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661B1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661B1
KR101803661B1 KR1020160174489A KR20160174489A KR101803661B1 KR 101803661 B1 KR101803661 B1 KR 101803661B1 KR 1020160174489 A KR1020160174489 A KR 1020160174489A KR 20160174489 A KR20160174489 A KR 20160174489A KR 101803661 B1 KR101803661 B1 KR 101803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essure
contents
inflow
main bod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호
Original Assignee
정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호 filed Critical 정승호
Priority to KR1020160174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23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45D40/02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consisting of a movable stri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된 내용물을 완전히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하단에 배출구가 구비되며,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가압하여 공기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압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에서 발생시킨 공기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내용물을 상기 배출구로 밀어내기 위한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장된 내용물을 완전히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는 치약, 샴푸, 바디클렌저, 스킨이나 로션 등 다양한 액체 또는 겔 상태의 물질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액체 또는 겔 상태의 물질들은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용기에 각각 수용된 상태로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6438호(2006.05.09 등록)는 액상 또는 시럽형태를 갖는 겔 상의 내용물을 토출시켜주기 위한 펌프 디스펜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임의 형상의 용기의 입구에 밀봉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 캡에 고정되게 관통 결합되며 내부의 볼시트에 구형의 체크 볼이 안착되고 상단에 체크볼 스톱퍼가 결합 설치되는 지지관체와, 상기 지지관체의 하단에 튜브가 결합 설치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체의 내부와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와 연통되는 상태로 하부에 일체로 횡으로 연결 구성되며 저부에 하향되는 토출구를 갖는 노즐체와;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스프링 설치공간이 마련되도록 이격되게 구성되며 상단에 외향으로 돌출되는 밀폐링을 구비하는 지지관과; 상기 실린더의 내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과 일체로 결합되는 피스톤 샤프트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시버튼과; 상기 스프링 설치공간내에 설치되는 상태에서 푸시버튼에 상향으로의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기 위한 복귀 스프링과; 상기 노즐체의 단부에 체결되고 내, 외부를 연결하는 통기공을 구비하는 캡과; 상기 토출구를 기준으로 노즐체의 내측에서 유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노즐체와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시켜 주기 위한 체크밸브와; 상기 캡과 체크밸브의 사이에 설치되어 체크밸브에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기 위한 밸브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82733호(2000.03.08 등록)는 치약 또는 본드, 의약품 연고, 건축용 자재를 용기에 넣어 사용시 중간부분을 눌러도 용기 아래쪽 즉 후방부로 내용물이 쏠리지 않는 구조의 튜브형 용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의약품의 연고, 치약, 접착제 등의 내용물을 담아 눌러 짜서 사용할 수 있는 뚜껑이 있는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 본체부의 외피두께가 출구쪽 보다 그 반대쪽 후방부의 외피두께가 내측으로 더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용기는 내용물이 용기로부터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 잔류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점성이 높은 내용물의 경우에 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6438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8273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압력을 발생시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한 용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하단에 배출구가 구비되며,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가압하여 공기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압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에서 발생시킨 공기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내용물을 상기 배출구로 밀어내기 위한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입구가 개방되고 공기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피스톤부로 유입시켜 주기 위한 유입부재; 및 상기 유입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가압시 압축되어 공기압력을 발생시켜 상기 유입부재로 전달하며, 가압 해제시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주름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주름관부재는, 상단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가압 해제시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받기 위한 공기유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압부는, 가압시 공기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누름부재; 일측이 상기 누름부재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일측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부면에 지름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잔량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잔량확인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투명하게 형성되어,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명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잔량확인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재; 상기 온도감지부재에서 감지된 온도를 전달받아 비교하여, 차이가 발생되는 부분을 알려주기 위한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재; 및 상기 제어부재에서 발생시킨 알림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알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는,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본체부재; 및 상기 가압부의 하단에 체결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구에 결합되어,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압력을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이 잔류하지 않도록 완전하게 배출하여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점성이 높은 내용물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가압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가압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가압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가압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피스톤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있는 잔량확인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본체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용기(10)는, 본체부(100), 가압부(200), 피스톤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내부에 내용물(예를 들어, 치약, 샴푸, 바디클렌저, 스킨이나 로션 등 다양한 액체 또는 겔 상태의 물질)을 저장하며, 하단에 배출구(101)가 구비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재 등)로 형성하여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다.
가압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되며, 가압하여 공기압력을 발생시켜 피스톤부(3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압부(200)는, 하부 외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체결 형성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어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피스톤부(3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가압부(200)에서 발생시킨 공기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내용물을 배출구(101)로 밀어낸다.
일 실시 예에서, 피스톤부(300)는, 본체부(100)에 저장된 내용물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가 가압부(200)를 가압하여 공기압력을 발생시킨 경우에 가압부(200)에서 발생시킨 공기압력을 전달받아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내용물을 배출구(101) 쪽으로 밀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스톤부(300)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내측면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며,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으며, 내용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용기(10)는, 가압부(200)를 가압하여 발생시킨 공기압력에 의해 피스톤부(300)가 슬라이드하면서 본체부(10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본체부(100)의 내부에 내용물이 잔류하지 않고 완전하게 배출하여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점성이 높은 내용물도 강한 힘을 가하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가압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가압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압부(200)는, 유입부재(210), 주름관부재(220)를 포함한다.
유입부재(210)는, 본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입구가 개방되고 주름관부재(210)에서 발생시킨 공기압력을 전달받아 피스톤부(300)로 유입시켜준다.
일 실시 예에서, 유입부재(210)는, 유입수단(211), 판(212), 스프링(213)으로 구성할 수 있다.
유입수단(211)은, 하부가 본체부(100)의 상단에 체결 형성되고 상부에 주름관부재(220)가 형성되며, 주름관부재(220)에서 발생시킨 공기압력을 피스톤부(300)로 전달하기 위한 유입홀(214)이 내부에 구비된다.
판(212)은, 유입홀(214)의 하부에 해당하는 유입수단(211)의 내부에 형성되며, 평상시에는 스프링(213)에 의해 유입홀(214)을 막고 있다가 가압부(200)로부터 공기압력이 전달되는 경우에 스프링(213)이 압축되면서 하부로 이동하여 유입홀(214)을 개방시켜준다.
스프링(213)은, 판(212)의 하부와 유입수단(211)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판(21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주름관부재(220)는, 유입부재(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가압시 압축되면서 공기압력을 발생시켜 유입부재(210)로 전달하며, 가압 해제시 탄성력에 의해 복원된다.
일 실시 예에서, 주름관부재(220)는 하단부가 개방되어 공기압력을 유입부재(21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름관부재(220)는, 유입부재(21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끼움 형성하거나, 유입부재(210)의 상부면에 접착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름관부재(220)는, 탄성력을 가지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름관부재(220)는, 상단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가압 해제시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받기 위한 공기유입홀(22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압시에는 공기유입홀(221)을 막은 상태로 주름관부재(220)를 가압하여 공기압력을 발생시키며, 가압 해제시 공기유입홀(221)을 막은 손을 떼면 공기유입홀(221)을 통해 주름관부재(22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주름관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가압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압부(200)는, 누름부재(230), 탄성부재(240), 거치부재(250)를 포함한다.
누름부재(230)는, 하부로 가압하여 공기압력을 발생시키며, 가압 해제시 탄성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된다.
일 실시 예에서, 누름부재(230)는, 가운데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231)을 형성하여 가압 해제시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받을 수 있다. 즉, 가압시에는 관통공(231)을 막은 상태로 누름부재(230)를 가압하여 공기압력을 발생시키며, 가압 해제시 관통공(231)을 막은 손을 떼면 관통공(231)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서 탄성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탄성부재(240)는, 일측이 누름부재(230)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거치부재(250)에 고정 설치되어, 누름부재(23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거치부재(250)는, 본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되어, 탄성부재(240)의 다른 일측을 거치시킨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가압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압부(200)는, 유입부재(290), 주름관부재(260), 통공(270), 밸브막(280), 유입공(281)을 포함한다.
유입부재(290)는, 본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되며, 주름관부재(260)에서 발생시킨 공기압력을 피스톤부(300)로 유입시킨다.
주름관부재(260)는, 유입부재(290)의 상부에 형성되며, 가압시 압축되어 공기압력을 발생시켜 유입부재(290)로 전달하며, 가압 해제시 탄성력에 의해 복원된다.
일 실시 예에서, 주름관부재(260)는 하단부가 개방되어 공기압력을 유입부재(29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름관부재(260)는, 유입부재(29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끼움 형성하거나, 유입부재(290)의 상부면에 접착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름관부재(260)는, 탄성력을 가지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름관부재(260)는, 상단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가압 해제시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받기 위한 공기유입홀(26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압시에는 공기유입홀(261)을 막은 상태로 주름관부재(260)를 가압하여 공기압력을 발생시키며, 가압 해제시 공기유입홀(261)을 막은 손을 떼면 공기유입홀(261)을 통해 주름관부재(26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주름관부재(260)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통공(270)은, 유입부재(290)의 내부에 형성되어, 주름관부재(260)에서 발생시킨 공기압력을 피스톤부(300)로 전달한다.
밸브막(280)은, 통공(270)의 하부에 형성되어, 도 5의 (a)와 같이 주름관부재(260)를 가압시 통공(270)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압력에 의해 밀려나 통공(270)과 떨어지고, 도 5의 (b)와 같이 주름관부재(260)를 가압 해제시 통공(270)과 밀착되어 공기의 누출이 차단된다.
일 실시 예에서, 밸브막(280)은, 밀착력 있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등)로 형성할 수 있으며, 얇은 원형막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유입공(281)은, 밸브막(280)의 양단에 형성되어, 통공(270)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압력을 밸브막(280)의 양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피스톤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피스톤부(300)는, 돌기라인(310)을 포함한다.
돌기라인(310)은, 피스톤부(300)의 상부면에 지름방향으로 다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가압부(200)에서 발생시킨 공기압력을 전달받아, 공기압력이 양쪽으로 퍼지도록 하면서 공기압력을 골고루 분산시킨다. 이에 따라, 피스톤부(300)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일직선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기라인(310)은, 공기압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재 등)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용기(10)는, 본체부(100), 가압부(200), 피스톤부(300), 잔량확인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가압부(200), 피스톤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잔량확인부(400)는, 본체부(100)에 저장된 내용물의 잔량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잔량확인부(40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투명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내용물의 잔량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투명창은 본체부(10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있는 잔량확인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잔량확인부(400)는, 온도감지부재(410), 제어부재(420), 알림부재(430)를 포함한다.
온도감지부재(410)는, 본체부(100)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본체부(100)의 온도를 감지한다.
제어부재(420)는, 온도감지부재(410)에서 감지된 온도를 전달받아 서로 비교하며, 차이가 발생되는 부분을 알려주기 위한 알림신호를 발생시켜 알림부재(43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420)는, 온도의 차이가 발생되는 위치에 형성된 알림부재(430)로 알림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내용물이 있는 부분의 본체부(100)의 온도는 내용물에 의해 동일하며, 내용물이 없는 부분의 본체부(100)는 그 온도가 다르므로 온도 차이가 발생되는 부분까지 내용물이 잔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체부(100)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부분이 내용물이 없는 부분이며, 본체부(100)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부분이 내용물이 없는 부분일 수 있다.
알림부재(430)는, 제어부재(420)에서 발생시킨 알림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재(430)는, 온도감지부재(410)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본체부(100)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제어부재(420)로부터 알림신호를 전달받아 발광하면서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LED일 수 있다. 즉, LED가 발광하는 부분까지 잔량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잔략확인부(400)는, 배터리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재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잔략확인부(400)의 각 구성요소(온도감지부재(410), 제어부재(420), 알림부재(43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9는 도 1에 있는 본체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본체부재(110), 케이스부재(120)를 포함한다.
본체부재(110)는,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하고 그 위로 피스톤부(3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케이스부재(120)의 내측에 수납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재(110)는, 가압부(200)의 하단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부재(120)는, 가압부(200)의 하단에 체결 결합되며, 내부에 본체부재(110)를 수납한다. 이때, 온도감지부재(410), 제어부재(420), 알림부재(430)를 케이스부재(120)에 형성할 수 있으며, 본체부재(110)에 저장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경우에 본체부재(110)만 교체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용기(10)는, 본체부(100), 가압부(200), 피스톤부(300), 뚜껑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가압부(200), 피스톤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뚜껑부(500)는, 배출구(101)에 결합되어, 본체부(100)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뚜껑부(500)는,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배출구(101)와 나사 결합할 수 있으며, 내부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뚜껑부(500)에 결합하는 등 다양한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배출구(101)에 결합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용기
100 : 본체부
101 : 배출구
110 : 본체부재
120 : 케이스부재
200 : 가압부
210, 290 : 유입부재
211 : 유입수단
212 : 판
213 : 스프링
214 : 유입홀
220, 260 : 주름관부재
221, 261 : 공기유입홀
230 : 누름부재
231 : 관통공
240 : 탄성부재
250 : 거치부재
270 : 통공
280 : 밸브막
281 : 유입공
300 : 피스톤부
310 : 돌기라인
400 : 잔량확인부
410 : 온도감지부재
420 : 제어부재
430 : 알림부재
500 : 뚜껑부

Claims (10)

  1. 하단에 배출구가 구비되며,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가압하여 공기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압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에서 발생시킨 공기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내용물을 상기 배출구로 밀어내기 위한 피스톤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입구가 개방되고 공기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피스톤부로 유입시켜 주기 위한 유입부재; 및 상기 유입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가압시 압축되어 공기압력을 발생시켜 상기 유입부재로 전달하며, 가압 해제시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주름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부재는, 상기 주름관부재에서 발생시킨 공기압력을 상기 피스톤부로 전달하기 위한 유입홀을 내부에 구비한 유입수단; 평상시에 상기 유입홀을 막고 있다가, 상기 주름관부재에서 발생시킨 공기압력이 전달되는 경우에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유입홀을 개방시켜 주는 판; 및 상기 판의 하부와 상기 유입수단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주름관부재는, 상단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가압 해제시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받기 위한 공기유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부면에 지름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잔량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확인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재;
    상기 온도감지부재에서 감지된 온도를 전달받아 비교하여, 차이가 발생되는 부분을 알려주기 위한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재; 및
    상기 제어부재에서 발생시킨 알림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알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본체부는,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본체부재; 및
    상기 가압부의 하단에 체결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결합되어,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60174489A 2016-12-20 2016-12-20 용기 KR10180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489A KR101803661B1 (ko) 2016-12-20 2016-12-20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489A KR101803661B1 (ko) 2016-12-20 2016-12-20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661B1 true KR101803661B1 (ko) 2017-11-30

Family

ID=6081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489A KR101803661B1 (ko) 2016-12-20 2016-12-20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6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111A (ko) * 2019-05-27 2020-12-07 (주) 이루팩 펌프식 이종 내용물 용기
WO2021091023A1 (ko) * 2019-11-08 2021-05-14 정상열 고밀도 액상 화장품용기
KR102317966B1 (ko) 2021-06-10 2021-10-27 주식회사 수오가닉 두피마사지 알림기능을 포함하는 샴푸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47B1 (ko) * 2008-02-22 2010-09-10 주식회사 예찬 공기 펌프식 주름관을 포함하는 용기
KR101071101B1 (ko) * 2009-11-26 2011-10-10 이성환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47B1 (ko) * 2008-02-22 2010-09-10 주식회사 예찬 공기 펌프식 주름관을 포함하는 용기
KR101071101B1 (ko) * 2009-11-26 2011-10-10 이성환 화장품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111A (ko) * 2019-05-27 2020-12-07 (주) 이루팩 펌프식 이종 내용물 용기
KR102215446B1 (ko) * 2019-05-27 2021-02-16 (주)이루팩 펌프식 이종 내용물 용기
WO2021091023A1 (ko) * 2019-11-08 2021-05-14 정상열 고밀도 액상 화장품용기
KR102317966B1 (ko) 2021-06-10 2021-10-27 주식회사 수오가닉 두피마사지 알림기능을 포함하는 샴푸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661B1 (ko) 용기
KR20080113267A (ko) 토출 용기 및 점안 용기
CN1972861B (zh) 具有可变容积储存室的分配器和用于分配膏状物和其它物质的可下压的单向阀组件
US9802213B2 (en) Spray gun having internal boost passageway
US20140231462A1 (en) Metered dose squeeze dispenser
US9649650B2 (en) Mixing and dispensing device
MX2020008720A (es) Sistemas y metodos de dispensador de bebidas.
KR101622949B1 (ko) 압축기체 공급장치
CA2716003A1 (en) Disposable pump with suck-back mechanism
KR20140045943A (ko) 페이스트 액체 재료의 저압 분배용 장치의 폐쇄를 위한 기구
WO2008061041A3 (en) Multiple dose delivery device with manually depressible actuator and one-way valve for storing and dispensing substances, and related method
JP5144057B2 (ja) ベローズ型ポンプ
JP2007146834A5 (ko)
JP2016193749A (ja) 二重容器
CN104684654A (zh) 分配器的涂抹器头以及包括该涂抹器头的分配器
US9961981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illing pipette
KR102064062B1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20150019619A (ko) 자동충전 피펫장치
ES2848202T3 (es) Válvula de dispensación que incorpora una válvula de dosificación
GB2462820A (en) Pressure operated metering pump
US20240159580A1 (en) Dosing applicator for medical and non-medical containers
KR101584718B1 (ko) 단부 가압식 펌핑용기
KR20160102700A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CN220053262U (zh) 墨水容器
KR102297663B1 (ko) 펌프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