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345A - 레이저 마커와 이를 이용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마커와 이를 이용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345A
KR20180104345A KR1020170030944A KR20170030944A KR20180104345A KR 20180104345 A KR20180104345 A KR 20180104345A KR 1020170030944 A KR1020170030944 A KR 1020170030944A KR 20170030944 A KR20170030944 A KR 20170030944A KR 20180104345 A KR20180104345 A KR 20180104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case
air conditioner
jig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석
Original Assignee
티아이피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박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이피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박창석 filed Critical 티아이피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0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4345A/ko
Publication of KR2018010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마커와 이를 이용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형 에어컨 시공시 에어컨을 지지하기 위한 앵커볼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레이저 마커와 이를 이용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레이저 마커는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부를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광원이 장착된 광조사유닛과, 케이스가 기울어질 경우 상기 광조사유닛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유지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레이저 마커와 이를 이용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laser marker and marking apparatus for mounting position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레이저 마커와 이를 이용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형 에어컨 시공시 에어컨을 지지하기 위한 앵커볼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레이저 마커와 이를 이용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에어컨은 실내에 스탠드형으로 설치하거나 설치공간을 줄이고 활동 공간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벽걸이형 또는 천장 슬라브에 매달아 설치하는 천장형 에어컨이 널리 알려져있다.
천장형 에어컨은 사무실 또는 공장 등의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건축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형 에어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천장 마감재(1)에 에어컨 실내기(7)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을 형성한 다음 슬라브(3)에 4개의 앵커볼트(5)를 고정할 위치를 각각 표시한다. 앵커볼트(5)의 위치를 표시한 다음 표시된 위치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길이가 긴 막대형 앵커볼트(5)를 박아 고정시킨다. 그리고 앵커볼트(5)의 하부에 천장 에어컨의 실내기(7) 모서리측 4곳을 연결하여 시공을 마무리한다.
이와 같이 천장형 에어컨 설치시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에어컨을 매달아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에어컨을 슬라브에 정확하게 설치하기 하기 위해서는 에어컨 4곳의 모서리에 구비되는 앵커볼트 연결용 구멍과 천장 슬라브에 고정된 앵커볼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한다.
그러나 현장에서 실제 시공시 앵커볼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잘못된 위치에 구멍을 뚫은 경우 천장에 다시 다른 구멍을 뚫어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된다. 또한, 앵커볼트의 고정 위치가 정확하지 않으며 볼트를 구부리거나 경사지게 시공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천장 에어컨의 일측 또는 전체가 천장 슬라브로부터 탈락하는 사고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28202호: 에어컨의 실내기 설치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앵커볼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레이저 마커와 이를 이용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이저 마커는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부를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광원이 장착된 광조사유닛과; 상기 케이스가 기울어질 경우 상기 광조사유닛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유지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좌우방향을 중심으로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는 가로축스윙부와,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향을 중심으로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로축스윙부에 지지되며 상기 광조사유닛이 설치된 세로축스윙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로축스윙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세로축스윙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는 환형의 스윙링과, 상기 스윙링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제 1안착홈에 지지되는 가로축을 구비한다.
상기 세로축스윙부는 상기 스윙링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윙링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광조사유닛이 설치된 원통형의 스윙하우징과, 상기 스윙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스윙링에 형성된 제 2안착홈에 지지되는 세로축을 구비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지그와; 상기 레일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지그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제 2지그와; 상기 제 1지그 및 상기 제 2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안착되어 상방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슬래브에 고정할 앵커볼트의 위치를 표시하는 레이저 마커;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지그는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이저 마커가 안착되는 안착점이 다수 형성된 포지셔너와, 상기 포지셔너의 가장자리에서 바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천장 마감재에 형성된 에어컨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는 지지턱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 마커가 장착되는 지그를 이용하여 앵커볼트의 위치를 레이저빔으로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마커가 기울어져 있더라도 레이저광원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작업조건에서 앵커볼트의 위치를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천장형 에어컨이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마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레이저 마커를 뒤집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레이저 마커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레이저 마커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사용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사용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마커와 이를 이용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레이저 마커(10)는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부를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광원(43)이 장착된 광조사유닛(40)과, 케이스가 기울어질 경우 광조사유닛(40)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유지수단을 구비한다.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케이스는 본체(20)와 받침부(30)로 나누어져 형성된다. 이와 달리 본체(20)와 받침부(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2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다. 본체(20)의 내측에는 내부로 돌출되는 고정턱부(21)가 형성된다. 고정턱부(21)에는 나사홀(23) 형성된다. 본체의 내측면에는 후술할 가로축(57)이 안착되는 제 1안착홈(25)이 2개 형성된다. 제 1안착홈(25)은 좌우방향에 하나씩 형성된다.
광조사유닛(40)은 본체(20)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후술할 스윙하우징(60)의 내부에 장착된다.
광조사유닛(4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장착통(41)과, 장착통(41)의 내부에 설치되는 레이지 광원(43)으로 이루어진다.
레이저 광원(43)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회로기판상에 설치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대는 400 내지 700nm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레이저 광원(43)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빔을 집속시킬 수 있도록 렌즈가 장착통(41)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레이저 광원(43)으로부터 발생한 레이저 빔은 상부를 향해 조사되어 천장형 에어컨의 시공시 앵커볼트가 고정될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받침부(30)는 본체(20)의 하부에 결합된다. 받침부(30)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나사홀(32)이 다수 형성된다. 받침부(30)는 나사(33)에 의해 본체(20)에 결합된다.
받침부(30)는 레이저광원(4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마련된 받침몸체(31)와, 받침몸체(31)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판(3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받침몸체(31)의 일측에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버튼(34)이 설치된다.
받침판(35)의 저면에는 원판플레이트(37)가 설치되고, 원판플레이트(37)의 저면 중앙에는 위치고정돌기(39)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위치고정돌기(39)는 후술할 포지셔너에 형성된 안착점에 결합된다.
수평유지수단은 본체(20)가 기울어질 경우 광조사유닛(40)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수평유지수단은 본체(20)에 지지되는 가로축스윙부(50)와, 가로축스윙부(50)에 지지되는 세로축스윙부(60)를 구비한다.
가로축스윙부(50)는 본체(20)의 좌우방향(X축방향)을 중심으로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본체(20)에 지지된다.
가로축스윙부(50)는 스윙링(51)과, 가로축(57)을 구비한다.
스윙링(51)은 본체(20)의 내측에 위치하여 세로축스윙부(60)를 지지한다. 스윙링(51)은 환형으로 형성된다. 스링링(51)의 외경은 본체(20)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스윙링(51)의 외측면에는 가로축(57)의 일단이 삽입되는 가로축삽입공(52)이 2개 형성된다. 가로축삽입공(52)은 좌우방향에 하나씩 형성된다. 스윙링(51)의 내측면에는 후술할 세로축(67)이 안착되는 제 2안착홈(53)이 2개 형성된다. 제 2안착홈(53)은 전후방향에 하나씩 형성된다. 그리고 스윙링(51)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의 나사홀(54)이 형성된다.
가로축(57)은 스윙링(51)에 설치된다. 가로축(57)은 스윙링(51)의 좌우측에 하나씩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가로축(57)은 스윙링(51)에 형성된 가로축삽입공(52)에 일단이 삽입된다. 이와 달리 가로축(57)은 스윙링(5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로축(57)이 가로축삽입공(52)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윙링(51)의 상부에는 커버링(58)이 나사(56)에 의해 고정된다. 커버링(58)은 스윙링(51)과 동일한 크기의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커버링(58)에는 나사(56)가 결합되는 다수의 나사홀(59)이 형성된다.
일단이 스윙링(51)에 결합된 가로축(57)의 타단은 본체(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1안착홈(25)에 삽입된다. 제 1안착홈(25)은 본체(20)의 좌우방향에 하나씩 형성된다. 제 1안착홈(25)의 너비는 가로축(57)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가로축(57)이 본체(20)에 지지되면 스윙링(51)은 고정턱부(2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본체(20) 내측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본체(20)가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스윙링(51)은 자중에 의해 항상 중력의 방향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세로축스윙부(60)는 본체(20)의 전후방향(Y축방향)을 중심으로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가로축스윙부(50)에 지지된다.
세로축스윙부(60)는 스윙하우징(61)과, 세로축(67)을 구비한다.
스윙하우징(61)은 스윙링(51)의 내측에 위치한다. 스윙하우징(61)은 스윙링(51)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스윙하우징(61)의 내부에는 광조사유닛(40)이 설치된다.
스윙하우징(61)의 하부에는 4개의 삽입홀(68)이 형성된다. 4개의 삽입홀 (68)중 2개의 삽입홀은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삽입홀은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각 삽입홀(68)에는 원기둥 형태의 웨이트부재(69)가 삽입된다. 웨이트부재(69)는 삽입홀(68)의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웨이트부재(69)는 스윙하우징(61)의 수평상태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4개의 삽입홀(68)에 각각 삽입된 웨이트부재(69)의 삽입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스윙하우징(61)의 전후 및 좌우 무게 중심을 미세하게 이동시켜 스윙하우징(61)의 수평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스윙하우징(61)의 외측면에는 세로축(67)의 일단이 삽입되는 세로축삽입공(63)이 2개 형성된다. 세로축삽입공(63)은 전후방향에 하나씩 형성된다. 그리고 스윙하우징(61)의 상부에는 다수의 나사홀(65)이 형성된다.
세로축(67)은 스윙하우징(61)에 설치된다. 세로축(67)은 스윙하우징(61)의 전후측에 하나씩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세로축(67)은 스윙하우징(61)에 형성된 세로축삽입공(63)에 일단이 삽입된다. 이와 달리 세로축(67)은 스윙하우징(6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세로축(67)이 세로축삽입공(63)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윙하우징(61)의 상부에는 커버판(70)이 나사(75)에 의해 고정된다. 커버판(70)은 스윙하우징(61)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판으로 이루어진다. 커버판(70)의 중앙에는 레이저광원에서 발생된 레이저빔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원형의 투광홀(71)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판(70)에는 나사(75)가 결합되는 다수의 나사홀(73)이 형성된다.
일단이 스윙하우징(61)에 결합된 세로축(67)의 타단은 스윙링(5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2안착홈(53)에 삽입된다. 제 2안착홈(53)의 너비는 세로축(67)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세로축(67)이 스윙링(51)에 지지된 상태에서 본체(20)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스윙하우징(61)은 자중에 의해 항상 중력의 방향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레이저 마커(10)는 실내 바닥이나 천장 마감재의 윗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전원버튼(34)을 켜면 천장의 슬라브에 레이저빔이 조사되어 앵커볼트의 고정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이저 마커는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기울더라도 광조사유닛(40)이 장착된 스윙하우징(61)은 항상 중력방향을 향하고 있어서 수평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레이저 마커가 장착되는 실내바닥이나 천정마감재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경사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레이저빔은 항상 수직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작업조건에서 앵커볼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레이저 마커를 이용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는 크게 레일(80)과, 제 1지그(100)와, 제 2지그(110)와, 레이저마커(10)를 구비한다.
레일(80)은 2개가 나란하게 한쌍으로 마련된다. 레일(80)의 일측에 제 1지그(100)가 설치되고, 레일(80)의 타측에 제 2지그(110)가 설치된다.
제 1지그(100)와 제 2지그(110)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제 1지그(100)와 제 2지그(110)는 레일(8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지그(100)는 레일(8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레이저 마커(10)가 안착되는 안착점(103)이 다수 형성된 포지셔너(101)와, 포지셔너(1010의 가장자리에서 바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턱(105)을 구비한다.
포지셔너(101)는 사각으로 형성된다. 포지셔너(101)의 측면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가이드홀에는 레일(80)의 일측이 삽입된다. 포지셔너(101)는 레일(8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포지셔너(101)에는 레이저 마커(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안착점(103)이 형성된다. 안착점(103)은 일 예로 원형의 고정홀로 형성될 수 있다.안착점(103)에는 레이저 마커(10)의 하부에 형성된 위치고정돌기가 삽입된다. 레이저 마커(10)는 다수의 안착점들(103) 중 어느 하나의 안착점에 안착된다. 레이저 마커의 안착위치는 시공하고자 하는 천장형 에어컨의 실내기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포지셔너(101)의 가장자리에는 바깥으로 돌출되게 지지턱(105)이 형성된다. 지지턱(105)은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턱(105)은 천장 마감재에 형성된 에어컨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걸쳐져 본 발명의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가 천장 마감재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 2지그(110)는 레일(8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레이저 마커가 안착되는 안착점(113)이 다수 형성된 포지셔너(111)와, 포지셔너(111)의 가장자리에서 바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턱(115)을 구비한다.
이러한 포지셔너(111)와 지지턱(105)의 구성은 제 1지그(100)의 포지셔너(101)와 지지턱(105)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는 레이저 마커가 안착되는 2개의 지그로 이루어지고, 2개의 지그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이 조절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총 4개의 지그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지그(100)(110)와 나란하게 제 3 및 제 4지그(120)(130)가 더 구비된다.
제 3 및 제 4지그(120)(130)는 한쌍의 레일(80)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1지그와 제 3지그(100)(120)는 보조레일(140)로 연결되고, 제 2지그(110)와 제 4지그(130) 역시 보조레일로 연결된다.
상술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는 레이저 마커가 안착되는 4개의 지그로 이루어지고, 4개의 지그는 전후 및 좌우로 간격이 조절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도시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앵커볼트의 고정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 9에 나타내고 있다.
천장 마감재(1)에 에어컨 삽입홀(2)을 사각으로 형성한 다음, 4개의 지그(100)(110)(120)(130)를 좌우 및 전후로 적절하게 이동시켜 에어컨 삽입홀(2)의 가장자리에 각 지그의 지지턱을 걸쳐지게 하여 본 발명을 천장 마감재에 지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전원버튼을 켜면 레이저빔이 슬라브에 조사된다.
한편,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각 지그의 포지셔너 한쪽 모서리를 모따기 형태로 절개한 절개면(108)(118)(128)(138)에 지지턱(109)(119)(129)(139)을 하나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삽입홀(2)을 원형으로 형성할 경우 절개면에 형성된 지지턱(109)(119)(129)(139)을 이용하여 에어컨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레이저마커 20: 본체
30: 받침부 40: 광조사유닛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부를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광원이 장착된 광조사유닛과;
    상기 케이스가 기울어질 경우 상기 광조사유닛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유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마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좌우방향을 중심으로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는 가로축스윙부와,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향을 중심으로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로축스윙부에 지지되며 상기 광조사유닛이 설치된 세로축스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마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축스윙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세로축스윙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는 환형의 스윙링과, 상기 스윙링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제 1안착홈에 지지되는 가로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마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축스윙부는 상기 스윙링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윙링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광조사유닛이 설치된 원통형의 스윙하우징과, 상기 스윙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스윙링에 형성된 제 2안착홈에 지지되는 세로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마커.
  5. 레일과;
    상기 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지그와;
    상기 레일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지그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제 2지그와;
    상기 제 1지그 및 상기 제 2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안착되어 상방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슬래브에 고정할 앵커볼트의 위치를 표시하는 레이저 마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지그는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이저 마커가 안착되는 안착점이 다수 형성된 포지셔너와, 상기 포지셔너의 가장자리에서 바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천장 마감재에 형성된 에어컨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는 지지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
KR1020170030944A 2017-03-13 2017-03-13 레이저 마커와 이를 이용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 KR20180104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944A KR20180104345A (ko) 2017-03-13 2017-03-13 레이저 마커와 이를 이용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944A KR20180104345A (ko) 2017-03-13 2017-03-13 레이저 마커와 이를 이용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345A true KR20180104345A (ko) 2018-09-21

Family

ID=63720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944A KR20180104345A (ko) 2017-03-13 2017-03-13 레이저 마커와 이를 이용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43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186B1 (ko) * 2018-05-09 2019-07-16 주식회사 필룩스 등기구 설치방법
GB2610412A (en) * 2021-09-03 2023-03-08 George Poole Joseph Fixture-Installation Guide Apparatus
KR20240053867A (ko) 2022-10-18 2024-04-25 김정선 천장슬래브의 타공위치 마킹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186B1 (ko) * 2018-05-09 2019-07-16 주식회사 필룩스 등기구 설치방법
GB2610412A (en) * 2021-09-03 2023-03-08 George Poole Joseph Fixture-Installation Guide Apparatus
WO2023031616A1 (en) * 2021-09-03 2023-03-09 Poole Joseph George Guide apparatus and methods
KR20240053867A (ko) 2022-10-18 2024-04-25 김정선 천장슬래브의 타공위치 마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78621B (zh) 光线产生组件
KR20180104345A (ko) 레이저 마커와 이를 이용한 천장형 에어컨의 장착위치 표시장치
US72040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ference levels and flatness of a surface
JP4237462B2 (ja) 建設用レーザ装置
US7493701B2 (en) Self-leveling laser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6202312B1 (en) Laser tool for generating perpendicular lines of light on floor
EP2199739A1 (en) Laser Receiver for detecting a relative position
CN101228471B (zh) 具有用于产生非相干照明光和激光打标光的机构的照明装置
JP3517416B2 (ja) 基準平面設定装置
EP3309510A1 (en) Height-adjustable laser level apparatus
KR20150129210A (ko) 레이저 레벨기를 삼각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KR20150142642A (ko) 가정용 소형 레이저 레벨기
KR20200019029A (ko) 레이저 레벨기용 위치조절장치
JP2000343309A (ja) 加工位置表示装置
US6332276B1 (en) Articulate laser degree finder
JP2018194536A (ja) 車両中心線表示装置及びこの表示装置を用いた車両センサー調整用基準具の位置決め装置
US11320264B2 (en) Laser plumb bob and level aid
JP2007163281A (ja) レーザー墨出し器用支持機構
JP3134970U (ja) 光墨出し器具
KR101566685B1 (ko) 레이저빔 포인팅 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KR101613240B1 (ko) 고층 건물의 시설물 설치용 레벨장치
KR20080048771A (ko) 레이저 수평 수직장치용 삼발이
JP3348385B2 (ja) 基準平面設定装置
JP3151690U (ja) レーザー測量器
JP2011245593A (ja) 電動工具用光水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