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474A - 코골이 방지구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474A
KR20180104474A KR1020170031291A KR20170031291A KR20180104474A KR 20180104474 A KR20180104474 A KR 20180104474A KR 1020170031291 A KR1020170031291 A KR 1020170031291A KR 20170031291 A KR20170031291 A KR 20170031291A KR 20180104474 A KR20180104474 A KR 20180104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ongue
snoring
valve membrane
mas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석
Original Assignee
김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석 filed Critical 김광석
Priority to KR102017003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4474A/ko
Publication of KR20180104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근(혀뿌리)이 기도 측으로 말려 들어가 기도가 좁아지지 않도록 설단(혀끝)을 구강 외측으로 당긴 후 고정함으로써, 코골이 증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수면중 호흡장애를 방지할 수 있고, 착용중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코골이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구는, 입술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입술커버부(110)와, 상기 입술커버부(110)와 연통되며 설단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설단삽입부(120)로 구성된 몸체(100); 상기 설단삽입부(120)의 전방에 그 설단삽입부(12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끝단에 흡입수단(I)에 의해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도록 공기흡입공(211)이 형성된 공기흡입관(210)과, 상기 공기흡입관(21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수단(I)에 의해 공기를 흡입시키는 동안에만 개폐되는 밸브막(220)으로 구성된 공기흡입부(200); 상기 공기흡입관(210)이 중앙부를 관통하고 상기 몸체(100)가 내측에 위치되게 결합되며 안면의 코 및 구강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다수개의 통기공(311)이 형성된 마스크몸체(310)와, 상기 마스크몸체(310)의 좌·우 양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마스크몸체(310)가 안면에 밀착되도록 두부(頭部) 또는 귀에 걸어 고정하는 고정밴드(320)로 구성된 마스크부(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골이 방지구{Snoring prevention appliance}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근(혀뿌리)이 기도 측으로 말려 들어가 기도가 좁아지지 않도록 설단(혀끝)을 구강 외측으로 당긴 후 고정함으로써, 코골이 증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수면중 호흡장애를 방지할 수 있고, 착용중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코골이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골이는 수명 중 좁아진 기도를 통해 호흡할 때 연구개(입천장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를 비롯한 구강 및 인두부(비강과 후두 사이에 있으며 호흡도(呼吸道)를 겸함)의 조직틀이 진동함에 따라 발생한다.
기도가 좁아지는 이유는 주로 소하악증, 아데노이드(adenoid)나 편도의 비대, 연구개의 형태 이상, 비만에 따른 상기도 연조직의 지방 침착, 악관절 이상이나 하악골의 후방 편위 등인데, 수면중에는 공기가 들어가는 비인두, 구인두, 후두인두 등의 근육들이 이완되기 때문에 공기의 통로인 기도가 부분적으로 더욱 좁아지게 된다.
특히, 수면시 앙와위(신체의 후면을 바닥에 붙여 수평으로 눕고 얼굴을 위로 향하게 한 자세)를 취하게 되면 설근이 후방으로 말려 들어가 상기도가 더욱 좁아지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호흡하게 되면 공기가 기도를 통과할 때 구개편도나 인두편도 등 주위 조직들이 진동하여 코골이가 발생하게 된다.
코골이가 발생한 상태에서 기도의 폭이 더욱 좁아지게 되는 경우,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상기도의 일부가 폐쇄되어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기 때문에 폐쇄성 수면무호흡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심한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려 두통이나 피로감의 증가,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을 악회시켜 건강에 악영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업무나 운전 중의 졸음으로 인한 사고의 발생률을 높여 여러 가지 문제들이 야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코골이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치료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수술요법, 약물요법, 구강장치의 사용 등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상기 수술요법은 수술 시 출혈과 통증, 수술 후 코골이 증상의 재발 등의 문제점이 있어 환자들이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며, 약물요법은 약물에 의한 부작용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착용이 간편하고 치료과정이 불필요하며, 후유증이 적고 비용이 저렴한 구강에 직접 착용하는 장치에 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코골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강에 착용하는 장치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8746호(2006.10.09, 코골이 방지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사용자의 구강 내로 삽입되는 코골이 방지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혀가 삽입되며 부압을 통해 혀가 전방으로 당겨져 유지되도록 하는 혀삽입실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 연결되며, 구강호흡을 위한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공기유동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혀를 전방으로 당겨 기도를 넓게 확보하며, 본체가 사용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더라도 본체 양측에 형성된 공기유도관을 통해 호흡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이지만, 치아와 입술 사이에 삽입되는 위치고정관의 이물감이 심한 문제점이 있었고, 혀를 삽입되게 하는 부압을 조절하는 데 한계가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혀를 전방으로 당기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수면시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구강에서 코골이 방지구 자체가 빠져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1)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28746호(2006.10.09, 코골이 방지구)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시 코골이를 방지하도록 구강에 착용하는 코골이 방지구에 있어서, 착용시 구강 내의 이물감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혀를 전방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하며, 수면중 의도치 않은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 코골이 방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구는, 입술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입술커버부(110)와, 상기 입술커버부(110)와 연통되며 설단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설단삽입부(120)로 구성된 몸체(100); 상기 설단삽입부(120)의 전방에 그 설단삽입부(12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끝단에 흡입수단(I)에 의해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도록 공기흡입공(211)이 형성된 공기흡입관(210)과, 상기 공기흡입관(21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수단(I)에 의해 공기를 흡입시키는 동안에만 개폐되는 밸브막(220)으로 구성된 공기흡입부(200); 상기 공기흡입관(210)이 중앙부를 관통하고 상기 몸체(100)가 내측에 위치되게 결합되며 안면의 코 및 구강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다수개의 통기공(311)이 형성된 마스크몸체(310)와, 상기 마스크몸체(310)의 좌·우 양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마스크몸체(310)가 안면에 밀착되도록 두부(頭部) 또는 귀에 걸어 고정하는 고정밴드(320)로 구성된 마스크부(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코골이 방지구에 따르면, 수면중 설근(혀뿌리)이 기도로 말려들어가면서 발생하는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고, 코골이 방지구를 착용하더라도 구강 내의 이물감이 발생하지 않아 착용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음압으로 당겨져 설단삽입부에 삽입되어진 설단이 빠져나오지 않고, 마스크와 같은 형태로 착용할 수 있으므로 수면중 자세 변형에 따른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구를 나타낸 사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구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 상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구에 공기를 흡입하여 설단을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구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구는 몸체(100), 공기흡입부(200), 마스크부(300)로 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입술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입술커버부(110)와, 상기 입술커버부(110)와 연통되며 설단(혀끝)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설단삽입부(12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입술커버부(11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크기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의 입술을 커버해야 하므로 일정 면적이상으로 형성하되, 사용자의 코 부위는 커버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설단삽입부(12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의 모양과 유사하게 끝단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흡입부(200)는 상기 설단삽입부(120)의 전방에 그 설단삽입부(12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끝단에는 흡입수단(I)에 의해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도록 공기흡입공(211)이 형성된 공기흡입관(210)과, 상기 공기흡입관(21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수단(I)에 의해 공기를 흡입시키는 동안에만 개방되게 마련된 밸브막(22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흡입공(211)은 단순한 관통공으로 형성해도 무방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흡입관(210)의 끝단을 상기 공기흡입관(210)보다 작은 직경으로 일정길이 돌출시킨 후 그 끝단에 공기흡입공(21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막(2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흡입관(210)의 내경에 준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공기흡입관(210)을 폐쇄하는 것이며, 일측은 상기 공기흡입관(210)의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이고 타측은 절개된 형태로 설치된 연질소재의 것으로 상기 흡입수단(I)을 공기흡입공(211)에 연결한 후 공기를 흡입하는 동안에는 그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과 같은 방향으로 절개된 부위가 당겨지며 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흡입수단(I)은 상기 공기흡입공(211)에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 것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주사기 몸체와, 상기 주사기 몸체의 내부에서 전진 및 후진하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형태의 주사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흡입수단(I)으로써 주사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사기 몸체의 선단에 주사바늘을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공기흡입공(211)에 연결한 후, 상기 피스톤을 후진시킴으로써 상기 설단삽입부(120)에 삽입된 설단이 음압에 의해 당겨지게 되고 그 상태에서 피스톤 동작을 멈추게 되면 상기 공기흡입관(210)은 밸브막(220)에 의해 폐쇄되어 당겨진 설단이 상기 설단삽입부(12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술커버부(110)와 설단삽입부(120)로 된 몸체(100)와, 상기 공기흡입부(200)는 공기의 흡입과 폐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관(210)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밸브막(220)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설단삽입부(120) 측으로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그 밸브막(220)이 걸려 고정되는 밸브막걸림턱(23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밸브막걸림턱(230)은 상기 공기흡입관(210)의 일정길이로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상기 밸브막(220)이 걸려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의 것이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공기흡입부(200)에서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설단삽입부(120)에 설단이 당겨진 상태에서 고정되면 수면중 설근(혀뿌리)이 기도 측으로 말려 들어가지 않게 되므로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마스크부(300)는 상기 공기흡입관(210)이 중앙부를 관통하고 상기 몸체(100)가 내측에 위치되게 결합되며 안면의 코 및 구강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다수개의 통기공(311)이 형성된 마스크몸체(310)와, 상기 마스크몸체(310)의 좌·우 양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마스크몸체(310)가 안면에 밀착되도록 두부(頭部) 또는 귀에 걸어 고정하는 고정밴드(32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통기공(311)은 사용자의 구강이 상기 몸체(100)에 의해 커버되므로 사용자는 코로만 호흡해야 하며, 이때 마스크몸체(310)에 통기공(311)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호흡할 수 있는 산소의 양이 적어 호흡에 곤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통기공(311)이 형성되는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320)는 귀에 걸거나 두부(頭部) 즉, 머리 또는 목에 걸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착용하는 것이며 그 소재는 탄성을 갖는 어떠한 소재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3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몸체(3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귀에 걸어 사용하거나, 상기 마스크몸체(310)의 좌·우 양측에 끝단이 연결된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머리 또는 목에 걸어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몸체(100)의 입술커버부(110)는 사용자의 안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고, 상기 설단삽입부(120)는 사용자의 혀가 삽입되는 것이므로 안면 또는 혀에 상처가 발생하지 않고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연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100)와 공기흡입부(200)는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형태이므로, 상기 몸체(100) 및 공기흡입부(200)는 천연고무, 실리콘수지, 우레탄수지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거나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술커버부(110)의 안면에 닿는 테두리부는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술커버부(110)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코골이 방지구에 따르면, 수면중 설근(혀뿌리)이 기도로 말려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고, 몸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구강내로 삽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코골이 방지구를 착용하더라도 구강 내의 이물감이 발생하지 않아 착용이 용이하고, 흡입수단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음압으로 당길 수 있으므로 설단삽입부에 삽입된 설단이 수면중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스크와 같은 형태로 착용할 수 있으므로 수면중 자세 변형에 따른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관(210)에는 그 공기흡입관(210)과 연통되며 상기 밸브막(220)의 후방에 위치되게 형성된 공기공급공(410)과, 상기 공기공급공(410)에 끼워 설치되는 공기공급공캡(420)으로 구성된 공기공급부(4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수면을 마친 사용자가 설단삽입부(120)에 고정된 설단이 쉽게 빠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공기공급공(410)에 끼워진 공기공급공캡(420)을 빼냄으로써 상기 밸브막(220)의 후방의 공기흡입관(210)으로 공기가 공급되고 그 공기는 설단삽입부(120)까지 유입되며 음압상태로 고정되어 있던 설단이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공급공(410)은 상기 공기흡입관(21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공기흡입관(210)의 외주면과 연통되는 관 형상으로 일정길이 돌출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몸체 110 : 입술커버부
120 : 설단삽입부 200 : 공기흡입부
210 : 공기흡입관 211 : 공기흡입공
220 : 밸브막 300 : 마스크부
310 : 마스크몸체 320 : 고정밴드
400 : 공기공급부 410 : 공기공급공
420 : 공기공급공캡 I : 흡입수단

Claims (4)

  1. 입술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입술커버부(110)와, 상기 입술커버부(110)와 연통되며 설단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설단삽입부(120)로 구성된 몸체(100);
    상기 설단삽입부(120)의 전방에 그 설단삽입부(12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끝단에 흡입수단(I)에 의해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도록 공기흡입공(211)이 형성된 공기흡입관(210)과, 상기 공기흡입관(21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수단(I)에 의해 공기를 흡입시키는 동안에만 개방되는 밸브막(220)으로 구성된 공기흡입부(200);
    상기 공기흡입관(210)이 중앙부를 관통하고 상기 몸체(100)가 내측에 위치되게 결합되며 안면의 코 및 구강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다수개의 통기공(311)이 형성된 마스크몸체(310)와, 상기 마스크몸체(310)의 좌·우 양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마스크몸체(310)가 안면에 밀착되도록 두부(頭部) 또는 귀에 걸어 고정하는 고정밴드(320)로 구성된 마스크부(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관(210)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밸브막(220)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설단삽입부(120) 측으로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그 밸브막(220)이 걸려 고정되는 밸브막걸림턱(2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관(210)에는 그 공기흡입관(210)과 연통되며 상기 밸브막(220)의 후방에 위치되게 형성된 공기공급공(410)과, 상기 공기공급공(410)에 끼워 설치되는 공기공급공캡(420)으로 구성된 공기공급부(4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 및 공기흡입부(200)는 천연고무, 실리콘수지, 우레탄수지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거나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연질의 소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구.
KR1020170031291A 2017-03-13 2017-03-13 코골이 방지구 KR20180104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291A KR20180104474A (ko) 2017-03-13 2017-03-13 코골이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291A KR20180104474A (ko) 2017-03-13 2017-03-13 코골이 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474A true KR20180104474A (ko) 2018-09-21

Family

ID=6372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291A KR20180104474A (ko) 2017-03-13 2017-03-13 코골이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44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7964B2 (en) Nasal interface
US809155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lieving upper airway obstructions
CN106488784B (zh) 用于呼吸治疗的患者接口
US64942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noring, hypopnea and apnea
US9615962B2 (en) Nasal cannula
RU2499578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 храпа
US11628265B2 (en) Seal-forming structure, positioning and stabilizing structure and diffuser vent for patient interface
JPH0352290B2 (ko)
JP2019528990A (ja) 口腔用器具およびそのコネクタ・システムを含む呼吸補助システム
JP2019528921A (ja) 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のための通気および通気アダプタ
JP2012519017A (ja) 口腔内の持続性気道陽圧(cpap)インタフェース
US10391273B2 (en) Sleep apnea device to positively block exhaling and method of use
KR100618457B1 (ko) 수면 중 코골기 및 호흡정지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KR101686747B1 (ko) 개구부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구
US11975151B2 (en) Connector for positioning and stabilising structure
US20010032648A1 (en) Exhaust airway for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mask
WO2016122716A1 (en) Improved sleep apnea device to positively block exhaling and method of use
KR101752966B1 (ko)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
US20120031410A1 (en) Dental device for preventing a sleep disorder
US11471634B1 (en) Oro-pillow cushion assembly
KR20180104474A (ko) 코골이 방지구
US20160121072A1 (en) Obstructive Sleep Apnea Treatment Device
KR102085511B1 (ko)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방지기구
JP7490711B2 (ja) 織物通気アセンブリ
KR20180059276A (ko)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