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254A - 조립식 옹벽 - Google Patents

조립식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254A
KR20180103254A KR1020170029900A KR20170029900A KR20180103254A KR 20180103254 A KR20180103254 A KR 20180103254A KR 1020170029900 A KR1020170029900 A KR 1020170029900A KR 20170029900 A KR20170029900 A KR 20170029900A KR 20180103254 A KR20180103254 A KR 20180103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all
groove
rail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아이앤씨
김형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아이앤씨, 김형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7002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3254A/ko
Publication of KR20180103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체결 없이도 벽체를 부벽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조립 고정시킬 수 있고, 벽체를 운반/조립하기 위한 장비(즉, 크레인)만으로도 벽체 조립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은, 저판; 상기 저판 상에 세워지는 벽체; 상기 저판 상에 세워지며 상기 벽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부벽; 상기 벽체의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정착레일; 및 상기 정착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벽체의 배면 상에 상기 부벽을 고정시키기 위한 정착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옹벽{ASSEMBLY TYPE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체결 없이도 벽체를 부벽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산간 도로 등의 가장 자리에 설치되어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지칭한다. 종래 옹벽은 지금까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듯이 기초 시공후 그 위에 합판거푸집을 설치하여 높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벽체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시공하는 현장타설공법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현장타설공법은 작업현장에서 설치하기 때문에 옹벽을 설치하고 콘크리트가 경화하는 동안 많은 시간이 경과해야 옹벽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철근조립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미리 제작장 또는 공장에서 제작하여 양생이 완료된 옹벽을 작업현장으로 이동시킨 다음 현장에서 단순 조립하여 설치하는 조립식 옹벽이 사용되고 있다(선행특허 1,2 참조).
종래 조립식 옹벽은 선행특허 1과 같이 벽체와 부벽의 고정수단으로서 볼트체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조립식 옹벽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옹벽에 토사압 등의 외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면 이 외력은 벽체를 통해 볼트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 볼트에 지속적인 미세 유동이 발생하여 결국 볼트의 체결력이 느슨해질 수 있으며, 볼트가 녹슬거나 부식되는 현상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부벽과 벽체를 결합하는 볼트는 중력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고정되는 바 이러한 문제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이는 옹벽 붕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조립식 옹벽은 부벽에 벽체를 결합시, 벽체를 운반/조립하기 위한 장비(즉, 크레인)와 볼트조임을 수행하기 위한 장비(즉, 사다리차) 즉, 다수의 장비가 필요하였고, 특히 볼트조임 작업의 경우 시공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며, 해당 작업자가 사다리차에서 낙상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존재하였다.
선행특허 1. 한국등록특허 제0799358호 (등록일: 2008.01.23) 선행특허 2. 한국공개특허 제1996-0011009호 (공개일: 1996.04.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체결 없이도 벽체를 부벽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조립 고정시킬 수 있고, 벽체를 운반/조립하기 위한 장비(즉, 크레인)만으로도 벽체 조립 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종래 볼트조임을 위해 필요하였던 장비(즉, 사다리차)와 인력을 생략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은, 저판; 상기 저판 상에 세워지는 벽체; 상기 저판 상에 세워지며 상기 벽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부벽; 상기 벽체의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정착레일; 및 상기 정착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벽체의 배면 상에 상기 부벽을 고정시키기 위한 정착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착구는 부벽 선단부의 좌측면 상에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정착구; 및 상기 부벽 선단부의 우측면 상에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정착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착레일은 상기 제1 정착구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제1 정착레일; 및 상기 제2 정착구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정착레일과 이격을 두고 상호 대칭 구조로 배치되는 제2 정착레일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 정착구는 하향 경사부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정착구를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삽입시 상기 하향 경사부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정착레일의 일 내면은 상향 경사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에 의하면, 볼트체결 없이 벽체를 부벽에 고정시킬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벽체-부벽 체결볼트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해당 볼트가 느슨해지는 문제와 볼트가 녹슬거나 부식되는 문제를 근복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바, 옹벽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레인만으로도 벽체 조립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바, 시공시간 및 작업효율을 높이고, 안전사고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립식 옹벽은 벽체에 구비되는 정착레일과 부벽에 구비되는 정착구의 특징적인 구조에 의해 시공성은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 시공오차 내지 생산오차는 최소화할 수 있어, 부벽의 안정적인 조립 및 견고한 설치 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벽의 후면도.
도 3 (a),(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 경사 및 하향 경사를 정의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정면측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배면측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하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판과 부벽의 조립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옹벽의 조립 완료 상태도
도 10 (a),(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구와 정착레일 간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옹벽들이 일렬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 (a),(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홀 및 정착볼트를 이용하여 정착구를 밀착시켜 유격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착레일의 변형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구의 변형 실시예.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은 다수 개의 단위 옹벽이 연속적으로 일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단위 옹벽은 저판(10), 저판(10) 상에 세워지는 벽체(30), 벽체(30)를 지지하는 부벽(20), 벽체(30)에 형성되는 정착레일(36), 및 부벽(20)에 형성되는 정착구(23)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정착홀(35) 및 정착볼트(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벽의 후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벽(20)은 저판(10) 상에 세워지며 벽체(30)의 배면을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측면부에는 정착구(23)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끼움돌기(2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벽(20)은 수평부, 수직부 및 경사부를 갖는 직각삼각형 단면 모양의 판형재로 형성될 수 있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부벽(20)의 수평부는 부벽(20)을 저판(10)에 조립시 저판(10)과 대향하는 부위를 지칭하고, 수직부는 부벽(20)을 벽체(30)에 조립시 벽체(30)와 대향하는 부위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정착구(23)는 정착레일(36)에 결합되어 벽체(30)의 배면 상에 부벽(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세부적으로 제1 정착구(23a)와 제2 정착구(23b)로 이루어진다.
제1 정착구(23a)는 부벽(20) 선단부의 좌측면 상에 부벽(20)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일 실시예의 경우 제1 정착구(23a)는 부벽(2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게 구성하였다.
특히, 제1 정착구(23a)는 하향 경사부(S1)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향 경사부(S1)는 제1 정착구(23a)의 외면들 중 정면(벽체를 마주하는 면)과 후면(정면의 반대면, S3) 사이에 있는 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1 정착구 (23a)를 후술할 제1 슬라이딩홈에 삽입시 제1 정착레일(36a)의 수직부재(37a)의 내면과 대향하는 면을 지칭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하향 경사'란 도 3 (a)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둔각(θ1,θ1')으로 기울어져 있는 구배를 지칭하고, 하향 경사부는 이러한 구배로 경사진 부위(A1,A1')를 의미하며, '상향 경사'란 도 3 (b)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예각(θ2,θ2')으로 기울어져 있는 구배 즉, 역경사를 지칭하고, 상향 경사부는 이러한 역경사 부위(A2,A2')를 의미함을 밝혀둔다.
제2 정착구(23b)는 부벽(20) 선단부의 우측면 상에 부벽(20)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따른 일 실시예의 경우 제2 정착구(23b)는 부벽(2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게 구성하였다. 따라서, 제1 정착구(23a)와 제2 정착구(23b)는 부벽(20)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정착구(23b)는 제1 정착구(23a)와 마찬가지로 하향 경사부(S2)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향 경사부(S2)는 제2 정착구(23b)의 외면들 중 면(벽체를 마주하는 면)과 후면(정면의 반대면, S4) 사이에 있는 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2 정착구(23b)를 후술할 제2 슬라이딩홈에 삽입시 제2 정착레일(36b)의 수직부재(37b)의 내면과 대향하는 면을 지칭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정착구(23a,23b)의 하향 경사부 (S1,S2)는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다른 형태를 배제하지 않는다. 예컨대 하향 경사부(S1,S2)는 평면 외에 곡면 또는 요철면으로 구성되거나 더 나아가 평면/곡면/요철면 등이 혼합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끼움돌기(24)는 부벽(20)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저판(10)의 끼움홈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끼움돌기(24)는 부벽(20)의 하단부에 상호 이격 배열되는 제1 끼움돌기(24a)와 제2 끼움돌기(24b)로 구성되고, 제1 끼움돌기(24a)는 저판(10)에 요홈 형태로 형성된 제1 끼움홈(17)에 끼움 결합되고, 제2 끼움돌기(24b)는 저판(10)에 또 다른 요홈 형태로 형성된 제1 끼움홈(17)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끼움돌기(24)는 역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육면체의 4개 측면 모두 역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하여 각 측면은 상향 경사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부벽(20) 내지 정착구(23) 상단에는 보조부재(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부재(22)는 부벽(20) 내지 정착구(23)의 상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조부재(22)는 정착구(23)를 정착레일(36)에 결합 완료시 적어도 일부가 정착레일(36)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보조부재(22)는 후술할 정위치 작업을 거쳐 정착구(23)를 정착레일(36)에 결합 완료한 후, 정착레일(36) 내부에 몰탈을 충진시 몰탈과 부벽(20) 간의 접촉 면적을 간접적으로 높여주는 기능을 한다. 환언하면, 부벽(20)은 이에 일체로 형성된 보조부재(22)를 매개로 몰탈과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게 되고, 이에 의해 더욱 견고한 정착 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판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판(10)은 벽체(30)와 부벽(20)의 밑을 받치며 지면에 안착되는 판형 구조물로서, 그 상면 상에는 삽입홈(14), 끼움홈 및 수용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 모서리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돌기(16)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모서리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14)은 저판(10)의 일측 선단에 그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요홈 구조로 이루어져, 벽체(3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31)가 상기 삽입홈(14)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끼움홈은 저판(10)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부벽(20)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돌기(24)가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끼움홈은 저판(10)의 중심선 상에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 실시예의 경우, 끼움홈은 제1 끼움돌기(24a)가 끼워지는 제1 끼움홈(17)과 제2 끼움돌기(24b)가 끼워지는 제2 끼움홈(18)이 저판(10)의 중심선 상에 일렬로 배열되게 구성하였다.
수용홈(12)은 부벽(20)의 고정부(21)를 내부에 수용하고 고정부(21)를 저판(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참고로, 부벽(20)의 고정부(21)는 부벽(20)의 하단부 후방 영역(21)을 지칭하며, 구체적으로는 체결수단(25)이 형성된 부위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체결수단(25)은 볼트공, 볼트 또는 앵커볼트와 같은 공지의 체결구일 수 있다.
수용홈(12)은 이처럼 고정부(21)를 내부에 수용하되 고정부(21)의 수용시 몰탈 충진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환언하면 수용홈(12)은 몰탈 충진을 위한 거푸집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홈(12)은 고정부(21)를 내부에 수용시 고정부(21)의 측면 및 이를 대향하는 수용홈(12)의 내면 간에는 상호 수십㎜의 이격 공간(K1)이 확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용홈(12)에는 체결수단(13)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부(21)를 수용시 고정부(21)의 체결수단(25)과 상호 체결 내지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수용홈(12)의 체결수단(13)은 볼트공, 볼트 또는 앵커볼트와 같은 공지의 체결구일 수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4의 일 실시예의 경우, 고정부(21)의 체결수단(25)과 수용홈(12)의 체결수단(13)은 모두 볼트공으로 형성하여, 별도의 'ㄴ'자형 브라켓을 고정부(21) 측면과 수용홈(12) 밑면에 덧댄 후 각 체결수단(13,25)에 나사조임함으로써 고정부(21)를 수용홈(12)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하였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끼움홈(17)과 제2 끼움홈(18)은 연통홈(15a)를 통해 상호 연통되게 구성되고, 제2 끼움홈(18) 역시 수용홈(12)과 연통되게 구성되어, 제1 끼움홈(17), 제2 끼움홈(18) 및 수용홈(12)에 상호 연속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제1 끼움홈(17)은 연통홈(15b)을 통해 삽입홈(14)과 연통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수용홈(12)에 몰탈을 충진시 수용홈(12) 내의 몰탈이 제2 끼움홈(18)은 물론 제2 끼움홈(18)을 거쳐 제1 끼움홈(17)까지 유입될 수 있고, 삽입홈(14)에 몰탈을 충진시 해당 몰탈이 제1 끼움홈(17)과 제2 끼움홈(18)으로 유입될 수 있어, 제1 끼움돌기(24a)와 제2 끼움돌기(24b)의 보다 견고한 고정 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정면측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배면측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하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벽체(30)는 토사압력에 실질적으로 저항하는 판형 구조물로서,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31)가 바닥판의 삽입홈(14)에 끼워져 세워지고, 일측 모서리부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연결돌기(3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모서리부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연결홈(33)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벽체의 연결돌기(32)는 상기 제1 벽체와 이웃하게 연결되는 제2 벽체의 연결홈(33)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예컨대 제2 벽체에 토사압이 가해질 시 이에 저항하는 전단력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벽체(30)는 그 배면 상에 벽체(30)의 길이방향(즉, 벽체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정착레일(36)이 마련되어 있다. 정착레일(36)은 정착구(23)와 결합되어 벽체(30)의 배면 상에 부벽(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정착레일(36a)과 제2 정착레일(36b)로 이루어진다.
제1 정착레일(36a)은 벽체(30)의 배면 상에 벽체(30)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막대 형상의 수직부재(37a) 및 이 수직부재(37a)의 선단에서 절곡 구조로 형성된 수평부재(38a)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정착레일(36a)은 벽체(30)와 부벽(20)이 조립된 상태를 기준으로 벽체(30)의 배면 중 제1 정착구(23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 정착레일(36a)의 내부에는 수직부재(37a)의 내면과 수평부재(38a)의 내면 사이에 홈 구조의 공간(이하, '제1 슬라이딩홈'이라 칭함)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1 슬라이딩홈은 제1 정착구(23a)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에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어 이 하단 개방구를 통해 제1 정착구(23a)를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1 정착레일(36a)은 상향 경사부(39a)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향 경사부(39a)는 제1 정착레일(36a)의 내면들 중 수직부재 (37a)의 내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1 정착구(23a)를 제1 슬라이딩홈에 삽입시 제1 정착구(23a)의 하향 경사부(S1)와 대향하는 면을 지칭한다.
제2 정착레일(36b)은 벽체(30)의 배면 상에 벽체(30)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막대 형상의 수직부재(37b) 및 이 수직부재(37b)의 선단에서 절곡 구조로 형성된 수평부재(38b)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정착레일(36b)은 벽체(30)와 부벽(20)이 조립된 상태를 기준으로 벽체(30)의 배면 중 제2 정착구(23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정착레일(36a)과 제2 정착레일(36b)은 벽체(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을 두고 대칭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2 정착레일(36b)의 내부에는 수직부재(37b)의 내면과 수평부재(38b)의 내면 사이에 홈 구조의 공간(이하, '제2 슬라이딩홈'이라 칭함)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2 슬라이딩홈은 제2 정착구(23b)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에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어 이 하단 개방구를 통해 제2 정착구(23b)를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2 정착레일(36b)은 제1 정착레일(36a)과 마찬가지로 상향 경사부 (39b)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향 경사부(39b)는 제2 정착레일(36b)의 내면들 중 수직부재(37b)의 내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2 정착구(23b)를 제2 슬라이딩홈에 삽입시 제2 정착구(23b)의 하향 경사부(S2)와 대향하는 면를 지칭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정착레일(36a,36b)의 상향 경사부 (39a,39b)는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다른 형태를 배제하지 않는다. 예컨대 상향 경사부(39a,39b)는 평면 외에 곡면 또는 요철면으로 구성되거나 더 나아가 평면/곡면/요철면 등이 혼합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판과 부벽의 조립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옹벽의 조립 완료 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부벽(20)은 제1 끼움돌기(24a)와 제2 끼움돌기(24b)를 각각 제1 끼움홈(17)과 제2 끼움홈(18) 위치에 정렬한 후 끼워 넣으면, 도 8과 같이 저판(10) 위에 세워진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수용홈(12) 내부에 있는 고정부(21)를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시킨 후 몰탈 충진 공간(K1)에 몰탈을 채워넣음으로써 부벽(20)이 저판(10) 상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저판(10)과 부벽(20)의 조립이 완료되면, 벽체(30)에 구비된 제1 정착레일(36a)과 제2 정착레일(36b)을 각각 제1 정착구(23a)과 제2 정착구(23b)의 수직 상부에 위치시킨 후 저판(10) 측으로 하강시킨다. 상기 하강에 의해, 제1 정착구(23a)과 제2 정착구(23b)는 각각 제1 슬라이딩홈과 제2 슬라이딩홈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고, 벽체(30)의 삽입부(31)는 저판(10)의 삽입홈(14)에 끼워져 도 9와 같이 벽체(30)가 저판(10) 위에 세워진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조립 상태에서 후술할 정착면 밀착 및 몰탈 충진 작업을 완료함으로써 벽체(30)가 부벽(20)에 의해 견고하지 지지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착구(23)를 정착레일(36)에 슬라이딩 삽입함으로써 벽체(30)와 부격 간의 조립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정착구(23)와 정착레일(36)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도 10 (a),(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구와 정착레일 간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정착구는 도 7의 C1-C2 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벽체(30)를 부벽(20)에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1 정착레일(36a)과 제2 정착레일(36b)의 수직 하부에 제1 정착구(23a)과 제2 정착구(23b)가 배치된 후, 이의 슬라이딩 삽입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본 발명의 제1 정착구(23a)와 제2 정착구(23b)는 각각 하향 경사부 (S1,S2)을 갖도록 구성되고, 제1 정착레일(36a)과 제2 정착레일(36b)은 상기 하향 경사부(S1,S2)와 대향하는 각 면이 상향 경사부(39a,39b)로 구성되어 있는 바, 정착구(23)를 정착레일(36)에 삽입시 정착구(23)와 정착레일(36) 간에는 매우 큰 폭의 유격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정착레일(36)에 정착구(23)를 삽입하기 위하여 정착레일(36)의 하단부에 정착구(23)의 상단부를 위치시키면, 전술한 상하향 경사부(S1,S2,39a,39b) 구조에 의해 정착구(23)의 상단부와 정착레일(36)의 하단부 간에는 50~100㎜ 정도의 유격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0 (a)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정착구(23a)의 하향 경사부(S1) 상단과 제1 정착레일(36a)의 상향 경사부(39a) 하단 사이, 그리고 제2 정착구(23b)의 하향 경사부(S2) 상단과 제2 정착레일(36b)의 상향 경사부(39b) 하단 사이에 50~100㎜ 정도의 유격(즉, 이격거리)이 확보된다.
이에 의해,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인 벽체(30)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부벽(20)에 조립시, 전술한 큰 유격에 의해 여유공간이 확보되어 정착레일(36)에 대한 정착구(23) 삽입 작업을 매우 원활히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벽체(30)와 부벽(20) 간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10(b)와 같이 정착레일(36)과 정착구(23) 간에는 유격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벽체(30)와 부벽(20) 간의 시공오차 내지 생산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환언하면, 정착구(23)와 정착레일(36) 간의 삽입 초기 단계에서 확보되었던 큰 유격은 벽체(30)와 부벽(20) 간의 조립 완료시 자연스럽게 제거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정착구(23)와 정착레일(36) 구조에 따르면 시공성은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 시공오차 내지 생산오차는 최소화할 수 있어, 부벽(20)의 안정적인 조립 및 견고한 설치 상태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2 (a),(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홀 및 정착볼트를 이용하여 정착구를 밀착시켜 유격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은 다음과 같은 또 다른 특징으로 갖도록 구성된다. 제1 정착구(23a)는 해당 제1 정착구(23a)가 제1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1 정착구(23a)의 배면(S3)과 제1 정착면(39a') 사이에 유격(K2)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 12(a) 참조). 여기서, 상기 '제1 정착면(39a')'이란 제1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제1 정착구(23a)의 배면(S3)에 대향하는 제1 정착레일(36a)의 일 내면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정착구(23b)는 해당 제2 정착구(23b)가 제2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2 정착구(23b)의 배면(S4)과 제2 정착면(39b') 사이에 유격(K2)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정착면(39b')'이란 제2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제2 정착구(23b)의 배면(S4)에 대향하는 제2 정착레일 (36b)의 일 내면을 지칭한다.
상기 경우, 본 발명의 조립식 옹벽은 벽체(30)에 관통 형성되는 정착홀(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b)와 같이 상기 정착홀(35)에 나사조임시 부벽(20) 측으로 전진하며 해당 부벽(20)을 강제로 밀어 제1 및 제2 정착구 (23a,23b)의 배면 (S3,S4)을 제1 및 제2 정착면(39a',39b')에 각각 밀착시켜 상기 유격(K2)을 제거하는 정착볼트(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착홀(35)은 벽체(30)를 관통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 구멍에 삽입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정착홀(35)은 벽체(30)에 형성된 오목홈(34) 내부에 그 선단(즉, 개방구)가 노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2 (b)와 같이, 정착홀(35) 및 정착볼트(40)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정착구의 배면(S3,S4)을 제1 및 제2 정착면(39a',39b')에 각각 밀착시켜 유격(K2)이 제거되면, 제1 및 제2 슬라이딩홈에 몰탈 또는 토사를 충진함으로써 정착구(23)와 정착레일(36) 간의 조립 고정이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착구(23)를 정착레일(36)에 삽입시 전후좌우 모든 방향으로 여유 공간(즉, 유격)이 확보되어 원활한 삽입 작업 및 시공성 극대화를 구현할 수 있고, 삽입이 완료되면 전후좌우 방향의 해당 유격이 모두 제거되어 부벽(20)의 안정적인 조립 및 견고한 설치 상태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컨대, 도 6 실시예의 경우 정착레일(36)은 제1 정착레일(36a)과 제2 정착레일(36b)이 하나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13과 같이 벽체의 일 영역에 제1 정착레일(36a')과 제2 정착레일(36b')이 구비되고, 타 영역에 또 다른 제1 정착레일(36a'')과 제2 정착레일(36b'')이 이격 구비되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정착레일(36)은 복수 개가 일렬로 배열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경우, 정착구(23) 역시 각 정착레일(36a'.36a'')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 개(23a',23a'')로 구성될 수 있다(도 14 참조). 또한, 정착구(23)는 도 1과 같이 부벽(20)과 동일한 콘크리트 재질로 제작된 일체형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철 등의 금속과 같은 상이한 재질로 형성하여 일 모서리 부위가 부벽(20)에 삽입 고정된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경우 정착구를 도 14과 같은 철판 형태로 제작하면 도 1 실시예의 정착구 보다 얇은 판형재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와 같은 변형 실시예에 따르더라도, 정착구 (23a',23a'')는 전술한 하향 경사부(도 14의 경우 S1',S1'')를 갖도록 구성되고, 정착레일 역시 전술한 상향 경사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저판 12: 수용홈
14: 삽입홈 17: 제1 끼움홈
18: 제2 끼움홈 20: 부벽
21: 고정부 22: 보조부재
23: 정착구 23a: 제1 정착구
23b: 제2 정착구 24: 끼움돌기
30: 벽체 35: 정착홀
36: 정착레일 36a: 제1 정착레일
36b: 제2 정착레일
39a: 제1 정착레일의 상향 경사부
39b: 제2 정착레일의 상향 경사부
39a': 제1 정착면 39b': 제2 정착면
40: 정착볼트
S1: 제1 정착구의 하향 경사부
S2: 제2 정착구의 하향 경사부
S3: 제1 정착구의 배면
S4: 제2 정착구의 배면

Claims (8)

  1. 저판; 상기 저판 상에 세워지는 벽체; 상기 저판 상에 세워지며 상기 벽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부벽; 상기 벽체의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정착레일; 및 상기 정착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벽체의 배면 상에 상기 부벽을 고정시키기 위한 정착구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구는,
    상기 부벽 선단부의 좌측면 상에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정착구; 및 상기 부벽 선단부의 우측면 상에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정착구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레일은,
    상기 제1 정착구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제1 정착레일; 및 상기 제2 정착구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정착레일과 이격을 두고 상호 대칭 구조로 배치되는 제2 정착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 정착구는 하향 경사부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정착구를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삽입시 상기 하향 경사부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정착레일의 일 내면은 상향 경사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착구는 하향 경사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단부를 통해 상기 제2 정착구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삽입시 상기 제2 정착구의 하향 경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정착레일의 일 내면은 상향 경사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착구는,
    상기 제1 정착구가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정착구 배면에 대향하는 상기 제1 정착레일의 일 내면(이하, '정착면'이라 칭함)과 상기 제1 정착구 배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립식 옹벽은,
    상기 벽체에 관통 형성되는 정착홀;
    상기 정착홀에 나사조임시 상기 부벽 측으로 전진하며 상기 부벽을 강제로 밀어 상기 제1 정착구 배면을 상기 정착면에 밀착시켜 상기 유격을 제거하는 정착볼트; 및
    상기 제1 정착구 배면이 상기 정착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충진되는 몰탈 또는 토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벽은 하단부에 상호 이격되며 돌출 형성되는 제1 끼움돌기와 제2 끼움돌기; 및 하단부 후방 영역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판은 상기 제1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제1 끼움홈; 상기 제2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제2 끼움홈; 및 상기 고정부를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고정부의 수용시 몰탈 충진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끼움홈, 상기 제2 끼움홈 및 상기 수용홈은 상호 연통되게 구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몰탈을 충진시 상기 수용홈 내의 몰탈이 상기 제1 끼움홈 및 상기 제2 끼움홈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볼트 체결에 의해 상기 수용홈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은,
    상면 선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홈; 일측 모서리부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돌기; 및 타측 모서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연결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벽체는,
    상기 벽체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삽입부; 일측 모서리부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돌기; 및 타측 모서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연결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벽 또는 상기 정착구의 상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정착구가 상기 정착레일에 삽입 완료된 상태를 기준으로, 적어도 상단부가 상기 정착레일의 상측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착레일 및 상기 제2 정착레일 각각은,
    상기 벽체의 배면 상에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막대 형상의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에서 '┐' 단면 모양으로 절곡된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KR1020170029900A 2017-03-09 2017-03-09 조립식 옹벽 KR20180103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900A KR20180103254A (ko) 2017-03-09 2017-03-09 조립식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900A KR20180103254A (ko) 2017-03-09 2017-03-09 조립식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54A true KR20180103254A (ko) 2018-09-19

Family

ID=6371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900A KR20180103254A (ko) 2017-03-09 2017-03-09 조립식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32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6302A (zh) * 2020-03-09 2020-06-05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预制装配的扶壁式挡土墙拼装构造及施工方法
CN117188400A (zh) * 2023-05-15 2023-12-08 青岛丰拓力行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水利边坡防护装置及其防护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6302A (zh) * 2020-03-09 2020-06-05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预制装配的扶壁式挡土墙拼装构造及施工方法
CN117188400A (zh) * 2023-05-15 2023-12-08 青岛丰拓力行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水利边坡防护装置及其防护方法
CN117188400B (zh) * 2023-05-15 2024-03-12 青岛丰拓力行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水利边坡防护装置及其防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737B1 (ko)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체의 기초 시공방법
JP5926573B2 (ja) 柱材の連結方法、建物ユニット、柱材の連結構造及びジョイントピンセット
KR20140031583A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
KR101268429B1 (ko) 모듈러 교각용 피어 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교각 설치 방법
KR20090079660A (ko) 지지부재 취부 돌출 거치쇄 수평 보의 끼움 결합구조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20180103254A (ko) 조립식 옹벽
JP3798420B1 (ja) 鉄骨・鉄筋補強型乾式ブロック組積工法
KR101671894B1 (ko) 노후 rc 보-기둥 건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pc 벽패널 보강체의 스터드-앵커 접합 공법
KR101557380B1 (ko) 내진 보강 구조 및 내진 보강 방법
KR20140020582A (ko)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101566982B1 (ko) 강관기둥과 수평부재의 접합구조
KR101824963B1 (ko) 하이브리드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05954U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
CN102330472B (zh) 建筑框架结构的连接件
JP2554021B2 (ja) 容体の間仕切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容体の間仕切工法
KR101710571B1 (ko) 유닛 결합형 장경간 피씨 합성보 시스템
KR20150039954A (ko) 장선재에 간격 유지부재가 체결되는 거푸집 패널
KR102071825B1 (ko) 코어형 pc 계단실 골조의 시공방법
JP2009257006A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KR101193074B1 (ko) 외부 내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패널을 이용하여 내진 보강한 상부 구조물의 기초 보강 방법
KR100557334B1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KR101685632B1 (ko) 강도와 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단 접합부
KR102178456B1 (ko) 알루미늄 커튼월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102108626B1 (ko)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