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335A -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335A
KR20180106335A KR1020170034496A KR20170034496A KR20180106335A KR 20180106335 A KR20180106335 A KR 20180106335A KR 1020170034496 A KR1020170034496 A KR 1020170034496A KR 20170034496 A KR20170034496 A KR 20170034496A KR 20180106335 A KR20180106335 A KR 20180106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review
reward
public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0570B1 (ko
Inventor
심성보
Original Assignee
심성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성보 filed Critical 심성보
Priority to KR1020170034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57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92Sponsored, subsidised calls via advertising, e.g. calling cards with ads or connecting to special ads, free calling time by purchasing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 대중교통 차량의 실시간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차량에 대한 리뷰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광고 정보를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광고 정보가 소정 조건으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접속된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METHOD FOR PROVIDING REWARDS BASED ON PUBLIC TRANSPORTATION REVIEW AND SERVER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버스 등과 같은 대중교통에 대한 리뷰를 기반으로 리워드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보급의 급격한 추세로 인해 엔터테인먼트 요소뿐 아니라 일상생활과 관련된 GPS 기술의 발달로 교통, 지도, 네비게이션 등의 앱은 생활 밀착형 서비스로 자리잡게 되었다.
한 예로서, 대중교통 정보 앱은 버스 또는 지하철 등이 특정 출발지와 목적지를 기준으로 언제 도착하고 출발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림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대중교통 정보 알림 앱은 단순히 버스나 지하철 등의 현재 실시간 위치, 출발지와 목적지간의 예상 소요 시간 등의 제한적인 정보만을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버스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특정 버스 운전기사의 난폭운전 또는 무정차 등의 불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버스 내부에 비치된 의견함 등으로 리뷰를 남겨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기 때문에, 대중교통 앱을 통해서 해당 대중교통에 대한 리뷰 등을 남기고자 하는 니즈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2077호, 2015.10.30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대중교통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대중교통 차량(예: 버스)에 대한 사용자의 리뷰 입력 시 광고를 노출시켜 해당 광고의 시청을 조건으로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 대중교통 차량의 실시간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차량에 대한 리뷰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광고 정보를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광고 정보가 소정 조건으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접속된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간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중교통 차량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 계정들을 통해 작성된 리뷰 정보를 상기 대중교통 차량의 실시간 운행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리뷰 정보는 해시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리뷰 정보를 상기 실시간 운행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대중교통 차량을 나타내는 UI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중교통 차량에 대해 기록된 해시태그들 중 가장 많이 기록된 순위의 해시태그부터 소정 순위까지의 해시태그들을 상기 UI 아이템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리뷰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대중교통 차량의 특정 노선 번호에 대하여 리뷰를 작성할 수 있는 제1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페이지는 번호판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번호판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특정 노선 번호를 가지되 서로 다른 번호판을 가지는 복수의 대중교통 차량들이 표시된 제2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페이지 상에서 특정 번호판을 가지는 대중교통 차량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특정 노선 번호를 가지며 상기 특정 번호판에 해당하는 대중교통 차량에 대하여 리뷰를 작성할 수 있는 제3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페이지는, 상기 복수의 대중교통 차량들이 현재 어느 정류장에 위치하는지가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각각의 대중교통 차량들을 선택할 수 있는 체크 박스가 상기 각각의 대중교통 차량들을 나타내는 UI 아이템과 인접한 영역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광고 정보를 노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서로 구분하여 상기 광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광고 화면의 일부가 노출되는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광고 화면의 일부를 가리는 섀도우 영역과 상기 섀도우 영역을 지우도록 안내하는 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인터랙션 입력에 의해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지워짐에 따라 지워진 영역에 의해 가려졌던 광고 화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구분된 광고 정보를 표시할 때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최초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역이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 지워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추가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리워드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워드의 상세 정보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지급된 리워드의 적립 내역; 및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사용된 리워드의 사용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간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임의의 시점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람 기능을 요청받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한 하차 정류장을 기반으로 리뷰알람 및 하차알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서버로서, 서버와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는 통신 모듈; 사용자 단말로 대중교통 차량의 실시간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운행정보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차량에 대한 리뷰 정보를 수집하는 리뷰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 광고 정보를 노출시키는 광고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광고 정보가 소정 조건으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접속된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하는 리워드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는 대중교통 수단의 실시간 운행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간편하게 해당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리뷰를 남길 수 있으며, 광고 정보를 시청함에 따라 소정의 리워드를 지급받음으로써 전자 상거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반영된 리뷰 정보는 관련 기관에 제공됨으로써 운수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개선시키는 공공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실시간 운행 정보에서부터 리워드를 지급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메인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 운행 정보의 상세 페이지를 나타내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 리뷰 작성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버스에 대해서 리뷰를 작성하는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 광고 화면을 노출하고 리워드를 지급하는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 지급된 포인트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 알람을 설정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대중교통 차량’은 버스, 지하철, 선박, 택시 또는 기차와 같은 다양한 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대중교통 수단’으로 지칭 가능하다.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리워드’는 포인트와 같은 소정의 전자 화폐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러한 리워드는 제휴사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입하거나 현금으로 교환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시스템(10)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워드 제공 시스템(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를 포함하며, 광고주 서버(300) 및 기관 서버(4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연결된다. 이러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10)은 후술할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사용자에게 대중교통 차량의 실시간 운행 정보를 제공하고, 대중교통 차량에 대한 리뷰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소정 조건의 광고 노출을 조건으로 사용자 계정으로 리워드를 지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200)와 접속하여 실시간 운행 정보를 출력하고, 리뷰 정보를 입력하며, 리워드를 지급받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예컨대,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PC(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형 또는 이동형의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서버(200)는 실시간 운행 정보를 제공하고, 리뷰 정보를 수집하며, 리워드를 지급하고 알람을 설정하는 동작과 관련된 집약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또는 프로그램이다.
광고주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와 통신하여 서버(200)로 광고 정보를 제공하며, 서버(200)로부터 광고 정보와 관련된 정보(예: 통계 정보)를 수신받는 일련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관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와 통신하여 서버(200)로부터 대중교통 차량에 대한 사용자들의 리뷰 정보 또는 이러한 리뷰 정보를 가공한 데이터를 제공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관 서버(400)는 운수회사 또는 관계기관(예: 공공기관 또는 정부 지자체 등)에서 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입력 모듈(110, 예: 터치스크린, 키보드 등), 표시 모듈(120, 예: 터치스크린, 모니터, 디스플레이 패널 등), 저장부(130, 예: 메모리 등), 오디오처리 모듈(140, 예: 스피커, 마이크 등), 통신 모듈(150, 예: 유선/무선 랜 모듈, WIFI 등) 및 제어부(160, 예: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130)는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131)을 포함할 수 있다.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131)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통신 모듈(150)을 통해 서버(200)로 전달하고,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들을 반영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출력하는 기능의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131)은 앱 스토어™ 또는 웹에서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된다.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131)은 이하에서 후술할 서버(200)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해석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버(200)는 통신 모듈(210), 제어부(220), 사용자 관리부(221), 운행정보 제공부(222), 리뷰 관리부(223), 광고 제공부(224), 리워드 관리부(225), UI 관리부(226) 및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무선통신 모듈, 네트워크 모듈 또는 기지국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서버(200)를 사용자 단말(100), 광고주 서버(300) 및 기관 서버(400)와 통신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20)는 서버(200)의 전원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서버(200)의 내부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221)는 사용자 장치(100)가 웹 또는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되는 것을 감지하고, 해당 사용자 계정을 확인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관리부(221)는 사용자로 하여금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식별 정보(예: 아이디, 비밀번호, 전화번호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운행정보 제공부(222)는 대중교통 차량의 운행 정보 및 알람정보(예: 리뷰알람 또는 하차알람)를 실시간으로 생성 및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운행정보 제공부(222)는 대중교통 차량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 계정들을 통해 작성된 리뷰 정보를 상기 대중교통 차량의 실시간 운행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리뷰 관리부(223)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된 리뷰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리뷰 관리부(223)는 후술할 실시예들에 의해 특정 노선 또는 동일 노선의 특정 버스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리뷰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리뷰 정보를 기반으로 통계 정보를 생성하거나 대표 해시태그 등을 추출할 수 있다.
광고 제공부(224)는 광고주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광고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광고 정보는 예컨대,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리워드 관리부(225)는 광고 정보를 소정 조건으로 시청한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서, 리워드 관리부(225)는 광고 화면이 일정 비율 이상 노출된 경우 또는 소정 시간 이상 노출된 경우를 조건부로 사용자 계정에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또한, 리워드 관리부(225)는 사용자 계정 별로 리워드 적립내역과 사용내역을 관리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UI 관리부(226)는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될 화면을 구성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통신 모듈(21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UI 관리부(226)는 이하의 도면들에서 개시되는 여러 예시도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20), 서버(200) 또는 리워드 제공 시스템(1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예를 들어,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230)는 정보 DB(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DB(23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운행정보, 광고 노출 및 리워드 지급 서비스와 관련하여 서버(200)에서 수집되거나 발생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며, 임의의 시점에 업데이트 가능하다.
도 3의 사용자 관리부(221), 운행정보 제공부(222), 리뷰 관리부(223), 광고 제공부(224), 리워드 관리부(225) 및 UI 관리부(226)는 제어부(220)를 기능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류한 일부 구성으로서 제어부(220)와 별도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부(220)와 하나로서 구성되거나 또는 제어부(220)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에서 실시간 운행 정보에서부터 리워드를 지급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의 설명 과정에서의 편의를 위해, 도 5 내지 도 14의 예시도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14의 예시도에서는 대중교통 차량(수단)의 일 예시로서 버스를 설명하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러한 버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버스’는 이와 대체될 수 있는 다른 대중교통 수단(예: 트램 등)으로 변경 가능하다.
먼저, 서버(200)는 특정 사용자의 계정 접속을 감지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에서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131)을 실행함에 따라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을 확인한다. 만약,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131)이 최초 실행되는 경우라면 서버(200)는 회원가입 절차를 안내할 수 있고, 최초 실행되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로그인 등과 같은 인증 과정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서버(예: 카카오톡™, FACEBOOK™ 등)와 연계하여 간편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계정이 접속되면, 서버(200)는 실시간 운행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S430). 예를 들어, 서버(200)는 도 5와 같은 메인 화면(501)을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메인 화면(501)에는 대중교통 차량을 나타내는 UI 아이템(513), 해당 대중교통 차량의 노선번호(511) 및 상기 대중교통 차량의 도착 정보(509)와 같은 실시간 운행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메인 화면(501)의 버스 또는 정류장 찾기 영역(503)에서 원하는 노선의 버스 또는 정류장을 검색함으로써 해당되는 실시간 운행 정보를 검색하거나 즐겨찾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실시간 운행 정보와 함께 특정 노선의 버스에 대해 다른 사용자가 남긴 리뷰 정보(507)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리뷰 정보(507)는 해당 특정 노선의 버스에 대해 다른 사용자들이 매긴 점수를 평균 계산한 별점 정보(517), 총 리뷰 개수 정보 및 각 사용자들이 남긴 코멘트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각 사용자들이 남긴 코멘트 정보에는 해시태그 또는 특정 버스(예: 번호판이 특정된 버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버스가 언제 도착하는지에 대한 실시간 운행 정보뿐 아니라 해당 노선의 버스가 어떠한 평가를 받고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몸이 불편하거나 임산부 등의 취약자는 해당 노선의 버스에 대한 리뷰가 좋지 않다면,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다른 노선의 버스를 검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서버(200)는 이러한 리뷰 정보를 기관 서버(400)에 제공함으로써 해당 기관에서 특정 노선의 버스 또는 특정 버스의 운행 서비스가 개선되도록 정책을 반영할 수 있다는 공공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소정 개수의 대표 해시태그들(515)을 대중교통 차량의 UI 아이템(513)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대표 해시태그들(515)은 해당 노선에 대해서 다른 사용자들이 남긴 해시태그들을 종합하여 가장 많이 기록된 순위의 해시태그부터 소정 순위까지의 해시태그들을 순서대로 또는 임의로 나열된 해시태그이다. 이러한 대표 해시태그들(515)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일일이 다른 사용자의 리뷰 정보를 읽어보지 않고도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해당 노선에 대한 평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서버(200)는 특정 노선 또는 특정 대중교통 차량에 대하여 수집된 피드백 정보(예: 별점) 또는 해시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메인화면(501)에 도시된 대중교통 차량의 UI 아이템(513)을 노선 또는 차량마다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점이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서버(200)는 상기 UI 아이템(513)을 웃는 모양 또는 긍정적인 형태의 애니메이션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해당 차량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운행 정보는 도 6과 같이 표시되는 실시간 운행 정보의 상세 페이지(6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간 운행 정보의 상세 페이지(601)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도 5의 메인 화면(501)에서 상세정보 아이템(521)을 선택함에 따라 표시되며, 해당 노선의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 정보들과 각 버스들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다. 이 경우, 각 버스들을 나타내는 UI 아이템과 인접한 영역에는 해당 버스들을 각각 식별할 수 있는 번호판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의 다음 단계로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리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50). 서버(200)는 특정 노선 또는 동일 노선의 특정 버스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리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리뷰 정보를 작성하는 과정의 일 예시로서 도 7 내지 도 8이 개시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버(200)는 리뷰 페이지(701)를 사용자 단말(100)에 출력시킨다. 이러한 리뷰 페이지(701)은 도 5의 리뷰 아이템(523)을 입력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뷰 페이지(701)에는 도 5의 메인 화면(501)에서의 리뷰 정보(507)가 보다 상세히 표시된다. 예를 들어, 리뷰 페이지(701)는 해당 노선(예: 605번)의 대한 종합적인 별점 정보(703), 별점 정보의 분포 정보(705), 대표 해시태그들(709) 및 개별 리뷰 정보(711)를 포함한다. 한편, 리뷰 페이지(701)에는 해당 노선을 즐겨찾기 설정할 수 있는 즐겨찾기 아이템(707)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리뷰 페이지(701)는 리뷰 쓰기 아이템(713)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리뷰 쓰기 아이템(713)이 선택되는 경우, 서버(200)는 도 8과 같이 리뷰작성 페이지(801)를 사용자 단말(100)에 출력시킨다. 이러한 리뷰작성 페이지(801)는 리뷰를 작성할 수 있는 페이지(예: 제1 페이지)로서,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족도평가 영역(805)을 통해 특정 노선에 대해 별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리뷰작성 영역(807)을 통해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리뷰 페이지(701)는 번호판 아이템(80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번호판 아이템(803)을 선택하면, 서버(200)는 도 9와 같은 리뷰작성 페이지(901)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리뷰작성 페이지(901)는 리뷰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택할 수 있는 페이지(예: 제2 페이지)로서, 동일한 노선 번호(예: 605번)를 가지는 각각의 버스들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리뷰작성 페이지(901)에는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들의 정보, 특정 번호판 정보(905)를 가진 버스의 UI 아이템(907), 및 특정 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체크박스(909)가 포함되는 영역(903)을 포함한다. 이러한 영역(903)의 정보들은 사용자가 새로고침 아이템(911)을 선택함으로써 실시간 운행 정보가 반영되어 업데이트된다. 이러한 제2 페이지를 통해서, 사용자들은 특성 노선에 대한 리뷰뿐 아니라, 특정 노선 중에서도 번호판 정보 등으로 식별되는 특정 버스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리뷰를 남기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체크박스(909)를 선택함으로써 특정 버스를 선택하는 경우, 서버(200)는 도 10과 같은 리뷰작성 페이지(1001)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리뷰작성 페이지(1001)에는 도 7의 내용과 유사하게 만족도 평가 영역(1005)과 리뷰작성 영역(1007)을 포함하며, 리뷰작성 영역(1007)을 활성화시키는 경우 해시태그 입력 창(1009)이 표시되어 사용자로부터 코멘트와 함께 해시태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도 10의 리뷰작성 페이지(1001)는 특정 버스에 대한 리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페이지(예: 제3 페이지)로서, 도 7의 내용과 상이하게 해당 버스의 번호판 정보(1003)가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된다. 즉, 도 10의 리뷰작성 페이지(1001)를 통해 입력된 리뷰 정보들은 특성 노선뿐 아니라 해당 특성 노선에서 각 번호판 정보로 식별되는 특정 버스에 대해서까지 리뷰가 가능하다. 이러한 도 10의 리뷰작성 페이지(1001)를 통해 입력된 리뷰 정보는 도 5의 메인 화면(501)의 리뷰 정보 영역(507)에서 해당 버스의 번호판 정보까지 추가로 노출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들은 특정 노선뿐만 아니라 특정 버스에 대한 개별적인 리뷰를 확인함으로써, 리뷰 평가가 나쁜 경우에는 동일 노선의 다음 버스를 기다리는 등의 차선책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관련 기관 또는 버스 회사에서는 특정 시간대에 해당 버스를 운전한 운전자에게 경고 등을 조치를 가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리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4의 다음 단계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리뷰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100)에 광고 정보를 노출시킬 수 있다(S470). 즉, 서버(200)는 리뷰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하여 광고주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광고주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광고가 자연스럽게 홍보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광고 정보에는 광고의 대상이 되는 서비스 또는 상품을 검색할 수 있는 링크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200)는 이러한 링크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광고주 서버(300) 또는 미리 설정된 사이트 등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광고 정보를 노출시키는 예시로서 도 11 내지 도 12가 도시된다.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광고 정보 화면(1101)을 노출시킨다. 서버(200)는 단순히 광보 정보를 노출시킬 수도 있으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과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1 영역(1103)과 제2 영역(1105)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1103)은 광고 화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영역이며, 제2 영역(1105)은 광고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는 섀도우 영역과 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1105)의 섀도우 영역은 무채색 등으로 구현되어 광고 화면이 가려지도록 생성되는 영역이며, 사용자의 다양한 인터렉션 입력(예: 터치 앤 드래그, 패닝, 스크롤 입력 등)에 의해 마치 복권처럼 긁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지워지는 제2 영역에서는 섀도우 영역에 의해 가려져 있던 광고 화면이 노출되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도 11의 제2 영역이 미리 설정된 비율(예: 80프로) 이상 지워지는 경우, 도 12와 같은 광고 화면(1201)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고 노출 동작에 의해, 서버(200)는 사용자가 무심히 지나칠 수 있는 광고 정보를 보다 집중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광고시청 미션에 따른 리워드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등 지급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광고 홍보 효과를 낼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서버(200)는 현재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위치에 기반하여 맞춤형 광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사용자가 현재 탑승한 대중교통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GPS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위치마다 서로 다른 광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있는 곳과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타켓으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시 도 4로 돌아오면, 서버(200)는 광고 정보 노출을 함에 따라 이에 대한 대가로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S490). 이러한 리워드는 현재 접속된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지급하는 포인트에 해당하며, 제휴사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교환할 수 있는 가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고 시청에 대가로 소정의 리워드를 지급받음으로써 광고 정보를 시청하는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전술한 도 11 내지 도 12에서, 서버(200)는 광고시청 미션에 따라 리워드를 차등 지급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도 11과 같이 제1 영역(1103)과 제2 영역(1105)이 구부된 광고 정보를 표시할 때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최초 리워드(예: 1포인트)를 지급하고, 제2 영역이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 지워져서 도 12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추가 리워드(예; 19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를 보다 집중해서 인식시키기 위한 취지로서 추가 리워드는 최초 리워드보다 더 많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리워드 지급을 분할해서 지급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광고 정보를 노출시키고 일정 시간 이상 광고 정보가 노출(예: 재생)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리워드를 일시에 지급하는 방식 또한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의해 지급된 리워드에 대한 정보는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확인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도 5에서 사용자가 내포인트 아이템(519)을 선택하는 경우, 서버(200)는 도 13과 같은 포인트 적립 화면(1301)을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전술한 광고 정보 시청 이외에도 사용자가 추가 광고정보를 시청하거나, 이벤트 참여, 버스알람을 설정 또는 친구추천 시 추가적인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도 14와 같은 리워드의 상세 정보(1401)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리워드의 상세 정보(1401)는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지급된 리워드의 적립 내역(1403)과 사용자 계정에서 사용된 리워드의 사용 내역(140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리워드를 받았는지를 적립 내역(1403)에서 확인할 수 있고, 적립된 리워드를 통해서 소비한 내역을 사용 내역(140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리워드와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131)을 보다 계획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리워드 제공 어플리케이션(131)에서 알람을 설정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버(200)는 실시간 운행 정보 화면(1501)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간 운행 정보 화면(1501)은 대중교통 차량이 정차하는 복수의 정류장들, 각 차량들의 현재위치 정보 및 알람 아이템(1503)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임의의 시점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알람 기능을 요청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임의의 시점에서 상기 알람 아이템(1503)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6에서 도시되는 화면(1601)의 차량선택 체크박스(1603) 및 정류장 체크박스(1607)를 통해 사용자가 탑승한 버스와 하차할 정류장을 선택받을 수 있다. 그러면, 서버(200)는 도 17의 화면(1701)과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과 하차 정류장을 기반으로 리뷰알람 및 하차알람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어디서 어떤 버스를 탔는지에 관계없이 특정 시점에서 알람 기능을 요청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스케쥴 관리가 가능하며, 의도치 않게 목적지를 지나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가 선택한 정류장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소정 거리 이전(예: 1정거장 전 또는 2정거장 전) 에서 사용자 단말(100)로 리뷰알람 또는 하차알람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뷰알람은 하차알람보다 이전에 제공될 수 있다. 리뷰알람은 예컨대, “605번 버스에 대해서 리뷰를 남겨주세요”등의 메시지일 수 있고, 하차알람은 “다음 정거장은 하차 정류장인 당산역입니다”라는 메시지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메시지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리뷰알람 또는 하차알람은 오디오 알람, 진동 알람, 또는 관련메뉴의 실행에 따른 팝업 창 출력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알람이 설정되는 경우, 서버(200)는 소정의 리워드를 해당 사용자 계정에 지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목적지를 지나치지 않을 수 있으며, 해당 차량에 대한 리뷰평가를 남기는 것 또한 누락시키지 않게 되고, 나아가 소정의 리워드 또한 지급받음으로써 보다 능동적인 참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서버(20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대중교통 차량의 도착알람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서버(200)는 해당 대중교통 차량이 특정 정류장에 도착하는 날짜, 요일 또는 시간 등을 구체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임의의 시점에서 서버(200)로부터 도착알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도착알람을 설정한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소정의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서버(200)는 특정 노선 또는 특정 노선의 특정 버스에 대하여 별점, 리뷰 개수, 검색된 횟수를 기반으로 랭킹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10: 리워드 제공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200: 서버 300: 광고주 서버
400: 기관 서버

Claims (10)

  1.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 대중교통 차량의 실시간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차량에 대한 리뷰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광고 정보를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광고 정보가 소정 조건으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접속된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중교통 차량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 계정들을 통해 작성된 리뷰 정보를 상기 대중교통 차량의 실시간 운행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뷰 정보는 해시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리뷰 정보를 상기 실시간 운행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대중교통 차량을 나타내는 UI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중교통 차량에 대해 기록된 해시태그들 중 가장 많이 기록된 순위의 해시태그부터 소정 순위까지의 해시태그들을 상기 UI 아이템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뷰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대중교통 차량의 특정 노선 번호에 대하여 리뷰를 작성할 수 있는 제1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페이지는 번호판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번호판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특정 노선 번호를 가지되 서로 다른 번호판을 가지는 복수의 대중교통 차량들이 표시된 제2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페이지 상에서 특정 번호판을 가지는 대중교통 차량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특정 노선 번호를 가지며 상기 특정 번호판에 해당하는 대중교통 차량에 대하여 리뷰를 작성할 수 있는 제3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페이지는,
    상기 복수의 대중교통 차량들이 현재 어느 정류장에 위치하는지가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각각의 대중교통 차량들을 선택할 수 있는 체크 박스가 상기 각각의 대중교통 차량들을 나타내는 UI 아이템과 인접한 영역에 각각 표시되는,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를 노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서로 구분하여 상기 광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광고 화면의 일부가 노출되는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광고 화면의 일부를 가리는 섀도우 영역과 상기 섀도우 영역을 지우도록 안내하는 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인터랙션 입력에 의해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지워짐에 따라 지워진 영역에 의해 가려졌던 광고 화면이 노출되는 것인,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구분된 광고 정보를 표시할 때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최초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역이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 지워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추가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리워드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워드의 상세 정보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지급된 리워드의 적립 내역; 및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사용된 리워드의 사용 내역을 포함하는,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임의의 시점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람 기능을 요청받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한 하차 정류장을 기반으로 리뷰알람 및 하차알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10.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서버로서,
    서버와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는 통신 모듈;
    사용자 단말로 대중교통 차량의 실시간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운행정보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차량에 대한 리뷰 정보를 수집하는 리뷰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 광고 정보를 노출시키는 광고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광고 정보가 소정 조건으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접속된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하는 리워드 관리부를 포함하는 서버.
KR1020170034496A 2017-03-20 2017-03-20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KR101950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496A KR101950570B1 (ko) 2017-03-20 2017-03-20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496A KR101950570B1 (ko) 2017-03-20 2017-03-20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335A true KR20180106335A (ko) 2018-10-01
KR101950570B1 KR101950570B1 (ko) 2019-02-20

Family

ID=6387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496A KR101950570B1 (ko) 2017-03-20 2017-03-20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5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9108A (zh) * 2018-11-29 2019-04-02 珠海市珠海通科技有限公司 一种公交车换乘方法及其装置
KR20220132517A (ko) * 2019-08-29 2022-09-30 주식회사 네이앤컴퍼니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467B1 (ko) 2020-04-22 2022-06-10 양영석 자가발전 장치를 이용한 대중교통용 전력 생산 및 마일리지 제공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109B1 (ko) * 2012-01-31 2013-05-14 주식회사 이비 스마트 폰을 이용한 운전자 평가 관리 시스템 및 평가 방법
KR20130139428A (ko) * 2012-05-14 2013-12-23 주식회사 애드라 사용자 화면의 에지 부분에서의 은폐 영역 노출을 이용한 콘텐트 표시 방법
KR20140049728A (ko) * 2012-10-18 2014-04-28 강해성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122077A (ko) 2014-04-21 2015-10-30 강수진 대중 교통 수단의 실시간 자동 탑승 및 하차 알림 제공 방법
KR20160079867A (ko) * 2013-11-04 2016-07-06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해시태그 및 컨텐츠 제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109B1 (ko) * 2012-01-31 2013-05-14 주식회사 이비 스마트 폰을 이용한 운전자 평가 관리 시스템 및 평가 방법
KR20130139428A (ko) * 2012-05-14 2013-12-23 주식회사 애드라 사용자 화면의 에지 부분에서의 은폐 영역 노출을 이용한 콘텐트 표시 방법
KR20140049728A (ko) * 2012-10-18 2014-04-28 강해성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79867A (ko) * 2013-11-04 2016-07-06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해시태그 및 컨텐츠 제시
KR20150122077A (ko) 2014-04-21 2015-10-30 강수진 대중 교통 수단의 실시간 자동 탑승 및 하차 알림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9108A (zh) * 2018-11-29 2019-04-02 珠海市珠海通科技有限公司 一种公交车换乘方法及其装置
KR20220132517A (ko) * 2019-08-29 2022-09-30 주식회사 네이앤컴퍼니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66308A (ko) * 2019-08-29 2023-05-15 주식회사 네이앤컴퍼니 대중 교통 기반 리워드 또는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570B1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4730B2 (en) Managing merchant communications
US20230342819A1 (en) Targeting items to a user of a social networking system based on a predicted event for the user
US10719883B2 (en) Web property generator
KR101430799B1 (ko) 조건적 인센티브 제시, 추적 및 상환
US201103073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social influence
US201200848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teractive Advertising Into Real Time Video Content
US20140032327A1 (e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digital signage and related mobile content
Jamil Uber and the making of an Algopticon-Insights from the daily life of Montreal drivers
US20150278855A1 (en) Data acquisition, advertising, and compensation
Ooi et al. Can mobile taxi redefine the transportation industr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
KR101950570B1 (ko) 대중교통 리뷰 기반의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US201302751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media generated transit agency content
US201500123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based social-networking application for face-to-face venues
JP2018097564A (ja) 配信装置、配信方法、配信プログラム、端末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US20160012473A1 (en) Evaluation of advertisements
KR102100990B1 (ko) 서비스 연계를 통한 범용 예약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202103976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electronic data to determine faults in a transit system
KR101838237B1 (ko) Sns를 이용한 타임챗의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150118592A (ko) 소셜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
KR20130024680A (ko)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70024175A (ko) 실시간으로 모바일 할인정보를 동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
KR20200077945A (ko) 광고물 제작 중계 방법 및 광고물 제작 중계 시스템
KR20200077961A (ko) 광고주와 광고 제작자 간 광고물 제작 중계 방법
KR20240038469A (ko) 사용자 콘텐츠 기반 홍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34964B1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광고정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