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956A - 세면대 하부장 - Google Patents

세면대 하부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956A
KR20180102956A KR1020170029734A KR20170029734A KR20180102956A KR 20180102956 A KR20180102956 A KR 20180102956A KR 1020170029734 A KR1020170029734 A KR 1020170029734A KR 20170029734 A KR20170029734 A KR 20170029734A KR 20180102956 A KR20180102956 A KR 20180102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module
disposed
slider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838B1 (ko
Inventor
양인형
김종석
박대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838B1/ko
Publication of KR2018010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세면보올,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 및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이동 가능하게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모듈; 및 이동하는 상기 모듈에 배선을 연결하는 파티션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면대 하부장{Washstand Furniture}
본 발명은 세면대의 하부공간을 활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이다.
욕실에는 욕실용품을 정리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세면대 상측이나 하측의 공간을 활용하여 하부장 또는 상부장의 형태로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특히, 하부장은 세면대 하측의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사용자 편의를 위해 서랍형식의 드로워를 배치할 수 있다.
욕실에서 하부장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하더라도, 욕실의 다습한 환경에 배치되는 하부장 내부의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욕실의 다습한 환경에 대응하여, 하부장의 수납공간의 건조 또는 살균을 위한 전기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하부장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로워에 건조나 살균을 위한 전기장치 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장치가 배치되는 것은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로워의 특성상 배선의 연결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캐비닛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모듈의 이동에도 배선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내부에 물고임을 방지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세면보올,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 및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이동 가능하게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모듈; 및 이동하는 상기 모듈에 배선을 연결하는 파티션 블록을 포함하여, 캐비닛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이동하는 모듈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세면대 하부장은 이동하는 상기 모듈을 따라 상기 파티션 블록 내부에서 이동하며, 상기 파티션 블록 내부에 배치된 배선을 상기 모듈로 연결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 블록은, 상기 모듈로 배선을 연결하는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슬라이더 가이드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배치가 변경되는 배선이 위치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배선수용부를 포함하여, 슬라이더가 파티션 블록의 슬라이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며 모듈에 안정적으로 배선이 연결된다.
배선수용부 내부에 배치되는 배선은 일부가 고정되고, 다른 일부가 슬라이더를 따라 이동하는 링크구조로 배치되고, 배선수용부는 배선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에 배선의 링크구조를 형성하는 고정축을 포함하여, 이동하는 모듈에 안정적으로 배선이 연결된다.
슬라이더는 파티션블록의 슬라이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바디; 및 일부가 상기 슬라이더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배선수용부 내부의 배선을 모듈 내부로 연결하는 배선연결부재를 포함하고, 배선연결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모듈의 이동영역을 확장시킨다.
파티션 블록은, 상측에 배치된 모듈에서 배수된 물을 이너캐비닛 외부로 보내는 배수부를 포함하여, 모듈에서 발생하는 물을 캐비닛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세면보올,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 및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복수의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모듈이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하고, 이동하는 상기 모듈에 배선을 연결하는 파티션 블록을 포함하여, 캐비닛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모듈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하고, 이동하는 각 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파티션 블록은 배선수용부와 슬라이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파티션 블록과 슬라이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모듈에 안정적으로 배선을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파티션 모듈 내부의 배선 수용부는 내부에 배선을 링크구조로 배치시켜, 모듈의 전후 이동에도 배선이 엉키거나 간섭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파티션 블록에 배수부를 포함하여, 파티션 블록 상측의 모듈에서 발생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캐비닛 내부에 물고임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파티션 블록이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모듈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하고, 복수의 모듈 각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슬라이더를 구비하여, 복수의 모듈의 개별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내부에 파티션 블록이 배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블록의 배치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이 캐비닛 내부에 위치할 때의 파티션 블록과 모듈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모듈이 전방으로 인출될 때의 파티션 블록과 모듈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슬라이더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슬라이더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서의 파티션 블록에서 슬라이더와 배선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에서의 파티션 블록에서 슬라이더와 배선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면대 하부장(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자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세면보올(22),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 및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이동 가능하게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모듈; 및 이동하는 상기 모듈에 배선을 연결하는 파티션 블록(10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모듈이 캐비닛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을 전방, 전방의 반대방향을 후방, 세면보올이 배치되는 방향을 상향, 하부장 다리가 배치되는 방향을 하향으로 설명한다. 이는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세면장치는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벽면에 구비되어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제작된 기구이다. 세면장치는 세면을 할 수 있도록 물을 받는 세면보올(22), 상기 세면보올(22)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어셈블리, 상기 세면보올(22)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세면보올(22)은 법랑 세면대, 도기 세면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형태적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하부에 캐비닛과 결합이 용이한 법랑 세면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면보올(22)은 세면대 하부장(10)의 상부에 배치된다.
급수 어셈블리는 세면보올(22)로 물을 공급하도록 개폐되는 급수밸브(24), 상기 급수밸브(24)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호스(26)를 포함한다. 급수밸브(24)는 세면보올(22)의 일측에 배치되어 세면보올(22)로 물을 공급한다. 급수호스(26)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호스와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어셈블리는 급수호스(26)로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필터(27)는 급수밸브(24)를 통해 세면보올(22)로 배출되는 물을 정수한다.
배수 어셈블리는 세면보올(22)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30), 세면보올(22)에 물을 저장하거나, 담긴 물을 배수관(30)으로 보내는 팝업밸브(28)를 포함한다.
세면장치 하부에는 세면대 하부장(10)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이 배치된다. 캐비닛은 세면대 하부장(10)의 강성을 유지하고,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은 내부가 중공이고, 전면이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은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이너캐비닛(40)과 이너캐비닛(40) 외부에 배치되어 강성을 유지하는 아우터캐비닛(60)을 포함한다. 세면대 하부장(10)의 이너캐비닛(40)과 아우터캐비닛(60)은, 이너캐비닛(40) 내부에 수용된 모듈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2중으로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40)은 내부가 중공이고,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캐비닛(60)은 이너캐비닛(40)의 외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캐비닛(60)은 이너캐비닛(40)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아우터캐비닛(62), 이너캐비닛(40)의 후면(44)에 배치되는 후면-아우터캐비닛(64) 및 이너캐비닛(40)의 하면(46)에 배치되는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을 포함한다.
이너캐비닛(40)은 내부에 모듈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은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장치일 수 있다. 캐비닛은 내부에 복수의 모듈을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모듈(200)과 제2모듈(300)을 포함한다. 제1모듈(200)은 이너캐비닛(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모듈(300)은 이너캐비닛(4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너캐비닛(40)의 상면(42)은 세면보올(22)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과 세면보올(22) 사이에 배치되는 제3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 내부에 수용되는 모듈을 이너캐비닛(40)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일부재(52)를 포함한다. 레일부재(52)는 이너캐비닛(40)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이너캐비닛(40)은 내부에 수용되는 모듈의 흡입구 또는 토출구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연통홀(48)이 형성된다. 이너캐비닛(40)은 하면(46)에 공조장치(80)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연통홀(48)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48)로 공조장치(80)의 토출구 주위로 형성된 하우징(82) 일부가 관통된다.
이너캐비닛(40)의 후면(44)과 후면-아우터캐비닛(64) 사이에는 모듈 내부와 세면대 하부장(10) 외부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외부연결통로(68)가 형성된다. 외부연결통로(68)는 하부가 개구되어 세면대 하부장(10) 외부로 연결된다.
이너캐비닛(40)의 하부면과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 사이에는 공조장치(8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과 아우터캐비닛(60) 사이에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70)을 더 포함한다. 프레임(70)은 세면장치의 하중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은 이너캐비닛(40)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배치된다. 프레임은 이너캐비닛(40)의 둘레를 감싸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프레임은 세면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프레임은 이너캐비닛(40)과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은 단면이 ‘ㄷ’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은 이너캐비닛(40)과 결합된 측면에서 이너캐비닛(40)과의 사이에 배선(150)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어부나 전원공급부로부터 연결되어 프레임과 이너캐비닛(40) 사이에 배치된 배선(150)은 파티션 블록(100)을 통해 모듈로 연결된다.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의 내부에 복수개의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분하는 파티션 블록(100)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 블록(100)은 이너캐비닛(40) 내부에서 복수개의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분한다. 또한, 파티션 블록(100)은 캐비닛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모듈로 연결되는 배선(15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블록(100)의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하부장의 세면보올(22)과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세면보올(22)에서 낙하되는 물을 1차적으로 커버하는 상측커버(7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공조장치(80) 또는 복수의 모듈을 작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74)는 상측커버(72)의 일측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입력부(74)를 통해, 복수의 모듈 또는 공조장치(80)의 작동을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캐비닛을 욕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하부장다리(76)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상기 캐비닛 내부로 연결되는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장치(80),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로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시키는 제1모듈(200) 및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입하는 잔수흡입기의 분리된 구성품 각각을 수납하여 건조하는 제2모듈(30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욕실의 바닥을 제습하거나, 캐비닛 내부에 배치된 모듈 내부를 건조시키도록 공기를 배출한다. 공조장치(80)는 팬(94)을 이용하여, 욕실 바닥면을 향하는 제1토출구(86) 또는 캐비닛 내부로 연결되는 제2토출구(88)로 공기를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이너캐비닛(40)의 하측에 배치된다. 공조장치(80)는 이너캐비닛(40) 하측에서 이너캐비닛(40) 내부에 배치된 제1모듈(200)로 공기를 토출한다. 공조장치(80)는 이너캐비닛(40)의 하부면 하측에 배치된다. 공조장치(80)는 욕실의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공조장치(80)는 욕실의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욕실의 바닥면을 향해 공기를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흡입구(84), 바닥을 건조하는 제1토출구(86) 및 캐비닛 내부에 배치된 모듈 내부를 건조하는 제2토출구(88)를 형성하는 하우징(82), 상기 하우징(82) 내측에 배치되어 흡입구(84)로부터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94) 및 하우징(82)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로 토출시키는 베인(90)을 포함한다. 공조장치(80)는 공조장치(8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92)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200)(또는 ‘하부모듈’)은 욕실에서 사용 가능한 집기를 건조한다. 제1모듈(200)은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열풍으로 내부에 수용된 집기를 건조시킨다.
제1모듈(200)은 캐비닛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는 제1모듈(200)-드로워(210), 제1모듈(200)-드로워(210)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바스켓(220) 및 집기류를 거치하도록 상기 바스켓(220) 내부에 배치되는 랙(230)을 포함한다.
제1모듈(200)-드로워(210)는 내부가 중공이고,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바스켓(220)은 드로워의 개구된 상측으로 착탈된다.
제1모듈(200)은 공조장치(80)와 연결되는 흡입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제1모듈(200)-흡입부재(240)와 제1모듈(200) 내부의 공기가 제1모듈(200)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제1모듈(200)-토출부재(25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모듈(300)(또는 ‘상부모듈’)은 욕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잔수흡입기를 수납한다. 제2모듈(300)은 잔수흡입기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한다. 제2모듈(300)은 잔수흡입기 내부의 충전배터리를 충전한다.
제2모듈(300) 내부에 수용되는 잔수흡입기는 욕실의 벽면 등에 존재하는 잔수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잔수흡입기는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모듈을 구비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고, 흡입되는 유체를 기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수공분리기, 상기 흡입모듈의 작동으로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형성하는 흡입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는 상기 수공분리기과 연결되고, 분리된 액체를 저장하는 배수물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잔수흡입기는 흡입노즐, 수공분리기 및 메인바디로 분리할 수 있다. 제2모듈(300)은 흡입노즐, 수공분리기 및 메인바디로 분리된 잔수흡입기의 구성품 각각을 수납하여 건조시킨다.
제2모듈(300)은 잔수흡입기의 분리된 구성품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공간을 마련한다. 제2모듈(300)은 캐비닛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잔수흡입기의 분리된 구성품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마련하는 제2모듈-드로워(310)와, 상기 복수의 수용부 각각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복수의 팬(미도시)을 포함한다.
제2모듈(300)은 제2모듈-드로워(310)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커버(320)와, 전면커버(320) 상단에 돌출 배치된 드로워손잡이(330)를 포함한다. 전면커버(320)는 이너캐비닛(40)의 개구된 전면의 일부를 커버한다. 제2모듈(300)의 전면커버(320)는 이너캐비닛(40) 상측에 배치된 제3모듈(400)의 전면을 커버한다.
제2모듈-드로워(310)는 상면의 일부가 제2모듈-드로워(310) 내측방향으로 함몰되어 복수의 수용부를 형성한다. 제2모듈-드로워(310)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수용부 각각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복수의 팬이 배치된다.
제2모듈-드로워(310)는 잔수흡입기 내부의 물기가 배수되거나, 배수물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하측으로 보내는 배수홀이 형성된다. 배수홀로 빠져나온 물은 이하에서 설명할 파티션 블록(100)의 배수부(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내부에 파티션 블록이 배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블록의 배치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이 캐비닛 내부에 위치할 때의 파티션 블록과 모듈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모듈이 전방으로 인출될 때의 파티션 블록과 모듈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슬라이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슬라이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서의 파티션 블록에서 슬라이더와 배선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에서의 파티션 블록에서 슬라이더와 배선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파티션 블록을 설명한다.
파티션 블록(100)은 이너캐비닛(40)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모듈에 배선(150)을 연결한다. 파티션 블록(100)은 이너캐비닛(40) 내부에 모듈이 수용되는 공간을 구획한다. 파티션 블록(100)은 이너캐비닛(40)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모듈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블록(100)은 이너캐비닛(40)의 제1모듈(200)과 제2모듈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한다. 파티션 블록(100)은 제1모듈(200)과 제2모듈 사이에 배치된다. 파티션 블록(100)은 상측에 배치된 제2모듈과 하측에 배치된 제1모듈(200)에 배선(150)을 연결한다.
파티션 블록(100)은 모듈로 배선(150)을 연결하는 슬라이더(1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더 가이드부; 슬라이더(140)의 이동에 따라 배치가 변경되는 배선(150)이 위치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배선수용부(120)를 포함한다.
슬라이더 가이드부(130)는 모듈의 이동방향으로 슬라이더(14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더 가이드부(130)는 모듈과 함께 슬라이더(140)가 이동하는 가이드홈(132)을 형성한다. 슬라이더 가이드부(130)는 가이드홈(132)의 후방단부에 슬라이더(140)를 가이드홈(132)으로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32)의 전방단부는 슬라이더(140)가 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된다.
슬라이더 가이드부(130)는 배선이 연결되는 모듈이 배치된 방향으로 개구된다. 슬라이더 가이드부(130)는 배선수용부(120) 방향으로 배선수용부(120)에 배치된 배선(150)이 연결되는 측면개구부(134)가 형성된다. 측면개구부(134)는 슬라이더(140)가 이동하는 범위에서 배선수용부 방향으로 개구된다. 측면개구부(134)를 통해 배선수용부(120)에 배치된 배선(150)이 슬라이더 가이드부(130)를 이동하는 슬라이더(140)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가이드부(130)는 제1모듈(200)로 배선(150)을 연결하는 제1슬라이더(140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슬라이더 가이드부(130a)와 제2모듈로 배선(150)을 연결하는 제2슬라이더(140b)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슬라이더 가이드부(130b)를 포함한다. 제1슬라이더 가이드부(130a)는 제1모듈(200)이 배치된 하측방향으로 개구되며, 제2슬라이더 가이드부(130b)는 제2모듈이 배치된 상측방향으로 개구된다.
배선수용부(120)는 슬라이더 가이드부를 이동하는 슬라이더(140)로 연결되는 배선(150)이 배치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배선수용부(120) 내부에 배치된 배선(150)은 슬라이더(140)의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길이가 결정된다. 배선수용부(120) 내부에 배치된 배선(150)은 슬라이더(140)의 이동에 따라 배치를 달리한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수용부(120)에 배치되는 배선(150)은 일부가 고정되고, 다른 일부가 슬라이더(140)를 따라 이동하는 링크구조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수용부(120)는 이너캐비닛(40) 외측의 배선(150)을 배선수용부(120)의 내부공간으로 연결하도록 연결통로(12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통로(126)는 이너캐비닛(40)과 후방 프레임이 연결되는 파티션 블록(100)의 후방에 형성된다.
배선수용부(120)는 배선(150)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에 배선(150)의 링크구조를 형성하는 고정축(124)을 포함한다. 고정축(124)은 파티션의 중심과 인접한 부분에 배치된다. 고정축(124)은 슬라이더 가이드부(130)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최대 이격되고, 슬라이더(140)가 이동하는 범위의 대략 중간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수용부(120)는 제1슬라이더(140a)로 연결되는 배선(150)이 배치되는 제1배선수용부(120a)와, 제2슬라이더(140b)로 연결되는 배선이 배치되는 제2배선수용부(120b)를 포함한다. 제1배선수용부(120a)와 제2배선수용부(120b)는 파티션 블록(100)의 좌우방향으로 구분되어 배치된다.
도 4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수용부(120)는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개구된다. 배선수용부(120)는 개구된 상측 또는 하측을 커버하는 파티션 커버(122)를 구비할 수 있다. 파티션 커버(122)는 하나의 배선수용부(120)의 개구된 일측을 커버할 수 있다. 파티션 커버(122)는 복수의 배선수용부(120)의 개구된 일측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배선수용부(120)의 후방에 형성된 연결통로(126)로 이어지는 배선(150)은 고정축(124)을 감싸며 슬라이더(140)로 연결된다. 연결통로(126)로부터 고정축(124)으로 이어지는 배선(150)은 슬라이더(140)가 이동하더라도 고정되나, 고정축(124)으로부터 슬라이더(140)로 연결되는 배선(150)은 슬라이더(140)의 이동에 따라 배치가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파티션 블록(100) 내부에 배치되어 모듈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140)를 포함한다. 슬라이더(140)는 파티션 블록(100) 내부에 배치된 배선(150)을 모듈로 연결한다. 슬라이더(140)는 파티션 블록(100)의 슬라이더 가이드부(130)를 따라 이동한다. 슬라이더(140)는 파티션 블록(10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된 모듈이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한다.
도 6 내지 9를 참조하면, 슬라이더(140)는 파티션 블록(100)의 슬라이더 가이드부(130)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바디(142)와, 일부가 슬라이더 바디(142) 내부에 배치되고, 배선수용부(120) 내부의 배선(150)을 모듈 내부로 연결하는 배선연결부재(144)를 포함한다.
슬라이더 바디(142)는 파티션 블록(100)의 슬라이더 가이드부(130)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슬라이더 바디(142)는 배선수용부(120)에 배치된 배선(150)을 내부의 배선연결부재(144)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연결홀(146)이 형성된다. 배선연결홀(146)은 슬라이더 가이드부(130)의 일측에 형성된 측면개구부(134)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더 바디(142)는 내부에 배선연결부재(144)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배선연결부재(144)는 모듈의 일측에 연결된다. 배선연결부재(144)는 모듈의 상측 또는 하측에 연결된다. 배선연결부재(144)는 내부에 배선(150)이 관통한다. 배선연결부재(144)는 일부가 슬라이더 바디(142) 내부에 수용된다. 배선연결부재(144)는 일부가 슬라이더 바디(142)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배선연결부재(144)는 슬라이더 바디(142) 내부에서 모듈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모듈의 이동범위를 슬라이더 바디(142)의 이동범위보다 확장시킨다.
배선연결부재(144)는 슬라이더 바디(142)의 외측에 배치된 전방부분에서 모듈에 연결되도록 절곡형성된다. 배선연결부재(144)는 슬라이더 바디(142) 내측에 배치된 후방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단턱을 형성한다. 슬라이더 바디(142)의 전방부에는 배선연결부재(144)가 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배선연결부재(144)의 후방에 형성된 단턱에 대응하는 부분이 막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블록(100)은 상측에 배치된 제2모듈에서 떨어지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110)는 파티션 블록(100) 상측에 배치된 제2모듈에서 낙하된 물을 이너캐비닛(40) 외부로 보낸다. 도 4,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110)는 파티션 블록(100)의 후방에 배치된다. 배수부(110)는 배선연결부가 형성하는 공간을 간섭하지 않는 파티션 블록(100)의 후방에 형성된다. 배수부(110)는 이너캐비닛(40)의 후방으로 물을 배출한다.
배수부(110)는 제2모듈에서 떨어진 물을 이너캐비닛(40) 외부로 보내는 배수노즐(112)과, 파티션 블록(100)으로 떨어진 물을 배수노즐(112)로 가이드하는 배수가이드(114)를 포함한다.
배수노즐(112)은 이너캐비닛(40) 외부로 돌출된다. 배수노즐(112)은 별도의 연결호스와 연결되어 외부로 물을 보낸다. 상기 연결호스는 배수관과 연결될 수 있다. 배수가이드(114)는 배수노즐(112)로 물을 가이드하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세면대 하부장 22: 세면보올
24 : 급수밸브 28 : 팝업밸브
40 : 이너캐비닛 60 : 아우터캐비닛
68 : 외부연결통로 70 : 프레임
72 : 상측커버 74 : 입력부
80 : 공조장치 100 : 파티션 블록
110 : 배수부 120 : 배선수용부
124 : 고정축 130 : 슬라이더 가이더
132 : 가이드홈 134 : 측면개구부
140 : 슬라이더 142 : 슬라이더 바디
144 : 배선연결부재 150 : 배선
200 : 제1모듈 300 : 제2모듈

Claims (14)

  1. 세면보올,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 및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이동 가능하게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모듈; 및
    이동하는 상기 모듈에 배선을 연결하는 파티션 블록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하는 상기 모듈을 따라 상기 파티션 블록 내부에서 이동하며, 상기 파티션 블록 내부에 배치된 배선을 상기 모듈로 연결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블록은,
    상기 모듈로 배선을 연결하는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슬라이더 가이드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배치가 변경되는 배선이 위치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배선수용부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부는 상기 모듈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선수용부 방향으로 상기 배선수용부 내부에 배치된 배선이 연결되는 측면개구부가 형성되는 세면대 하부장.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수용부 내부에 배치되는 배선은 일부가 고정되고, 다른 일부가 슬라이더를 따라 이동하는 링크구조로 배치되는 세면대 하부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수용부는 배선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에 배선의 링크구조를 형성하는 고정축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파티션블록의 슬라이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바디; 및
    일부가 상기 슬라이더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배선수용부 내부의 배선을 모듈 내부로 연결하는 배선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연결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세면대 하부장.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파티션 블록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파티션 블록은, 상측에 배치된 모듈에서 배수된 물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보내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모듈에서 배수된 물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보내는 배수노즐과,
    상기 파티션블록으로 낙하된 물을 배수노즐로 가이드하는 배수가이드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11. 세면보올,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 및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복수의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모듈이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하고, 이동하는 상기 모듈에 배선을 연결하는 파티션 블록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이동하는 각각의 모듈을 따라 상기 파티션 블록 내부에서 이동하며, 상기 각각의 모듈로 배선을 연결하는 복수의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블록은,
    상기 복수의 모듈 각각으로 배선을 연결하는 복수의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슬라이더 가이드부;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배치가 변경되는 배선이 위치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배선수용부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블록은 상기 복수의 모듈을 상기 파티션 블록 상측과 하측에 배치하고, 상측에 배치된 상기 모듈에서 배수된 물을 이너캐비닛 외부로 보내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KR1020170029734A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KR102281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34A KR102281838B1 (ko)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34A KR102281838B1 (ko)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956A true KR20180102956A (ko) 2018-09-18
KR102281838B1 KR102281838B1 (ko) 2021-07-23

Family

ID=6371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734A KR102281838B1 (ko)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8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9531A (ja) * 2002-04-08 2003-10-21 Cleanup Corp 除湿ユニットおよび厨房家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9531A (ja) * 2002-04-08 2003-10-21 Cleanup Corp 除湿ユニットおよび厨房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838B1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029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88028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77698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344151B1 (ko) 세면대 하부장
US20180106027A1 (en) Washstand cabinet
KR102288030B1 (ko) 세면대 하부장
CN108567358B (zh) 盥洗台下柜
CN108571036B (zh) 洗脸台下柜
KR102281838B1 (ko) 세면대 하부장
CN108567361B (zh) 盥洗台下柜
KR102290981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49789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484777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49790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484780B1 (ko) 세면대 하부장 모듈
JP2006326156A (ja) 食器洗い機
KR20180041380A (ko) 세면대
KR102249792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49791B1 (ko) 세면대 하부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