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777A - 스마트 무인 택배함 - Google Patents

스마트 무인 택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777A
KR20180105777A KR1020170032885A KR20170032885A KR20180105777A KR 20180105777 A KR20180105777 A KR 20180105777A KR 1020170032885 A KR1020170032885 A KR 1020170032885A KR 20170032885 A KR20170032885 A KR 20170032885A KR 20180105777 A KR20180105777 A KR 20180105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rier
door
password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호
Original Assignee
김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호 filed Critical 김근호
Priority to KR1020170032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5777A/ko
Publication of KR20180105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9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with central server lin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택배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절첩 가능한 본체부(1100), 상기 본체부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부(1200), 상기 도어부를 설정된 비밀번호에 따라 잠금 및 잠금해제하도록 기능하는 도어록부(1210), 이용자단말에 택배 물품의 수납여부, 도어닫힘여부 및 도난상황을 전송하는 컨트롤러부(1300),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택배 물품의 수납상태를 감지하는 수납센서부(1410)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부는 이용자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1310)와 택배 물품별로 할당된 비밀번호를 갱신하여는 도어록부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비밀번호갱신부(1360)를 구비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무인 택배함{SMART UNMANNED DELIVERY BOX}
본 발명은 택배함과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격으로 택배 물품의 수납을 관리할 수 있으면서도 보안성과 편리성이 동시에 향상될 수 있는 스마트 무인 택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배 서비스는 구매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물품을 신속하면서 안전하게 요청하는 장소까지 배달해주는 운송 서비스이다.
최근에는 가족 규모가 소형화되고 1인 가구도 증가함에 따라 노약자, 여성이나 아이와 같은 사회적인 약자가 혼자 택배를 수령하는 경우가 있고 택배를 가장한 범죄로 인하여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택배 서비스는 신속하면서 안전하게 배달하는 것이 주목적이지만 배달장소에 아무도 없는 경우 차기 제3자 물품 배달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관 앞에 두고 가거나 옆집, 경비실 또는 관리실 등에 대리 보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달 물품을 현관 앞에 두거나 옆집, 경비실 또는 관리실 등에 대리 보관할 경우 차후에 방문하여 찾아와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구매 물품의 내용 공개 및 신상 기록이 노출되는 문제점과, 타인이 구매자임을 사칭하여 물품을 편취하여 도난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집함건물이나 각 가정에 무인 택배함을 두고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5795호는 종래기술의 무인택배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무인택배장치는 택배물건 수령자가 부재인 경우에도 어려움 없이 택배물건을 배달할 수 있으며, 특히 택배물건의 도난 없이 택배물건 수령자가 안전하게 택배물건을 수령할 수 있도록 소정의 도어와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수납함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된 문제들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택배가 제대로 도착하였는지 확인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택배가 도착한 이후 택배기사에 의하여 문이 제대로 닫히고 잠겼는지에 대한 확인이 어렵다. 이는 또 다른 택배물품의 분실가능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부피의 문제로 인하여 보행통로의 이용시 불편이 있을 수 있으며, 설치의 불편함 뿐만 아니라 야간에는 잠금장치의 해제가 어려운 문제도 있다.
또한, 비밀번호 유출로 인하여 택배 범죄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설치와 해제가 간편하면서도 도난의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고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 무인택배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택배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절첩 가능한 본체부(1100), 상기 본체부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부(1200), 상기 도어부를 설정된 비밀번호에 따라 잠금 및 잠금해제하도록 기능하는 도어록부(1210), 이용자단말에 택배 물품의 수납여부, 도어닫힘여부 및 도난상황을 전송하는 컨트롤러부(1300),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택배 물품의 수납상태를 감지하는 수납센서부(1410)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부는 이용자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1310)와 택배 물품별로 할당된 비밀번호를 갱신하여는 도어록부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비밀번호갱신부(1360)를 구비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함을 제공한다.
상기 수납센서부는 IR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트롤러부는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영상장치의 영상신호를 이용자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영상제공부(1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부는 도어록부의 개폐를 확인하는 개폐확인부(1320)와, 비정상적인 택배 물품의 반출을 감지하여 도난여부를 판단하는 도난판단부(135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여러 개의 택배가 동시에 배송되는 경우에는 어떠한 택배가 누구한테 왔는지 등의 판단이 가능하므로 택배 물품의 무인 수령에 대한 안심감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난방지와 도어의 닫힘상태 등의 확인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므로 보안성이 향상되며, 이는 도어락의 적용과 비밀번호의 갱신을 통하여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각 가정이나 구획된 공간별로 간편하게 설치하고 설치해제가 가능하면서도 절첩구조를 적용하여 공간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아이나 여성이 혼자 집에 있거나 1인 가구에 있어서 택배를 가장한 강력범죄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택배 물품을 보관하여야 하는 경비실 등의 업무부담이 경감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무인 택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함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 무인 택배함이 절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무인 택배함에서 컨트롤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 무인 택배함의 택배 물품의 수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무인택배함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내부에 하나 이상의 택배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절첩 가능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를 설정된 비밀번호에 따라 잠금 및 잠금해제하도록 기능하는 도어록부와, 택배 물품별로 할당된 비밀번호를 갱신하며 이용자단말에 택배 물품의 수납여부, 도어닫힘여부 및 도난상황을 전송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각 가정의 출입구에 비치되는 단일의 택배함을 기본으로 설명하나, 이러한 비치 장소는 아파트, 오피스텔, 연립주택, 개인주택 등을 불문하며 현관이나 대문은 물론 소정의 구획된 공간의 출입구 등 다양한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반드시 하나의 수납공간만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수납공간과 도어부가 복수로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함의 구성도이다.
본체부(1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체부는 내부에 택배 물품의 수납공간을 마련하며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후술될 바와 같이 절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100)의 전면에는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부(1200)가 마련되며, 도어부(1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0) 일측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1200)에는 본체부(1100)의 입구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어록부(1210)가 구비되며, 이러한 도어록부(1210)는 설정된 비밀번호에 따라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밀번호는 컨트롤러부(1300)의 작동에 따라 이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택배 물품 별로 할당된 식별번호에 해당되는 번호로써 생성되며 소정의 택배 물품 수납이 완료된 경우 이를 갱신할 수 있다. 스마트 무인 택배함(1000)이 비밀번호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새롭게 갱신되는 경우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도어록부(1210)는 공지의 다양한 도어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인데, 컨트롤러부(1300)와 연결되어 소정의 비밀번호 갱신의 명령을 수신하여 택배 물품의 식별번호별로 할당된 비밀번호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나의 상태에서 복수의 택배 물품에 대응되는 비밀번호가 생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도어록부(1210)는 야간에도 식별 가능하도록 백라이트를 구비하여 터치 등의 동작에 따라 백라이트가 발광될 수 있다.
소정의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같은 집합건물의 경우 무인택배함을 구비하고 있으나 단독 주택이나 연립주택 등과 같은 경우는 이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소형 단위의 주택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체부(1100) 자체가 도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체결부(101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1010)는 현관이나 대문의 도어나 이에 인접한 구조물 또는 바닥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연결하는 와이어 내지는 사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브라켓과의 시건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자물쇠와 같은 잠금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택배함 자체가 도난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각 주택단위별로 도어 밖에 구비하는 경우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접착이나 고정방식에 비하여 설치나 해체가 용이한 장점도 있다.
상기 브라켓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ㄱ'자 형상의 꺽쇠로 구성되어 금속 재질이나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도어의 모서리 부위에 볼팅 등의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무인 택배함(1000)은 도어의 개폐상태, 내부의 물품 수납상태 또는 도난 등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감지부에 의한 감지신호는 컨트롤러부(1300)를 통하여 이용자단말(2000)에 원격으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부(1300)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이용자단말(2000)과 와이파이(WIFI) 또는 3G나 4G와 같은 이동통신망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대중화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하여 정보를 입출력할 수도 있고, 이메일을 통하여 접속할 수도 있음은 물론, 종래의 통신망을 이용한 SNS나 MMS를 통하여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보조적 또는 선택적으로 이용자단말(2000)과 근거리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RFID, 지그비(Zigbee) 통신이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데이터의 통신을 위한 중계망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의 기지국 등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용자단말(2000)은 개인용컴퓨터, 모바일단말기나 스마트영상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PDA, 노트북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의미하며, 스마트영상장치는 화상으로 정보를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통신수단 및 네트워크 연결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 무인 택배함이 절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건물의 시공시 기설치된 무인 택배함 구조물의 경우 특정한 장소를 마련하여 설치되지만, 본 발명의 스마트 무인 택배함(1000)의 경우 사후적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고 필요에 따라 시건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여 이동할 수 있는 편리성은 있으나 통행로에 배치되는 경우 장애물이 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부(1100)가 절첩 가능하도록 절첩부(1101)를 구비하는 개념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측벽과 상하면 부위가 절첩되어 도어부(1200)와 후방벽체가 밀착되는 방식으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수납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만 이를 펼쳐서 택배 물품의 수납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록부(1210)는 절첩상태의 고정 및 펼침 가능한 상태로 고정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무인 택배함에서 컨트롤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트롤러부(1300)는 통신부(1310)를 구비하여 이용자단말(2000)과 소정의 정보를 교환하게 되는데, 컨트롤러부(1300)는 본체부(1100)의 다양한 개소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배터리를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으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전력의 공급을 위하여 외부 AC전원을 사용하고 소정의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컨트롤러부(1300)는 본체부(1100)에 구비되는 수납센서부(1410)로부터 수납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용자단말(2000)로 전송할 수납상태를 전송할 수 있도록 수납확인부(1330)를 구비한다. 이러한 수납확인부(1330)는 내부에 택배 물품이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용자가 적절한 택배 물품이 수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바, 이때 적절한 택배 물품의 수납여부는 해당 택배 물품의 식별번호에 할당된 비밀번호를 통하여 도어록부(1210)를 개방하여 물품을 수납한 경우 해당 택배 물품이 배달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납센서부(1410)는 IR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납센서부(1410)를 통하여 택배 물품이 수납되었는지 여부의 확인은 물론 도난여부의 확인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이용자가 해당 비밀번호 또는 갱신된 비밀번호를 통하여 도어록부(1210)를 개방하여 택배 물품을 수거하거나 이용자단말(2000)을 통하여 수거입력을 하는 경우는 정삭적인 회수로 판단하도록 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도난상태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도난여부의 확인은 도난판단부(1350)에서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도난판단부(1350)는 추가적으로 도어부(1200)의 비정상적인 개방이나 체결부(1010)의 연결상태의 해제 등을 감지하여 도난상태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도난판단부(1350)에서 도난이 이루어지는 경우로 판단하면 경보부(1370)는 이용자단말(2000)을 통하여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체부(1100)에는 발광 또는 음향의 발생 등의 방식으로 경보를 수행하는 구성이 부가되어 상기 경보부(1370)의 명령에 따라 외부에 도난상태를 알릴 수도 있다.
개폐확인부(1320)는 도어록부(1210)의 열림상태를 확인하여 택배 물품의 도착 및 수납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택배 기사에 의하여 열린 이후에 닫히지 않는 경우에 비정상적인 개방상태임을 판단하여 이용자단말(2000)에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비정상적인 개방상태는 개방 이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 도어가 다시 잠금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한편, 비밀번호갱신부(1360)는 소정의 명령 또는 조건에 따라 도어록부(1210)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택배 물품의 식별요소로서 발신인, 송장번호, 택배사 등에 할당되는 식별번호에 대하여 이용자단말(2000)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면 이에 대응되는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비밀번호는 해당 택배기사의 모바일단말이나 송장에 매칭되어 MMS나 SMS로 전송될 수 있으며 해당 택배기사는 이를 확인하여 도어록부(1210)를 개방하고 택배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이 택배기사에 의하여 해당 택배 물품이 수납된 경우 한번 비밀번호의 노출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개폐확인부(1320)에서 도어가 다시 닫힌 것으로 확인된 경우 비밀번호갱신부(1360)는 다시 비밀번호를 갱신하여 이용자단말(2000)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택배 물품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두 가지의 비밀번호가 양방향에서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세 번째 실시예로서, 상기 비밀번호갱신부(1360)는 택배 물품에 해당되는 식별번호별로 비밀번홀을 생성하고 각각 비밀번호를 관리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택배사에 따라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해당 비밀번호를 고정하여 관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네 번째 실시예로서, 도난이나 비정상적인 개방상태 등이 개폐확인부(1320) 또는 도난판단부(1350)에서 판단된 경우 도어를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비밀번호를 즉시 갱신하여 이용자만 알 수 있도록 작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0)에는 캠이나 적외선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장치(미도시)가 구비되고 영상제공부(1340)에서 이를 촬영하여 통신부(1310)를 통해 이용자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내부에 수납상태가 수납확인부(1330)에 의하여 확인되더라도 적절한 물품 또는 포장이 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상승하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도난판단부(1350)에서 도난상태로 판단한 경우 영상제공부(1340)를 통하여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실제로 이러한 위협이 있는지를 최종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 무인 택배함의 택배 물품의 수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택배 물품의 배송이 개시되거나 소정의 이용자단말(2000)로부터의 식별번호에 해당되는 입력이 있으면 이를 식별코드 부여(S100)로 판단하여 무인택배의 흐름이 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식별코드가 부여되면 갱신의 명령이 있는 경우 비밀번호갱신부(1360)는 해당 택배 물품 또는 택배사 별로 비밀번호를 생성(S110)하게 된다.
이렇게 비밀번호가 생성된 상태에서 대기되고 택배기사에 의하여 도어록부(1210)가 소정 비밀번호에 의하여 개방되면 개폐확인부(1320)에서 개방의 확인(S210)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어의 닫힘상태의 확인이 개폐확인부(1320)에서 함께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도어록부(1210)가 개방되고 다시 폐쇄되면 물품의 수납확인(S220)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수납확인은 수납센서부(141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수납확인은 영상제공부(134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의 제공 및 이용자단말(2000)로부터의 수납확인 명령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해당 택배 물품의 수납이 이루어지게 되면 하나의 배송으로서 무인 택배 배송이 완료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복수의 택배 물품에 대해 복수의 비밀번호가 생성될 수 있고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배송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복수의 택배 물품의 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의 단계 중의 최소한 어느 하나 이상이 더 반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수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배송의 대기 및/또는 도난의 감시가 상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용자에 의하여 수거되고 수납상태가 해제되면 완료된 것으로 판단(S300)할 수 있다.
이때, 수납의 확인이 이루어진 경우 한번 노출된 비밀번호를 갱신하여 비밀번호갱신부(1360)가 이용자단말(2000)에 새로운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수납확인(S220) 이후에 비밀번호갱신(S230)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따라 여러 개의 택배가 동시에 배송되는 경우에는 어떠한 택배가 누구한테 왔는지 등의 판단이 가능하므로 택배 물품의 무인배송에 대한 안심감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난방지와 도어의 닫힘상태 등의 확인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므로 보안성이 향상되며, 이는 도어락의 적용과 비밀번호의 갱신을 통하여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가정이나 구획된 공간 별로 간편하게 설치하고 설치해제가 가능하면서도 절첩구조를 적용하여 공간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스마트 무인 택배함 1010...체결부
1100...본체부 1101...절첩부
1200...도어부 1210...도어록부
1300...컨트롤러부 1310...통신부
1320...개폐확인부 1330...수납확인부
1340...영상제공부 1350...도난판단부
1360...비밀번호갱신부 1370...경보부
1410...수납센서부 2000...이용자단말

Claims (3)

  1. 내부에 하나 이상의 택배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절첩 가능한 본체부(1100);
    상기 본체부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부(1200);
    상기 도어부를 설정된 비밀번호에 따라 잠금 및 잠금해제하도록 기능하는 도어록부(1210);
    이용자단말에 택배 물품의 수납여부, 도어닫힘여부 및 도난상황을 전송하는 컨트롤러부(1300);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택배 물품의 수납상태를 감지하는 수납센서부(1410);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부는,
    이용자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1310)와 택배 물품별로 할당된 비밀번호를 갱신하여는 도어록부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비밀번호갱신부(1360)를 구비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센서부는, IR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트롤러부는,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영상장치의 영상신호를 이용자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영상제공부(1340)를 더 구비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도어록부의 개폐를 확인하는 개폐확인부(1320)와, 비정상적인 택배 물품의 반출을 감지하여 도난여부를 판단하는 도난판단부(1350)를 더 구비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함.
KR1020170032885A 2017-03-16 2017-03-16 스마트 무인 택배함 KR20180105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885A KR20180105777A (ko) 2017-03-16 2017-03-16 스마트 무인 택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885A KR20180105777A (ko) 2017-03-16 2017-03-16 스마트 무인 택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777A true KR20180105777A (ko) 2018-10-01

Family

ID=6387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885A KR20180105777A (ko) 2017-03-16 2017-03-16 스마트 무인 택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5777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627A (ko) * 2018-10-29 2020-05-08 조인호 택배물품 자동수취함
WO2020130570A1 (ko) * 2018-12-18 2020-06-25 주식회사 의식주컴퍼니 비대면 세탁 서비스를 위한 세탁물 가방
GB2582630A (en) * 2019-03-28 2020-09-30 Pelipod Ltd Container
KR20210034930A (ko) * 2019-09-23 2021-03-31 신동륜 택배 수령용 도어락 제어 시스템
KR20210056135A (ko) * 2019-11-08 2021-05-1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무인 보관함
WO2021107268A1 (ko) * 2019-11-25 2021-06-03 강한희 개인용 스마트 택배 보관함 어셈블리 및 이것의 운용 방법
KR20210150005A (ko) * 2020-06-03 2021-12-10 네이버 주식회사 물품 수용함, 물품 수용함을 이용한 배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7638A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빌트인 방식의 보안성이 강화된 택배함 및 그 제어방법
US11830331B2 (en) 2019-03-28 2023-11-28 Pelipod Ltd Secured container for storing a package
KR20240037485A (ko) 2022-09-15 2024-03-22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다수의 우편물을 편리하게 배달하는 우편함이 포함된 우편물 배송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627A (ko) * 2018-10-29 2020-05-08 조인호 택배물품 자동수취함
WO2020130570A1 (ko) * 2018-12-18 2020-06-25 주식회사 의식주컴퍼니 비대면 세탁 서비스를 위한 세탁물 가방
GB2582630A (en) * 2019-03-28 2020-09-30 Pelipod Ltd Container
GB2582630B (en) * 2019-03-28 2022-04-20 Pelipod Ltd Container
US11830331B2 (en) 2019-03-28 2023-11-28 Pelipod Ltd Secured container for storing a package
KR20210034930A (ko) * 2019-09-23 2021-03-31 신동륜 택배 수령용 도어락 제어 시스템
KR20210056135A (ko) * 2019-11-08 2021-05-1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무인 보관함
WO2021107268A1 (ko) * 2019-11-25 2021-06-03 강한희 개인용 스마트 택배 보관함 어셈블리 및 이것의 운용 방법
KR20210150005A (ko) * 2020-06-03 2021-12-10 네이버 주식회사 물품 수용함, 물품 수용함을 이용한 배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7638A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빌트인 방식의 보안성이 강화된 택배함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37485A (ko) 2022-09-15 2024-03-22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다수의 우편물을 편리하게 배달하는 우편함이 포함된 우편물 배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5777A (ko) 스마트 무인 택배함
US11311132B2 (en) Package-receiving container
US11253096B2 (en) Securable delivery container for temporarily securely storing deliveries and limiting access
US11536079B2 (en) Secure package delivery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11887422B2 (en) Secure transport container
US108786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receiving deliveries
US113285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receiving deliveries
US20170228953A1 (en) Proximity access control devic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11187573B1 (en) Connected scale device
JP2004038522A (ja) ロッカー管理システム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07170086A (zh) 一种基于云锁的儿童监护方法、系统
US20230159286A1 (en) Secure package delivery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2149729B1 (ko) 스마트폰 주차 위치 및 원패스 시스템 적용 건물의 입주자를 위한 택배관리 시스템
KR102031245B1 (ko)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26142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6331176A (ja) ボックス制御装置及びボックス制御方法
US20200169981A1 (e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KR101721610B1 (ko) 무인 방범 택배 시스템
JP2004201844A (ja) 冷蔵宅配ボックスシステム
KR102505756B1 (ko) 클라우드 방식의 보안 제어 시스템
KR102214524B1 (ko)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
KR20140032613A (ko) 무인 택배 보관함
KR102296230B1 (ko) 택배 수령용 도어락 제어 시스템
CN107464385A (zh) 防盗监测方法、装置、设备及智能开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