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471A -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471A
KR20180106471A KR1020170034833A KR20170034833A KR20180106471A KR 20180106471 A KR20180106471 A KR 20180106471A KR 1020170034833 A KR1020170034833 A KR 1020170034833A KR 20170034833 A KR20170034833 A KR 20170034833A KR 20180106471 A KR20180106471 A KR 20180106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annequin
customer
inflection point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256B1 (ko
Inventor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진 filed Critical 최영진
Priority to KR1020170034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256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56Particle system, point based geometry or ren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시스템 및 이미지 합성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이미지 합성시스템은 고객을 촬영하여 3D 신체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검출하고, 상기 3D 신체이미지에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합성하고,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신체이미지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는 고객 단말; 마네킹을 촬영하여 3D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고, 의류를 촬영하여 3D 의류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검출하고, 상기 3D 마네킹이미지에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합성하고,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검출하고, 상기 3D 의류이미지에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합성하고, 상기 의류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의류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의류이미지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는 의류업체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신체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의류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의류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의류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와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를 매칭시키고 상기 3D 신체이미지와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의 좌표값이 상기 고객신체 변곡점의 좌표값에 일치되도록 치수조정하여 치수조정된 마네킹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의 식별부호와 상기 3D 의류이미지의 식별부호를 매칭시켜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3D 의류이미지를 합성시키는 의류업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합성방법{IMAGE SYNTHESIS SYSTEM FOR SYNTHESIZING GARMENT IMAGE WITH MANNEQUIN IMAGE CORRESPONDING TO CUSTOMER'S BODY IMAGE AND IMAGE SYNTHESIS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합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신체 이미지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고, 마네킹 이미지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여, 고객신체 이미지와 마네킹 이미지를 식별부호별로 매칭시키고, 고객신체 이미지의 변곡점 좌표값에 따라 상기 마네킹 이미지의 변곡점 좌표값을 조정하여 상기 마네킹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와 일치하도록 치수조정하며, 상기 의류이미지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고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와 의류이미지를 식별부호별로 매칭시켜 상기 마네킹이미지와 의류이미지를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시스템 및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의류는 소비자가 직접 입어봐야 사이즈가 맞는지 알 수 있지만,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자신의 신체 사이즈를 입력하여 자신에게 맞는 옷을 구매할 수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고객은 자신의 신체 사이즈를 정확히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 스몰(small), 라아지(Large), 엑스라아지(XLarge)와 같은 대략적인 옷의 크기는 알고 있어도, 허리 둘레, 가슴 둘레, 다리 길이, 팔 길이, 목 둘레와 같은 신체 각 부위의 사이즈는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다.
여성 의류의 경우에는 허리 둘레, 가슴 둘레 등을 정확하게 알아야 자신에게 핏(fit)이 제대로 맞는 옷을 구매할 수 있으며, 남성의 경우에도 와이셔츠를 구매하는 경우 팔 길이, 목 둘레, 허리 둘레를 알아야 자신에게 맞는 옷을 구매할 수 있다.
더군다나 해외 의류 판매 사이트의 경우에는 사이즈의 단위나 사이즈 표기 방법이 제각각 다르기 때문에 사이즈를 알더라도 사이즈 조견표를 확인해야 사이즈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매우 불편하다.
공개특허공보 10-2013-0081037은 온라인상에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직접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3-0081037은 신체의 둘레도 측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공개특허공보 10-2013-0081037은 적어도 두 대 이상의 카메라를 서로 다른 각도에 배치하여 사용자를 촬영하고 이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입체 이미지를 분석하여 둘레 사이즈를 측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카메라가 적어도 두 대 이상 배치되어야 하므로, 일반 가정에서 의류를 구매하는 고객이 사이즈를 측정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류 구매시 바로 필요한 신체 부위의 사이즈를 측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측정 방식은 매우 복잡하고 시스템 구현도 어렵다.
이에 본 출원인은 신체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서 등록특허 10-1580506호 및 등록특허 10-1689476호를 제시하였다.
다만,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등록특허 10-1580506호 및 등록특허 10-1689476호는 신체사이즈 측정을 위한 구성에 대해서만 제시되어 있고, 의류판매를 위한 활용정보로 사용하도록 신체이미지와 의류이미지를 합성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
한편, 기존의 3D 이미지합성 방법은 작업자의 수동적인 컴퓨터 조작을 많이 필요했고 통상적인 홈쇼핑은 회원을 수만 수십만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량이 많이 기존의 방법으로는 서비스가 불가능하다
이에, 고객 신체이미지와 의류이미지를 합성하기 위한 이미지 합성시스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 10-1580506호 등록특허 10-1689476호
본 발명은 목적은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시스템은 고객을 촬영하여 3D 신체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검출하고, 상기 3D 신체이미지에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합성하고,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신체이미지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는 고객 단말; 마네킹을 촬영하여 3D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고, 의류를 촬영하여 3D 의류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검출하고, 상기 3D 마네킹이미지에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합성하고,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검출하고, 상기 3D 의류이미지에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합성하고, 상기 의류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의류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의류이미지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는 의류업체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신체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의류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의류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의류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와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를 매칭시키고 상기 3D 신체이미지와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의 좌표값이 상기 고객신체 변곡점의 좌표값에 일치되도록 치수조정하여 치수조정된 마네킹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의 식별부호와 상기 3D 의류이미지의 식별부호를 매칭시켜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3D 의류이미지를 합성시키는 의류업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단말은, 고객 스마트폰에 구비되며, 고객이 360도 회전하는 동안 소정 위치에서 고객신체를 촬영하여 다수의 신체이미지를 획득하는 고객 카메라센서; 상기 고객 스마트폰에 결합되며, 고객신체로 초음파를 송신하여 상기 고객신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고객 초음파센서; 상기 고객 카메라센서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신체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신체이미지를 생성하는 신체이미지 생성모듈; 상기 고객 초음파센서에 의해 수신되는 초음파의 반사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들을 검출하는 신체변곡점 검출모듈; 상기 3D 신체이미지에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들을 합성시키고,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기 3D 신체이미지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는 고객신체 식별부호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의류업체 단말은, 업체 스마트폰에 구비되며, 마네킹을 360도 회전시키는 동안 소정 위치에서 상기 마네킹을 촬영하여 다수의 마네킹이미지를 획득하며, 마네킹에 의류를 착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마네킹을 360도 회전시키는 동안, 소정 위치에서 상기 의류를 촬영하여 다수의 의류이미지를 획득하는 업체 카메라센서; 상기 업체 스마트폰에 결합되며, 상기 마네킹에 초음파를 송신하여 상기 마네킹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증폭하며, 상기 마네킹에 착용된 의류로 초음파를 송신하여 상기 의류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업체 초음파센서; 상기 업체 카메라센서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마네킹이미지를 이용하여 3D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는 마네킹이미지 생성모듈; 상기 업체 초음파센서에 의해 수신된 초음파의 반사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마네킹변곡점 검출모듈; 상기 업체 카메라센서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의류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의류이미지를 생성하는 의류이미지 생성모듈; 상기 업체 초음파센서에 의해 수신되는 초음파의 반사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의류변곡점 검출모듈; 상기 3D 마네킹이미지에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합성시키고,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기 3D 마네킹이미지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는 마네킹 식별부호 생성모듈; 상기 3D 의류이미지에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합성시키고,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기 3D 의류이미지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는 의류 식별부호 생성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의류업체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3D 신체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의류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3D 마네킹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3D 신체이미지의 상기 고객신체변곡점의 식별부호와 상기 마네킹이미지의 마네킹변곡점의 식별부호를 서로 매칭시키고, 상기 마네킹변곡점의 좌표값이 상기 신체변곡점의 좌표값에 일치되도록 치수조정하여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는 마네킹이미지 치수변환모듈; 및, 상기 의류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3D 의류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의 식별부호와 상기 3D 의류이미지의 식별부호를 매칭시켜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3D 의류이미지를 합성시켜 3D 합성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합성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방법은 고객단말이 고객을 촬영하여 3D 신체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검출하고, 상기 3D 신체이미지에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합성하고,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신체이미지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의류업체 단말이 마네킹을 촬영하여 3D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고, 의류를 촬영하여 3D 의류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검출하고, 상기 3D 마네킹이미지에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합성하고,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검출하고, 상기 3D 의류이미지에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합성하고, 상기 의류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의류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의류이미지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의류업체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신체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의류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의류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의류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와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를 매칭시키고 상기 3D 신체이미지와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의 좌표값이 상기 고객신체 변곡점의 좌표값에 일치되도록 치수조정하여 치수조정된 마네킹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의 식별부호와 상기 3D 의류이미지의 식별부호를 매칭시켜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3D 의류이미지를 합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D 신체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단말의 카메라센서가 고객이 360도 회전하는 동안 고객신체를 촬영하여 다수의 신체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고객단말의 신체이미지 생성모듈이 상기 다수의 신체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3D 신체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단말의 초음파센서가 상기 고객신체로 초음파를 송신하고 상기 고객신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증폭하며, 상기 고객단말의 신체변곡점 검출모듈이 상기 고객신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의 반사시간을 통해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3D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카메라센서가 마네킹이 360도 회전되는 동안 마네킹을 촬영하여 다수의 마네킹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마네킹이미지 생성모듈이 상기 다수의 마네킹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3D 마네킹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초음파센서가 상기 마네킹으로 초음파를 송신하고 상기 마네킹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증폭하며,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마네킹변곡점 검출모듈이 상기 마네킹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의 반사시간을 통해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3D 의류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카메라센서가 의류를 마네킹에 착용시킨 상태에서 마네킹이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하는 동안 의류를 촬영하여 다수의 의류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의류이미지 생성모듈이 상기 다수의 의류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3D 의류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초음파센서가 상기 의류로 초음파를 송신하고 상기 의류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증폭하며,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의류변곡점 검출모듈이 상기 의류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의 반사시간을 통해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객의 3D 신체이미지의 변곡점 좌표값에 대응되도록 3D 마네킹이미지의 변곡점 좌표값을 조정하여, 3D 마네킹이미지의 치수조절하고, 치수조절된 3D 마네킹이미지와 3D 의류이미지를 합성하되, 3D 마네킹이미지의 변곡점에 부여된 식별부호와 3D 의류이미지의 변곡점에 부여된 식별부호를 매칭하여 합성시키는 형태로서, 3D 마네킹이미지의 변곡점에 부여된 식별부호와 3D 의류이미지의 변곡점에 부여된 식별번호를 이미지 합성의 기준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효율적인 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대의 카메라나 3D 스캐너 등의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고객이 소유한 스마트폰 등의 고객단말, 의류업체 직원이 소유한 스마트폰 등의 의류업체 단말을 이용하여 3D 신체이미지, 3D 마네킹이미지, 3D 의류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어, 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쉽고 구축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합성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객 단말의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의류업체 단말의 구체적인 블록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의류업체 서버의 구체적인 블록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합성시스템을 이용한 이미지 합성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시스템(이하, '이미지 합성시스템'이라 함)(1)는 고객단말(10), 의류업체 단말(30), 의류업체서버(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객 단말(10), 의류업체 단말(30) 및 의류업체 서버(50)는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고객단말(10)은 카메라센서(12), 초음파센서(13), 신체이미지 생성모듈(14), 신체변곡점 검출모듈(15), 식별부호 생성모듈(16), DB모듈(1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객단말(10)은 고객의 스마트폰(11)에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센서(12)는 스마트폰(11)에 구비된 하드웨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초음파센서(13)는 스마트폰(11)에 구비된 단자를 통해 결합하여 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신체이미지 생성모듈(14), 신체변곡점 검출모듈(15), 식별부호 생성모듈(16), DB모듈(17, 데이터베이스모듈)은 스마트폰(11) 상에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프로그램 형태로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카메라센서(12)는 1초에 3컷(cut)과 같이 연속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고객이 360도 회전하는 동안 소정위치에서 연속촬영하여 다수의 신체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다수의 신체이미지를 이용해 신체이미지 생성모듈(14)이 3D 신체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고객의 스마트폰(11)에 구비된 카메라센서(12)를 통해 고객이 직접 360도 회전하는 동안 연속촬영을 하여 다수의 고객 신체이미지를 획득하여, 이 다수의 고객 신체이미지를 이용해 입체적인 3D 신체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러 대의 카메라나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3D 파일을 생성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3D 신체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용이하다.
초음파센서(13)는 스마트폰(11)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스마트폰(11)에 구비된 단자를 통해 연결 및 결합되어 스마트폰(11)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초음파센서(13)는 고객이 직접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하는 동안 소정위치에서 고객신체로 초음파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초음파센서(13)는 고객신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초음파센서(13)는 고객이 회전하는 동안 고객신체의 전체영역에 초음파를 송신하고, 고객신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증폭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신체이미지 생성모듈(14)은 고객의 스마트폰(11)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신체이미지 생성모듈(14)은 카메라센서(12)에서 획득된 다수의 신체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3D 신체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센서(12)에서 획득된 다수의 신체이미지는 고객이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하는 동안 연속촬영을 통해 획득된 것으로서, 신체이미지 생성모듈(14)은 이러한 다수의 신체이미지를 조합하여 고객에 대한 3D 신체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체변곡점 검출모듈(15)은 초음파가 고객신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차를 분석하여 고객신체의 윤곽패턴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객신체의 얼굴, 몸통, 팔, 다리 등을 구별할 수 있으며, 이 고객신체의 윤곽패턴데이터를 통해 고객신체의 어깨 지점, 겨드랑이 지점, 사타구니 지점, 손 지점, 발 지점, 이 어깨, 겨드랑이, 사타구니, 손, 발 등의 지점을 연결하는 고객신체라인 상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지점의 변곡점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신체 식별부호 생성모듈(16)은 신체이미지 생성모듈(14)에서 생성된 고객의 3D신체이미지에 신체변곡점 검출모듈(15)에서 검출된 고객신체의 어깨, 겨드랑이, 사타구니, 손, 발,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고객신체라인상의 특정지점의 변곡점들을 합성시키고, 이 고객신체의 변곡점들에 신체각부위별로 각기 다른 식별부호를 부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이미지에 합성된 변곡점들에 부여되는 식별부호는 어깨부터 허리까지의 변곡점들에 대해서는 101,102,103...등과 같이 100번대의 식별부호가 부여되고, 허리부터 발끝까지의 변곡점들에 대해서는 201,202,203...등과 같이 200번대의 식별부호가 부여되고, 상체 측면 방향의 변곡점들에는 301,302,303...등과 같이 300번대의 식별부호가 부여되고, 하체 측면 방향의 변곡점들에는 401,402,403...등과 같이 400번대의 식별부호가 부여되며, 이러한 각각의 식별부호는 변곡점들의 x,y,z 좌표값 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DB모듈(17)은 카메라센서(12)에서 획득된 신체이미지가 저장되고 관리되며, 신체이미지 생성모듈(14)에서 생성된 3D 신체이미지가 저장되고 관리되며, 신체변곡점 검출모듈(15)에서 검출된 신체변곡점들이 저장되고 관리되며, 식별부호 생성모듈(16)에서 고객신체의 변곡점들에 부여된 식별부호가 저장되고 관리되도록 구성된다. 이 3D 신체이미지의 변곡점들에 부여된 식별부호는 마네킹이미지의 변곡점에 부여된 식별번호와 매칭되어, 3D 신체이미지와 마네킹이미지의 이미지합성을 위한 기준점으로 이용된다.
고객단말(10)은 고객신체의 변곡점이 합성된 3D신체이미지와, 이 고객신체의 변곡점들에 부여된 식별부호를 포함하는 신체 이미지데이터를 의류업체 서버(50)에 인터넷망을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류업체 단말(30)은 카메라센서(32), 초음파센서(33), 마네킹이미지 생성모듈(34), 마네킹변곡점 검출모듈(35), 마네킹식별부호 생성모듈(36), 의류이미지 생성모듈(37), 의류변곡점 검출모듈(38), 의류식별부호 생성모듈(39), DB모듈(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류업체 단말(10)은 홈쇼핑과 같은 의류판매업체 직원의 스마트폰(31)에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센서(32)는 스마트폰(31)에 구비된 하드웨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초음파센서(33)는 스마트폰(31)에 구비된 단자를 통해 결합하여 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네킹이미지 생성모듈(34), 마네킹변곡점 검출모듈(35), 마네킹 식별부호 생성모듈(36), 의류이미지 생성모듈(37), 의류변곡점 검출모듈(38), 의류 식별부호 생성모듈(39), DB모듈(40)은 스마트폰(31) 상에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프로그램 형태로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카메라센서(32)는 1초에 3컷(cut)과 같이 연속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업체직원이 마네킹을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시키는 동안 마네킹 정면의 소정위치에서 연속촬영하여 다수의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다수의 마네킹이미지를 이용해 마네킹이미지 생성모듈(34)이 3D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카메라센서(32)는 실제 마네킹에 의류제품을 착용시킨 상태에서, 마네킹을 360도 회전시키는 동안 의류 정면의 소정위치에서 연속촬영하여 다수의 의류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다수의 의류이미지를 이용해 의류이미지 생성모듈(37)이 3D 의류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초음파센서(33)는 스마트폰(31)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스마트폰(31)에 구비된 단자를 통해 연결 및 결합되어 스마트폰(31)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초음파센서(33)는 의류업체 직원이 마네킹을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시키는 동안 소정위치에서 마네킹으로 초음파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초음파센서(33)는 마네킹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초음파센서(33)는 의류업체 직원이 마네킹에 옷을 입힌 상태에서 마네킹을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시키는 동안, 소정위치에서 의류로 초음파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의류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네킹이미지 생성모듈(34)은 의류판매업체 직원의 스마트폰(31)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마네킹이미지 생성모듈(34)은 카메라센서(12)에서 획득된 다수의 마네킹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3D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센서(32)에서 획득된 다수의 마네킹이미지는 마네킹을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시키는 동안 연속촬영을 통해 획득된 것으로서, 마네킹이미지 생성모듈(14)은 이러한 다수의 마네킹이미지를 조합하여 마네킹에 대한 3D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네킹변곡점 검출모듈(35)은 초음파가 마네킹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차를 분석하여 마네킹의 윤곽패턴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마네킹의 얼굴, 몸통, 팔, 다리 등을 구별할 수 있으며, 이 마네킹의 윤곽패턴데이터를 통해 마네킹의 어깨 지점, 겨드랑이 지점, 사타구니 지점, 손 지점, 발 지점, 이 어깨, 겨드랑이, 사타구니, 손, 발 등의 지점을 연결하는 고객신체라인 상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지점의 변곡점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마네킹 식별부호 생성모듈(36)은 마네킹이미지 생성모듈(34)에서 생성된 마네킹의 3D 마네킹이미지에 마네킹변곡점 검출모듈(35)에서 검출된 마네킹의 어깨, 겨드랑이, 사타구니, 손, 발,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마네킹라인상의 특정지점의 변곡점들을 합성시키고, 이 마네킹의 변곡점들에 마네킹 각 부위별로 신체변곡점들에 대응되는 각기 다른 식별부호를 부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마네킹이미지에 합성된 마네킹 변곡점들에 부여되는 식별부호는 마네킹의 어깨부터 허리까지의 변곡점들에 대해서는 101,102,103...등과 같이 100번대의 식별부호가 부여되고, 허리부터 발끝까지의 변곡점들에 대해서는 201,202,203...등과 같이 200번대의 식별부호가 부여되고, 상체 측면 방향의 변곡점들에 대해서는 301,302,303...등과 같이 300번대의 식별부호가 부여되고, 하체 측면방향의 변곡점들에 대해서는 401,402,403...등과 같이 400번대의 식별부호가 부여되며, 이러한 각각의 식별부호는 변곡점들의 x,y,z 좌표값 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3D 마네킹이미지의 변곡점들에 부여되는 식별부호와 3D 신체이미지의 변곡점들에 부여되는 식별부호는 각각 대응되는 지점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로 구성될 수 있다.
의류이미지 생성모듈(37)은 의류판매업체 직원의 스마트폰(31)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의류이미지 생성모듈(37)은 카메라센서(32)에서 획득된 다수의 의류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3D 의류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센서(32)에서 획득된 다수의 의류이미지는 의류가 착용된 마네킹을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시키는 동안 연속촬영을 통해 획득된 것으로서, 의류이미지 생성모듈(37)은 이러한 다수의 의류이미지를 조합하여 의류에 대한 3D 의류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류변곡점 검출모듈(38)은 초음파가 의류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차를 분석하여 의류의 윤곽패턴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고, 이 의류의 윤곽패턴데이터를 통해 상의 하의를 포함한 의류의 어깨 지점, 겨드랑이 지점, 사타구니 지점, 소매 끝단지점, 바지 끝단지점, 그리고 이 지점들을 연결하는 의류라인상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지점의 변곡점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의류 식별부호 생성모듈(39)은 의류이미지 생성모듈(37)에서 생성된 의류의 3D 의류이미지에 의류변곡점 검출모듈(38)에서 검출된 의류의 어깨, 겨드랑이, 사타구니, 소매 끝단, 바지끝단,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의류라인상의 지점의 변곡점들을 합성시키고, 이 의류의 변곡점들에 의류의 각 부위별로 각기 다른 식별부호를 부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의류이미지에 합성된 의류 변곡점들에 부여되는 식별부호는 의류의 어깨부터 허리까지의 변곡점들에 대해서는 101,102,103...등과 같이 100번대의 식별부호가 부여되고, 허리부터 바지 끝단의 변곡점들에 대해서는 201,202,203...등과 같이 200번대의 식별부호가 부여되고, 의류의 상체 측면 방향의 변곡점들에 대해서는 301,302,303...등과 같이 300번대의 식별부호가 부여되고, 의류의 하체 측면방향의 변곡점들에 대해서는 401,402,403...등과 같이 400번대의 식별부호가 부여되며, 이러한 식별부호는 변곡점들의 x,y,z 좌표값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3D 의류이미지의 변곡점들에 부여되는 식별부호와 3D 마네킹이미지의 변곡점들에 부여되는 식별부호는 각각 대응되는 부위의 변곡점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구성되도록 한다.
DB모듈(40)은 카메라센서(32)에서 획득된 마네킹이미지, 의류이미지가 저장되고 관리되며, 마네킹이미지 생성모듈(34)에서 생성된 3D 마네킹이미지, 마네킹변곡점 검출모듈(35)에서 검출된 마네킹변곡점들, 마네킹 식별부호 생성모듈(36)에서 생성된 마네킹의 변곡점들에 부여된 식별부호, 의류이미지 생성모듈(37)에서 생성된 3D 의류이미지, 의류변곡점 검출모듈(38)에서 검출된 의류변곡점들, 의류 식별부호 생성모듈(39)에서 생성된 의류의 변곡점들에 부여된 식별부호가 저장되고 관리된다.
의류업체 단말(30)은 마네킹의 변곡점이 합성된 3D 마네킹이미지와, 이 마네킹의 변곡점들에 부여된 식별부호를 포함하는 마네킹 이미지데이터 및, 의류의 변곡점이 합성된 3D 의류이미지와, 이 의류의 변곡점들에 부여된 식별부호를 포함하는 의류 이미지데이터를 의류업체 서버(50)에 인터넷망을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류업체 서버(50)는 마네킹이미지 치수변환모듈(52) 및 이미지합성모듈(5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네킹이미지 치수변환모듈(52) 및 이미지합성모듈(54)은 의류업체 서버(50)에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프로그램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의류업체 서버(50)는 인터넷망을 통해 고객 단말(10) 및 의류업체 단말(30)로부터 고객신체의 변곡점이 합성된 3D 신체이미지와, 이 고객신체의 변곡점들에 부여된 식별부호를 포함하는 신체이미지데이터, 마네킹의 변곡점이 합성된 3D 마네킹이미지와, 이 마네킹의 변곡점들에 부여된 식별부호를 포함하는 마네킹 이미지데이터 및, 의류의 변곡점이 합성된 3D 의류이미지와, 이 의류의 변곡점들에 부여된 식별부호를 포함하는 의류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네킹이미지 치수변환모듈(52)은 고객신체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와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를 서로 매칭시켜, 3D 신체이미지와 3D 마네킹이미지를 합성시키고, 상기 마네킹 변곡점의 좌표값이 상기 신체변곡점의 좌표값에 일치되도록 상기 마네킹 변곡점의 좌표값을 조정하여, 치수조정된 3D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마네킹이미지 치수변환모듈(52)은 3D 신체이미지에 합성된 고객신체 변곡점들의 식별부호와, 3D 마네킹이미지에 합성된 마네킹 변곡점들의 식별부호들을 같은 번호대끼리 매칭시키고, 서로 매칭된 변곡점들의 좌표값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마네킹 변곡점의 좌표값이 상기 신체변곡점의 좌표값에 일치되도록 상기 마네킹 변곡점의 좌표값을 조정하여, 3D 신체이미지와 동일사이즈를 갖는 치수조정된 3D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합성모듈(54)은 상기 치수조정된 3D 마네킹이미지의 변곡점의 식별부호와 의류이미지의 변곡점의 식별부호를 매칭시켜, 상기 치수조정된 3D 마네킹 이미지와 상기 3D 의류이미지를 합성하여 3D 합성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미지 합성모듈(54)은 치수 조정된 3D 마네킹이미지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와, 3D 의류이미지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에서 서로 대응되는 식별부호들을 서로 매칭시킴으로써 치수 조정된 3D 마네킹이미지와 3D 의류이미지를 합성하는 방식이므로, 작업자가 각 이미지를 수동으로 작업하여 합성시킬 필요 없고 합성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이미지합성모듈(54)은 치수 조정된 3D 마네킹이미지에 합성된 변곡점들의 식별부호와 3D 의류이미지에 합성된 변곡점들의 식별부호에서 같은 번호대끼리의 식별부호의 좌표값을 서로 매칭시킴으로서 치수조정된 3D 마네킹이미지와 3D 의류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다. 즉, 치수 조정된 3D 마네킹이미지에 합성된 변곡점들의 100번대, 200번대, 300번대.. 의 식별부호와 3D 의류이미지에 합성된 변곡점들의 100번대, 200번대, 300번대.. 의 식별부호를 동일한 번호들의 식별부호를 서로 매칭시킴으로써, 치수조정된 3D 마네킹이미지와 3D 의류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미지 합성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고객단말(10)의 카메라센서(12)는 소정위치에서 고객이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하는 동안 연속촬영하여 다수의 신체 이미지를 획득하고, 고객단말(10)의 신체이미지 생성모듈(14)은 카메라센서(12)에서 획득된 다수의 신체이미지를 조합하여 3D 신체이미지를 생성한다(S11).
고객이 360도 회전하면서 카메라센서(12)가 고객신체를 연속촬영하는 과정에서, 고객단말(10)의 초음파센서(13)는 고객신체에 초음파를 송신하고, 고객신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고 증폭하며, 고객단말(10)의 신체변곡점 검출모듈(15)은 고객신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통해 고객신체의 각 부위에 대한 변곡점을 검출한다(S13).
고객단말(10)의 신체 식별부호 생성모듈(16)은 3D 신체이미지와 고객신체의 각 부위에 대한 변곡점을 합성하고, 이 변곡점에 각 부위별로 식별부호를 부여한다(S15).
한편, 의류업체 단말(30)의 카메라센서(32)는 마네킹을 360도 회전시키는 동안 연속촬영하여 다수의 마네킹이미지를 획득하고, 의류업체 단말(30)의 마네킹이미지 생성모듈(34)은 다수의 마네킹이미지를 통해 3D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한다(S21).
또한, 의류업체 단말(30)의 카메라센서(32)는 의류이 착용된 마네킹을 360도 회전시키는 동안 의류를 연속촬영하여 다수의 의류이미지를 획득하고, 의류업체 단말(30)의 의류이미지 생성모듈(37)은 다수의 의류이미지를 통해 3D 의류이미지를 생성한다(S31).
상기에서 카메라센서(32)가 마네킹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의류업체 단말(30)의 초음파센서(33)는 마네킹에 초음파를 송신하고, 마네킹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고 증폭하며, 의류업체 단말(30)의 마네킹변곡점 검출모듈(35)은 마네킹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통해 마네킹의 각 부위에 대한 변곡점을 검출한다(S23).
또한, 카메라센서(32)가 의류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의류업체 단말(30)의 초음파센서(33)는 의류에 초음파를 송신하고, 의류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고 증폭하며, 의류업체 단말(30)의 의류변곡점 검출모듈(38)은 의류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통해 의류의 각 부위에 대한 변곡점을 검출한다(S33).
의류업체 단말(30)의 마네킹 식별부호 생성모듈(36)은 3D 마네킹이미지와 마네킹의 각 부위에 대한 변곡점을 합성하고, 이 변곡점에 각 부위별로 식별부호를 부여한다(S25). 그리고, 의류업체 단말(30)의 의류 식별부호 생성모듈(39)은 3D 의류이미와 의류의 각 부위에 대한 변곡점을 합성하고, 이 변곡점에 각 부위별로 식별부호를 부여한다(S35).
고객 단말(10)은 고객신체의 변곡점이 합성된 3D 신체이미지와, 이 고객신체의 변곡점들에 부여된 식별부호를 포함하는 신체이미지데이터를 의류업체서버(50)에 전송하고, 의류업체 단말(30)은 마네킹의 변곡점이 합성된 3D 마네킹이미지와, 이 마네킹의 변곡점들에 부여된 식별부호를 포함하는 마네킹 이미지데이터 및, 의류의 변곡점이 합성된 3D 의류이미지와, 이 의류의 변곡점들에 부여된 식별부호를 포함하는 의류 이미지데이터를 의류업체 서버(50)에 전송할 수 있다.
의류업체 서버(50)의 마네킹 이미지 치수변환모듈(52)은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와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를 매칭시켜 3D 신체이미지와 3D 마네킹이미지를 합성시키고, 마네킹변곡점의 좌표값이 고객신체 변곡점의 좌표값에 일치되도록 상기 마네킹변곡점의 좌표값을 조정하여 3D 마네킹이미지를 치수조정함으로써,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한다(S41).
의류업체서버(50)의 이미지 합성모듈(54)은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의 변곡점들의 식별부호와 상기 3D 의류이미지의 변곡점들의 식별부호를 매칭시켜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3D 의류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이미지를 생성한다(S43).
상기 합성이미지는 의류업체나 고객들의 단말에 제공됨으로써, 의류판매또는 의류구매에 대한 참고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고객 단말
11...고객의 스마트폰
12...카메라센서
13...초음파센서
14...신체이미지 생성모듈
15...신체변곡점 검출모듈
16...신체 식별부호 생성모듈
17...DB모듈
30...의류업체 단말
31...의류업체 직원의 스마트폰
32...카메라센서
33...초음파센서
34...마네킹이미지 생성모듈
35...마네킹변곡점 검출모듈
36...마네킹 식별부호 생성모듈
37...의류이미지 생성모듈
38...의류변곡점 검출모듈
39...의류 식별부호 생성모듈
40...DB모듈
50...의류업체 서버
52...마네킹이미지 치수 변환모듈
54...이미지 합성모듈

Claims (4)

  1. 고객을 촬영하여 3D 신체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검출하고, 상기 3D 신체이미지에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합성하고,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신체이미지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는 고객 단말;
    마네킹을 촬영하여 3D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고, 의류를 촬영하여 3D 의류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검출하고, 상기 3D 마네킹이미지에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합성하고,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검출하고, 상기 3D 의류이미지에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합성하고, 상기 의류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의류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의류이미지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는 의류업체 단말;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신체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의류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의류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의류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와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를 매칭시키고 상기 3D 신체이미지와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의 좌표값이 상기 고객신체 변곡점의 좌표값에 일치되도록 치수조정하여 치수조정된 마네킹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의 식별부호와 상기 3D 의류이미지의 식별부호를 매칭시켜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3D 의류이미지를 합성시키는 의류업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합성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은,
    고객 스마트폰에 구비되며, 고객이 360도 회전하는 동안 소정위치에서 고객신체를 촬영하여 다수의 신체이미지를 획득하는 고객 카메라센서;
    상기 고객 스마트폰에 결합되며, 고객신체로 초음파를 송신하여 상기 고객신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고객 초음파센서;
    상기 고객 카메라센서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신체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신체이미지를 생성하는 신체이미지 생성모듈;
    상기 고객 초음파센서에 의해 수신되는 초음파의 반사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들을 검출하는 신체변곡점 검출모듈;
    상기 3D 신체이미지에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들을 합성시키고,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기 3D 신체이미지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는 고객신체 식별부호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의류업체 단말은,
    업체 스마트폰에 구비되며, 마네킹을 360도 회전시키는 동안 소정위치에서 상기 마네킹을 촬영하여 다수의 마네킹이미지를 획득하며, 마네킹에 의류를 착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마네킹을 360도 회전시키는 동안, 소정위치에서 상기 의류를 촬영하여 다수의 의류이미지를 획득하는 업체 카메라센서;
    상기 업체 스마트폰에 결합되며, 상기 마네킹에 초음파를 송신하여 상기 마네킹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증폭하며, 상기 마네킹에 착용된 의류로 초음파를 송신하여 상기 의류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업체 초음파센서;
    상기 업체 카메라센서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마네킹이미지를 이용하여 3D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는 마네킹이미지 생성모듈;
    상기 업체 초음파센서에 의해 수신된 초음파의 반사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마네킹변곡점 검출모듈;
    상기 업체 카메라센서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의류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의류이미지를 생성하는 의류이미지 생성모듈;
    상기 업체 초음파센서에 의해 수신되는 초음파의 반사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의류변곡점 검출모듈;
    상기 3D 마네킹이미지에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합성시키고,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기 3D 마네킹이미지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는 마네킹 식별부호 생성모듈;
    상기 3D 의류이미지에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합성시키고,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기 3D 의류이미지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는 의류 식별부호 생성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의류업체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3D 신체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의류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3D 마네킹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3D 신체이미지의 상기 고객신체변곡점의 식별부호와 상기 마네킹이미지의 마네킹변곡점의 식별부호를 서로 매칭시키고, 상기 마네킹변곡점의 좌표값이 상기 신체변곡점의 좌표값에 일치되도록 치수조정하여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는 마네킹이미지 치수변환모듈; 및,
    상기 의류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3D 의류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의 식별부호와 상기 3D 의류이미지의 식별부호를 매칭시켜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3D 의류이미지를 합성시켜 3D 합성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합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합성시스템.
  3. 고객단말이 고객을 촬영하여 3D 신체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검출하고, 상기 3D 신체이미지에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합성하고,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신체이미지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의류업체 단말이 마네킹을 촬영하여 3D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고, 의류를 촬영하여 3D 의류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검출하고, 상기 3D 마네킹이미지에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합성하고,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검출하고, 상기 3D 의류이미지에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합성하고, 상기 의류의 변곡점에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의류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의류이미지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의류업체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신체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의류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의류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가 포함된 3D 의류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와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에 대한 식별부호를 매칭시키고 상기 3D 신체이미지와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의 좌표값이 상기 고객신체 변곡점의 좌표값에 일치되도록 치수조정하여 치수조정된 마네킹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의 식별부호와 상기 3D 의류이미지의 식별부호를 매칭시켜 상기 치수조정된 마네킹이미지와 상기 3D 의류이미지를 합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합성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3D 신체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단말의 카메라센서가 고객이 360도 회전하는 동안 고객신체를 촬영하여 다수의 신체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고객단말의 신체이미지 생성모듈이 상기 다수의 신체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3D 신체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단말의 초음파센서가 상기 고객신체로 초음파를 송신하고 상기 고객신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증폭하며, 상기 고객단말의 신체변곡점 검출모듈이 상기 고객신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의 반사시간을 통해 상기 고객신체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3D 마네킹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카메라센서가 마네킹이 360도 회전하는 동안 마네킹을 촬영하여 다수의 마네킹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마네킹이미지 생성모듈이 상기 다수의 마네킹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3D 마네킹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초음파센서가 상기 마네킹으로 초음파를 송신하고 상기 마네킹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증폭하며,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마네킹변곡점 검출모듈이 상기 마네킹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의 반사시간을 통해 상기 마네킹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3D 의류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카메라센서가 의류를 마네킹에 착용시킨 상태에서 마네킹이 360도 회전하는 동안 의류를 촬영하여 다수의 의류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의류이미지 생성모듈이 상기 다수의 의류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3D 의류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초음파센서가 상기 의류로 초음파를 송신하고 상기 의류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증폭하며, 상기 의류업체 단말의 의류변곡점 검출모듈이 상기 의류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의 반사시간을 통해 상기 의류의 변곡점을 검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합성방법.






KR1020170034833A 2017-03-20 2017-03-20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합성방법 KR101955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33A KR101955256B1 (ko) 2017-03-20 2017-03-20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합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33A KR101955256B1 (ko) 2017-03-20 2017-03-20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합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471A true KR20180106471A (ko) 2018-10-01
KR101955256B1 KR101955256B1 (ko) 2019-03-11

Family

ID=6387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833A KR101955256B1 (ko) 2017-03-20 2017-03-20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합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777A (ko) * 2018-10-04 2020-04-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의류 및 의류 착용 예측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017A (ko) * 2010-11-15 2012-05-23 주식회사 영우씨엔아이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면상에 입체의 가상 의상 코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80506B1 (ko) 2014-10-20 2015-12-28 최영진 인터넷에서 고객의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60076473A (ko) * 2014-12-22 2016-06-30 장석준 신체 데이터와 의류 데이터를 조합한 3d 합성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017A (ko) * 2010-11-15 2012-05-23 주식회사 영우씨엔아이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면상에 입체의 가상 의상 코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80506B1 (ko) 2014-10-20 2015-12-28 최영진 인터넷에서 고객의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689476B1 (ko) 2014-10-20 2016-12-23 최영진 스마트 폰을 이용한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60076473A (ko) * 2014-12-22 2016-06-30 장석준 신체 데이터와 의류 데이터를 조합한 3d 합성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777A (ko) * 2018-10-04 2020-04-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의류 및 의류 착용 예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256B1 (ko)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2547B1 (en) Virtual apparel fitting systems and methods
KR101689476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261893B1 (ko) 이미지를 이용한 신체 사이즈 측정 시스템
US113016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11468651B2 (en) Size measuring system
JP2018019843A (ja) 携帯情報装置、寸法測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80050224A (ko) 상품 사이즈 매칭 방법 및 서버
JPWO2014091940A1 (ja) 靴選択支援システム
KR102125314B1 (ko)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36090A (ko) 전자상거래 고객의 신체 사진을 이용한 맞춤 수선 및 대리점화 계획 장치 및 그 방법과 시스템
KR101955256B1 (ko) 의류이미지를 고객신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마네킹이미지와 합성시키는 이미지 합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합성방법
KR102086227B1 (ko) 신체 치수 계측 장치
KR101705096B1 (ko) 네트워크상에서의 물품 구매 지원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구매지원 서버
KR102044347B1 (ko) 가상의류 피팅미러 장치를 이용한 의류 구매 시스템
TW201721519A (zh) 虛擬試衣系統及虛擬試衣方法
JP2018163031A (ja) 体型情報解析システム
KR101797864B1 (ko) Vr 기기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방법
KR20210054664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및 시스템
KR102342044B1 (ko) 개인 정보 이용 주문 시스템
KR101391641B1 (ko) 구매자 및 상품의 이미지 매칭을 활용한 온라인 쇼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4057B1 (ko) 소형 케이스에 일회성으로 압축포장된 의류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86364A (ko) 사이버 피팅 방법
JP2020107015A (ja) 商品販売支援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22096396A1 (en) Method of measuring a piece of clothing
KR20150137185A (ko) 네트워크상에서의 물품 구매 지원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구매지원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