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980B1 - 소변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소변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980B1
KR102523980B1 KR1020220095955A KR20220095955A KR102523980B1 KR 102523980 B1 KR102523980 B1 KR 102523980B1 KR 1020220095955 A KR1020220095955 A KR 1020220095955A KR 20220095955 A KR20220095955 A KR 20220095955A KR 102523980 B1 KR102523980 B1 KR 102523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fabric
collection bag
backflow prevention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선화
김보라
남기현
Original Assignee
방선화
김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선화, 김보라 filed Critical 방선화
Priority to KR102022009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980B1/ko
Priority to PCT/KR2023/011190 priority patent/WO202402988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other discharge from mal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8Means for securing receptacles or bags to the body otherwise than by adhesives, e.g. belts, strap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는, 음경이 삽입되는 착용구 및 상기 착용구에 결합되어 소변을 수집하는 소변 수집 봉투를 포함하는 소변 보조 기구로서, 상기 착용구는, 음경이 삽입되며, 둘레를 따라 통기구가 마련되는 착용구 몸체; 상기 착용구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착용구 몸체와 음경간의 간격을 형성하는 간격 유지 부재 및 상기 착용구 몸체의 외주면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소변 수집 봉투가 끼워지는 소변 수집 봉투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소변 수집 봉투는, 상기 소변 수집 봉투 결합홈에 끼워지는 둘레의 표면에 마련되는 미세 통기구를 포함하여, 남성 환자의 음경에 삽입되어 소변을 수집하되, 요도관의 압착을 방지하고, 소변 배출로 인해 환자의 피부에서 발생되는 백화 현상 혹은 짓무름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변 보조 기구 {Urinal aid}
본 발명은 소변 보조 기구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남성 환자의 음경에 삽입되어 소변을 수집하되, 요도관의 압착을 방지하고, 소변 배출로 인해 환자의 피부에서 발생되는 백화 현상 혹은 짓무름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소변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소변 처리장치는, 일상의 대부분을 누워서 생활하는 와상 환자가 주로 착용하도록 설계된 제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소변 처리장치들은 착용자의 인체 생식기 영역에 부착되어, 소변을 포집하여 즉시 수용하게 된다.
그와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975891호 '인체용 소변 수집기' 및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7-0050958호 '성인용 소변수집기'와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소변 처리장치의 경우, 남성 환자 음경의 직경과 크기가 상이함에 따라, 같은 제품의 소변 처리장치를 사용하더라도, 경우에 따라 소변 처리장치가 남성 환자의 음경에서 빠져버리거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남성 환자의 음경에 강하게 조여지거나 밀착될 경우, 음경의 요도관이 압착됨으로 인해 소변이 배출되지 못하거나, 요도염 등의 질병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소변이 곧바로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구조는, 소변이 와상 환자의 피부로 역행해 돌아와 접촉하게 될 수 있어 환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피부 발진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이 간편하고 와상 환자와 간병인의 사용이 용이한 소변 보조 기구에 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남성 환자의 음경에 삽입되어 소변을 수집하되, 요도관의 압착을 방지하고, 소변 배출로 인해 환자의 피부에서 발생되는 백화 현상 혹은 짓무름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소변 보조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는, 음경이 삽입되는 착용구 및 상기 착용구에 결합되어 소변을 수집하는 소변 수집 봉투를 포함하는 소변 보조 기구로서, 상기 착용구는, 음경이 삽입되며, 둘레를 따라 통기구가 마련되는 착용구 몸체; 상기 착용구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착용구 몸체와 음경간의 간격을 형성하는 간격 유지 부재 및 상기 착용구 몸체의 외주면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소변 수집 봉투가 끼워지는 소변 수집 봉투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소변 수집 봉투는, 상기 소변 수집 봉투 결합홈에 끼워지는 둘레의 표면에 마련되는 미세 통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변 수집 봉투의 내부에는, 소변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변 수집 봉투의 내부에는, 소변에 의해 분해되는 수용성 필름에 포장되어, 액체 상태의 소변을 겔(Gel)화 시키는 수분 제거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착용구 몸체는, 반호의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의 일단과 타단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됨으로써, 착용구 몸체를 음경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착용구 몸체는, 플렉시블한 유연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착용구 몸체의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통기구에 맞물리도록 삽입·고정됨으로써, 착용구 몸체를 음경에 고정시키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구 몸체는, 플랙시블한 유연 소재로 형성되며, 공압 또는 유압이 유동하는 팽창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변 보조 기구는, 상기 팽창 라인으로 공압 또는 유압을 전달하여, 상기 간격 유지 부재를 팽창시킴으로써, 간격 유지 부재를 착용자의 음경에 밀착시키는 팽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는, 상기 착용구의 외곽 반경의 둘레에서 원형 띠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시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의 일면에는, 착용자의 피부와 밀착된 상태로 고정력을 형성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착용자의 배설시 소변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로 인해 시트부가 착용자의 피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 배출 홀 및 가스 배출 라인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는, 남성 환자의 음경에 삽입되어 소변을 수집하되, 요도관의 압착을 방지하고, 소변 배출로 인해 환자의 피부에서 발생되는 백화 현상 혹은 짓무름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구 몸체는, 환자의 음경에 손쉽게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성이 향상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수집 봉투의 내부에는, 소변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와, 소변을 겔(Gel)화시키는 수분 제거 부재를 통해 보다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는, 착용구의 부피를 팽창시킴으로써 환자의 음경에 밀착시킬 수 있는 팽창부를 이용해, 착용구가 환자의 음경에서 빠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는, 시트부를 더 포함하여, 소변 보조 기구가 신체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의 예시도이다.
도 2 의 (a) 내지 (c) 는 제 1 형태의 역류 방지부가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3 의 (a) 및 (b) 는 제 2 형태의 역류 방지부가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4 의 (a) 및 (b) 는 제 3 형태의 역류 방지부가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5 는 제 1 형태로 형성되는 착용구의 예시도이다.
도 6 의 (a) 및 (b) 는 제 2 형태로 형성되는 착용구의 예시도이다.
도 7 의 (a) 및 (b) 는 팽창 라인이 마련된 착용구와 팽창부의 예시도이다.
도 8 은 착용구에 시트부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 는 시트부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1)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9 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의 예시도이고, 도 2 의 (a) 내지 (c) 는 제 1 형태의 역류 방지부가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전개도이며, 도 3 의 (a) 및 (b) 는 제 2 형태의 역류 방지부가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전개도이고, 도 4 의 (a) 및 (b) 는 제 3 형태의 역류 방지부가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전개도이며, 도 5 는 제 1 형태로 형성되는 착용구의 예시도이고, 도 6 의 (a) 및 (b) 는 제 2 형태로 형성되는 착용구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1)는, 음경이 삽입되는 착용구(100) 및 상기 착용구(100)에 결합되어 소변을 수집하는 소변 수집 봉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착용구(100)는, 착용구 몸체(110), 간격 유지 부재(120) 및 소변 수집 봉투 결합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구 몸체(110)는, 음경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의 전체적인 형태가 음경의 형태와 상응하도록, 중공홀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구 몸체(110)는, 그의 소재가 플랙시블한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유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구 몸체(110)의 둘레에는, 환자의 피부가 짓무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통기구(11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통기구(111)는, 착용구 몸체(110)의 둘레,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유지 부재(120)는, 상기 착용구 몸체(11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의 방향, 즉, 음경의 방향으로 돌출되며, 소정의 마찰 계수를 가지는 소재로 마련되어, 상기 착용구 몸체(110)와 음경간의 적절한 간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음경의 요도관이 압착됨으로 인해 소변이 배출되지 못하거나, 요도염 등의 질병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변 수집 봉투 결합홈(130)은, 상기 착용구 몸체(110)의 외주면 둘레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후 구체적으로 서술될 소변 수집 봉투(200)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력과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변 수집 봉투(200)는, 소변을 저장하기 위하여 내부로 공간을 형성하되,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투명한 저장 비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간병인이 소변 수집 봉투(200)에 저장된 소변의 양을 육안으로 파악하여, 소변 수집 봉투(200)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소변 수집 봉투(200)는, 소변이 유출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이중으로 덧씌워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또한, 상기 소변 수집 봉투(200)는, 상기 소변 수집 봉투 결합홈(130)에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소변 수집 봉투 결합홈(130)에 끼워지는 둘레의 표면으로 미세 통기구(2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세 통기구(201)는, 앞서 상술된 통기구(111)에 비해 작은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통기구(111)로부터 소변이 유출될 경우에도, 소변 수집 봉투(200)의 외부로 소변이 누수되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환자의 피부가 짓무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소변 수집 봉투(200)의 둘레에는, 고정 밴드(20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변 수집 봉투 결합홈(130)에 끼워진 상태에서 착용구 몸체(110)에 밀착됨으로써, 착용구(100)와 소변 수집 봉투(200)간의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변 수집 봉투(200)의 내부에는, 소변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역류 방지부(210)는, 본 발명을 이용하는 제작자 혹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세가지의 실시 형태(210A, 210B, 210C)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역류 방지부(210A)의 구체적인 형성 방법과 형상에 대하여 도 2 를 자세히 살펴보며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역류 방지부(210A)는, 상기 소변 수집 봉투(200)의 결합부가 착용구(100)에 끼워지는 방향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남성 환자의 음경이 위치하는 높이, 즉, 소변 수집 봉투(20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역류 방지부(210A)가 형성된 소변 수집 봉투(200)를 제조하기 위한 소변 수집 봉투(200)의 원단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원단(211), 제 2 원단(212), 제 1 역류 방지 원단(213) 및 제 2 역류 방지 원단(2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원단(211)과 제 2 원단(212)은, 세로의 길이가 가로의 길이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역류 방지 원단(213)과 제 2 역류 방지 원단(214)은, 상술된 제 1, 제 2 원단(211, 212)과 동일한 가로의 길이를 갖되, 세로의 길이가 다소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의 (a) 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원단(211)과 제 1 역류 방지 원단(213) 및 제 2 원단(212)과 제 2 역류 방지 원단(214)간은, 역류 방지 원단(213, 214)의 상부 테두리가 원단(211, 212)에 접한 상태로 실링(S)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의 (b) 를 참조하면, 상부가 고정된 제 1 역류 방지 원단(213)과 제 2 역류 방지 원단(214)을 서로 맞닿도록 배치시킨 이후, 서로 마주보는 제 1 역류 방지 원단(213)과 제 2 역류 방지 원단(214)의 하부 중앙의 1포인트를 핫멜트(HM) 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2 의 (c) 를 참조하면, 제 1 원단(211)과 제 2 원단(212)의 상부 테두리를 제외한 양 측방과 하방의 테두리를 실링(S)시킴으로써, 일체형의 소변 수집 봉투(200)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역류 방지부(210B)의 구체적인 형성 방법과 형상에 대하여 도 3 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역류 방지부(210B)는, 상술된 바와 동일하게, 상기 소변 수집 봉투(200)의 결합부가 착용구(100)에 끼워지는 방향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3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 수집 봉투(20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역류 방지부(210B)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부(210)를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 1 원단(211)과, 이에 맞닿는 제 2 원단(212), 이들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역류 방지 원단(213) 및 제 2 역류 방지 원단(214)의 구성을 제 1 실시 예(210A)와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역류 방지 원단(213)과 제 2 역류 방지 원단(214)의 상부는 서로 실링(S) 혹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면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로 형성된 제 1 역류 방지 원단(213)과 제 2 역류 방지 원단(214)의 양단 각각을 제 1 원단(211)과 제 2 원단(212)의 사이에 접하도록 배치시킨 이후, 제 1 원단(211) 및 제 2 원단(212)의 표면에 1포인트 핫멜트(HM) 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3 의 (b) 와 같이, 제 1 원단(211)과 제 2 원단(212)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를 실링(S)시킴으로써, 일체형의 소변 수집 봉투(200)를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역류 방지부(210C)의 구체적인 형성 방법과 형상에 대하여 도 4 를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 3 실시 형태의 역류 방지부(210C)를 형성하기 위한 소변 수집 봉투(200)의 원단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부(210)를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 1 원단(211)과, 이에 맞닿는 제 2 원단(212) 및 이들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역류 방지 원단(213)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역류 방지 원단(213)의 상부 테두리는, 제 1 원단(211)에 실링(S)될 수 있으며, 하방은 제 1 원단(21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역류 방지 원단(213)이 제 1 원단(211)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 1 역류 방지 원단(213)의 하부를 제 2 원단(212)의 내면에 1포인트 핫멜트(HM) 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4 의 (b) 와 같이, 제 1 원단(211)과 제 2 원단(212)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를 실링(S)시킴으로써, 일체형의 소변 수집 봉투(2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수집 봉투(200)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구(100)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역류 방지부(210)를 통해 와상 환자가 소변을 배출시 발생되는 소변이, 역류 방지부(210)를 거쳐 소변 수집 봉투(200)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되지만, 반대로, 와상 환자의 소변 배설이 완료된 후에, 소변 수집 봉투(200)가 뒤집어지거나, 각도가 변경되었을 시에도, 소변 수집 봉투(200)의 내측에 형성된 역류 방지부(210)의 이중 구조를 이용하여,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상태, 즉, 개방된 원단간의 측방이 소변 수집 봉투(200)의 내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소변 수집 봉투(200)의 내측 벽을 이루는 공간으로 먼저 액체가 침투 및 도달하도록 하여, 역류 방지부(210)의 뚫려있는 부분을 사방에서 가압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소변이 착용구(100)의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수집 봉투(200)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역류 방지부(210)의 세가지의 실시 형태(200A, 200B, 200C)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역류 방지부(210)일 뿐, 소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의 구조를 가지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소변 수집 봉투(200)의 내부에는, 소변에 의해 분해되는 수용성 필름에 포장되어, 액체 상태의 소변을 겔(Gel)화 시키는 수분 제거 부재(22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분 제거 부재(220)는, 액체와 맞닿게 되면 액체를 젤 또는 고체로 바꾸는 화학 물질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분 제거 부재(220)는, 소변이 저장되는 소변 수집 봉투(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 제거 부재(220)는, 소변에서 발생되는 수분에 의해 분해되는 수용성 필름에 포장되어, 소변의 수분에 따라 분해되어 소변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 수집 봉투(200)의 내부에 티백 형태로 구비되는 수분 제거 부재(220)의 경우, 소변에 의해 수용성 필름이 녹게되어, 내부에 포장되어 있던 수분 제거 부재(220)가 소변 수집 봉투의 내부에서 소변과 함께 섞이게 되고, 소변을 겔(Gel)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수집 봉투(200)는, 소변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악취를 저감하고, 와상 환자와 간병인의 처리를 손쉽게 보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착용구 몸체(1100)는, 제 1 몸체(1110), 제 2 몸체(1120) 및 이들의 각각에 마련되는 고정 부재(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몸체(1110)는, 반호의 형태로 길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1120)는, 상기 제 1 몸체(1110)와 상응하는 형태, 즉, 반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1130)는, 상기 제 1 몸체(1110) 및 제 2 몸체(1120)의 일단과 타단에서,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됨으로써, 착용구 몸체(1100)를 음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착용구 몸체(1200)는, 플렉시블한 유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착용구 몸체(1200)의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통기구(111)에 맞물리도록 삽입·고정됨으로써, 착용구 몸체(1200)를 음경에 고정시키는 걸림 돌기(1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1)는, 남성 환자의 음경에 삽입되어 소변을 수집하되, 소변 배출로 인해 환자의 피부에서 발생되는 백화 현상 혹은 피부의 짓무름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환자의 음경에 손쉽게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성이 향상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7 의 (a) 및 (b) 는 팽창 라인이 마련된 착용구와 팽창부의 예시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구 몸체(110)는, 플랙시블한 유연 소재로 형성되며, 공압 또는 유압이 유동하는 팽창 라인(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팽창 라인(140)은, 단부로 팽창 라인(140)을 밀폐시키기 위한 마개(141)가 마련되는 제 1 팽창 라인(140a)과, 환자의 음경과 직접 맞닿도록 형성된 간격 유지 부재(120)의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제 2 팽창 라인(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팽창 라인(140b)은, 모든 간격 유지 부재(120)의 내부 각각에 마련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든 간격 유지 부재(120)가 아닌 일부의 간격 유지 부재(120)에만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1)는, 상기 착용구 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팽창 라인(140)으로 공압 또는 유압을 전달하여, 상기 간격 유지 부재(120)를 팽창시킴으로써, 간격 유지 부재(120)를 착용자의 음경에 밀착시키는 팽창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 에 도시된 팽창부(300)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아 조작하여 팽창 라인(140)으로 공압을 제공하는 공기 펌프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적인 형태로써, 공압 또는 유압을 팽창 라인(140)으로 공급할 수 있는 모든 조작·동력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1)는, 착용구(100),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음경과 직접 맞닿는 간격 유지 부재(120)의 부피를 팽창시킴으로써, 착용구(100)가 환자의 음경에서 빠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 8 은 착용구에 시트부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 는 시트부의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1)는, 상기 착용구(100)의 외곽 반경의 둘레에서 원형 띠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시트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부(400)는, 상기 착용구(100)에서 탈부착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부(400)는, 수분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는 재질의 부직포 혹은 천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목화 솜 혹은 닥나무 조성물로 제조된 천연 펄프 조성물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400)는, 접착부(410), 가스 배출 홀(420) 및 가스 배출 라인(4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접착부(410)는, 상기 시트부(4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피부와 밀착된 상태로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410)를 구성하기 위해 시트부(400)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와상 환자의 피부에 부담이 덜한 수용성의 의료용 접착제 혹은 천연 성분의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피부에 악영향을 미치는 공업용 접착제를 제외하고서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배출 홀(420) 및 가스 배출 라인(430)은, 착용자의 배설시 소변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로 인해 시트부(400)에 압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시트부(400)가 착용자의 피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가스 배출 홀(420)은, 시트부(400)의 외곽 둘레에서 시트부(400)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 배출 홀(420)은, 상기 시트부(400)의 내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관통되며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외곽에 구비되는 가스 배출 홀(420)의 내측으로도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각기 다른 배열을 가지는 가스 배출 홀(420)이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와상 환자가 소변을 배출시, 소변의 배설과 함께 발생되는 암모니아 가스로 인해 소변 수집 봉투(200)의 압력이 일시적으로 높아지게 되어, 와상 환자의 피부와 밀착되어 있던 시트부(400)의 방향으로 가스 압력이 가해져, 시트부(400)의 접착부(410)가 압력에 의해 와상 환자의 피부에서 탈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와상 환자의 소변에 의해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되어도, 시트부(400)의 둘레에 형성된 가스 배출 홀(420)로 하여금, 암모니아 가스가 시트부(400)와 피부 사이로 배출되는 것이 아닌, 시트부(400)의 표면에 형성된 가스 배출 홀(420)로 하여, 암모니아 가스가 시트부(400)와 피부 사이를 가로지르기 전, 시트부(400)의 중단에서 이를 배출토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가스 배출 홀(420)은, 원형의 중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 직선형의 절개부, 파형의 절개부 혹은 사각형,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배출 라인(430)은, 시트부(400)의 내주면 둘레로부터 외주면의 둘레의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1)는, 소변으로부터 발생되는 암모니아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시트부(400)를 더 포함하여, 소변 보조 기구(1)가 신체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변 수집 봉투(200)의 외부에는, 소변 수집 봉투(200)의 외부로 흘러나온 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누설 감지부 및 소변 수집 봉투(200)의 외부로 흘러나온 소변의 악취를 저감하는 악취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설 감지부는, 상기 소변 수집 봉투(20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도포되는 리트머스 분말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트머스 분말이란, 액체 혹은 염기성의 물체와 반응하여, 반응시 색상이 변하게 되는 물질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을 사용하는 환자 혹은 간병인이, 누설 감지부를 통해 소변 수집 봉투(200)에 발생된 결함에 의해 소변이 흘러 나왔음을 바로 파악할 수 있고, 후속 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악취 방지부는, 상기 누설 감지부의 일정 간격과 대응되는 위치의 소변 수집 봉투(200) 둘레에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악취 방지부에 도포되는 조성물은, 소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용이하게 저감할 수 있는 방취 조성물로써, 상기 방취 조성물을 이루는 조성물의 함량으로, 오레가노 오일, 정향, 민트 추출물 및 목초액 조성물의 혼합액이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악취 방지부에 이용되는 조성물은, 오레가노 오일 5~10 중량부, 정향 추출물 5~10 중량부 및 민트 추출물 5~10 중량부 및 목초액 1~3 중량부가 혼합되어 제조된 조성물일 수 있다.
먼저, 오레가노 오일은, 티몰(Thymol)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독 성분이 있는 자연 살진균제 면역체계를 강화하고 독소에 대한 방어막 작용을 하며, 피부 손상을 방지하고 치유를 도와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오레가노 오일에 함유된 테르펜(Terpenes) 성분은, 강력한 항균성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소변 수집 봉투(200)의 테두리에 도포될 경우, 악취를 저감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오레가노 오일이 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오레가노 오일의 유용 효과를 용이하게 도출해낼 수 없고, 오레가노 오일이 10 중량부를 초가하여 첨가될 경우, 지나친 테르펜 성분으로 하여, 조성물의 적절한 함량비가 깨지고, 지나치게 강한 향으로 인하여 와상 환자 혹은 간병인이 두통을 호소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정향은, 향신료의 일종으로서, 방향유 성분이 20%에 달할 정도로 방향제의 효과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향 추출물이 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정향 추출물의 향기를 용이하게 도출해낼 수 없고, 정향 추출물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정향 특유의 지나치게 강한 금속성의 냄새로, 와상 환자 혹은 간병인이 두통을 호소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민트에는 다량의 멘톨이 함유되어 있어 특유의 향을 낸다. 민트의 향은 차, 아이스크림, 과자, 껌, 치약, 담배 등에 이용된다.
또한, 민트에서 얻은 기름에는 멘톨과 멘틸 에스테르가 함유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여 샴푸와 비누 등에 사용할 정도로 상쾌한 향을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민트 추출물이 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착용자가 민트의 향을 느낄 수 없고, 이보다 강한 소변의 악취로 인하여 불쾌감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민트 추출물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도록 첨가되는 경우, 지나친 민트향으로 인하여 와상 환자 혹은 간병인이 두통을 호소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초액은, 최근 목초액의 악취 제거 효과를 이용하여 농업 분야나 축산업 분야에서 활용이 늘고 있다.
이러한 목초액은 나무를 숯으로 만들 때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 공기와 접촉하면서 액화되어 떨어지는 것을 채취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초액이 악취 제거를 위한 목적으로 앞서 서술된 오레가노 오일, 정향, 민트 추출물과 함께 혼합되어 이용될 경우, 악취를 보다 강하게 막아줄 수 있어 소량이 첨가되어도 빼어난 효과를 도출해 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수집 봉투(200)는, 가스 배출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 배출 호스는, 상기 소변 수집 봉투(200)의 둘레 일측으로부터 소변 수집 봉투(200)의 외곽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배출 호스의 단부에는, 개폐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수단은, 캡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와상 환자 혹은 간병인이 임의로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스 배출 호스가 구비된 소변 수집 봉투(200)는, 와상 환자 혹은 간병인이 소변 수집 봉투(200)가 가스로 인해, 부풀게 되었음으로 육안으로 확인하고, 상기 가스를 개폐 수단으로 하여금 소변 수집 봉투(2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소변 수집 봉투 내부(200)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서, 소변 수집 봉투(200)에 압력을 저감할 수 있어, 소변 수집 봉투(200)가 가스 압력으로 의해 팽창하여 터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 1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보조 기구(1)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소변 보조 기구
100 : 착용구 110 : 착용구 몸체
111 : 통기구 1100 :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착용구 몸체
1110 : 제 1 몸체 1120 : 제 2 몸체
1130 : 고정 부재 1200 :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착용구 몸체
1210 : 걸림 돌기 120 : 간격 유지 부재
130 : 소변 수집 봉투 결합홈 140 : 팽창 라인
141 : 마개 200 : 소변 수집 봉투
201 : 미세 통기구 202 : 고정 밴드
210 : 역류 방지부 220 : 수분 제거 부재
300 : 팽창부 400 : 시트부
410 : 접착부 420 : 가스 배출 홀
430 : 가스 배출 라인

Claims (7)

  1. 음경이 삽입되는 착용구 및 상기 착용구에 결합되어 소변을 수집하는 소변 수집 봉투를 포함하는 소변 보조 기구로서,
    상기 착용구는,
    음경이 삽입되며, 둘레를 따라 통기구가 마련되는 착용구 몸체;
    상기 착용구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착용구 몸체와 음경간의 간격을 형성하는 간격 유지 부재 및
    상기 착용구 몸체의 외주면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소변 수집 봉투가 끼워지는 소변 수집 봉투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소변 수집 봉투는,
    상기 소변 수집 봉투 결합홈에 끼워지는 둘레의 표면에 마련되는 미세 통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 수집 봉투의 내부에는,
    소변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소변 수집 봉투의 내부에는,
    소변에 의해 분해되는 수용성 필름에 포장되어, 액체 상태의 소변을 겔(Gel)화 시키는 수분 제거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소변 보조 기구는,
    상기 착용구의 외곽 반경의 둘레에서 원형 띠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시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의 일면에는,
    착용자의 피부와 밀착된 상태로 고정력을 형성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착용자의 배설시 소변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로 인해 시트부가 착용자의 피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 배출 홀 및 가스 배출 라인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보조 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부가 형성된 소변 수집 봉투를 제조하기 위한 소변 수집 봉투의 원단은 제 1 원단, 제 2 원단, 제 1 역류 방지 원단 및 제 2 역류 방지 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원단과 제 2 원단은, 세로의 길이가 가로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역류 방지 원단과 제 2 역류 방지 원단은, 상기 제 1, 제 2 원단과 동일한 가로의 길이를 갖되, 세로의 길이가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보조 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부는,
    상기 역류 방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 1 원단과, 이에 맞닿는 제 2 원단, 이들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역류 방지 원단 및 제 2 역류 방지 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역류 방지 원단과 제 2 역류 방지 원단의 상부는 서로 실링(S)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면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역류 방지 원단과 제 2 역류 방지 원단의 양단 각각을 제 1 원단과 제 2 원단의 사이에 접하도록 배치하여, 제 1 원단 및 제 2 원단의 표면에 1포인트 핫멜트(HM) 시키고, 제 1 원단과 제 2 원단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를 실링(S)시킴으로써, 일체형의 소변 수집 봉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보조 기구
  6. 삭제
  7. 삭제
KR1020220095955A 2022-08-02 2022-08-02 소변 보조 기구 KR102523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955A KR102523980B1 (ko) 2022-08-02 2022-08-02 소변 보조 기구
PCT/KR2023/011190 WO2024029883A1 (ko) 2022-08-02 2023-08-01 소변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955A KR102523980B1 (ko) 2022-08-02 2022-08-02 소변 보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980B1 true KR102523980B1 (ko) 2023-04-20

Family

ID=8614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955A KR102523980B1 (ko) 2022-08-02 2022-08-02 소변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3980B1 (ko)
WO (1) WO20240298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9883A1 (ko) * 2022-08-02 2024-02-08 방선화 소변 보조 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832U (ko) * 2010-02-01 2011-08-09 최순선 소변봉투
KR101975891B1 (ko) * 2017-03-21 2019-05-08 류용승 인체용 소변 수집기
JP2019080617A (ja) * 2017-10-27 2019-05-30 株式会社らいふ 介護用陰茎固定具
KR102234200B1 (ko) * 2019-09-27 2021-03-31 대한민국 에어셀을 이용한 인체 지지 장치 및 이의 에어 조절 방법
KR20220105511A (ko) * 2021-01-20 2022-07-27 방선화 와상 환자용 팬티
JP2022159357A (ja) * 2018-01-18 2022-10-17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980B1 (ko) * 2022-08-02 2023-04-20 방선화 소변 보조 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832U (ko) * 2010-02-01 2011-08-09 최순선 소변봉투
KR101975891B1 (ko) * 2017-03-21 2019-05-08 류용승 인체용 소변 수집기
JP2019080617A (ja) * 2017-10-27 2019-05-30 株式会社らいふ 介護用陰茎固定具
JP2022159357A (ja) * 2018-01-18 2022-10-17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R102234200B1 (ko) * 2019-09-27 2021-03-31 대한민국 에어셀을 이용한 인체 지지 장치 및 이의 에어 조절 방법
KR20220105511A (ko) * 2021-01-20 2022-07-27 방선화 와상 환자용 팬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9883A1 (ko) * 2022-08-02 2024-02-08 방선화 소변 보조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9883A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6829B2 (en) Hydro-block air vent combination catheter system and method of use
US9788992B2 (en) Hydro-block air vent condom catheter and method of use
US8394074B2 (en) Undergarment for incontinent person and treatment device connected to an undergarment
US3690320A (en) Ostomy bag and deodorizing packet therefor
US4981465A (en) Disposable closure means for an artificial ostomy opening or an incontinent natural anus
AU752540B2 (en) Continent ostomy port
US6634498B2 (en) Ready-to-use urinary catheter assembly
US6350255B1 (en) Pad for use with a continent ostomy port
US7090664B2 (en) Ostomy tools, and systems and processes for their use
US20020077611A1 (en) Pad for use with continent ostomy port
KR102523980B1 (ko) 소변 보조 기구
US8348873B2 (en) Device for protecting wounds on limbs
BRPI0711761A2 (pt) tampão anal
MX2007000306A (es) Contenedor para recolectar excreciones, drenar recolecciones, purgar ostomias o similares.
US20180333289A1 (en) Fecal matter containment device
US104708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ploying a surgical preparation
US5411496A (en) Ostomy pouch containing breakable bubbles containing a deodorizer
AU2003235293A1 (en) Remains fluid leakage prevention device
US2845071A (en) Vaginal tampon
CN204428246U (zh) 新型男用接尿器
CN104095698A (zh) 隐形轻便型接尿器
KR20010053287A (ko) 휘발성 물질을 흡입유로로 투여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1142928A1 (en) Indwelling fecal drainage catheter and fecal collection or ostomy pouch
JP3064506U (ja) 体液漏出防止器
EP1101462A1 (en) Ostomy pou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