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031B1 - 세면대 하부장 - Google Patents

세면대 하부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031B1
KR102288031B1 KR1020170029735A KR20170029735A KR102288031B1 KR 102288031 B1 KR102288031 B1 KR 102288031B1 KR 1020170029735 A KR1020170029735 A KR 1020170029735A KR 20170029735 A KR20170029735 A KR 20170029735A KR 102288031 B1 KR102288031 B1 KR 102288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binet
inner cabinet
dispose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957A (ko
Inventor
김종석
양인형
조웅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9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031B1/ko
Priority to US15/915,401 priority patent/US10718566B2/en
Priority to CN201810191505.9A priority patent/CN108567358B/zh
Publication of KR20180102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cabinet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90Basins movable between several pos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세면보올,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어셈블리 및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캐비닛; 상기 이너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모듈; 상기 이너캐비닛 외부에 배치되어 강성을 유지하는 아우터 캐비닛; 및 상기 세면보올, 상기 이너캐비닛 및 상기 아우터 캐비닛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면대 하부장{Washstand Furniture}
본 발명은 세면대의 하부공간을 활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이다.
욕실에는 욕실용품을 정리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세면대 상측이나 하측의 공간을 활용하여 하부장 또는 상부장의 형태로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하부장은 세면대 하측의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다만, 하부장은 다습한 환경의 욕실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물기에 노출되기 용이하여 내부 수납공간이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추가로, 하부장은 내부공간에 급배수를 위한 장치가 수용되어 급배수 장치로부터 유출된 물로 인해 내부공간이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또한, 하부장은 세면대 하측에 배치되는 점에서 세면대를 지지함과 동시에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세면대의 하중이나, 외부의 영향으로 내부의 수납공간이 쉽게 변형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편리하게 사용하는 세면대를 지지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면서, 안정적으로 세면대를 지지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세면보올과,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캐비닛; 상기 이너캐비닛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면장치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이너캐비닛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모듈;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에 배치된 상기 모듈을 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 및 상기 이너캐비닛 내측에 레일을 체결하고, 상기 이너캐비닛과 상기 프레임을 고정하는 레일브라켓을 포함하여, 프레임과 레일브라켓으로 세면대 하부장을 골격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레일브라켓은, 상기 레일을 상기 이너캐비닛 내측에 체결하는 레일체결부; 상기 이너캐비닛 외측에 배치된 상기 프레임과 체결되도록 상기 레일체결부에서 상기 이너캐빈닛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프레임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연결부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도록 상기 프레임연결부에서 상기 프레임방향으로 돌출된 프레임고정돌기를 포함하여, 이너캐비닛 내부에 배치되어, 이너캐비닛 외측에 배치된 프레임을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이너캐비닛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이너캐비닛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프레임으로 구분되고, 상기 레일브라켓은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에 연결되고, 레일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이 배치된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세면대 하부장의 골격을 격자형으로 형성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이너캐비닛 내측으로 레일을 장착하고, 이너캐비닛과 프레임을 고정하는 레일브라켓을 포함하여, 내부에 수납되는 모듈을 슬라이딩방식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이너캐비닛 전후방에 배치된 프레임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레일브라켓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구조의 강성을 유지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모듈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 프레임 및 레일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레일브라켓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 아우터 캐비닛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세면보올(22)과,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캐비닛(100); 상기 이너캐비닛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면장치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140); 상기 이너캐비닛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모듈;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에 배치된 상기 모듈을 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134); 및 상기 이너캐비닛 내측에 레일을 체결하고, 상기 이너캐비닛과 상기 프레임을 고정하는 레일브라켓(20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모듈이 캐비닛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을 전방, 전방의 반대방향을 후방, 세면보올(22)이 배치되는 방향을 상향, 하부장 다리가 배치되는 방향을 하향으로 설명한다. 이는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세면장치는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벽면에 구비되어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제작된 기구이다. 세면장치는 세면을 할 수 있도록 물을 받는 세면보올(22), 상기 세면보올(22)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어셈블리, 상기 세면보올(22)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세면보올(22)은 법랑 세면대, 도기 세면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형태적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하부에 캐비닛과 결합이 용이한 법랑 세면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면보올(22)은 세면대 하부장(10)의 상부에 배치된다.
급수 어셈블리는 세면보올(22)로 물을 공급하도록 개폐되는 급수밸브(24), 상기 급수밸브(24)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호스(26)를 포함한다. 급수밸브(24)는 세면보올(22)의 일측에 배치되어 세면보올(22)로 물을 공급한다. 급수호스(26)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호스와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어셈블리는 급수호스(26)로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필터(76)는 급수밸브(24)를 통해 세면보올(22)로 배출되는 물을 정수한다.
배수 어셈블리는 세면보올(22)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30), 세면보올(22)에 물을 저장하거나, 담긴 물을 배수관(30)으로 보내는 팝업밸브(28)를 포함한다.
세면장치 하부에는 세면대 하부장(10)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이 배치된다. 캐비닛은 세면대 하부장(10)의 강성을 유지하고,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모듈은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은 내부가 중공이고, 전면이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은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이너캐비닛(100)과 이너캐비닛(100) 외부에 배치되어 강성을 유지하는 아우터캐비닛(1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 내부에 배치되는 모듈은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모듈(또는 ‘모듈’, 50, 60)과 이너캐비닛 외부에 배치되는 추가모듈(70)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100)과 아우터캐비닛(160)을 포함하여,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수용된 모듈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2중으로 차단한다. 이너캐비닛(100)과 아우터 캐비닛(160)은 프레임(14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세면대 하부장(10)의 구조를 형성하는 이너캐비닛(100), 아우터캐비닛(160) 및 프레임(14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상기 캐비닛 내부로 연결되는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장치(40),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장치(40)에서 토출된 공기로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시키는 제1모듈(50) 및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입하는 잔수흡입기의 분리된 구성품 각각을 수납하여 건조하는 제2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캐비닛과 세면보올(22) 사이에 배치되는 제3모듈(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에서 사용되는 공조장치(40)를 설명하면, 공조장치(40)는 욕실의 바닥을 제습하거나, 캐비닛 내부에 배치된 모듈 내부를 건조시키도록 공기를 배출한다. 공조장치(40)는 팬(46)을 이용하여, 욕실 바닥면을 향하는 제1토출구(42) 또는 캐비닛 내부로 연결되는 제2토출구(43)로 공기를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40)는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배치된다. 공조장치(40)는 이너캐비닛(100) 하측에서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배치된 제1모듈(50)로 공기를 토출한다. 공조장치(40)는 이너캐비닛(100)의 하부면 하측에 배치된다. 공조장치(40)는 욕실의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공조장치(40) 욕실의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욕실의 바닥면을 향해 공기를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40)는 흡입구(41), 바닥을 건조하는 제1토출구(42) 및 캐비닛 내부에 배치된 모듈 내부를 건조하는 제2토출구(43)를 형성하는 하우징(44), 상기 하우징(44) 내측에 배치되어 흡입구(41)로부터 제1토출구(42) 또는 제2토출구(43)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46) 및 하우징(44)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1토출구(42) 또는 제2토출구(43)로 토출시키는 베인(47)을 포함한다. 공조장치(40)는 공조장치(4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45)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50)은 욕실에서 사용 가능한 집기를 건조한다. 제1모듈(50)은 공조장치(40)에서 토출된 열풍으로 내부에 수용된 집기를 건조시킨다.
제1모듈(50)은 캐비닛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는 제1모듈-드로워(52), 제1모듈-드로워(52)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바스켓(54) 및 집기류를 거치하도록 상기 바스켓(54) 내부에 배치되는 랙(56)을 포함한다.
제1모듈-드로워(52)는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배치된 레일(134)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제1모듈-드로워(52)는 내부가 중공이고,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바스켓(54)은 제1모듈-드로워(52)의 개구된 상측으로 착탈된다.
제1모듈(50)은 공조장치(40)와 연결되는 흡입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제1모듈-흡입부재(58)와 제1모듈(50) 내부의 공기가 제1모듈(50)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제1모듈-토출부재(59)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모듈(60)은 욕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잔수흡입기를 수납한다. 제2모듈(60)은 잔수흡입기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한다. 제2모듈(60)은 잔수흡입기 내부의 충전배터리를 충전한다.
제2모듈(60) 내부에 수용되는 잔수흡입기는 욕실의 벽면 등에 존재하는 잔수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잔수흡입기는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모듈을 구비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고, 흡입되는 유체를 기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수공분리기, 상기 흡입모듈의 작동으로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형성하는 흡입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잔수흡입기는 흡입노즐, 수공분리기 및 메인바디로 분리할 수 있다. 제2모듈(60)은 흡입노즐, 수공분리기 및 메인바디로 분리된 잔수흡입기의 구성품 각각을 수납하여 건조시킨다.
제2모듈(60)은 잔수흡입기의 분리된 구성품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공간을 마련한다. 제2모듈(60)은 캐비닛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잔수흡입기의 분리된 구성품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마련하는 제2모듈-드로워(62)와, 상기 복수의 수용부 각각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복수의 팬(미도시)을 포함한다. 제2모듈-드로워(62)는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배치된 레일(134)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제2모듈(60)은 제2모듈-드로워(62)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커버(66)와, 전면커버(66) 상단에 돌출 배치된 제2모듈-손잡이(68)를 포함한다. 전면커버(66)는 이너캐비닛(100)의 개구된 전면의 일부를 커버한다. 제2모듈(60)의 전면커버(66)는 이너캐비닛(100) 상측에 배치된 제3모듈(70)의 전면을 커버한다.
제3모듈(70)은 이너캐비닛(100)과 세면보올(22) 사이에 배치된다. 제3모듈(70)은 이너캐비닛(100)의 상측과 세면보올(22)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제3모듈(70)은 세면보올(22)의 바닥면에 형성된 곡면과 이너캐비닛(100)의 상면(102) 사이에서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제3모듈(70)은 상측커버(80) 하측에 배치된다. 상측커버(80)는 제3모듈(70)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상측커버(80)는 세면보올(22)에서 떨어지는 물이 제3모듈(70)이 수용된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3모듈(70)은 제2모듈(60)의 전면커버(66) 내측에 배치된다. 제3모듈(70)은 제2모듈(60)이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인출이 가능하다.
제3모듈(70)은 이너캐비닛(100)과 세면보올(22)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내부에 복수의 수납공간을 마련하는 제3모듈-드로워(72)와 드로워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부(74)를 포함한다.
제3모듈-드로워(72)는 내부에 복수의 수납공간을 마련한다. 제3모듈-드로워(72) 내부의 수납공간에는 급수밸브(24)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76), 급수밸브(24)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 제1모듈(50) 또는 제2모듈(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 또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하부장의 세면보올(22)과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세면보올(22)에서 낙하되는 물을 1차적으로 커버하는 상측커버(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공조장치(40) 또는 복수의 모듈을 작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82)는 상측커버(80)의 일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캐비닛을 욕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하부장다리(84)를 더 포함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 프레임 및 레일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레일브라켓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 아우터 캐비닛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 프레임, 레일브라켓 및 아우터 캐비닛을 설명한다.
이너캐비닛(100)은 세면모듈의 하부공간을 활용하여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한다. 이너캐비닛(100)은 모듈이 수용되는 공간과 급배수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한다.
이너캐비닛(100)은 내부가 중공인 박스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100)은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형성된다. 이너캐비닛(100)은 개구된 전면으로 모듈이 삽입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의 일측면에는 이너캐비닛(100)의 강성을 유지하는 격자형 보강돌출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100)은 상면(102)에 이너캐비닛(100)의 강성을 유지하는 격자형 보강돌출부(116)가 형성된다. 이너캐비닛(100)의 상면(102)에는 보강돌출부(116)가 형성된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덮개(118)가 배치된다. 이너캐비닛(100)의 상면(102)은 후방에 배수관(30)과 급수호스(26)가 관통하는 홀(120)이 형성된다.
이너캐비닛(100)의 후면(106)은 상면(102)의 후방단부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부분에서 수직하게 하향절곡된다. 이너캐비닛(100)은 후면(106)을 기준으로, 전방에 모듈을 수용하는 모듈수용부(122)가 형성되고, 후방에 외부와 연결되는 통로인 외부연결부(12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100)은 모듈수용부(122)에 모듈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100)은 외부연결부(124)에 급수호스(26)와 배수관(30)의 일부가 배치된다. 모듈수용부(122)에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모듈이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100)은 모듈수용부(122)에 제1모듈(50)과 제2모듈(60)을 수용한다.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100)의 모듈수용부(122) 내부에 수용되는 모듈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일(13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134)은 이너캐비닛(100)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레일(134)은 이하에서 설명할 레일브라켓(200)에 의해 이너캐비닛(100)에 장착된다.
이너캐비닛(100)은 레일브라켓(200)이 장착되는 부분에 레일브라켓(200)을 고정하는 브라켓 관통홀(128)이 형성된다. 이너캐비닛(100)의 브라켓 관통홀(128)은 레일브라켓(200)의 프레임연결부(220)가 관통한다. 이너캐비닛(100)의 브라켓 관통홀(128)은 프레임(140)과 연결되는 프레임연결부(220)를 이너캐비닛(100) 외부로 배치시키고, 동시에 레일브라켓(200)을 이너캐비닛(100)에 고정시킨다.
이너캐비닛(100)은 모듈수용부(122)에 파티션블록(126)을 배치하여, 제1모듈(50)과 제2모듈(60)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블록(126)은 제1모듈(50)과 제2모듈(60)을 모듈수용부(122) 상하로 배치한다. 파티션블록(126)은 상측과 하측에 배치된 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100)은 하측에 욕실의 바닥을 건조시키거나, 제1모듈(50) 내부를 건조시키도록 이너캐비닛(100)의 모듈수용부(122)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장치(40)가 배치된다.
이너캐비닛(100)은 적어도 일면에서 내부에 수용되는 모듈 내부의 공기가 이너캐비닛(100) 외부로 유동하도록 형성된 연통홀(128, 129)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100)은 후면(106)에 모듈 내부와 외부연결부(124)를 연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된다. 연통홀은 모듈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128a, 128b)과 모듈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홀(129a, 129b)로 구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100)은 하면(108) 및/또는 후면(106)에 유입홀(128a, 128b) 또는 토출홀(129a, 129b)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100)은 후면(106)에 제1모듈(50)의 토출홀(129a), 제2모듈(60)의 유입홀(128b)과 토출홀(129b)이 형성되고, 하면(108)에 제1모듈(50)의 유입홀(128a)이 형성된다.
이너캐비닛(100)의 하면(108)은 제1하면(110)과, 상기 제1하면(110)에서 이너캐비닛(100) 내측으로 이격되어 하측에 공조장치(40)를 배치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2하면(112)과, 제1하면(110)과 제2하면(112)을 연결하는 연결면(11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면(114)은 제1하면(110)과 제2하면(112)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2하면(112)의 하측에 공조장치(40)가 배치된다. 연결면(114)에는 제1모듈(50)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128a)이 형성된다. 연결면(114)에 형성된 유입홀(128a)로 공조장치(40)의 일부가 관통한다.
외부연결부(124)는 이너캐비닛(100)의 후면(106)과 이하 설명할 후면-아우터캐비닛(16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외부연결부(124)는 모듈수용부(122)와 분리배치된다. 외부연결부(124)와 모듈수용부(122)는 이너캐비닛(100)의 후면(106)을 기준으로 분리된다.
외부연결부(124)는 이너캐비닛(100)의 후면(106)이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후면-아우터캐비닛(164)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이다. 외부연결부(124)는 하부가 개방되어 외부와 연결된다. 외부연결부(124)는 하부가 개방되어 모듈 내부와 유동하는 공기를 세면대 하부장(10) 외부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외부연결부(124)의 하부에는 이너캐비닛(100)의 후면(106)과 후면-아우터캐비닛(164)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는 지지부재(132)가 배치된다. 지지부재(132)는 급배수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급배수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너캐비닛(100)은 제3모듈(70)이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는 상측부재(130)를 포함한다. 상측부재(130)는 이너캐비닛(100)의 상면(10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측부재(130)는 이너캐비닛(100)의 상면(102) 전방에 배치된다. 상측부재(130)는 이너캐비닛(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측부재(130)는 이하 설명할 프레임(140)과 맞닿는다.
프레임(140)은 세면대 하부장(10)의 골격을 형성한다. 프레임(140)은 세면장치의 하중이 이너캐비닛(100)으로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40)은 철이나 알루미늄, 혹은 다른 적당한 금속이나 합금으로 이루어진 판금소재로 이루어져, 세면대 하부장의 강성을 보강한다. 프레임(140)은 이너캐비닛(100)의 외형을 보호한다.
프레임(140)은 이너캐비닛(100)과 아우터캐비닛(160)을 연결한다. 프레임(140)은 이너캐비닛(100)과 아우터캐비닛(160) 사이에 배치된다. 프레임(140)은 세면대 하부장(10) 내부에 배치되는 배선을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40)은 이너캐비닛(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프레임(140a)과 이너캐비닛(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프레임(140b)으로 구분된다. 전방프레임(140a)은 이너캐비닛(100)의 상측부재(130)의 외측을 둘러싼다.
프레임(140)은 이너캐비닛(100)의 둘레를 감싸는 사각 링형상을 가진다. 프레임(140)은 이너캐니빗의 측면과 하면(108)에서 맞닿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40)은 상측에서 세면보올(22)과 상측커버(80)로 연결된다.
프레임(140)은 세면장치의 하중을 지지한다. 프레임(140)은 세면보올(22)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42)과 상기 메인프레임(142) 하측의 개구된 양단을 연결하는 서브프레임(150)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42)은 하측이 개구된 사각링형상을 가진다. 메인프레임(142)과 서브프레임(150)은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서 결합된다.
메인프레임(142)은 세면보올(22)과 연결되는 상면바(143), 상면바(143) 양단에서 아래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이너캐비닛(100)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바(144) 및 양 측면바(144)의 하단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돌출된 한 쌍의 하측 돌출바(145)를 포함한다. 서브프레임(150)은 이너케비닛 하면(108)의 하측에 배치된다. 서브프레임(150)은 메인프레임(142)의 한 쌍의 하측 돌출바(145)를 연결한다.
프레임(140)은 하측에서 베이스-아우터캐비닛(166)과 연결된다. 프레임(140)은 하측에서 베이스-아우터캐비닛(166)과 하부장 다리로 연결된다. 프레임(140)은 세면장치의 하중을 하부장 다리로 전달한다.
프레임(140)은 세면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프레임(140)은 이너캐비닛(100)과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40)은 단면이 ‘ㄷ’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140)은 이너캐비닛(100)과 결합된 부분에서, 배선이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레임(140)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레일브라켓(200)의 프레임연결부(220)와 체결되는 체결홀(147)이 형성된다. 프레임연결부(220)도 상기 체결홀(147)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홀(222)이 형성된다.
프레임(140)은 레일브라켓(200)과 프레임(14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보조홀(148)이 더 형성된다. 보조홀(148)은 체결홀(147)과 대향하는 부분에서 형성된다. 프레임(140)은 프레임연결부(220)와 맞닿는 부분에서, 프레임고정돌기(230)가 삽입되는 돌기홈(146)이 형성된다.
세면대 하부장(10)은 프레임(140)과 이너캐비닛(100)을 고정하고,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레일(134)을 체결하는 레일브라켓(200)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레일브라켓(200)은 이너캐비닛(100) 전방에 배치된 전방프레임(140a)과 이너캐비닛(100) 후방에 배치된 후방프레임(140b)에 연결되어 세면대 하부장(10)의 강성을 보강한다. 레일브라켓(200)은 프레임(140)이 배치된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 및 체결되어 세면대 하부장(10)의 강성을 보강한다.
레일브라켓(200)은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배치되는 레일(134)과 동일한 개수를 가진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배치되는 제1모듈(50)과 제2모듈(60)을 이동시키기 위해 2 쌍의 레일(134)과 2 쌍의 레일브라켓(200)을 포함한다.
레일브라켓(200)은 이너캐비닛(100)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레일브라켓(200)은 제1모듈(50)과 제2모듈(60)이 배치되는 이너캐비닛(100) 내측의 양측면에 배치된다.
레일브라켓(200)은 이너캐비닛(100) 내측에 배치되어 레일(134)을 체결하는 레일체결부(210), 이너캐비닛(100) 외측에 배치된 프레임(140)과 체결되도록 레일체결부(210)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한 쌍의 프레임연결부(220)를 포함한다. 레일브라켓(200)은 프레임연결부(220)를 프레임(140)에 고정하는 프레임고정돌기(230)를 포함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레일브라켓(200)에는 하나의 레일체결부(210), 2개의 프레임연결부(220) 및 4개의 프레임고정돌기(230)로 구성된다. 2개의 프레임연결부(220)는 전방프레임(140a)과, 후방프렝임(140b)에 연결된다. 각각의 프레임연결부(220)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프레임고정돌기(230)가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프레임연결부(220)에 2개의 프레임고정돌기(230)가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부(210)는 납작한 바(Bar) 형태를 가진다. 레일체결부(210)는 이너캐비닛(100) 내측의 양 측면의 내측에 배치된다. 레일체결부(210)는 복수의 체결홀(212)이 형성된다. 레일체결부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레일(134)을 이너캐비닛(100) 내측에 체결한다.
레일체결부(210) 일면은 레일(134)과 체결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타면에서는 프레임연결부(220)가 돌출된다. 레일체결부(210)는 일면에서 레일(134)과 맞닿고, 타면에서 이너캐비닛(100)과 맞닿는다. 레일체결부(210)는 프레임(140)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세면대 하부장(10)의 강성을 보강한다.
프레임연결부(220)는 레일체결부(210)의 타면에서 수직하게 돌출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연결부(220)는 레일체결부(210)와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연결부(220)는 이너캐비닛(100)에 형성된 브라켓관통홀(168)을 관통하여 이너캐비닛(100) 외부에 배치되는 프레임(14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연결부(220)는 프레임(140)과 맞닿는 부분에서 체결홀(222)이 형성되며,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프레임(140)에 체결된다.
프레임연결부(220)는 전방프레임(140a)과 연결되는 제1프레임연결부(212a)와 후방프레임(140b)과 연결되는 제2프레임연결부(212b)로 구분된다. 레일브라켓(200)은 2개의 프레임연결부(220)로 전방프레임(140a)과 후방프레임(140b) 각각에 체결되어 세면대 하부장(10)의 강성을 보강한다.
프레임고정돌기(230)는 프레임(140)과 맞닿은 프레임연결부(220)에서 프레임(140)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형성된다. 프레임고정돌기(230)는 프레임(140)에 형성된 돌기홈(146)으로 삽입된다. 프레임고정돌기(230)는 레일브라켓(200)과 프레임(140)간의 체결력을 강화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고정돌기(230)는 각 프레임연결부(220)에 2개씩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레임고정돌기(23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우터캐비닛(160)은 이너캐비닛(10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아우터캐비닛(160)은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수용된 모듈에 물이나 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아우터캐비닛(160)은 프레임(140)에 체결된다. 아우터캐비닛(160)은 판금소재로 세면대 하부장(10)의 강성을 보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우징(44)은 세면대나 외부로부터의 물이나 습기를 2중으로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우징(44)은 아우터캐비닛(160)이 1차적으로 외부의 물이나 습기를 차단하고, 이너캐비닛(100)이 2차적으로 차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캐비닛(160)은 이너캐비닛(100)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아우터캐비닛(162), 이너캐비닛(100)의 후면(106)에 배치되는 후면-아우터캐비닛(164) 및 이너캐비닛(100)의 하면(108)에 배치되는 베이스-아우터캐비닛(166)을 포함한다.
측면-아우터캐비닛(162)은 이너캐비닛(100)의 양측면에서 프레임과 연결된다. 측면-아우터캐비닛(162)은 이너캐비닛 외부를 커버하고, 세면대 하부장(10)의 강성을 보강한다.
후면-아우터캐비닛(164)은 이너캐비닛(100)의 후면(106)과 사이에 외부연결부(124)를 형성한다. 후면-아우터캐비닛(164)은 일측에 배수 어셈블리의 배수관(30)이나 급수어셈블리의 급수호스(26)가 관통하는 관통홀(168)이 형성된다.
베이스-아우터캐비닛(166)은 세면대 하부장(10)의 바닥면에서 유입될 수 있는 물이나 습기를 차단한다. 베이스-아우터캐비닛(166)은 이너캐비닛(100)의 하면(108) 사이에 공조장치(4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세면대 하부장 22: 세면보올
24 : 급수밸브 28 : 팝업밸브
40 : 공조장치 50 : 제1모듈
60 : 제2모듈 70 : 제3모듈
80 : 상측커버 84 : 하부장다리
100 : 이너캐비닛 122 : 모듈수용부
124 : 외부연결부 126 : 파티션블록
128 : 브라켓 관통홀 140 : 프레임
142 : 메인프레임 146 : 돌기홈
150 : 서브프레임 160 : 아우터캐비닛
168 : 관통홀 200 : 레일브라켓
210 : 레일체결부 220 : 프레임연결부
230 : 프레임고정돌기

Claims (8)

  1. 세면보올과,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캐비닛;
    상기 이너캐비닛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면장치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이너캐비닛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모듈;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에 배치된 상기 모듈을 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 및
    상기 이너캐비닛 내측에 레일을 체결하고, 상기 이너캐비닛과 상기 프레임을 고정하는 레일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브라켓은,
    상기 레일을 상기 이너캐비닛 내측에 체결하는 레일체결부; 및
    상기 이너캐비닛 외측에 배치된 상기 프레임과 체결되도록 상기 레일체결부에서 상기 이너캐비닛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프레임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캐비닛은 상기 프레임연결부가 관통하는 브라켓 관통홀이 형성된 세면대 하부장.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연결부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도록 상기 프레임연결부에서 상기 프레임방향으로 돌출된 프레임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연결부와 맞닿는 부분에서 상기 프레임고정돌기가 삽입되는 돌기홈이 형성된 세면대 하부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이너캐비닛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이너캐비닛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프레임으로 구분되고,
    상기 레일브라켓은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에 연결되는 세면대 하부장.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브라켓은
    상기 이너캐비닛 내측에서 상기 레일과 체결되는 레일체결부;
    상기 전방프레임과 체결되도록 상기 레일체결부에서 돌출형성된 제1프레임연결부; 및
    상기 후방프레임과 체결되도록 상기 레일체결부에서 돌출형성된 제2프레임연결부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이 배치된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세면대 하부장.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이너캐비닛의 둘레를 감싸는 사각링 형상을 가진 세면대 하부장.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캐비닛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는 아우터캐비닛을 더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KR1020170029735A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KR102288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35A KR102288031B1 (ko)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US15/915,401 US10718566B2 (en) 2017-03-08 2018-03-08 Washstand furniture
CN201810191505.9A CN108567358B (zh) 2017-03-08 2018-03-08 盥洗台下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35A KR102288031B1 (ko)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957A KR20180102957A (ko) 2018-09-18
KR102288031B1 true KR102288031B1 (ko) 2021-08-09

Family

ID=63444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735A KR102288031B1 (ko)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18566B2 (ko)
KR (1) KR102288031B1 (ko)
CN (1) CN1085673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1302B2 (en) 2020-01-24 2023-10-10 Kohler Co. Sink having removable apron and accessory systems
US20210230852A1 (en) * 2020-01-24 2021-07-29 Kohler Co. Sink sys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9101A1 (en) * 2003-11-10 2005-05-12 Lowe Mark J. Vanity cabinet with drawers
JP2010075326A (ja) * 2008-09-25 2010-04-08 Sun Wave Ind Co Ltd 洗面台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5329A (en) 1938-06-28 1939-10-10 Oscar G Watt Heating apparatus
US2287657A (en) 1939-11-09 1942-06-23 Douglas & Lomason Co Laudry tub cabinet
US4146405A (en) 1977-01-19 1979-03-27 Henry Timmer Unitary dishwasher
JPH02307414A (ja) 1989-05-23 1990-12-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乾燥機能付き洗面化粧台
US5522411A (en) 1994-06-30 1996-06-04 Johnson; Gloria A. Hand washing and drying equipment unit
US5702115A (en) * 1995-01-10 1997-12-30 Pool; L. Frank Patient care utility cart
US5727579A (en) 1996-05-29 1998-03-17 144 Limited Partnership Automatic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including combined blow drying means and towel dispensing means
US5934298A (en) 1997-11-14 1999-08-10 Singh; Baljit Combination sink and dishwasher
US5915851A (en) 1997-10-02 1999-06-29 Whirlpool Corporation Water dispensing and draining appliance
US6802578B1 (en) * 1999-06-22 2004-10-12 Alison C. Lang Drawer
US20070266740A9 (en) * 2000-07-25 2007-11-22 Kendall James W Vertical laundry module
KR20030035355A (ko) * 2001-10-31 2003-05-09 김정근 높낮이가 조절되는 세면대
EP1583148A4 (en) * 2003-01-08 2007-06-27 Semiconductor Energy Lab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4340566A (ja) 2003-04-22 2004-12-02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718144A (zh) * 2005-07-04 2006-01-11 黄景良 浴室之洗脸台装置
US20070157378A1 (en) * 2005-12-30 2007-07-12 Kendall James W Sink station with cover
US20080256826A1 (en) 2006-02-23 2008-10-23 Zarembinski Thomas P Drying cabinet with ventilation system
KR101253150B1 (ko) 2006-04-17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8283812B2 (en) 2007-10-09 2012-10-09 Powermat Technologies, Ltd. Inductive power providing system having moving outlets
US8245414B2 (en) 2009-09-02 2012-08-21 General Electric Company Drying drawer and method of drying
TWI524044B (zh) 2011-12-28 2016-03-01 禾波國際股份有限公司 用於纖維熱處理之烤爐
CN104272048B (zh) 2012-02-01 2017-01-18 振兴电子有限责任公司 用于干燥电子装置的方法和设备
US9887562B2 (en) * 2012-12-03 2018-02-06 Covidien Lp Smart cart
CN203106911U (zh) 2013-01-28 2013-08-07 佛山市欧威斯洁具制造有限公司 新型干燥加热装置的浴室柜
US20140366262A1 (en) 2013-06-18 2014-12-18 Robert Flynn Portable assembly for providing amenities
JP6180632B2 (ja) 2013-07-18 2017-08-16 アルフレッド ケルヒャ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ー カーゲー 可搬式硬表面洗浄器具
WO2015132655A1 (en) 2014-03-06 2015-09-11 Cnh Industrial Canada, Ltd. Dehumidifaction system and method used for drying fibers
KR102288029B1 (ko) * 2017-03-08 2021-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면대 하부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9101A1 (en) * 2003-11-10 2005-05-12 Lowe Mark J. Vanity cabinet with drawers
JP2010075326A (ja) * 2008-09-25 2010-04-08 Sun Wave Ind Co Ltd 洗面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18566B2 (en) 2020-07-21
CN108567358A (zh) 2018-09-25
US20180259259A1 (en) 2018-09-13
KR20180102957A (ko) 2018-09-18
CN108567358B (zh)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029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88028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88031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77698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344151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88030B1 (ko) 세면대 하부장
CN108567359B (zh) 洗脸台下柜
KR102284640B1 (ko) 세면대 하부장
CN108571036B (zh) 洗脸台下柜
KR102249789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90981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49790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81838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49792B1 (ko) 세면대 하부장
JPH04302667A (ja) 気泡発生浴槽を備えた浴室
JPH04302669A (ja) 気泡発生浴槽を備えた浴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