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659A - 인체용 소변 수집기 - Google Patents

인체용 소변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659A
KR20180106659A KR1020170035339A KR20170035339A KR20180106659A KR 20180106659 A KR20180106659 A KR 20180106659A KR 1020170035339 A KR1020170035339 A KR 1020170035339A KR 20170035339 A KR20170035339 A KR 20170035339A KR 20180106659 A KR20180106659 A KR 20180106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sticker
fixing plate
peni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891B1 (ko
Inventor
류용승
Original Assignee
류용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용승 filed Critical 류용승
Priority to KR1020170035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89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with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8Means for securing receptacles or bags to the body otherwise than by adhesives, e.g. belts, strap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3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adhesive seals for securing to the body, e.g. of hydrocolloid type, e.g. gels, starches, karaya g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other discharge from mal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 환형으로 형성되어 중심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스티커; 상기 스티커의 내측면의 일 영역에 일단이 결합되고, 성기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에 의해 타단 방향을 향해 확장되어 상기 배출된 소변을 수용하는 소변 수집봉지; 상기 스티커의 내측면의 타 영역에 형성되는 접착부재; 및 상기 소변 수집 봉지의 타단에 수용되고, 상기 배출된 소변을 흡수하는 흡습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체용 소변 수집기 {Urine collector}
본 발명은 소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출되는 소변을 보관하는 인체용 소변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소변 및 대변 처리장치는 실금 환자 및 특히, 누워만 있는 환자가 주로 착용하도록 설계된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용변 처리장치들은 착용자의 인체 항문 또는 생식기 영역에 부착되어, 대소변 및 다른 신체 배설물을 포집하여 즉시 수용하게 된다. 오늘날 주로 알려져 있는 이러한 장치들은 비교적 길고 좁은 튜브로 구성되며, 그 끝단에 구멍부와 접착제일 수 있는 피부 부착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장치들은 하반신의 움직임에 따라 착용자의 대퇴부 주위로 쉽게 비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중에 착용자로부터 이 장치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일으킬 수 있어 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이미 저장공간에 담긴 변이 항문과 항문 주변의 피부로 역행해 돌아와 접촉하게 될 수 있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실정을 고려하여 개발된 인체용 대변 수집기가 한국 등록특허 제10-1445575호로 등록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의 항문 둘레에 위치하는 중앙부가 관통되고 양 판체(101)로 구성된 고정판(102)과 상기 고정판(102)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대변이 투입되는 대변수집봉지(104) 및 상기 고정판(102)의 타측면에 접착수단이 형성 구성된 접착수단(103)으로 구성되어 이를 접음으로써 엉덩이 사이의 오목한 항문 주위의 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대변 수집기는 환자가 배출한 대변을 대변수집봉지(104)에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그러나 소변 수집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소변은 고형화되지 않고 액체 상태로 배출되므로, 소변을 수집해둔 상태에서 쉽게 접착면 틈새로 벗어날 수 있고, 역행하여 성기 주변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다는 위생적 문제가 대두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45575호(2012.01.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변의 누수 없이 소변을 수집할 수 있는 소변 수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수집기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중심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스티커; 상기 스티커의 내측면의 일 영역에 일단이 결합되고, 성기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에 의해 타단 방향을 향해 확장되어 상기 배출된 소변을 수용하는 소변 수집봉지; 상기 스티커의 내측면의 타 영역에 형성되는 접착부재; 및 상기 소변 수집 봉지의 타단에 수용되고, 상기 배출된 소변을 흡수하는 흡습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습 부재는, 고흡습성고분자(Super Absorbent Polymer)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흡습성고분자가 수용된 스펀지, 솜 및 폴리에스테르 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커가 상기 소변 수집봉지의 일단과 결합된 상기 일 영역에는, 고흡습성고분자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소변 수집봉지의 내측면에, 상기 흡습 부재로부터 상기 소변 수집봉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흡습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실리콘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성기가 남성의 성기일 때, 상기 성기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소변 수집봉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성기를 둘러싸며 상기 성기의 표피에 상기 스티커를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스티커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에 부착되는 복수의 이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형지 중 제거된 이형지와 대응되는 상기 접착부재의 영역이 상기 성기의 표피에 먼저 접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소변 수집기는, 상기 성기가 여성의 성기일 때,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 판체 및 제2 판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판체의 양 단부와 상기 제2 판체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관통공과 일치하는 고정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스티커에 일측면이 결합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성기 주변의 피부에 상기 고정판을 접착하는 고정판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는 상기 스티커의 내측면 사이에서 협지되고, 액체 주입기가 삽입되어 상기 항문을 향해 액체를 분사 가능한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 접착부재에 부착되는 복수의 고정판 이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판 이형지 중 제거된 고정판 이형지와 대응되는 상기 고정판 접착부재의 영역이 상기 성기 주변의 피부에 먼저 접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소변 수집기는, 상기 소변 수집봉지의 일단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소변 수집봉지의 외부로 테이퍼(taper)진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소변 수집봉지의 내부와 상기 소변 수집봉지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통공이 형성되는 소변 깔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변 수집 봉지는, 상기 스티커와 연결되는 일단의 직경보다 상기 흡습부재가 수용되는 타단의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판 통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습 부재는, 전분으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누수 없이 소변을 처리할 수 있다.
소변 수집기 내에 액체로 소변이 남지 않아 위생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기존 인체용 대변 수집기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의 이형지를 벗겨내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형지가 제거된 남성용 소변 수집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에 남성의 성기를 삽입하기 전 상황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에 남성의 성기를 삽입한 상황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를 남성의 성기에 고정한 상황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의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의 소변 수집봉지가 축소된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를 삽입하는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를 삽입하여 이형지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를 삽입하여 이형지를 제거해 제1 판체를 피부에 부착시킨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의 장착을 완료하고, 소변이 유입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1)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1)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1)의 이형지(13)를 벗겨내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형지(13)가 제거된 남성용 소변 수집기(1)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남성용 소변 수집기(1)는 스티커(11), 접착부재를 통해 스티커(11) 상에 부착된 이형지(13), 접착부재를 통해 스티커(11)의 일부 영역과 연결된 소변 수집봉지(14) 및 소변 수집봉지(14)에 수용된 흡습 부재(15)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스티커(11)는 본 발명의 남성용 소변 수집기(1)의 소변 수집봉지(14)를 남성의 성기(P)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스티커(11)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중심이 관통된다. 관통된 스티커(11)의 중심은 관통공(16)이 되고, 상기 관통공(16)으로 남성의 성기(P)가 진입할 수 있다.
스티커(11)에는 원주를 따라 공기가 통하도록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통기구(12)는 남성의 성기(P)의 피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스티커(11)의 일부 영역을 개방시킨 구멍을 의미한다. 스티커(11)가 남성의 성기(P)의 표피에 접착되어 고정되면 피부에 공기가 통하지 않아 착용자가 답답함을 느끼기 때문에 이를 덜어주기 위해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통기구(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스티커(11)의 둘레를 따라 8개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나, 그 개수 및 배치는 도시된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티커 내측면(112)에는 접착부재(미도시)가 도포된다. 접착부재는 스티커(11)를 이형지(13) 또는 성기의 표피에 접착시키기 위해 스티커 내측면(112)에 형성된 구성요소로, 접착성을 가진 수단이 사용된다. 접착부재는 스티커(11)를 남성의 성기(P)의 표피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므로 인체에 무해한 수단이 바람직하다. 접착부재로는 테이프 또는 실리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티커 외측면(111)에는 접착부재가 도포되지 않으나, 도 11에서 후술할 고정판(20)과의 결합을 위해 접착 부재가 도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남성용 소변 수집기(1)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접착부재에는 이형지(13)가 덮혀 다른 원치 않는 곳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남성용 소변 수집기(1)가 사용되어야 할 경우, 이형지(13)를 제거한 뒤 접착부재가 스티커(11)를 피부에 접착시킬 수 있다.
이형지(13)는 접착부재에 의해 스티커(11) 위에 접착되어있는 구성요소로, 본 발명의 남성용 소변 수집기(1)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부재에 대해 원치 않는 접착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착부재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며 부착된다. 따라서 이형지(13)는 이형원지에 실리콘 수지를 코팅하여 접착부재와 접촉한 이면이 쉽게 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부재의 접착면을 보호하고 쉽게 박리될 수 있다면 이형지(13)로 사용될 수 있다.
이형지(13)는 스티커 내측면(112)에 접착부재가 도포된 영역을 다 덮도록 구성된다. 이형지(13)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 5에, 이형지(13)가 완전히 제거된 상황을 도 6에 도시하였다. 1개의 이형지(13)가 스티커 내측면(112) 전체를 덮고 있는 경우 이형지(13)를 제거하기 어려움이 있으므로, 단계별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개로 구성될 시 스티커 내측면(112)의 면적을 이형지(13)의 개수로 분할한 면적씩을 차지하도록 구성된다. 이형지(13)의 면적은 스티커 내측면(112)의 면적을 등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서로 동일하지 않은 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이형지(13)가 스티커 내측면(112) 위에 총 2개 등분된 면적을 차지하며 부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나치게 많은 개수의 이형지(13)는 박리 및 스티커(11)의 피부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지나치게 적은 개수의 이형지(13)는 이형지(13) 박리 후 손으로 피부에 스티커(11)를 접착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개수의 이형지(13) 수를 선택할 수 있다.
소변 수집봉지(14)는 본 발명의 소변 수집기(1, 2)로 유입되는 소변을 수집하기 위한 저장공간으로,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접어져서 차지하는 부피를 줄인 상태로 있다가 소변의 배출과 함께 유입된 소변의 압력에 의해 스티커(11)와 결합된 일단의 반대방향을 향해 확장된다. 따라서 소변의 압력에 의해 쉽게 그 형상이 변화할 수 있으나 파손되지 않으며, 외부로부터 물질 유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되어야 한다. 접었다 펴질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자바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분해되는 자연분해 비닐 또는 생 분해 비닐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소변을 확인하지 못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불투명한 재질로 소변 수집봉지(14)를 구성하는 경우, 투명한 확인창(미도시)을 일부분에 형성하여 배변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소변 수집봉지(14)는 터널 형이 아닌 동굴 형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스티커(11)의 관통공(16)과 같이 열린 개구로 형성되고, 타단은 막혀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소변 수집봉지(14)의 일단의 외측면은 스티커 내측면(112)의 일 영역에 결합된다. 소변 수집봉지(14)만으로도 소변을 모을 수 있으나, 남성의 성기(P)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기 위해서는 스티커(11)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소변 수집봉지(14) 내에서는 제습제, 참숯 가루 및 살균제가 더 수용될 수 있고, 수분을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되어 소변이 인입될 경우 간병인에게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소변 수집봉지(14)는 동일한 봉지를 이중으로 겹쳐 사용해 하나의 봉지가 찢어지더라도 안전하게 소변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흡습 부재(15)는 소변 수집봉지(14)의 내부에 수용되며, 소변 수집봉지(14) 내부로 유입된 소변을 흡수하는 구성요소이다. 흡습 부재(15)는 소변 수집봉지(14)가 스티커(11)와 결합되는 일단의 반대인 폐쇄된 타단에 수용되고, 임의로 본래 자리를 이탈하거나 소변 수집봉지(14)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소변 수집봉지(14) 내측면의 타단에 접착 수단을 이용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소변 수집 봉지는 일단에 스티커(11)의 관통공(16)과 동일한 통공이 형성되고, 타단은 막혀 흡습 부재(15)와 소변을 수집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흡습 부재(15)는 고흡습성고분자(SAP, super absorbent polymer)와, 상기 고흡습성고분자가 수용된 스펀지, 솜 또는 폴리에스테르 솜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흡습성고분자란 가루와 같은 제형의 고체로 형성되어, 수분과 접촉하게 되면 굳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고분자이다. 그 종류로는 물과 만나 젤을 형성하는 알지네이트(alginate)가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솜 또는 스펀지는 물에 잘 녹는 종류의 솜 또는 스펀지일 수 있다.
고흡습성고분자는 3차원상에서 그물 구조로 형성되며 주변에 물기가 있으면 이를 흡수하여 부피가 커지는데, 이를 팽윤이라고 한다. 알지네이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알지네이트의 주 성분인 알긴산칼륨에는 카르복실기(carboxyl)의 수소를 칼륨(potassium)으로 치환한 작용기가 포함되어 있다. 알지네이트에는 황산칼슘, 산화아연, 불화티타늄칼륨 등의 물질이 같이 섞여 있어 이러한 물질들이 물에 녹음과 동시에 겔 상태가 되고, 황산칼슘이 이온화되면서 생긴 칼슘이 상기 알긴산칼륨 분자 2개의 카르복실기에 각각 결합되어있는 2개의 칼륨과 치환되어 두 알긴산칼륨 분자를 결합시킨다. 이러한 반응을 통해 알긴산칼륨을 단위체(monomer)로 하는 고분자가 그물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그 틈 사이로 물분자가 다량 수용될 수 있어 흡습이 일어나고, 시간이 지나며 수분이 증발해 겔이 굳게 된다.
상기 고흡습성고분자를 본 발명의 소변 수집기에 사용하여 배출된 소변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고흡습성고분자를 단순히 소변 수집봉지(14) 내측면에 도포하는 것으로는 많은 양을 도포할 수도 없고, 안정적으로 고흡습성고분자를 소변 수집봉지(14)가 수용하도록 하기에도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고흡습성고분자를 다공성인 스펀지의 공극에 수용시켜 흡습 부재(15)를 구성하고, 흡습 부재(15)를 소변 수집봉지(14) 내측면의 타단에 고정시킴으로써 고흡습성고분자를 안정적으로 소변 수집기(1, 2)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흡습 부재(15)에 있는 고흡습성고분자는 고체 가루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스펀지나 솜에 의해서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소변 수집봉지(14) 내벽에 붙거나 스펀지나 솜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습력이 매우 줄어들게 되므로, 스펀지나 솜에 고흡습성고분자를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흡습 부재(15)의 외관은 전분으로 코팅될 수 있다. 고흡습성고분자를 수용하고 있는 스펀지나 솜을 전분 용액에 침지시키고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외관에 전분 이 코팅된 흡습 부재(15)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전분을 흡습 부재(15)의 외관에 코팅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흡습 부재(15)의 외관이 전분으로 코팅되고 건조되면, 소변 유입 전에는 전분막이 고체상태로 존재해 고흡습성고분자가 흡습 부재(1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는다. 그러나 소변이 유입되면, 수분을 만난 전분막이 녹아서 내부의 흡습 부재(15)가 드러나게 되고, 이후 유입되는 소변이 고흡습성고분자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흡습 부재(15)의 고흡습성고분자를 고정시키기 위해 스펀지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뭉쳐진 솜 등의 흡습력이 좋은 다른 부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습 부재(15)를 접착제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소변 수집봉지(14) 내측면에 결합시킬 수 있으나, 얇은 종이나 전분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소변 수집봉지(14)의 일단과 스티커(11)의 일 영역이 결합된 영역은 일체로 구성된 것이 아닌 두 별물이 접합된 접합부(141)이다. 따라서 접합 상태에 따라 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틈으로 소변이 샐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상기 접합부(141)에도 상기 흡습 부재(15)에 사용된 고흡습성고분자를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소변이 역류하여 접합부(141)에 다다르더라도, 도포된 고흡습성고분자가 소변과 반응하여 겔이 되고 이내 단단하게 굳게 되므로, 외부로 소변이 새어 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1)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1)에 남성의 성기(P)를 삽입하기 전 상황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1)에 남성의 성기(P)를 삽입한 상황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1)는 남성의 성기(P)를 향해 스티커(11)의 관통공(16)이 향하고, 소변 수집봉지(14)는 남성의 성기(P)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형지(13)는 먼저 제거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성기가 남성용 소변 수집기(1)에 삽입된 이후에 이형지(13)가 제거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남성용 소변 수집기(1)의 관통공(16)을 통해 남성의 성기(P)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남성용 소변 수집기(1)에 남성의 성기(P)를 삽입할 때에는 스티커(11)가 성기 중간에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남성의 성기(P) 일단에 위치한 귀두가 흡습 부재(15)에 닿지 않고, 소변이 배출되는 요도의 단부가 남성용 소변 수집기(1) 외부에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 스티커(11)가 위치하면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1)를 남성의 성기(P)에 고정한 상황을 표현한 도면이다.
스티커 내측면(112)을 남성의 성기(P)의 외주면에 접착 부재를 통해 접착시킨다. 그러나 다양한 남성의 성기(P) 사이즈에 남성용 소변 수집기(1)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남성용 소변 수집기(1)는 일반적인 남성의 성기(P)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의 스티커(11) 및 소변 수집봉지(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남성의 성기(P)에 스티커(11)를 고정시켰다 하더라도, 관통공(16)에는 잉여 공간이 발생한다. 남성의 성기(P)가 남성용 소변 수집기(1)에 삽입된 후 스티커(11)의 관통공(16)을 폐쇄시켜야 소변이 배출되어도 소변이 관통공(16)을 통해 흘러나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남성의 성기(P)와 접착되지 않은 남은 스티커 내측면(112)은 접착부재를 통해 서로 접착되어 관통공(16)에 빈 공간이 없도록 하고, 관통된 공간의 직경을 남성의 성기(P)의 직경과 일치하도록 만들 수 있어 남성의 성기(P)에 본 발명의 남성용 소변 수집기(1)를 보다 잘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이형지(13)가 완전히 제거된 뒤 남성의 성기(P)를 삽입하여 고정시켰지만, 남성의 성기(P)가 소변 수집봉지(14)에 삽입된 뒤 일 이형지(13)를 제거하고, 상기 일 이형지(13)에 대응하는 접착부재의 영역이 남성의 성기(P)의 표피에 먼저 접착됨으로써 순서대로 남성용 소변 수집기(1)의 고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남성용 소변 수집기(1)가 남성의 성기(P)에 고정된 상태에서 소변이 남성의 성기(P)를 통해 배출되면, 소변 수집봉지(14)는 만약 수축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배출된 소변의 압력에 의해 소변 수집봉지(14)의 타단 방향을 향해 확장된다. 배출된 소변이 소변 수집봉지(14)의 내측면을 따라 흡습 부재(15)에 도달하게 되고, 흡습 부재(15)에 의해서 흡수된다. 흡습 부재(15)가 포함한 고흡습성고분자가 소변과 반응하여 겔 상태가 되므로, 쉽사리 소변 수집봉지(14)에서 소변이 새어나오지 않고, 남성의 성기(P)에도 묻지 않아 위생적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1)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1)의 소변 수집봉지(14) 내측면에는 복수의 흡습 라인(17)이 소변 수집봉지(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흡습 부재(15)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흡습 라인(17)은 섬유나 실로 구성되어, 습기를 빨아들여 흡습 라인(17)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남성용 소변 수집기(1)가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펴지지 않고 만곡되거나 절곡된 상황에서 흡습 부재(15)에 배출된 소변이 닿지 못한다 하더라도, 흡습 라인(17)에 배출된 소변이 묻어 흡습 라인(17)을 따라 흡습 부재(15)로 다다르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성용 소변 수집기(2)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2)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2)의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고정판(20)은 본 발명의 여성용 소변 수집기(2)의 구성요소 중 소변 수집봉지(24)를 피부 주변에 고정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구성요소이다.
고정판(20)은 판과 같이 넓은 면으로 형성된 제1 판체(21a) 및 제2 판체(21b)를 포함하며, 제1 판체(21a) 및 제2 판체(21b)는 별개의 분리된 판체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고정판(20) 내의 일부분 및 타부분을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판체(21a)의 일단부와 제2 판체(21b)의 일단부, 제1 판체(21a)의 타단부와 제2 판체(21b)의 타단부는 각각 접히도록 연결되고, 따라서 서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접힘부(27)를 형성한다. 따라서 만약 제1 판체(21a) 및 제2 판체(21b)가 별개의 분리된 판체가 아닌 하나의 고정판(20) 내의 일부분 및 타부분일 경우, 일체의 고정판(20)에 접힐 수 있는 접힘부(27)가 형성되고, 상기 접힘부(27)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을 제1 판체(21a), 타측을 제2 판체(21b)로 지칭하는 것이다.
고정판(20)을 구성하는 제1 판체(21a) 및 제2 판체(21b)는 접힐 수 있도록 일단과 타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각 판체의 양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각 판체가 테두리가 되는 고정판 관통공(26)을 중앙에 형성한다. 따라서 중심부의 고정판 관통공(26)을 고정판(20), 즉 제1 판체(21a) 및 제2 판체(21b)가 둘러 싸고 있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고정판(20)은 따라서 중앙부가 관통된 원판체, 타원판체, 다각형 판체, 하트형과 같은 폐곡선도형 판체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가 통할 수 있는 탄력, 비탄력성 재질의 부직포 또는 의료용 밀착포 또는 섬유질의 근육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나 고정판(20)의 재질과 고정판(20)이 형성하는 도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판(20)의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판 관통공(26)의 일면은 소변 수집봉지(24)와 스티커(29)를 향하고 있으며, 타면은 외부를 향하고 있다. 상기 타면은 본 발명의 여성용 소변 수집기(2)의 사용 과정에서는 여성의 성기(V)를 바라보게 된다.
고정판(20)은 여성의 성기(V) 주변의 피부에 직접 닿게 되는 부위가 되므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소재가 바람직하다. 피부와 유사한 실리콘을 고정판(20)의 재질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정판(20)에는 스티커(29)와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고정판(20) 통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여성용 소변 수집기(2)에서는 스티커(29)가 아닌 고정판(20)이 피부와 접착하는 부위가 되므로, 통기구도 고정판(20)에 형성된다.
고정판의 일면(201)은 스티커(29)와 결합된다. 스티커(29)와 고정판의 일면(201)이 결합됨으로써 소변 수집봉지(24), 스티커(29) 및 고정판(20)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판 관통공(26)과 스티커(29)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고정판 관통공(26)을 통해 소변이 인입되면 배출된 소변이 소변 수집봉지(24)에 수집될 수 있다.
여성용 소변 수집기(2)에서는 스티커(29) 없이 소변 수집봉지(24)가 직접 고정판(20)에 결합되어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구성할 수도 있다.
고정판 이형지(22)는 고정판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판(20) 위에 접착되어있는 구성요소로, 본 발명의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접착력을 가지는 고정판 접착부재에 대해 원치 않는 접착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판 접착부재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며 부착된다. 따라서 고정판 이형지(22)는 이형원지에 실리콘 수지를 코팅하여 고정판 접착부재와 접촉한 이면이 쉽게 박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판 접착부재의 접착면을 보호하고 쉽게 박리될 수 있다면 고정판 이형지(22)로 사용될 수 있다.
고정판 이형지(22)는 고정판(20)의 전면을 다 덮도록 구성된다. 다만 고정판 이형지(22)는 한 번에 전체를 제거할 필요 없이 단계별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개로 구성될 시 고정판(20)의 전면을 고정판 이형지(22)의 개수로 분할한 면적씩을 차지하도록 구성된다. 고정판 이형지(22)의 면적은 고정판(20) 면적을 등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서로 동일하지 않은 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고정판 이형지(22)가 고정판(20) 위에 총 4개 등분된 면적을 차지하며 부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나치게 많은 개수의 고정판 이형지(22)는 박리 및 고정판(20)의 피부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지나치게 적은 개수의 고정판 이형지(22)는 고정판 이형지(22) 박리 후 손으로 피부에 고정판(20)을 접착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개수의 고정판 이형지(22) 수를 선택할 수 있다.
고정판 접착부재는 고정판(20)을 고정판 이형지(22) 또는 여성의 성기(V) 주변의 피부에 접착시키기 위해 고정판(20)의 일측면에 형성된 구성요소로, 접착성을 가진 수단이 사용된다. 여성의 성기(V) 주변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므로 인체에 무해한 수단이 바람직하다. 고정판 접착부재로는 테이프 또는 실리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여성용 소변 수집기(2)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고정판 접착부재에는 고정판 이형지(22)가 덮혀 다른 원치 않는 곳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성용 소변 수집기(2)가 사용되어야 할 경우, 고정판 이형지(22)를 제거한 뒤 고정판 접착부재가 고정판(20)을 피부에 접착시킬 수 있다.
고정판 접착부재를 피부에 부착하지 않아도, 환자가 착용한 여성의 성기(V) 주위가 개방된 거들에 고정판 접착부재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20)의 각 판체는 양 단부의 너비와 중심부의 너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양 단부의 너비는 중심부의 너비에 비해서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고정판(20) 중 여성의 성기(V) 주변의 피부와 접착되어 본 발명의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지지하는 주된 부분이 양 판체의 중심부이기 때문이다.
양 판체가 만나서 연결되는 양 단부에는 접힘부(27)가 형성되고, 후술하겠지만 여성의 성기(V) 주변의 피부에 접착될 때에도 일정 각도를 유지하고 접착되기 때문에 접착 강도를 강하게 유지하기 힘들고,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 환자에게 이물감을 주게 된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양 판체의 중심부에 비해서 너비를 비교적 작게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고정판 관통공(26)은 상하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힘부(27)가 형성된 양 판체의 양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상하방향을 정의하기로 한다. 여성의 성기(V) 주변의 사타구니가 상하방향으로 틈이 형성된 것과 같은 골을 형성하므로, 여성의 성기(V)로부터 소변이 배출될 때 소변이 양 허벅지가 위치한 좌우 방향보다는 중력이 작용하는 아래 방향으로 향하여 배출될 가능성이 더 높다. 따라서 상하로 긴 타원형의 고정판 관통공(26)을 형성하도록 해서 배출되는 소변을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것이다.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구성하는 소변 수집봉지(24), 스티커(29) 및 흡습 부재(25)에 대한 설명은 남성용 소변 수집기(1)에서 사용된 동일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2)의 소변 수집봉지(14)가 축소된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소변 수집봉지(24)는 소변이 유입되기 전 수축되어 접혀있다. 따라서 소변 수집봉지(24)의 몸통 영역은 보관시 수축되어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판(20)은 접힐 수 있도록 제1 판체(21a)와 제2 판체(21b)의 양 단부가 접힘부(27)에서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접힘부(27)는 제1 판체(21a)와 제2 판체(21b)를 서로에 대해서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접힘부(27)를 통해서 제1 판체(21a)와 제2 판체(21b)의 후면이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고정판(20)을 접은 경우, 제1 판체(21a)와 제2 판체(21b)의 사이에는 소변 수집봉지(24)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소변 수집봉지(24)는 제1 판체(21a)와 제2 판체(21b)의 사이에서 압착되게 되며, 마치 제1 판체(21a)와 제2 판체(21b)의 사이에 소변 수집봉지(24)의 일부가 담겨 있는 것처럼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보다 작은 부피를 차지하도록 변형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장착하고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삽입하는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삽입하여 고정판 이형지(22)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삽입하여 고정판 이형지(22)를 제거해 제1 판체(21a)를 피부에 부착시킨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2)의 장착을 완료하고, 소변이 유입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2)는 접힌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가, 환자의 하반신(L)의 엉덩이 골(C) 상방에 위치한 사타구니로 삽입된다. 접힘부(27)를 통해 고정판(20)을 제1 판체(21a)와 제2 판체(21b)의 후면이 만나는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단순히 부피를 줄이기 위함이 아니라 본 발명의 여성용 소변 수집기(2)가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사타구니로 삽입되어 접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여성의 성기(V)는 허벅지의 사이인 사타구니에 위치하고, 본 발명의 여성용 소변 수집기(2)는 여성의 성기(V) 주변의 피부에 부착되어야 하므로, 환자가 일반적으로 취할 수 있는 자세 범위 안에서는 고정판(20)을 접어서 삽입해야 여성의 성기(V) 주변의 피부에 빈 틈이 없이 접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여성의 성기(V) 근처 사타구니에 위치시키고, 일부 고정판 이형지(22)를 일정 정도 떼어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여성의 성기(V) 주변의 피부에 접착하기 위하여, 모든 고정판 이형지(22)를 한번에 다 제거하고 접착시킬 수도 있을 것이나 그러한 경우 제1 판체(21a)를 접착하는 중에 제2 판체(21b)의 고정판 접착부재에 의해 원치 않는 피부 위치에 고정판(20)이 접착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원하는 접착 위치를 찾기가 어려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1 판체(21a) 또는 제2 판체(21b) 중 하나에 위치한 고정판 이형지(22)를 먼저 제거해서 원하는 위치에 상기 판체를 접착하고, 나머지 판체에 위치한 고정판 이형지(22)를 제거하여 원하는 피부 위치에 상기 나머지 판체를 접착하면 보다 손쉽게 원하는 위치에 본 발명의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접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체(21a)에 부착된 2개의 고정판 이형지(22)를 제1 판체(21a)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판 접착부재로부터 제거하고, 제1 판체(21a)의 전면을 여성의 성기(V) 주변 피부 중 원하는 위치에 먼저 접착시킨다.
도 16은 도 15의 상황과 같이 제1 판체(21a)의 2개의 고정판 이형지(22)를 박리하고 제1 판체(21a)의 전면에 도포된 고정판 접착부재를 이용해 제1 판체(21a)를 여성의 성기(V) 주변의 피부에 접착시킨 상황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고정판(20)은 접힘부(27)를 이용하여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접을 수 있으므로, 제1 판체(21a)를 여성의 성기(V) 주변 피부의 일측에 접착하여 고정시킨 후 제2 판체(21b)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켜 여성의 성기(V) 주변 피부의 타측에 접착시킬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제2 판체(21b)에 고정판 접착부재를 통해 부착되어있는 2개의 고정판 이형지(22)를 제거해서 제2 판체(21b)상에 형성된 고정판 접착부재를 외부로 노출시켜야 한다.
따라서 제2 판체(21b)에 부착된 고정판 이형지(22)들을 박리한 후, 제2 판체(21b)를 부착하기 원하는 여성의 성기(V) 주변 피부의 타측에 제2 판체(21b)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판 접착부재를 접근시켜 접착시킨다. 따라서 제2 판체(21b)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여성의 성기(V) 주변 피부에 접착되어 고정되고, 고정판(20) 전체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술한 과정과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설치하는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모든 고정판 이형지(22)를 박리하고, 제1 판체(21a) 및 제2 판체(21b)를 여성의 성기(V) 주위의 피부에 부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착용한 환자가 배변을 하면, 여성용 소변 수집기(2)의 소변 수집봉지(24)가 소변을 수집하게 되는 것이다.
여성용 소변 수집기(2)의 설치가 완료되고 여성의 성기(V)로부터 소변이 배출되는 경우, 여성의 성기(V)를 바라보고 있으며 고정판(20)의 중심에 형성되는 고정판 관통공(26)을 통해 소변이 소변 수집봉지(24)로 유입된다. 배출되는 소변의 압력에 의해 수축되어 있는 소변 수집봉지(24)가 소변의 배출 방향, 즉 고정판(20)의 후면인 고정판의 일면(201)이 바라보고 있는 방향으로 확장된다. 소변 수집봉지(14)의 최대 확장될 수 있는 부피, 즉 용량은 일반적인 성인의 평균적인 배변량을 초과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변 수집봉지(24)에 소변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과정에서 소변 수집봉지(24)가 여성의 성기(V)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배변활동이 완료된 후 소변 수집봉지(24) 내의 소변은 여성의 성기(V)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한 흡습 부재(25)에 저장되게 되고, 이에 따라 여성의 성기(V) 및 여성의 성기(V) 주변 피부에 소변이 묻거나 접촉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이나 불쾌감을 덜 수 있다.
소변을 저장하고 있는 본 발명의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제거하는 경우, 여성의 성기(V) 주변의 피부로부터 제1 판체(21a)와 제2 판체(21b)를 떼어낸 후 대칭되도록 형성된 양 판체의 전면이 서로 만나도록 접을 수 있다. 양 판체의 전면에는 고정판 접착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 판체의 전면이 만나면서 서로에 대해 접착되고 고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간단하게 밀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위생적으로 본 발명의 여성용 소변 수집기(2)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2)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2)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노즐(28)은 여성용 소변 수집기(2) 내부로 액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고정판(20)과 스티커(29)에 의해서 협지됨으로써 여성용 소변 수집기(2)와 결합된다. 노즐(28)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고정판(20)과 스티커(29) 사이에서 협지되고, 노즐(28)의 입구와 토출구는 각각 고정판(20)의 바깥방향와 안쪽을 향하여 개방된다.
노즐(28)은 유체의 흐름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바, 액체 주입기(미도시) 또는 고무 호스가 삽입됨으로써 유체가 유입될 노즐(28)의 입구는 일정 직경으로 개방되도록 하고, 액체가 분사될 토출구는 상기 입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노즐(28)의 입구로 액체 주입기 또는 고무 호스에서 액체가 토출됨에 따라 토출구가 개방되어 여성용 소변 수집기(2)의 안쪽으로 액체가 분사되게 된다.
노즐(28)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판(20)과 스티커(29)의 사이에 위치하여 협지되고, 고정판(20) 및 스티커(29)가 전혀 비틀림이나 변형 및 탄성이 없는 강체로 구성된 것이 아니므로, 외력을 가함에 따라 노즐(28)이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삽입된 액체 주입기 또는 고무 호스의 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노즐(28)도 방향이 변화하여 토출구가 여성의 성기(V)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액체를 분사해서 여성의 성기(V) 주변의 잔뇨를 제거 할 수 있다.
노즐(28)이 고정판(20)과 스티커(11) 사이에 협지됨에 따라 노즐(28), 고정판(20) 및 스티커(11) 사이의 영역에 간극이 생겨 여성용 소변 수집기(2)가 장착되었을 때 완전하게 밀봉되지 않을 수 있고, 간극으로 배설물이 새어나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막기 위해, 상기 사이 영역에 고흡습성고분자를 충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 영역으로 소변이 유입되더라도 고흡습성고분자가 단단하게 굳어 해당 영역을 막아줌으로써 소변이 새는 것을 막는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3)는 소변 깔때기(37)를 더 포함한다.
소변 깔때기(37)는 일단이 소변 수집봉지(34)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소변 수집봉지(34)의 외측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테이퍼(taper)지는 형상을 가진다. 소변 깔때기(37)의 타단은 개방된 통공(36)으로, 다른 실시예의 관통공과 같은 역할을 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 수집기(3)가 여성의 성기에 착용될 때, 소변 깔때기(37)는 여성의 성기 내로 삽입되어 통공(36)이 여성의 요도와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여성의 요도에서 소변이 배출될 때, 통공(36)으로 소변이 유입되기 쉽도록 하며, 여성의 성기에 여성용 소변 수집기(3)가 잘 고정되도록 한다.
소변 깔때기(37)는 고무와 같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소변이 배출된 후 여성용 소변 수집기(3)를 탈거해서 버릴 때 도 19에서 소변 깔때기(37)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로 소변 깔때기(37)를 밀어 넣어 쉽게 소변 수집봉지(34) 내부에 수용된 소변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4)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 수집기(4)의 소변 수집봉지(44)는 다른 실시예와 달리 항아리형으로 형성된다. 소변 수집봉지(44) 내에 수용 가능한 소변의 양을 충분하게 하기 위해 소변 수집봉지(44)의 크기를 증가시킨 것이다. 따라서 소변 수집봉지(44)는 스티커(41)와 연결되는 입구 부분에 비해 흡습 부재(45)가 수용되는 단부의 직경이 더 크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4 : 남성용 소변 수집기 2, 3 : 여성용 소변 수집기
11, 29, 41 : 스티커 12 : 통기구
13 : 이형지 14, 24, 34, 44 : 소변 수집봉지
15, 25, 45 : 흡습 부재 16 : 관통공
17 : 흡습 라인 20 : 고정판
21a : 제1 판체 21b : 제2 판체
22 : 고정판 이형지 26 : 고정판 관통공
27 : 접힘부 28 : 노즐
36 : 통공 37 : 소변 깔때기
100 : 기존의 대변 수집기 101 : 기존의 판체
102 : 기존의 고정판 103 : 기존의 접착수단
104 : 기존의 대변 수집봉지 111 : 스티커 외측면
112 : 스티커 내측면 141 : 접합부
201 : 고정판의 일면 C : 엉덩이 골
L : 하반신 P : 남성의 성기
V : 여성의 성기

Claims (15)

  1. 환형으로 형성되어 중심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스티커;
    상기 스티커의 내측면의 일 영역에 일단이 결합되고, 성기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에 의해 타단 방향을 향해 확장되어 상기 배출된 소변을 수용하는 소변 수집봉지;
    상기 스티커의 내측면의 타 영역에 형성되는 접착부재; 및
    상기 소변 수집 봉지의 타단에 수용되고, 상기 배출된 소변을 흡수하는 흡습 부재를 포함하는 소변 수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 부재는, 고흡습성고분자(Super Absorbent Polymer)를 포함하고, 상기 고흡습성고분자가 수용된 스펀지, 솜 및 폴리에스테르 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소변 수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가 상기 소변 수집봉지의 일단과 결합된 상기 일 영역에는, 고흡습성고분자가 도포된 소변 수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수집봉지의 내측면에, 상기 흡습 부재로부터 상기 소변 수집봉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흡습 라인이 형성되는 소변 수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실리콘 접착제인 인체용 대변 수집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기가 남성의 성기일 때,
    상기 성기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소변 수집봉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성기를 둘러싸며 상기 성기의 표피에 상기 스티커를 접착하는 소변 수집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를 포함하는 소변 수집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에 부착되는 복수의 이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형지 중 제거된 이형지와 대응되는 상기 접착부재의 영역이 상기 성기의 표피에 먼저 접착되는 소변 수집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수집 봉지는, 상기 스티커와 연결되는 일단의 직경보다 상기 흡습 부재가 수용되는 타단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소변 수집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 부재는, 외관이 전분으로 코팅된 소변 수집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기가 여성의 성기일 때,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 판체 및 제2 판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판체의 양 단부와 상기 제2 판체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관통공과 일치하는 고정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스티커에 일측면이 결합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성기 주변의 피부에 상기 고정판을 접착하는 고정판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변 수집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는 상기 스티커의 내측면 사이에서 협지되고, 액체 주입기가 삽입되어 상기 성기를 향해 액체를 분사 가능한 노즐을 포함하는 소변 수집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접착부재에 부착되는 복수의 고정판 이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판 이형지 중 제거된 고정판 이형지와 대응되는 상기 고정판 접착부재의 영역이 상기 성기 주변의 피부에 먼저 접착되는 소변 수집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판 통기구를 포함하는 소변 수집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수집봉지의 일단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소변 수집봉지의 외부로 테이퍼(taper)진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소변 수집봉지의 내부와 상기 소변 수집봉지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통공이 형성되는 소변 깔때기를 더 포함하는 소변 수집기.
KR1020170035339A 2017-03-21 2017-03-21 인체용 소변 수집기 KR101975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339A KR101975891B1 (ko) 2017-03-21 2017-03-21 인체용 소변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339A KR101975891B1 (ko) 2017-03-21 2017-03-21 인체용 소변 수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659A true KR20180106659A (ko) 2018-10-01
KR101975891B1 KR101975891B1 (ko) 2019-05-08

Family

ID=6387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339A KR101975891B1 (ko) 2017-03-21 2017-03-21 인체용 소변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89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813A (ko) * 2020-02-11 2021-08-19 염병수 노인 및 중증장애인의 소변을 편리하게 수거 가능하며 생체적합성과 친환경성이 확보된 소변 수거 장치
KR20210101805A (ko) * 2020-02-11 2021-08-19 염병수 노인 및 중증장애인의 소변을 편리하게 수거 가능하며 생체적합성과 친환경성이 확보된 소변 수거 장치
KR20220105511A (ko) * 2021-01-20 2022-07-27 방선화 와상 환자용 팬티
WO2022204000A1 (en) * 2021-03-24 2022-09-29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having a multi-part adhesive cov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1529252B2 (en) 2018-05-01 2022-12-20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garments
US11628086B2 (en) 2016-07-27 2023-04-18 Pure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eiving discharged urine
US11801186B2 (en) 2020-09-10 2023-10-31 Purewick Corporation Urine storage container handle and lid accessories
US11806266B2 (en) 2014-03-19 2023-11-07 Pure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eiving discharged urine
US11865030B2 (en) 2021-01-19 2024-01-09 Purewick Corporation Variable fit fluid coll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1925575B2 (en) 2021-02-26 2024-03-12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having a sump between a tube opening and a barri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1938053B2 (en) 2018-05-01 2024-03-26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1944740B2 (en) 2018-05-01 2024-04-02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relate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980B1 (ko) * 2022-08-02 2023-04-20 방선화 소변 보조 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9090A (ja) * 1994-02-02 1995-11-14 E R Squibb & Sons Inc 男性用の失禁症用装置
KR20010091188A (ko) * 2000-03-13 2001-10-23 이종만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JP3107689U (ja) * 2004-09-10 2005-02-03 久 池田 男性用尿取り具
KR20110018006A (ko) * 2009-08-17 2011-02-23 김진섭 인공항문용 장루백
KR20130003593U (ko) * 2011-12-08 2013-06-18 (주)팜테크엔지니어링 용변처리 및 항문세척용 비닐백
KR101445575B1 (ko) 2010-07-06 2014-10-01 김경훈 인체용 대변 수집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689B2 (ja) * 1993-09-21 2000-11-13 株式会社クボタ ポリエチレンスリーブ工法における被覆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9090A (ja) * 1994-02-02 1995-11-14 E R Squibb & Sons Inc 男性用の失禁症用装置
KR20010091188A (ko) * 2000-03-13 2001-10-23 이종만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JP3107689U (ja) * 2004-09-10 2005-02-03 久 池田 男性用尿取り具
KR20110018006A (ko) * 2009-08-17 2011-02-23 김진섭 인공항문용 장루백
KR101445575B1 (ko) 2010-07-06 2014-10-01 김경훈 인체용 대변 수집기
KR20130003593U (ko) * 2011-12-08 2013-06-18 (주)팜테크엔지니어링 용변처리 및 항문세척용 비닐백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6266B2 (en) 2014-03-19 2023-11-07 Pure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eiving discharged urine
US11628086B2 (en) 2016-07-27 2023-04-18 Pure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eiving discharged urine
US11529252B2 (en) 2018-05-01 2022-12-20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garments
US11938053B2 (en) 2018-05-01 2024-03-26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1944740B2 (en) 2018-05-01 2024-04-02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relate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20210101813A (ko) * 2020-02-11 2021-08-19 염병수 노인 및 중증장애인의 소변을 편리하게 수거 가능하며 생체적합성과 친환경성이 확보된 소변 수거 장치
KR20210101805A (ko) * 2020-02-11 2021-08-19 염병수 노인 및 중증장애인의 소변을 편리하게 수거 가능하며 생체적합성과 친환경성이 확보된 소변 수거 장치
US11801186B2 (en) 2020-09-10 2023-10-31 Purewick Corporation Urine storage container handle and lid accessories
US11865030B2 (en) 2021-01-19 2024-01-09 Purewick Corporation Variable fit fluid coll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220105511A (ko) * 2021-01-20 2022-07-27 방선화 와상 환자용 팬티
US11925575B2 (en) 2021-02-26 2024-03-12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having a sump between a tube opening and a barri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WO2022204000A1 (en) * 2021-03-24 2022-09-29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having a multi-part adhesive cov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891B1 (ko)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891B1 (ko) 인체용 소변 수집기
JP3137130B2 (ja) 女性用採尿器
US6508794B1 (en) Method for collecting and disposing of human waste
US8353884B2 (en) Anal patch
US6592560B2 (en) Urine retention and collection devices for incontinent women
US20080234642A1 (en) Male hygenic device
US6733482B1 (en) Faecal collector having breathable skin attachment means
EP1332739A1 (en) A method for collecting and disposing of human waste
KR20010014194A (ko) 대변 처리 디바이스
US6464674B1 (en) Adhesive urine collector with optimal aperture
US6398768B1 (en) Faecal collector with optimally shaped bag
KR101844957B1 (ko) 인체용 대변 수집기
US20030225387A1 (en) Absorbent ostomy pad system
EP1089688B1 (en) Applicator for a faecal collector
EP1018325A1 (en) Container for the collection of bodily waste with visual inspection means
TWM611070U (zh) 生理用之排泄物集袋結構
JP2002540893A (ja) 信頼性の高い快適なフランジを備えた便捕集器
CN219207542U (zh) 一种护理装置
CN219646070U (zh) 一种前开孔纸尿裤
JP3219462U (ja) 使捨て用おむつ
CN209734279U (zh) 一种袋体防渗漏结构
JP2004057387A (ja) 体液吸収性物品
JP2000157566A (ja) 成人用おむつ
EP1018326A1 (en) Container for the collection of bodily waste provided with an elastic flange insert
JP2004057386A (ja) 体液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