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894A - 이중용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용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894A
KR20180105894A KR1020170033186A KR20170033186A KR20180105894A KR 20180105894 A KR20180105894 A KR 20180105894A KR 1020170033186 A KR1020170033186 A KR 1020170033186A KR 20170033186 A KR20170033186 A KR 20170033186A KR 20180105894 A KR20180105894 A KR 20180105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er container
injection
vessel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흥묵
Original Assignee
강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묵 filed Critical 강흥묵
Priority to KR1020170033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5894A/ko
Publication of KR2018010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03Adding propellants in fluid form to aeroso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이중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를 갖는 외부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 신축변형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내부용기가 일체로 구비하는 내부 마개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내부용기가 배치되도록 상기 주입구에 상기 내부 마개체를 삽입배치하는 단계 ; 상기 내부 마개체와 결합되고 주입라인을 갖는 주입장치에 의해서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로 상기 내부 마개체를 진입시키는 단계 ; 상기 주입장치에 의해서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공간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압에 상승시키고, 상승되는 내부압에 의해서 상기 내부 마개체를 상승복귀시켜 상기 외부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단계 ; 상기 내부 마개체에 형성되고, 일방향 체크밸브를 갖는 공급라인을 통하여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로 내용물을 주입하여 충전하는 단계 ; 및 상기 일방향 체크밸브를 개폐작동시키는 누름부재를 갖는 분사체를 준비한 다음, 상기 누름부재가 유체공급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외부용기에 분사체를 결합하는 단계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용기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the Double Container}
본 발명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서 각종 내용물을 담기 위한 물병, 젖병, 생수병, 보온물병 등 다양한 용기들이 여러 가지 형상과 재료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런 용기들에는 상단부에 형성된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갖추어 개방된 입구를 통하여 내용물을 꺼내거나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액상 또는 점액 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과 같은 내용물은 일정량씩 토출시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분사식 용기에 충전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분사 용기는 충전된 내용물을 한 번의 동작으로 일정량씩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부가 용기 상단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용기의 내부에 충전된 내용물은 분사부의 동작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프레온 가스와 같은 압축가스를 내용물에 혼합하여 분사되도록 하거나 용기를 이중구조로 하고 외부 용기 내에 압축가스를 충전하여 압력차에 의하여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에 이러한 용기들은 압축가스 자체가 대기환경 또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가스이거나 내용물을 충전하는 소재가 재활용 불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등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1324530 B1
특허문헌 1에는 입구가 좁게 형성된 외부용기와 변경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내부용기를 포함하고, 내부 용기의 입구에 외부 용기의 입구와 결합되는 밀봉 결합부를 갖추어 외부용기의 내부에 내부용기를 결합한 상태에서 내,외부용기사이의 공간으로 고압기체를 충전함으로써 재활용 가능하면서 내부 확인이 가능한 이중 구조 분사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중용기는 내부용기를 변형시켜 신축변형이 용이하도록 주름부를 형성하는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며, 외부용기의 입구와 내부용기의 입구를 밀봉결합부에 의해서 결합시켜 일체화하는 별도의 조립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충전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에 의해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분사압력을 얻을 수 있고, 내용물이 충전되는 내부용기를 외부공기의 내부공간에 배치하는 조립공정을 단순화하는 한편,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배제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중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를 갖는 외부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내부용기가 일체로 구비하는 내부 마개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내부용기가 배치되도록 상기 주입구에 상기 내부 마개체를 삽입배치하는 단계 ; 상기 내부 마개체와 결합되고 주입라인을 갖는 주입장치에 의해서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로 상기 내부 마개체를 진입시키는 단계 ; 상기 주입장치에 의해서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공간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압에 상승시키고, 상승되는 내부압에 의해서 상기 내부 마개체를 상승복귀시켜 상기 외부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단계 ; 상기 내부 마개체에 형성되고, 일방향 체크밸브를 갖는 공급라인을 통하여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로 내용물을 주입하여 충전하는 단계 ; 및 상기 일방향 체크밸브를 개폐작동시키는 누름부재를 갖는 분사체를 준비한 다음, 상기 누름부재가 유체공급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외부용기에 분사체를 결합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이중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프레온가스와 같은충전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압축공기에 의해서 내부용기에 충전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분사압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유해가스에 의한 대기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용기의 내부로 강제주입되는 압축공기에 기인하는 내부압에 의해서 외부용기의 주입구를 통하여 내부 마개체를 역진입시킴으로써 외부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함과 동시에 외부공기의 내부에 내부용기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충전되는 내부용기를 외부공기의 내부공간에 배치하는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전체적인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결합공정을 배제함으로써 이중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 제조방법에서 외부용기, 내부용기 및 내부 마개체를 준비하는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 제조방법에서 내부 마개체를 주입구에 삽입배치하는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 제조방법에서 주입구에 주입장치를 결합하여 내부 마개체를 진입시키는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 제조방법에서 주입장치에 의해서 압축공기를 외부용기에 주입하는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 제조방법에서 내부 마개체를 주입구에 역진입시켜 밀봉하는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 제조방법에서 내용물 공급라인을 통하여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 제조방법에서 외부용기에 분사체를 결합하는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용기 제조방법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사이에 채워지는 압축공기에 의해서 상기 내부용기(20)에 채워진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체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이중용기를 제조하기 위해서 외부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내부마개체를 제공하는 단계, 내부마개체를 삽입배치하는 단계, 내부마개체를 진입시키는 단계, 외부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단계, 내부용기의 내부로 내용물을 주입하여 충전하는 단계 및 외부용기에 분사체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외부용기를 제공하는 단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11)를 갖는 외부용기(10)를 제공하며, 이러한 외부용기(10)는 주입구(11)가 형성되는 입구측의 외경이 작고, 압축공기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나머지 몸체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형태의 원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11)의 외부면에는 외부 마개체와 결합되는 수나사부(11a)와, 상기 외부마개체와 접하는 단턱(11b)을 각각 형성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용기(10)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으로 강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기인하는 내부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소재의 용기로 이루어지거나 금속소재의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마개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내부용기를 일단에 일체로 구비하는 내부 마개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마개체(110)는 압축공기와 같은 유체가 채워지는 외부용기(10)의 주입구(11)를 외부용기의 내부로 강제주입되는 유체의 내부압에 의해서 밀봉할 수 있도록 삽입체(111)와 밀착체(11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삽입체(111)는 상기 외부용기(11)의 단부인 주입구(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형상의 삽입구조물이다.
이라한 삽입체(111)는 외부용기(10)의 외부에서 주입구(11)의 외부단인 상단을 통한 도면상 상부로부터 하부로의 대응삽입 및 상기 외부용기(10) 내부에서 주입구(11)의 내부단(2b)인 하단을 통한 도면상 하부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역방향으로의 역삽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주입구(11)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크기를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고무, 수지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체(111)는 상기 주입구(11)의 외부단과 내부단사이에 해당하는 길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착체(113)는 상기 삽입체(111)의 외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며, 일정두께를 갖는 링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밀착체(113)는 상기 삽입체(111)의 외부면과 상기 주입구(11)의 내부면사이에 개재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강제로 주입되어 채워지는 압축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실질적인 밀봉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밀착체(113)는 상기 주입구(11)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밀봉력을 발생시키도록 몸체외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113a, 113b)를 포함하며, 이러한 날개(113a,113b)는 상기 삽입체(111)의 상단 및 하단 외부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상의 갯수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날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체(111)의 외부면에는 역삽입시 상기 주입구의 내부단으로 각 자유단이 향하도록 접혀진 밀착체인 날개(113a,113b)와 접하여 상기 삽입체(111)의 전체외경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호형단면을 갖는 링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5)는 상기 주입구와 삽입체사이에서의 밀봉력을 가일층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날개의 형성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체(111)는 길이중간에 일방향 체크밸브(117)를 갖는 유체유체공급라인(116)을 형성하며, 상기 유체공급라인의 일단인 상단에는 후술하는 주입장치(200)의 연결부재(201)가 연결되거나 후술하는 주입라인의 단부가 연결되거나 후술하는 분사체가 연결되는 연결공(116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공급라인(116)의 길이중간에 구비되는 일방향 체크밸브는 상기 유체공급라인을 통하여 외부공기의 내부로 압축공기의 강제공급을 일방향으로 허락하는 밸브부재이며, 상기 연결공은 연결부재, 주입라인 및 분사체와의 착탈결합이 용이하도록 암나사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마개체의 일단인 하부단에는 입구단인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내부용기(2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용기(20)는 고무와 같이 탄성신축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은 내부마개체(110)의 하단에 초음파 융착과 같은 접합방식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되거나 별도의 연결부재(121)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용기(20)는 상기 유체공급라인(116)을 통하여 강제 주입되는 내용물에 의해서 부피가 서서히 팽창되는 것이다.
상기 내부 마개체(110)를 삽입배치하는 단계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용기(10)의 내부공간에 내부용기(20)가 배치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주입구(11)를 통하여 상기 내부용기를 갖는 내부 마개체(110)를 대응삽입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즉, 상기 외부용기(10)의 개방된 주입구를 통하여 상기 내부 마개체에 구비딘 내부용기(20)를 대응삽입한 다음, 상기 내부 마개체(110)의 삽입체(111)를 상기 외부용기(10)의 외부에서 주입구(11)의 외부단인 상단을 통하여 상부로부터 하부로의 대응삽입하게 되면, 상기 삽입체(113)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된 날개체(113a)는 자유단이 상부로 젖혀지면서 상기 주입구의 내부면과 삽입체의 외부면사이에 밀착된다.
상기 내부 마개체를 진입시키는 단계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마개체(110)와 결합되는 주입장치(120)에 의해서 상기 내부 마개체 전체 또는 내부 마개체의 일부를 상기 주입장치(120)에 구비되는 주입라인(122)을 통한 압축공기와 같은 유체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로 진입시키는 것이다.
상기 주입장치(120)는 상기 내부 마개체의 삽입체에 형성되는 연결공(116a)과 대응결합되는 연결턱(123)을 하부단에 형성하고, 압축공기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주입라인(122)을 몸체 내부에 관통형성하며, 상기 주입라인으로부터 연장된 토출단(122a)이 외부면에 노출되는 일정길이의 연결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공(116a)과 연결턱(123)이 연결된 연결부재(121)을 외력에 의해서 수직방향인 직하부로 하강시키면, 상기 주입구의 내부면에 삽입배치된 내부 마개체(110)의 삽입체(111)는 밀착체(113)와 더불어 하강하게 되며, 제1,2날개체로 이루어지는 밀착체(113)가 외부용기의 내부에서 노출되면서 상기 주입구의 내부면과 접하여 상부로 젖혀져 있던 날개체는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서 탄성 복원되어 수평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 마개체(110)와 연결된 주입장치(120)의 하강작동은 상기 연결부재(121)와 결합되는 안내부재(124)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안내부재(124)는 상기 연결부재(121)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공(124a)을 몸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안내공(124a)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주입구(11)와 결합되는 결합공(124b)을 관통형성한다.
이때, 상기 결합공(124b)에는 상기 주입구의 외부면에 수나사부(11a)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안내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하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외부용기의 주입구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내공(124a)과 결합공(124b)사이에는 상기 주입라인을 통한 압축공기의 강제주입시 상기 안내부재와 안내공사이의 간격을 통한 압축공기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도록 패킹부재(125)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공의 내부면에는 상기 안내부재의 외부면과 접하여 압축공기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는 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용기(10)의 주입구(11)를 밀봉하는 단계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마개체(110)와 연결된 주입장치(120)의 하강에 의해서 내부 마개체(110)를 외부용기의 내부에 진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주입장치의 연결부재에 형성된 주입라인(의 입구단과 압축공기공급라인을 연결한 다음 상기 주입라인을 통하여 압축공기와 같은 유체를 공급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 외부면에 노출되는 토출단을 통하여 토출되는 압축공기는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공간으로 압축공기가 강제 주입되면서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압은 서서히 상승시키고, 상승되는 내부압에 의해서 상기 내부 마개체는 내부압에 기인하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주입구의 하단인 내부단을 통하여 내부진입된 내부마개체가 역삽입되도록 상승복귀되면서 상기 외부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것이다.
즉, 상기 외부공기의 내부압이 상승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외력이 상기 외부공기의 주입구 내부단에 위치하는 내부 마개체에 전달되면, 상기 내부 마개체의 상단은 유일통로인 주입구의 내부단으로 진입되면서 서서히 상승복귀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마개체의 삽입체 외부면에 형성된 날개체는 자유단이 내부용기측으로 젖혀지면서 상기 삽입체에 돌출형성된 돌출부(115)와 접해지기 때문에 상기 주입구의 내부로 역진입되는 삽입체의 전체적인 외경을 증대시켜 상기 주입구(11)를 자연스럽고 완벽하게 밀폐하는 밀봉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마개체(110)의 역진입에 의해서 주입구(11)가 밀봉처리된 외부용기(10)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 마개체(110)에 상단이 일체로 연결된 내부용기가 잔류하게 된다.
상기 내부용기(20)의 내부로 내용물을 주입하여 충전하는 단계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용기의 주입구가 역진입된 내부 마개체에 의해서 밀봉처리되고, 상기 주입구에 결합된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공에 조립된 연결부재를 갖는 주입장치를 분리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 마개체의 삽입체(111)에 형성되고, 일방향 체크밸브를 길이중간에 갖는 유체공급라인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입장치의 분리해제에 의해서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외부노출되는 내부개체의 유체공급라인(116)은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품과 같은 내용물을 공급하는 내용물 공급라인(30)의 단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내용물 공급라인(30)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구(32)는 상기 유체공급라인(116)에 형성되는 연결공(116a)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내용물 공급라인과 연결된 유체공급라인(116)을 통하여 내부용기의 내부로 강제공급되는 내용물은 상기 외부용기(10)의 내부에 강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서 발생하는 내부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공급압력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신축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내부용기(20)는 강제공급되어 채워지는 내용물의 공급량에 맞추어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공간에서 서서히 부피팽창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부용기(20)에 강제 공급되는 내용물의 충전량은 상기 외부용기(10)에 채워진 압축공기에 기인하는 가압력이 부피팽창된 내부용기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서 서서히 부피팽창되는 내부용기의 외부면이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면과 접하지 않을 정도의 내용물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10)의 내부에서 강제공급되는 내용물에 의해서 부피팽창되는 내부용기(20)는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외부공기와 내부용기사이에 채워지는 압축공기와 더불어 상기 내부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외부용기(10)에 분사체(130)를 결합하는 단계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체의 유체공급라인에 구비되는 일방향 체크밸브(117)를 개폐작동시키는 누름부재(132)를 갖는 분사체(130)를 준비한 다음, 상기 누름부재(132)가 유체공급라인(116)과 연결되도록 상기 분사체(130)를 외부용기와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분사체(130)는 상기 유체공급라인의 입구단에 형성되는 연결공(116a)과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연결부재(131)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공급라인의 출구단에 구비되는 일방향 체크밸브(117)와 접하여 누름조작시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연결부재를 상하작동되는 누름부재(132a)를 하부단에 구비하는 누름손잡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손잡이(132)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하강되는 누름부재의 단부와 접하게 되는 체크밸브(117)는 개방되며, 상기 체크밸브의 개방작동에 의해서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공간에 충전된 내용물은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공기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압축공기에 기인하는 내부압에 의해서 개방된 체크밸브(117)를 통하여 누름손잡이에 구비되는 토출단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누름손잡이(132)의 누름조작 중단에 의해서 상승복귀되는 누름부재에 의해서 상기 체크밸브(117)는 닫힘상태를 전환되어 이를 통한 내용물의 배출은 중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사체(130)는 상기 외부용기(10)의 주입구(11)에 형성되는 수나사부(11a)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주입구(11)에 삽입된 삽입체를 덮으면서 주입구의 외부단을 밀봉하는 외부 마개체(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외부용기
11 : 주입구
20 : 내부용기
30 : 내용물 공급라인
110 : 내부마개체
111 : 삽입체
113 : 밀착체
116 : 유체공급라인
117 : 일방향 체크밸브
120 : 주입장치
121 : 연결부재
122 : 주입라인
123 : 연결턱
124 : 안내부재
124a : 안내공
124b : 결합공
125 : 패킹부재
130 : 분사체
131 : 연결체

Claims (1)

  1.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를 갖는 외부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내부용기가 일체로 구비하는 내부 마개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내부용기가 배치되도록 상기 주입구에 상기 내부 마개체를 삽입배치하는 단계 ;
    상기 내부 마개체와 결합되고 주입라인을 갖는 주입장치에 의해서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로 상기 내부 마개체를 진입시키는 단계 ;
    상기 주입장치에 의해서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공간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압에 상승시키고, 상승되는 내부압에 의해서 상기 내부 마개체를 상승복귀시켜 상기 외부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단계 ;
    상기 내부 마개체에 형성되고, 일방향 체크밸브를 갖는 공급라인을 통하여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로 내용물을 주입하여 충전하는 단계 ; 및
    상기 일방향 체크밸브를 개폐작동시키는 누름부재를 갖는 분사체를 준비한 다음, 상기 누름부재가 유체공급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외부용기에 분사체를 결합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이중용기 제조방법.
KR1020170033186A 2017-03-16 2017-03-16 이중용기 제조방법 KR20180105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186A KR20180105894A (ko) 2017-03-16 2017-03-16 이중용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186A KR20180105894A (ko) 2017-03-16 2017-03-16 이중용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894A true KR20180105894A (ko) 2018-10-01

Family

ID=6387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186A KR20180105894A (ko) 2017-03-16 2017-03-16 이중용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58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137A (ko) 2021-05-10 2022-11-18 (주) 올리브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이중용기 제조방법 및 이중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137A (ko) 2021-05-10 2022-11-18 (주) 올리브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이중용기 제조방법 및 이중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002B1 (ko)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토출구조
EP3186166B1 (en) Pressure control device, dispenser comprising said press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03648923B (zh) 具有用于将添加剂引入到容器的内含物中的机构的容器封闭装置
JP2004537008A (ja) エアゾールバルブアセンブリ及びエアゾール容器
JP6437369B2 (ja) 二重容器
CN103442996A (zh) 用于气雾剂容器的阀门
US10160592B2 (en) Two-liquid discharge container
CN109415145B (zh) 具有将添加剂引入到容器中的液体中的机构的容器封闭件
US20080315533A1 (en) Inflatable sealing device for a molding tool
US20180312328A1 (en) Discharge container and method of reusing the same
JP5965742B2 (ja) 吐出容器
US10968032B2 (en) Refill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product
JP2015030493A (ja) 吐出容器
JP2016016896A (ja) 多層吐出容器
CN108378744B (zh) 一种挤压式泡沫泵
KR20180105894A (ko) 이중용기 제조방법
WO2011070690A1 (ja) 噴射剤の充填装置
EP2877292B1 (en) System for dispensing a foam of a fluid product
EP3571137B1 (en) Propellant-free continuous dispenser
KR101803661B1 (ko) 용기
JP5281761B2 (ja) 加圧容器、燃料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燃料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JP3563172B2 (ja) 積層剥離容器における初期デラミ空気の排出方法と排出装置
CN217130951U (zh) 一种压力容器的密封结构
JP5001680B2 (ja) チューブ容器用の加圧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圧式チューブ製品
CN214404137U (zh) 一种打气出液盖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