부(41)는 조향축(20)에 장착된다. 몸체부(41)는 조향축(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제1돌기부(43)는 몸체부(41)의 일측(도 1 기준 우측)에 돌출 형성되고, 제2돌기부(45)는 몸체부(41)의 타측(도 1 기준 좌측)에 돌출 형성된다. 조향축(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1돌기부(43)는 회전제한부(30)의 제1스톱퍼(32)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고, 제2돌기부(45)는 회전제한부(30)의 제2스톱퍼(36)에 걸려 회전이 제한된다.
제1돌기부(43)와 제2돌기부(45)는 몸체부(41)에서 서로 대향되게 180˚ 이격배치된다. 제1돌기부(43)와 제2돌기부(45)는 몸체부(41)에서 180˚ 이격 배치되게 되어, 제1돌기부(43)와 제2돌기부(45)가 조향 중립 상태(도 5 참조)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에 가깝게 회전될 수 있다. 즉, 실제로는 제1스톱퍼(32)와 제2스톱퍼(36)의 두께에 의해 조향 중립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대략 170° 회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2돌기부(45)는 제2돌기 몸체부(46), 제2돌기 굴곡부(47)를 포함한다. 제2돌기 몸체부(46)는 몸체부(41)에서 돌출 형성되고, 제2돌기 굴곡부(47)는 제2돌기 몸체부(46)에서 90°로 꺽여 하우징(10)을 향해 굽어지게 형성된다. 제2돌기 몸체부(46)가 몸체부(41)에서 돌출된 돌출 길이는 제1스톱퍼(32)의 단부에서 몸체부(41)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더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돌기 몸체부(46)는 회전제한부(40)의 제1스톱퍼(32)에 걸리지 않고 회전되고, 회전제한부(40)의 제2스톱퍼(36)에 걸려 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제2돌기 굴곡부(47)는 제2돌기 몸체부(46)에서 하우징(10)을 향해 하향 굴곡지게 형성되므로, 제1돌기부(43)는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제1스톱퍼(32)와 제2스톱퍼(36) 중 낮은 높이의 제2스톱퍼(36)에 걸리지 않고 제1스톱퍼(32)에 걸리게 된다. 제1스톱퍼(32)와 제2스톱퍼(36)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회전제한부(30)는 하우징(10)의 일측(도 1 기준 상측)에 장착되고, 회전부(40)의 회전을 제한한다. 회전제한부(30)는 제1환형부(31), 제1스톱퍼(32), 제2환형부(35), 제2스톱퍼(36)를 포함한다.
제1환형부(31)는 하우징(10)의 일측(도 1 기준 상측)에 환형으로 형성된다. 제1스톱퍼(32)는 제1환형부(31)의 내주면에서 제1환형부(31)의 지름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돌출 형성된다. 조향축(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1돌기부(43)는 제1스톱퍼(32)에 의해 회전에 제한된다. 제1스톱퍼(32)는 제1환형부(31)의 내주면에서 제1돌기부(43)의 회전 경로 상에 돌출 형성되어, 제1돌기부(43)의 회전을 제한한다.
제2환형부(35)는 하우징(10)의 일측(도 1 기준 상측)에 제1환형부(31)와 같은 중심을 가지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제2환형부(35)는 제1환형부(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즉, 제1환형부(31)와 제2환형부(35)는 동일 중심을 가지고 직경의 크기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환형부(35)는 제1환형부(31)와 동일 중심을 가지고 제1환형부(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제1환형부(31)의 내측에 형성된다.
제2스톱퍼(36)는 제2환형부(35)의 외주면에서 제2환형부(35)의 지름 방향으로 제2돌기부(45)의 회전 경로 상에 돌출 형성되어, 제2돌기부(45)의 회전을 제한한다. 조향축(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2돌기부(45)는 제2스톱퍼(36)에 의해 회전에 제한된다.
제2스톱퍼(36)가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제1돌기부(43)와 하우징(10)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돌기부(43)는 제2스톱퍼(36)에 걸리지 않고, 제2돌기부(35)의 제2돌기 굴곡부(37)가 제2스톱퍼(36)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1돌기부(43)는 제1스톱퍼(32)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고, 제2돌기부(45)는 제2스톱퍼(36)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제1돌기부(43)의 돌출 길이는 제1스톱퍼(32)에 걸릴 수 있게 설정되고, 제2돌기부(35)의 제2돌기 몸체부(46)의 돌출 길이는 제2돌기부(35)의 제2돌기 굴곡부(47)가 제1스톱퍼(32)에 걸리지 않고, 제2스톱퍼(36)에 걸리게 설정된다.
제1스톱퍼(32)가 제1환형부(31)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방향과, 제2스톱퍼(36)가 제2환형부(35)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방향을 서로 같게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부(41)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돌기부(43)와 제2돌기부(45)는 각각 제1스톱퍼(32)와 제2스톱퍼(36)에 걸려 회전이 제한된다.
체결부(50)는 회전부(40)의 몸체부(41)를 조향축(20)에 체결하는 것으로, 몸체부(41)의 관통공(42)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한다. 체결부(50)는 볼트, 나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조향축(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40)가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5는 회전부(40)가 조향 중립 상태에 놓인 것을 나타내고, 도 6은 회전부(40)가 일방향(도 6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나타내고, 도 7은 회전부(40)가 타방향(도 7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향축(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40)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부(40)의 제2돌기부(45)가 제2스톱퍼(36)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고, 회전부(40)의 제1돌기부(43)가 제1스톱퍼(32)에 의해 회전에 제한되어, 조향축(20)이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회전부(40)는 제1스톱퍼(32)와 제2스톱퍼(36)의 폭 등에 의해 조향 중립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180˚ 에 근접한 170˚ 정도 회전된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조향축(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40)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부(40)의 제2돌기부(45)는 제1스톱퍼(32)를 지나서 제2스톱퍼(36)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고, 회전부(40)의 제1돌기부(43)는 제1스톱퍼(32)에 의해 회전에 제한되어, 조향축(20)이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회전부(40)는 제1스톱퍼(32)와 제2스톱퍼(36)의 폭 등에 의해 조향 중립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180˚ 에 근접한 170˚ 정도 회전된다.
제1스톱퍼(32)와 제2스톱퍼(36)의 폭은 재질과 강도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회전부(40)의 회전 각도는 제1스톱퍼(32)와 제2스톱퍼(36)의 폭에 따라 조향 중립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에 근접하게 회전 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조향 핸들부(60)가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를 설명한다. 조향 핸들부(60)는 조향축(20)에 연결되고, 조향축(20)을 회전시킨다. 조향 핸들부(60)는 수용부(61)와 조향 휠(63)을 포함한다.
수용부(61)는 하우징(10)을 수용하는 것으로, 하우징(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도 9 기준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수용부(61)와 하우징(10)은 복수의 볼트, 나사 등으로 체결되고, 용접 또는 본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조향 휠(63)은 수용부(6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조향축(20)과 연결된다. 조향 휠(63)의 회전에 따라 조향축(20)이 회전되고, 회전부(40)도 회전된다. 회전된 회전부(40)는 회전제한부(30)에 의해 설정 각도 이상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이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는 회전제한부(30)에 의해 조향 핸들부(60)의 조향각이 과도하게 벗어나게 되어 조향각의 에러 누적으로 시스템의 안정성이 취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칭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제한부(30)에 의해 조향 핸들부(60)의 과도한 토크에서도 파손되지 않고 적절한 조향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향 핸들부(60)가 일체화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조립과 설치가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20: 조향축
30: 회전제한부 31: 제1환형부
32: 제1스톱퍼 35: 제2환형부
36: 제2스톱퍼 40: 회전부
41: 몸체부 42: 관통공
43: 제1돌기부 45: 제2돌기부
46: 제2돌기 몸체부 47: 제2돌기 굴곡부
50: 체결부 60: 조향 핸들부
61: 수용부 63: 조향 휠

Claims (1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조향축;
    상기 조향축에 장착되고, 상기 조향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 및
    상기 회전부를 상기 조향축에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조향축에 장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환형부; 및
    상기 제1환형부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톱퍼는 상기 제1환형부에서 상기 제1돌기부의 회전 경로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1환형부와 동일한 중심을 가지고, 상기 제1환형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환형부; 및
    상기 제2환형부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톱퍼는 상기 제2환형부에서 상기 제2돌기부의 회전 경로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돌기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부와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스톱퍼는 상기 제1환형부의 내주면에서 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톱퍼는 상기 제2환형부의 외주면에서 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돌기 몸체부; 및
    상기 제2돌기 몸체부에서 상기 하우징을 향해 굽어지게 형성되는 제2돌기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 몸체부가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제1스톱퍼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부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톱퍼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제1돌기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에 연결되고, 상기 조향축을 회전시키는 조향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핸들부는,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조향축과 연결되는 조향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KR1020170033408A 2017-03-16 2017-03-16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KR102238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408A KR102238980B1 (ko) 2017-03-16 2017-03-16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408A KR102238980B1 (ko) 2017-03-16 2017-03-16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357A true KR20180107357A (ko) 2018-10-02
KR102238980B1 KR102238980B1 (ko) 2021-04-13

Family

ID=6386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408A KR102238980B1 (ko) 2017-03-16 2017-03-16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9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832A1 (ko) * 2018-10-18 2020-04-23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CN115135562A (zh) * 2020-02-13 2022-09-30 蒂森克虏伯普利斯坦股份公司 回转限制装置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951A (ko) * 1997-12-27 1999-07-15 오상수 조향핸들 회전제한 장치
JP2004249934A (ja) * 2003-02-21 2004-09-0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操舵装置
JP2006111065A (ja) * 2004-10-13 2006-04-27 Honda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60071782A (ko) * 2004-12-22 2006-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 랙 스트로크 가변장치
US20070099465A1 (en) * 2005-11-03 2007-05-03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Assembly for a steer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JP2007160964A (ja) * 2005-12-09 2007-06-28 Toyota Motor Corp 車両の操舵装置
JP2009113613A (ja) * 2007-11-06 2009-05-28 Honda Motor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90064179A (ko) * 2007-12-15 2009-06-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시스템의 가변랙스트로크 장치
JP2009264528A (ja) * 2008-04-28 2009-11-12 Hitachi Ltd 動力断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2035738A (ja) * 2010-08-06 2012-02-23 Ntn Corp ステアバイワイヤ式操舵装置の反力トルクアクチュエータ
WO2014038134A1 (ja) * 2012-09-10 2014-03-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舵制御装置及び車両用操舵制御方法
JP2015040044A (ja) * 2013-08-23 2015-03-02 アウディ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Audi Ag ステアリングストッパおよびステアリングストッパ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951A (ko) * 1997-12-27 1999-07-15 오상수 조향핸들 회전제한 장치
JP2004249934A (ja) * 2003-02-21 2004-09-0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操舵装置
JP2006111065A (ja) * 2004-10-13 2006-04-27 Honda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60071782A (ko) * 2004-12-22 2006-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 랙 스트로크 가변장치
US20070099465A1 (en) * 2005-11-03 2007-05-03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Assembly for a steer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JP2007160964A (ja) * 2005-12-09 2007-06-28 Toyota Motor Corp 車両の操舵装置
JP2009113613A (ja) * 2007-11-06 2009-05-28 Honda Motor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90064179A (ko) * 2007-12-15 2009-06-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시스템의 가변랙스트로크 장치
JP2009264528A (ja) * 2008-04-28 2009-11-12 Hitachi Ltd 動力断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2035738A (ja) * 2010-08-06 2012-02-23 Ntn Corp ステアバイワイヤ式操舵装置の反力トルクアクチュエータ
WO2014038134A1 (ja) * 2012-09-10 2014-03-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舵制御装置及び車両用操舵制御方法
JP2015040044A (ja) * 2013-08-23 2015-03-02 アウディ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Audi Ag ステアリングストッパおよびステアリングストッパ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832A1 (ko) * 2018-10-18 2020-04-23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KR20200043829A (ko) * 2018-10-18 2020-04-28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CN112867660A (zh) * 2018-10-18 2021-05-28 株式会社万都 线控转向式转向设备
CN112867660B (zh) * 2018-10-18 2023-07-25 汉拿万都株式会社 线控转向式转向设备
US11939006B2 (en) 2018-10-18 2024-03-26 Hl Mando Corporation Steer-by-wire-type steering apparatus
CN115135562A (zh) * 2020-02-13 2022-09-30 蒂森克虏伯普利斯坦股份公司 回转限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980B1 (ko)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9110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EP2695793B1 (en) Steering device
US8936132B2 (en) Motor driven power steering apparatus
EP2439835B1 (en) Anti-separating structure of sensing magnet for EPS motor
US10556616B2 (en) Damping coupler of 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15105710A (ja) ボールねじおよび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80107357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US11680606B2 (en) Coupler and motor assembly including same
KR101609300B1 (ko) 토크센서
KR20180095335A (ko) 스토퍼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 시스템
JP2013224064A (ja) アース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装置
EP2626275B1 (en) Steering apparatus and connector
KR101799104B1 (ko) 모터
JP2008132845A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ジョイントヨーク及びシャフトの結合構造
JP2014129073A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位置決め部材
KR101800769B1 (ko) 토크 센서
JP4899728B2 (ja) コラム式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212137B2 (ja) ステアリング操作装置
KR102645000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KR20120078913A (ko) 모터
KR20160012325A (ko) 전동 유압식 조향장치
JP2010132039A (ja) 車両用操舵装置
JP2014005885A (ja) ロック機構及び同ロック機構を搭載した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US20220204073A1 (en) Steer-by-wire type steering apparatus
US20230021499A1 (en) Steer by wire type stee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