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057A - 실질적으로 비발포성 및 발포성 가스 주입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질적으로 비발포성 및 발포성 가스 주입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057A
KR20180103057A KR1020187019601A KR20187019601A KR20180103057A KR 20180103057 A KR20180103057 A KR 20180103057A KR 1020187019601 A KR1020187019601 A KR 1020187019601A KR 20187019601 A KR20187019601 A KR 20187019601A KR 20180103057 A KR20180103057 A KR 20180103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everage
pressure
injected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408B1 (ko
Inventor
케니스 런드버그
폴 웨슬리 코크런
피터 에드워드 보이드
로버트 알. 니더만
윌리엄 제이 앨런
아디트야 자얀트 안갈
Original Assignee
웰빌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빌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웰빌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80103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43Liquid, semi-liquid or non-dried semi-soli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Coffee gels; Liquid coffee in solid caps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1Carbonators with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9Details
    • B67D1/007Structure of the carbonating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9Details
    • B67D1/0073Carbonating by spraying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9Details
    • B67D1/0074Automatic carbonation control
    • B67D1/0075Automatic carbonation control by sensing gas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06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with means for carbonating the beverage, or for maintaining its carbo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Safety means, e.g. over-pressure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2Gas pressure control means, e.g. for maintaining proper carbo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11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 B67D1/1416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comprising foam in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6Devices for collecting spilled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67D2001/0096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 B67D2001/0097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using a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67D2001/0096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 B67D2001/0098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using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0475Type of gas or gas mixture used, other than pure CO2
    • B67D2001/0481Single inert gas, e.g. N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시스템은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 및 분배하며, 가스 소스, 가스의 제1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 가스 소스에 연결된 가압가능한 용기, 가스의 제2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 가스 소스에 연결된 가스 주입 탱크, 제1 분배 탭 - 제1 분배 탭은, 제1 분배 탭으로부터 비 가스 주입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 가스의 제1 유동의 일부로부터의 압력 하에서 유동하는 가압가능한 용기에 저장된 전처리된 음료의 일부를 수용함 -, 및 제2 분배 탭을 포함하고, 제2 분배 탭은, 제2 분배 탭에 의해 가스 주입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 가스 주입 베셀로부터 가스 주입 음료를 수용하고, 가스 주입 탱크는 가스의 제2 유동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가스 주입 베셀의 전처리된 음료를 주입하기 위해 가압가능한 용기로부터 전처리된 음료의 일부를 수용한다.

Description

실질적으로 비발포성 및 발포성 가스 주입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방법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비발포성 및 발포성 가스 주입 음료 둘 모두를 준비하고 분배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시스템이 낮은 동작 압력을 갖는 동안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 둘 모두를 준비 및 분배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맥주 및 소다와 같은 가스 주입 음료를 저장 및 분배하기 위해 질소 가스의 사용이 종래에 공지되어 있다. 추가로, 커피 또는 차와 같은 다른 비 가스 주입 음료를, 예를 들어 탄산 음료를 형성하기 위한 가스와 함께 주입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식당이나 상업 시설에서 소비자에게 판매할 이러한 음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스 주입 없이 또는 감소된 가스 주입으로 음료 자체를 분배하는 시스템에 추가로, 가스 주입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이러한 음료를 가스와 함께 주입하기 위해 별개의 시스템이 요구된다. 비 가스 주입 커피와 같은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 예를 들어, 질소 함유 커피와 같은 가스 주입 커피를 형성하는 비 가스 주입 음료보다 많은 가스양이 주입된 음료 둘 모두를 분배하기 위해 이중 기능 통합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러한 이중 기능 통합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은 시스템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과 관련된 많은 난제를 제시한다: (1) 비 가스 주입 음료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가스 레벨 및 발포체를 회피하는 것, 및 (2) 가스 주입 베셀로부터 비 가스 주입 음료 스트림으로의 백 플로우. 전처리된 음료에 가스 주입 음료를 형성하는 가스를 주입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 충분한 압력이 존재하며, 그 다음, 가스 주입 음료는 가스 주입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로 유동한다. 또한, 비 가스 주입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로의 비 가스 주입 음료의 유동을 생성하기 위해 충분한 압력이 존재한다. 비 가스 주입 음료가 단일 소스로부터 제공되면, (1) 비 가스 주입 음료가, 비 가스 주입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 허용가능한 저압으로 비 가스 주입 음료를 분배하는 디스펜서에 의해 수용되는 것, 및 (2) 비 가스 주입 음료가, 비 가스 주입 음료의 가스 주입을 허용하기 위해 충분한 압력으로 추가적인 가스와 비 가스 주입 음료의 주입을 위한 가스 주입 용기에 의해 수용되는 것이 보장되어, 증가된 레벨의 가스를 갖는 가스 주입 음료를 형성하여 바람직한 발포를 갖는 분배된 음료를 생성한다.
따라서,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 둘 모두를 준비하고 분배하는 시스템 또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 둘 모두를 제조 및 분배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감소된 비 발포성 가스 주입 및 발포성 가스 주입 음료 둘 모두를 준비 및 분배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가스 소스, 가스 소스로부터 가스의 제1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 가압 가스 소스에 연결된 가압가능한 용기, 가스 소스로부터 가스의 제2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 가스 소스에 연결된 가스 주입 베셀, 제1 분배 탭 - 제1 분배 탭은, 제1 분배 탭으로부터 비 가스 주입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 가스의 제1 유동의 일부로부터 적용되는 압력 하에서 유동하는 가압가능한 용기에 저장된 전처리된 음료의 일부를 수용함 -, 및 제2 분배 탭을 포함하고, 제2 분배 탭은, 제2 분배 탭에 의해 가스 주입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 가스 주입 베셀로부터 가스 주입 음료를 수용하고, 가스 주입 베셀은 가스의 제2 유동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가스 주입 베셀의 전처리된 음료를 주입하기 위해 가압가능한 용기로부터 전처리된 음료의 일부를 수용한다.
시스템은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 둘 모두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장 캐비닛 내에 위치된다.
시스템은 가압가능한 용기로부터 전처리된 음료를 가압가능한 용기와 가스 주입 베셀 사이에 연결된 가스 주입 베셀로 유도하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한다.
시스템은, 미리 결정된 압력보다 높거나 낮은 가스의 압력을 결정하는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인 제1 컷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제1 컷오프 스위치는 가스 소스와 가압가능한 용기 사이에 연결된다.
시스템은, 전처리된 음료의 유량이 미리 결정된 유량보다 높은지 또는 낮은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저 유체 검출 컷오프 스위치인 제2 컷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제2 컷오프 스위치는 가압가능한 용기와 펌프 사이에 위치된다.
시스템은 가스 소스로부터 직접적으로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압력 조절기를 더 포함한다.
시스템은 가스 주입 베셀로의 가스의 압력을 직접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2 압력 조절기 및 가압가능한 용기로의 가스의 압력을 직접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3 압력 조절기를 더 포함한다.
제2 압력 조절기 이후 가스의 압력은 제3 압력 조절기 이후 가스의 압력보다 크다.
시스템은 가스 주입 베셀 내의 가스 주입 음료의 레벨을 표시하는 저 탱크 센서 및 전체 탱크 센서를 더 포함한다.
시스템은 음료 싱크, 슬롯을 갖는 제거가능한 음료 싱크 커버 및 복수의 비-스플래시 배출 완화부를 더 포함한다.
시스템은 가스 소스, 가압가능한 용기, 가스 주입 베셀, 제1 분배 탭 및 제2 분배 탭 중 하나 이상을 연결하는 정격 가요성 플라스틱 튜빙인 복수의 튜브를 더 포함한다.
시스템의 가압가능한 용기는, 가압가능한 용기가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압력 완화 밸브를 갖는다.
제2 분배 탭은 가스 주입 음료로부터 발포를 초래하는 확산기를 포함하고, 제1 분배 탭은 확산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 둘 모두를 제조 및 분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은 가스 소스로부터의 가스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유도되는 가압가능한 용기에 저장된 전처리 음료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비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하는 단계, 복수의 제1 튜브를 통해 제1 분배 탭에 비 가스 주입 음료를 전달하는 단계, 가압가능한 용기에 저장된 전처리된 음료의 적어도 일부를 복수의 튜브를 통해 가스 주입 베셀에 유도하는 단계, 가스 주입 베셀의 가스 소스로부터의 가스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전처리된 음료를 주입함으로써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복수의 제2 튜브를 통해 제2 분배 탭에 가스 주입 음료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및 제2 튜브의 전처리된 음료 및 가스 소스로부터의 가스의 압력은 복수의 압력 조절기에 의해 조절된다.
가압가능한 용기에 저장된 비 가스 주입 음료를 복수의 튜브를 통해 가스 주입 베셀로 유도하는 것은 펌프에 의한 것이고, 펌프의 동작은 제1 컷오프 스위치 및 제2 컷오프 스위치에 의해 제어된다.
방법은 분배하기 전에 냉장 캐비넷 내의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 둘 모두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펌프의 동작은 가스 주입 베셀 내의 가스 주입 음료의 양에 기초한 저 탱크 센서 및 전체 탱크 센서에 의해 추가로 제어된다.
제3 압력 조절기 이후 가압가능한 용기 내로의 가스의 압력은 제2 압력 조절기 이후 가스 주입 베셀 내로의 가스의 압력보다 낮다.
본 개시의 전술된 및 다른 이점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첨부된 청구항들로부터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 및 분배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 및 분배하는 시스템에 대한 전력의 개략적 제어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에 따른 조립체에서 분배 탭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분배 탭의 분해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에 따른 가스 주입 베셀의 상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가스 주입 베셀의 측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가스 주입 베셀의 상면 측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a의 외부 셀이 없는 가스 주입 베셀의 확대된 상면 측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의 외부 셀이 없는 가스 주입 베셀의 컴포넌트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외부 셀이 없는 가스 주입 베셀의 컴포넌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에 따른 펌프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펌프의 상면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7a의 펌프의 정면도이다.
도 8b는 도 7a의 펌프의 저면도이다.
도 8c는 도 7a의 펌프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 및 분배하는 시스템 내의 가스 주입 베셀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의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 및 분배하는 시스템 내의 제1 및 제2 분배 탭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1의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 및 분배하는 시스템의 분배된 음료에 대한 배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1의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 및 분배하는 시스템의 가압가능한 용기의 퀵 커넥터 피팅을 도시한다.
도 13은 도 1의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 및 분배하는 시스템의 전력 제어기를 도시한다.
도 14는, 개방 위치의 도어를 갖고 5갤런의 액체를 유지하는 가압가능한 용기를 갖는 도 1의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 및 분배하는 시스템의 일부의 상면 정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개방 위치의 도어를 갖고 2와 1/2갤런의 액체를 유지하는 가압가능한 용기를 갖는 도 1의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 및 분배하는 시스템의 일부의 상면 정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개방 위치의 도어를 갖고 가압가능한 용기 및 펌프 쉴드가 제거된 도 1의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 및 분배하는 시스템의 일부의 상면 정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0)은 식품 등급 가스 소스(5), 제1 압력 조절기(10), 제1 컷오프 스위치(15), 제2 압력 조절기(20) 및 제3 압력 조절기(25), 가압가능한 용기(30), 제2 컷오프 스위치(35), 펌프(40), 가스 주입 베셀(45), 선택적인 제4 압력 조절기(50), 제1 분배 탭(55), 제2 분배 탭(60), 및 컴포넌트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스 튜브(103, 106, 109, 112, 115, 118 및 121) 및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24, 127, 133, 139 및 142)를 포함하는 복수의 튜브를 포함하는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복수의 튜브는 정격 가요성 플라스틱 튜빙일 수 있다. 시스템(100)은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 및 분배할 수 있다. 비 가스 주입 음료는 가스 주입 음료보다 낮은 가스 농도를 갖는다. 시스템(100)은, 단일 유닛이 비 가스 주입 음료 또는 가스 주입 음료를 제공하도록, 산업 표준 치수 크기, 예를 들어, 36.15" 높이, 26.00" 폭 및 32.88" 깊이 이내일 수 있다. 식품 등급 가스 소스(5)의 가스는 인-하우스 가스 공급부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퀵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공급되고, 그 다음, 커넥터는 식품 등급 가스 소스(5)에 연결된다. 식품 등급 가스 소스(5)의 압력은 인-하우스 가스 공급부 및 식품 등급 가스 소스(5)의 강도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식품 등급 가스 소스(5) 내의 가스의 압력은 약 90 psi(“pounds per square inch") 및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psi이다.
가스가 식품 등급 가스 소스(5)로부터 가스 튜브(103)를 통해 빠져 나간 후, 가스는 제1 압력 조절기(10)를 통과한다. 제1 압력 조절기(10)는 가스 튜브(103)로부터 가스 튜브(106)로의 가스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압력 조절기(10)는 가스의 압력을 90 psi로부터 90 psi보다 낮지만 제1 컷오프 스위치(15)에 의해 미리 결정된 압력 임계치(예를 들어 60 psi)보다 높은 압력으로 조절할 수 있다. 가스 튜브(106)는 냉장 캐비닛(85) 외부로부터 냉장 캐비닛(85)으로 들어간다. 제1 압력 조절기(10)는 식품 등급 가스 소스(5)에 장착된다. 식품 등급 가스 소스(5)는 2개의 압력 게이지(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제1 게이지는 탱크 내부의 가스의 압력을 나타내고 제2 게이지는 식품 등급 탱크(5)를 떠나는 가스의 압력을 나타낸다. 식품 등급 탱크(5)의 설정 압력은 시스템(100)이 여전히 최적으로 기능하는 한, 100 psi 내지 70 psi의 범위 또는 더 낮은 압력 레벨에서 90 psi이다.
가스가 제1 컷오프 스위치(15)로 진입하기 전에, 가스 튜브(106) 내의 가스는 냉장 캐비넷(85)으로 유동한다. 냉장 캐비닛(85)은 시스템(100)에 통합되거나 시스템(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냉장 캐비넷(85)은 가압가능한 용기(30)에 배치된 가스 튜브(106) 및 음료를 통해 유동하는 가스를 포함하여 냉장 캐비닛(85) 내부의 컴포넌트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33) 및 가스 주입 음료 튜브(142)는 단열되어, 비 가스 주입 음료 또는 가스 주입 음료의 온도를 유지한다. 냉장 캐비넷(85)의 일 실시예는 화씨 약 39도 미만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냉동 캐비닛(85)의 특정 온도는 전자 서모스탯(도시되지 않음)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냉장 캐비넷(85)에 위치된 시스템(100)의 컴포넌트의 온도는 화씨 약 34 내지 39 도의 바람직한 범위의 온도를 가지며, 따라서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 둘 모두는 냉각 음료로 지칭된다. 가스가 가스 튜브(106)를 통해 냉장 캐비넷(85)으로 진입한 후, 가스는 제1 컷오프 스위치(15)로 유동한다.
제1 컷오프 스위치(15)는 제1 컷오프 스위치(15)에서 측정된 가스의 압력에 따라 펌프(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안전 장치이며, 이는 미리 결정된 압력 임계치와 비교된다. 제1 컷오프 스위치(15)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이다. 가스의 압력이 미리 결정된 압력 임계치, 예를 들어 60psi보다 낮은 경우,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15)가 개방되어, 전력 계전기(70)에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도 2 참조).
전력 계전기(70)는 메인 파워 보드(80)의 전력을 펌프(40)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15)가 전력이 전력 계전기(7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 전력 계전기(70)는 꺼지고 그 다음 펌프(40)를 비활성화시킨다. 그러나, 가스 튜브(106) 내의 가스의 압력이 예를 들어 16 psi 이상과 같은 제1 미리 결정된 압력 임계치와 같거나 그보다 높은 경우, 가스 튜브(106)의 가스는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15)를 통과하여 가스 튜브(109)로 들어간다.
가스가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15)를 통과한 후, 가스는 가스 튜브(109)로부터 가스 튜브(112)를 통한 제2 압력 조절기(20) 및 가스 튜브(118)를 통한 제3 압력 조절기(25) 둘 모두로 유동한다.
가스가 가스 튜브(118)를 통해 제3 압력 조절기(25)로 유동하는 경우, 가스의 압력은 제2 미리 결정된 압력 임계치보다 낮도록 조절된다. 예를 들어, 제3 압력 조절기(25)를 통과한 후의 가스의 압력은 약 15 psi이다. 따라서, 가스는 가스 튜브(121)를 통해 15 psi의 압력으로 가압가능한 용기(30)로 진입한다.
가압가능한 용기(30)는 액체, 예를 들어 별도의 음료 제조기에서 제조된 전처리된 음료를 유지하는 밀봉가능한 리셉터클이며, 음료용 가스 입구 및 액체 출구를 포함한다. 전처리된 음료는 가압가능한 용기(30)에 부어지고 식품 등급 가스 소스(5)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전처리된 음료는 예를 들어 커피이다. 전처리된 음료는 12 내지 24 시간 동안 가압가능한 용기(30)에 있을 수 있다.
가스가 15 psi의 압력을 갖는 경우, 제3 압력 조절기(25) 이후의 가스는 전처리된 음료를 가압가능한 용기(30)로부터 압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처리된 음료는 저 유체 레벨 검출 스위치(35)로 유동한다.
저 유체 검출 스위치(35)는 또한 펌프(40)의 동작을 위한 안전 보호 장치이다. 저 유체 검출 스위치(35)는 비 가스 주입 튜브(124) 내의 전처리된 음료의 질량 유량 또는 체적 유량을 검출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저 유체 검출 스위치(35)는 유량이 전처리된 음료의 미리 결정된 유량보다 낮은지 또는 높은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 유체 레벨 검출 스위치(35)가 어떠한 전처리된 음료도 검출할 수 없거나 전처리된 음료의 미리 결정된 유량보다 낮은 체적 유량을 검출할 수 있는 경우, 저 유체 레벨 검출 스위치는 펌프(40)가 가동되도록 또는 펌프(40)를 비활성화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신호(224)(도 2 참조)를 보조 신호 보드(75)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가능한 용기(30) 내에 어떠한 음료도 없는 경우에도 펌프(40)가 계속 실행될 수 있는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비 가스 주입된 음료 튜브(124)의 저 유체 검출 스위치(35)가 어떠한 유체 유동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저 유체 검출 스위치(35)가 유체 유동, 예를 들어, 전처리된 음료를 다시 검출할 수 있을 때까지 메인 보드로 하여금 펌프가 동작하도록 허용하지 않게 하는 신호를 전송할 것이다.
보조 신호 보드(75)는 신호 조정 장치이며, 전력 계전기(7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저 유체 레벨 검출 스위치(35)가 전처리된 음료의 미리 결정된 유량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전처리된 음료를 검출하는 경우, 저 유체 검출 스위치(35)는 펌프(40)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계전기를 가동하는 신호(224)를 보조 신호 보드(75)에 전송할 수 있다.
전처리된 음료가 저 유체 검출 스위치(35)로부터 빠져 나간 후, 전처리된 음료는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27)로 진입한다. 가스 튜브(121)로부터 가압가능한 용기(30)를 통한 가스 유동은 전처리된 음료를 음료 튜브(127)를 통해 압출할 수 있다. 전처리된 음료는 냉장 캐비넷(85)에 의해 또한 냉각되어 냉각 음료를 형성하는 비 가스 주입 음료로서 유지된다. 저 유체 검출 스위치(35) 이후의 음료 튜브(127)내의 비 가스 주입 음료는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27)를 통해 제1 분배 탭(55)으로 유동할 수 있고/있거나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36)를 통해 펌프(40)로 유동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 유체 검출 스위치(35) 이후의 음료 튜브(127) 내의 비 가스 주입 음료는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27)를 통해 제4 압력 조절기(50)로 유동할 수 있지만, 제4 압력 조절기(50)는 시스템(100)에 대해 선택적이다.
펌프(40)는,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39)로부터 가스 주입 베셀(45)로 비 가스 주입 음료를 유도할 수 있는 기계적 펌프이다. 저 탱크 센서(95) 및 전체 탱크 센서(90)는 펌프(40)의 동작을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도 2 참조). 저 탱크 센서(95) 및 전체 탱크 센서(90)는 펌프(40)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장치이다. 가스 주입 베셀(45)이 소량의 음료를 포함하고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39)를 통해 유입하는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튜브(115)를 통해 유입하는 가스를 위한 이용가능한 공간을 갖는 경우, 저 탱크 센서(95)는 펌프(40)를 활성화시키는 신호(239)를 메인 전력 보드(80)에 전송한다. 그러나, 가스 주입 베셀(45)이 가득 차거나 거의 가득 차고,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39)를 통해 유입하는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튜브(115)를 통해 유입하는 가스를 위해 매우 제한된 공간을 갖는 것을 전체 탱크 센서(90)가 검출하는 경우, 전체 탱크 센서(90)는 펌프(40)를 차단하는 신호(236)를 메인 전력 보드(80)에 전송할 수 있다.
펌프(40)가 활성화되는 경우, 비 가스 주입 냉각 음료는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39)를 통해 가스 주입 베셀(45)로 이동한다. 비 가스 주입 냉각 음료는, 가스 주입 베셀(45)에 진입한 직후 폭기 장치(aerator)로 분사되거나, 신속 주입을 위해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원자화한다. 따라서, 분사된 비 가스 주입 음료는 가스 튜브(115)로부터 가스 주입 베셀(45)로 진입하는 압력 하에서 가스와 함께 주입된다.
제2 압력 조절기(20)로부터의 가스는 제3 압력 조절기(25) 이후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갖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2 압력 조절기(20) 이후의 가스의 압력은 32 psi일 수 있고, 제3 압력 조절기(25) 이후의 가스의 압력은 15 psi일 수 있다. 제3 압력 조절기(25) 이후의 압력은 시스템(100)의 동작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2 압력 조절기(20) 이후의 압력보다 낮다.
제2 압력 조절기(20)로부터의 가스는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 펌프(40)로부터의 비 가스 주입 음료와 함께 주입될 수 있다. 그 다음, 가스 주입 음료는 가스 주입 음료 튜브(142)를 통해 제2 분배 탭(60)으로 이동한다. 가스 주입 음료는 제2 분배 탭(60)으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
비 가스 주입 음료는 또한 제1 분배 탭(55)으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처리된 음료는 가스 주입 베셀(45)에서 가스 주입 공정을 거치지 않고 분배될 수 있다. 비 가스 주입 음료인 전처리 음료가 가압가능한 용기(30)로부터 나오고, 저 유체 검출 스위치(35)를 통과하고,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23)를 통해 제4 압력 조절기(50)로 진입하는 경우, 제4 압력 조절기(50)는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23) 내의 가스 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가압된 비 가스 주입 음료를 추가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압력 조절기(50) 이후의 비 가스 주입 음료의 압력은 12 psi로 설정될 수 있다. 비 가스 주입 음료는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33)를 통해 제1 분배 탭(55)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비 가스 주입 음료는 제1 분배 탭(55)으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
분배 탭(55)으로부터 부어지는 비 가스 주입 음료는 분배 탭(60)으로부터 원하는 주입 레이트보다 빠르게 또는 느리게 부어질 수 있다 가스 주입 음료와 유사한 유량을 달성하기 위해, 제4 압력 조절기(50)는 분배 탭(55)으로 이동하는 비 가스 주입 음료의 압력을 추가로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4 압력 조절기(50)는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압력 조절기(50)는 선택적이다. 비 가스 주입 음료는 저 유체 검출 스위치(35) 이후 제1 분배 탭(55)으로 진입할 수 있다. 제4 압력 조절기(5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제3 압력 조절기(25)로 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 전력(203)은 시스템(100)으로 유입되고 냉장 캐비닛(8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브랜치(206)를 가지며, 제2 브랜치(209)는 메인 보드(80) 및 DC 전원에 전력을 공급한다. 라인(209)은 DC 전원(65)이 될 제1 브랜치(212) 및 메인 전력 보드(8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브랜치(213)를 갖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15)는 펌프(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안전 장치이다. 메인 전력 보드(80)는 전력 케이블(215)을 통해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에 전력을 제공한다.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15)가 제1 미리 결정된 압력 임계치보다 낮은 가스 튜브(106)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경우,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15)는 전력 계전기(70)에 전력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는 신호(218)를 제공할 수 있다. 파워 계전기(70)가 가동되지 않는 경우, 전력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40)에 전력(230)을 전달하지 않는다. 가스 튜브(106) 내의 압력이 제1 미리 결정된 압력 임계치와 같거나 그보다 높은 것을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15)가 검출하는 경우,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15)는 전력 계전기(7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력 계전기(70)는 23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40)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펌프(40)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DC 전원(65)은 전력선(225)을 통해 저 유체 레벨 검출 스위치(35)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DC 전원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4 볼트의 전압을 가질 수 있다. DC 전원(65)이 저 유체 레벨 검출 스위치(35)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저 유체 레벨 검출 스위치(35)는 튜브(124)의 유량 및 저 유체 레벨 검출 스위치(35)에 의해 설정된 미리 결정된 유량 레벨에 따라 저 유체 레벨 신호(224)를 보조 신호 보드(75)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 유체 레벨 검출 스위치(35)가 미리 결정된 유량 레벨보다 낮은 비 가스 주입 음료의 유량을 검출하는 경우, 저 유체 레벨 신호(224)를 전송하고 전력 계전기(70)에 전력을 전송하지 않도록 보조 신호 보드(75)에 통지할 수 있다. 그러나, 비 가스 주입 음료의 유체 레이트 레벨이 미리 결정된 레벨과 같거나 그보다 높은 경우, 보조 신호 보드(75)는 전력 계전기(70)를 가동하여 펌프(40)에 전력을 전달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메인 전력 보드(80)는 도 4c,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 탱크 센서(95), 전체 탱크 센서(90)에 전력을 제공한다. 저 탱크 센서(95) 및 전체 탱크 센서(90)는 가스 주입 베셀(45)와 함께 설치될 외부 센서일 수 있거나 가스 주입 베셀(45)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다.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는 저 탱크 센서(95) 및 전체 탱크 센서(90)가 가스 주입 베셀(45)의 일부인 것이다.
저 탱크 센서(95)가 어떠한 음료도 검출하지 않은 경우 또는 가스 주입 베셀(45)에서 액체의 양이 매우 작은 경우, 저 탱크 센서(95)는 펌프(40)를 턴 온하도록 하는 신호를 메인 전력 기판(8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체 탱크 센서(90)가 음료를 검출하는 경우, 펌프(40)는 오프될 것이고, 저 탱크 센서(95)가 유체를 검출하지 않을 때까지 턴 온되지 않을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분배 탭(60)은 핸들(305), 마커 너트(310), 핸들 레버(315), 스크류 핀(320), 캡(325), 스프링(335)을 유지하는 스프링 리테이너(330), o-링(340), 플런저(345), d-링(350), 꼭지(360), 개스킷(355), o-링(365), 폭발기 플레이트(370), 유동 직선화기(375) 및 노즐(380)을 포함한다. 꼭지(360)는 비 가스 주입된 음료 튜브(133) 또는 가스 주입 음료 튜브(142)(도 1 참조)와 연결된다. 정상 폐쇄 위치에서, 탭 핸들(305)은 노즐(380)과 동축으로 정렬되고, 스프링(335)은 플런저(345)를 아래로 밀어 내고 어떠한 음료도 분배될 수 없다. 탭 핸들이 정상 폐쇄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스프링(335)은 압축되지 않고 플런저(345)는 핸들을 향하는 방향, 즉 위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음료는 노즐(380)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
탭(55) 및 탭(60)은 상당히 유사하다. 탭(55)과 탭(60) 사이의 차이는, 예를 들어, 폭발기 플레이트(370) 및 유동 직선화기(375)를 포함하는 확산기를 탭(55)이 갖지 않는다는 점이다. 탭(55)의 경우, 음료 내의 가스 함량이 높지 않기 때문에, 음료로부터 발포를 초래하는 폭발기 플레이트(370) 및 유동 직선화기(375)를 포함하는 확산기를 가질 필요가 없다. 탭(60)은 폭발기 플레이트(370) 및 유동 직선화기(375)를 포함하는 확산기를 갖는다.
음료가 노즐(380)로부터 분배되는 경우, 음료는 컵 위로 흐를 수 있다. 스플래시를 회피하기 위해, 시스템(100)은 노즐(380)로부터 분배된 음료용 배출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서, 시스템(100)은 2개의 비-스플래시 배출 완화부(1110), 음료 싱크(1120), 슬롯(1105)을 갖는 제거가능한 음료 싱크 커버 플레이트(1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가스 주입 베셀(45)은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폐쇄된 베셀(400), 압력 완화 밸브(405), 압력 완화 밸브 어댑터(410), 음료 출구(415), 가스 입구(420), 음료 입구(425), 저 탱크 센서(95), 지면 프로브(430), 전체 탱크 센서(90), 체크 밸브(420) 및 이중 체크 밸브(425)를 포함한다. 가스 주입 베셀(45)이 폐쇄형 시스템이기 때문에, 비 가스 주입 음료가 베셀(400)에 전달되는 경우, 베셀(400) 내부의 압력은 증가할 것이다. 압력 완화 밸브(405)는 과압을 완화하고 가스 주입 베셀(45)에서 압력 구축을 방지한다. 가스 주입 베셀(45) 내의 압력이 임계 압력보다 높은 경우, 가스는 압력 완화 밸브(405)를 통해 베셀(400)로부터 방출될 것이다. 예를 들어, 압력 임계치 40 psi일 수 있다. 압력 완화 밸브(405)는 압력 완화 밸브 어댑터(410)로 베셀(400)과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압력 완화 밸브(40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압력 완화 밸브일 수 있다. 체크 밸브(420) 및 이중 체크 밸브는 가압가능한 용기(30)로부터 가스 주입 베셀(45)로의 음료 유동을 허용하고, 음료가 가스 주입 베셀(45)로부터 가압가능한 용기(3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명확하게 하기 위해 베셀(400)의 외부 쉘이 제거된다. 도 5에서, 가스 주입 베셀(45)은 바닥 플레이트(505), 튜브(510), 유입 음료를 확산시키는 분리 선반(515), 최상부 플레이트(520), 및 고 탱크 센서(90) 및 저 탱크 센서(95) 둘 모두를 커버하기 위한 인클로저(525)를 더 포함한다. 분리 선반(515)의 외경은 베셀(400)의 외부 쉘의 내경보다 작다. 비 가스 주입 음료는 분리 선반(515)에 의해 분사될 수 있기 때문에, 비 가스 주입 음료는 가스 입구(420)로부터의 가스와 함께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비 가스 주입 음료에서의 가스 농도가 증가될 것이고 비 가스 주입 음료는 가스 주입 음료가 된다. 비 가스 주입 음료가 가스 입구(410)로부터의 가스와 함께 주입된 후, 가스 주입 음료는 튜브(510)를 통해 바닥 플레이트(505)로부터 음료 출구(415)로 밀려 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고 탱크 센서(90) 및 저 탱크 센서(95) 둘 모두는 인클로저(525) 내부에 위치된다. 분리 선반(515)은 구멍(605)을 포함한다. 음료는 홀(605)을 통해 인클로저(525)로 진입하고 나올 수 있다. 따라서, 고 탱크 센서(90) 및 저 탱크 센서(95)는 가스 주입 베셀(45) 내의 음료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 도 6b에서, 인클로저(525)는 인클로저(525) 내부의 저 탱크 센서(95) 및 고 탱크 센서(90)의 명확한 뷰를 위해 은닉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펌프(40)는 유체 입구(705), 유체 출구(710), 베인(vane)(716)에 연결된 샤프트(715) 및 유체 채널(725)을 포함한다. 샤프트(715)는 전기 모터(735)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펌프(40) 내의 유체는 유동 방향(720)으로 유체 채널(725)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유체는 비 가스 주입 음료일 수 있다. 비 가스 주입 음료는 유체 채널(725)로 유동하도록 유체 입구(705)를 통해 펌프(40)로 진입한다. 샤프트(715)에 의한 베인(716)의 회전은 유체 입구(705)로부터 유체 출구(710)를 통해 화살표 A로 도시된 방향으로 베인(716) 사이에 있는 음료의 유동을 생성한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펌프의 정면, 바닥, 측면도를 추가로 도시한다. 펌프(40)는 기계적 펌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펌프(4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전기 모터(735)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식 베인 펌프일 수 있다. 펌프(40)는 도 2의 2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40)에 대한 전력을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730)를 갖는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튜브는 정격 가요성 플라스틱 튜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40)로부터 가스 주입 베셀로의 입구 가스 튜브(115) 및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39)는 정격 가요성 플라스틱 튜빙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가압가능한 용기(30)는 제거가능할 수 있으며, 1분 이내에 퀵 커넥터 피팅으로 시스템(100)과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 압력 완화 밸브(도시되지 않음)는 안전 동작을 위해 가압가능한 용기(30)와 함께 설치된다. 특히, 가압가능한 용기(30)가 시스템(100)과 분리되기 전에, 압력 완화 밸브는 가압가능한 용기(30) 내부의 가스의 압력을 작동자에게 안전한 압력 레벨로 완화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2개의 퀵 볼 체크 자체 밀봉 분리부(1205 및 1210)가 있다. 블랙 퀵 분리부(1205)는 탭(55 및 60)에 음료를 공급하고, 화이트 퀵 분리부(1210) 이후에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화이트 퀵 분리부(1210)는 가스 소스(5)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펌프(40)의 동작을 위한 펌프 제어기는 전력 보드(80), DC 전원(65), 및 저 탱크 센서 입력(1315), 전체 탱크 센서 입력(1310) 및 접지 프로브 입력(1320)을 포함한다. 추가로, 패널(1330)은 펌프 제어기의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DC 전원(65)은 24-볼트 DC 전원일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압가능한 용기(30)는 상이한 체적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가압가능한 용기(30)는 5갤런 음료를 위한 체적을 가질 수 있고, 도 15 및 도 16의 가압가능한 용기(30)는 2.5-갤런 음료를 위한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시스템(100)의 도어(1415)를 개방함으로써 가압가능한 용기(30)가 제거가능하여, 가압가능한 용기(30)로부터 가스 튜브(121) 및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27)를 분리시킨다. 시스템(100)의 도어(1415)를 개방하고, 가스 튜브(121) 및 비 가스 주입 음료 튜브(127)를 가압가능한 용기(30)에 연결함으로써, 가압가능한 용기(30)가 시스템(100)에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시스템(100)은 캐스터 상에 있을 수 있고, 성인 한 명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00)의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15), 저 유체 검출 스위치(35) 및 펌프(40)는 이러한 컴포넌트 및 작동자를 보호하기 위해 이러한 센서 주위에 쉴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서, 펌프 쉴드(1410)는 펌프를 차폐하고, 저 유체 검출 센서 쉴드(1405)는 저 유체 검출 센서(35)를 차폐할 수 있다. 도 15에서,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 쉴드(1505)는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 센서(15)로의 잡음을 차폐할 수 있다.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냉각 음료의 제조 및 분배 공정은, 가압가능한 용기(30)로부터 비 가스 주입 음료를 가스 주입 베셀(45)로 펌핑함으로써 달성되며, 여기서 식품 등급 가스 소스(5)로부터의 가스의 적어도 일부는 음료에 주입된다. 가스 주입 베셀(45)은 가스 주입 음료를 부을 수 있는 제2 분배 탭(60)에 연결된다. 가압가능한 용기(30)로부터의 전처리된 음료는 또한 식품 등급 가스 소스(5)으로부터의 가스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유도되는 비 가스 주입 음료를 위한 제1 분배 탭(55)에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가압 가스만으로 음료를 유도하는 대신에 펌프(40)가 시스템에 추가된다. 이는 비 펌프 버전보다 낮은 동작 압력을 허용하고, 하나의 가압가능한 용기로부터 2개의 상이한 스타일의 음료가 생성될 수 있다. 펌프를 추가하는 것은 가스 또는 음료가 소진되는 경우 재료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도입시킬 수 있다. 음료 및 가스 튜브 상에 설치된 안전 컷오프 스위치는 음료의 유량 및 가스 압력과 같은(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 분배 시스템의 양상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시스템의 전기기계적 컴포넌트를 보호한다.
그러나, 시스템(100) 내의 압력이 전처리된 음료를 탭(55) 또는 가스 주입 베셀로 유도할만큼 충분히 높은 경우, 펌프(40)는 선택적이다. 예를 들어, 제3 압력 조절기(25) 이후의 압력은 15 psi이고, 제2 압력 조절기 이후의 압력은 32 psi이다. 제3 압력 조절기(35) 이후의 가스의 압력은 가압가능한 용기(30)로부터의 비 가스 주입 음료를 탭(55)으로 밀어 낼 수 있고, 제2 압력 조절기 이후 가스를 주입하기 위해 가압가능한 용기(30)로부터의 비 가스 주입 음료를 가스 주입 베셀(45)로 밀어 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시스템(100) 내의 압력이 전처리된 음료를 탭(55) 또는 가스 주입 베셀로 유도할만큼 충분히 높은 경우, 펌프는 선택적이다. 시스템(100) 내에 어떠한 펌프(40)도 없는 경우, 제3 압력 조절기 이후의 가스의 압력은 가압가능한 용기(30)로부터의 비 가스 주입 음료를 가스 주입 베셀(45)로 유도하기에 충분할만큼 높게 요구되고, 따라서, 제3 압력 조절기 이후의 압력은 제2 압력 조절기(20) 이후의 가스의 압력보다 높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의 동작 압력이 더 이상 낮지 않기 때문에, 비 가스 주입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 제4 압력 조절기가 요구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가압 용기(30) 내의 동작 압력이 증가되는 경우, 비 가스 주입 음료는 감소된 가스 주입 음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감소된 가스 주입 음료는 여전히 비발포성 가스 주입 음료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비 가스 주입된 음료 튜브(123)는 비 가스 주입된 음료 튜브(127)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비 가스 주입 음료도 제1 분배 탭(55)으로부터 분배될 수 없고, 가스 주입 음료 만이 제2 분배 탭(60)으로부터 분배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음료는 커피, 물, 차, 맥주 및 임의의 다른 음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스는 상기 음료와 함께 주입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제3", "제4" 등의 용어는 본원에서 다양한 엘리먼트들을 수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 수정자는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수정된 엘리먼트에 대한 공간적, 순차적 또는 계층적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개시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이 행해질 수 있고, 균등물이 본 발명의 엘리먼트들에 대해 대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본 개시의 교시에 적응시키기 위한 많은 수정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개시는 고려되는 최상의 모드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8)

  1.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 둘 모두를 준비 및 분배하는 시스템으로서,
    가스 소스;
    상기 가스 소스로부터 가스의 제1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가스 소스에 연결된 가압가능한 용기;
    상기 가스 소스로부터 가스의 제2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가스 소스에 연결된 가스 주입 탱크;
    제1 분배 탭 - 상기 제1 분배 탭은, 상기 제1 분배 탭으로부터 비 가스 주입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 가스의 상기 제1 유동의 일부로부터 적용되는 압력 하에서 유동하는 상기 가압가능한 용기에 저장된 전처리 음료의 일부를 수용함 -; 및
    제2 분배 탭 - 상기 제2 분배 탭은, 상기 제2 분배 탭에 의해 상기 가스 주입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 가스 주입 베셀로부터 가스 주입 음료를 수용하고, 상기 가스 주입 탱크는 가스의 상기 제2 유동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가스 주입 베셀의 전처리 음료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가압가능한 용기로부터 상기 전처리 음료의 일부를 수용함 -; 을 포함하고,
    상기 비 가스 주입 음료는 상기 가스 주입 음료보다 낮은 가스 농도를 갖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상기 가스 주입 음료 둘 모두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장 캐비닛 내에 위치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가압가능한 용기로부터 전처리된 음료를 상기 가압가능한 용기와 상기 가스 주입 베셀 사이에 연결된 상기 가스 주입 베셀로 유도하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미리 결정된 압력보다 높거나 낮은 가스의 압력을 결정하는 저 가스 컷오프 스위치인 제1 컷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컷오프 스위치는 상기 가스 소스와 상기 가압가능한 용기 사이에 연결되는,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된 음료의 유량이 미리 결정된 유량보다 높은지 또는 낮은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저 유체 검출 컷오프 스위치인 제2 컷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컷오프 스위치는 상기 가압가능한 용기와 상기 펌프 사이에 있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소스로부터 직접적으로 상기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압력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주입 베셀로의 가스의 압력을 직접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2 압력 조절기 및 상기 가압가능한 용기로의 가스의 압력을 직접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3 압력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력 조절기 이후 가스의 압력은 상기 제3 압력 조절기 이후 가스의 압력보다 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주입 베셀 내의 상기 가스 주입 음료의 레벨을 표시할 수 있는 저 탱크 센서 및 전체 탱크 센서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음료 싱크, 슬롯을 갖는 제거가능한 음료 싱크 커버 및 복수의 비-스플래시 배출 완화부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소스, 상기 가압가능한 용기, 상기 가스 주입 베셀, 상기 제1 분배 탭 및 상기 제2 분배 탭 중 하나 이상을 연결하는 정격 가요성 플라스틱 튜빙일 수 있는 복수의 튜브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가능한 용기는, 상기 가압가능한 용기가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압력 완화 밸브를 갖는,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배 탭은 상기 가스 주입 음료로부터 발포를 초래하는 확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배 탭은 확산기를 포함하지 않는, 시스템.
  14.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가스 주입 음료 둘 모두를 준비 및 분배하는 방법으로서,
    가스 소스로부터의 가스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유도되는 가압가능한 용기에 저장된 전처리 음료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비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하는 단계;
    복수의 제1 튜브를 통해 제1 분배 탭에 상기 비 가스 주입 음료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가압가능한 용기에 저장된 전처리된 음료의 적어도 일부를 복수의 튜브를 통해 가스 주입 베셀에 유도하는 단계;
    상기 가스 주입 베셀의 상기 가스 소스로부터의 가스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전처리된 음료를 주입함으로써 가스 주입 음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복수의 제2 튜브를 통해 제2 분배 탭에 가스 주입 음료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튜브의 전처리된 음료 및 상기 가스 소스로부터의 가스의 압력은 복수의 압력 조절기에 의해 조절되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가능한 용기에 저장된 상기 비 가스 주입 음료를 복수의 튜브를 통해 가스 주입 베셀로 유도하는 것은 펌프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펌프의 동작은 제1 컷오프 스위치 및 제2 컷오프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분배하기 전에 냉장 캐비넷 내의 상기 비 가스 주입 음료 및 상기 가스 주입 음료 둘 모두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동작은 상기 가스 주입 베셀 내의 음료의 양에 기초하여 저 탱크 센서 및 전체 탱크 센서에 의해 추가로 제어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제2 압력 조절기 이후 상기 가스 주입 베셀 내로의 가스의 압력은 제3 압력 조절기 이후 상기 가압가능한 용기 내로의 가스의 압력보다 높은, 방법.

KR1020187019601A 2015-12-09 2016-12-09 실질적으로 비발포성 및 발포성 가스 주입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방법 KR102141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65317P 2015-12-09 2015-12-09
US62/265,317 2015-12-09
PCT/US2016/065918 WO2017100637A1 (en) 2015-12-09 2016-12-09 Hybrid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substantially non-foaming and foaming gas-infused bever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057A true KR20180103057A (ko) 2018-09-18
KR102141408B1 KR102141408B1 (ko) 2020-08-05

Family

ID=5901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601A KR102141408B1 (ko) 2015-12-09 2016-12-09 실질적으로 비발포성 및 발포성 가스 주입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82587B2 (ko)
EP (1) EP3386907B1 (ko)
KR (1) KR102141408B1 (ko)
CN (1) CN109071197B (ko)
AU (1) AU2016366516B2 (ko)
CA (1) CA3006068C (ko)
ES (1) ES2813947T3 (ko)
WO (1) WO2017100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5996B2 (en) 2015-08-25 2020-09-29 Cornelius,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inline injection of gases into liquids
US10477883B2 (en) 2015-08-25 2019-11-19 Cornelius, Inc. Gas injection assemblies for batch beverages having spargers
ES2813947T3 (es) 2015-12-09 2021-03-25 Welbilt Inc Sistema y procedimiento híbrido de producción de bebidas con infusión de gas sustancialmente no espumosas y espumosas
US10017373B2 (en) * 2016-04-15 2018-07-10 Automatic Bar Controls, Inc. Nitrogen generator and uses thereof
EP3651886B1 (en) 2017-07-10 2023-09-06 Flow Control LLC. Dispense tap with integral infusion
US11034569B2 (en) 2018-02-14 2021-06-15 Taphandles Llc Cooled beverage dispensing systems and associated devices
US11040314B2 (en) 2019-01-08 2021-06-22 Marmon Foodservice Technologies,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injecting gasses into beverages
ES2893583T3 (es) 2019-07-10 2022-02-09 Franke Kaffeemaschinen Ag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dispensar una bebida enriquecida con un gas desde una bombona de gas
WO2021046503A1 (en) * 2019-09-06 2021-03-11 Flow Control LLC In-line gas liquid infusion smart system
EP4291522A1 (en) * 2021-03-19 2023-12-20 Automatic Bar Controls, Inc. Selectable gas infused beverage dispens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466A (en) * 1911-03-22 1913-02-18 Frederick Girtanner Sink.
US6196418B1 (en) * 1999-02-19 2001-03-06 Mccann's Engineering & Mfg., Co. Carbonated and non-carbonated water source and water pressure booster
US20060231574A1 (en) * 2005-04-19 2006-10-19 B & B Partners Self-contained pneumatic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20140190991A1 (en) * 2013-01-10 2014-07-10 Xiaofeng Yang Front Room Beverage Dispens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1429A (en) * 1939-01-07 1940-05-21 Cyril P Deibel Carbonating apparatus and cooling unit
US3209952A (en) * 1962-11-15 1965-10-05 Cornelius Co Apparatus for producing and dispensing carbonated beverages
US4708827A (en) * 1986-03-17 1987-11-24 The Cornelius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and dispensing carbonated water with a double diaphragm pneumatic water pump
US4974500A (en) * 1989-09-29 1990-12-04 Boyd Coffee Company Hot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cart
DE4228770A1 (de) * 1992-08-28 1994-03-03 Bosch Siemens Hausgeraete Vorrichtung zum Bereiten und Ausgeben von Erfrischungsgetränken
KR100199313B1 (ko) * 1995-05-30 1999-06-15 다카노 야스아키 탄산수 제조 장치
US6216913B1 (en) * 1996-11-08 2001-04-17 S.O.B. Partnership Self-contained pneumatic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6021922A (en) * 1996-11-08 2000-02-08 Bilskie; Richard P. Self-contained high pressure pneumatic beverage dispensing system
SE512291C2 (sv) * 1997-09-23 2000-02-28 Ericsson Telefon Ab L M Inbäddad DCT-baserad stillbildskodningsalgoritm
US6234359B1 (en) * 1998-03-20 2001-05-22 Liquid Control Corporation System for reloading dispensing tools
US6234349B1 (en) * 1999-10-19 2001-05-22 Sterling Beverage Systems, Inc. Self-contained high pressure pneumatic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6751525B1 (en) * 2000-06-08 2004-06-15 Beverage Works, Inc. Beverage distribution an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BR0207779A (pt) * 2001-03-05 2004-03-23 Unilever Nv Produto para bebidas e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um fluido de bebida efervescente
DE10128620A1 (de) * 2001-06-13 2002-12-19 Aqamore Gmbh Sprudelgetränkegerät
US20050007452A1 (en) * 2001-09-07 2005-01-13 Mckay Therman Ward Video analyzer
ES2193883B1 (es) * 2002-04-22 2004-08-16 Pedro Pablo Rodriguez Santos Cubitos de hielo saborizados-aromatizados,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y utilizacion de los cubitos de hielo fabricados.
GB2389646B (en) * 2002-05-20 2005-11-30 Whitlenge Drink Equipment Ltd Cooled carbonated potable liquid supply apparatus
US7070068B2 (en) 2003-06-03 2006-07-04 David Fox Post-mix beverage dispenser for creating frothed beverages
WO2008146237A2 (en) * 2007-05-30 2008-12-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everage carousel dispensing device suitable for tapping multiple self-emptying beverage containers
US20140019099A1 (en) * 2012-07-16 2014-01-16 Livermore Software Technology Corp Determination Of Failure In Sheet Metal Forming Simulation Using Isotropic Metal Failure Criteria
WO2015175244A2 (en) 2014-05-15 2015-11-19 Ac Beverage, Inc. Chilled n2 infused beverag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to prepare and dispense a chilled n2 infused beverage
DE102014007217A1 (de) * 2014-05-19 2015-11-19 Edem Lawson Vorrichtung mit einer Schale zur Aufnahme tropfender Flüssigkeit aus einem Bierfass
ES2813947T3 (es) 2015-12-09 2021-03-25 Welbilt Inc Sistema y procedimiento híbrido de producción de bebidas con infusión de gas sustancialmente no espumosas y espumosa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466A (en) * 1911-03-22 1913-02-18 Frederick Girtanner Sink.
US6196418B1 (en) * 1999-02-19 2001-03-06 Mccann's Engineering & Mfg., Co. Carbonated and non-carbonated water source and water pressure booster
US20060231574A1 (en) * 2005-04-19 2006-10-19 B & B Partners Self-contained pneumatic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20140190991A1 (en) * 2013-01-10 2014-07-10 Xiaofeng Yang Front Room Beverage Dispens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1197A (zh) 2018-12-21
ES2813947T3 (es) 2021-03-25
CA3006068A1 (en) 2017-06-15
AU2016366516A1 (en) 2018-06-28
CN109071197B (zh) 2021-05-28
US20170164643A1 (en) 2017-06-15
EP3386907B1 (en) 2020-07-01
US10182587B2 (en) 2019-01-22
EP3386907A4 (en) 2019-08-21
KR102141408B1 (ko) 2020-08-05
WO2017100637A1 (en) 2017-06-15
AU2016366516B2 (en) 2019-07-18
EP3386907A1 (en) 2018-10-17
CA3006068C (en)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408B1 (ko) 실질적으로 비발포성 및 발포성 가스 주입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방법
EP3856676B1 (en) Mixed alcoholic beverage dispenser with component flow controls
KR102455329B1 (ko) N₂ 주입 냉음료 분배 시스템 및 n₂ 주입 냉음료 준비 및 분배 방법
US6260477B1 (en) Autofill system with improved automixing
US20160059191A1 (en) Carbonato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9440837B2 (en) Beverages dispenser and a method for dispensing beverages
EP3672715B1 (en) System for infusing a cooled liquid with a gas to form a gas-infused beverage
EP3102317B1 (en) Carbonation unit
US11612864B2 (en) Apparatuses for mixing gases into liquids
EP3512623B1 (en) Inline gas/liquid infusion system with adjustable absorption output and self-tuning capacity
AU2018301671B2 (en) Dispense tap with integral infusion
EP2817254B1 (en) Potable water dispenser
GB2586187A (en) A gas infusion capsule
IE20200255A1 (en) A gas infusion caps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