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856A -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 Google Patents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856A
KR20180105856A KR1020170033080A KR20170033080A KR20180105856A KR 20180105856 A KR20180105856 A KR 20180105856A KR 1020170033080 A KR1020170033080 A KR 1020170033080A KR 20170033080 A KR20170033080 A KR 20170033080A KR 20180105856 A KR20180105856 A KR 20180105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aby
opening
feeding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513B1 (ko
Inventor
황철현
라미
Original Assignee
다온글로벌 (주)
라미
황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온글로벌 (주), 라미, 황철현 filed Critical 다온글로벌 (주)
Priority to KR1020170033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51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5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8Containers joined together by screw-, bayonet-, snap-fi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생아 및 영,유아에게 모유나 분유 혹은 우유 등을 수유하기 위한 젖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젖병의 하단에 결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착탈식 보조수유통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수유통은 회전을 통해 개폐되도록 하며, 상기 보조수유통이 결합되는 젖병의 하단에는 별도의 개폐마개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분유 등의 각종 내용물을 수유하는 도중 추가 수유가 필요한 경우 기존과 같이 수유 중인 젖병을 빼앗아 다시 분유를 타서 먹이는 것이 아니라 수유 도중 젖병의 후측에 내용물을 갖는 보조수유통을 결합한 후 보조수유통을 개방하여 수유 중인 젖병의 내부로 흘러들어가므로 수유 중단없이 연속적인 추가 수유가 가능한 것이고, 수면 중 수유 혹은 칭얼거리거나 우는 아이에게 수유하는 경우에도 필요한 경우 수유 중단없이 계속적인 추가 수유가 가능하므로 심리적인 안정은 물론 숙면을 유도하여 스트레스 없는 수유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야외에서도 간편하게 장착하여 휴대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Continuous feeding baby bottle}
본 발명은 신생아 및 영,유아에게 모유나 분유 혹은 우유 등을 수유하기 위한 젖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젖꼭지를 갖는 젖병의 하단에 착탈식 보조수유통을 결합 형성하되, 상기 보조수유통은 회전을 통해 상기 젖병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젖병을 이용한 수유 도중 추가 수유가 필요한 경우 보조수유통을 이용하여 수유를 중단하지 않고도 연속하여 분유 등을 먹일 수 있도록 한 젖병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은 수유가 필요한 신생아 및 영아와 유아에게 장소와 관계없이 더욱 간편하게 분유 등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젖병 용기의 상부에는 젖꼭지가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젖꼭지의 상부에는 별도 구비의 마개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의 내부에 분유나 우유 등을 적당한 온도로 타서 상기 마개를 분리시킨 후 영,유아에게 젖꼭지를 물려 이를 통해 분유 등이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수유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젖병은 실용신안공고 제1991-0002702호와 같이 젖병의 바닥면을 내면으로 상향 요입되게 요함부를 형성하여 보조젖꼭지를 수납한 캡체를 끼워 보조젖꼭지가 수납될 수 있게 하고, 그 하부를 간이 컵 겸 밀폐 캡을 끼워주어 구성된 컵과 보조젖꼭지 수납부를 가진 젖병이 안출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213565호와 같이 중앙에 흡기가 가능한 보스가 형성되는 흡기캡을 젖병 본체의 하부에 결합시키고, 복수 개의 공기구멍이 뚫려 있는 보조흡기캡을 흡기캡의 중앙 안쪽에서 일정한 크기의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액밀하게 부착시키며, 흡기패드를 보조흡기캡의 상면에 밀착시켜 젖병 본체 내에 작용하는 흡입력에 따라 공기구멍을 개방시키도록 한 흡기공을 갖는 젖병에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32520호와 같이 젖병의 저면을 통해 선택적으로 공기가 유입되어질 수 있는 개폐구조가 밑판에 구성되어 있어 수유중에는 공기가 젖병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아기의 배알이를 방지해 주며, 뜨거운 우유를 식히기 위해 찬물에 담가두고자 하는 경우에는 밑판을 차단시켜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아기 젖병이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74998호와 같이 병체와 분유통이 동일 소재로 이루어지고 결합에 의해 동일체의 젖병을 이루어짐으로, 젖병에 따로 분유를 넣을 필요없이 물만 부어 우유를 만들 수 있어 야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분유통의 하부에 연속해서 필요한 분유통을 체결하여 분유를 수납할 수도 있으며, 하부마개의 활용에 의해 보조 분유통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구조의 나들이용 우유 젖병이 등록된 바 있다.
이처럼 기존의 젖병은 내용물이 보다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다양한 보조 도구 등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젖병은 일정한 크기와 일정한 용량을 갖고 만들어지는 것으로 영유아에게 젖병을 이용한 수유를 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부족한 경우에는 젖병을 가져와 새롭게 내용물을 타서 먹이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영유아는 수유가 일시적으로 중단되기 때문에 칭얼거리거나 울게 되는 것이고, 수면 상태에서 수유를 하는 경우 수유 중단으로 인해 잠이 깨거나 깊은 잠에 이르지 못하므로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유 중 추가로 분유 등을 더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아기가 물고 있던 젖꼭지나 젖병 등을 보호자가 손으로 직접 만지게 되므로 위생상으로도 좋지 못한 것이다.
특히, 야외 혹은 이동 중에 수유를 하고자 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젖병과 간이 분유통 및 온수를 함께 가지고 다니게 되는데, 이들은 모두 개별적으로 구분 제작되어 있어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것이고, 계량된 간이 분유통의 내용물을 젖병에 쏟아 부은 상태에서 온수를 넣고 흔들어 제공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것이 사실이며, 차량 내에서는 요동으로 인해 분유 혹은 온수 등을 바닥에 흘리거나 쏟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고 제1991-0002702호 (1991.04.26.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20-0213565호 (2000.12.04 등록) 등록실용신안 제20-0332520호 (2003.10.29. 등록) 등록실용신안 제20-0374998호 (2005.01.26.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젖병의 하단에 결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착탈식 보조수유통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수유통은 회전을 통해 개폐되도록 하며, 상기 보조수유통이 결합되는 젖병의 하단에는 별도의 개폐마개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젖병을 이용한 수유 중 추가 수유가 필요한 경우 수유 상태에서 젖병의 개폐마개를 제거한 후 젖병의 하단에 내용물을 갖는 보조수유통을 결합한 후 상기 보조수유통을 개방하여 내용물이 젖병으로 옮겨지도록 하여 수유 중단없이 연속적인 수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젖병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젖꼭지가 결합되는 젖병에 있어서, 상기 젖병의 하단 중앙에는 관통의 유입공을 갖는 요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유입공에 별도 구비의 개폐마개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젖병의 하측에는 별도 구비된 보조수유통을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하되,
상기 보조수유통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배출공을 형성하여 개방 상태의 상기 배출공을 통해 보조수유통의 내용물이 상기 유입공을 통해 젖병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유 등의 각종 내용물을 수유하는 도중 추가 수유가 필요한 경우 기존과 같이 수유 중인 젖병을 빼앗아 다시 분유를 타서 먹이는 것이 아니라 수유 도중 젖병의 후측에 내용물을 갖는 보조수유통을 결합한 후 보조수유통을 개방하여 수유 중인 젖병의 내부로 흘러들어가므로 수유 중단없이 연속적인 추가 수유가 가능한 것이고, 수면 중 수유 혹은 칭얼거리거나 우는 아이에게 수유하는 경우에도 필요한 경우 수유 중단없이 계속적인 추가 수유가 가능하므로 심리적인 안정은 물론 숙면을 유도하여 스트레스 없는 수유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야외에서도 간편하게 장착하여 휴대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전체 저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전체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요부 확대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요부 확대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보조수유통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5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5의 "B"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5의 "C"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을 이용한 수유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을 이용한 수유 중 보조수유통의 결합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을 이용한 수유 중 보조수유통의 회전 작동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전체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전체 저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전체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요부 확대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요부 확대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보조수유통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젖병은 기존의 다양한 젖병과 마찬가지로 젖병(10)의 상측이 개방되어 있고 젖병(10)의 상단에는 체결캡 등을 이용하여 연질 탄력재로 된 젖꼭지(11)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젖병(10)의 저면에 별도로 구비된 개폐마개(2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젖병(10)의 하측에는 별도 구비의 보조수유통(30)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개폐마개(20)를 제거하여 젖병(10)의 하단이 개방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수유통(30)을 회전 개방시켜 보조수유통(30) 내의 내용물이 젖병(1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함에 따라 연속 수유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젖병(10)의 저면에 상향의 요입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입부(13)에는 관통의 유입공(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전기한 개폐마개(20)는 상기 유입공(12)에 수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개폐마개(20)는 실리콘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연질 탄력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저면에는 손잡이(2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끼움홈(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끼움홈(22)으로 젖병(10)의 유입공(12) 내측단이 삽입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개폐마개(20)의 수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개폐마개(20)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21)를 잡아당겨 연질 탄력재인 개폐마개(20)가 변형되면서 상기 유입공(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개폐마개(20)는 손잡이(21)를 포함하여 모든 부분이 상기 젖병(10)의 요입부(13)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젖병(10)을 똑바로 세워 놓을 경우 개폐마개(20)는 바닥면과 간섭되지 아니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전혀 없게 된다.
이어, 상기 보조수유통(30)은 상부가 개방된 하부몸체(40)와, 하측이 개방된 상부몸체(50) 및 상부몸체(50)의 상측으로 밀착 결합되는 체결개폐구(60)로 분리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하부몸체(40)는 선단에 끼움턱(41)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턱(41)의 외면에는 상,하로 이격 형성된 수밀링(42)이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상부몸체(50)는 하측 내면에 끼움홈(51)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으로는 회전안내부(53)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안내부(53)의 외면에는 체결홈(5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50)의 중앙부에는 적어도 2개체 이상의 배출공(31)(31')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공(31)(31')은 평면상 원형인 상부몸체(50)의 원중심으로부터 편심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 체결개폐구(60)는 중앙에 상기 배출공(31)(31')과 대응하는 위치에 개방공(61)(61')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하부 내측에 체결턱(62)이 돌출 형성된 회전파지부(6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개방공(61)(61')이 내측에 위치한 결합돌부(64)가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결합돌부(64)의 외면에는 수밀링(65)이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부몸체(40)와 상부몸체(50)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하부몸체(40)의 끼움턱(41)을 상부몸체(50)의 끼움홈(51)에 삽입하되, 상호 삽입과정에서 끼움턱(41)에 결합된 수밀링(42)이 압축되면서 강제 압입에 의해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수밀링(42)의 압축으로 인해 하부몸체(40)와 상부몸체(50) 간의 결합부에는 수밀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부몸체(50)와 체결개폐구(60)의 결합은 도 8의 도시와 같이 체결개폐구(60)의 체결턱(62)이 상부몸체(50)의 체결홈(52)으로 압입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50)와 체결개폐구(60)는 체결턱(62)과 체결홈(52)에 의한 계지 결합으로 인해 상호 회전 가능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상기 상부몸체(50)와 체결개폐구(60)를 각기 파지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개체를 회전시키거나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은 회전 과정에서 상부몸체(5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공(31)(31')과 체결개폐구(60)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공(61)(61')이 서로 일치하면서 보조수유통(30)을 개방시키거나, 이들 배출공(31)(31')과 개방공(61)(61')이 서로 엇갈려 불일치됨에 따라 보조수유통(30)은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개폐구(60)를 젖병(10)에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체결개폐구(6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돌부(64)를 젖병(10) 저면의 요입부(13)에 끼워넣으면 되는 것인데, 상기 결합돌부(64)의 외면에는 연질 탄력재로 된 수밀링(65)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밀링(65)의 압축에 의해 상호 견고한 밀착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수밀링(65)으로 인해 상호 수밀 상태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10의 도시와 같이 젖병(10)으로부터 보조수유통(30)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젖병(10)을 이용하여 수유를 일반적으로 하면 되는 것이고, 추가 수유가 필요하다 판단되는 경우 젖병(10) 내부의 내용물이 모두 소진되기 전 보조수유통(30)을 이용하여 추가 내용물을 적당한 온도로 간편하게 준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젖병(10)의 내용물이 모두 소진되기 전, 도 11의 도시와 같이 젖병(10) 하단의 개폐마개(20)를 젖병(10)으로부터 제거한 후, 젖병(10)의 하단에 보조수유통(30)의 체결개폐구(60)를 압입 고정시키면 되는 것인데, 이때의 보조수유통(30)은 배출공(31)(31')과 개방공(61)(61')이 서로 엇갈려 밀폐된 상태여야 할 것이다.
이어, 도 12의 도시와 같이 보조수유통(30)의 상부몸체(50)와 체결개폐구(60)를 각각 파지한 후 이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서로 엇갈려 있던 배출공(31)(31')과 개방공(61)(61')은 정확하게 일치하면서, 보조수유통(30) 내부의 내용물은 젖병(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고, 내용물의 추가 유입으로 인해 아기는 수유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분유 등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와 같은 보조수유통(30)에 의한 1차 추가 수유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다시 추가 수유가 필요한 경우라면 상기 젖병(10)으로부터 보조수유통(30)를 분리시킨 후 분리된 보조수유통(30)에 내용물을 다시 채워넣고 이를 상기의 젖병(10)에 결합한 후 보조수유통(30)을 회전시켜 내용물이 젖병(10)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면 연속적인 추가 수유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젖병(10)은 젖병(10)의 하단이 개폐마개(20)에 의해 완전히 개방되므로 젖병(10) 내부에 대한 세척이 매우 청결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보조수유통(30) 역시 하부몸체(40)와 상부몸체(50)로 분리되므로 보조수유통(30)의 내부 역시 청결하게 세척 및 관리할 수 있는 것이며, 젖병(10)과 보조수유통(30) 간의 결합 및 보조수유통(30) 자체의 결합과 분리가 모두 압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호 간편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또한, 상호 압입에 의한 결합으로 인해 수유 중인 아기에게 최대한 방해되지 않게 추가 수유할 수 있는 것이고, 상호 간의 수밀 효과도 우수하여 수유 도중 내용물이 새어나오거나 휴대 과정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젖병은 수유 도중 추가 수유가 필요한 경우 수유를 중단하지 않고도 연속적인 추가 수유가 가능한 것은 물론 젖병 및 보조수유통에 대한 간편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젖병 및 보조수유통에 대한 위생적인 사용과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젖병 11 : 젖꼭지
12 : 유입공 13 : 요입부
20 : 개폐마개 21 : 손잡이
22 : 끼움홈
30 : 보조수유통 31,31' : 배출공
40 : 하부몸체 41 : 끼움턱
42 : 수밀링
50 : 상부몸체 51 : 끼움홈
52 : 체결홈 53 : 회전안내부
60 : 체결개폐구 61,61' : 개방공
62 : 체결턱 63 : 회전파지부
64 : 결합돌부 65 : 수밀링

Claims (6)

  1. 상부에 젖꼭지(11)가 결합되는 젖병(10)에 있어서,
    상기 젖병(10)의 하단 중앙에는 관통의 유입공(12)을 갖는 요입부(13)를 형성하여 상기 유입공(12)에 별도 구비의 개폐마개(20)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젖병(10)의 하측에는 별도 구비된 보조수유통(30)을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하되,
    상기 보조수유통(30)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배출공(31)(31')을 형성하여 개방 상태의 상기 배출공(31)(31')을 통해 보조수유통(30)의 내용물이 상기 유입공(12)을 통해 젖병(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2. 제 1항에 있어서,
    개폐마개(20)는 연질 탄력재로 이루어지되, 하측으로는 손잡이(21)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유입공(12)에 결합되도록 한 끼움홈(22)을 형성하여, 상기 유입공(12)의 내측단이 상기 끼움홈(22)으로 삽입됨에 따라 유입공(12)에 대한 수밀 상태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3. 제 1항에 있어서,
    보조수유통(30)은 하부몸체(40)와 상부몸체(50)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50)의 상측으로는 별도 구비의 체결개폐구(60)가 상부몸체(50)로부터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하되,
    상부몸체(50)의 중앙부에는 상기의 배출공(31)(31')이 편심 형성되게 하고 상기 체결개폐구(60)의 중앙부에는 상기의 배출공(31)(31')과 대응하는 개방공(61)(61')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몸체(50)에 대한 체결개폐구(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공(31)(31')과 개방공(61)(61')이 상호 일치 혹은 엇갈리며 보조수유통(30)에 대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4. 제 3항에 있어서,
    하부몸체(40)의 선단에는 끼움턱(41)을 돌출 형성하고 상부몸체(50)의 하단에는 끼움홈(51)을 형성하되, 상기 끼움턱(41)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수밀링(42)를 끼워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하부몸체(40)와 상부몸체(50)가 압입에 의해 상호 수밀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5. 제 3항에 있어서,
    상부몸체(50)의 선단에는 외면에 체결홈(52)이 형성된 회전안내부(53)를 돌출 형성하고, 체결개폐구(60)의 하측으로는 내면에 체결턱(62)이 형성된 회전파지부(63)를 형성하여, 체결홈(52)과 체결턱(62)에 의해 상부몸체(50)와 체결개폐구(60)가 상호 결합 및 회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6. 제 3항에 있어서,
    체결개폐구(60)의 상부에는 젖병(10)의 요입부(13)로 삽입되게 한 결합돌부(64)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부(64)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수밀링(65)을 결합 형성하여, 상기 수밀링(65)에 의해 결합돌부(64)가 요입부(13)의 내면으로 압입되면서 젖병(10)과 체결개폐구(60)가 상호 수밀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KR1020170033080A 2017-03-16 2017-03-16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KR101924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080A KR101924513B1 (ko) 2017-03-16 2017-03-16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080A KR101924513B1 (ko) 2017-03-16 2017-03-16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856A true KR20180105856A (ko) 2018-10-01
KR101924513B1 KR101924513B1 (ko) 2019-02-27

Family

ID=6387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080A KR101924513B1 (ko) 2017-03-16 2017-03-16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5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5035A1 (en) 2019-01-31 2020-08-06 L'oreal Device for packaging two products separatel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702B1 (ko) 1984-05-21 1991-05-03 더 솔크 인스티튜트 훠 바이올로지칼 스터디이즈 펩티드의 제법
JPH077966Y2 (ja) * 1991-08-13 1995-03-01 黄 文 ▲おく▼ 幼児用哺乳瓶
KR200213565Y1 (ko) 2000-08-04 2001-02-15 최근섭 흡기공을 갖는 젖병
KR200225655Y1 (ko) * 2000-12-23 2001-06-01 서경득 우유병
KR200332520Y1 (ko) 2003-07-24 2003-11-05 (주)서룡상사 수유가 용이한 아기 젖병
KR200374998Y1 (ko) 2004-11-18 2005-02-05 윤영임 나들이용 우유 젖병
KR20080040312A (ko) * 2006-11-03 2008-05-08 조서행 분유량 조절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702B1 (ko) 1984-05-21 1991-05-03 더 솔크 인스티튜트 훠 바이올로지칼 스터디이즈 펩티드의 제법
JPH077966Y2 (ja) * 1991-08-13 1995-03-01 黄 文 ▲おく▼ 幼児用哺乳瓶
KR200213565Y1 (ko) 2000-08-04 2001-02-15 최근섭 흡기공을 갖는 젖병
KR200225655Y1 (ko) * 2000-12-23 2001-06-01 서경득 우유병
KR200332520Y1 (ko) 2003-07-24 2003-11-05 (주)서룡상사 수유가 용이한 아기 젖병
KR200374998Y1 (ko) 2004-11-18 2005-02-05 윤영임 나들이용 우유 젖병
KR20080040312A (ko) * 2006-11-03 2008-05-08 조서행 분유량 조절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5035A1 (en) 2019-01-31 2020-08-06 L'oreal Device for packaging two products separately
EP3917858A4 (en) * 2019-01-31 2022-10-19 L'oreal DEVICE FOR SEPARATE PACKAGING OF TWO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513B1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886B2 (en) Medicine dispensing system
US20140163463A1 (en) Medicup a Medicine dispenser with soft Handles interchangeable with Strawcup
US20150257982A1 (en) Liquid Fillable and Liquid Communicating Pacifier
JPS62258614A (ja) 蓋つきコツプに関する装置
US20100258519A1 (en) Infant Feeding Pouch
KR101924513B1 (ko)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US20150182422A1 (en) Enteral Feed Cup
US20180133097A1 (en) Drink containers
WO2023277354A1 (ko) 촉감 손잡이가 구비된 유아용 젖병 커버
JP2000000288A (ja) 人工乳首及びこれを利用した飲料容器
CN206151885U (zh) 人工奶嘴以及哺乳器
KR20160127293A (ko) 1회용 분유내장형 젖병 키트
EP3059180B1 (en) Weaning clip
JP3173017U (ja) 薬剤服用器具
KR101599414B1 (ko) 튜브형 음료수 용기
JP3177428U (ja) 哺乳びん装置および哺乳びん
CN204766594U (zh) 抛弃式奶瓶
KR101530592B1 (ko) 젖병 구조체
KR20100020215A (ko) 유아용 스트로우 젖꼭지
CN214762270U (zh) 一种老年人分量服药装置
CN216536158U (zh) 一种创新型新生儿奶瓶
JP3192605U (ja) 哺乳瓶式注射投薬器
CN202146443U (zh) 婴儿喂药器
CN208877336U (zh) 一种喂药舒适的手持式儿童喂药装置
KR200212797Y1 (ko) 수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