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096A - 약물 전달 장치용 안전 기구 및 이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약물 전달 장치용 안전 기구 및 이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096A
KR20180104096A KR1020187024250A KR20187024250A KR20180104096A KR 20180104096 A KR20180104096 A KR 20180104096A KR 1020187024250 A KR1020187024250 A KR 1020187024250A KR 20187024250 A KR20187024250 A KR 20187024250A KR 20180104096 A KR20180104096 A KR 20180104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delivery
flexible arm
delivery member
member sleeve
prox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602B1 (ko
Inventor
스테판 올슨
Original Assignee
케어베이 유럽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어베이 유럽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케어베이 유럽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04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61M5/31571Means preventing accident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61M2005/3267Biased sleeves where the needle is uncovered by insertion of the needle into a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기계적 충격의 경우에 약물 전달 장치의 활성화를 방지하기 위한 약물 전달 장치용 안전 기구(27)에 관한 것이다. 안전 기구(27)는,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근위 단부에 제공된 근위 플랜지(9)로서, 근위 플랜지(9)는 원위 방향으로 세로로 연장되는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을 갖는, 상기 근위 플랜지(9);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원위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중앙 근위 개구(3a)를 갖는 하우징(3)으로서,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는 하우징(3)에 대해 연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까지 하우징(3) 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기 하우징(3); 및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 및 하우징(3)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채널을 형성하는 원위 개구(5a)를 갖는 커버(5)를 포함한다. 하우징(3)은,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가 연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 쪽으로 변위될 때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과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외면 사이에 배열되는 근위 부분(3b)을 갖는다. 채널은, 하우징(3)이 커버(5)에 의해 수용될 때, 커버(5)의 내면과 근위 부분(3b)의 외면 사이에,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의 반경방향 치수보다 작은 반경방향 간격이 존재하여,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가 그 수축 위치를 달성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치수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약물 전달 장치용 안전 기구 및 이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
본 개시는 개략적으로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약물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몇몇 약물 전달 장치는 예컨대 선형 변위와 같은 이동에 의해 약물 방출을 활성화하는 약물 전달 부재 커버를 구비한다. 이러한 약물 전달 장치의 일 예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 US2014/0148763 A1 호에 개시되어 있다.
US2014/0148763 A1에 개시된 주입 장치는 바늘 쉴드 슬리브의 선형 변위에 의해 활성화된다. 바늘 쉴드 슬리브는 주입 장치의 하우징에 대해 연장 위치(extended position)와 수축 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나아가, 바늘 쉴드 슬리브는 연장 위치를 향해 편향되어서(biased), 약물 방출 전에 바늘 쉴드 슬리브가 연장 위치에 있게 된다. 원위 방향으로의, 즉 수축 위치를 향한 바늘 쉴드 슬리브의 선형 운동은 용기 드라이버 잠금 수단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며, 용기 드라이버 잠금 수단은 회전으로 인해 약물 용기 홀더를 해제하여 그로부터의 약물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유형의 약물 전달 장치의 경우, 예컨대 약물 전달 장치가 떨어지거나 단단한 지지 표면에 부딪쳤을 때와 같이, 약물 전달 장치가 기계적 충격을 받으면, 약물 전달이 우발적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다. 이것은 특히 약물 전달 장치가 충격 시에 본질적으로 수직 배향(orientation)을 갖는 경우에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적 충격으로 인해 바늘 쉴드 슬리브가 선형적으로 변위되어 용기 드라이버 잠금 수단을 회전시키는 경우 우발적인 활성화가 일어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개략적인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적어도 완화시키는 약물 전달 장치용 안전 기구 및 그러한 안전 기구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 1 태양에 따르면, 기계적 충격의 경우에 약물 전달 장치의 활성화를 방지하기 위한 약물 전달 장치용 안전 기구가 제공되는데, 이 안전 기구는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의 근위 단부에 제공된 근위 플랜지(proximal flange)로서, 근위 플랜지는 원위 방향으로 세로로 연장되는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radially flexible arm)을 갖는, 상기 근위 플랜지,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의 원위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중앙 근위 개구(central proximal opening)를 갖는 하우징으로서,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는 하우징에 대해 연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까지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기 하우징, 및,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 및 하우징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채널을 형성하는 원위 개구(distal opening)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가 연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 쪽으로 변위될 때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과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의 외면 사이에 배열되는 근위 부분을 가지며, 채널은, 하우징이 커버에 의해 수용될 때, 커버의 내면과 근위 부분의 외면 사이에,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의 반경방향 치수보다 작은 반경방향 간격이 존재하여,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가 그 수축 위치를 달성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치수로 형성된다.
커버의 내면과 근위 부분의 외면 사이의 반경방향 간격이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의 반경방향 치수보다 작기 때문에,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은, 개략적으로 축방향으로 향하는 힘에 의한 기계적 충격/충돌이 가해질 때, 약물 방출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수축 위치에 도달할 수 없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위 방향으로, 커버의 내면과 근위 부분의 외면 사이의 반경방향 간격은 초기에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의 원위 단부의 반경방향 치수보다 더 큰 상태로부터 감소한다. 여기서,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은, 커버가 장착될 때, 커버의 내면과 하우징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아서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할 수 없을 때까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의 원위 부분은 원위 방향 이동 중에 연속적으로 커버의 내면과 근위 부분의 외면 사이에서 압착될 것이다. 이로써 충격 흡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기계적 충격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전 기구를 구비한 약물 전달 장치 내부의 기계적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은 수축 위치에서 근위 부분의 외면에 접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위 플랜지는 몸체(body)를 갖고,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은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하우징의 근위 단부의 그 부분의 외면의 반경방향 치수에 대응하는 반경방향 간격으로부터, 몸체로부터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은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져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에 대한 반경방향 간격은 원위 방향으로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위 플랜지는 원위 방향으로 세로로 연장되는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을 가지며, 근위 부분은,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가 연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 쪽으로 변위될 때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과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의 외면 사이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 및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은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의 종축과 평행한 공통 평면 내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은 수축 위치에서 근위 부분의 외면에 접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위 플랜지는 몸체를 갖고,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은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하우징의 근위 단부의 그 부분의 외면의 반경방향 치수에 대응하는 반경방향 간격으로부터, 몸체로부터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은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져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에 대한 반경방향 간격은 원위 방향으로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 및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 각각은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의 연장 위치에서 근위 플랜지로부터 하우징의 근위 단부까지의 간격의 적어도 2/3만큼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은 커버의 내면과 근위 부분의 외면 사이에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의 반경방향 치수보다 작은 간격이 존재하게 하는 치수로 형성된다.
본 개시의 제 2 태양에 따르면, 제 1 태양에 따른 안전 기구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 분야에서의 이들의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관사 "a/an/the"를 포함한 요소, 장치, 구성요소, 수단 등에 대한 언급은,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그러한 요소, 장치, 구성요소, 수단 등의 적어도 하나의 예를 언급하는 것으로 개방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적 개념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약물 전달 장치의 일 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약물 전달 장치의 몇몇 조립된 내부 구성요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여기에서는 부분적으로 서로 분리된 몇몇 내부 구성요소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안전 기구의 일 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안전 기구의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 및 근위 플랜지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부분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5의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의 측면도;
도 8은 압축된 상태의 도 7의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의 측면도.
이제, 이하에서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적 개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적 개념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적 개념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약물 전달 장치는 예컨대 자동 주사기, 흡입기 또는 안약 디스펜서와 같은 쓰고 버릴 수 있는 일회용 약물 전달 장치일 수 있다. 약물 전달 장치는 약물 투여를 위한 통상적인 약물 전달 장치, 또는 트레이너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근위 단부(proximal end)"는 의료적 방출이 제공될 수 있는 약물 전달 장치의 바로 그 단부를 지칭한다. 따라서, 이것은 주입 또는 방출 부위 쪽을 향해 있어야 하는 약물 전달 장치의 바로 그 단부이다. 이러한 정의는 또한 약물 전달 장치의 임의의 내부 또는 외부 구성요소까지 확장된다(즉, 임의의 구성요소의 근위 단부는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단부에 가장 가까운 단부이다). "원위 단부(distal end)"는 근위 단부에 대해 반대측 단부이다. "근위 방향(proximal direction)"이란 약물 전달 장치의 중심축을 따라 원위 단부로부터 근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원위 방향(distal direction)"이란 "근위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 1a는 기계적 충격의 경우에 약물 전달 장치의 활성화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기구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자동 주사기인 약물 전달 장치(1)는 안전 기구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의 일 예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안전 기구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의 다른 구현예도 고려되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도 1a에서, 예시된 약물 전달 장치(1)는 근위 단부(1a) 및 원위 단부(1b)를 가지며, 약물 전달 장치(1) 내에 장착된 약물 전달 부재를 숨기기 위한 근위에 배열된(proximally arranged) 커버(5) 및 하우징(3)을 포함한다. 하우징(3)은 하나 이상의 하우징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b는 커버(5)가 제거된 상태의 약물 전달 장치(1)를 도시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바늘과 같은 약물 전달 부재를 덮도록 배열되고 하우징(3)의 중앙 근위 개구에 수용되며 하우징(3)에 대해 도 1b에 도시된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를 추가로 포함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또한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근위 단부에 제공된 근위 플랜지(9)를 포함한다. 근위 플랜지(9)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에 장착되거나, 또는 그것과 일체화될 수도 있다. 근위 플랜지(9)는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및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을 가지며, 양 아암(9a 및 9b)은 원위 방향으로 세로로 연장된다.
일 태양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9b)을 갖는 근위 플랜지(9),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 하우징(3) 및 커버(5)가 안전 기구를 형성한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 및 하우징(3)이 안전 기구를 형성한다. 두 태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안전 기구의 구조 및 작동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 전에, 예시된 약물 전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 및 기능에 대해 기술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약물 전달 장치(1)의 특정 내부 구성요소들이 여기에 도시되어 있다. 예시된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는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원위 단부 부분을 형성하는, 도 2에는 오직 하나만 도시된 2개의 텅 연장부(tongue extension)(7a)를 포함한다. 텅 연장부(7a)는 약물 전달 장치(1)의 종방향 중심축에 대해 양 측면에 배열된다. 따라서, 텅 연장부(7a)는 종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공통 평면에 배열된다. 이 예에 따르면,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근위 부분은 대체로 원통형이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텅 연장부(7a)는 본질적으로 3개의 축방향 섹션 또는 축방향 부분을 포함한다. 제 1의 가장 근위측 부분은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원통형의 가장 근위측 부분과 동일한 반경/직경을 갖는 두 개의 원통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된다. 텅 연장부(7a)의 원위 단부는 원통 세그먼트 부분의 직경보다 더 큰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들 두 부분 사이에는, 원통 세그먼트 부분의 더 작은 직경과 텅 연장부(7a)의 원위 단부에서의 더 큰 간격 사이의 전이부를 형성하는 중간 부분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는 그것의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 쪽으로 넓어지는 확대 구조(widened configuration)를 갖는다.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는 근위 방향으로 편향되거나 사전 인장된다. 이를 위해, 약물 전달 장치(1)는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를 근위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배열된, 예컨대 압축 스프링인 제 1 에너지 축적 부재(11)를 포함한다. 따라서,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디폴트(default) 위치는 연장 위치이다.
약물 전달 장치(1)는 용기 드라이버 잠금 부재(13), 용기 드라이버(15) 및 용기 홀더(10)를 포함한다. 예시된 용기 홀더(10)는 약물 용기 및 바늘을 포함하는 약물 용기 조립체를 유지하도록 배열된다. 나아가, 용기 홀더(10)는 선형적으로 변위 가능하지만 하우징(3)에 대해 회전 고정된다(rotationally locked).
용기 드라이버 잠금 부재(13)는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와 기계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다. 특히, 연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로의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선형 변위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용기 드라이버 잠금 부재(13)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된다.
용기 드라이버 잠금 부재(13)는 대체로 링 형상이다. 용기 드라이버 잠금 부재(13)는 하우징(3)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와 맞물린다.
용기 드라이버 잠금 부재(13)는 2개의 대향하는 외부 홈 구조체(13a)를 갖는데, 그 중 하나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홈 구조체(13a)는 2개의 세그먼트, 즉 경사 홈(13b)과 종방향 홈(13c)을 갖는다.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초기 연장 위치에서, 텅 연장부(7a)의 원위 단부 부분의 내면에 제공된 반경방향 돌출부(7b)가 홈 구조체(13a)의 경사 홈(13b) 내에 배열된다. 약물 전달 장치(1)가 주입 부위, 예컨대 사용자의 피부 상에 배치되면,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는 그로 인해 수축 위치 쪽으로 밀리거나 이동된다. 이러한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변위는 돌출부(7b)가 경사 홈(13a) 내에서 용기 드라이버 잠금 부재(13)의 원위 단부 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용기 드라이버 잠금 부재(13)가 하우징(3)에 대해 회전 가능하지만, 그것이 근위 방향으로 용기 드라이버(15)에 접해 있어서 종방향으로는 고정되며,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는 회전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약물 전달 장치(1)의 원위 단부 쪽으로의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종방향 변위가 용기 드라이버 잠금 부재(13)의 회전 이동을 초래하여, 돌출부(7b)로 하여금 경사 홈(13b)의 원위 단부 쪽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약물 전달 장치(1)가 주입 부위 쪽으로 가압되는 한, 즉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가 수축 위치에 유지되는 한, 돌출부(7b)는 홈 구조체(13a)의 원위 단부에 머무른다. 그러나, 사용자가 예컨대 약물 전달 후에 주입 부위로부터 약물 전달 장치(1)를 제거하면,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 위치 쪽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이동 중에, 돌출부(7b)는 종방향 홈(13c)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각각의 잠금 구조체(13d)에 의해 종방향 홈(13c)의 근위 단부에서 고정된다. 이는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가 다시 수축 위치 쪽으로 이동될 수 없게 한다.
용기 드라이버(15)는 용기 드라이버 잠금 부재(13)로부터 원위에(distally) 배열된다. 용기 드라이버(15)는 용기 홀더(10)에 연결 가능하게 배열된다. 용기 드라이버(15)는 선형적으로 변위 가능하지만 하우징(3)에 대해 회전 고정된다. 이를 위해, 용기 드라이버(15)에는 예컨대 하우징(3)의 내면에 제공된 대응 홈과 맞물리도록 배열된 회전 잠금 리브(rotational locking rib)(15a)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예에서, 4개의 회전 잠금 리브(15a)가 제공되며, 그 중 3개가 도 3에 도시된다. 잠금 리브 및 대응 홈은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는 용기 드라이버(15)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즉, 용기 드라이버(15)는 하우징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회전 고정된다).
용기 드라이버(15)는 그 근위 측에 적어도 하나의 용기 드라이버 아암(15b)을 포함한다. 본 예에 따르면, 용기 드라이버(15)는 약물 전달 장치(1)의 종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공통 평면에 배열된 2개의 용기 드라이버 아암(15b)을 갖는다. 용기 드라이버 아암(15b)은 용기 홀더(10)의 원위 단부에 제공된 용기 홀더 텅 연장부(10a)에 제공된 대응하는 반경방향 개구(10b)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용기 홀더(10)는 용기 드라이버(15)와 연결된다. 약물 전달 장치(1)의 근위 단부 쪽으로의 용기 드라이버(15)의 종방향 변위는 약물 전달 장치(1)의 근위 단부 쪽으로의 용기 홀더(10)의 이동을 유발하여 바늘 삽입이 수행된다.
용기 드라이버(15)는 적어도 하나의 레지(ledge)(15c)를 포함한다. 본 예에 따르면, 두 개의 레지(15c)가 제공된다. 이들 레지(15c)에 의해, 용기 드라이버(15)는 초기에 용기 드라이버 잠금 부재(13)의 내면에 제공된 정지 리브(stop rib)에 접한다. 그에 따라,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초기 연장 위치에서, 즉 사용 전에, 용기 드라이버(15) 및 그에 따른 용기 홀더(10)는 근위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데, 이는 그러한 이동이 정지 리브에 대한 레지(15c)의 접촉으로 인해 용기 드라이버 잠금 부재(13)에 의해 차단되어 있기 때문이다. 오직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원위 방향 변위에 의해 야기된 용기 드라이버 잠금 부재(13)의 회전 운동 시에만, 정지 리브가 레지(15c)와의 접촉에서 벗어나 이동한다. 따라서, 용기 드라이버는 더 이상 용기 드라이버 잠금 부재(13)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차단되지 않는다.
약물 전달 장치(1)는 또한 플런저 로드(21), 플런저 드라이버(23), 플런저 드라이버 잠금 부재(25), 제 2 에너지 축적 부재(17) 및 제 3 에너지 축적 부재(19)를 포함한다.
제 2 에너지 축적 부재(17)는 용기 드라이버(15)를 근위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배열된다. 제 2 에너지 축적 부재(17)는 예컨대 압축 스프링일 수도 있다.
제 3 에너지 축적 부재(19)는 예컨대 비틀림 스프링일 수도 있다. 제 3 에너지 축적 부재(19)는 제 3 에너지 축적 부재(19)를 하우징(3)에 연결하는 외측 단부(19a)와, 제 3 에너지 축적 부재(19)를 플런저 드라이버(23)에 연결하는 내측 단부(19b)를 구비한다. 외측 단부(19a)는, 예컨대 하우징(3)의 종방향 슬릿을 통해 연장되어 후크의 형태로 벽과 맞물릴 수도 있다.
플런저 드라이버 잠금 부재(25)는 대체로 원통형 구조이며, 근위 단부에 반경방향 플랜지(25a)를 갖는다. 반경방향 플랜지(25a)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잠금 구조체(25b)를 포함한다. 본 예에 따르면, 회전 잠금 구조체(25b)는 반경방향 리세스(recess)에 의해 형성되지만, 대안으로서 예컨대 반경방향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그러한 회전 잠금 구조체(25b)가 제공된다. 이들 회전 잠금 구조체(25b)에 의해, 플런저 드라이버 잠금 부재(25)는 초기에 용기 드라이버(15)에 대해 회전 고정된다. 이러한 회전 잠금을 제공하기 위해, 용기 드라이버(15)는 그의 원위 부분의 내면에 대응하는 종방향 리브를 갖는다. 회전 잠금 구조체(25b)는 초기에 이들 종방향 리브에 접한다. 용기 드라이버(15)의 이들 잠금 리브의 축방향 길이는 용기 드라이버(15)의 길이에 적합하고, 용기 홀더(10)는 바늘 삽입을 수행하기 위해 변위되거나 변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방향 리브의 축방향 길이는, 용기 홀더(10)가 근위 방향으로 완전히 변위할 때, 회전 잠금 구조체(25b)가 최종적으로 종방향 리브와의 맞물림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그러한 길이이다. 이것은 이러한 단계에서 플런저 드라이버 잠금 부재(25)가 더 이상 용기 드라이버(15)에 의해 회전 고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언하면, 바늘 삽입을 수행할 때에, 용기 홀더(15)가 플런저 드라이버 잠금 부재(25)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된다. 플런저 드라이버 잠금 부재(25)는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축방향 잠금은 플런저 드라이버 잠금 부재(25)의 원위 단부에 있는 축방향 잠금 구조체(25c)에 의해 제공되는데, 이것은 하우징(3)의 원위 단부에 있는 대응 구조체와의 맞물린다.
플런저 로드(21)는 나사식 구조체(21a)를 가지며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플런저 드라이버(23)는 플런저 드라이버 잠금 부재(25)에 대해 회전 고정되지만 플런저 드라이버 잠금 부재(25)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예시된 플런저 드라이버(23)는 플런저 로드(21)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개구(23a)를 갖는다. 이를 위해, 관통 개구(23a)는 비원형 단면 형상, 특히 플런저 로드(21)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플런저 로드(21)는 플런저 드라이버(23)에 대해 회전 고정되지만, 관통 구멍(23a) 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도 있다.
플런저 드라이버(23)는 또한 그 외부 표면에 제공된 종방향 슬릿(23b)을 갖는다. 이 종방향 슬릿(23b)에 의해, 플런저 드라이버(23)는 제 3 에너지 축적 부재(19)의 내측 단부(19b)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3 에너지 축적 부재(19)에 의해 플런저 드라이버(23)에 인가된 힘은 플런저 드라이버(23)와의 맞물림으로 인해 플런저 로드(21)에 전달된다.
플런저 드라이버(23)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종방향 리브(23c)를 포함한다. 도 3의 예에 따르면, 4개의 이러한 종방향 리브(23c)가 서로 90°로 이격되어 제공된다. 외부 종방향 리브(23c)는 플런저 드라이버 잠금 부재(25)의 종방향 홈(25d)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따라서, 용기 드라이버(15)와의 잠금 맞물림(locking engagement)으로 인해 플런저 드라이버 잠금 부재(25)의 회전이 방지되는 한, 플런저 드라이버(23)와 플런저 로드(21)는 제 3 에너지 축적 부재(19)의 힘이 플런저 드라이버(23)에 작용하더라도 회전이 방지된다. 그러나, 일단 플런저 드라이버 잠금 부재(25)가 자유롭게 회전하면, 플런저 드라이버(23) 및 플런저 로드(21)도 또한 제 3 에너지 축적 부재(19)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기 시작한다.
약물 전달 장치(1)의 초기 상태에서, 즉 약물 전달 장치(1)의 사용 전에, 플런저 로드(21)의 근위 부분은 용기 드라이버(15)의 중앙 개구 내에 수용된다. 용기 드라이버(15)의 중앙 개구는 플런저 로드(21)의 외부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식 구조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플런저 로드(21)의 나사식 근위 부분은 용기 드라이버(15)의 내부에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나사식 결합으로 인해, 약물 전달 장치(1)의 사용 시의 플런저 로드(21)의 회전은 약물 전달 장치(1)의 근위 단부(1a) 쪽으로의 플런저 로드(21)의 축방향 변위를 초래한다. 환언하면, 플런저 로드(21)는 나사 결합에 의해 약물 용기(10)의 방향으로 회전되고, 용기 홀더(10) 내의 스토퍼(stopper)로 하여금 용기 홀더(10)의 근위 단부 쪽으로 이동하게 하여, 용기 홀더 내에 배열된 약물 용기로부터 약물을 방출시킨다. 에너지 축적 부재(19)의 토크 힘은 플런저 로드(21)를 약물 전달 장치(1)의 근위 단부(1a) 쪽으로 계속 구동시키고, 스토퍼를 가압하여 바늘을 통해 약물을 방출시킨다. 플런저 로드(21)가 약물 전달 장치(1)의 근위 단부(1a) 쪽으로 계속 이동할 때 용기 드라이버(15)는 플런저 로드(21)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스토퍼가 약물 용기의 근위 단부에 있을 때 주입이 완료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안전 기구의 일 예에 대해 기술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태양에 따르면 안전 기구(27)는 본 예에 따르면 근위 하우징 부분인 하우징(3), 커버(5),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 및 근위 플랜지(9)를 포함한다.
하우징(3)은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가 수용되도록 배열된 중앙 근위 개구(3a)를 갖는다. 커버(5)는 중공이며, 도 4에서는 볼 수 없는 중앙 원위 개구(5a)를 갖는데, 이 중앙 원위 개구(5a)는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 및 하우징(3)의 근위 부품/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채널을 형성한다. 약물이 투여될 경우, 커버(5)에 의해 미리 덮여 있는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 및 하우징(3)의 근위 부품/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해 커버(5)가 제거된다. 이러한 노출 상태에서, 즉 커버(5)가 제거되었을 때,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는 하우징(3)에 대한 디폴트 초기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과 약물 방출에 대한 영향은 이미 위에서 설명하였다.
도 5는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 및 근위 플랜지(9)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근위 단부에는 근위 플랜지(9)가 제공된다. 예시된 근위 플랜지(9)는 원위 방향으로 세로로 연장하는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및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을 갖는다.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및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 각각은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이다.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및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은 바람직하게는 약물 전달 장치(1)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동일 평면 내에 배열된다. 환언하면, 2개의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9b)은 180도 간격으로 배열된다.
근위 플랜지(9)는 몸체를 갖고, 그 몸체로부터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및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이 연장한다. 이들이 몸체에 연결되는 이들의 기부는 바람직하게는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이는 하우징(3)의 근위 단부의 대응하는 외측 치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다.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과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은 하우징(3)의 근위 단부 쪽으로 연장되며,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과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은,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가 수축 위치 쪽으로 변위될 때에 하우징(3), 특히 하우징(3)의 근위 부분(3b)이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근위 부분의 외면과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및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 각각의 내면 사이에 배열되도록 마련된다.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및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은,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에 예컨대 하우징(3)의 근위 단부에 대한 간격의 적어도 2/3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및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은 예컨대 상기 간격의 3/3까지, 또는 심지어 이미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수축 위치에서의 하우징(3)의 근위 단부를 넘어서까지 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및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은 약물 전달 장치(1)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9b)의 내면까지의 간격이 원위 방향으로 증가하는 상태로 약물 전달 장치(1)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질 수도 있다. 하우징(3)의 근위 부분(3b)은 원위 방향으로 폭이 넓어질 수도 있다(즉, 근위 방향으로 테이퍼질 수도 있다).
커버(5)에 형성된 채널의 내부 치수 및 하우징(3)의 근위 부분(3b)의 외부 치수는, 커버(5)가 하우징(3)에 적절히 장착될 때, 커버(5)의 내면(5b)과 하우징(3)의 외면(3c) 사이의 간격 d(x)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x"는 약물 전달 장치(1)의 중심축에 따른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나아가,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과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은, 이들의 원위 단부에서의 반경방향 치수(D)가 커버(5)의 내면(5a)과 근위 부분(3b)의 외면(3c)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도록 설계된다. 초기에, 즉 하우징(3)의 근위 단부에서, 커버(5)의 내면(5b)과 근위 부분(3b)의 외면(3c) 사이의 간격은,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가 연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 쪽으로 짧은 간격만큼 변위되는 경우에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및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 각각이 하우징(3)의 근위 부분(3b)과 커버(5) 사이를 슬라이딩하기에 충분히 크다. 그러나, 커버(5)의 내면(5b)과 근위 부분(3b)의 외면(3c) 사이의 간격은,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수축 위치 쪽으로의 추가 이동에 의해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및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이 수축 위치에의 도달 전에 커버(5)와 하우징(3)의 근위 부분(3b) 사이에 끼워지게 되도록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는 커버(5)가 하우징(3)에 적절히 장착되는 한 수축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기계적 충격이 발생할 경우, 특히 약물 전달 장치(1)가 근위 단부(1a) 및 원위 단부(1b) 중 하나에서 충격을 받았을 때,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운동이 제한되어, 약물 전달 장치(1)의 우발적인 활성화를 방지한다.
상기 예에 대한 대안으로서, 안전 기구(27)가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 중 오직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들이 180도 이외의 각도로 이격하여 위치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안전 기구는 상술한 안전 측면에 부가하여 하나의 추가적인 안전 측면을 제공한다. 상술한 안전 측면은 약물 전달 장치(1)의 우발적인 활성화의 방지, 즉 사용 전 안전 기구(prior use safety mechanism)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투여 후 안전 측면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은 기계적 충격으로부터 기인할 수도 있는, 약물 투여 후의 약물 전달 부재(예컨대, 바늘)의 우발적인 노출을 방지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는 약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탄성 구조체(7d)를 구비한 근위 단부 부분(7c)을 가짐으로써, 임계치 또는 임계값보다 더 큰 축방향 힘의 충격 시에 근위 단부 부분의 원위 방향으로의 압축을 가능케 한다. 탄성 구조체(7d)는 또한 압축 시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서, 근위 단부 부분(7c)이 하우징(3)의 근위 개구(3a)의 대응 치수보다 큰 반경방향 치수를 얻도록 배열된다.
근위 단부 부분(7c)은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3)의 외측에 배열된다(즉, 근위 개구(3a)로부터 근위로 연장된다).
탄성 구조체(7d)는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축방향 탄성 기능을 제공하도록 배열된 관통 개구(8)의 시스템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근위 단부 부분(7c)은 약화된 측벽을 갖는다. 본 예에 따르면, 관통 개구(8)의 시스템은 그 중 오직 하나만 도면에서 볼 수 있는 2개의 대향 배열된 중앙 관통 개구(8a)와, 중앙 관통 개구(8a)에 대해 축방향으로 횡으로 배열된 복수의 세장형 관통 개구(8b, 8c)를 갖는다. 제 1 쌍의 관통 개구(8b)는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중앙 관통 개구(8a)를 주위에서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제 2 쌍의 관통 개구(8c)는 약물 전달 장치(1)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제 1 쌍의 관통 구멍(8b)과 대칭(mirroring)이다. 일 예에 따르면, 중앙 관통 개구(8a)는 본질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이고, 관통 개구(8b, 8c)는 중앙 관통 개구(8a)의 윤곽을 따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좁은 측벽 밴드(7e)가 한 쌍의 관통 개구(8b, 8c)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들 좁은 측벽 밴드(7e)는 탄성 구조체(7d)가 압축될 때 반경방향으로 확장된다.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는 예컨대 탄성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됨으로써 압축 후에 원래의 형상을 달성할 수도 있고,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됨으로써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가 변형 시에 압축된 형상을 유지할 수도 있다. 탄성 및 소성 변형은 여기에서는 압축으로 인한 변형을 의미한다. 후자는 사용자가 약물 전달 장치(1)가 기계적 충격을 받았음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도 있다.
약물 투여 후에 약물 전달 장치 슬리브(7)가 연장 위치에 고정될 때 약물 전달 장치(1)가 임계값보다 큰 축방향 힘을 받게 되는 경우에, 반경방향 돌출부(7b)는 이들이 파괴되는 큰 힘을 받게 될 수도 있어서,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가 그 수축 위치로 원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탄성 구조체(7d)로 인해,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는 압축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확장하는데, 도 8에서 대향하는 축방향 화살표들은 압축을 나타내고 반경방향 화살표들은 반경방향 확장을 나타낸다. 특히, 좁은 측벽 밴드(7e)는 중앙 관통 개구(8a)의 압축/변형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된다. 그에 따라,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는 그 수축 위치까지 완전히 이동할 수는 없을 것이며, 약물 전달 부재는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에 의해 덮여 있는 상태이므로 노출되지는 않을 것이다.
탄성 구조체가 확장하도록 변형되는 임계치 또는 임계값은 설계 파라미터이며, 예컨대, 근위 단부 부분에 사용되는 재료의 두께 및 관통 개구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탄성 구조체는 정상적인 사용 중에, 즉 약물 투여 중에 주입 부위에서 약물 전달 장치(1)에 압력을 가할 때 반경방향으로 확장할 정도로 큰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압축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
몇몇 변형예에 따르면, 안전 기구(27)에는 안전 특징들 중 하나, 예컨대 "사용 전" 보호, 즉 근위 플랜지만 제공되거나, 또는 "사용 후" 보호, 즉 탄성 구조체만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은 주로 몇 가지 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듯이, 위에서 개시된 것들 이외의 다른 실시예들도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적 개념의 범위 내에서 동일하게 실현 가능하다.

Claims (15)

  1. 기계적 충격의 경우에 약물 전달 장치(1)의 활성화를 방지하기 위한 약물 전달 장치(1)용 안전 기구(27)에 있어서, 상기 안전 기구(27)는: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
    상기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근위 단부에 제공된 근위 플랜지(proximal flange)(9)로서, 상기 근위 플랜지(9)는 원위 방향으로 세로로 연장되는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radially flexible arm)(9a)을 갖는, 상기 근위 플랜지(9),
    상기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원위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중앙 근위 개구(central proximal opening)(3a)를 갖는 하우징(3)으로서, 상기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는 하우징(3)에 대해 연장 위치(extended position)로부터 수축 위치(retracted position)까지 하우징(3) 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기 하우징(3), 및
    상기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 및 상기 하우징(3)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채널을 형성하는 원위 개구(distal opening)(5a)를 갖는 커버(5)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은, 상기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가 연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 쪽으로 변위될 때 상기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과 상기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외면 사이에 배열되는 근위 부분(3b)을 가지며,
    상기 채널은, 상기 하우징(3)이 커버(5)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커버(5)의 내면(5b)과 상기 근위 부분(3b)의 외면(3c) 사이에, 상기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의 반경방향 치수(D)보다 작은 반경방향 간격이 존재하여, 상기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가 그 수축 위치를 달성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치수로 형성되는
    안전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원위 방향으로, 상기 커버(5)의 내면(5b)과 상기 근위 부분(3b)의 외면(3c) 사이의 상기 반경방향 간격은 초기에 상기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의 원위 단부의 반경방향 치수(D)보다 더 큰 상태로부터 감소하는
    안전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은 수축 위치에서 상기 근위 부분(3b)의 외면(3c)에 접하도록 배열되는
    안전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플랜지는 몸체(body)를 갖고, 상기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은 상기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상기 하우징(3)의 근위 단부의 그 부분의 외면의 반경방향 치수에 대응하는 반경방향 간격으로부터,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안전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은 상기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안전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에 대한 반경방향 간격은 원위 방향으로 증가하는
    안전 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플랜지(9)는 원위 방향으로 세로로 연장되는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을 가지며, 상기 근위 부분(3b)은, 상기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가 연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 쪽으로 변위될 때 상기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과 상기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외면 사이에 배열되는
    안전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및 상기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은 상기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종축과 평행한 공통 평면 내에 배열되는
    안전 기구.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은 수축 위치에서 상기 근위 부분(3b)의 외면에 접하도록 배열되는
    안전 기구.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플랜지(9)는 몸체를 갖고, 상기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은 상기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상기 하우징(3)의 근위 단부의 그 부분의 외면의 반경방향 치수에 대응하는 반경방향 간격으로부터,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안전 기구.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은 상기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안전 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에 대한 반경방향 간격은 원위 방향으로 증가하는
    안전 기구.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a) 및 상기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 각각은 상기 약물 전달 부재 슬리브(7)의 연장 위치에서 상기 근위 플랜지(9)로부터 상기 하우징(3)의 근위 단부까지의 간격의 적어도 2/3만큼 연장되는
    안전 기구.
  14.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커버(5)의 내면(5b)과 상기 근위 부분(3b)의 외면(3c) 사이에 상기 제 2 반경방향 가요성 아암(9b)의 반경방향 치수보다 작은 간격이 존재하게 하는 치수로 형성되는
    안전 기구.
  15. 약물 전달 장치(1)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전 기구(27)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KR1020187024250A 2016-02-24 2017-01-20 약물 전달 장치용 안전 기구 및 이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 KR102179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650246-0 2016-02-24
SE1650246 2016-02-24
PCT/EP2017/051202 WO2017144203A1 (en) 2016-02-24 2017-01-20 Safety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and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096A true KR20180104096A (ko) 2018-09-19
KR102179602B1 KR102179602B1 (ko) 2020-11-19

Family

ID=5790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250A KR102179602B1 (ko) 2016-02-24 2017-01-20 약물 전달 장치용 안전 기구 및 이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53655B2 (ko)
EP (1) EP3419701B1 (ko)
JP (1) JP6596165B2 (ko)
KR (1) KR102179602B1 (ko)
CN (1) CN108697860B (ko)
DK (1) DK3419701T3 (ko)
TW (1) TWI654000B (ko)
WO (1) WO20171442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4276A1 (en) * 2020-10-21 2022-04-28 Shl Medical Ag An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WO2023072625A1 (en) * 2021-10-28 2023-05-04 Shl Medical Ag Assembly for preventing unintended activation of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WO2023222495A1 (en) * 2022-05-16 2023-11-23 Novo Nordisk A/S Drug delivery device with adapted to prevent an unintended do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0428A1 (en) * 1999-10-14 2002-01-24 Lionel Vedrine Drug delivery system including holder and drug container
WO2010125400A2 (en) * 2009-05-01 2010-11-04 Owen Mumford Limited Injection devices
WO2011006788A1 (en) * 2009-07-14 2011-01-20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rug delivery device
WO2014053849A2 (en) * 2012-10-04 2014-04-10 Owen Mumford Limited Injecto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08016335A (es) 2006-06-30 2009-01-21 Abbott Biotech Ltd Dispositivo automatico de inyeccion.
EP2393533B1 (en) 2009-02-05 2015-03-2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dicament delivery devices
EP2435112B1 (de) * 2009-05-29 2015-05-13 Tecpharma Licensing AG Injektionsvorrichtung, insbesondere autoinjektor mit stechschutz oder/und überlastsicherung für ein produktbehältnis
CN103517729B (zh) 2011-05-12 2016-06-08 Shl集团有限责任公司 药剂输送装置
CN103732275B (zh) * 2011-06-17 2016-08-17 Shl集团有限责任公司 注射设备
EP2720737B1 (en) * 2011-06-17 2017-01-04 SHL Group AB Inj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0428A1 (en) * 1999-10-14 2002-01-24 Lionel Vedrine Drug delivery system including holder and drug container
WO2010125400A2 (en) * 2009-05-01 2010-11-04 Owen Mumford Limited Injection devices
WO2011006788A1 (en) * 2009-07-14 2011-01-20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rug delivery device
WO2014053849A2 (en) * 2012-10-04 2014-04-10 Owen Mumford Limited Inject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7860A (zh) 2018-10-23
JP2019506245A (ja) 2019-03-07
TW201733628A (zh) 2017-10-01
EP3419701B1 (en) 2021-09-15
CN108697860B (zh) 2020-12-01
WO2017144203A1 (en) 2017-08-31
JP6596165B2 (ja) 2019-10-23
KR102179602B1 (ko) 2020-11-19
TWI654000B (zh) 2019-03-21
US20210170109A1 (en) 2021-06-10
EP3419701A1 (en) 2019-01-02
US11253655B2 (en) 2022-02-22
DK3419701T3 (da)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603B1 (ko) 약물 전달 장치용 안전 기구 및 이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
US9022982B2 (en) Injection device
KR102399468B1 (ko) 약물 전달 장치용 투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KR102179602B1 (ko) 약물 전달 장치용 안전 기구 및 이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
WO2018010947A1 (en) Administration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CN107438443B (zh) 驱动机构
EP3548118B1 (en) A feedback element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