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834A -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834A
KR20180101834A KR1020170028274A KR20170028274A KR20180101834A KR 20180101834 A KR20180101834 A KR 20180101834A KR 1020170028274 A KR1020170028274 A KR 1020170028274A KR 20170028274 A KR20170028274 A KR 20170028274A KR 20180101834 A KR20180101834 A KR 20180101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pole
forming
conductive layer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흥재
김형철
이승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8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1834A/ko
Publication of KR2018010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01L27/1158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4966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the conductor material next to the insulator being a composite material, e.g. organic material, TiN, MoSi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4983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with a lateral structure, e.g. a Polysilicon gate with a lateral doping variation or with a lateral composition variation or characterised by the sidewalls being composed of conductive, resistive or dielectric material
    • H01L29/4991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with a lateral structure, e.g. a Polysilicon gate with a lateral doping variation or with a lateral composition variation or characterised by the sidewalls being composed of conductive, resistive or dielectric material comprising an air g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9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e.g. MNOS-memory transistors
    • H01L29/7926Vertical transistors, i.e. transistors having source and drain not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신뢰성이 향상된 반도체장치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본 기술에 따른 반도체장치는 하부 구조물 상에 형성되고, 절연층과 게이트구조물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스택구조물; 및 상기 스택구조물을 관통하는 수직채널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구조물은,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을 에워싸는 제1도전층; 상기 제1도전층을 에워싸는 제2도전층; 및 상기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 사이에 위치하는 임베디드 다이폴형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3차원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는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개발되고 있다. 그 예로서, 3차원으로 배열된 메모리셀들을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3차원 반도체 장치는 교대로 적층된 절연층 및 도전층, 이들을 관통하는 수직채널구조물을 포함한다. 메모리셀들은 수직채널구조물을 따라 3차원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는, 하부 구조물 상에 형성되고, 절연층과 게이트구조물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스택구조물; 및 상기 스택구조물을 관통하는 수직채널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구조물은,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을 에워싸는 제1도전층; 상기 제1도전층을 에워싸는 제2도전층; 및 상기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 사이에 위치하는 임베디드 다이폴형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베디드 다이폴형성층은, 상기 제1도전층과 접촉하는 제1다이폴유도층; 및 상기 제1다이폴유도층과 접촉하는 제2다이폴유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다이폴유도층과 제2다이폴유도층은 상기 제1도전층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키는 다이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다이폴유도층은 상기 제2다이폴유도층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다이폴유도층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다이폴유도층은 상기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다이폴유도층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는, 하부 구조물 상에 형성되고, 절연층과 게이트구조물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스택구조물; 상기 스택구조물을 관통하는 수직채널구조물; 및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의 외벽과 게이트구조물 사이에 위치하는 제1다이폴형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구조물은, 상기 제1다이폴형성층과 접촉하는 제1도전층; 상기 제1도전층에 접촉하는 제2도전층; 및 상기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 사이에 내장된 제2다이폴형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은, 하부 구조물 상에 희생층과 절연층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몰드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몰드스택을 관통하는 제1오프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오프닝을 채우는 수직채널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를 제거하여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의 측벽을 노출시키는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세스 표면을 커버링하는 라이너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인드 리세스의 내부를 채우며, 다이폴형성층을 포함하는 게이트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은, 하부 구조물 상에 희생층과 절연층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몰드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몰드스택을 관통하는 제1오프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오프닝을 채우는 수직채널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여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의 측벽을 노출시키는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의 노출된 측벽 상에 제1다이폴형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다이폴형성층 상에 상기 리세스의 내부를 채우며, 제2다이폴형성층 및 도전층을 포함하는 게이트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임베디드 다이폴형성층을 형성하므로써 도전층의 유효일함수(effective workfunction, eWF)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국, 다이폴 엔지니어링에 의한 유효일함수 증가를 통해 백터널링(Back tunneling)이 감소하므로, 반도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제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c는 다이폴형성층에 의한 다이폴 엔지니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d는 다이폴유도층의 물질에 따른 산소원자면밀도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m은 제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j는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제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반도체장치(100)는 하부 구조물(101), 하부 구조물(101) 상에 형성되고, 절연층(111)과 게이트구조물(112)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스택구조물(110) 및 스택구조물(110)을 관통하는 수직채널구조물(120)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구조물(112)은, 수직채널구조물(120)을 에워싸는 제1도전층(113), 제1도전층(113)을 에워싸는 제2도전층(114) 및 제1도전층(113)과 제2도전층(114) 사이에 위치하는 임베디드 다이폴형성층(115)을 포함할 수 있다. 임베디드 다이폴형성층(115)은, 제1도전층(113)과 접촉하는 제1다이폴유도층(116) 및 제1다이폴유도층(116)과 접촉하는 제2다이폴유도층(1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층(116)과 제2다이폴유도층(117)은 제1도전층(113)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키는 다이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층(116)은 제2다이폴유도층(117)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층(117)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고, 제1다이폴유도층(116)은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층(116)은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고유전물질, 예컨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구조물(112)은, 임베디드 다이폴형성층(115)과 제2도전층(114)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갭(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구조물(112)은 제2도전층(114)과 접촉하는 제3도전층(1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전층(113)과 제2도전층(114)은 각각 티타늄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도전층(119)은 텅스텐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구조물(112)은 제1매립부(112A)와 제2매립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매립부(112A)는 임베디드 다이폴유도층(115), 제1도전층(113) 및 에어갭(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매립부(112B)는 제2도전층(114)과 제3도전층(119)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채널구조물(120)은, 게이트구조물(112)과 이웃하는 전하저장층(122), 전하저장층(122)과 접촉하는 터널절연층(123) 및 터널절연층(123)과 접촉하는 채널층(124)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층(124)의 내부공간은 갭필층(125)으로 채워질 수 있다. 갭필층(125) 상에 도전패드(126)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채널구조물(120)은 제1오프닝(12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오프닝(121)은 스택구조물(110)을 관통하는 형상일 수 있다. 터널절연층(123)은 채널층(124)의 외벽을 에워싸는 형상일 수 있다. 전하저장층(122)은 터널절연층(123)의 외벽을 에워싸는 형상일 수 있다.
수직채널구조물(120)은 블록킹층(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하저장층(122)의 외벽에 부분적으로 블록킹층(131)이 형성될 수 있다. 블록킹층(131)은 전하저장층(122)과 제1도전층(1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블록킹층(131)과 제1도전층(113) 사이에 라이너층(132)이 형성될 수 있다. 라이너층(132)과 블록킹층(131)은 제1도전층(113)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키는 다이폴을 형성할 수 있다. 라이너층(132)은 블록킹층(131)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킹층(131)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고, 라이너층(132)은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층(132)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층(132)은 블록킹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블록킹층(131)과 라이너층(132)에 의해 이중 블록킹층(Double blocking layer)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11) 사이의 공간은 리세스(110R)로 정의될 수 있고, 리세스(110R) 내에 게이트구조물(112)이 채워질 수 있다. 리세스(110R)의 표면은 라이너층(132)으로 라이닝될 수 있다.
이웃하는 스택구조물(110)은 제2오프닝(141)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제2오프닝(141)은 트렌치 형상일 수 있다.
스택구조물(110) 및 수직채널구조물(120)은 캡핑층(142)에 의해 커버링될 수 있다.
도 1c는 다이폴형성층(115)에 의한 다이폴 엔지니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다이폴유도층(116)은 알루미늄산화물(Al2O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층(117)은 실리콘산화물(SiO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전층(113)은 티타늄질화물(TiN)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다이폴형성층(115)에 의해 다이폴(15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다이폴유도층(116)과 제2다이폴유도층(117) 사이에 다이폴(1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층(116)의 산소(O2-)가 제2다이폴유도층(117)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다이폴유도층(116)에 양전하(Positive charge, 151)가 형성되고, 제2다이폴유전층(117)에 음전하(Negatvie charge, 15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양전하(151) 및 음전하(152)에 의해, 제2다이폴유도층(117)으로부터 제1다이폴유도층(116) 방향으로 다이폴(150)이 형성된다. 다이폴(150)에 의해 제1도전층(113)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블록킹층(131)과 라이너층(132)을 '제1다이폴형성층'이라고 지칭할 수 있고, 제1다이폴유도층(116)과 제2다이폴유도층(117)을 '제2다이폴형성층'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제2다이폴형성층에 의해 제1도전층(113)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제1다이폴형성층에 의해 제1도전층(113)의 유효일함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블록킹층(131)과 라이너층(132)에 의한 다이폴(150') 엔지니어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록킹층(131)은 실리콘산화물(SiO2)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층(132)은 알루미늄산화물(Al2O3)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산소원자면밀도를 갖는 블록킹층(131)과 라이너층(132) 사이에 다이폴(150')이 형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라이너층(132)의 산소(O2-)가 블록킹층(131)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라이너층(132)에 양전하(151)가 형성되고, 블록킹층(131)에 음전하(15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양전하(151) 및 음전하(152)에 의해, 라이너층(132)으로부터 블록킹층(131) 방향으로 다이폴(150')이 형성된다. 다이폴(150')에 의해 제1도전층(113)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d는 다이폴유도층의 물질에 따른 산소원자면밀도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d를 참조하면, 산소원자면밀도(Areal density of Oxygen atoms, σ)는 하나의 산소원자를 함유하는 단위구조의 체적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소원자면밀도(σ)는
Figure pat00001
로 정의될 수 있다. Vu는 하나의 산소원자를 함유하는 단위 구조의 체적(Volume of the unit structure containing one oxygen atom)일 수 있다. 실리콘산화물에 대한 알루미늄산화물(Al2O3)의 산소원자면밀도 비율(
Figure pat00002
)은 약 1.38일 수 있다. 실리콘산화물에 대한 하프늄산화물(HfO2)의 산소원자면밀도 비율(
Figure pat00003
)은 약 1.20일 수 있다.
한편, 이트륨산화물(Y2O3) 및 란탄늄산화물(La2O3)은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낮다. 따라서, 제1다이폴유도층(116)으로서 이트륨산화물 및 란탄늄산화물이 사용되는 경우, 제1도전층(113)의 유효일함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m은 제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구조물(11) 상에 몰드스택(M)이 형성될 수 있다. 몰드스택(M)은 절연층(12) 및 희생층(13)이 교대로 적층될 수 있다. 절연층(12) 및 희생층(13)은 각각 복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2) 및 희생층(13)의 적층 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절연층(12) 및 희생층(13)은 하부구조물(11)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반복하여 적층될 수 있다. 절연층(12)과 희생층(13)은 화학기상증착법(CVD) 또는 원자층증착법(ALD)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최상부에 형성되는 절연층(12)은 후속 공정들에 의해 어택을 받아서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최상부 절연층(12)은 하부의 다른 절연층(12)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희생층(13) 각각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절연층(12) 및 희생층(13)은 동일한 식각용액에 대해 서로 다른 식각선택비를 갖는 물질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희생층(13)은 절연층(12)과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희생층(13)은 절연층(12)에 대한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희생층(13)은 습식식각 공정을 통해 빠르게 제거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다. 절연층(12)은 실리콘산화물 또는 실리콘질화물일 수 있고, 희생층(13)은 절연층(12)에 대해 식각 선택비가 있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희생층(13)은 실리콘산화물, 실리콘질화물, 실리콘 카바이드, 실리콘 또는 실리콘 게르마늄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연층(12)은 실리콘산화물일 수 있고, 희생층(13)은 실리콘질화물일 수 있다.
하부 구조물(11)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구조물(11)은 기판 내에 불순물을 주입하여 형성한 소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구조물(11)은 기판 상에 도프드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형성한 소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구조물(11)은 내부에 파이프 트렌치가 형성된 파이프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구조물(11)은 기판 및 기판 상의 식각정지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오프닝(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오프닝(14)은 몰드스택(M)을 식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12) 및 희생층(13)을 순차적으로 이방성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오프닝(14)을 형성하기 위해 식각마스크층(도시 생략)이 사용될 수 있다. 제1오프닝(14)의 저면에는 하부구조물(11)의 표면이 노출될 수 있다. 제1오프닝(14)은 홀 형상(Hole shape)일 수 있다. 예컨대, 평면상(Top view)으로 볼 때, 제1오프닝(14)은 서클 형상(Circle shape)의 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1오프닝(14)을 포함하는 몰드스택패턴(M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오프닝(14)은 하부구조물(11)의 표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오프닝(14)은 '채널홀'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평면상으로 볼 때, 제1오프닝(14)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홀어레이(Hole array) 구조일 수 있다. 제1오프닝(14) 형성 시, 하부구조물(11)의 표면이 과도 식각(Over etch)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오프닝(14) 내에 전하저장물질(15A)이 형성될 수 있다. 전하저장물질(15A)은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하저장물질(15A)은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하저장물질(15A)은 제1오프닝(14)의 저면 및 측벽들을 덮으면서 몰드스택패턴(M1)의 상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전하저장물질(15A) 상에 터널절연물질(16A)이 형성될 수 있다. 터널절연물질(16A)은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터널절연물질(16A)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터널절연물질(16A)은 전하저장물질(15A) 상에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터널절연물질(16A) 상에 채널물질(17A)이 형성될 수 있다. 채널물질(17A)은 반도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물질(17A)은 다결정 반도체 물질, 비정질 반도체 물질, 또는 단결정 반도체 물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물질(17A)은 실리콘(Si), 게르마늄(Ge), 실리콘게르마늄(SiGe), Ⅲ-Ⅴ족 화합물 또는 Ⅱ-Ⅵ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물질(17A)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물질(17A)은 전하저장물질(16A) 상에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하저장물질(15A), 터널절연물질(16A) 및 채널물질(17A)은 화학기상증착법(CVD) 또는 원자층증착법(AL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물질(17A), 터널절연물질(16A) 및 전하저장물질(15A)이 선택적으로 식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오프닝(14) 내부에 채널층(17), 터널절연층(16) 및 전하저장층(15)이 잔류할 수 있다. 채널물질(17A), 터널절연물질(16A) 및 전하저장물질(15A)은 에치백 공정에 의해 식각될 수 있다. 제1오프닝(14)의 저면에 위치하는 채널물질(17A), 터널절연물질(16A) 및 전하저장물질(15A)이 제거될 수 있다. 아울러, 몰드스택패턴(M1) 상부면에 위치하는 터널절연물질(16A) 및 전하저장물질(15A)이 제거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오프닝(14)의 측벽에 채널층(17), 터널절연층(16) 및 전하저장층(15)이 형성될 수 있다. 채널층(17), 터널절연층(16) 및 전하저장층(15)은 제1오프닝(14)의 측벽에 스페이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채널층(17), 터널절연층(16) 및 전하저장층(15)은 상단 및 하단이 오픈된 형상(Opened shape)일 수 있다. 전하저장층(15)은 몰드스택패턴(M1)과 접촉할 수 있다. 채널층(17)은 내부공간(inner space, 18A)을 갖는 튜브 형상(tube shape)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층(17)은 상단 및 하단이 오픈된 형상일 수 있다. 채널층(17), 터널절연층(16) 및 전하저장층(15)의 바닥면들은 동일 레벨일 수 있다. 동일 레벨로 바닥면들을 형성하기 위해, 에치백 공정 이후에 추가 식각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층(17)의 내부 공간(18A)은 갭필물질로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갭필물질은 희생층(13)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갭필물질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갭필물질이 제1오프닝(14)의 상부면보다 낮아지게 되도록 갭필물질을 에치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갭필층(18)이 형성될 수 있다.
후속하여, 갭필층(18) 상에 제1오프닝(14)을 완전히 채우도록 반도체물질을 형성하고, 몰드스택패턴(M1)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반도체물질을 평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갭필층(18) 상에 도전패드(19)가 형성될 수 있다. 채널층(17)의 내부 공간(18A)은 갭필층(18) 및 도전패드(19)로 채워질 수 있다. 채널층(17) 및 도전패드(19)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패드(19)는 채널층(17)과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도전패드(19)는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패드(19)는 불순물로 도핑된 폴리실리콘일 수 있다.
채널층(17), 터널절연층(16), 전하저장층(15), 갭필층(18) 및 도전패드(19)를 통틀어, 수직채널구조물(P) 또는 필라구조물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채널구조물(P)은 제1오프닝(14)을 채울 수 있고, 수직채널구조물(P)의 상부면은 몰드스택패턴(M1)의 상부면과 동일 레벨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층(17)은 제1오프닝(14)의 중심 영역이 채워지도록 오프닝(14)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이때, 갭필층(18)은 생략될 수 있고, 도전패드(19)는 채널층(17)의 최상부에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오프닝(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오프닝(21)을 형성하기 위해, 수직채널구조물(P) 사이의 몰드스택패턴(M1)이 식각될 수 있다. 예컨대, 수직채널구조물(P) 사이의 절연층(12) 및 희생층(13)이 선택적으로 식각될 수 있다. 제2오프닝(21)의 형상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오프닝(21)은 제1오프닝(14)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라인 형상일 수 있다. 제2오프닝(21)은 트렌치 형상(Trench shape)일 수 있다. 제2오프닝(21)에 의해 하부구조물(11)의 상부면 및 절연층(12) 및 희생층(13)의 측벽들이 노출될 수 있다. 제2오프닝(21)에 의해 몰드스택패턴(M2)이 정의될 수 있다. 제2오프닝(21)은 수직채널구조물(P)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오프닝(21)을 형성하기 전에, 캡핑층(20)이 형성될 수 있다. 캡핑층(20)은 제2오프닝(21)을 형성하는 동안에 수직채널구조물(P)을 보호할 수 있다. 캡핑층(20)은 마스크층(도시 생략)에 의해 패터닝된 구조일 수 있다. 캡핑층(20)은 절연층(12) 및 희생층(13)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캡핑층(20)은 실리콘산화물 또는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오프닝(21)은 '슬릿'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리세스(22)가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22)를 형성하기 위해, 제2오프닝(21)의 측벽들을 통해 노출된 희생층(13)을 식각 공정으로 제거할 수 있다. 리세스(22) 각각은 수직채널구조물(P)의 측벽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리세스(22)는 '횡방향 리세스'라고 지칭될 수 있다. 리세스(22)를 형성하기 위해, 희생층(13)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희생층(13)이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희생층(13)은 인산(H3PO4) 용액을 식각 용액으로 사용하는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희생층(13)의 제거에 의해 복수의 절연층(12) 사이에 리세스(22)가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22)에 의해 전하저장층(15)의 측벽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킹층(23)이 형성될 수 있다. 블록킹층(23)은 전하저장층(15)의 노출된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블록킹층(23)은 산소원자면밀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킹층(23)은 전하저장층(15)의 노출된 측벽을 산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블록킹층(23)은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킹층(23)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물질(24A)이 형성될 수 있다. 라이너물질(24A)은 리세스(22) 및 블록킹층(23)을 컨포말하게 커버링할 수 있다. 라이너물질(24A)은 고유전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물질(24A)은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일 수 있다. 고유전물질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산화물과 하프늄산화물은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이다. 본 실시예에서, 라이너물질(24A)은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고유전물질, 즉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물질(24A)은 블록킹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블록킹층(23)과 라이너물질(24A)에 의해 이중 블록킹층(Double blocking layer)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라이너물질(24A)로 라이닝된 리세스(22)는, '라인드 리세스(Lined recess)'라고 지칭할 수 있다.
라인드 리세스(22), 즉 라이너물질(24A)이 형성된 리세스(22) 상에 제1도전물질(25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전물질(25A)은 라이너물질(24A) 상에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전물질(25A)은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도전물질(25A)은 티타늄질화물(Ti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전물질(25A)은 화학양론적 조성을 갖는 티타늄질화물(Ti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전물질(25A) 상에 제1다이폴유도물질(26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물질(26A)은 제1도전물질(25A) 상에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물질(26A)은 산소함유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물질(26A)은 고유전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물질(26A)은 산소원자면밀도(Areal density of Oxygen atoms, σ)가 높은 물질일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물질(26A)은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σ)가 높은 물질일 수 있다 예컨대, 실리콘산화물의 산소원자면밀도(σ)가 1이라고 할 때, 제1다이폴유도물질(26A)은 1보다 큰 산소원자면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물질(26A)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제1다이폴유도물질(26A) 상에서 리세스(22)를 채울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리세스(22) 내에 위치하는 에어갭(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산소함유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산소원자면밀도(σ)가 낮은 물질일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제1다이폴유도물질(26A)보다 산소원자면밀도(σ)가 낮은 물질일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극저온산화물(ULTO; Ultra Low Temperature Oxid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제1다이폴유도물질(26A)과 접촉할 수 있다.
도 2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이 선택적으로 식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세스(22) 내부에 제2다이폴유도층(27)이 잔류할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층(27)의 외측에 에어갭(28G)이 잔류할 수 있다. 에어갭(28G)은 초기 에어갭(28)보다 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후에, 제1다이폴유도물질(26A) 및 제1도전물질(25A)이 선택적으로 식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세스(22) 내부에 제1다이폴유도층(26) 및 제1도전층(25)이 잔류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층(26) 및 제1도전층(25)은 제2다이폴유도층(27)의 일측 끝단에 정렬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공정에 의해, 리세스(22) 내부에는 제1도전층(25), 제1다이폴유도층(26), 제2다이폴유도층(27) 및 에어갭(28G)에 의해 부분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층(26)과 제2다이폴유도층(27)은 서로 다른 산소원자면밀도를 갖기 때문에, 제1다이폴유도층(26)과 제2다이폴유도층(27) 사이에 다이폴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이폴 엔지니어링은 도 1c와 동일할 수 있다. 부연하면, 제1다이폴유도층(26)의 산소가 제2다이폴유도층(27)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다이폴유도층(26)에 양전하(Positive charge)가 형성되고, 제2다이폴유전층(27)에 음전하(Negatvie charge)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양전하 및 음전하에 의해, 제2다이폴유도층(27)으로부터 제1다이폴유도층(26) 방향으로 다이폴이 형성된다. 다이폴에 의해 제1도전층(25)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도전층(25)의 유효일함수가 증가하면, 백터널링(Back tunneling)이 감소될 수 있다. 백터널링이 감소하므로, 반도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도전층(25)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제1도전층(25)에 접촉하는 제1다이폴유도층(26)이 높은 산소원자면밀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한편, 제1다이폴유도층(26)이 제2다이폴유도층(27)보다 낮은 산소원자면밀도를 갖는 경우, 제1도전층(25)의 유효일함수가 감소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층(26)과 제2다이폴유도층(27)은 다이폴형성층(DF)이 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층(26)은 '제1산소함유층'이라고 지칭될 수 있고, 제2다이폴유도층(27)은 '제2산소함유층'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산소함유층은 제2산소함유층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일 수 있다.
도 2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전물질(29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전물질(29A)은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전물질(29A)과 제1도전층(25)은 동일 물질일 수 있다. 제2도전물질(29A)은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도전물질(29A)은 티타늄질화물(TiN)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전물질(29A) 상에 리세스(22)를 완전히 채우는 제3도전물질(3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3도전물질(30A)은 저저항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도전물질(30A)은 제1도전층(25) 및 제2도전물질(29A)보다 저항이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도전물질(30A)은 금속-베이스 물질일 수 있다. 제3도전물질(30A)은 금속, 금속 실리사이드, 금속 질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은 니켈, 코발트, 플래티늄, 타타늄, 탄탈륨 또는 텅스텐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실리사이드는 니켈 실리사이드, 코발트 실리사이드, 플래티늄 실리사이드, 티타늄 실리사이드, 탄탈륨 실리사이드 또는 텅스텐 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도전물질(30A)은 텅스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전층(29) 및 제3도전층(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전층(29)는 제2도전물질(29A)의 등방성식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3도전층(30)는 제3도전물질(30A)의 등방성식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전층(29) 및 제3도전층(30)은 리세스(22)의 나머지 부분을 완전히 채울 수 있다. 제2도전층(29)에 의해 에어갭(28G)이 캡핑될 수 있다. 에어갭(28G)은 제2도전층(29)과 제2다이폴유도층(27)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라이너물질(24A)이 식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세스(22) 내부에 라이너층(24)이 잔류할 수 있다. 라이너물질(24A)은 등방성식각에 의해 식각될 수 있다. 라이너층(24)은 제1도전층(25) 및 제2도전층(29)과 접촉할 수 있다. 라이너층(24)은 블록킹층(23) 및 절연층(12)과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라이너물질(24A)은 식각되지 않을 수 있다.
위와 같이, 리세스(22)의 내부는 라이너층(24), 제1매립부(R1)와 제2매립부(R2)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리세스(22)의 표면은 라이너층(24)에 의해 라이닝될 수 있다. 제1매립부(R1)는 리세스(22)의 안쪽 부분을 채울 수 있고, 제2매립부(R2)는 리세스(22)의 바깥 부분을 채울 수 있다. 제1매립부(R1)는 이너 필구조(Inner fill structure)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제1매립부(R1)는 제1도전층(25), 제1다이폴유도층(26), 제2다이폴유도층(27) 및 에어갭(28G)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매립부(R2)는 제2도전층(29) 및 제3도전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매립부(R1)와 제2매립부(R2)는 제1도전층(25)과 제2도전층(29)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도전층(25)은 '제1배리어층'이라고 지칭될 수 있고, 제2도전층(29)은 '제2배리어층'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3도전층(30)이 텅스텐을 포함하는 경우, 게이트구조물은 텅스텐 부분 채움 구조(W partial fill structure)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제1매립부(R1)와 제2매립부(R2)는 '게이트구조물'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1도전층(25), 제2도전층(29) 및 제3도전층(30)은 게이트전극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구조물은 에어갭(28G), 다이폴형성층(DF) 및 게이트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다이폴형성층(DF) 및 에어갭(28G)은 게이트구조물 내부에 내장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다이폴형성층(DF)은 '임베디드 다이폴형성층(embedded dipole layer)'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게이트구조물은 수직채널구조물(P)을 에워싸는 형상일 수 있다. 제1매립부(R1)는 수직채널구조물(P)의 측벽을 에워싸는 형상일 수 있다. 제2매립부(R2)는 제1매립부(R1)를 에워싸는 형상일 수 있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100M)는 블록킹층(131')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b의 반도체장치(10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장치(100M)는 하부 구조물(101), 하부 구조물(101) 상에 형성되고, 절연층(111)과 게이트구조물(112)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스택구조물(110) 및 스택구조물(110)을 관통하는 수직채널구조물(120)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구조물(112)은, 수직채널구조물(120)을 에워싸는 제1도전층(113), 제1도전층(113)을 에워싸는 제2도전층(114) 및 제1도전층(113)과 제2도전층(114) 사이에 위치하는 임베디드 다이폴형성층(115)을 포함할 수 있다. 임베디드 다이폴형성층(115)은, 제1도전층(113)과 접촉하는 제1다이폴유도층(116) 및 제1다이폴유도층(116)과 접촉하는 제2다이폴유도층(1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층(116)과 제2다이폴유도층(117)은 제1도전층(113)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키는 다이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층(116)은 제2다이폴유도층(117)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층(117)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고, 제1다이폴유도층(116)은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층(116)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구조물(112)은, 임베디드 다이폴형성층(115)과 제2도전층(114)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갭(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구조물(112)은 제2도전층(114)과 접촉하는 제3도전층(1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전층(113)과 제2도전층(114)은 각각 티타늄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도전층(119)은 텅스텐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구조물(112)은 제1매립부(112A)와 제2매립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매립부(112A)는 임베디드 다이폴유도층(115), 제1도전층(113) 및 에어갭(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매립부(112B)는 제2도전층(114)과 제3도전층(119)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채널구조물(120)은, 게이트구조물(112)과 접촉하는 블록킹층(131'), 블록킹층(131')과 접촉하는 전하저장층(122), 전하저장층(122)과 접촉하는 터널절연층(123) 및 터널절연층(123)과 접촉하는 채널층(124)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층(124)의 내부공간은 갭필층(125)으로 채워질 수 있다. 갭필층(125) 상에 도전패드(126)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채널구조물(120)은 제1오프닝(12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오프닝(121)은 스택구조물(110)을 관통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의 반도체장치(100M)는 수직채널구조물(120)의 최외벽에 블록킹층(131')이 위치할 수 있다. 블록킹층(131')은 전하저장층(122)의 외벽을 풀리 커버링할 수 있다. 블록킹층(131')의 높이는 전하저장층(122)과 동일할 수 있다. 블록킹층(131')은 전하저장층(122)과 제1도전층(1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블록킹층(131')과 제1도전층(113) 사이에 라이너층(132)이 형성될 수 있다. 라이너층(132)과 블록킹층(131')은 상기 제1도전층(113)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키는 다이폴을 형성할 수 있다. 라이너층(132)은 블록킹층(131')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킹층(131')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고, 라이너층(132)은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층(132)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층(132)은 블록킹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블록킹층(131')과 라이너층(132)에 의해 이중 블록킹층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11) 사이의 공간은 리세스(110R)로 정의될 수 있고, 리세스(110R) 내에 게이트구조물(112)이 채워질 수 있다. 리세스(110R)의 표면은 라이너층(132)으로 라이닝될 수 있다.
이웃하는 스택구조물(110)은 제2오프닝(141)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제2오프닝(141)은 트렌치 형상일 수 있다.
스택구조물(110) 및 수직채널구조물(120)은 캡핑층(142)에 의해 커버링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j는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중 몰딩스택(M) 형성부터 제1오프닝(14)의 형성까지의 제조 방법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조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오프닝(14) 내에 블록킹물질(23A)이 형성될 수 있다. 블록킹물질(23A)은 실리콘산화물 또는 고유전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킹물질(23A)은 단일 층 또는 복수의 층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로킹물질(23A)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는 단일 층일 수 있다.
블록킹물질(23A) 상에 전하저장물질(15A)이 형성될 수 있다. 전하저장물질(15A)은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하저장물질(15A)은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하저장물질(15A)은 제1오프닝(14)의 저면 및 측벽들을 덮으면서 몰드스택패턴(M1)의 상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전하저장물질(15A) 상에 터널절연물질(16A)이 형성될 수 있다. 터널절연물질(16A)은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터널절연물질(16A)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터널절연물질(16A) 상에 채널물질(17A)이 형성될 수 있다. 채널물질(17A)은 반도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물질(17A)은 다결정 반도체 물질, 비정질 반도체 물질, 또는 단결정 반도체 물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물질(17A)은 실리콘(Si), 게르마늄(Ge), 실리콘게르마늄(SiGe), Ⅲ-Ⅴ족 화합물,및/또는 Ⅱ-Ⅵ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물질(17A)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킹물질(23A), 전하저장물질(15A), 터널절연물질(16A) 및 채널물질(17A)은 화학기상증착법(CVD) 또는 원자층증착법(AL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물질(17A), 터널절연물질(16A), 전하저장물질(15A) 및 블록킹물질(23A)이 선택적으로 식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오프닝(14) 내부에 채널층(17), 터널절연층(16), 전하저장층(15) 및 블록킹층(23')이 잔류할 수 있다. 채널물질(17A), 터널절연물질(16A), 전하저장물질(15A) 및 블록킹물질(23A)은 에치백 공정에 의해 식각될 수 있다. 제1오프닝(14)의 저면에 위치하는 채널물질(17A), 터널절연물질(16A), 전하저장물질(15A) 및 블록킹물질(23A)이 제거될 수 있다. 아울러, 몰드스택패턴(M1) 상부면에 위치하는 채널물질(17A), 터널절연물질(16A), 전하저장물질(15A) 및 블록킹물질(23A)이 제거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오프닝(14)의 내측벽에 채널층(17), 터널절연층(16), 전하저장층(15) 및 블록킹층(23')이 형성될 수 있다. 채널층(17), 터널절연층(16), 전하저장층(15) 및 블록킹층(23')은 제1오프닝(14)의 내벽에 스페이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채널층(17), 터널절연층(16), 전하저장층(15) 및 블록킹층(23')은 상단 및 하단이 오픈된 형상(Opened shape)일 수 있다. 블록킹층(23')은 몰드스택패턴과 접촉할 수 있다. 채널층(17)은 내부공간(inner space, 18A)을 갖는 튜브 형상(tube shape)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층(17)은 상단 및 하단이 오픈된 형상일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층(17)의 내부 공간(18A)은 갭필물질로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갭필물질은 희생층(13)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갭필물질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갭필물질이 제1오프닝(14)의 상부면보다 낮아지게 되도록 갭필물질을 에치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갭필층(18)이 형성될 수 있다.
후속하여, 갭필층(18) 상에 제1오프닝(14)을 완전히 채우도록 반도체물질을 형성하고, 몰드스택패턴(M1)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반도체물질을 평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갭필층(18) 상에 도전패드(19)가 형성될 수 있다. 채널층(17)의 내부 공간은 갭필층(18) 및 도전패드(19)로 채워질 수 있다. 채널층(17) 및 도전패드(19)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패드(19)는 채널층(17)과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도전패드(19)는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패드(19)는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채널층(17), 터널절연층(16), 전하저장층(15), 블록킹층(23'), 갭필층(18) 및 도전패드(19)를 통틀어, 수직채널구조물(P) 또는 필라구조물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채널구조물(P)은 제1오프닝(14)을 채울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층(17)은 제1오프닝(14)의 중심 영역이 채워지도록 오프닝(14)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이때, 갭필층(18)은 생략될 수 있다. 도전패드(19)는 채널층(17)의 최상부에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오프닝(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오프닝(21)을 형성하기 위해, 수직채널구조물(P) 사이의 몰드스택패턴(M1)의 일부가 식각될 수 있다. 예컨대, 수직채널구조물(P) 사이의 절연층(12) 및 희생층(13)이 선택적으로 식각될 수 있다. 제2오프닝(21)의 형태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오프닝(21)은 제1오프닝(14)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라인 형상일 수 있다. 제2오프닝(21)은 트렌치 형상일 수 있다. 제2오프닝(21)에 의해 하부구조물(11)의 상부면 및 절연층(12) 및 희생층들(13)의 측벽들이 노출될 수 있다. 제2오프닝(21)에 의해 몰드스택패턴(M2)이 정의될 수 있다. 제2오프닝(21)은 수직채널구조물(P)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오프닝(21)을 형성하기 전에, 캡핑층(20)이 형성될 수 있다. 캡핑층(20)은 제2오프닝(21)을 형성하는 동안에 수직채널구조물(P)을 보호할 수 있다. 캡핑층(20)은 마스크층(도시 생략)에 의해 패터닝된 구조일 수 있다. 캡핑층(20)은 절연층(12) 및 희생층(13)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캡핑층(20)은 실리콘산화물 또는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오프닝(21)은 '슬릿'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리세스(22)가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22)를 형성하기 위해, 제2오프닝(21)의 측벽들을 통해 노출된 희생층(13)을 식각 공정으로 제거할 수 있다. 리세스(22) 각각은 수직채널구조물(P)의 측벽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리세스(22)는 '횡방향 리세스'라고 지칭될 수 있다. 리세스(22)를 형성하기 위해, 희생층(13)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희생층(13)이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희생층(13)은 인산(H3PO4) 용액을 식각 용액으로 사용하는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희생층(13)의 제거에 의해 복수의 절연층(12) 사이에 리세스(22)가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22)에 의해 블록킹층(23')의 측벽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물질(24A)이 형성될 수 있다. 라이너물질(24A)은 리세스(22)를 컨포말하게 커버링할 수 있다. 라이너물질(24A)은 고유전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물질(24A)은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일 수 있다. 고유전물질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산화물과 하프늄산화물은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이다. 본 실시예에서, 라이너물질(24A)은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고유전물질, 즉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물질(24A)은 블록킹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블록킹층(23')과 라이너물질(24A)에 의해 이중 블록킹층(Double blocking layer)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라이너물질(24A)로 라이닝된 리세스(22)는, '라인드 리세스(Lined recess)'라고 지칭할 수 있다.
라인드 리세스(22), 즉 라이너물질(24A)이 형성된 리세스(22) 상에 제1도전물질(25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전물질(25A)은 라이너물질(24A) 상에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전물질(25A)은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도전물질(25A)은 티타늄질화물(Ti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전물질(25A) 상에 제1다이폴유도물질(26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물질(26A)은 제1도전물질(25A) 상에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물질(26A)은 산소함유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물질(26A)은 고유전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물질(26A)은 산소원자면밀도(σ)가 높은 물질일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물질(26A)은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σ)가 높은 물질일 수 있다 예컨대, 제1다이폴유도물질(26A)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제1다이폴유도물질(26A) 상에서 리세스(22)를 채울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리세스(22) 내에 위치하는 에어갭(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산소함유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산소원자면밀도(σ)가 낮은 물질일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제1다이폴유도물질(26A)보다 산소원자면밀도(σ)가 낮은 물질일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극저온산화물(ULTO)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은 제1다이폴유도물질(26A)과 접촉할 수 있다.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이 선택적으로 식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세스(22) 내부에 제2다이폴유도층(27)이 잔류할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층(27)의 외측에 에어갭(28G)이 잔류할 수 있다. 에어갭(28G)은 초기 에어갭(28)보다 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제2다이폴유도물질(27A)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후에, 제1다이폴유도물질(26A) 및 제1도전물질(25A)이 선택적으로 식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세스(22) 내부에 제1다이폴유도층(26) 및 제1도전층(25)이 잔류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층(26) 및 제1도전층(25)은 제2다이폴유도층(27)의 일측 끝단에 정렬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공정에 의해, 리세스(22) 내부에는 제1도전층(25), 제1다이폴유도층(26), 제2다이폴유도층(27) 및 에어갭(28G)에 의해 부분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층(26)과 제2다이폴유도층(27)은 서로 다른 산소원자면밀도를 갖기 때문에, 제1다이폴유도층(26)과 제2다이폴유도층(27) 사이에 다이폴이 형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제1다이폴유도층(26)의 산소가 제2다이폴유도층(27)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다이폴유도층(26)에 양전하(Positive charge)가 형성되고, 제2다이폴유전층(27)에 음전하(Negatvie charge)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양전하 및 음전하에 의해, 제2다이폴유도층(27)으로부터 제1다이폴유도층(26) 방향으로 다이폴이 형성된다. 다이폴에 의해 제1도전층(25)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도전층(25)의 유효일함수가 증가하면, 백터널링(Back tunneling)이 감소될 수 있다. 백터널링이 감소하므로, 반도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도전층(25)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제1도전층(25)에 접촉하는 제1다이폴유도층(26)이 높은 산소원자면밀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한편, 제1다이폴유도층(26)이 제2다이폴유도층(27)보다 낮은 산소원자면밀도를 갖는 경우, 제1도전층(25)의 유효일함수가 감소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층(26)과 제2다이폴유도층(27)은 다이폴형성층(DF)이 될 수 있다. 제1다이폴유도층(26)은 '제1산소함유층'이라고 지칭될 수 있고, 제2다이폴유도층(27)은 '제2산소함유층'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산소함유층은 제2산소함유층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일 수 있다.
도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전물질(29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전물질(29A)은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전물질(29A)과 제1도전층(25)은 동일 물질일 수 있다. 제2도전물질(29A)은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도전물질(29A)은 티타늄질화물(TiN)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전물질(29A) 상에 리세스(22)를 완전히 채우는 제3도전물질(3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3도전물질(30A)은 저저항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도전물질(30A)은 제1도전층(25) 및 제2도전물질(29A)보다 저항이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도전물질(30A)은 금속-베이스 물질일 수 있다. 제3도전물질(30A)은 금속, 금속 실리사이드, 금속 질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은 니켈, 코발트, 플래티늄, 타타늄, 탄탈륨 또는 텅스텐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실리사이드는 니켈 실리사이드, 코발트 실리사이드, 플래티늄 실리사이드, 티타늄 실리사이드, 탄탈륨 실리사이드 또는 텅스텐 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도전물질(30A)은 텅스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전층(29) 및 제3도전층(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전층(29)는 제2도전물질(29A)의 등방성식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3도전층(30)는 제3도전물질(30A)의 등방성식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전층(29) 및 제3도전층(30)은 리세스(22)의 나머지 부분을 완전히 채울 수 있다. 제2도전층(29)에 의해 에어갭(28G)이 캡핑될 수 있다. 에어갭(28G)은 제2도전층(29)과 제2다이폴유도층(27)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라이너물질(24A)이 식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세스(22) 내부에 라이너층(24)이 잔류할 수 있다. 라이너물질(24A)은 등방성식각에 의해 식각될 수 있다. 라이너층(24)은 제1도전층(25) 및 제2도전층(29)과 접촉할 수 있다. 라이너층(24)은 블록킹층(23') 및 절연층(12)과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라이너물질(24A)은 식각되지 않을 수 있다.
위와 같이, 리세스(22)의 내부는 라이너층(24), 제1매립부(R1)와 제2매립부(R2)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리세스(22)의 표면은 라이너층(24)에 의해 라이닝될 수 있다. 제1매립부(R1)는 리세스(22)의 안쪽 부분을 채울 수 있고, 제2매립부(R2)는 리세스(22)의 바깥 부분을 채울 수 있다. 제1매립부(R1)는 제1도전층(25), 제1다이폴유도층(26), 제2다이폴유도층(27) 및 에어갭(28G)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매립부(R2)는 제2도전층(29) 및 제3도전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매립부(R1)와 제2매립부(R2)는 제1도전층(25)과 제2도전층(29)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도전층(25)은 '제1배리어층'이라고 지칭될 수 있고, 제2도전층(29)은 '제2배리어층'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1매립부(R1)와 제2매립부(R2)는 '게이트구조물'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1도전층(25), 제2도전층(29) 및 제3도전층(30)은 게이트전극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구조물은 에어갭(28G), 다이폴형성층(DF) 및 게이트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다이폴형성층(DF) 및 에어갭(28G)은 게이트구조물 내부에 내장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다이폴형성층(DF)은 '임베디드 다이폴형성층(embedded dipole layer)'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게이트구조물은 수직채널구조물(P)을 에워싸는 형상일 수 있다. 제1매립부(R1)는 수직채널구조물(P)의 측벽을 에워싸는 형상일 수 있다. 제2매립부(R2)는 제1매립부(R1)를 에워싸는 형상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3차원 NAND 메모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1 : 하부 구조물 110 : 스택구조물
110R : 리세스 111 : 절연층
112 : 게이트구조물 113 : 제1도전층
114 : 제2도전층 115 : 다이폴형성층
116 : 제1다이폴유도층 117 : 제2다이폴유도층
118 : 에어갭 119 : 제3도전층
120 : 수직채널구조물 121 : 제1오프닝
122 : 전하저장층 123 : 터널절연층
124 : 채널층 125 : 갭필층
126 : 도전패드 131 : 블록킹층
132 : 라이너층 141 : 제2오프닝
142 : 캡핑층

Claims (47)

  1. 하부 구조물 상에 형성되고, 절연층과 게이트구조물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스택구조물; 및
    상기 스택구조물을 관통하는 수직채널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구조물은,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을 에워싸는 제1도전층;
    상기 제1도전층을 에워싸는 제2도전층; 및
    상기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 사이에 위치하는 임베디드 다이폴형성층
    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 다이폴형성층은,
    상기 제1도전층과 접촉하는 제1다이폴유도층; 및
    상기 제1다이폴유도층과 접촉하는 제2다이폴유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다이폴유도층과 제2다이폴유도층은 상기 제1도전층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키는 다이폴을 형성하는 반도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이폴유도층은 상기 제2다이폴유도층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이폴유도층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다이폴유도층은 상기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이폴유도층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구조물은,
    상기 임베디드 다이폴형성층과 제2도전층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갭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은,
    상기 게이트구조물과 접촉하는 블록킹층;
    상기 블록킹층과 접촉하는 전하저장층;
    상기 전하저장층과 접촉하는 터널절연층; 및
    상기 터널절연층과 접촉하는 채널층
    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8. 하부 구조물 상에 형성되고, 절연층과 게이트구조물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스택구조물;
    상기 스택구조물을 관통하는 수직채널구조물; 및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의 외벽과 게이트구조물 사이에 위치하는 제1다이폴형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구조물은,
    상기 제1다이폴형성층들과 접촉하는 제1도전층;
    상기 제1도전층에 접촉하는 제2도전층; 및
    상기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 사이에 내장된 제2다이폴형성층
    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이폴형성층은,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의 외벽에 형성된 블록킹층; 및
    상기 블록킹층과 제1도전층 사이에 위치하는 라이너층을 포함하되,
    상기 블록킹층과 라이너층은 상기 제1도전층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키는 제1다이폴을 형성하는 반도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층과 라이너층은 상기 제1도전층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키는 제1다이폴을 형성하는 반도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층은 상기 블록킹층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층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층은 상기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층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이폴형성층은,
    상기 제1도전층과 접촉하는 제1다이폴유도층; 및
    상기 제1다이폴유도층과 접촉하는 제2다이폴유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다이폴유도층과 제2다이폴유도층은 상기 제1도전층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키는 제2다이폴을 형성하는 반도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이폴유도층은 상기 제2다이폴유도층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이폴유도층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다이폴유도층은 상기 실리콘산화물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이폴유도층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구조물은,
    상기 제2다이폴형성층과 제2도전층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갭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은,
    상기 블록킹층과 접촉하는 전하저장층;
    상기 전하저장층과 접촉하는 터널절연층; 및
    상기 터널절연층과 접촉하는 채널층
    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은 각각 티타늄질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21. 하부 구조물 상에 희생층과 절연층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몰드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몰드스택을 관통하는 제1오프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오프닝을 채우는 수직채널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여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의 측벽을 노출시키는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세스 표면을 커버링하는 라이너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인드 리세스의 내부를 채우며, 다이폴형성층을 포함하는 게이트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라인드 리세스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채우고, 상기 다이폴형성층이 내장된 제1매립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매립부 상에 상기 리세스를 채우는 제2매립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매립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라인드 리세스 표면 상에 상에 제1도전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도전물질 상에 컨포말하게 제1다이폴유도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다이폴유도물질 상에 상기 리세스를 채우는 제2다이폴유도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세스의 내부에 상기 다이폴형성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다이폴유도물질과 제1다이폴유도물질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이폴형성층의 일측 끝단과 정렬되는 제1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도전물질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이폴유도물질은 상기 제2다이폴유도물질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이폴유도물질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이폴유도물질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이폴유도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는,
    에어갭을 포함하여 상기 리세스를 채우도록 실리콘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갭은 상기 다이폴형성층과 제2매립부 사이에 위치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매립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도전층 및 다이폴형성층 상에 컨포멀하게 제2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도전층 상에 상기 리세스를 채우는 제3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매립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3도전층과 제2도전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은 티타늄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3도전층은 텅스텐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직채널구조물과 이격되도록, 상기 몰드스택을 식각하여 제2오프닝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오프닝을 통해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의 노출된 측벽 상에 블록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오프닝의 저면 및 내벽들을 커버링하는 전하저장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하저장물질 상에 터널절연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널절연물질 상에 채널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오프닝 내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채널물질, 터널절연물질 및 전하저장물질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오프닝의 저면 및 내벽들을 커버링하는 블록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킹층 상에 전하저장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하저장물질 상에 터널절연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널절연물질 상에 채널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오프닝 내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채널물질, 터널절연물질, 전하저장물질 및 블록킹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34. 하부 구조물 상에 희생층과 절연층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몰드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몰드스택을 관통하는 제1오프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오프닝을 채우는 수직채널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들을 제거하여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의 측벽을 노출시키는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의 노출된 측벽 상에 제1다이폴형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다이폴형성층 상에 상기 리세스의 내부를 채우며, 제2다이폴형성층 및 도전층을 포함하는 게이트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이폴형성층과 제2다이폴형성층은 각각,
    상기 도전층에 접촉하는 제1다이폴유도물질 및 상기 제1다이폴유도물질에 접촉하는 제2다이폴유도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다이폴유도물질과 제2다이폴유도물질은 서로 다른 산소원자면밀도를 갖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의 유효일함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1다이폴유도물질은 상기 제2다이폴유도물질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이폴유도물질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다이폴유도물질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리세스 표면 상에 상기 제1다이폴형성층과 접촉하는 제1도전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도전물질 상에 제1다이폴유도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다이폴유도물질 상에 상기 리세스들을 채우는 제2다이폴유도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세스의 내부에 상기 제2다이폴형성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다이폴유도물질과 제1다이폴유도물질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다이폴형성층의 일측 끝단과 정렬되는 제1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도전물질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이폴유도물질은 상기 제2다이폴유도물질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이폴유도물질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다이폴유도물질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이폴유도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는,
    에어갭을 포함하여 상기 리세스를 채우도록 실리콘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갭은 상기 제2다이폴형성층 이후에 잔류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도전층 및 제2다이폴형성층 상에 컨포멀하게 제2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도전층 상에 상기 리세스들 각각을 채우는 제3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세스의 내부에 제3도전층과 제2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3도전층과 제2도전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은 티타늄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3도전층은 텅스텐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44.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직채널구조물과 이격되도록, 상기 몰드스택을 식각하여 제2오프닝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오프닝을 통해 상기 희생층들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4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오프닝의 저면 및 내벽들을 커버링하는 전하저장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하저장물질 상에 터널절연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널절연물질 상에 채널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오프닝 내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채널물질, 터널절연물질 및 전하저장물질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4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이폴형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직채널구조물의 노출된 측벽 상에 블록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킹층 상에 상기 리세스의 표면을 커버링하되, 상기 블록킹층보다 산소원자면밀도가 높은 라이너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물질은 알루미늄산화물 또는 하프늄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킹층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KR1020170028274A 2017-03-06 2017-03-06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01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274A KR20180101834A (ko) 2017-03-06 2017-03-06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274A KR20180101834A (ko) 2017-03-06 2017-03-06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834A true KR20180101834A (ko) 2018-09-14

Family

ID=6359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274A KR20180101834A (ko) 2017-03-06 2017-03-06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18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655B1 (ko) 2018-12-03 2020-06-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KR20200092576A (ko) * 2019-01-25 2020-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어 갭을 갖는 3차원 플래시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WO2022251091A1 (en) * 2021-05-25 2022-12-01 Applied Materials, Inc. V-nand stacks with dipole reg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655B1 (ko) 2018-12-03 2020-06-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KR20200092576A (ko) * 2019-01-25 2020-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어 갭을 갖는 3차원 플래시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WO2022251091A1 (en) * 2021-05-25 2022-12-01 Applied Materials, Inc. V-nand stacks with dipole regions
US11997849B2 (en) 2021-05-25 2024-05-28 Applied Materials, Inc. V-NAND stacks with dipole reg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0629B2 (en) Three-dimensional flat NAND memory device having high mobility channe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930674B2 (en) Three-dimensional flat NAND memory device having curved memory elemen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121149B2 (e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containing direct contact drain-select-level semiconductor channel por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622368B2 (e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semicircular metal-semiconductor alloy floating gate electrode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10861869B2 (e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having a slimmed aluminum oxide blocking dielectric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0290650B1 (en) Self-aligned tubular electrode portions inside memory openings for drain select gate electrodes in a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US9978766B1 (e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electrically isolated support pillar 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KR101921442B1 (ko) 금속 및 실리사이드 제어 게이트들을 갖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US9935123B2 (en) Within array replacement openings for a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US10700078B1 (en) Three-dimensional flat NAND memory device having curved memory elemen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3286784B1 (en) Method of making a multilevel memory stack structure using a cavity containing a sacrificial fill material
US9478558B2 (en) Semiconductor structure with concave blocking dielectric sidewall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by isotropically etching the blocking dielectric layer
US9305934B1 (en) Vertical NAND device containing peripheral devices on epitaxial semiconductor pedestal
US9305937B1 (en) Bottom recess process for an outer blocking dielectric layer inside a memory opening
US11631691B2 (en) Three-dimensional flat memory device including a dual dipole blocking dielectric laye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160071860A1 (en) 3d semicircular vertical nand string with self aligned floating gate or charge trap cell memory cells and methods of fabricating and operating the same
CN111373534B (zh) 包含多层级漏极选择栅极隔离的三维存储器装置及其制造方法
US20210242241A1 (en) Three-dimensional nor array including vertical word lines and discrete memory elem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102337640B1 (ko) 3차원 반도체 소자
US11244956B2 (en) Vertical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vertical semiconductor device
US10756106B2 (e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locally modulated threshold voltages at drain select leve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200053919A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01834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