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282A -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 Google Patents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282A
KR20180102282A KR1020170028691A KR20170028691A KR20180102282A KR 20180102282 A KR20180102282 A KR 20180102282A KR 1020170028691 A KR1020170028691 A KR 1020170028691A KR 20170028691 A KR20170028691 A KR 20170028691A KR 20180102282 A KR20180102282 A KR 20180102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unctional
base layer
protective lay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윤정
Original Assignee
백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윤정 filed Critical 백윤정
Priority to KR1020170028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2282A/ko
Publication of KR20180102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D21H27/004Tissue paper; Absorbent paper characterised by specific parameters
    • D21H27/005Tissue paper; Absorbent paper characterised by specific parameters relating to physical or mechanical properties, e.g. tensile strength, stretch, softness
    • D21H27/007Tissue paper; Absorbent paper characterised by specific parameters relating to physical or mechanical properties, e.g. tensile strength, stretch, softness relating to absorbency, e.g. amount or rate of water absorption, optionally in combination with other parameters relating to physical or mechan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D21H27/34Continuous materials, e.g. filaments, sheets, nets
    • D21H27/36Films made from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양면이 흡수성을 갖는 바탕층; 상기 바탕층의 노출된 양면 중 적어도 일면 또는 상기 바탕층을 겹쳤을 때 겹쳐진 면 중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바탕층보다 한정된 면적을 갖는 기능보호층; 및 상기 기능보호층 상에 배치되는 기능층;을 포함하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A absorbent paper with bio-patch sheet structure}
본 발명은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화장지 또는 티슈와 같은 양면 흡수 위생지와 달리, 이 화장지 등의 흡수체지에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 함으로써, 위생성 효과를 갖는 핀 포인트(pin-point)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멸균처리, 살균처리, 항균처리, 소취처리, 방향제처리 또는 피부보호제 처리 중 적어도 하나가 처리되거나 또는 멸균제, 살균제, 항균제, 소취제, 방향제 또는 피부보호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분포된 위생지의 위생성 기능이 유실되거나 무용화되지 않고 실효성을 갖는 양면 흡수 위생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장지나 티슈 등의 흡수 위생지는 여성들이 용변을 본 후 잔존 소변 등을 닦어내기 위하여 하루에도 여러 번씩 필수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때, 이러한 화장지나 티슈 등의 흡수 위생지에 잔존 소변 등의 수분이 조금만 묻게 되어도 이면으로 베어나와 비위생적이게 되거나 잔존 소변등을 닦기 위한 위생지로서 특화성이 없는 구조로 인하여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314464호에서는 일회용 무균화장지를 개시한 바 있으며, 상세하게는 살균 처리된 화장지 표면에 인체에 무해한 생약성분 또는 자연추출물을 소재로 한 약품을 첨가하여 세정효과 및 항균작용을 얻을 수 있는 일회용 무균 화장지를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화장지나 티슈 등의 흡수 위생지는 특화성이 없는 단순 연질의 흡수체지 재질로 되어 있어, 멸균처리, 살균처리, 항균처리, 소취처리, 방향제처리 또는 피부보호제가 처리되거나 또는 멸균제, 살균제, 항균제, 소취제, 방향제 또는 피부보호제 등의 위생성 물질이 분포되거나 혼합되어 위생성있게 만들어져도, 사용 중 잔존 소변 등의 수분이 한,두 방울만 묻어도 곧바로 이면으로 베어나와 손에 묻게 되고 불결해지다 보니 바로 버리게 되어 이러한 멸균성 피부보호제등의 인체에 유익한 물질이 피부에 접촉할 타이밍(timing) 마저도 갖지 못하고 유실 되거나 무용화됨으로써 신체 국부에 제대로 접촉되거나 흡착시키지 못하게 되어 목적했던 청결이나 위생상 효과를 제대로 가질 수 없는 실효성 없는 구조라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와 같이 종래의 화장지나 티슈 등의 흡수 위생지는 소변이나 오물 등의 수분이 묻으면 바로 이면으로 누수가 되어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31446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화장지 또는 티슈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종래의 화장지나 티슈 등의 흡수 위생지에 연계시켜 한정된 영역에 바이오팻치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양면 흡수 위생지의 사용편리성은 유지하면서 잔존 소변이 발생하는 국부 부위를 타겟(target)으로 하여 위생성 효율성이 높은 핀 포인트(pin-point) 기능의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잔존 소변 등의 수분이 발생하는 국부 부위의 한정된 영역에 맞게 바이오팻치 구조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사용성을 줄이고 필요한 부위에 바람직한 위생상 효율성을 가지며, 종래의 화장지나 티슈 등과 같이 양면 흡수 위생지의 사용 편리성을 가지면서 멸균처리, 살균처리, 항균처리, 소취제처리, 방향제처리 또는 피부보호제가 처리되거나 또는 분포된 멸균제, 살균제, 항균제, 소취제, 방향제가 국부 부위 등의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극대화하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면이 흡수성을 갖는 바탕층;
상기 바탕층의 노출된 양면 중 적어도 일면 또는 상기 바탕층을 겹쳤을 때 겹쳐진 면 중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바탕층보다 한정된 면적을 갖는 기능보호층; 및
상기 기능보호층 상에 배치되는 기능층;을 포함하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종래의 화장지나 티슈 등의 흡수 위생지의 한정된 영역에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도록 하여 종래의 화장지 등의 양면 흡수 위생지 사용의 편리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잔존 소변 등의 수분이 발생하는 국부 부위에서 위생적인 집중성을 갖는 핀 포인트 구조(pin-point)의 기능성을 갖게 되어, 위생성 향상을 위해 처리되거나 분포된 멸균성 물질 또는 피부보호제 등의 물질이 유실되거나 무용화 되지 않아 위생 기능의 실효성이 증대되는 효과와 한정된 영역의 바이오팻치의 구조로 인한 불필요한 사용성을 줄이게 됨으로써 비용의 절감성을 갖는 효율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오팻치 구조는 바탕층의 넓이, 부피 또는 재질의 특성이나 적층되는 구조에 따라 노출된 겉면이나 겹쳐진 이면으로 한정된 면적으로 배치되는 가변성을 갖는 다양한 구조의 제품 구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실시상황에 맞는 최적의 제품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한 장을 사용하여 여러 번 접어서 재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 및 경제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의 단면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6(a)는 바탕층의 노출된 양면 중 일면에 바이오팻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6(b)는 바탕층을 겹쳤을 때 겹쳐진 면 중 일면에 바이오팻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기능보호층 및 기능층을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의 단면도(a) 및 평면도(b)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바이오팻치 구조 부분에 구분 표시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9는 도 8의 양면 흡수 위생지의 두루마리 형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양면이 흡수성을 갖는 바탕층;
상기 바탕층의 노출된 양면 중 적어도 일면 또는 상기 바탕층을 겹쳤을 때 겹쳐진 면 중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바탕층보다 한정된 면적을 갖는 기능보호층; 및
상기 기능보호층 상에 배치되는 기능층;을 포함하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를 제공한다.
상기 기능층 또는 기능보호층의 면적범위나 형상은 각각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바탕층 위생지의 한정된 영역에 바이오팻치 구조를 가지고 소변 등의 수분을 빠르게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을 흡착하되 이면이나 외부로 이탈 또는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여 처리되거나 분포된 멸균제 항균제 등의 위생성 물질이 인체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접촉하여 위생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대체로 미량의 수분을 위생적으로 닦아내기 위해 사용되는데 적합성이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용변 후 잔존 소변을 닦기 위해 사용되는데 보다 효율적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를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100)는 양면이 흡수성을 갖는 바탕층(110)을 포함한다.
상기 바탕층(110)은 화장지 또는 티슈에 사용되는 양면 위생지일 수 있다.
 이에, 상기 바탕층(110)은 식물성 목재 또는 비목재를 포함하는 섬유 물질로부터 얻어진 펄프(pulp)를 원료로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 섬유" 라는 용어는 유기 및 무기 물질로 구성된 섬유를 포괄하는 말이다. 유기 섬유로는 천연 및 합성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유기 섬유로는 셀룰로오스 섬유, 양모 섬유, 견 섬유를 들 수 있다. 합성 유기 섬유로는 레이온 섬유,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지방족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섬유로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금속 섬유, 세라믹 섬유, 광물 섬유, 붕소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섬유로는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의 섬유, 및 셀룰로오스 섬유(재생 셀룰로오스 중 하나 포함)를 들 수 있다.
상기 바탕층(110)은 양면이 노출된 흡수 위생지 구조로서 수분의 침투 또는 침수가 용이한 침수성을 갖는 다공성 흡수지일 수 있다.
이때, 침수성은 수분이 용이하게 침투하는 수분 침투성 및 수분 흡수성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바탕층(110)은 멸균처리, 살균처리, 항균처리, 소취제처리, 방향제처리 및 피부보호제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해 처리된 위생성이 향상된 위생지일 수 있다.
상기 처리는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를 멸균제로 사용하는 플라즈마 멸균, 감마선을 이용한 감마살균 방식, 오존살균 또는 적외선살균 등의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위생 처리하는 공지된 여러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탕층(110)은 식물성 목재 또는 비목재를 포함하는 섬유 물질로부터 얻어진 펄프에 멸균제, 살균제, 항균제, 소취제, 방향제 및 피부보호제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분포되거나 혼합되어 제조된 위생성이 향상된 위생지일 수 있다. 
상기 물질은 요오드 또는 알콜올 등의 살균제, 피톤치트, 허브향, 라벤더, 레몬 또는 헤즐럿 등의 소취 방향제, 또는 알로에베라, 녹차, 느릅나무 또는 액기스 등의 피부보호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위생처리를 위해 공지된 통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탕층은 바이오팻치 구조가 있는 영역을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용이하도록 표시하는 구분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상기 바탕층에 바이오팻치 구조가 형성된 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구분 표시를 포함함으로써, 바이오팻치 구조의 기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구분 표시는 선, 점 또는 차별화된 색상 등으로 표시된 표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분 표시는 열이나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엠보로 형성하거나 인체 무해한 잉크 또는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색소를 이용하여 구분 선이나 점선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도 8에서와 같은 구분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분 표시는 도 8(a) 내지 도 8(d)에서와 같이 표시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구분 표시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분 표시는 도 8(a)와 같이, 바이오팻치 구조를 둘러싸는 실선(50) 및 점선(51)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도 8(c)와 같이, 점선(51)으로만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구분 표시(50)는 도 8(b)와 같이, 바이오팻치 구조의 일면 및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된 실선(52) 및 점선(53)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도 8(d)와 같이, 점선(53)으로만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바탕층(110)은 상기 바탕층의 한정된 면적에 형성된 기능층(130) 및 기능보호층(120)을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능층(130) 및 기능보호층(120)은 상기 바탕층(110)의 한정된 면적에 형성된 바이오팻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집중적인 위생성을 갖고 고흡수성 구조 및 흡수된 수분의 누수나 이탈을 막는 핀 포인트(Pin-Point)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바탕층(110)은 상기 바이오팻치 구조를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상기 바탕층의 노출된 양면 중 적어도 일면 또는 상기 바탕층을 겹쳤을 때 겹쳐진 면 중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바탕층보다 한정된 면적을 갖는 기능보호층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보호층은 상기 바탕층보다 한정된 영역을 갖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바이오팻치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의 바탕층에서 한정된 영역에 기능보호층 및 기능층이 형성된 구조를 의미한다.
이에,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기능보호층 및 기능층이 형성된 바탕층의 한정된 영역을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를 의미한다.
이에, 상기 기능보호층(120)은 도 1 및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바탕층(110, 610)의 노출된 양면 중 일면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도 3 및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바탕층(310, 610)을 겹쳤을 때 겹쳐진 면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능보호층(42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바탕층(410)의 노출된 양면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상기 바탕층의 한정된 영역에 바이오팻치 구조를 갖되, 형태 또는 위치가 제한되지 않은 바, 가변성을 갖는 다양한 구조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어, 실시 상황에 맞는 최적의 제품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기능보호층(120)은 내수성 및 수분 흡수 지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보호층(120)은 수분흡착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보호층(120)은 수분 배출 차단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상에서 수분 배출 지연성은 바탕층이나 기능층으로부터 기능보호층에 유입된 수분이 이면이나 외부로 수초 또는 수분 정도 누수가 지연되는 저밀성 내수성 구조의 특성을 의미하며, 수분배출 차단성은 수분이 이면으로 수초 또는 수분 이상 누수되지 않는 고밀성의 내수성 구조의 특성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보호층은 수분 흡수 후 수초 내지 수분 동안 수분이 배출되는 것을 지연하여 바탕층이나 기능층으로부터 유입된 수분이 이면이나 외부로 누수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보호층은 저밀성의 수분 배출 차단 구조를 갖거나, 또는 고밀성의 가용성 흡수체지에 내수성의 수분 배출 차단물질이 분포되거나 도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저밀성의 구조는 수분이 수초 내지 수분 동안은 이면으로 배출되는 것이 지연되면서 침수가 미세하게 이뤄지는 조밀한 기공성을 갖는 구조를 의미하며, 고밀성의 구조는 섬유간 기공의 밀도를 높게 가져갈 수 있게 되어 내수성 물질의 피막 형성에 공극간 효율적인 혼용 효과를 갖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에, 상기 기능보호층(120)은 종이류, 부직포류, 천류 및 이들의 혼합류 중 적어도 1종의 물질에 내수성 및 수분 배출 지연성을 갖거나 수분배출 차단성을 갖는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시트(sheet)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보호층은 내수성 및 수분 배출 지연성을 갖거나 수분배출 차단성을 갖는 멤브레인 구조, 즉, 얇은 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보호층은 종이류, 부직포류, 천류 및 이들의 혼합류 중 적어도 1종의 가용성 흡수체지에 내수성 및 수분 배출 지연성을 갖거나 수분배출 차단성을 갖는 막 구조의 필름이 접착된 형태이거나, 별도의 방수시트(sheet)형태일 수 있다.
이에, 상기 기능보호층(120)은 유입된 수분의 누수를 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기능보호층(120)은 바탕층(110) 또는 기능층(130)으로 흡수되어 상기 기능보호층(120)의 일면에 닿는 수분이 상기 기능보호층(120)을 이탈하여 기능층(130) 또는 바탕층(110)으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능보호층은 내수성 및 수분 흡수 지연성을 갖거나, 수분 흡수 차단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때, 상기 내수성 및 수분 흡수 지연성을 갖거나, 수분 흡수 차단성을 갖는 얇은 막은 2 내지 20μ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이에, 상기 기능보호층(120)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폴리비닐알콜(PVA, polyvinyl alcohol), 에틸렌비닐(EVA, ethylene vinyl), 폴리아미드(PA, polyamide) 및 나이론(nylon)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류, 고분자 화합물질의 합성수지, 자연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얻어진 실리콘(silicon)류, 왁스(wax)류, 파라핀(paraffin)류,밀납(beeswax)류, 콘스타치(constarch)를 포함하는 전분류, 풀류, 본드류 또는 식물성 오일 중 적어도 1종의 물질로 이루어졌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기능보호층은 저밀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기능보호층으로 흡수된 수분을 수초 내지 수분 동안 외부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효성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기능보호층을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를 수질환경이나 토양환경에서 생분해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면 흡수 위생지를 사용하여, 용변 후 수분을 포함하는 잔존 소변을 상기 기능보호층을 포함하는 바이오팻치 구조가 있는 부분으로 닦아낸 후 상기 위생지를 폐기하기 전까지 수초 내지 수분, 즉, 위생지를 사용하는 동안 수분 흡수를 지연하거나 수분 흡수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잔존 소변이 이면으로 누수 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저밀성으로 형성되므로, 사용 후 생분해 시키는 데 유리한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기능보호층은 종이류, 부직포류, 천류 및 이들의 혼합류 중 적어도 1종에 싸리즈(sizing)제가 포함된 구조일 수 있다.
'싸리즈(sizing)제'는 종이류나 천류 등의 셀룰로오스(cellulose) 구조에서 액체 투과나 번짐을 방지하는 화학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보호층(120)은 친수성이나 수분 흡착성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바탕층(110) 또는 기능층(130)에서 흡수된 잔존 소변 등의 수분을 빠르게 유입하거나 흡착하는 효과와 유입된 수분이 이면이나 외부로 누수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바탕층 또는 기능층의 멸균 기능이나 피부보호제 등에 의해 위생성 향상이 저하되는 문제 즉, 멸균처리, 살균처리, 항균처리, 소취제처리, 방향제처리 및 피부보호제 처리 중 적어도 하나가 처리되거나 멸균제 또는 살균제가 분포된 바탕층 또는 기능층의 위생성이 유실되거나 무용화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신체의 국부 부위에 접촉될 수 있는 실효성을 갖는다. 
상기 기능보호층은 친수성 폴리머 또는 고흡수성 수지를 더 포함하여, 수분 배출 차단성, 수분 접착성, 즉 표면에 수분 안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친수성 폴리머는 가교 폴리비닐 알콜(polyvinyl alcohol), 가교 폴리옥시에틸렌 스타치(polyoxyethylene starch)계, 고흡수성 폴리머(SAP, super absorbent polymer) 및 이들의 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스타치(starch) 계, 폴리머(polymer)계 및 셀룰오스계, 합성수지계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 적어도 1종의 고흡수성 수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수분이 습윤 되고 침투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바탕층 또는 기능층을 포함하고, 표면에 수분이 흡착 또는 안착되기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기능보호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능보호층은 수분 접촉각이 낮은 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분 접촉각은 물방울이 기능보호층 표면에 닿는 접촉각을 의미하며, 수분 접촉각이 낮은 친수성을 갖는다는 것은 물질 표면에서 물을 튕겨내는 특성, 즉, 발수성을 최소화하는 조건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수분 접촉각은 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며, 0 내지 4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등의 플라스틱(plastic)소재들은 표면이 발수성이나 소수성이기 때문에 물이 닿게되면 물을 튕겨 내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렇게 물질의 표면에서 물을 튕기는 정도는 물방울 및 물질 표면의 접촉각, 즉 수분 접촉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수분 접촉각이 클수록 물질 표면에서 물을 튕겨내는 특성, 즉, 발수성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능보호층의 수분 접촉각이 커질수록 바탕층 또는 기능층으로부터 흡수된 수분을 포함하는 소변이 역류 되거나, 외부로 이탈하는 경향이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국부 등의 피부가 청결하게 제대로 닦여지지 않게 됨으로써 피부의 건조를 방해하며, 살균 등의 위생성 물질로 인한 위생적인 효과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기능보호층은 흡수된 수분의 이탈 또는 누수를 방지하는 수분 흡수 지연성 또는 수분 흡수 차단성을 가지며, 수분 접촉각이 낮은 친수성을 가지며, 수분 흡착성을 가지므로, 물질의 발수성 또는 소수성을 최소화시키거나 와해시킬 수 있는 낮은 접촉각을 갖도록 처리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기능보호층은 수분 접촉각이 낮은 친수성 또는 수분 배출 차단성을 갖는 친수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수성의 폴리머 물질 또는 고흡수성 수지(SAP,super absorbent polymer)의 중합물질이 기능보호층 시트(sheet)에 분포시키거나 입히거나 혼합하여 수분의 접촉각이 낮은 친수성이나 수분 흡착성의 구조를 갖출 수 있다 
상기 기능보호층은 바탕층 또는 기능층으로부터 흡수되는 수분을 포함하는 소변을 신속하게 유입하는 동시에 유입된 수분이 상기 기능보호층을 이탈하거나 또는 이면으로 누수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위생성 향상을 위해 바탕층이나 기능층에 처리되거나 분포된 멸균제 피부보호제 등의 물질이 유실되거나 무용화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국부 영역에 이러한 위생성 물질의 접촉성을 좋게 하고 상기 위생성 물질의 신체 흡수력을 증진시키는 효율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100)는 상기 기능보호층(120)상에 배치되는 기능층(130)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층(130)은 상기 기능보호층과 함께 바이오팻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기능층(130)은 도 1 및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바탕층(110, 610)의 노출된 양면 중 일면에 배치된 기능보호층(12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도 3 및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바탕층(310, 610)을 겹쳤을 때 겹쳐진 면 중 일면에 배치된 기능보호층(120)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능층(43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바탕층(410)의 노출된 양면 모두에 배치된 기능보호층(420)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수분을 포함하는 소변을 신속히 흡수하고 충분히 저장하여 가둘 수 있어, 상기 수분이 기능층에 흡수된 수분이 누수 되거나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상기 바탕층의 한정된 영역에 바이오팻치 구조를 갖되, 형태 또는 위치가 제한되지 않은 바, 가변성을 갖는 다양한 구조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어, 실시 상황에 맞는 최적의 제품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기능층(130)은 종이류, 부직포류, 천류 및 이들의 혼합류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층(130)은 수분 흡수성이 우수한 섬유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섬유는 천연 셀롤로오스, 천연 유기섬유, 레이온 섬유 또는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합성섬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상기 기능층(130)은 멸균처리, 살균처리, 항균처리, 소취제처리, 방향제처리 및 피부보호제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해 처리된 위생성이 향상된 위생지일 수 있다.
상기 처리는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를 멸균제로 사용하는 플라즈마 멸균, 감마선을 이용한 감마살균 방식, 오존살균 또는 적외선 살균등의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위생처리하는 공지된 여러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층(130)은 식물성 목재 또는 비목재를 포함하는 섬유 물질로부터 얻어진 펄프에 멸균제, 살균제, 항균제, 소취제, 방향제 및 피부보호제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분포되거나 혼합되어 제조된 위생성이 향상된 위생지일 수 있다. 
상기 물질은 요오드 또는 알콜올 등의 살균제, 피톤치트, 허브향, 라벤더, 레몬 또는 헤즐럿 등의 소취 방향제, 또는 알로에베라, 녹차, 느릅나무 또는 액기스 등의 피부보호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위생처리를 위해 공지된 통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층(130)은 상기 바탕층(110)과 같거나 이보다 높은 흡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기능층(130)은 수분 흡수율 또는 수분저장성이 높은 고흡수성 수지(SAP, super absorbent polymer)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SAP)는 고흡수물질(SAM, super absorbent meterial) 또는 흡수겔물질(SGM, absorbent gel meterial)일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SAP) 중합체 물질은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으로 수분을 흡수하고 자기 무게의 수백배 이상의 수분을 흡수하고 팽윤하여 흡수된 수분을 겔(gel)상화 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은 본 특허의 한정된 영역의 바이오팻치 구조에 있어서 소변 등의 수분을 신속히 흡수하고 저장하여 가둘 수 있어 소변 등의 수분이 외부로 번져 피부에 뭍거나 수분이 다시 역류되어 피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보다 건조한 상태에서 멸균제 또는 피부보호제 등의 위생성 물질이 피부에 접촉되어 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SAP)는 기능층 및 기능보호층 모두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고흡수성 수지(SAP)는 기능층 또는 기능보호층 표면에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상기 바탕층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200)는 도 2에서와 같이, 바탕층(210), 기능보호층(220) 및 상기 바탕층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기능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능층(230)은 화장지 또는 티슈에 사용되는 양면 위생지일 수 있으며, 식물성 목재 또는 비목재를 포함하는 섬유 물질로부터 얻어진 펄프(pulp)를 원료로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능층(230)은 양면이 노출된 흡수 위생지 구조로서 수분의 침투 또는 침수가 용이한 침수성을 갖는 다공성 흡수지이며, 상기 기능보호층과 동일 또는 상이한 면적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능층(230)은 위생성 향상을 위해 상기 바탕층(210)과 서로 상이한 방법으로 처리되거나, 위생성 물질이 분포되어 복합적인 위생 향상효과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상기 바탕층(2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되거나 동일한 위생성 물질이 도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바탕층(110)의 한정된 면적에 바이오팻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사용성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고 실효성이 있는 동시에 위생성을 향상시킨 핀 포인트(Pin-Point)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위생지는 용변 후 잔존 소변 등의 수분이 발생하는 국부나 주변에 바람직한 높은 위생적인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 핀 포인트(Pin-Point)기능은 바탕층의 한정된 영역에 형성된 바이오팻치 구조에서 수분을 빠르게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을 흡착하고, 흡착한 수분의 이탈 또는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여 한정된 영역의 위생지의 수분 흡수능력을 향상시키고, 국부의 집중적인 위생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핀 포인트(Pin-Point)기능을 갖는 구조는 바탕층에 비해 차별화된 고흡수성 구조이거나 국부 등의 신체 부위에 감촉이 좋은 특화된 질감의 구조이거나 신체에 접촉성이 좋도록 하는 돌출된 구조일 수 있으며, 바이오팻치 영역에 대해 시각적으로 인지가 좋도록 하는 구분 표시 등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핀 포인트(Pin-Point)기능을 갖는 구조는 이면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수분 지연성이나 수분 차단성의 구조를 가지면서 친수성이나 흡착성의 구조를 갖도록 하여 바탕층이나 기능층으로부터 흡수되는 소변 등의 수분이 기능보호층으로 물리적 이동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 포인트(Pin-Point)기능을 갖는 구조는 자체의 흡수 역량을 증진시키는 효율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국부 등의 신체에 접촉되어 소변 등의 수분을 빠르게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이 흡착성을 갖고 이탈 또는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탕층이나 기능층의 멸균성 및 피부보호제 등의 위생상 기능이나 물질이 유실되거나 무용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실효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핀 포인트(pin-point)기능은 기능층이 높은 수분 흡수성을 가짐으로써 보다 수분 흡수력이 향상되고, 동시에 기능보호층이 수분 흡착성 및 수분 배출 차단성을 가짐으로써, 위생지의 사용상 위생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이오팻치 구조는 불필요한 사용성을 줄이는 경제성 및 용변 후 잔존 소변 등의 수분이 발생하는 국부나 주변에 신속한 흡수성이나 청결성 등의 타겟(target) 집중성의 핀 포인트(pin-point)기능의 위생성을 갖게 된다.
또한, 핀 포인트(pin-point) 기능을 갖는 상기 바이오팻치 구조는 바탕층의 여러 형태의 체형에 따라, 면적이 크게 되거나 달라지더라도 기능상 독립성을 가지고 용변 후 잔존 소변이 발생되는 국부에 맞는 한정된 영역으로 구비됨으로써 바탕층 전체가 고흡수성 구조나 특화된 재질성 또는 수분 배출 차단성 등의 구조를 가질 필요가 없어 재원의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위생 기능을 향상시키면서 위생지의 기능성, 편리성, 비용 절감성 및 사용 후 수세식 변기에서의 배수 용이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이에, 실제로 용변 후 국부나 주변에 묻어나는 잔존 소변은 대체로 몇 방울 정도의 적은 양에 지나지 않으며 이를 닦기 위해 국부나 주변에 접촉되는 위생지의 면적 또한, 일부분이므로,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에 위생상 충분한 효과를 갖는 핀 포인트(pin-point) 기능을 갖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갖는 위생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만약, 바탕층 전체 면적에 핀 포인트(pin-point) 기능을 갖는 기능층 또는 기능보호층의 기능성 구조를 가질 경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 전체 면적이 불필요하게 부피가 커지는 문제, 및 잔존 소변 등의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기 위해 고흡수성 수지(SAP) 등의 중합체 물질을 전체에 분포시킬 경우, 상기 고흡수성 수지(SAP)에 의해 물이 흡수 및 겔(gel)화 되는 현상에 의해, 해리되지 않고 위생지 전체가 종이 뭉치가 되어, 사용 후 수세식 변기 내에 버렸을 때 배수 장애를 일으켜 종래의 화장지나 티슈와 같은 변기 내에 폐기하는 편리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핀 포인트(pin-point)기능으로, 국부 등의 신체에 원터치(one-touch) 접촉만으로 누수 걱적 없이 대부분의 잔존 소변을 흡수하여 닦아내게 되고 이후 여러 차례 접어서 사용하게 되면, 최대한 습기가 제거된 상태에서 잔존 습기의 장해를 받지 않고 반복적으로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하게 됨으로써 반복되어 신체에 접촉되는 만큼 멸균 또는 피부보호제 등의 위생상 실효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한 장을 가지고도 흡수면으로 여러 번 접어서 사용할 수 있어, 재사용의 편리성 및 경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바이오팻치 구조는 신체 체형의 적합성 또는 제조상 적합성에 따라 여러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이오팻치 구조는 상기 바탕층의 면적에 비례 되거나 접어 쓰는 접지 형태의 구조에 맞춰지거나 바탕층의 부피나 두께 또는 재질의 특성이나 적층되는 구조 등의 조건에 따라 가변성을 갖는다.
상기 바이오팻치 구조의 면적은 예를 들어, 바탕층 전체 면적의 1/3 또는 1/2 범위 정도로 제시될 수 있고, 가변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상기 바이오팻치 구조가 차지하는 한정된 면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상기 바탕층 및 상기 기능보호층 사이에 추가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500)는 도 5에서와같이, 상기 바탕층(510)을 겹쳤을 때 겹쳐진 면 사이에 추가 기능층(531), 기능보호층(520) 및 기능층(53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 양면 흡수 위생지는 상기 바탕층 및 상기 바탕층을 겹쳤을 때 겹쳐진 면 중 일면에 배치된 기능보호층 사이에 추가 기능층을 포함하여, 겹쳐진 바탕층 사이에, 상기 추가 기능층, 상기 기능보호층 및 상기 기능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상기 바탕층, 기능보호층 및 기능층은 별도의 물질적인 매개체가 없이 합지시키는 초음파본딩으로 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상기 바탕층, 기능보호층 및 기능층은 열본딩,초음파본딩,적외선본딩 또는 핫멜트 중 하나의 방법 또는 풀류 또는 본드류로 합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당 업계에 공지된 접착 수단 방법으로 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700)는 도 7에서와 같이, 돌출된 구조의 기능보호층(720) 및 기능층(7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보호층(720) 및 기능층(730)이 볼록한 돌출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접촉성이 높아서, 핀 포인트 기능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900)는 두루마리 형태로 제공될 수 있어, 상용화에 용이성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양면 흡수 위생지(900)는 도 9(a) 및 9(b)와 같이 절취선을 갖는 두루마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a) 및 9(b)는 바이오팻치 영역 및 구분 표시(50, 51, 52, 53)를 포함하는 도 8의 양면 흡수 위생지를 두루마리 형태로 말은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도 8(a)의 양면 흡수 위생지를 두루마리 형태로 말은 것을 도시한 그림이고, 도 9(b)는 도 8(b)의 양면 흡수 위생지를 두루마리 형태로 말은 것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기능층으로 흡수되는 수분을 수초 내지 수분 동안 바탕층으로 확산시키지 않으므로,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닦을 때, 적어도 수초 내지 수분 동안 상기 이물질이 신체에 묻지 않으므로,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바탕층 위생지의 한정된 영역에 바이오팻치 구조를 가지고 소변 등의 수분을 빠르게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을 흡착하되 이면이나 외부로 이탈 또는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여 처리되거나 분포된 멸균제 항균제 등의 위생성 물질이 인체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접촉하여 위생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대체로 미량의 수분을 위생적으로 닦아내기 위해 사용되는데 적합성이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는 용변 후 잔존 소변을 닦기 위해 사용되는데 보다 효율적이다.
바탕층: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10, 910
기능보호층: 120, 220, 320, 420, 520, 720
기능층: 130, 230, 330, 430, 530, 730
추가 기능층: 531
구분 표시: 50, 51, 52, 53
절취선: 60

Claims (10)

  1. 양면이 흡수성을 갖는 바탕층;
    상기 바탕층의 노출된 양면 중 적어도 일면 또는 상기 바탕층을 겹쳤을 때 겹쳐진 면 중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바탕층보다 한정된 면적을 갖는 기능보호층; 및
    상기 기능보호층 상에 배치되는 기능층;을 포함하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층은
    식물성 목재 또는 비목재를 포함하는 섬유 물질로부터 얻어진 펄프를 원료로하여 만들어지며, 침수성을 갖는 다공성 흡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상기 바탕층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층 및 기능층은
    멸균처리, 살균처리, 항균처리, 소취제처리, 방향제처리 및 피부보호제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상기 바탕층과 같거나 이보다 높은 흡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종이류, 부직포류, 천류 및 이들의 혼합류 중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보호층은
    내수성 및 수분 배출 지연성을 갖거나 수분배출 차단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보호층은
    종이류, 부직포류, 천류 및 이들의 혼합류 중 적어도 1종의 물질에 내수성 및 수분 배출 지연성을 갖거나 수분배출 차단성을 갖는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시트(sheet)구조 또는 멤브레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보호층 또는 기능층은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흡수 위생지는
    상기 바탕층 및 상기 바탕층을 겹쳤을 때 겹쳐진 면 중 일면에 배치된 기능보호층 사이에 추가 기능층을 포함하여,
    겹쳐진 바탕층 사이에, 상기 추가 기능층, 상기 기능보호층 및 상기 기능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KR1020170028691A 2017-03-07 2017-03-07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KR20180102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691A KR20180102282A (ko) 2017-03-07 2017-03-07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691A KR20180102282A (ko) 2017-03-07 2017-03-07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282A true KR20180102282A (ko) 2018-09-17

Family

ID=6372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691A KR20180102282A (ko) 2017-03-07 2017-03-07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22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017B1 (ko) * 2021-04-21 2021-11-17 최한설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배변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017B1 (ko) * 2021-04-21 2021-11-17 최한설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배변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8895C2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о множеством каналов, вытянутых в продольном направлении
RU2524884C2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множеством каналов в продольном направлении
CA2331081C (en) Absorbent incontinence pads
JP6488042B1 (ja) 吸収性物品
ES2263437T3 (es) Articulo absorbente que puede descomponerse en agua.
KR20110038128A (ko) 흡수 시트 조성물
RU2428138C2 (ru) Хирургическая простыня, имеющая абсорбирующий край
KR20030027698A (ko) 흡수 구조물 및 이 흡수 구조물을 포함한 흡수 용품
JP7036674B2 (ja) 吸収性物品
CA1148302A (en) Disposable product with hydrophobic anti wetback sheet
RU2586053C2 (ru) Гигиеническое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в комплекте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быстрого прикрепления
BR102012023778B1 (pt) artigo absorvente incluindo material composto absorvente resiliente
RU2566472C2 (ru) Комплект впитывающего одноразового гигиенического изделия с присоединенным слоем для удаления
CN101683293A (zh) 包含香味散发层的吸收制品
JP6229932B2 (ja) 吸収性物品
KR20180102282A (ko) 바이오팻치 구조를 포함하는 양면 흡수 위생지
US20040267226A1 (e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in situ cover
JP6710240B2 (ja) 吸収性物品
RU2604582C2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влючающее в себя абсорбирующий слой сердцевины, имеющий свободную от материала зону, и переходный слой, расположенный под абсорбирующим слоем сердцевины
JP7098424B2 (ja) 吸収性物品
RU2389511C2 (ru) Ад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RU2604580C2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абсорбирующий слой сердцевины, имеющий свободную от материала зону, и транзитный слой, расположенный под абсорбирующим слоем сердцевины
WO2003015671A1 (fr) Agent d'absorption et article absorbant
WO2022145253A1 (ja) 機能材含有シート、吸収性物品、機能材含有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WO2023112900A1 (ja) 吸収性物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