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296A - 차량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296A
KR20180105296A KR1020170032044A KR20170032044A KR20180105296A KR 20180105296 A KR20180105296 A KR 20180105296A KR 1020170032044 A KR1020170032044 A KR 1020170032044A KR 20170032044 A KR20170032044 A KR 20170032044A KR 20180105296 A KR20180105296 A KR 20180105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ase
unit
control unit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5296A/ko
Publication of KR20180105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11/18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설치되고, 충전포트가 장착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충전포트를 커버하는 도어부와,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도어부를 잠그는 록킹부와,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전자제어유닛과 연계되어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조립성을 개선하고 충전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충전장치{CHARG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포트를 커버하여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하고, 충전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하는 차량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와 모터를 탑재하여 전기의 힘으로 주행하는 차량이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는 충전건과 접속되는 충전포트, 충전포트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이때, 도어는 충전포트의 입구를 커버하도록 차체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도어를 바깥쪽으로 회동시키면서 잡아 당기면, 도어가 충전포트의 입구에 대하여 90도 이상으로 배열되는 상태가 되어 충전건의 진입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차량에 대한 충전을 실시하면서 차량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하기 어렵고, 도어가 충전포트를 커버하더라도 외부환경에 의한 수분과 먼지가 유입되어 충전포트의 손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5498호(2015.12.01. 등록, 발명의 명칭 : 전기자동차의 충전포트 도어 개폐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충전포트를 커버하여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하고, 충전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하는 차량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는: 차체에 설치되고, 충전포트가 장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충전포트를 커버하는 도어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부를 잠그는 록킹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전자제어유닛과 연계되어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부; 상기 베이스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충전포트가 노출되도록 개구된 충전홀부; 상기 베이스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부가 관통되는 도어관통홀부; 및 상기 베이스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부를 노출시키는 노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판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부가 힌지 결합되는 베이스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충전홀부에 배치되어 점등되는 베이스램프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램프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베이스판부를 커버하는 도어전면부; 상기 도어전면부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록킹부에 걸림 고정되는 도어후면부; 및 상기 도어후면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커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도어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도어후면부에 장착되고, 상기 충전홀부에 밀착되는 도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베이스판부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어 상기 노출홀부를 관통하고,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연계되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어 상기 노출홀부를 관통하고, 충전예약을 실시하는 예약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어 상기 노출홀부를 관통하고, 상기 도어부를 밀고 당기는 푸시풀부; 및 상기 푸시풀부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베이스램프부가 점등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는: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부와 연계되어 배터리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외부상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는 베이스부와, 도어부와, 록킹부와, 컨트롤부가 모듈화되어,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는 록킹부와 푸시풀부에 의해 도어부가 이중으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는 푸시풀부 조작에 따라 도어부가 개방되면 베이스램프부가 점등되어 야간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는 도어후면부에 장착된 도어링부가 충전홀부에 밀착되어 충전포트에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는 표시부가 충전상태를 표시하고, 예약버튼부에 의해 충전예약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는 외부상태부에 의해 배터리 상태를 외부에서 인지하여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가 차체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면사시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도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도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도어부가 베이스부를 밀폐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도어부가 록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컨트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푸시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푸시풀부가 도어부를 당기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푸시풀부가 도어부를 밀어내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외부상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1)는 베이스부(10)와, 도어부(20)와, 록킹부(30)와, 컨트롤부(4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차체(100)에 설치된다. 일 예로, 베이스부(10)는 차체(10)의 전면 범퍼 내측에 나사 조립될 수 있다. 베이스부(10)에는 충전건과 접속되어 배터리에 충전을 실시하는 충전포트(200)가 장착될 수 있다.
도어부(20)는 베이스부(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충전포트(200)를 커버한다. 일 예로, 도어부(20)는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도어부(20)가 개방되면 충전포트(200)가 노출되고, 도어부(20)가 폐쇄되면 충전포트(200)가 도어부(20)에 커버될 수 있다.
록킹부(30)는 베이스부(10)에 결합되고, 도어부(20)를 잠근다. 일 예로, 록킹부(30)로는 액추에이터가 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되, 도어부(20)에 삽입되어 도어부(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컨트롤부(40)는 베이스부(10)에 결합되고, 전자제어유닛(300)과 연계되어 충전 상태를 외부에 알려준다. 일 예로, 전자제어유닛(300)은 차량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이씨유(ECU)가 될 수 있으며, 이씨유는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록킹부(30)와 컨트롤부(40)는 베이스부(10)에 나사 결합되어 이들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그 외, 록킹부(30)와 컨트롤부(40)는 베이스부(10)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는 베이스판부(11)와, 충전홀부(12)와, 도어관통홀부(13)와, 노출홀부(14)를 포함한다.
베이스판부(11)는 차체(100)에 설치된다. 일 예로, 베이스판부(11)는 차체(1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판부(11)는 형상 설계가 자유로운 플라스틱 소재가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베이스판부(11)의 후방에는 충전포트(20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판부(11)의 일부는 컨트롤부(40)를 커버할 수 있다.
충전홀부(12)는 베이스판부(11)에 형성되고, 충전포트(200)가 노출되도록 개구된 형상을 한다. 일 예로, 충전홀부(12)는 베이스판부(11)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관통홀부(13)는 베이스판부(11)에 형성되고, 도어부(20)가 관통된다. 일 예로, 충전홀부(12)의 좌측에 도어관통홀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노출홀부(14)는 베이스판부(11)에 형성되고, 커버된 컨트롤부(40)를 노출시킨다. 일 예로, 노출홀부(14)는 충전홀부(12)의 우측에 위치되고, 표시홀부(141)와 버튼홀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는 베이스커버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커버부(15)는 베이스판부(11)에 연결되고, 도어부(20)가 힌지 결합된다. 일 예로, 베이스커버부(15)는 베이스판부(11)의 좌측단에서 연장되어도어부(20)가 핀 결합되는 커버연장부(151)와, 커버연장부(151)와 조립되어 도어부(20)를 감싸는 커버결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는 베이스램프부(16)와 베이스홀더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램프부(16)는 충전홀부(12)에 배치되어 점등된다. 일 예로, 충전홀부(12)가 덕트 형상을 하고, 베이스램프부(16)의 일부는 충전홀부(12)에 밀착되어 덕트 형상을 할 수 있다. 베이스홀더부(17)는 베이스판부(11)의 배면에 장착되면서 베이스램프부(16)를 지지한다. 일 예로, 베이스홀더부(17)는 베이스판부(11)에 나사 조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도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도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도어부가 베이스부를 밀폐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도어부가 록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20)는 도어전면부(21)와, 도어후면부(22)와, 도어회전부(23)를 포함한다.
도어전면부(21)는 베이스판부(11)를 커버한다. 일 예로, 도어전면부(21)는 베이스판부(11)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베이스판부(1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후면부(22)는 도어전면부(21)의 배면에 결합되고, 록킹부(30)에 걸림 고정된다. 일 예로, 도어후면부(22)는 도어전면부(21)에 결합되는 후면판부(221)와, 후면판부(221)에서 돌출되는 후면덕트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판부(221)는 도어전면부(21)의 배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 외, 후면판부(221)는 도어전면부(21)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접합될 수 있다. 후면덕트부(222)는 덕트 형상의 충전홀부(12)에 삽입되어 이물질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후면판부(221)에는 후면홀부(229)가 형성될 수 있고, 록킹부(30)가 후면홀부(229)에 삽입되어 도어부(20)의 록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록킹부(30)가 후면홀부(229)에서 인출되면, 도어부(2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도어회전부(23)는 도어후면부(22)에 연결되고, 도어관통홀부(13)를 관통하여 베이스커버부(15)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도어회전부(23)는 도어후면부(22)에서 연장되는 회전연장부(231)와, 회전연장부(231)에서 후방으로 굴곡을 갖도록 연장되는 회전굴곡부(232)와, 회전굴곡부(232)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베이스커버부(15)와 핀 결합되는 회전결합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도어회전부(23)의 회전 상태를 유지시키는 회전스프링(234)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20)는 도어링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링부(24)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어후면부(22)의 외측에 장착되며, 충전홀부(12)의 내측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충전홀부(12)로 수분이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컨트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푸시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푸시풀부가 도어부를 당기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푸시풀부가 도어부를 밀어내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컨트롤부(40)는 하우징부(41)와, 표시부(42)와, 제어부(43)를 포함한다.
하우징부(41)는 베이스판부(11)에 결합된다. 일 예로, 하우징부(41)는 전면하우징부(411)와 후면하우징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하우징부(411)와 후면하우징부(412)는 서로 접합되고, 베이스판부(1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표시부(42)는 하우징부(41)에 장착되어 노출홀부(14)를 관통하고, 충전상태를 표시한다. 일 예로, 표시부(42)는 복수개의 램프 점등을 통해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43)는 하우징부(41)에 내장되고, 전자제어유닛(300)과 연계되어 표시부(42)를 제어한다. 그 외, 제어부(43)는 도어부(20)의 개폐에 따른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3)에는 하우징부(41)에 내장되고 각종 전자소자가 장착되어 전기신호를 안내하는 기판부(431)와, 기판부(431)에 연결되고 다른 부품과의 전기신호를 안내하는 접속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부(40)는 예약버튼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약버튼부(44)는 하우징부(410)에 장착되어 노출홀부(14)를 관통하고, 충전예약을 실시한다. 일 예로, 표시부(42)와 예약버튼부(44)가 표시홀부(141)를 관통할 수 있다. 예약버튼부(44)는 통상적인 푸시버튼 구조를 가지며, 사용자가 예약버튼부(44)를 1회 가압하면 제어부(43)는 예약된 시간에 충전이 실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예약된 시간이란, 사용자가 차량 내부의 시스템 조작을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심야전기가 공급되는 시간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부(40)는 푸시풀부(45)와 스위치부(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시풀부(45)는 하우징부(41)에 장착되어 노출홀부(14)를 관통하고, 도어부(20)를 밀고 당긴다. 스위치부(46)는 푸시풀부(45)의 작동 상태에 따라 베이스램프부(16)가 점등되도록 제어부(43)에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일 예로, 푸시풀부(45)는 푸시풀버튼부(451)와, 푸시풀고정부(452)와, 푸시풀핀부(453)와, 푸시풀축부(454)와, 푸시풀돌기부(455)와, 푸시풀탄성부(456)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풀버튼부(451)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버튼홀부(142)를 관통하고, 금속성 재질인 도어전면부(21)에 부착될 수 있다. 푸시풀고정부(452)는 전면하우징부(411)에 장착되어 이동이 제한되고, 푸시풀핀부(453)는 푸시풀고정부(452)에 장착될 수 있다. 푸시풀축부(454)는 푸시풀버튼부(451)와 연결되고 푸시풀고정부(452)를 관통하며, 전면하우징부(4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면가이드부(413)에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다. 푸시풀축부(454)에는 푸시풀핀부(453)가 걸림 고정되는 하트 형상의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푸시풀돌기부(455)는 푸시풀축부(454)의 외측에서 돌출되고, 푸시풀축부(454)의 단부로 갈수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푸시풀돌기부(455)는 스위치부(46)를 압박할 수 있다. 푸시풀탄성부(456)는 전면가이드부(413)에 삽입되어 푸시풀축부(454)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에서 외부상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1)는 외부상태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상태부(50)는 차체(100)에 장착되고, 컨트롤부(40)와 연계되어 배터리 상태를 외부로 표시한다.
일 예로, 외부상태부(50)는 차체(100)의 배면에 장착되는 상태판부(51)와, 상태판부(51)에 장착되어 점등되는 상태점등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점등부(52)는 엠블럼(50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점등 색상과 점등 횟수가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배터리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의 조립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판부(11)의 배면에 베이스홀더부(17)가 결합되어 베이스램프부(16)를 지지하고, 베이스판부(11)의 좌측에는 베이스커버부(15)가 형성되며, 베이스판부(11)의 우측에는 록킹부(30)와 컨트롤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부(11)의 전방에는 도어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어전면부(21)가 베이스판부(11)를 커버하고, 도어후면부(22)에 장착된 도어링부(24)가 충전홀부(12)에 밀착되어 수분 및 먼지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회전부(23)가 베이스판부(11)를 관통하여 베이스커버부(15)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판부(11)는 차체(100)에 장착되고, 컨트롤부(40)와 연결되는 외부상태부(50)는 차체(100)에 장착되되 엠블럼(500)에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도어전면부(21)가 베이스판부(11)를 커버하면, 도어전면부(21)에 밀려 푸시풀버튼부(451)가 가압되고, 푸시풀버튼부(451)에 의해 푸시풀축부(454)가 후방 이동되어 푸시풀탄성부(456)를 압박한다(도 12 참조). 이때, 푸시풀돌기부(455)가 스위치부(45)를 압박한다. 그 외, 록킹부(30)가 도어부(20)를 관통하여 도어부(2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록킹부(30)가 도어부(20)의 잠금 상태를 해지시킨다. 이때, 조작스위치는 별도로 존재하거나, 도어의 록킹 해제스위치와 연동될 수 있다.
록킹부(30)가 도어부(20)의 잠금 상태를 해지하면, 사용자가 도어전면부(21)를 가압한다. 그리하면, 도어전면부(21)에 의해 푸시풀버튼부(452)가 가압된 후 전방으로 돌출되어 도어전면부(21)를 일부 개방한다(도 13 참조). 이때, 푸시풀돌기부(455)가 스위치부(45)에 대한 압박을 해제시키고, 스위치부(45)의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43)는 베이스램프부(16)에 전원을 인가하여 베이스램프부(16)가 점등될 수 있다.
도어전면부(21)가 일부 개방되면, 사용자가 도어전면부(21)를 강제로 회전시켜 개방각을 증대시켜 줌으로써, 충전포트(200)가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충전포트(200)에 충전건을 접속시켜 차량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즉시 실시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가 예약버튼부(44)를 가압하면, 제어부(43)는 예약된 시간에 충전이 실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3)는 전자제어유닛(300)과 연계되고, 전자제어유닛(300)은 배터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만일, 장기간 충전이 되지 않아 배터리가 전기적으로 불안정한 경우, 외부상태부(50)가 점등되어 외부에서 배터리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외부상태부(50)가 점등되면, 사용자는 차량에 대한 시동을 걸어 배터리가 전기적으로 안정화된 후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1)는 베이스부(10)와, 도어부(20)와, 록킹부(30)와, 컨트롤부(40)가 모듈화되어,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1)는 록킹부(30)와 푸시풀부(45)에 의해 도어부(20)가 이중으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1)는 푸시풀부(45) 조작에 따라 도어부(20)가 개방되면 베이스램프부(16)가 점등되어 야간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1)는 도어후면부(22)에 장착된 도어링부(24)가 충전홀부(12)에 밀착되어 충전포트(200)에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1)는 표시부(42)가 충전상태를 표시하고, 예약버튼부(44)에 의해 충전예약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장치(1)는 외부상태부(50)에 의해 배터리 상태를 외부에서 인지하여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부 11 : 베이스판부
12 : 충전홀부 13 : 도어관통홀부
14 : 노출홀부 15 : 베이스커버부
16 : 베이스램프부 17 : 베이스홀더부
20 : 도어부 21 : 도어전면부
22 : 도어후면부 23 : 도어회전부
24 : 도어링부 30 : 록킹부
40 : 컨트롤부 41 : 하우징부
42 : 표시부 43 : 제어부
44 : 예약버튼부 45 : 푸시풀부
46 : 스위치부 50 : 외부상태부

Claims (10)

  1. 차체에 설치되고, 충전포트가 장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충전포트를 커버하는 도어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부를 잠그는 록킹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전자제어유닛과 연계되어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부;
    상기 베이스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충전포트가 노출되도록 개구된 충전홀부;
    상기 베이스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부가 관통되는 도어관통홀부; 및
    상기 베이스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부를 노출시키는 노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판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부가 힌지 결합되는 베이스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충전홀부에 배치되어 점등되는 베이스램프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램프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베이스판부를 커버하는 도어전면부;
    상기 도어전면부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록킹부에 걸림 고정되는 도어후면부; 및
    상기 도어후면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커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도어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도어후면부에 장착되고, 상기 충전홀부에 밀착되는 도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베이스판부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어 상기 노출홀부를 관통하고,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연계되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어 상기 노출홀부를 관통하고, 충전예약을 실시하는 예약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어 상기 노출홀부를 관통하고, 상기 도어부를 밀고 당기는 푸시풀부; 및
    상기 푸시풀부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베이스램프부가 점등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부와 연계되어 배터리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외부상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장치.
KR1020170032044A 2017-03-14 2017-03-14 차량용 충전장치 KR20180105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044A KR20180105296A (ko) 2017-03-14 2017-03-14 차량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044A KR20180105296A (ko) 2017-03-14 2017-03-14 차량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296A true KR20180105296A (ko) 2018-09-28

Family

ID=6372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044A KR20180105296A (ko) 2017-03-14 2017-03-14 차량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529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758A (ko)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KR20220064756A (ko)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KR20220064757A (ko)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KR20220152814A (ko) * 2021-05-10 2022-11-17 (주)엘엑스하우시스 차량용 충전 도어 조립체
KR20230086904A (ko) * 2021-12-09 2023-06-16 주식회사 대유이피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전기공급장치
KR20230134197A (ko) * 2022-03-14 2023-09-21 (주)엘엑스하우시스 차량용 충전 도어 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758A (ko)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KR20220064756A (ko)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KR20220064757A (ko)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KR20220152814A (ko) * 2021-05-10 2022-11-17 (주)엘엑스하우시스 차량용 충전 도어 조립체
KR20230086904A (ko) * 2021-12-09 2023-06-16 주식회사 대유이피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전기공급장치
KR20230134197A (ko) * 2022-03-14 2023-09-21 (주)엘엑스하우시스 차량용 충전 도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5296A (ko) 차량용 충전장치
JP6454907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US20150048644A1 (en) Access system for vehicle energy storage device with magnetic sensor to detect access door position
JP3135040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用コネクタ
JP6454908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CN102917904B (zh) 用于机动车辆的致动器和锁定装置
JP6249756B2 (ja) 充電コネクター用ホルダー
JP2921640B2 (ja) 給電コネクタ
US20090278491A1 (en) Integrated side view mirror assembly and electrical port for an automotive vehicle
WO2012049733A1 (ja) 充電リッドの開閉検出装置
US20140111144A1 (en) Charge connector locking apparatus
JP5812186B2 (ja) 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と携帯リモコンキー
KR101927187B1 (ko)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모듈
US9744919B2 (en) Rear trim strip for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rear trim strip
CN110774913A (zh) 前格栅储存
US10267069B2 (en) Door latch actuator
JP6733311B2 (ja) 車外給電装置
KR20210018730A (ko) 전기차용 충전 커넥터 잠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375562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CN104620599A (zh) 用于安装在机动车里面的话筒装置
WO2022064065A1 (en) Sliding charging inlet cover
JP2013109981A (ja) 給電制御装置
JP2001217564A (ja) 電子機器
JP6529331B2 (ja) 自動車用充電装置
JPH10321294A (ja) 電気自動車のチャージ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