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380A - 세면대 - Google Patents
세면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1380A KR20180041380A KR1020160133442A KR20160133442A KR20180041380A KR 20180041380 A KR20180041380 A KR 20180041380A KR 1020160133442 A KR1020160133442 A KR 1020160133442A KR 20160133442 A KR20160133442 A KR 20160133442A KR 20180041380 A KR20180041380 A KR 201800413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t
- washstand
- toilet bowl
- water
- bow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6—Separate partition walls, lids, protecting borders, or the like, for si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combined with overflow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4—Overflow devices for basins or bath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 F24F6/1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heated electrical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removing ozo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 F24F2003/16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는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로 급수된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 세면대 슬릿이 형성된 세면보올; 및 상기 세면대 슬릿을 통해 상기 세면보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팬을 구비한 공조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는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로 급수된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 세면대 슬릿이 형성된 세면보올; 및 상기 세면대 슬릿을 통해 상기 세면보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팬을 구비한 공조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대를 건조시키는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급수밸브를 이용하여 세면대를 이용하고, 물을 배수구로 배수하더라도 세면보올에 물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잔수가 남게된다. 이렇게 세면보올에 남은 잔수는 세면보올에 남아 물 때를 형성하여 세면보올에 얼룩을 야기한다.
이러한 물 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용된 세면대의 잔수를 즉각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잔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면보올의 잔수를 수건 등으로 닦아내는 별도의 작업을 요구한다.
등록 실용실안 KR20-0335250 는 욕실에 환풍기 및 환기구를 두어 욕실 전체적인 공기순환을 통해 욕실 전체적으로 제습을 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세면대에 남은 잔수를 직접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구성은 개시되고 있지 않으며, 제시된 환기구조로는 세면대에 남은 잔수를 직접적으로 제거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면대의 세면보올로 직접적으로 공기를 유동시켜 세면대에 남은 잔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세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세면보올에 공기유동을 위해 세면보올에 형성된 세면대 슬릿으로 물이 유입되어 팬으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세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세면대의 하부공간을 하부장으로활용하여 하부장 내부의 공간을 수납공간을 활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급수밸브로 급수된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 세면대 슬릿이 형성된 세면보올과 상기 세면대 슬릿을 통해 상기 세면보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팬을 구비한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면대 슬릿 내부에 공조모듈로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되거나, 세면대 슬릿에 슬릿 커버가 배치된 세면대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는 세면보올로 공기를 분사하는 건조모듈을 포함하여, 세면대에 남은 잔수를 빠르게 제거하여 세면대에 물 때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는 세면보올에 형성된 세면대 슬릿으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세면대 슬릿 내부의 격벽 및 배수유로를 설치하거나, 세면대 슬릿에 슬릿 커버를 배치하여 물이 팬으로 유입되지 않고 배수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의 연결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로, 배수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 커버를 포함하는 세면대로, 슬릿 커버에 의해 세면대 슬릿이 폐쇄된 상태의 세면대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 커버를 포함하는 세면대로, 슬릿 커버에 의해 세면대 슬릿이 개방된 상태의 세면대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의 연결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로, 배수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 커버를 포함하는 세면대로, 슬릿 커버에 의해 세면대 슬릿이 폐쇄된 상태의 세면대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 커버를 포함하는 세면대로, 슬릿 커버에 의해 세면대 슬릿이 개방된 상태의 세면대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면대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부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의 연결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로, 배수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슬릿에 슬리커버가 배치된 세면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100)는 급수밸브(110); 상기 급수밸브로 급수된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 세면대 슬릿(230)이 형성된 세면보올(200); 및 상기 세면대 슬릿(230)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팬(310)을 구비한 공조모듈(300)을 포함한다.
세면대(100)는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벽면에 구비되어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제작된 기구이다. 세면대(100) 상단에는 급수밸브(110)가 구비되고, 급수밸브(110) 아래는 물을 담을 수 있는 세면보올(200)이 구비된다. 세면보올(200)에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구(260)가 형성된다. 세면대(100)는 세면보올(200)의 배수구(260)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시설과 연결된다.
급수밸브(110)는 세면대(100) 상단의 후방의 일측에 배치되어, 세면보올(200)로 물을 급수한다.
세면보올(200)은 법랑 세면대, 도기 세면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세면보올(200)은 형태적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하부에 하우징과 결합이 용이한 법랑 세면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보올(200)은 상부의 일측면에 세면보올(200)로 공기를 토출하는 세면대 슬릿(230)이 형성된다. 세면대 슬릿(230)은 세면보올(200)의 내측에 형성된 면을 향하도록 개구된다.
세면보올(200)의 타측면에는 세면보올(200)의 물넘침을 방지하는 오버플로우 홀(240)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버플로우 홀(240)은 세면대 슬릿(230)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세면보올(200)에 물이 차더라도 세면대 슬릿(23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세면대와 관련한 방향을, 세면대(100)를 기준으로 세면대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 급수밸브가 위치하는 방향 또는 세면대가 연결된 욕실벽면 방향을 후방으로하여 설명한다.
세면보올(200)은 세면대(100)의 전방과 인접한 부분에 전면부(212)가 형성된다. 급수밸브가 배치된 부분과 인접한 부분에 전면부(212)와 마주하는 후면부(214)가 형성된다. 전면부(212)와 후면부(214) 사이에는 이를 연결하는 바닥면부(216) 및 양측면부가 형성된다.
본원발명의 세면보올(200)은 전면부(212) 상단에 세면대 슬릿(230)이 형성된다. 세면보올(200)은 후면부(214)에 오버플로우 홀(240)이 형성된다. 세면대 슬릿(230)은 오버플로우 홀(24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세면대 슬릿(230)이 형성된 세면보올(200)의 전면부(212)가 형성하는 경사면(θ1)은 후면부(214)가 형성하는 경사면(θ2)에 비해 완만하게 형성된다. 바닥면부(216)는 전면부(212)에 비해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한다. 바닥면부(216)는 후면부(214)와 인접한 위치에서 배출구(26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보올(200)은 급수된 물이 담기는 상부보올(210)과 상부보올(210)에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보올(220)의 2중으로 형성된다. 상부보올(210)과 하부보올(220) 사이에는 세면대 슬릿(230) 또는 오버플로우 홀(240)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유로(250)가 형성된다.
배수유로(250)로 유입된 물은 배수관(420)에 형성된 유입홀(430)으로 배출된다. 유입홀(430)은 배수관(420)의 서로 다른 면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면대 슬릿(230)은 공조모듈(300)의 팬(310)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세면보올(200)의 내측에 형성된 면을 향해 토출하도록 세면보올(200)의 일측면에서 개구된 슬릿이다. 세면대 슬릿(230)은 세면보올의 전면부(212)에 형성된다. 세면대 슬릿(230)으로 토출된 공기는 세면보올(200)의 전면부(212) 및 바닥면부(216)를 따라 유동한다. 세면대 슬릿(230)으로 토출된 공기는 세면보올(200)에 남은 잔수를 배수구(260) 방향으로 유도하거나, 공기의 대류를 통해 세면보올(200)에 남은 잔수를 건조시킨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공조모듈(300)은 세면대 슬릿(230)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팬(310)을 포함한다. 공조모듈(300)에는 팬(310)으로부터 유동되는 공기를 세면대 슬릿(230)으로 연결하는 연결유로(330)가 형성된다.
공조모듈(300)은 팬(310)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320)을 포함한다. 격벽(320)은 연결유로(330) 상에 배치되고, 격벽(320)은 팬(310)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한다.
공조모듈(300)은 팬(310)이 장착되는 팬 장착부(315) 및 팬(310)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한다. 팬 장착부(315)는 세면대 슬릿(230)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팬(310)으로부터 유동된 공기를 연결유로(330)를 따라 유동하여 세면대 슬릿(230)으로 토출된다.
연결유로(330)는 세면대 슬릿(230)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세면보올(200)의 전면부(212) 또는 바닥면부(216)를 향해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연결유로(330)는 세면대 슬릿(230)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세면보올(200)의 전면부(212) 상부를 향해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부(212)로 토출된 공기는 전면부(212)의 경사면을 따라 바닥면부(216) 및 후면부(214)로 유동한다.
연결유로(330)는 팬 장착부(315)와 세면대 슬릿(230)을 연결한다. 연결유로(330)에는 세면대 슬릿(230)보다 높은 위치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전환하는 만곡부(335)가 형성된다.
세면대 슬릿(230) 아래에 배치된 팬(310)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는 연결유로(330)를 따라 세면대 슬릿(230)보다 상부로 유동한다. 연결유로(330)를 따라 세면대 슬릿(230)보다 상부로 유동한 공기는 만곡부(335)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세면대 슬릿(230)으로 토출된다. 연결유로(330)를 유동하는 공기는 만곡부(335)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세면보올(200)의 내측에 형성된 면을 향해 토출된다.
세면대 슬릿(230)으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만곡부(335)의 단부가 형성하는 경사면의 기울기(θ3)는 세면보올(200)의 전면부(212)가 이루는 경사면의 기울기(θ1)와 나란하거나, 전면부(212)가 이루는 경사면보다 가파르게 형성된다. 만곡부(335)의 단부가 형성하는 경사면의 기울기(θ3)는 세면대 슬릿(230)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세면보올의 전면부(212)로 향하게 한다. 세면보올(200)의 전면부(212)가 형성하는 경사면의 기울기(θ1)는 연결유로(330)의 만곡부의 단부가 형성하는 경사면의 기울기(θ3)보다 완만하게 형성된다.
연결유로(330) 상에는 히터(340)가 배치될 수 있다. 히터(340)는 세면보올(200)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세면보올(200)의 잔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히터(340)는 세면대 슬릿(230)으로 유입된 물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연결유로(330) 상에서 격벽(320)을 기준으로 세면대(100)의 전방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유로(330) 상에는 팬(310)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320)이 배치된다. 격벽(320)은 세면대 슬릿(230)으로 유입된 물을 배수유로(250)로 가이드한다. 격벽(320)의 상단(Hw)은 세면대 슬릿(230)이 개구된 상단(Hs)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격벽(320)의 상단부는 세면대 슬릿(230)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배치 및 형상은 세면대 슬릿(230)으로 유입된 물이 팬(3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격벽(320)은 하부보올(220)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격벽(320)은 세면대 슬릿(230)으로 유입된 물을 배수유로(250)로 가이드한다. 세면대 슬릿(230)으로 유입된 물은 격벽(320)을 따라 배수유로(250)로 이동한다.
세면대 슬릿(230)에는 슬릿 커버(270)가 배치될 수 있다. 슬릿 커버(270)는 세면대 슬릿(230)을 막아 세면보올(200)에 급수된 물이 세면대 슬릿(2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슬릿 커버(270)는 상단이 세면대 슬릿(230)의 상단부와 힌지(275) 결합하여 힌지(275)를 축으로 회전한다.
팬(310)을 통해 공기가 세면대 슬릿(230)으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슬릿 커버(270)가 힌지(275)를 축으로 회전하여 세면대 슬릿(230)이 개방된다. 팬(310)을 통해 공기가 세면대 슬릿(230)으로 토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릿 커버(270)가 세면대 슬릿(230)을 폐쇄하여 세면대 슬릿(230) 내부로의 물 유입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는 세면보올(200)에 물을 저장하거나, 담긴 물을 배수시설로 보내는 팝업밸브(400)를 더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팝업밸브(400)는 세면보올(200)의 배수구(260)에 배치된다. 팝업밸브(400)는 세면보올(200)의 바닥면부(216)에 배치된다. 팝업밸브(400)는 배수구(26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배수관(420), 상기 배수관(420) 상단에서 밸브를 열거나 닫기 위해 마련된 헤드(410) 및 상기 헤드(410)를 수직 상하운동 시키기 위해 마련된 작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배수관(420)에는 배수유로(250)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유입홀(430)이 형성된다. 유입홀(430)은 세면대 슬릿(230)과 오버플로우 홀(240)을 통해 배수유로(250)이다. 유입홀(430)은 유입되는 물이 팝업밸브(400)의 배수관(420)으로 배출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세면대(100) 전면에는 공조모듈(300)의 팬(310)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가 직립자세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로 세면대(100)의 전방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는 공조모듈의 전면 또는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공조모듈(30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공조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입력부와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세면대를 건조시키는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가 장착된 하부장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100)는 하부의 공간을 구획하여 모듈을 수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급수밸브(110), 상기 급수밸브로 급수된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 세면대 슬릿(230)이 형성된 세면보올(200), 상기 세면대 슬릿을 통해 상기 세면보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팬을 구비한 공조모듈(300) 및 상기 세면보올(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20)을 포함한다.
하우징(20)은 세면대(100) 하측에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30)이 형성된다. 세면대(100) 하측의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30)은 모듈을 수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 내부에 배치되는 모듈은 욕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기장치일 수 있으며, 외부규격은 일정한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모듈이 수용되는 공간(30)은 세면대 하측에 형성된 세면대 하부장의 하부 공간이다. 다양한 종류와 기능을 가진 모듈을 사용자 기호에 따라 하우징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부장의 상부 공간은 세면대(100)와 세면대를 건조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조모듈(300)이 배치된다. 세면대(100)의 세면보올(200)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세면보올(200)과 하측의 모듈이 수용되는 공간(30) 사이에 공조모듈(300)이 배치된다.
급수밸브(110)를 통해 세면보올(200)로 급수된 물은 세면보올(200)의 배수구를 통해 배수시설(50)로 빠져나가며, 하부장(10)의 하우징(20)에는 배수시설(50)이 수용되는 공간도 포함한다.
공조모듈(30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팬(310)과 팬을 수용하는 팬 장착부(315)를 포함하고, 팬(310)과 세면보올(200)에 형성된 세면대 슬릿(230)을 연결하는 연결유로(330)가 형성된다.
하부장(10)은 공조모듈(300) 또는 하부장 내부의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40)를 포함한다. 입력부(40) 및 제어부도 사용자가 직립자세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로 하우징 상부의 전면에 배치된다.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공조모듈(300)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명력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CD, LED 등의 표시부(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는 터치패널로 형성되어 표시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 세면대 하부장
20 : 하우징
100 : 세면대 110: 급수밸브
200 : 세면보올 210 : 상부보올
220 : 하부보올 230 : 세면대 슬릿
250 : 배수유로 300 : 공조모듈
310 : 팬 320 : 격벽
330 : 연결유로 335 : 만곡부
400 : 팝업밸브
100 : 세면대 110: 급수밸브
200 : 세면보올 210 : 상부보올
220 : 하부보올 230 : 세면대 슬릿
250 : 배수유로 300 : 공조모듈
310 : 팬 320 : 격벽
330 : 연결유로 335 : 만곡부
400 : 팝업밸브
Claims (14)
-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로 급수된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 세면대 슬릿이 형성된 세면보올; 및
상기 세면대 슬릿을 통해 상기 세면보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팬을 구비한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 슬릿은 상기 세면보올의 내측에 형성된 면을 향하도록 개구된 세면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모듈은 내부에 상기 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세면대 슬릿을 연결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세면대 슬릿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세면보올의 내측에 형성된 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세면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보올에는 타측면에 물넘침을 방지하는 오버플로우 홀이 형성되고,
상기 물넘침 방지홀은 상기 세면대 슬릿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세면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모듈은 상기 세면보올의 물이 팬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이 배치된 세면대.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단의 높이는 상기 세면대 슬릿이 개구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세면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 슬릿으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 슬릿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배출유로로 가이드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세면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보올은
급수된 물이 담기는 상부보올과;
상기 상부보올에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보올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보올과 상기 하부보올 사이에 상기 세면대 슬릿으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된 세면대.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 슬릿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팬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을 상기 하부보올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세면대 슬릿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배출유로로 가이드하는 세면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 슬릿을 개폐하는 슬릿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 커버는 상기 세면대 슬릿 상단의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는 세면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 상에는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배치된 세면대. -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로 급수된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 세면대 슬릿이 형성된 세면보올;
상기 세면대 슬릿을 통해 상기 세면보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팬을 구비한 공조모듈; 및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조모듈은 상기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과 상기 세면보올 사이에 배치되는 세면대 하부장.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3442A KR20180041380A (ko) | 2016-10-14 | 2016-10-14 | 세면대 |
US15/783,233 US10408539B2 (en) | 2016-10-14 | 2017-10-13 | Washstand |
CN201710950873.2A CN107956238A (zh) | 2016-10-14 | 2017-10-13 | 洗脸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3442A KR20180041380A (ko) | 2016-10-14 | 2016-10-14 | 세면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1380A true KR20180041380A (ko) | 2018-04-24 |
Family
ID=6190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3442A KR20180041380A (ko) | 2016-10-14 | 2016-10-14 | 세면대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408539B2 (ko) |
KR (1) | KR20180041380A (ko) |
CN (1) | CN10795623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06700A (zh) * | 2018-06-04 | 2018-10-02 | 厦门建霖健康家居股份有限公司 | 一种干手器及带有干手器的洗手盆 |
CN110144998A (zh) * | 2019-06-05 | 2019-08-20 | 厦门曦哲贸易有限公司 | 一种防溅射洗漱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5250Y1 (ko) | 2003-09-04 | 2003-12-03 | 현대건설주식회사 | 제습기능을 갖는 욕실장치 |
KR101195318B1 (ko) * | 2009-06-19 | 2012-10-29 | 김현수 | 세면기 |
CN202831094U (zh) * | 2012-08-09 | 2013-03-27 | 吴建文 | 洗漱分离洗脸台 |
US9877620B2 (en) * | 2013-03-14 | 2018-01-30 | Stone And Steel Systems, Llc | Basin vent |
CN104674901A (zh) * | 2013-11-28 | 2015-06-03 | 杨南宁 | 一种洗手台结构 |
US20150376881A1 (en) * | 2014-06-26 | 2015-12-31 | David Moe | Sink with undercounter hand drying apparatus |
-
2016
- 2016-10-14 KR KR1020160133442A patent/KR2018004138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
- 2017-10-13 CN CN201710950873.2A patent/CN107956238A/zh active Pending
- 2017-10-13 US US15/783,233 patent/US10408539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956238A (zh) | 2018-04-24 |
US20180106540A1 (en) | 2018-04-19 |
US10408539B2 (en) | 2019-09-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88028B1 (ko) | 세면대 하부장 | |
KR102288029B1 (ko) | 세면대 하부장 | |
KR920003844B1 (ko) | 클린룸용 위생설비기구 | |
JP6691662B2 (ja) | 水洗式大便器 | |
KR20180041380A (ko) | 세면대 | |
KR102288030B1 (ko) | 세면대 하부장 | |
KR102277699B1 (ko) | 세면대 하부장 | |
KR102277698B1 (ko) | 세면대 하부장 | |
KR102344151B1 (ko) | 세면대 하부장 | |
KR102308029B1 (ko) | 세면대 하부장 | |
KR102288031B1 (ko) | 세면대 하부장 | |
JP6503263B2 (ja) | 浴室の排水構造 | |
KR102284640B1 (ko) | 세면대 하부장 | |
JP2006326156A (ja) | 食器洗い機 | |
US10501918B2 (en) | Washstand cabinet | |
KR102281838B1 (ko) | 세면대 하부장 | |
CN114025651A (zh) | 手干燥装置、带手干燥装置的洗脸台及手干燥装置的控制方法 | |
KR102249792B1 (ko) | 세면대 하부장 | |
KR102249791B1 (ko) | 세면대 하부장 | |
JP7369551B2 (ja) | 洗面装置 | |
KR102249789B1 (ko) | 세면대 하부장 | |
JP2020081230A (ja) | 手洗い装置 | |
JPH11239601A (ja) | スチームサウナ装置 | |
KR20180132356A (ko) | 세면대 하부장 | |
KR20180052008A (ko) | 건조 기능을 구비하는 욕실 상부장 유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