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916A - 퍼즐 게임판 - Google Patents

퍼즐 게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916A
KR20180102916A KR1020170029661A KR20170029661A KR20180102916A KR 20180102916 A KR20180102916 A KR 20180102916A KR 1020170029661 A KR1020170029661 A KR 1020170029661A KR 20170029661 A KR20170029661 A KR 20170029661A KR 20180102916 A KR20180102916 A KR 20180102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zzle
plate
board
explanation
gam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기
Original Assignee
(주)동하엠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하엠앤비 filed Critical (주)동하엠앤비
Priority to KR102017002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2916A/ko
Publication of KR20180102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즐 판에 설명 판을 더 추가 구성하고, 이 설명 판에 이미지에 관한 설명 등을 기재하여 읽으면서 퍼즐을 맞출 수 있게 구성하므로, 퍼즐을 맞추는 능력 향상과 더불어 이미지에 대한 인식 그리고 이미지에 대한 관련 내용이나 이야기 등을 함께 알 수 있게 하여 이해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명 판에 적어도 한 나의 문자 판을 갖춤으로써, 이미지에 관한 다양한 설명이나 이야기 등의 관련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퍼즐 판에 설명 판을 접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퍼즐 게임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퍼즐 게임판의 넓이를 줄일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보관하기 쉽고 필요할 때 편리하게 재미있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퍼즐 게임판{PUZZLE GAME BOARD}
본 발명은 퍼즐 게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퍼즐 조각을 맞추는 퍼즐 판의 적어도 한쪽 가장자리에 퍼즐에 관한 설명이나 관련 이야기 등을 적은 문자 판을 넘길 수 있도록 설명 판을 일체로 형성하므로, 퍼즐에 관한 설명을 미리 문자 판에 기재하여 퍼즐을 맞추는 동안 맞추는 퍼즐 이미지에 대한 설명을 볼 수 있게 하여 이해도와 집중도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즐은 풀면서 지적 만족을 얻기 위한 놀이의 한 가지로, 통상 숫자나 도형 등을 맞추는 놀이를 말한다. 특히, 이러한 퍼즐은,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정해진 크기의 퍼즐 판 위에 여러 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퍼즐 조각을 맞추도록 구성한 것이 주를 이룬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실용 제20-2016-0004119호
복수 개의 삼각블록 및 상기 복수 개의 삼각블록을 수용하는 퍼즐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삼각블록은 크기가 동일한 이등변 삼각형이며, 상기 삼각블록은 상기 퍼즐보드 내에서 밑변과 수평방향으로 또는 빗변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블록 퍼즐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삼각블록 퍼즐 게임기는 퍼즐보드 내에서 삼각블록을 수평방향과 대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다양한 경우의 수를 갖는 퍼즐 조합을 창출할 수 있고, 단순한 패턴 이미지부터 복잡한 이미지까지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며, 디테일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50298호
전구, 광다이오드 등의 '발광소재'와 '음성재생반도체', 스피커 등으로 음향소재를 사용한 삽입식 블록(BLOCK) 퍼즐로서 '말하면서 빛나는 퍼즐', '발광하면서 응답하는 퍼즐'이며 만4~5세의 유아들을 위한 '시청각교육용 완구' 이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 퍼즐블록(PIZZLE BLOCK)을 퍼즐 본체의 제자리를 찾아서 완성을 시키면 발광과 함께 맞춘 조각의 내용에 따른 소리 및 음성 (예: 엄마사진-"00야 사랑해", 장미사진-"장미", 사과그림-"사과 같은 내 얼굴 예쁘기도 하지요~")이 나오게 한 집단형, 슬라이딩 형식의 맞추는 퍼즐이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8107호
유아용 학습 블록 퍼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제모습과 같은 형태의 블록퍼즐을 통해 아이들 스스로 조립하여 캐릭터나 동물의 모습이나 소리를 직접체험하고 느끼며 창의력과 인지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블록 퍼즐 완구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기존 퍼즐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단순히 퍼즐 조각을 맞추는 데 초점이 맞춰지므로, 퍼즐 조각을 맞추는 과정을 몇 번 반복하면 그 퍼즐에 대해서 관심을 잃어버릴 우려가 있다.
(2) 퍼즐 판에 그려지는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나 해설 없이 단순히 여러 개로 나뉜 퍼즐 조각을 맞추는 게임이 대부분이므로, 이러한 이미지나 물건에 대한 개념이나 설명을 모른 채 단순 퍼즐 조각을 맞추는 데만 집중한다. 예를 들어, 퍼즐 판에 사과가 그려졌으며 이를 맞추는 퍼즐의 경우, 사과에 대한 설명이나 사과의 정의 등을 알려주지 못하므로 이미지를 통한 개략적인 인식을 하거나, 동화 속의 한 장면과 같은 퍼즐의 경우 동화 내용을 알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3) 특히, 이러한 문제는 퍼즐 판에 그려진 이미지가 단순할수록 쉽게 질리거나 싫증을 느끼게 한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16-0004119호 (공개일 : 2016.11.30)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50298호 (공개일 : 2016.12.30)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8107호 (공개일 : 2017.01.23)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퍼즐 판에 설명 판을 더 추가 구성하고, 이 설명 판에 이미지에 관한 설명 등을 기재하여 읽으면서 퍼즐을 맞출 수 있게 구성하므로, 퍼즐을 맞추는 능력 향상과 더불어 이미지에 대한 인식 그리고 이미지에 대한 관련 내용이나 이야기 등을 함께 알 수 있게 하여 이해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퍼즐 게임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명 판에 적어도 한 나의 문자 판을 갖춤으로써, 이미지에 관한 다양한 설명이나 이야기 등의 관련 내용을 전달할 수 있게 한 퍼즐 게임판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퍼즐 판에 설명 판을 접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퍼즐 게임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퍼즐 게임판의 넓이를 줄일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보관하기 쉽고 필요할 때 편리하게 재미있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퍼즐 게임판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퍼즐 게임판은, 미리 정한 크기로 이루어진 퍼즐 판(10); 및 이 퍼즐 판(100)의 한쪽 면에 맞춰서 조립하는 여러 개의 퍼즐 조각(11)을 포함하는 퍼즐에서, 상기 퍼즐 판(10)은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설명 판(20)을 더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설명 판(20)에는 퍼즐 조각(11)으로 나타난 이미지에 대한 설명을 기재한 적어도 하나의 문자 판(21)을 넘길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설명 판(20)은, 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직삼각형, 원형, 타원, 또는 폐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퍼즐 판(10)과 설명 판(20) 사이는, 접을 수 있게 연약 부분(22)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약 부분(22)은, 종이, 직물, 책자용 스프링, 또는 접을 수 있게 내는 칼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퍼즐 게임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미리 정한 이미지 형태로 퍼즐 조각을 맞추는 행위 외에, 이러한 이미지에 관한 설명이나 관련 글을 보면서 퍼즐을 맞출 수 있으므로, 이해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지에 실린 물건 등에 대해 정확한 구분과 인식을 할 수 있다.
(2) 특히, 글을 읽거나 읽어주는 내용을 들으면서 손으로 퍼즐 조각을 맞추므로 한 번에 두 가지 행동을 할 수 있어 행동 발달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3) 설명 판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퍼즐 판의 전체 형상을 더욱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이에 동화 속의 한 장면과 같은 형태로 설명 판과 퍼즐 판을 기획 제작할 수 있어 흥미 유발 효과를 통해 퍼즐 맞추기에 몰입하게 하여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4) 설명 판을 퍼즐 판에 접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쉽고 편리하게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 펼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퍼즐 게임판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일부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퍼즐 게임판에서 퍼즐 조각을 다 맞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퍼즐 게임판에서 설명 판을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퍼즐 게임판에서 퍼즐 조각을 다 맞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퍼즐 게임판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여러 개의 퍼즐 조각(11)을 포함하는 퍼즐 판(10), 그리고 이 퍼즐 판(10)의 적어도 한쪽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하는 설명 판(2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설명 판(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판(21)을 넘길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퍼즐 판(10)에 구현한 이미지와 관련된 내용이나 관련 동화 이야기 등을 기재하여 퍼즐을 맞추는 행동과 더불어 이 문자 판(21)을 통해 이해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퍼즐 판(1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미리 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한다. 이때, 한쪽 면에는 여러 개의 퍼즐 조각(11)을 끼워 맞출 수 있게 제작한다. 이러한 퍼즐 조각(11)과 퍼즐 판(10)은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설명 판(2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퍼즐 판(10)의 가장자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형성한다. 이때, 이 설명 판(20)에는 한쪽 면, 바람직하게는 퍼즐 조각(11)을 맞추는 퍼즐 판(10)과 같은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판(21)을 갖춘다. 도면에서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한 설명 판(20)을 하나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상기 문자 판(21)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퍼즐 조각(11)으로 이루어진 이미지에 관한 설명, 예를 들어서, 그 이미지가 자전거일 때 자전거에 대한 설명이나 사용 목적, 그리고 사용 방법 등을 퍼즐 이용자의 수준에 알맞게 텍스트 형태로 기재한 것을 말한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 설명은 이미지 자체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이미지가 동화 속의 한 장면의 경우, 그 동화 내용에 관한 간략한 설명 등을 기재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문자 판(21)에는 이미지 자체에 관한 설명이나 동화 내용 등 다양한 텍스트를 기재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문자 판(21)은 적어도 하나를 넘기면서 그 다음 문자 판을 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문자 판(21)은 종이와 같이 한쪽 가장자리를 풀과 같은 부착 수단으로 붙여서 하나씩 넘기게 하거나, 책자를 만들 때 사용하는 스프링 등, 통상 노트나 책장 등을 넘길 수 있게 구성하는 통상의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문자 판(21)은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설명 판(20)에 퍼즐 조각과 같이 하나씩 맞추는 방법으로 끼워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퍼즐 판(10)과 설명 판(2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접을 수 있게 구성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3]과 같이 접어서 보관 면적을 줄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접을 수 있게 구성하려고, 퍼즐 판(10)과 설명 판(20) 사이를 연약 부분(22)으로 연결한다. 이때, 연약 부분(22)으로는 종이, 직물, 책자용 스프링, 또는 접을 수 있게 내는 칼집 등 다양한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퍼즐을 맞추는 동작과 더불어 문자 판을 통해 관련 내용을 추가로 읽을 수 있어 퍼즐 이미지에 대한 이해도와 집중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퍼즐 게임판은, [도 4]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설명 판(20')의 형상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 차이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2]는, [도 4]와 같이, 설명 판(20')을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는, 퍼즐 판(10)과 다른 형태로 제작하므로, 퍼즐 판(10)과 설명 판(20)이 어우러져서 이루는 하나의 형상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설명 판(20')은 삼각형 형태뿐만 아니라, 사각형, 직사각형, 직삼각형, 원형, 타원, 및 폐곡선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설명 판(20')은 퍼즐 판에 그려지는 이미지와 관련된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명 판과 퍼즐 판이 하나로 이루어지는 전체 형상을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퍼즐 판
11 : 퍼즐 조각
20 : 설명 판
21 : 문자 판
22 : 연약 부분

Claims (4)

  1. 미리 정한 크기로 이루어진 퍼즐 판(10); 및 이 퍼즐 판(100)의 한쪽 면에 맞춰서 조립하는 여러 개의 퍼즐 조각(11)을 포함하는 퍼즐에서,
    상기 퍼즐 판(10)은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설명 판(20)을 더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설명 판(20)에는 퍼즐 조각(11)으로 나타난 이미지에 대한 설명을 기재한 적어도 하나의 문자 판(21)을 넘길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 게임판.
  2. 제1 항에서,
    상기 설명 판(20)은,
    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직삼각형, 원형, 타원, 또는 폐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 게임판.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서,
    상기 퍼즐 판(10)과 설명 판(20) 사이는,
    접을 수 있게 연약 부분(22)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 게임판.
  4. 제3 항에서,
    상기 연약 부분(22)은,
    종이, 직물, 책자용 스프링, 또는 접을 수 있게 내는 칼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 게임판.
KR1020170029661A 2017-03-08 2017-03-08 퍼즐 게임판 KR20180102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661A KR20180102916A (ko) 2017-03-08 2017-03-08 퍼즐 게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661A KR20180102916A (ko) 2017-03-08 2017-03-08 퍼즐 게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916A true KR20180102916A (ko) 2018-09-18

Family

ID=6371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661A KR20180102916A (ko) 2017-03-08 2017-03-08 퍼즐 게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29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ldstone Whaz up with our books? Changing picture book codes and teaching implications
KR101759053B1 (ko) 입체감을 갖는 색칠놀이 극장
KR102172853B1 (ko) 다기능의 입체 동화놀이 교구
US20110236119A1 (en) Block Crayon
KR20180102916A (ko) 퍼즐 게임판
Blackwell An Interview with Ntozake Shange
US9878571B2 (en) Magic window viewer, a die for cutting viewer parts, and a preprinted sheet from which to cut viewer parts
KR102105371B1 (ko)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KR20200002824U (ko) 고무 자석 블록 동화
US11325049B1 (en) Toy theater teaching tool
US20190126162A1 (en) Toy Theater
KR102162953B1 (ko)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KR101656353B1 (ko) 오감학습을 위한 팝업 북
KR200420471Y1 (ko) 케이크 상자
KR100722959B1 (ko) 케이크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인형극 연출방법
KR101529815B1 (ko) 페이퍼 토이 북
JP3132100U (ja) 遊べるぬり絵
KR100782165B1 (ko) 쿠키상자
KR101735955B1 (ko) 자석 스프링을 구비한 입체 책
Gellman Jeremy's dreidel
KR200483629Y1 (ko) 퍼즐 놀이가 가능한 서적
JP2009000948A (ja) カードブック
KR102216093B1 (ko) 문자 블록 세트
ES2907137T3 (es) Disposición constructiva introducida en juguete interactivo
KR200423613Y1 (ko) 쿠키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