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705A - 백신 보조제로서의 중간엽 줄기 세포 및 그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백신 보조제로서의 중간엽 줄기 세포 및 그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705A
KR20180105705A KR1020187025027A KR20187025027A KR20180105705A KR 20180105705 A KR20180105705 A KR 20180105705A KR 1020187025027 A KR1020187025027 A KR 1020187025027A KR 20187025027 A KR20187025027 A KR 20187025027A KR 20180105705 A KR20180105705 A KR 20180105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protein
vaccine
adjuvant
mesenchymal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슈아 엠. 헤어
아나 마리 란딘
Original Assignee
롱에버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롱에버론 엘엘씨 filed Critical 롱에버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105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45Orthomyxoviridae, e.g. influenza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15Ani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5Virus
    • A61K2039/5252Virus inactivated (ki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5Virus
    • A61K2039/5254Virus avirulent or attenu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88Adjuvants of undefined 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70Multivalent vacc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신 및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을 투여함으로써 백신에 대한 면역 반응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용기 내에 백신 및 제2 용기 내에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을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백신 보조제로서의 중간엽 줄기 세포 및 그의 사용 방법
본 발명은 백신 및 백신 보조제, 그의 사용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를 포함하는 백신 보조제에 관한 것이다.
노화 노쇠 및 염증노화
노화 노쇠는 개체의 전반적 건강 및 웰빙에 대해 매우 우려되는 문제를 제기한다. 노화 노쇠는 약화, 낮은 신체 활동, 느린 운동 수행능력, 소진, 및 비의도 체중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노인 증후군이다. 문헌 [Yao, X. et al.,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7(1):79-87 (2011)]을 참조한다. 또한, 노화 노쇠와 염증 사이의 직접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많은 연구들이 존재한다. 문헌 [Hubbard, R.E. et al., Biogerontology 11(5):635-641 (2010)]을 참조한다.
면역노화는 염증노화로 공지된, 저등급의, 만성 전신 염증성 상태를 특징으로 한다. 문헌 [Franceshi, C. et al.,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908:244-254 (2000)]을 참조한다. 노화 및 노화 노쇠에서 확인되는 이러한 높아진 염증성 상태 또는 만성 염증은 면역 조절이상, 및 선천성 및 적응성 면역 둘 다의 복잡한 재형성으로 이어진다. 면역노화에서, T 세포 및 B 세포 레퍼토리는 편향되어 CD45ra를 재-발현하는 CD8+ T 이펙터 기억 세포 (TEMRA) 및 CD19+ 후기/소진된 기억 B 세포의 증가, 및 CD8+ 나이브 T 세포 및 전환된 기억 B 세포 (CD27+)의 감소를 발생시킨다. 문헌 [Blomberg, B.B. et al., Immunologic Research 57(1-3):354-360 (2013); Colonna-Romano, G. et al., Mechanisms of Ageing and Development 130(10):681-690 (2009); 및 Koch S. et al., Immunity & Ageing: 5:6 (2008)]을 참조한다. T 세포 및 B 세포 레퍼토리에서의 이러한 이동은 불응성 또는 덜 효율적인 면역 상태를 발생시킨다. 면역계의 이러한 악화는 감염성 질환에 대한 보다 큰 감수성 및 백신접종에 대한 감소된 반응을 유발한다. 최적 B 세포 기능은 백신에 대한 효과적인 항체 반응의 생성 및 감염원으로부터의 보호에 중요하다. 전신 염증 (TNF-α, IL-6, IL-8, INFγ 및 CRP)의 연령-연관 증가는 손상된 B 세포 기능을 유도하고, 이는 불량한 항체 반응 및 감소된 백신 효능으로 이어진다는 것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염증노화는 그것이 면역 변화와 노령에서 통상적인 다수의 질환 및 상태 (예컨대 노화 노쇠) 사이의 연결을 제안하여, 상당한 주목을 받아왔다. 순환 염증 매개체, 예컨대 시토카인 및 급성기 단백질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관찰되는 저등급 염증 마커이다. 이들 염증유발 시토카인 (예를 들어, TNF-α, IL-6)은 외인성 항원 및 백신에 대해 보호 항체를 생성하는 B 세포의 능력을 손상시킨다. 이러한 손상된 B 세포 반응은 이뮤노글로불린이 이소형을 IgM에서 2차 이소형 (IgG, IgA, 또는 IgE)으로 전환시키는 능력인 부류 전환 재조합 (CSR)의 감소에 의해 측정된다. 이뮤노글로불린 이소형 전환은 이펙터 기능이 각각의 이소형에서 상이하기 때문에 적절한 면역 반응을 위해 중요하다. CSR 및 체성 과다돌연변이 (SHM)에서의 주요 역할자는 Aicda 유전자에 의해 코딩된 효소, 활성화-유도된 시티딘 데아미나제 (AID)이다. CSR 및 SHM에서 AID의 기본 기능은 이뮤노글로불린의 전환 및 가변 영역에서 시토신을 우라실로 변환시킴으로써 DNA의 파괴를 개시하는 것이다. Tcfe2a (E2A)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E47은 E 단백질로도 공지되어 있는 부류 I 염기성 헬릭스 루프 헬릭스 (bHLH) 단백질에 속하는 전사 인자이다. E47 발현의 부재 하에, B 세포 특이적 전사 인자 EBF1 (초기 B 세포 인자) 및 Pax-5 (쌍형성된 박스 단백질)는 발현되지 않는다. E47 및 Pax-5 둘 다는 B 세포 계열 및 성숙 B 세포 기능의 초기 발생에서의 주요 전사 인자이다. 문헌 [Hagman J. et al., Immunity 27(1):8-10 (2007); Horcher M. et al., Immunity 14(6):779-790 (2001); Riley R.L. et al., Seminars in Immunology 17(5):330-336 (2005)]을 참조한다. Pax-5 유전자는 B 세포 분화의 모든 단계에서 발현되지만, 최종 분화된 B 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는 B 세포 계열 특이적 활성화제 단백질 (BSAP)을 코딩한다. Pax-5는 B 계열 부적절 유전자를 억제하고 B 세포 특이적 유전자를 활성화하여 B 세포 구속을 제어함으로써 Pax-5가 B 세포 게이트키퍼가 되게 하고, 이는 B 림프계에서 구속된 전구-B 세포로부터 성숙 B 세포 단계까지 독점적으로 발현된다. B 세포 특이적 전사 인자, Pax-5는 초기 B 세포 발생 및 B 세포 계열 구속에서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이는 또한 CSR에도 수반된다.
또한, 생성되는 TNF-α의 양은: (1) 전신 염증의 양에 좌우되고 (2) 동일한 B 세포가 미토겐 또는 항원에 의해 자극되는 능력을 손상시킨다는 것이 인간에서 제시된 바 있다. 문헌 [Frasca, D. et al., Journal of Immunology 188(1):279-286 (2012)]을 참조한다. 따라서, 노화 노쇠를 앓고 있는 대상체에서의 면역 반응은 다수의 원인으로 인해 손상된다.
고령에서의 백신접종
인플루엔자에 대한 백신접종은 65세를 초과하는 개체에서 감염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강력하게 권장된다. 인플루엔자에 대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백신은 소아 및 성인에서 보호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면역 기억을 보장하지만, 고령의 노쇠한 개체에서는 훨씬 덜 효과적이다. 문헌 [Frasca D. et al., Current Opinion in Immunology 29:112-118 (2014) 및 Yao X. et al., Vaccine 29(31):5015-5021 (2011)]을 참조한다. 인플루엔자 백신을 상용적으로 제공받음에도 불구하고, 고령의 개체는 인플루엔자에 의한 보다 큰 감염 위험이 있고, 이는 2차 합병증, 입원, 신체적 쇠약, 궁극적으로 사망으로 이어진다. 문헌 [Gross, P. et 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23(7):518-527 (1995); Simonsen L. et al.,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78(1):53-60 (1998); 및 Vu T. et al., Vaccine 20(13-14):1831-1836 (2002)]을 참조한다. 인플루엔자 백신은 또한 대부분의 고령 개체에서 인플루엔자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른 합병증 (예를 들어, 폐렴)을 방지하여, 입원율을 어느 정도 감소시킨다. 문헌 [Nichol K.L. et al.,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1(12):778-784 (1994)]. 그러나, 인플루엔자-관련 질환으로 인한 입원율은 여전히 매우 높다. 문헌 [Thompson, W.W. et al., JAMA 292(11):1333-1340 (2004)]을 참조한다. 따라서, 고령에서 백신의 면역 반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필요는 여전히 존재한다.
이전에 공개된 결과는 시험관내 인플루엔자 백신에 대한 B 세포의 특이적 반응 (AID에 의해 측정됨), 및 생체내 혈청 반응 (HAI 검정 및 ELISA에 의해 측정됨)이 연령에 따라 감소하고, 유의하게 상관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문헌 [Frasca, D. et al., Vaccine 28(51):8077-8084 (2010)]을 참조한다. 또한, 둘 다 백신접종 전 (t0)에 측정된 전환된 기억 B 세포 및 CpG-유도된 AID의 백분율은 연령에 따라 감소하고, 생체내 반응과 유의하게 상관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들 마커는 생체내 반응을 예측하게 한다.
중간엽 줄기 세포
중간엽 줄기 세포는 손상 부위로 이동할 수 있는 다능 세포인 한편, 이는 또한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체 부류 II (MHC-II) 분자는 검출가능하게 발현하지 않고, MHC-I 분자는 낮은 수준으로 발현함으로써 면역특권이 있다. 문헌 [Le Blanc, K. et al., Lancet 371(9624):1579-1586 (2008) 및 Klyushnenkova E. et al., J. Biomed. Sci. 12(1):47-57 (2005)]을 참조한다. 따라서, 동종 중간엽 줄기 세포는 치료 및 재생 의학에서 큰 유망성을 보유하고, 다발성 질환 과정에 대한 임상 시험에서 높은 안전성 및 효능 프로파일을 갖는 것으로 반복적으로 제시된 바 있다. 문헌 [Hare, J.M.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54(24):2277-2286 (2009); Hare, J.M. et al., Tex. Heart Inst. J. 36(2):145-147 (2009); 및 Lalu, M.M. et al., PloS One 7(10):e47559 (2012)]을 참조한다. 이들은 또한 환자 내로의 이식 후에 악성 형질전환을 겪지 않는 것으로 제시된 바 있다. 문헌 [Togel F. et al.,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Renal Physiology 289(1):F31-F42 (2005)]을 참조한다. 중간엽 줄기 세포에 의한 치료는 중증 이식편-대-숙주 질환을 호전시키고, 허혈성 급성 신부전에 대해 보호하고, 당뇨병 환자에서 췌장섬 및 신장 사구체 복구에 기여하고, 전격성 간부전을 반전시키고, 손상된 폐 조직을 재생시키고, 패혈증을 약화시키고, 재형성을 반전시키고, 심근경색 후 심장 기능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제시된 바 있다. 문헌 [Le Blanc K. et al., Lancet 371(9624):1579-1586 (2008); Hare, J.M.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54(24):2277-2286 (2009); Togel F. et al.,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Renal Physiology 289(1):F31-F42 (2005); Lee R.H. et al., PNAS 103(46):17438-17442 (2006); Parekkadan, B. et al., PloS One 2(9):e941 (2007); Ishizawa K. et al., FEBS Letters 556(1-3):249-252 (2004); Nemeth K. et al., Nature Medicine 15(1):42-49 (2009); Iso Y.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 354(3):700-706 (2007); Schuleri K.H. et al., Eur. Hearth J. 30(22):2722-2732 (2009); 및 Heldman A.W. et al., JAMA 311(1):62-73 (2014)]을 참조한다. 게다가, 중간엽 줄기 세포는 또한 조직 공학에 사용하기 위한 다중 세포 유형의 잠재적 공급원이다. 문헌 [Gong Z. et al., Methods in Mol. Bio. 698:279-294 (2011); Price, A.P. et al., Tissue Engineering Part A 16(8):2581-2591 (2010); 및 Togel F. et al., Organogenesis 7(2):96-100 (2011)]을 참조한다.
중간엽 줄기 세포는 면역-조정 능력을 갖는다. 이는 면역억제 독성의 증거 없이 염증, 및 림프구 및 골수-유래 면역 세포의 시토카인 생산을 제어하고, 과소-면역원성이다. 문헌 [Bernardo M.E. et al., Cell Stem Cell 13(4):392-402 (2013)]을 참조한다.
중간엽 줄기 세포는 또한 중배엽 기원의 세포로 뿐만 아니라, 내배엽 및 외배엽 기원의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을 갖는다. 문헌 [Le Blanc K. et al., Exp. Hematol. 31(10):890-896 (2003)]을 참조한다. 예를 들어, 시험관내, 기도 성장 배지에서 배양된 중간엽 줄기 세포는 폐-특이적 상피 마커,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 단백질-C, 클라라 세포 분비 단백질, 및 갑상선 전사 인자-1을 발현하도록 분화된다. 문헌 [Jiang Y. et al., Nature 418(6893):41-49 (2002) 및 Kotton D.N. et al., Development 128(24):5181-5188 (2001)]을 참조한다.
생체내 연구는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가 태아 양에 이식된 경우에, 근세포 및 심근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 유형으로 부위-특이적 분화를 겪는다는 것을 제시한 바 있다. 문헌 [Airey J.A. et al., Circulation 109(11):1401-1407 (2004)]을 참조한다. 이들 중간엽 줄기 세포는 비-면역억제 면역적격 숙주에서 이식 후 다중 조직에서 13개월만큼 오래 지속될 수 있다. 설치류, 개, 염소, 및 개코원숭이를 사용한 다른 생체내 연구는 유사하게,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 이종이식편이 수용자에서 림프구 증식 또는 전신 동종-항체 생산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문헌 [Klyushnenkova E. et al., J. Biomed. Sci. 12(1):47-57 (2005); Aggarwal S. et al., Blood 105(4):1815-22 (2005); Augello A. et al., Arthritis and Rheumatism 56(4):1175-86 (2007); Bartholomew A. et al., Exp Hematol. 30(1):42-48. (2002); Dokic J. et al., European Journal of Immunology 43(7):1862-72 (2013); Gerdoni E. et al., Annals of Neurology 61(3):219-227 (2007); Lee S.H. et al., Respiratory Research 11:16 (2010); Urban V.S. et al., Stem Cells 26(1):244-253 (2008); Yang H. et al., PloS One 8(7):e69129 (2013); Zappia E. et al., Blood 106(5):1755-1761 (2005); Bonfield T.L. et al.,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Lung Cellular and Molecular Physiology 299(6):L760-70 (2010); Glenn J.D. et al., World Journal of Stem Cells. 6(5):526-39 (2014); Guo K. et al., Frontiers in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 2:8 (2014); Puissant B. et al., British Journal of Haematology 129(1):118-129 (2005); 및 Sun L. et al., Stem Cells 27(6):1421-32 (2009)]을 참조한다. 종합하면, 동종 안전성 및 효능의 이러한 반복된 발견은 성공적인 조직 재생을 위한 동종이식편으로서 중간엽 줄기 세포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개념을 공고하게 한다.
그러나, 안전한 치료제임에도 불구하고, 중간엽 줄기 세포는 항체 생산 뿐만 아니라 B 세포의 증식 및 성숙에 대해 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문헌에 보고되어 있다. 문헌 [Uccelli, A. et al., Trends in Immunology 28(5):219-226 (2007)]을 참조한다. 중간엽 줄기 세포는 또한 항원 제시 세포의 생성 및 기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문헌 [Hoogduijn M.J. et al., Int. Immunopharmacology 10(12):1496-1500 (2010)]을 참조한다. 마지막으로, 중간엽 줄기 세포는 CD4+ 및 CD8+ T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문헌 [Ghannam S. et al., Stem Cell Res. & Ther. 1:2 (2010)]을 참조한다.
놀랍게도, 중간엽 줄기 세포가 면역계의 측면에서 억제 효과를 갖는다는 보고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자들은 대상체에게 백신, 및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인 보조제를 면역보호 양으로 공동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백신에 대한 대상체의 면역 반응을 증진시키거나 또는 비-반응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 및 그에 관한 키트 및 용도를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노화 노쇠의 증상을 나타내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염증노화를 나타내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는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 세포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는 STRO-1을 발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는 CD45를 발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는 섬유모세포 표면 마커를 발현하지 않거나 또는 섬유모세포 형태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는 유전자 조작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1가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다가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1종 이상의 불활성화된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1종 이상의 불활성화된 바이러스는 아데노바이러스, 피코르나바이러스, 유두종바이러스, 폴리오마바이러스, 헤파드나바이러스, 파르보바이러스, 폭스 바이러스,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시토메갈로바이러스 (CMV), 포진 바이러스, 로세올로바이러스,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필로바이러스, 파라믹소바이러스, 오르토믹소바이러스, 랍도바이러스, 아레나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인간 엔테로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소아마비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플라비바이러스, 헤파시바이러스, 토가바이러스, 및 풍진 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불활성화된 오르토믹소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불활성화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1종 이상의 생, 약독화된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1종 이상의 약독화된 바이러스는 아데노바이러스, 피코르나바이러스, 유두종바이러스, 폴리오마바이러스, 헤파드나바이러스, 파르보바이러스, 폭스 바이러스,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시토메갈로바이러스 (CMV), 포진 바이러스, 로세올로바이러스,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필로바이러스, 파라믹소바이러스, 오르토믹소바이러스, 랍도바이러스, 아레나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인간 엔테로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소아마비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플라비바이러스, 헤파시바이러스, 토가바이러스, 및 풍진 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백신 전에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백신이 투여되기 적어도 1주 전에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백신이 투여되기 적어도 2주 전에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백신이 투여되기 적어도 3주 전에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백신이 투여되기 적어도 4주 전에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백신 반응의 장기간 증진을 위해 적어도 매년 투여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보조제 및 백신은 비경구로 투여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전신 투여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주입 또는 직접 주사에 의해 투여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정맥내로, 동맥내로 또는 복강내로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정맥내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근육내로, 정맥내로, 동맥내로, 복강내로, 피하로, 피내로, 경구로 또는 비강내로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근육내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약 2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약 10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약 20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는 인간 공여자로부터 수득되고, 인간 공여자와 대상체의 MHC 매칭 단계는 백신 및 보조제를 대상체에게 투여하기 전에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에게 백신, 및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인 보조제를 면역보호 양으로 공동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백신에 대한 대상체의 면역 반응을 증진시키거나 또는 비-반응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개시된 방법의 결과로서, 대상체의 B 세포에서의 세포내 TNF-α 발현은 보조제의 투여 전 대상체의 B 세포에서의 TNF-α 발현 수준과 비교하여 적어도 2-배 감소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대상체 내 CD4+:CD8+ T 세포 비는 보조제의 투여 전 대상체 내 CD4+:CD8+ T 세포 비와 비교하여 적어도 2-배 증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대상체 내 전환된 기억 B 세포의 수는 보조제의 투여 전 대상체 내 전환된 기억 B 세포의 수와 비교하여 적어도 2-배 증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대상체 내 소진된 B 세포의 수는 보조제의 투여 전 대상체 내 소진된 B 세포의 수와 비교하여 적어도 2-배 감소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에게 백신 및 보조제를 면역보호 양으로 공동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보조제는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이고, 추가로 여기서 대상체의 B 세포에서의 세포내 TNF-α 발현은 보조제의 투여 전 대상체의 B 세포에서의 TNF-α 발현 수준과 비교하여 적어도 2-배 감소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체에게 백신 및 보조제를 면역보호 양으로 공동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보조제는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이고, 추가로 여기서 대상체 내 CD4+:CD8+ T 세포 비는 보조제의 투여 전 대상체 내 CD4+:CD8+ T 세포 비와 비교하여 적어도 2-배 증가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대상체에게 백신 및 보조제를 면역보호 양으로 공동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보조제는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이고, 추가로 여기서 대상체 내 전환된 기억 B 세포의 수는 보조제의 투여 전 대상체 내 전환된 기억 B 세포의 수와 비교하여 적어도 2-배 증가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대상체에게 백신 및 보조제를 면역보호 양으로 공동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보조제는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이고, 추가로 여기서 대상체 내 소진된 B 세포의 수는 보조제의 투여 전 대상체 내 소진된 B 세포의 수와 비교하여 적어도 2-배 감소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 용기 내에 백신 및 제2 용기 내에 보조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용기를 갖는 키트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보조제는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키트의 중간엽 줄기 세포는 동결보존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키트는 제3 용기 내의 희석 완충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키트 내에 존재하는 백신 및 중간엽 줄기 세포는 본원에 개시된 백신 또는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도 1은 5명의 대상체로부터의 E47 및 GAPDH에 대한 RT-PCR을 보여준다.
도 2는 E47 발현과 상관되는 AID mRNA 발현을 보여준다. 문헌 [Frasca, D. et al., J. Immunol. 180(8):5283-5290 (2008)]의 도 3으로부터 재현된 것이다.
도 3은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전환된 B 세포의 %를 보여준다. 20x106, 100x106, 또는 200x106개의 중간엽 줄기 세포를 제공한 대상체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 주입 6개월 후 기준선 측정치와 비교하여 전환된 기억 B 세포의 %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도 4는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전환된 기억 B 세포 및 소진된 B 세포의 %를 보여준다. 그의 제1 중간엽 줄기 세포 주입 1년 후 제2 중간엽 줄기 세포 주입을 제공한 대상체에서 전환된 기억 B 세포 및 소진된 B 세포의 %를 측정하였다.
도 5a-5d는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T 세포 농도를 보여준다. 도 5a-5d는 임의의 용량의 동종 중간엽 줄기 세포에 의해 유도되는 T 세포 활성화 (거부)가 전혀 없음을 보여준다. CD69는 T 세포 활성화의 초기 마커이다. CD25는 T 세포 활성화의 후기/만성 마커이다.
도 6은 유동 세포측정법 측정치로부터 계산된 CD4+:CD8+ T 세포 비를 나타낸다. 그의 제1 중간엽 줄기 세포 주입 1년 후 제2 중간엽 줄기 세포 주입을 제공받은 대상체에서 CD4+:CD8+ T 세포 비 (면역 위험 표현형)의 개선이 관찰되었다.
도 7a 및 7b는 중간엽 줄기 세포 주입 후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한 B 세포에서의 세포내 TNF-α의 하향조절을 보여준다. "기준선"은 기준선에서 취한 유동 세포측정법 측정치를 지칭한다. "3개월"은 대상체에게 그의 제1 중간엽 줄기 세포 주입 1년 후 제2 중간엽 줄기 세포 주입을 제공하고 3개월 후에 취한 유동 세포측정법 측정치를 지칭한다. "FSC-A"는 전방-산란광이고, 세포-표면 면적 또는 크기에 비례한다. "SSC-A"는 측방-산란광이고, 세포 입도 또는 내부 복잡성에 비례한다. 따라서, FSC-A 및 SSC-A의 상관 측정치는 이종 집단 (예를 들어, 림프구)에서 세포 유형의 구별을 가능하게 한다. "PE-A"는 형광색소, 피코에리트린의 측정치이다. "APC-A"는 또 다른 형광색소, 알로피코시아닌의 측정치이다. 도 7a는 1명의 CRATUS 대상체로부터의 유동 세포측정법 측정치를 보여준다. 도 7b는 제2 CRATUS 대상체로부터의 유동 세포측정법 측정치를 보여준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고령 환자에서 백신에 대한 면역 반응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는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생체내 투여가 대상체에서 전환된 기억 B 세포의 백분율의 증가 및 소진된 B 세포의 감소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입증한다. 예는 또한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생체내 투여가 대상체 내 CD4+:CD8+ T 세포 비에서의 개선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입증한다. 또한, 예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세포내 TNF-α는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주입을 제공받은 대상체에서 감소된다. 이들 예상외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가 노화 노쇠에서의 보편적 특색인 염증노화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결정하였다. 또한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가 염증노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들 중간엽 줄기 세포는 백신접종에 대한 면역 반응을 증진시킨다.
정의
실시양태는 제시된 이론적 측면 없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이론적 측면은 실시양태가 제시된 어떠한 이론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이해 하에 제시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과학 용어 포함)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추가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분야의 문맥에서의 그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본원에 분명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양태를 기재하기 위한 목적이며, 제한하고자 의도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단수 형태는 문맥이 달리 명백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용어 "수반하는", "수반하다", "갖는", "갖다", "함께" 또는 그의 변형이 상세한 설명 및/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한, 이러한 용어는 용어 "포함하는"과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서 값의 범위에 대한 언급은 본원에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단지 상기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개별 값을 개별적으로 지칭하는 약칭 방법으로서 제공되는 것으로 의도되며, 각각의 개별 값은 본원에 개별적으로 열거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및 모든 예 또는 예시적인 어휘 (예를 들어, "예컨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더 잘 예시하도록 의도되며, 달리 청구되는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에 대한 제한을 부여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의 어떠한 어휘도 임의의 청구되지 않은 요소가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 "약" 또는 "대략"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특정한 값에 대한 허용 오차 범위 내를 의미하고, 이는 부분적으로 값이 어떻게 측정 또는 결정되는지, 즉 측정 시스템의 한계에 좌우될 것이다. 예를 들어, "약"은 기술분야에서의 관행에 따라 1 이내 또는 1 초과의 표준 편차를 의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약"은 언급된 값의 ±10%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투여량, 지속시간 및 대상체
"면역보호 양"은 T 세포 의존성 (TD)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양을 의미한다. 이러한 반응은 유의한 수준의 IgG 및 옵소닌 활성을 도출하는 능력을 특징으로 한다. 면역 기억은 생산된 항체가 병원체에 의해 매개되는 감염 및 질환 상태를 호전시키고/거나 병원체에 의한 감염을 방지하도록 면역원성 항원에 대해 발생된다. 대상체에 투여되는 투여량 및 용량의 수 (예를 들어, 단일 또는 다중 용량)는 투여 경로, 환자 상태 및 특징 (성별, 연령, 체중, 건강, 크기), 증상의 정도, 공동 치료, 치료 빈도 및 목적하는 효과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백신 및 보조제의 "면역보호 양"은 보조제 및 백신의 조합 효과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보조제가 백신의 면역 반응을 유의하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경우에, 필요한 백신의 양은 보조제가 백신의 면역 반응을 덜 증진시키는 경우보다 적다. 보조제 및 백신의 유용한 양은 공지된 투여량 개발 기술을 사용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에게 백신 및 보조제를 면역보호 양으로 공동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백신에 대한 대상체의 면역 반응을 증진시키거나 또는 비-반응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여기서 보조제는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이고, 추가로 여기서 면역보호 효과를 위해 필요한 백신의 양은 보조제의 사용의 부재 하에 면역보호 효과를 위해 필요한 양의 절반 미만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면역보호 효과를 위해 필요한 백신의 양은 보조제의 사용의 부재 하에 면역보호 효과를 위해 필요한 양의 0.1% 미만, 0.5% 미만, 1.0 % 미만, 10% 미만, 20% 미만, 또는 30% 미만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백신과 공동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백신과 순차적으로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백신이 투여되기 적어도 1주 전에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백신이 투여되기 적어도 2주 전에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백신이 투여되기 적어도 3주 전에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백신이 투여되기 적어도 4주 전에 투여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백신이 투여되기 약 1-8주, 1-12주, 1-36주, 2-8주, 2-12주, 2-26주, 2-36주, 2-48주, 3-4주, 3-12주, 3-8주, 3-26주, 3-36주, 3-48주, 또는 4-12주 전에 투여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백신이 투여되기 약 1, 2, 3, 4, 5, 6, 7, 8, 9, 또는 10개월 전, 또는 백신이 투여되기 1-2개월, 1-3개월, 1-4개월, 1-5개월, 1-6개월, 2-3개월, 2-4개월, 2-6개월, 또는 3-6개월 전에 투여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대상체의 백신 반응의 장기간 증진을 위해 적어도 매년 투여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백신이 보조제에 선행하여, 예컨대 제한 없이, 보조제가 투여되기 약 1-8주, 1-12주, 1-36주, 2-8주, 2-12주, 3-4주, 3-12주, 3-8주, 또는 4-12주 전에 투여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보조제 및 백신의 투여는, 예컨대 백신의 제1 투여의 적어도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또는 18개월 후에 반복되거나, 또는 백신의 제1 투여의 2-4, 2-6, 2-8, 2-10, 3-4, 3-6, 3-8, 3-10, 4-6, 4-8, 4-10, 6-8, 6-10, 6-12, 또는 12-18개월 후에 반복된다. "백신"의 반복 투여는, 제한 없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의 투여에 이어, 제1 백신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제2 또는 반복 투여 시점에 그의 보편적인 혈청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형에 대한 백신접종을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보조제 및 백신의 투여는, 공동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3회, 4회, 5회, 6회, 또는 5-10회 반복된다. 예를 들어, 제한 없이, 본 발명은 제0일에의 보조제의 투여, 이어서 제7일에의 백신의 투여, 이어서 제180일에의 보조제의 투여, 및 이어서 제187일에의 백신의 투여를 투여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실제 백신 함량은 이러한 반복 요법 동안 상이할 수 있지만, 반복 요법의 각각의 시점에 투여되는 백신은 동일한 부류의 병원체에 대해 지시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약 1x106, 2x106, 5x106, 10x106, 20x106, 30x106, 40x106, 50x106, 60x106, 70x106, 80x106, 90x106, 100x106, 110x106, 120x106, 130x106, 140x106, 150x106, 160x106, 170x106, 180x106, 190x106, 200x106, 300x106, 400x106, 500x106, 또는 10x107개 중간엽 줄기 세포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약 2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약 10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약 20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약 1-400x106, 10-400x106, 100-400x106, 20-200x106, 20-400x106, 0.1-5x106, 0.1-10x106,0.1-100x106, 1-50x106, 1-100x106, 0.01-10x106 또는 0.01-100x106 중간엽 줄기 세포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의 면역보호 양은 대상체 내 CD4+:CD8+ T 세포의 비를 증가시키는데, 예컨대 CD4+:CD8+ T 세포의 비를 보조제의 투여 전의 비와 비교하여 적어도 2-, 3, 4-, 5-, 또는 6-배만큼 증가시키는데 충분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의 면역보호 양은 대상체 내 전환된 기억 B 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데, 예컨대 전환된 기억 B 세포의 수를 보조제의 투여 전의 수와 비교하여 적어도 2-, 3-, 4-, 또는 5-배만큼 증가시키는데 충분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보호 양은 대상체의 B 세포에서의 세포내 TNF-α 발현을 감소시키는데, 예컨대 B 세포에서의 세포내 TNF-α 양을 보조제의 투여 전의 B 세포에서의 양과 비교하여 적어도 2-, 3-, 4-, 5-, 또는 6-배만큼 감소시키는데 충분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보호 양은 대상체에서 활성화-유도된 시티딘 데아미나제 (AID)를 상향조절하는데 충분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보호 양은 대상체 내 소진된 B 세포의 수를 감소시키는데, 예컨대 소진된 B 세포의 수를 보조제의 투여 전의 수와 비교하여 적어도 2- 또는 3-배만큼 감소시키는데 충분하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의 사용은 문제가 있는 환자 집단에 대해 보조제의 부재 하에 권고되는 것보다 낮은 수준의 백신의 투여를 가능하게 하고, 여전히 면역 반응을 수득하게 한다. 예를 들어, 현재 권장사항은 ≥65세 환자의 경우 플루존(Fluzone) 고용량 백신 (사노피 파스퇴르(Sanofi Pasteur))의 단일 0.5 mL 용량 근육내 주사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플루존 백신의 양은 ≥65세 환자의 경우 그보다 더 적게, 예컨대 0.3 또는 0.2 mL로 감소될 수 있다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은 경구 투여, 주사, 주입, 비경구, 정맥내, 점막, 설하, 근육내, 피내, 비강내, 복강내, 동맥내, 피하 흡수 또는 다른 공지된 기술과 조합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전신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주입 또는 직접 주사에 의해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정맥내로, 동맥내로 또는 복강내로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정맥내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근육내로, 정맥내로, 동맥내로, 복강내로, 피하로, 피내로, 경구로 또는 비강내로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근육내로 투여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대상체"는 인간 및 비-인간 척추동물 예컨대 야생 동물, 집 동물, 및 가축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용어는 비-인간 동물, 예컨대 개, 고양이, 조류, 마우스, 래트, 토끼, 기니 피그, 햄스터, 저빌, 염소, 양, 소, 말, 낙타, 비-인간 영장류 등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용어는 인간, 예컨대 ≥65세의 고령 인간, 또는 60-95세의 고령 인간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대상체는 노화 노쇠의 증상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대상체는 염증노화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비-반응자이다. 개체의 집단이 질환에 대해 백신접종된 경우, 그 중 다수가 백신접종에 대해 "반응"하지 않고, 즉 그의 면역계는 투여된 항원에 대해 응답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수반되는 질환 및 집단에 따라 보다 더 큰 정도로 또는 보다 적은 정도로 실질적이지만, 백신 제조업체는 여전히, 의사가 이용가능한 각각의 백신에 대해, "비-반응자"일 가능성이 있는 대상체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유전자 조작에 의해 생산된 서브유닛 백신과 같은 정제된 항원을 포함하는 백신의 경우에 중요하게 생각된다.
용어 "동종"은 동일한 동물 종의 것이지만 "수용자 숙주"가 된 동물과 1개 이상의 유전자좌에서 유전자상 상이한 세포를 지칭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동물로부터 동일한 종의 또 다른 비-동일 동물로 이식된 세포에 대해 적용된다.
본원에 사용된 어구 "그를 필요로 하는"은 대상체가 특정한 방법 또는 치료에 대한 필요를 갖는 것으로서 확인되었음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확인은 임의의 진단 수단에 의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방법 및 치료에서, 대상체는 그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특정한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유행하는 환경 속에 있거나 그러한 환경으로 여행 중일 것이다.
세포는 본원에서 특정 마커에 대해 양성 또는 음성인 것으로서 지칭된다. 예를 들어, 세포는 CD45에 대해 음성일 수 있고, 이는 또한 CD45-로 지칭될 수 있다. 위첨자 표기법 "-"는 위첨자에 연결된 마커에 대해 음성인 세포를 지칭한다. 대조적으로 "+"를 갖는 마커는 그러한 마커에 대해 양성인 세포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CD8+"로 지칭되는 세포는 CD8에 대해 양성이다. "+"는 또한 마커를 양성으로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는 또한 마커를 음성으로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줄기 세포"는, 특정 조건 하에, 장기간 동안, 또는 성체 줄기 세포의 경우에 유기체의 수명 내내 그 자체를 재생하는 능력을 갖는, 배, 태아 또는 성체로부터의 세포를 지칭한다. 이는 또한 신체의 조직 및 기관을 구성하는 특화된 세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중간엽 줄기 세포는 생물활성 인자, 예컨대 시토카인으로부터의 다양한 영향에 의존하여 중간엽 또는 결합 조직의 특정 유형의 임의의 종류 (즉, 특화된 요소를 지지하는 신체의 조직; 특히 지방, 골, 연골, 탄력, 및 섬유성 결합 조직)로 분화될 수 있는, 특히 골수, 혈액, 진피, 및 골막에서 발견되는 형성적 만능 모세포이다.
중간엽 줄기 세포를 단리 및/또는 정제하는 특정 방법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고,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는 성인의 골수로부터 단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바람직하지 않은 세포 유형을 제거하기 위해 밀도 구배를 통해 통과된다. 세포는 적절한 배지에 플레이팅되고 배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적어도 1일 또는 약 3일 내지 약 7일 동안 배양되고, 비-부착 세포는 제거된다. 이어서 부착 세포는 플레이팅되고 확장될 수 있다.
줄기 세포를 단리 및 배양하는 다른 방법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태반은 중간엽 줄기 세포의 탁월한,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공급원이다. 또한, 중간엽 줄기 세포는 지방 조직으로부터 유래가능할 수 있고, 골수 기질 세포는 다른 조직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성체 줄기 세포가 유래될 수 있는 기관에 현저한 질적 및 양적 차이가 존재하지만, 세포들 사이의 초기 차이는 비교적 표면적일 수 있고, 그들이 나타내는 유사한 범위의 가소성에 의해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모든 중간엽 세포 계열에 대한 전구세포로서의 역할을 하는 균질한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 조성물이 제공된다. 중간엽 줄기 세포는 고유한 모노클로날 항체에 의해 확인되는 특정 세포 표면 마커에 의해 확인된다. 균질한 중간엽 줄기 세포 조성물은 조혈 또는 분화된 중간엽 세포와 회합된 마커가 없는 부착 골수 또는 골막 세포의 양성 선택에 의해 수득된다. 이들 단리된 중간엽 세포 집단은 오직 중간엽 줄기 세포와 연관된 에피토프 특징을 나타내고, 분화없이 배양 중 재생하는 능력을 갖고, 시험관내 유도되거나 생체내 염증 부위에 놓인 경우 특정 중간엽 계열로 분화되는 능력을 갖는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 방법, 및 키트를 위한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를 수득하기 위해, 골수 또는 다른 중간엽 줄기 세포 공급원에서 다른 세포로부터 만능 중간엽 줄기 세포가 분리된다. 골수 세포는 장골능, 대퇴골, 경골, 척추, 늑골, 또는 다른 수질성 공간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다른 공간은 배아 난황낭, 태반, 제대, 태아 및 청소년 피부, 및 혈액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는 마커의 부재에 의해 확인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유용한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는 STRO-1에 대해 음성이고/거나 CD45에 대해 음성인 것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 유용한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는 섬유모세포 표면 마커를 발현하지 않거나 또는 섬유모세포 형태를 갖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면역 반응을 증진시키는 방법 및 그를 위한 키트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상체에게 백신, 및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을 포함하는 보조제를 면역보호 양으로 공동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백신에 대한 대상체의 면역 반응을 증진시키거나 또는 비-반응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과 연관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는 유전자 조작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는 인간 공여자로부터 수득되고, 인간 공여자와 대상체의 MHC 매칭 단계는 백신 및 보조제를 대상체에게 투여하기 전에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1가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다가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1종 이상의 불활성화된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1종 이상의 불활성화된 바이러스는 아데노바이러스, 피코르나바이러스, 유두종바이러스, 폴리오마바이러스, 헤파드나바이러스, 파르보바이러스, 폭스 바이러스,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시토메갈로바이러스 (CMV), 포진 바이러스, 로세올로바이러스,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필로바이러스, 파라믹소바이러스, 오르토믹소바이러스, 랍도바이러스, 아레나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인간 엔테로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소아마비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플라비바이러스, 헤파시바이러스, 토가바이러스, 및 풍진 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불활성화된 오르토믹소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불활성화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1종 이상의 생, 약독화된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1종 이상의 약독화된 바이러스는 아데노바이러스, 피코르나바이러스, 유두종바이러스, 폴리오마바이러스, 헤파드나바이러스, 파르보바이러스, 폭스 바이러스,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시토메갈로바이러스 (CMV), 포진 바이러스, 로세올로바이러스,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필로바이러스, 파라믹소바이러스, 오르토믹소바이러스, 랍도바이러스, 아레나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인간 엔테로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소아마비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플라비바이러스, 헤파시바이러스, 토가바이러스, 및 풍진 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박테리아 병원체로부터의 항원을 포함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박테리아 병원체는 바실루스(Bacillus), 바르토넬라(Bartonella), 보르데텔라(Bordetella), 보렐리아(Borrelia), 브루셀라(Brucella), 부르크홀데리아(Burkholderia),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클라미디아(Chlamydia), 클라미도필라(Chlamydophila),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엔테로코쿠스(Enterococcus),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프란시셀라(Francisella), 헤모필루스(Haemophilus), 헬리코박터(Helicobacter), 레지오넬라(Legionella), 렙토스피라(Leptospira), 리스테리아(Listeria), 미코박테리움(Mycobacterium), 미코플라스마(Mycoplasma), 네이세리아(Neisseria), 슈도모나스(Pseudomonas), 리케치아(Rickettsia), 살모넬라(Salmonella), 시겔라(Shigella), 스타필로코쿠스(Staphylococcus), 스트렙토코쿠스(Streptococcus), 트레포네마(Treponema), 우레아플라스마(Ureaplasma), 비브리오(Vibrio), 및 예르시니아(Yersini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기생 병원체로부터의 항원을 포함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기생 병원체는 아칸트아메바(Acanthamoeba), 아니사키스(Anisakis), 아스카리스 룸브리코이데스(Ascaris lumbricoides), 발란티디움 콜라이(Balantidium coli), 세스토다(Cestoda), 양충, 코클리오미이아 호미니보락스(Cochliomyia hominivorax), 엔트아메바 히스톨리티카(Entamoeba histolytica), 파시올라 헤파티카(Fasciola hepatica), 지아르디아 람블리아(Giardia lamblia), 구충, 리슈마니아(Leishmania), 링구아툴라 세라타(Linguatula serrata), 간 흡충, 로아 보아(Loa boa), 파라고니무스(Paragonimus), 요충, 플라스모디움 팔시파룸(Plasmodium falciparum), 쉬스토소마(Schistosoma), 스트롱길로이데스 스테르코랄리스(Strongyloides stercoralis), 촌충, 톡소플라스마 곤디이(Toxoplasma gondii), 트리파노소마(Trypanosoma), 편충, 및 부케레리아 반크로프티(Wuchereria bancroft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인플루엔자 헤마글루티닌 1 (HA1), 헤마글루티닌 2 (HA2), 인플루엔자 뉴라미니다제 (NA), 라사 바이러스 (LASV) 당단백질 1 (gp1), LASV 당단백질 2 (gp2), LASV 뉴클레오캡시드-연관 단백질 (NP), LASV L 단백질, LASV Z 단백질, 사스 바이러스 S 단백질, 에볼라 바이러스 GP2, 홍역 바이러스 융합 1 (F1) 단백질, HIV-1 막횡단 (TM) 단백질, HIV-1 당단백질 41 (gp41), HIV-1 당단백질 120 (gp120), C형 간염 바이러스 (HCV) 외피 당단백질 1 (E1), HCV 외피 당단백질 2 (E2), HCV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 (p22),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WNV) 외피 당단백질 (E), 일본 뇌염 바이러스 (JEV) 외피 당단백질 (E), 황열 바이러스 (YFV) 외피 당단백질 (E), 진드기-매개 뇌염 바이러스 (TBEV) 외피 당단백질 (E), G형 간염 바이러스 (HGV) 외피 당단백질 1 (E1),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RSV) 융합 (F) 단백질, 단순 포진 바이러스1 (HSV-1) gD 단백질, HSV-1 gG 단백질, HSV-2 gD 단백질, HSV-2 gG 단백질, B형 간염 바이러스 (HBV) 코어 단백질,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EBV) 당단백질 125 (gp125), 박테리아 외막 단백질 어셈블리 인자 BamA, 박테리아 전위 어셈블리 모듈 단백질 TamA, 박테리아 폴리펩티드-수송 연관 단백질 도메인 단백질, 박테리아 표면 항원 D15, 탄저병 보호 단백질, 탄저병 치사 인자, 탄저병 부종 인자, 살모넬라 티피 S1Da, 살모넬라 티피 S1Db, 콜레라 독소, 콜레라 열 쇼크 단백질,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항원 S, 보툴리눔 독소,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F1,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V 항원,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YopH,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YopM,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YopD,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Pla), 플라스모디움 환상포자소체 단백질 (CSP), 플라스모디움 포자소체 표면 단백질 (SSP2/TRAP), 플라스모디움 간 단계 항원 1 (LSAT), 플라스모디움 유출 단백질 1 (EXP 1), 플라스모디움 적혈구 결합 항원 175 (EBA-175), 플라스모디움 시스테인-풍부 보호 항원 (cyRPA), 플라스모디움 열 쇼크 단백질 70 (hsp70), 쉬스토소마 Sm29, 및 쉬스토소마 신호 전달 단백질 14-3-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원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표준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와 함께 세포의 제제화는 제약 기술분야에서의 상용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제의 정확한 속성은 투여될 세포 및 목적하는 투여 경로를 포함한 여러 인자에 좌우될 것이다. 제제의 적합한 유형은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ition, Mack Publishing Company, Eastern Pennsylvania, USA]에 충분히 기재되어 있다.
조성물은 생리학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조성물은 세포의 액체 현탁액으로서 제조된다. 세포는 활성 성분과 제약상 허용되고 상용성인 부형제와 혼합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물, 염수, 덱스트로스, 글리세롤 등 및 그의 조합이다.
또한, 원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보조 물질 예컨대 습윤제 또는 유화제, pH 완충제, 및/또는 유효성을 증진시키는 보조제를 미량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보조제는 인간 혈청 알부민 (HSA)을 포함한다.
하나의 적합한 담체 또는 희석제는 플라스마라이트 A(PlasmaLyte A)™이다. 이는 정맥내 투여를 위한 멸균, 비발열성 등장성 용액이다. 각각 100 mL는 염화나트륨, USP (NaCl) 526 mg; 소듐 글루코네이트 (C6H11NaO7) 502 mg; 아세트산나트륨 3수화물, USP (C2H3NaO23H2O) 368 mg; 염화칼륨, USP (KCl) 37 mg; 및 염화마그네슘, USP (MgCl26H2O) 30 mg을 포함한다. 이는 어떠한 항미생물제도 함유하지 않는다. pH는 수산화나트륨에 의해 조정된다. pH는 7.4 (6.5 내지 8.0)이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제1 용기 내에 백신 및 제2 용기 내에 보조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용기를 갖는 키트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보조제는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보조제 또는 백신 중 임의의 것이 본 개시내용에 따라 키트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는 유전자 조작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는 제2 용기 내에 동결보존된다. 예를 들어, 중간엽 줄기 세포는 2% HSA 및 5% DMSO가 보충된 헤스판(Hespan)® (0.9% 염화나트륨 중 6% 헤타스타치)으로 이루어진 동결보호제 중에 현탁된 다음, 증기 상 질소 동결기에의 배치를 위해 동결보존 용기 내로 분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는 제2 용기 내에 1% HSA가 보충된 플라스마라이트 A™ 중에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키트는 적어도 3개의 용기를 갖고, 여기서 제3 용기는 중간엽 줄기 세포 현탁 및 희석을 위한 희석 완충제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희석 완충제는 1% HSA가 보충된 플라스마라이트 A™를 함유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조제 및 백신을 면역보호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원에 개시된 보조제 및 백신 중에서 적합한 조성물을 제제화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인간 말초 혈액 유래 B 세포에서의 E47 mRNA 발현에 대한 노화의 효과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E47 및 Pax-5 둘 다는 B-세포 계열의 초기 발생 및 성숙 B 세포 기능에서 중요한 전사 인자이다. Aicda 유전자 내 추정 조절 영역은 둘 다 AID 유전자 발현을 위해 필수적인 E47 및 Pax-5 결합 부위 둘 다를 함유한다는 것이 입증된 바 있다. 하기 실험은 E47 발현이 연령의 함수로 감소하고 B 세포 내 E47 발현은 AID 발현과 양으로 상관된다는 것을 입증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한다.
20 내지 85세 연령 범위의 46명의 대상체를 모집하여 말초 혈액을 채취하였다. CD19+ B 세포 (106개 세포/mL)를 항-CD40 (1μg/mL) 및 IL-4 (10 ng/mL)와 함께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E47 및 GAPDH에 대해 PCR을 수행하였다. E47을 GAPDH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도 1a는 5명의 대표적인 대상체로부터의 비희석 및 ¼ 희석 RT-PCR을 보여준다. 도 1b에서, 그래프는 GAPDH에 대해 정규화된 CT의 밀도측정 분석을 보여준다. 각각의 샘플에 대해 제시된 숫자는 100으로 정한 최고 값의 백분율이다. 연령과 E47 발현 사이의 상관관계를 표현하는 선형 곡선에 대한 피어슨의 r 값은 r=-0.84, p=0.00001이었다. 실선은 선형 회귀를 지칭하고, 파선은 2차 회귀를 지칭한다. 따라서, 데이터는 E47 발현이 연령의 함수로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들 대상체로부터의 혈액을 또한 AID 및 GAPDH에 대한 PCR에 적용하고, 결과를 도 2에 제시한다. E47 (24시간 자극으로부터) 및 AID (5일 자극으로부터)를 그의 각각의 GAPDH 값에 대해 개별적으로 정규화하였다. 각각의 샘플에 대해 제시된 숫자는 100으로 정한 최고 값의 백분율이다. E47 및 AID PCR에 대한 데이터는 양으로 상관되었다. 상관관계는 0.01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양측). 실선은 선형 회귀를 지칭한다. B 세포 내 E47 발현은 도 2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AID 발현과 양으로 상관된다. (r=0.80, p= 0.01 수준, 양측).
실시예 2
전환된 기억 B 세포
하기 실험은 전환된 기억 B 세포가 고령 대상체에서 동종 중간엽 줄기 세포 (MSC)에 의한 치료 후에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환된 기억 B 세포를 CRATUS 시험에서, 인간 환자에서 기준선 (MSC의 정맥내 주입 전) 및 MSC 주입 6개월 후에 측정하였다. 결과는 MSC 주입이 개선된 항체 반응에 대한 예측 바이오마커인 전환 기억 B 세포 구획을 상향조절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한다. 이는 시험된 MSC의 3종의 용량 (20x106, 100x106, 또는 20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에 대해 적용되었다. 데이터는 동종 중간엽 줄기 세포의 정맥내 투여가 일부 환자에서 B 세포의 전환 기억을 2-배 증대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도 4는 그의 제1 중간엽 줄기 세포 주입 1년 후 제2 중간엽 줄기 세포 주입을 제공받은 대상체에서의 전환된 기억 B 세포 및 소진된 B 세포의 %를 보여준다. 그래프는 12개월에의 제2 주사가 최초 중간엽 줄기 세포 치료로부터 유래된 면역 세포의 개선을 유지시키는데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3
T 세포 활성화
하기 실험은 초기 및 후기/만성 T 세포 활성화 둘 다가 동종 MSC 치료 후에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 세포 활성화의 초기 마커 (CD69) 및 T 세포 활성화의 후기/만성 마커 (CD25)를 인간 환자의 CRATUS 시험 샘플로부터 측정하였다. 도 5a 및 5b에 제시된 바와 같이, 동종 중간엽 줄기 세포의 임의의 용량 (20x106, 100x106, 또는 20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에 의해 유도되는 어떠한 T 세포 활성화 (거부)도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CD69 또는 %CD25 세포에 대한, MSC 주입 6개월 후의 절대차를 나타낸 도 5c 및 5d를 참조한다.
실시예 4
면역 위험 표현형
제1 MSC 주입 1년 후에 제2 MSC 주입을 거친 동일한 CRATUS 대상체에 대해 면역 위험 표현형을 측정하였다. 도 6을 참조한다. 결과는 MSC 주입이 CD4+:CD8+ T 세포 비를 개선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제1 주입 후 12개월째에 효과는 퇴행하기 시작하였다. 그 시점에, 제2 MSC 주입은 추가의 개선을 발생시켰다. 12개월째에의 제2 주사는 최초 중간엽 줄기 세포 치료로부터 유래된 면역 세포에 대한 개선을 유지시키는데 필요할 수 있다.
실시예 5
TNF-알파
TNF-α는 AID를 감소시킨다. 2명의 CRATUS 대상체로부터의 샘플에서 B 세포의 세포내 염색에 의해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TNF-α를 측정하고, qPCR에 의해 확인하였다. 기준선 (MSC의 제1 주입 12개월 후) 및 3개월 (제2 주입 3개월 후)에서의 결과가 도 7a 및 7b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시된다. 결과는 중간엽 줄기 세포 주입 후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B 세포에서의 세포내 TNF-α의 하향조절을 보여준다. 이들 결과를 qPCR에 의해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노화 노쇠 환자에서의 백신-특이적 항체 반응에 대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정맥내 전달의 효과-HERA 시험 (I/II상)
HERA 시험은 I/II상 무작위화, 이중-맹검, 및 위약-대조 연구이다. 연구의 1차 목적은 중간엽 줄기 세포의 정맥내 투여가 노화 노쇠 대상체에서 적응 면역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인플루엔자 백신에 대한 1차 B 세포 반응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43명의 노화 노쇠 대상체가 등록되었다. 보조제 (동종 중간엽 줄기 세포)를 말초 정맥내 주입에 의해 투여하였다. 주입 후 각각의 대상체에 대한 총 지속기간은 12개월, 플러스 스크리닝 및 기준선 방문을 위한 최대 추가의 2개월이다. 안전성 준비 다음은 이중-맹검 무작위화 단계이다. 모든 대상체는 포함/제외 기준을 충족시켜야 하고, 기준선을 확립하기 위해 스케줄링된 주입 전에 평가된다.
안전성 준비
안전성 준비는 3개의 코호트의 23명의 대상체를 포함하였고, 중간엽 줄기 세포 주입 후 인플루엔자 백신을 투여하기 위한 최적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코호트 A (3명의 대상체): 2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의 단일 말초 정맥내 주입을 각각의 대상체에게 투여하였다. 주입 1주 후, ≥65세 환자에 대해 권장되는 플루존 고용량 백신 (사노피 파스퇴르)의 단일 0.5 mL 용량 근육내 주사를 대상체에게 제공하였다. 이들 대상체에게 먼저 (즉, 코호트 B 및 C의 임의의 대상체 전에) 주입하고, 5일 이상 떨어져서 주입하였다.
코호트 B (10명의 대상체): 10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의 단일 말초 정맥내 주입을 각각의 대상체에게 투여하였다. 주입 1주 후, 플루존 고용량 백신의 단일 0.5 mL 용량 근육내 주사를 대상체에게 제공하였다.
코호트 C (10명의 대상체): 10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의 단일 말초 정맥내 주입을 각각의 대상체에게 투여하였다. 주입 4주 후, 플루존 고용량 백신의 단일 0.5 mL 용량 근육내 주사를 대상체에게 제공하였다.
코호트 B 및 C의 대상체를 무작위화하고, 처음 3명의 대상체는 5일 이상 떨어져서 주입하였다. 추적 방문을 백신접종 1 및 4주 후에 행하여, 중간엽 줄기 세포 주입 후 백신접종의 안전성 및 효능을 결정하였다. 모든 23명의 대상체에게 주입 및 백신접종한 후, 30-일 검토를 수행하여 모든 안전성 데이터를 평가하였다. 안전성 준비의 성공적인 완료가 검토 및 승인된 후, 이중-맹검 무작위화 단계를 수행하였다. 백신접종 1주 및 4주 후 둘 다에 안전성 준비 데이터를 분석한 후, 시험의 이중-맹검 무작위화 부분에 표준 백신접종 시점을 사용하였다.
이중-맹검 무작위화 시험
이중-맹검 무작위화 시험은 2개의 코호트의 20명의 대상체를 포함하였다. 모든 대상체는 포함/제외 기준을 충족시켜야 하고, 기준선을 확립하기 위해 스케줄링된 주입 전에 평가된다. 대상체를 다음과 같이 1:1 비로 2개의 코호트에 무작위화하였다:
코호트 1 (10명의 대상체): 10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의 단일 말초 정맥내 주입을 각각의 대상체에게 투여하였다. 주입 후 최적 시점 (1 또는 4주, 안전성 준비에서 결정된 바와 같음)에, 플루존 고용량 백신의 단일 0.5 mL 용량 근육내 주사를 대상체에게 제공하였다.
코호트 2 (10명의 대상체): 위약 (플라스마라이트 A™, 1% HSA 포함)의 단일 말초 정맥내 주입을 각각의 대상체에게 투여하였다. 주입 후 최적 시점 (1 또는 4주, 안전성 준비에서 결정된 바와 같음)에, 플루존 고용량 백신의 단일 0.5 mL 용량 근육내 주사를 대상체에게 제공할 것이다.
주입 1일 후 및 백신접종 1일 후에 전화 통화 추적을 행하였다. 사무실-내 추적 방문은 백신접종-후 제1주 및 제4주, 및 주입-후 제6개월 및 제12개월에 행하여 모든 안전성 및 효능 평가를 완료하였다. 백신접종 후 처음 7개월 동안 인플루엔자-유형 증상이 발생한 임의의 대상체는 잠재적 인플루엔자 균주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즉시 사무실 방문이 스케줄링되어야 한다.
1차 종점
1차 효능 종점은 (1) qPCR을 통한, CpG 또는 인플루엔자 백신에 반응하여 B 세포가 활성화-유도된 시티딘 데아미나제 (AID)를 상향조절하는 능력 및 (2) HAI 및 ELISA를 통한, 인플루엔자 특이적 항체 생산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은, B 세포 기능이다. 1차 효능 종점에 대한 데이터는 기준선 방문, 백신접종 방문 (중간엽 줄기 세포 주입 1 또는 4주 후에 수행됨), 백신접종 후 제1주 및 제4주 추적 방문, 및 주입 후 제6개월 및 제12개월 추적 방문으로부터 수득된다.
포함 기준
본 시험에 등록된 모든 대상체는 서면 사전 동의를 제공하여야 하고; 사전 동의서에의 서명 시점에 65-95세이어야 하고; 캐나다 노쇠 척도(Canadian Frailty Scale)의 사용 시 4 내지 7의 점수의 노쇠 진단이 있어야 하고; 전혈 유동 세포측정 염색에 의한 측정 시 ≤5% 전환된 기억 B 세포, ≥10%의 후기/소진된 기억, CD8+ 나이브 세포 ≤20%, 및 CD8+ TEMRA 세포 ≥40%를 생성하는 면역노화를 나타내어야 하고; 0.3-1.9 mg/dL의 총 빌리루빈을 가져야 한다.
보조제 및 위약
최종 중간엽 줄기 세포 제제는 대상체에게 100x106개의 중간엽 줄기 세포를 제공하기 위한, 1.0% HSA를 함유하는 플라스마라이트 A™ 80 mL 중에 현탁된 2.5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mL이다. 20x106개의 중간엽 줄기 세포를 제공받는 준비 단계의 대상체의 경우, 최종 제제는 1.0% HSA를 함유하는 플라스마라이트 A™ 80 mL 중에 현탁된 0.5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mL이다. 보조제는 론게베론 엘엘씨(Longeveron LLC)의 세포 가공 시설 (33136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노스웨스트 7th 애비뉴 1951 라이프 사이언시스 앤드 테크놀로지 파크)에 의해 제조되었다.
희석 완충제를 위약으로 사용하였다. 위약의 최종 제제는 1.0% HSA를 함유하는 플라스마라이트 A™ (총 80 mL)이다.
보조제 투여 투여량 및 투여율
본 시험에서 대상체에게 2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 10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 또는 위약의 단일 주입을 제공하였다. 최대 주입률은 2.5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분으로, 이는 보고된 최대 투약률보다 훨씬 낮다. 표 3은 중간엽 줄기 세포 및 위약 주입에 대한 주입 파라미터의 분석을 제공한다. 각각의 대상체에게 총 80 mL를 정맥내로 전달하였다.
표 3. 무작위 연구를 위한 중간엽 줄기 세포 투여
Figure pct00001

Claims (58)

  1. 대상체에게 백신 및 보조제를 면역보호 양으로 공동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백신에 대한 대상체의 면역 반응을 증진시키거나 또는 비-반응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보조제는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인간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비-인간 동물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비-인간 동물이 개인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인간 대상체가 노화 노쇠의 증상을 나타내는 것인 방법.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인간 대상체가 염증노화를 나타내는 것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엽 줄기 세포가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 세포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엽 줄기 세포가 STRO-1을 발현하지 않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엽 줄기 세포가 CD45를 발현하지 않는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엽 줄기 세포가 섬유모세포 표면 마커를 발현하지 않거나 또는 섬유모세포 형태를 갖지 않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엽 줄기 세포가 유전자 조작되지 않는 것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신이 1가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신이 다가인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신이 1종 이상의 불활성화된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불활성화된 바이러스가 아데노바이러스, 피코르나바이러스, 유두종바이러스, 폴리오마바이러스, 헤파드나바이러스, 파르보바이러스, 폭스 바이러스,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시토메갈로바이러스 (CMV), 포진 바이러스, 로세올로바이러스,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필로바이러스, 파라믹소바이러스, 오르토믹소바이러스, 랍도바이러스, 아레나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인간 엔테로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소아마비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플라비바이러스, 헤파시바이러스, 토가바이러스, 및 풍진 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백신이 불활성화된 오르토믹소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백신이 불활성화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신이 1종 이상의 생, 약독화된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약독화된 바이러스가 아데노바이러스, 피코르나바이러스, 유두종바이러스, 폴리오마바이러스, 헤파드나바이러스, 파르보바이러스, 폭스 바이러스,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시토메갈로바이러스 (CMV), 포진 바이러스, 로세올로바이러스,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필로바이러스, 파라믹소바이러스, 오르토믹소바이러스, 랍도바이러스, 아레나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인간 엔테로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소아마비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플라비바이러스, 헤파시바이러스, 토가바이러스, 및 풍진 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신이 인플루엔자 헤마글루티닌 1 (HA1), 헤마글루티닌 2 (HA2), 인플루엔자 뉴라미니다제 (NA), 라사 바이러스 (LASV) 당단백질 1 (gp1), LASV 당단백질 2 (gp2), LASV 뉴클레오캡시드-연관 단백질 (NP), LASV L 단백질, LASV Z 단백질, 사스 바이러스 S 단백질, 에볼라 바이러스 GP2, 홍역 바이러스 융합 1 (F1) 단백질, HIV-1 막횡단 (TM) 단백질, HIV-1 당단백질 41 (gp41), HIV-1 당단백질 120 (gp120), C형 간염 바이러스 (HCV) 외피 당단백질 1 (E1), HCV 외피 당단백질 2 (E2), HCV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 (p22),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WNV) 외피 당단백질 (E), 일본 뇌염 바이러스 (JEV) 외피 당단백질 (E), 황열 바이러스 (YFV) 외피 당단백질 (E), 진드기-매개 뇌염 바이러스 (TBEV) 외피 당단백질 (E), G형 간염 바이러스 (HGV) 외피 당단백질 1 (E1),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RSV) 융합 (F) 단백질, 단순 포진 바이러스1 (HSV-1) gD 단백질, HSV-1 gG 단백질, HSV-2 gD 단백질, HSV-2 gG 단백질, B형 간염 바이러스 (HBV) 코어 단백질,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EBV) 당단백질 125 (gp125), 박테리아 외막 단백질 어셈블리 인자 BamA, 박테리아 전위 어셈블리 모듈 단백질 TamA, 박테리아 폴리펩티드-수송 연관 단백질 도메인 단백질, 박테리아 표면 항원 D15, 탄저병 보호 단백질, 탄저병 치사 인자, 탄저병 부종 인자, 살모넬라 티피(Salmonella typhi) S1Da, 살모넬라 티피 S1Db, 콜레라 독소, 콜레라 열 쇼크 단백질,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Clostridium botulinum) 항원 S, 보툴리눔 독소, 예르시니아 페스티스(Yersinia pestis) F1,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V 항원,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YopH,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YopM,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YopD,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Pla), 플라스모디움(Plasmodium) 환상포자소체 단백질 (CSP), 플라스모디움 포자소체 표면 단백질 (SSP2/TRAP), 플라스모디움 간 단계 항원 1 (LSAT), 플라스모디움 유출 단백질 1 (EXP 1), 플라스모디움 적혈구 결합 항원 175 (EBA-175), 플라스모디움 시스테인-풍부 보호 항원 (cyRPA), 플라스모디움 열 쇼크 단백질 70 (hsp70), 쉬스토소마(Schistosoma) Sm29, 및 쉬스토소마 신호 전달 단백질 14-3-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원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제가 백신 전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보조제가 백신이 투여되기 적어도 1주 전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보조제가 백신이 투여되기 적어도 2주 전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보조제가 백신이 투여되기 적어도 3주 전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보조제가 백신이 투여되기 적어도 4주 전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제가 백신 반응의 장기간 증진을 위해 적어도 매년 투여되는 것인 방법.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제가 전신 투여되는 것인 방법.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제가 주입 또는 직접 주사에 의해 투여되는 것인 방법.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제가 정맥내로, 동맥내로 또는 복강내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보조제가 정맥내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신이 근육내로, 정맥내로, 동맥내로, 복강내로, 피하로, 피내로, 경구로 또는 비강내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백신이 근육내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제가 약 2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34.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제가 약 10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35.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제가 약 200x106개 중간엽 줄기 세포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엽 줄기 세포가 인간 공여자로부터 수득되고, 인간 공여자와 대상체의 MHC 매칭 단계가 백신 및 보조제를 대상체에게 투여하기 전에 사용되지 않는 것인 방법.
  37. 제1 용기 내에 백신 및 제2 용기 내에 보조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용기를 갖는 키트이며, 여기서 보조제는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인 키트.
  38. 제37항에 있어서, 중간엽 줄기 세포가 동결보존된 것인 키트.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제3 용기 내의 희석 완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엽 줄기 세포가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 세포인 키트.
  41.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엽 줄기 세포가 STRO-1을 발현하지 않는 것인 키트.
  42. 제37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엽 줄기 세포가 CD45를 발현하지 않는 것인 키트.
  43. 제37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엽 줄기 세포가 섬유모세포 표면 마커를 발현하지 않거나 또는 섬유모세포 형태를 갖지 않는 것인 키트.
  44. 제37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엽 줄기 세포가 유전자 조작되지 않는 것인 키트.
  45. 제37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신이 1가인 키트.
  46. 제37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신이 다가인 키트.
  47. 제37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신이 1종 이상의 불활성화된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인 키트.
  48. 제47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불활성화된 바이러스가 아데노바이러스, 피코르나바이러스, 유두종바이러스, 폴리오마바이러스, 헤파드나바이러스, 파르보바이러스, 폭스 바이러스,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시토메갈로바이러스 (CMV), 포진 바이러스, 로세올로바이러스,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필로바이러스, 파라믹소바이러스, 오르토믹소바이러스, 랍도바이러스, 아레나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인간 엔테로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소아마비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플라비바이러스, 헤파시바이러스, 토가바이러스, 및 풍진 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키트.
  49.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백신이 불활성화된 오르토믹소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인 키트.
  50. 제49항에 있어서, 백신이 불활성화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인 키트.
  51. 제37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신이 1종 이상의 생, 약독화된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인 키트.
  52. 제51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약독화된 바이러스가 아데노바이러스, 피코르나바이러스, 유두종바이러스, 폴리오마바이러스, 헤파드나바이러스, 파르보바이러스, 폭스 바이러스,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시토메갈로바이러스 (CMV), 포진 바이러스, 로세올로바이러스,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필로바이러스, 파라믹소바이러스, 오르토믹소바이러스, 랍도바이러스, 아레나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인간 엔테로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소아마비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플라비바이러스, 헤파시바이러스, 토가바이러스, 및 풍진 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키트.
  53. 제37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신이 인플루엔자 헤마글루티닌 1 (HA1), 헤마글루티닌 2 (HA2), 인플루엔자 뉴라미니다제 (NA), 라사 바이러스 (LASV) 당단백질 1 (gp1), LASV 당단백질 2 (gp2), LASV 뉴클레오캡시드-연관 단백질 (NP), LASV L 단백질, LASV Z 단백질, 사스 바이러스 S 단백질, 에볼라 바이러스 GP2, 홍역 바이러스 융합 1 (F1) 단백질, HIV-1 막횡단 (TM) 단백질, HIV-1 당단백질 41 (gp41), HIV-1 당단백질 120 (gp120), C형 간염 바이러스 (HCV) 외피 당단백질 1 (E1), HCV 외피 당단백질 2 (E2), HCV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 (p22),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WNV) 외피 당단백질 (E), 일본 뇌염 바이러스 (JEV) 외피 당단백질 (E), 황열 바이러스 (YFV) 외피 당단백질 (E), 진드기-매개 뇌염 바이러스 (TBEV) 외피 당단백질 (E), G형 간염 바이러스 (HGV) 외피 당단백질 1 (E1),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RSV) 융합 (F) 단백질, 단순 포진 바이러스1 (HSV-1) gD 단백질, HSV-1 gG 단백질, HSV-2 gD 단백질, HSV-2 gG 단백질, B형 간염 바이러스 (HBV) 코어 단백질,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EBV) 당단백질 125 (gp125), 박테리아 외막 단백질 어셈블리 인자 BamA, 박테리아 전위 어셈블리 모듈 단백질 TamA, 박테리아 폴리펩티드-수송 연관 단백질 도메인 단백질, 박테리아 표면 항원 D15, 탄저병 보호 단백질, 탄저병 치사 인자, 탄저병 부종 인자, 살모넬라 티피 S1Da, 살모넬라 티피 S1Db, 콜레라 독소, 콜레라 열 쇼크 단백질,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항원 S, 보툴리눔 독소,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F1,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V 항원,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YopH,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YopM,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YopD,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Pla), 플라스모디움 환상포자소체 단백질 (CSP), 플라스모디움 포자소체 표면 단백질 (SSP2/TRAP), 플라스모디움 간 단계 항원 1 (LSAT), 플라스모디움 유출 단백질 1 (EXP 1), 플라스모디움 적혈구 결합 항원 175 (EBA-175), 플라스모디움 시스테인-풍부 보호 항원 (cyRPA), 플라스모디움 열 쇼크 단백질 70 (hsp70), 쉬스토소마 Sm29, 및 쉬스토소마 신호 전달 단백질 14-3-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원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인 키트.
  54.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신의 제1 투여의 적어도 6개월 후에 백신 및 보조제의 투여를 반복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55. 대상체에게 백신 및 보조제를 면역보호 양으로 공동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보조제는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이고, 추가로 여기서 대상체의 B 세포에서의 세포내 TNF-α 발현은 보조제의 투여 전 대상체의 B 세포에서의 TNF-α 발현 수준과 비교하여 적어도 2-배 감소하는 것인 방법.
  56. 대상체에게 백신 및 보조제를 면역보호 양으로 공동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보조제는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이고, 추가로 여기서 대상체 내 CD4+:CD8+ T 세포 비는 보조제의 투여 전 대상체 내 CD4+:CD8+ T 세포 비와 비교하여 적어도 2-배 증가하는 것인 방법.
  57. 대상체에게 백신 및 보조제를 면역보호 양으로 공동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보조제는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이고, 추가로 여기서 대상체 내 전환된 기억 B 세포의 수는 보조제의 투여 전 대상체 내 전환된 기억 B 세포의 수와 비교하여 적어도 2-배 증가하는 것인 방법.
  58. 대상체에게 백신 및 보조제를 면역보호 양으로 공동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보조제는 단리된 동종 인간 중간엽 줄기 세포의 집단이고, 추가로 여기서 대상체 내 소진된 B 세포의 수는 보조제의 투여 전 대상체 내 소진된 B 세포의 수와 비교하여 적어도 2-배 감소하는 것인 방법.
KR1020187025027A 2016-02-04 2017-02-02 백신 보조제로서의 중간엽 줄기 세포 및 그의 사용 방법 KR201801057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91350P 2016-02-04 2016-02-04
US62/291,350 2016-02-04
PCT/US2017/016200 WO2017136539A1 (en) 2016-02-04 2017-02-02 Mesenchymal stem cells as vaccine adjuvant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705A true KR20180105705A (ko) 2018-09-28

Family

ID=58261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027A KR20180105705A (ko) 2016-02-04 2017-02-02 백신 보조제로서의 중간엽 줄기 세포 및 그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975068B2 (ko)
EP (2) EP3411050B1 (ko)
JP (2) JP2019509264A (ko)
KR (1) KR20180105705A (ko)
AU (1) AU2017213812B2 (ko)
CA (1) CA3013457A1 (ko)
ES (1) ES2960206T3 (ko)
IL (1) IL260858B (ko)
SG (1) SG11201806587RA (ko)
WO (1) WO2017136539A1 (ko)
ZA (2) ZA2018051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063A1 (ja) * 2019-02-15 2020-08-20 大和薬品株式会社 フレイル改善方法およびフレイル改善食品
CN111568927A (zh) * 2020-05-23 2020-08-25 湖南源品细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msc用于调节记忆b细胞数量的应用
KR20230066407A (ko) 2020-09-08 2023-05-15 롱에버론 인코포레이티드 동종이계 중간엽 줄기 세포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치료
CA3227475A1 (en) 2021-07-26 2023-02-02 Longeveron Inc. Use of mesenchymal stem cells in treatment of juvenile 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7269B2 (en) 1998-04-03 2004-09-28 Osiris Therapeutics, Inc. Mesenchymal stem cells as immunosuppressants
US8554280B2 (en) 2010-03-23 2013-10-08 Ebay Inc. Free-form entries during payment processes
US10472647B2 (en) 2012-12-21 2019-11-12 The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Primary mesenchymal stem cells as a vaccine platform
EP3446708A1 (en) 2012-12-24 2019-02-27 Cell Ideas Pty Ltd. Vaccin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vaccine efficacy
US9101597B2 (en) 2013-03-14 2015-08-11 The Administration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Immunoprotective primary mesenchymal stem cells and methods
CN104138391B (zh) * 2013-05-08 2018-07-31 中国科学院上海生命科学研究院 间充质干细胞在预防或治疗应激反应导致的免疫力下降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2000574B (en) 2021-08-25
EP3411050B1 (en) 2023-09-27
US20190038742A1 (en) 2019-02-07
JP2023036949A (ja) 2023-03-14
AU2017213812B2 (en) 2024-04-04
AU2017213812A1 (en) 2018-08-16
CA3013457A1 (en) 2017-08-10
IL260858A (en) 2018-10-31
ZA201805159B (en) 2020-10-28
JP2019509264A (ja) 2019-04-04
IL260858B (en) 2022-04-01
EP4316497A3 (en) 2024-05-01
EP3411050A1 (en) 2018-12-12
SG11201806587RA (en) 2018-09-27
WO2017136539A1 (en) 2017-08-10
US11975068B2 (en) 2024-05-07
ES2960206T3 (es) 2024-03-01
EP4316497A2 (en)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ccia et al. Cellular and molecular synergy in AS01-adjuvanted vaccines results in an early IFNγ response promoting vaccine immunogenicity
Weiss et al. IFN-γ treatment at early stages of influenza virus infection protects mice from death in a NK cell-dependent manner
JP2023036949A (ja) ワクチンアジュバントとしての間葉系幹細胞及びそれ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
TWI820753B (zh) 使用人類間葉幹細胞以實現細胞性及體液性免疫的方法
Nolz et al. IL-15 regulates memory CD8+ T cell O-glycan synthesis and affects trafficking
Ross et al. Single dose combination nanovaccine provides protection against influenza A virus in young and aged mice
Huang et al. Class II transactivator knockdown limits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II expression, diminishes immune rejection, and improves survival of allogeneic bone marrow stem cells in the infarcted heart
Wang et al. CXCR4+ CD45− BMMNC subpopulation is superior to unfractionated BMMNCs for protection after ischemic stroke in mice
Subramaniam et al. A virulent strain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does not up-regulate interleukin-10 levels in vitro or in vivo
Cruz et al. Monocyte‐derived dendritic cells enhance protection against secondary influenza challenge by controlling the switch in CD8+ T‐cell immunodominance
Zhu et al. Innate and adaptive immune response in SARS-CoV-2 infection-Current perspectives
WO201408939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and preventing pulmonary fibrosis
Febre et al. Placenta‐derived mesenchymal stromal cells as a treatment for refractory chronic gingivostomatitis in cats: eight cases (2018)
EP4366744A1 (en) Mesenchymal stem cell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gingivostomatitis
Ivanova et al. Anti-Asialo GM1 treatment during secondary Toxoplasma gondii infection is lethal and depletes T cells
KR100735083B1 (ko) Cd8 t 세포 활성화 방법
Habiela The Role of Follicular Dendritic Cells and Persisting Foot-And-Mouth Disease Virus Antigens as Determinants of Immune Responses to the Virus
JP2023522931A (ja) ポテンシーアッセイ
Aspinall et al. Interleukin-7 and Immunorejuvenation
Gasper Cell-Mediated Antiviral Immunity And Host Responses to CD8 T-cell Vaccines and Respiratory Virus Infection
JP2008538499A (ja) CD4T細胞の活性化方法{MethodForActivatingCD4TCells}
Edwards Programming protective CD4-independent CD8 T cell memory
NZ794292A (en) Methods of using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to effect cellular and humoral immun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