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271A - 무동력(無動力) 산소수생성기 - Google Patents

무동력(無動力) 산소수생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271A
KR20180104271A KR1020180104189A KR20180104189A KR20180104271A KR 20180104271 A KR20180104271 A KR 20180104271A KR 1020180104189 A KR1020180104189 A KR 1020180104189A KR 20180104189 A KR20180104189 A KR 20180104189A KR 20180104271 A KR20180104271 A KR 20180104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stainless steel
steel pipe
wat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092B1 (ko
Inventor
박재명
Original Assignee
박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명 filed Critical 박재명
Priority to KR102018010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09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3/04106
    • B01F15/0254
    • B01F15/026
    • B01F15/029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by circulating the flow in guiding construction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6Part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2Oxygen
    • B01F3/04503
    • B01F3/0482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9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distributing means, e.g. manifold valves or multiple fittings for supplying the discharge components to a plurality of dispensing places
    • B01F2003/04879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50Hydropower in dwell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 산소수생성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의 둥근 케이스인 하우징과 하단의 사각케이스의 결합으로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하단의 한쪽 측면의 체결공은 제1결합공의 주입구와 연결된 제2결합공의 연결부를 체결하고, 다른 측면의 체결공은 제3결합공의 배출구와 체결하며, 상기 하우징 밑 부분에는 별도의 제4결합공의 방출구로 구성되는 무동력 산소수생성기의 몸체와;
상기 하단의 사각케이스 내부에는 하부 스테인리스관을 설치하여, 제1연결관과 제2결합공의 연결부와 결합해 물이 주입구를 통해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관 속으로 유입이 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관 내부에 장치한 수압상승노즐장치에 의해 수압을 상승시킨 이후;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관은 하우징 내부의 상부 스테인리스관과 결합하고, 상기 수압상승노즐장치에 의한 수압상승의 물을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 내부로 유입시키면,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 내부에 장치한 미세기포생성그물망에 도달하여 미세기포가 생성되고, 이후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과 체결한 미세물방울생성노즐관을 통과하여 미세기포 물방울이 생성되면서 수압은 극대치가 되고, 강한 수압의 미세기포 물방울들은 상기 하우징 상단의 물방울분사판에 부딪쳐 하우징 내부로 퍼지는 과정에서, 수압과 압축공기의 충돌혼합으로 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이 생성되어, 압축팽창을 반복하면서 자기가압효과에 의해 발생한 거센 회오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강한 회전으로 하강하면서, 상부 스테인리스관의 외부에 장치한 자동회전칼날에 의해 물의 입자는 더욱더 쪼개어져, 초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들이 생성된 물은 제3결합공의 배출구를 통해 물이 나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수압상승 모터펌프와 공기압축탱크가 필요한데,
본 발명의 특징은
첫째,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즉 모터펌프가 필요 없는 無動力 제품으로서,
둘째, 공기압축탱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셋째, 오직 수압의 원리만을 이용하여 초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이 생성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사용상의 편리함과 고장이 없는 것이 본 발명의 무동력 산소수생성기의 특징이다.
본 발명기기의 사용용도는 가정용, 산업용 등으로서, 가정에서는 정수용 필터를 부착하여 싱크대에 설치하면, 피로회복이 빠른 초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의 물을 마실 수 있으며, 미세기포 생성 시 자기가압효과 및 대전현상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프리 라디칼은 살균분해작용이 있어 식기,야채,과일을 세척하면 세균 및 잔류농약도 없어지고, 목욕용으로 사용하면 피부가 매끈해지고 좋아진다. 또한 산업용으로는 하우스재배, 원예, 축사, 양어장 및 오폐수처리 시에도 활용하고 있다.

Description

무동력(無動力) 산소수생성기{Machine For be created Oxygen Water Without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무동력 산소수생성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수압의 원리만을 이용하여 고압의 물과 압축공기의 혼합으로, 기기 내 각각의 부품장치에 의해 초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을 생성하는 무동력 산소수생성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소수생성기함은 물의 입자를 미세하게 쪼개어 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을 생성하는 장치로서, 가정에서는 음수용과 과일,야채를 씻을 때 사용하고, 산업용으로는 하우스재배, 양어장 등에 이용되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상기 산소수생성기는 수압상승 모터펌프와 공기압축탱크를 이용하여 산소수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전기로 모터펌프를 가동하여 수압의 힘을 이용하여 공기압축탱크의 압축공기를 생성하거나 또는 공기가압 모터펌프를 장착한 공기압축탱크에 의해 공기를 압축시켜, 수압과 압축공기의 혼합팽창으로 미세기포생성노즐부를 통과하면서 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을 생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산소수발생수단으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수압상승 모터펌프는 고압을 유지하기 위해서 최소한 24VDC 이상의 모터를 사용하여야 강한 수압으로 인해 산소수 생성이 가능한데, 이는 모터구동 시 큰 소음과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것이 문제점이었다.
둘째, 공기압축탱크는 공기가압모터펌프 필요시, 상기 공기가압모터펌프의 변환압력으로 인해 압축제어장치의 비정상작동으로 압축공기가 제대로 형성이 되지 않을 수가 있어, 양질의 미세기포 산소물방울이 생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와 같은 장치를 부착함으로 인해 기기의 부피가 커져 장소차지 등의 불편함이 있고, 높은 고장율로 유지보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어서, 대중화하기에는 적절하지가 않았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압상승 모터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무동력으로 오직 수압의 원리만을 이용하여 수압상승장치에 의해 수압을 상승시키고, 별도의 공기압축탱크를 부착하지 않고 압축공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무동력 산소수생성기의 상단에 공기유입개폐장치하여, 상기 무동력 산소수생성기 내부의 일정공간은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압축공기를 생성함으로서, 양질의 미세기포 산소물방울을 생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의 케이스인 하우징 내부에서 공기를 압축시켜 공기압축탱크 역할을 하는 것과 전기 없이 수압만으로 물의 입자를 쪼개어 초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을 생성하는 과제에 대한 해결로서; 하부의 사각케이스 내부에는 수압상승노즐장치를 설치하여 주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의 수압을 상승시키고, 상기 하우징 상단중앙부분에는 공기유입을 위한 공기유입개폐장치를 장착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단의 일정공간은 공기층이 형성되면서 공기압축탱크와 같은 역할의 공기압축공간을 형성시켜, 상단과 하단이 결합되는 무동력 산소수생성기 몸체와; 상기 하부의 사각케이스 내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스테인리스관을 장치하여 수압상승의 물의 유입으로 미세기포생성그물망을 통과하고, 상기 스테인리스관과 결합한 미세물방울생성노즐관에 의해 강한 수압으로 분사한 미세기포물방울은 하우징 내부의 상단에 장치한 물방울분사판에 부딪쳐 압축공기와의 충돌혼합으로 미세기포 산소물방울이 생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동력 산소수생성기는 공기압축탱크 없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는 일체형으로 고안하여 부피 등을 간소화로 효율성을 높였고, 또한 기존의 산소수생성기는 물이 들어오는 입구를 주로 상단 부분에 설치하고 있으나, 상기 무동력 산소수생성기는 반대로 상기 하우징 하단의 결합공과 주입구를 연결함으로서, 원 수관과 일직선을 이루게 하여 수압의 수직상승이 원할하도록 하여, 제조와 설치에 더욱 효과적으로 유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무동력 산소수생성기는 초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 생성 시에 자기가압효과 및 대전현상에 의한 음이온 발생 등으로 인해, 이 물을 가습기에 사용하면 산림욕의 효과가 나고, 산소방울의 물을 마시면 공기로 흡입하는 산소보다 체내 전달속도가 10배 이상 빠르기 때문에 피로회복이 빠르며, 특히 초미세기포 생성 시에는 물리적 특성에 의해 생성소멸하는 과정에 하이드록시 라디칼 등의 프리 라디칼이 발생하여 여러 가지 유해물질과 세균을 분해 사멸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무동력 산소수생성기의 기능을 활용하여 가정에서는 정수용 필터를 부착하여 음수용으로 사용하고, 식기세척 시 살균과 과일,야채의 잔류농약을 깨끗이 씻어주며, 또한 샤워를 하면 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이 모공 속으로 침투하여 모공속의 미세먼지,화장잔여물 등의 이물질을 깨끗이 씻어준다. 산업용으로는 하우스재배, 원예, 축사, 양어장 등에 사용하면 초미세기포 산소물방울의 흡수,흡입으로 인해 농작물과 물고기가 잘 자라며, 살균효과까지 발생하여 병충해에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에 본 기기의 활용범위는 매우 넓고 다양하다.
대표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산소수생성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산소수생성기를 나타낸 하단사각케이스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산소수생성기를 나타낸 상단 하우징 평면도
도3과 도4,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산소수생성기의 구성부품에 대한 확대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산소수생성기의 작동원리에 대한 참고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산소수생성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대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부몸체의 구성은 상부의 둥근케이스인 하우징(110)과 하부의 사각케이스(111)의 둘로 나뉘어져 있고, 상기 하우징(110) 하단 측면의 체결공(110a, 110b)중, 한쪽 측면의 체결공(110a)은 제1결합공의 주입구(210)와 결합한 제2결합공의 연결부(211)와 결합하고, 다른 측면의 체결공(110b)은 제3결합공의 배출구(212)와 결합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110)하단과 하단사각케이스(111) 밑 부분에는 자동드레인장치(312)를 별도의 제4결합공의 방출구(213)와 체결 구성한 기기의 외부 몸체와;
상기 제2결합공의 연결부(211)에는 제1연결관(413)과 나사체결방식으로 누수방지의 고무패킹(42a)을 삽입하고, 제2결합공의 연결부(211)의 결합공(211-1)위치에 수압조절밸브(410)를 장치하여 제1연결관(413)으로 주입시켜 수압을 조절하고, 상기 제1연결관(413)과 수압조절노즐부(414)와는 결합공(413-1), 결합부재(413-2)로 볼트너트결합으로 체결하여,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관(411) 내부로 장치하여 물을 유입시키고,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관(411)은 하단의 사각케이스(111)와 결합시킨 이후,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관(411)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상부 스테인리스관(412)과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하여 누수방지의 나사형 고무패킹(41a)을 장착하면 상하부의 스테인리스 관의 몸체는 형성된다.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관(411)의 내부결합부(411-1)와 체결공(411-2)으로 수압상승노즐장치(415a, 415b)를 결합하고, 상기 수압상승노즐장치(415a, 415b)는 수압노즐부(415a-1, 415b-1)와의 연결형성으로, 상기 하우징(110)내부의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41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관(411) 내부의 물이 수압상승노즐장치(415a, 415b)에 의해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412)의 내부로 물이 유입이 될 때, 수압을 상승시켜주기 위한 장치로서;
대표도 또는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관(411)은 하단의 사각케이스(111)와 상기 하우징(110) 사이에 장치하고, 상기 하우징(110)에 위치한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412)과 결합하여 유입 관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제1결합공의 주입구(210)와 제2결합공의 연결부(211)와 제1연결관(413)과 상기 수압조절노즐부(414)를 통해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관(411)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수압상승노즐장치(415a, 415b)를 통해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412) 내부의 미세기포생성그물망(416)에 도달하여 미세기포를 생성한다.
상기 수압조절밸브(410) 및 수압상승노즐장치(415a, 415b)의 역할은,
본 발명의 핵심과제인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수압의 원리만을 이용하여 양질의 초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을 생성해야 하는데; 물은 지역별, 직수 또는 물탱크 공급 등의 유입방식과 수돗물, 지하수 등에 따라 수압의 세기가 일정치 않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수압조절밸브(410)를 장착하여, 직수로의 강한 수압은 수압조절밸브(410)로 일정부분 약하게 줄이고, 약한 수압은 상기 수압상승노즐장치(415a, 415b)에 의해 강하게 끌어올려, 양질의 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을 생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압상승노즐장치(415a, 415b)에 의한 수압상승은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412) 내부에 설치된 상기 미세기포생성그물망(416)을 통과하여 미세기포가 발생할 수 있도록 장치하는데, 이때 상기 미세기포생성그물망(416)의 외형 면은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 관(412)의 내부 면과 접촉시켜, 수압의 세기에 따라 상하로 움직여도 무방하다.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412)의 상단과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한 미세물방울생성노즐관(417, 417-1)은 내부결합구(417-2)와 누수방지패킹(417a-1, 417b-1)의 형성으로 용존산소가 녹아있는 물의 입자크기를 생성부(417a, 417b)를 통해 단계별로 더욱 미세하게 쪼개어 통과하면서, 최대치의 수압상승을 유도시킨 이후;
상기 미세물방울생성노즐관(417, 417-1)을 통과한 미세물방울은 상기 하우징(110) 상단에 장치한 물방울분사판(511, 511a)에 도달하면서, 용존산소물방울과 압축공기의 충돌혼합으로 인해 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이 생성되는데, 이때 상기 하우징(110) 상단 중앙부분에 장치한 역류차단기(512)와 공기유입개폐장치(513)는 자동으로 닫히면서, 상기 하우징(110) 상부의 일정공간은 공기압축탱크와 같은 역할의 공기압축공간(700)이 형성된다.
도2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물방울분사판(511, 511a)의 설치는 하우징(110) 상단의 결합봉(110-1)과 동 재질의 볼트너트방식의 결합으로 고정한다.
상기 역류차단기(512)와 공기유입개폐장치(513)에 대한 세부 설명은;
도5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역류차단기(512)는 유입공(512-1)과 연결부(512-2)의 결합으로 체결부(512-3)내에 장치하고, 연결부(512-2)내는 받침공(512a)과 탄성링(512b)으로 자동차단고무밸브(512c)를 삽입형성하며, 역류차단기(512)의 하단에는 유입공(512-1과 받침공(512a)이 위치하여, 상기 미세물방울생성노즐관(417, 417-1)과 상기 물방울분사판(511, 511a)의 강한 수압의 분사로 인한 상기 하우징(110) 상단 중앙에 위치한 공기구멍으로의 역류방지를 위해 자동차단고무밸브(512c)를 장치함으로서,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물을 사용할 때는 약해진 수압으로 인해 공기압축공간(700)의 공기유입으로 상기 자동차단고무밸브(512c)는 자동으로 열리며, 물 사용이 끝나면 수압에 의한 공기팽창으로 인해 자동차단고무밸브(512c)는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고;
상기 공기유입개폐장치(513)는 유입구(513-1)과 연결부(513-2)로 형성한 이후, 공기주입구(513-3)와 체결하고, 상기 유입구(513-1)안에는 받침부(513d)와 탄성링(513c)으로, 상기 연결부(513-2)안에는 밸브받침공(513b)과 자동여닫힘고무밸브(513a)를 삽입하고, 상기 공기주입구(513-3)와 연결형성하여 자동으로 여닫히게 하고, 물의 사용으로 상기 하우징(110)내부의 물이 배출되면 수압은 줄어들면서 상기 공기유입개폐장치(513)의 상기 자동여닫힘고무밸브(513a)는 자동으로 열려서 상기 공기압축공간(700)으로 공기가 점점 유입되어, 수압과 공기는 혼합충돌을 반복하게 되며, 물의 사용이 끝나면 반대로 상기 공기유입개폐장치(513)의 상기 자동여닫힘고무밸브(513a)는 자동으로 닫히면서,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미세기포 산소물방울의 물과 공기압축공간(700)의 잔류공기가 다시 압축팽창을 할 수 있도록 고안한다.
도2, 도3과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물방울분사판(511, 511a)에 부딪쳐 분사되는 미세기포 산소물방울의 물은 자기가압효과에 의해 거센 회오리가 일어나며, 강한 회전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장치한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 관(412) 외부의 하부에 부착한 자동회전칼날(514)장치에 도달하면, 다각도 구성의 회전칼날(514a, 514b, 514c)에 의해, 물의 입자는 더욱더 미세하게 쪼개어지는, 이중방식의 초미세기포 산소물방울을 생성하는 장치로 구성한다.
대표도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세물방울생성 노즐관(417, 417-1)과 상기 물방울분사판(511, 511a)을 설치할 때 주의할 점은;
상기 하우징(110)과 하단의 사각케이스(111) 내부의 주요구성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강한 수압 때문에, 상기 공기유입개폐장치(513)는 닫히고, 수압과 공기의 충돌이 이어져 한계치에 도달하면, 하우징(110)내부는 수압과 압축공기의 층이 생겨 공기압축공간(700)을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미세물방울생성노즐관(417, 417-1)과 상기 물방울분사판(511, 511a)은, 반드시 물보다 높은 곳의 압축공기의 층, 즉 공기압축공간(700)에 위치하여 설치하여야 하며, 특히 상기 미세물방울생성노즐관(417, 417-1)이 상기 하우징(110) 내의 수면아래에 설치될 경우, 미세기포의 물방울은 상기 물방울분사판(511, 511a)에 낮은 수압으로 도달하여 미미한 기세기포가 생성됨으로, 상기 미세물방울생성노즐관(417, 417-1)의 설치위치에 따라 얼마만큼의 양질의 미세기포 산소물방울이 생성하는가에 달려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 하단 및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 관(411)의 밑 부분에 연결형성한, 도4의 도면의 상기 자동드레인장치(312)는 제4결합공의 방출구(213)와 결합하고, 배출공(312-1) 내부의 자동여닫힘밸브(312a)는 탄성링(312b)과 받침공(312c)으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초미세기포 산소물방울의 물이 유입될 때, 수압의 팽창으로 인해 자동으로 닫히게 하고,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생성된 초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의 물은 배출조절스위치(311)에 의해 제3결합공의 배출구(212)를 통해 사용하도록 하며, 물의 사용이 끝나면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잔류물은 압축공기의 팽창으로 인해, 상기 제4결합공의 방출구(213)와 결합한 상기 자동드레인장치(312)의 자동 열림으로 잔류물이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대표도 또는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제1결합공의 주입구(210)와 제2결합공의 연결부(211)에 의해 유입되는 물은, 상기 제1연결관(413)과 수압조절노즐부(414) 통해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관(411) 내부를 우선 채운다.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관(411) 내부의 물은 상기 수압조절장치(410)로 물의 세기를 조절하면서, 상기 수압상승노즐장치(415a, 415b)에 의해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412) 안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412) 내부의 상기 미세기포생성그물망(416)과 상기 미세물방울생성노즐관(417, 417-1)을 통과하면서 강한 수압에 의한, 상기 물방울분사판(511, 511a)에 부딪치면서 공기압축공간(700)의 압축공기와 만나 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을 생성시킨다.
이때 상기 역류차단기(512)와 공기유입개폐장치(513)는 자동으로 닫히게 되고, 상기 물방울분사판(511, 511a)에 부딪친 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의 물은 거센 회오리가 생겨 강한 회전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자동회전칼날(514)장치에 도달하여 더욱더 미세하게 쪼개어지면서, 초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이 생성된다.
상기 하우징(110)내부는 초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의 물들로 채워지는데, 이때 강한 수압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 하단과 하부 스테인리스관(411)의 밑 부분에 연결형성한 상기 제4결합공의 방출구(213)와 결합한 상기 자동 드레인장치(312)는 자동으로 닫히게 되면서,
초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의 물은 상기 제3결합공의 배출구(212)와 연결한 수도꼭지(800)를 통해서만 물이 나오는데, 상기 배출조절스위치(311)로 물의 세기를 조절하면서 초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의 물을 사용하면 된다.
이후, 물의 사용이 끝나서 상기 제1결합공의 주입구(210)와 연결된 원수도관의 수도밸브를 잠그면,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물은 빠지기 시작하면서, 상기 공기유입개폐장치(513)는 자동으로 열리어 외부 공기가 유입이 되고, 상기 자동드레인장치(312)도 약해진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면서, 상기 하우징(110)내의 잔류물은 자동으로 배출이 되고, 상기 하우징(110) 내부는 공기로 다시 채워진다.
다시 물을 사용하기 위해 원수도관의 수도밸브를 열면, 상기 제1결합공의 주입구(210)와 결합한 제2결합공의 연결부(211)와 제1연결관(413)을 통해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관(411)으로 물은 유입이 되고난 이후, 위의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장치한 상기 물방울분사판(511, 511a)과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412) 내외부의 각각의 부품장치의 기능에 의해 초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이 다시 생성이 되고, 상기 제3결합공의 배출구(212)와 연결한 수도꼭지(800)를 통해서 초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의 물을 사용하면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기기몸체
110 : 하우징
111 : 하단 사각케이스
210 : 제1결합공의 주입구
211 : 제2결합공의 연결부
212 : 제3결합공의 배출구
213 : 제4결합공의 방출구
311 : 배출스위치
312 : 자동드레인장치
410 : 수압조절밸브
411 : 하부 스테인리스 관
412 : 상부 스테인리스 관
413 : 제1연결관
414 : 수압조절노즐부
415a,b : 수압상승노즐장치
416 : 미세기포생성그물망
417 : 미세물방울생성노즐관
511 : 물방울분사판
512 : 역류차단기
513 : 공기유입개폐장치
514 : 자동회전칼날
611 : 압력계
700 : 공기압축공간 800 : 수도꼭지

Claims (5)

  1. 상단 둥근케이스인 하우징(110)과 하단사각케이스(111)의 결합 형성과;

    상기 하우징(110) 하단에 제2결합공의 연결부(211)와 압력계(611)와 수압조절밸브(410)를 부착하고, 제1연결관(413)과 수압조절노즐부(414)의 결합구성 및 제3결합공의 배출구(212)의 배출스위치(311)를 부착한 연결구성과;

    상기 하우징(110) 하단 및 하부 스테인리스관(411) 밑 부분에는 제4결합공의 방출구(213)와 결합한 자동드레인장치(312)를 장착한 산소수생성기기의 몸체와;

    상기 수압조절노즐부(414)는 상기 하우징(110)과 하단의 사각케이스(111) 사이에 위치한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관(411)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의 상부 스테인리스관(412)과 결합 형성으로 수압상승노즐장치(415a, 415b)의 수압상승을 유도한 구성과;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412) 내부에 미세기포생성그물망(416, 416-1)의 장치 및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412)의 상단과 결합한 미세물방울생성노즐관(417, 417-1)의 고안과;

    상기 미세물방울생성노즐관(417, 417-1)을 통과한 강한 수압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상단에 위치한 물방울분사판(511) 장치에 부딛치게 하는 구성과;

    상기 하우징(110) 최상단 중앙부분에는 공기유입을 위한 공기유입개폐장치(513) 및 역류방지를 위한 역류차단기(512)의 설치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 상단의 일정공간에 압축공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고안과;

    상기 물방울분사판(511)에 부딪쳐 분사되는 물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거센 회오리가 일어나고, 강한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412) 외부에 장치한 자동회전칼날(514)에 도달하여 물의 입자는 더욱더 미세하게 쪼개어져 초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이 생성되면서, 제3결합공의 배출구(212)로 물이 나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산소수생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드레인장치(312)의 자동여닫힘은 상기 하우징(110)내부에서 미세기포의 산소물방울이 생성되면 수압과 압축공기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고, 물의 사용이 끝나면 약해진 수압과 공기유입으로 인해 자동으로 열려서,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잔류물을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산소수생성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공의 연결부(211)는 수압조절밸브(410) 및 제1연결관(413) 결합과, 하부 스테인리스 관(411)속의 수압조절노즐부(414)와 결합으로, 상기 수압조절밸브(410)에 의해 수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부분과, 상기 하부 스테인리스 관(411)과 상부 스테인리스 관(412)을 결합부재(411-1)로 결합시켜, 수압상승노즐장치(415a, 415b)를 설치하여 물의 압력을 상승 유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산소수생성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412) 내부의 미세기포생성그물망(416, 416-1)을 이중 장치하여 미세기포를 생성하고, 상기 상부 스테인리스관(412)의 상단과 체결한 미세물방울생성노즐관(417, 417-1)의 단계별 미세입자생성방식과 노즐부(417a, 417b)에 의해 수압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산소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 최상단 중앙부분에 장치한 공기유입개폐장치(513)는 유입구(513-1)와 결합부(513-2)내에 위치한 자동여닫힘고무밸브(512a)의 공기주입구(513-3)와 연결형성으로, 상기 공기유입개폐장치(513)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 하우징(110) 상단의 일정부분은 공기압축공간(700)을 형성하여 공기압축탱크와 같은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산소수생성기.
KR1020180104189A 2018-09-02 2018-09-02 산소수생성기 KR102023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189A KR102023092B1 (ko) 2018-09-02 2018-09-02 산소수생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189A KR102023092B1 (ko) 2018-09-02 2018-09-02 산소수생성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271A true KR20180104271A (ko) 2018-09-20
KR102023092B1 KR102023092B1 (ko) 2019-11-04

Family

ID=6371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189A KR102023092B1 (ko) 2018-09-02 2018-09-02 산소수생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0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886A (ko) * 2020-07-07 2022-01-14 지수민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20005884A (ko) * 2020-07-07 2022-01-14 지수진 나노버블발생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794A (ko) * 2001-09-14 2003-03-20 임희숙 순환여과식 포말분리장치
JP4895033B2 (ja) * 2007-04-26 2012-03-14 朝日興業株式会社 微細気泡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794A (ko) * 2001-09-14 2003-03-20 임희숙 순환여과식 포말분리장치
JP4895033B2 (ja) * 2007-04-26 2012-03-14 朝日興業株式会社 微細気泡発生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886A (ko) * 2020-07-07 2022-01-14 지수민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20005884A (ko) * 2020-07-07 2022-01-14 지수진 나노버블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092B1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22212B (zh) 含有应用气体的纳米泡沫水发生装置
KR20180104271A (ko) 무동력(無動力) 산소수생성기
KR102627981B1 (ko) 에어젯 제너레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612819B1 (ko) 식기세척기
KR102582692B1 (ko)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CN111417319B (zh) 气泡杀菌洗涤机
KR102626902B1 (ko)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CN108455776A (zh) 一种污水处理设备
CN209076905U (zh) 一种高粱清洗装置
CN109622254B (zh) 一种活动调压的清洁型矿用高压喷头
CN217015165U (zh) 一种用于高压细水雾灭火装置中的防堵塞装置
CN219253018U (zh) 一种水雾净化喷漆房
KR101178550B1 (ko) 미세기포 발생 샤워헤드
CN210367130U (zh) 好氧池池面泡沫处理系统
CN212264081U (zh) 一种塑料用环保处理装置
KR101330092B1 (ko) 오존 살균수 제조장치
KR101689009B1 (ko) 폐가스 정화시스템
CN209451360U (zh) 一种中药成分数据采集用微波提取设备
CN216225710U (zh) 一种高效高压水清洗机
CN214552183U (zh) 自清洗离心防水雾多级节能水幕除尘装置
KR101275229B1 (ko) 미세기포 발생장치
CN215142551U (zh) 一种槟榔加工用清洗装置
CN215249794U (zh) 一种水动力臭氧发生器水龙头水气溶合水管结构
CN209662925U (zh) 一种纺织空调用外连接空气滤化设备
CN218910091U (zh) 一种污水排放管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