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605A -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 및 적절한 조립 검증 방법 - Google Patents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 및 적절한 조립 검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605A
KR20180101605A KR1020187024888A KR20187024888A KR20180101605A KR 20180101605 A KR20180101605 A KR 20180101605A KR 1020187024888 A KR1020187024888 A KR 1020187024888A KR 20187024888 A KR20187024888 A KR 20187024888A KR 20180101605 A KR20180101605 A KR 20180101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erminal
inner cavity
right ang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0642B1 (ko
Inventor
존 알. 모렐로
제임스 엠. 레이니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101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4Testing for continu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8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G01R31/69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f terminals at the end of a cable or a wire harness; of plugs; of sockets, e.g. wall sockets or power sockets in appli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01R24/545Elbo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7Testing the correctness of wire connections in electric apparatu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가 제공되고,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되고 제1 개구(22) 내로 삽입되는 동축 케이블(14)의 중심 전도체(3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단자(38) 및 제1, 제2 개구(22, 24), 갖는 하우징(16)을 포함한다. 커넥터(12)는 내부 공동(28)내에 배치되고, 제2 개구(24)를 통해 접근 가능하고, 제1 단자(38)의 선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제2 단자(36)를 형성하는 중심 접촉부(30)를 또한 포함한다. 커넥터(12)는 중심 접촉부(30)를 둘러싸고 내부 공동(28)내에 배치된 전도성 차폐부(52) 및 차폐부(52)와 중심 접촉부(30) 사이의 절연체(44)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절연체(44)는 제2 단자(36)내에 완전히 안착했을 때 제2 개구(24)로부터 제1 단자(38)의 선단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포탈(46)을 형성한다.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의 적절한 조립을 검증하는 방법(100, 200)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 및 적절한 조립 검증 방법
본원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그리고 더 상세하게는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RF) 동축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s)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그리고 에어백 시스템과 같은 수많은 자동차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어 왔다. 동축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외측 차폐 전도체, 내측 중심 전도체, 유전체, 그리고 단열 자켓으로 구성된다. 케이블의 외측 전도체와 내측 전도체는 종종 소켓과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정합 동축 케이블과 결부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다양한 타입의 커넥터를 표준화하고 그로 인해서 혼란을 피하기 위해, 특정한 업계 표준이 제정되었다. 이러한 표준들 중 하나를 FAKRA라고 지칭한다. FAKRA는 자동차 분야의 국제 표준화에 대한 이익을 대표하는, 독일 표준화 기관(두문자 DIN으로 가장 잘 알려짐) 내의 자동차 표준화 기구이다. FAKRA 표준은 적절한 커넥터 부착을 위해 키잉(keying) 및 색상 코딩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유사 소켓 키는 FAKRA 커넥터 내의 유사 플러그 키 홈에만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의 안전한 배치 및 잠금은 FAKRA가 정한 소켓 하우징 상의 걸쇠와 플러그 하우징 상의 협동 랫치에 의해 용이해진다.
특정 자동차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대시보드 후면에서 종결되는 케이블의 경우와 같이, 동축 케이블이 케이블 단부에서 90도로 구부러지며 설치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보통, 동축 케이블의 중심 전도체는 동축 커넥터 내의 90도 굴곡부에 근접하게 제공된 내부 챔버 내의 직각 동축 커넥터의 중심 접촉부와 직각으로 연결된다. 중심 전도체가 내부 챔버 내에 위치하도록 동축 케이블이 커넥터 하우징의 케이블 개구를 통해 삽입된 후에, 중심의 대응하는 단자에 의해 수용된 케이블의 중심 전도체에 연결된 단자에 의해 연결이 설정된다. 커넥터의 외장으로부터 내부 챔버를 향한 접근은 제거 가능한 클로져로 봉인된 접근 개구를 통해 제공된다. 중심 전도체 상의 단자는, 단자들의 적절한 연결이 확인되도록 클로져가 제거된 상태로 중심 전도체의 대응하는 단자 내로 삽입된다. 그 후, 신호 누설에 대항하며 내부 챔버를 봉인하고 직각 동축 커넥터의 주변환경으로부터의 오염물질의 내부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접근 개구 상에 제거 가능한 클로져가 교체된다.
종래의 직각 동축 커넥터는 몇몇 결점들과 단점으로부터 어려움을 겪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직각 동축 커넥터는 제거 가능한 클로져로 씌워진 접근 개구를 통해 접근 가능한 내부 챔버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하기 어려웠다. 단자의 시각적인 검사가 어려울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거 가능한 클로져의 존재는 커넥터의 생산 비용 및 납땜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노력을 상승시킨다. 더욱이, 제거 가능한 클로져는 직각 동축 커넥터가 동축 케이블과 조립될 때 잘못 배치되거나 분실될 수 있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의 중심 전도체와 동축 커넥터의 중심 핀 사이에서 연결의 확인을 간소화하는 직각 동축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경 섹션에서 논의된 주제가 배경 섹션에서 언급된 결과로 인해 단순히 선행기술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유사하게, 배경 섹션에서 언급되거나 배경 섹션의 주제와 관련된 문제가 선행 기술에서 이전에 인식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배경 섹션에 있는 주제는 단순히 다른 접근을 나타내며, 그 자체로 또한 발명이 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는 제1 및 제2 개구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 개구는 제2 개구에 대해 실질적으로 90도 각도로 배향된다. 하우징은 제1 개구로부터 제2 개구로 연장되는 내부 공동을 형성한다. 커넥터는 내부 공동 내에 배치되고 제1 개구 내에 삽입된 동축 케이블의 중심 전도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단자를 더 포함한다. 커넥터는 또한 내부 공동 내에 배치된 중심 접촉부를 포함한다. 중심 접촉부는 제2 개구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중심 접촉부는 제1 단자의 선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제2 단자를 형성한다. 커넥터는 내부 공동 내에 배치된 중심 접촉부를 둘러싸는 전도성 차폐부 및 차폐부와 중심 접촉부 사이의 절연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절연체는 제2 단자 내에 완전히 안착할 때, 제2 개구로부터 제1 단자의 선단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포탈을 형성한다. 하우징은 내부 공동으로의 제3 개구를 갖지 않고, 커버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내부 공동으로의 제3 개구를 갖지 않았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적절한 조립을 검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실질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제2 단자에 완전히 안착했을 때, 포탈 내의 제1 전도성 탐침을 제1 단자의 선단의 위치에 삽입하는 단계, 제2 전도성 탐침을 갖는 중심 접촉부에 접촉하는 단계, 그리고 제1 및 제2 탐침 사이의 전기적 연속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적절한 조립을 검증하는 다른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실질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제2 단자 내에 완전히 안착했을 때, 제1 단자의 선단이 제 위치에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포탈을 시각적으로 검사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포탈을 시각적으로 검사하는 단계는 머신 비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기술될 것이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정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b의 정합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직각 동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직각 동축 커넥터의 측면 절결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직각 동축 커넥터의 절연체와 중심 접촉부의 분해 절결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직각 동축 커넥터의 분해 절결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직각 동축 커넥터의 중심 접촉부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a의 중심 접촉부의 절결도이다.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a의 중심 접촉부의 상부 단자의 확대된 단부도이다.
도 5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c의 중심 접촉부의 상부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적절한 연결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 탐침과 중심 접촉부가 적절히 연결된 도 1a의 동축 케이블을 갖는 도 2의 직각 동축 커넥터의 측면 절결도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심 접촉부에 적절히 연결되고 중심 접촉부를 둘러싸는 절연체 내의 포탈을 통해 시각적으로 관찰 가능한, 도 4의 동축 케이블을 갖는 도 1a의 직각 동축 커넥터의 단부도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심 접촉부에 부적절히 연결되고 중심 접촉부를 둘러싸는 절연체 내의 포탈을 통해 시각적으로 관찰 불가능한, 도4의 동축 케이블을 갖는 도 1a의 직각 동축 커넥터의 단부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동축 케이블에 페룰로 압착된 도 2의 직각 동축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밀봉체에 의해 페룰이 밀봉된 상태로 도 1a의 동축 케이블에 압착된 도 2의 직각 동축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각 동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적절한 조립을 전기적으로 검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적절한 조립을 시각적으로 검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는 동축 케이블을 종결하도록 구성된 직각 동축 커넥터에 대해 설명된다.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 전도체와 직각 커넥터의 중심 접촉부 사이의 연결의 쉬운 검증을 허용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중심 접촉부를 둘러싸는 절연체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 전도체와 중심 접촉부 사이의 연결 위치를 향해 연장되는 포탈을 포함한다. 포탈은 전기적 접촉 또는 시각적인 검사 기술을 이용해 중심 전도체와 중심 접촉부 사이의 적절한 연결의 검증을 허용한다.
도 1a는 동축 케이블 조립체(10)의 비-제한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조립체(10)는 이하에서 커넥터(12)로 지칭되는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 동축 케이블(14), 그리고 커넥터(12)를 둘러싸는 키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 외측 하우징(16)을 포함한다. 커넥터(12)는 도1b에 도시된 대응하는 정합 커넥터(18)와 상호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조립체(10)의 외측 하우징(16)은 정합 커넥터(18)와 매칭하기 위해 색상으로 코드화되고, 키 탭을 수용하고 정합 커넥터(18)의 록킹(locking) 탭으로 잠그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2)는 제1 개구(22) 및 제2 개구(24)를 갖는 내측 하우징(20)을 포함한다. 제1 개구(22)는 제2 개구(24)에 대해 실질적으로 90° 각도로 배향된다.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 직각은 90°의 ± 10°를 의미한다. 내측 하우징(20)은 동축 케이블(14)의 외측 차폐 전도체와 정합 커넥터(18)의 차폐 커넥터(26) 사이에 전기적 연속성을 제공하고 커넥터(12)를 흐르는 전기 신호의 전자기적 차폐를 제공하기 위해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20)은 제1 개구(22)로부터 제2 개구(24)로 연장되는 내부 공동(28)을 형성한다. 제1 개구(22)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1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제2 개구(24)는 정합 커넥터(1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공동(28)은 실질적으로 90°의 굴곡부를 또한 갖는다. 내측 하우징(20)은 주조 또는 기계 가공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내측 하우징(20)은 제1 및 제2 개구 이외의 임의의 다른 개구를 갖지 않는다. 내측 하우징(20)은 임의의 다른 개구를 포함하지 않고, 내측 하우징(20)은 현재 커버되는 개구들 이외의 임의의 개구를 포함하지도 않는다. 이는 내부 공동(28)이 동공에 들어갈 수 있는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쉽게 밀봉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2)는 정합 커넥터(18)내의 대응하는 정합 중심 접촉부(34)를 갖는 동축 케이블(14)의 중심 전도체(32)와 상호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된 중심 접촉부(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도 3 및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접촉부(30)의 상부 단부는 동축 케이블(14)의 중심 전도체(32)에 부착된 수형 플러그 단자(3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암형 소켓 단자(36)를 형성한다(도 6 참조). 제1 소켓 단자(36)는 제1 소켓 단자(36)와 플러그 단자(38) 사이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압축 스프링(40)으로 둘러싸여 있다. 제1 소켓 단자(36)는 내측 하우징(20)의 제1 개구(22)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커넥터(12)는 제1 개구(22)내에 배치되고 플러그 단자(38)를 제1 소켓 단자(36) 내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점점 가늘어지는 페룰(41)을 또한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38)가 제1 소켓 단자(36) 내에 완전히 안착될 때, 플러그 단자(38)는 제1 소켓 단자(36)의 양측으로 돌출된다. 다른 실시예는 플러그 단자를 생략할 수 있고, 이 실시예에서, 중심 전도체(32)는 제1 소켓 단자(36)내로 직접 삽입된다.
중심 접촉부(30)의 하부 단부는 제2 개구(24)를 통해 접근 가능하고 정합 커넥터(18) 내의 대응하는 정합 중심 접촉부(34)의 정합 플러그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소켓 단자(42)를 형성한다.
절연체(44)는 중심 접촉부(30)를 둘러싸고 중심 접촉부(30)와 내부 공동(28)의 벽 사이에 위치한다. 절연체(44)는 제1 소켓 단자(36)내에 완전히 안착했을 때, 제2 개구(24)로부터 플러그 단자(38)의 위치까지 중심 접촉부(30)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포탈(46)을 형성한다. 포탈(4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38)의 선단에 접촉하도록 전도성 탐침(48)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와 달리 포탈(46)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38)의 선단을 시각적으로 검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절연체(44)는 정합 커넥터(18) 내의 정합 절연체(50)의 대응하는 형상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목을 형성한다.
커넥터(12)는 절연체(44)의 목을 둘러싸고 내측 하우징(20)과 접촉하는 전도성 차폐 스프링(52)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차폐 스프링(52)은 정합 커넥터(18)의 대응하는 차폐부와 내측 하우징(20) 사이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프링 핑거를 형성한다.
커넥터(12)는 제2 개구(24)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주변 홈에 수용된 컴플라이언트 시일(54)을 또한 포함한다. 이 시일(54)은 내부 공동(28) 또는 커넥터(12)와 정합 커넥터(18) 사이의 접합부 내로 환경 오염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10)는 동축 케이블(14)에 대한 커넥터(12)의 기계적 유지를 향상시키고 동축 케이블의 차폐 전도체와 커넥터(12)의 내측 하우징(2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축 케이블(14)의 차폐 전도체와 커넥터(12) 사이의 접합부 위에 압착 페룰(56)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 오염물질이 내부 공동(28)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축 튜브와 같은 밀봉체(58)가 압착 페룰(56) 위에 배치된다.
도 10은 커넥터(12')의 변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커넥터(12')의 내측 하우징(20')은 내측 하우징(20')을 형성하기 위한 시트 금속의 스탬핑 가공된 조각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이 커넥터(12)의 모든 다른 특징은 전술한 커넥터(12)의 것과 거의 동일하다. 이 실시예는 커넥터(12)의 일체형 내측 하우징(20)보다 더 저렴하게 제조되는 내측 하우징(20')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내측 하우징(20')은 환경 오염물질이 내부 공동(28)에 들어오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개구를 갖기 때문에, 이것이 중요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가장 적합하다.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의 적절한 조립을 검증하는 방법(100)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방법(100)의 각 단계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102)는 제1 및 제2 개구(22, 24)를 갖는 내측 하우징(20)을 갖는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내측 하우징(20)은 제1 개구(22)로부터 제2 개구(24)까지 연장되는 내부 공동(28)을 형성한다. 수형 플러그 단자(38)은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되고, 제1 개구(22)에 삽입된 동축 케이블(14)의 중심 전도체(32)에 연결된다. 중심 접촉부(30)는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되고, 제2 개구(24)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중심 접촉부(30)는 수형 플러그 단자(38)의 선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켓 단자를 형성한다. 전도성 차폐부는 중심 접촉부(30)를 둘러싸고 있고, 내부 공동(28)내에 배치된다. 절연체(44)는 차폐부와 중심 접촉부(30) 사이에 배치된다. 절연체(44)는 제2 단자 내에 완전히 안착했을 때, 제2 개구(24)로부터 제1 단자의 선단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포탈(46)을 형성한다.
포탈(46) 내에 제1 전도성 탐침을 삽입하는 단계(10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단자 내에 완전히 안착했을 때, 포탈(46) 내에 수형 플러그 단자(38)의 선단의 위치까지 제1 전도성 탐침(48)을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중심 접촉부를 제2 전도성 탐침에 접촉시키는 단계(10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접촉부(30)를 제2 전도성 탐침(60)에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탐침과 제2 탐침 사이의 전기적 연속성을 확인하는 단계(108)는 제1 탐침(48)과 제2 탐침(60)사이의 전기적 연속성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탐침(48, 60) 사이의 전기적 연속성은 플러그 단자(38)가 중심 접촉부(30)의 암형 소켓 단자(36) 내에 확실히 수용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탐침(48,60) 사이의 전기적 연속성은 테스트 광원, 저항계, 또는 전기적 연속성을 확인하는 데에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공지된 장치들로 확인될 수 있다.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의 적절한 조립을 검증하는 다른 방법(200)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방법(200)의 각 단계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202)는 제1 및 제2 개구(22, 24)를 갖는 하우징을 갖는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내측 하우징(20)은 제1 개구(22)로부터 제2 개구(24)까지 연장되는 내부 공동(28)을 형성한다. 수형 플러그 단자(38)는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되고, 제1 개구(22) 내에 삽입된 동축 케이블(14)의 중심 전도체(32)에 연결된다. 중심 접촉부(30)는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되고, 제2 개구(24)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중심 접촉부(30)는 수형 플러그 단자(38)의 선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켓 단자를 형성한다. 전도성 차폐부는 중심 접촉부(30)를 둘러싸고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된다. 절연체(44)는 차폐부와 중심 접촉부(30) 사이에 배치된다. 절연체(44)는 제2 단자 내에 완전히 안착했을 때 제2 개구(24)로부터 제1 단자의 선단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포탈(46)을 형성한다.
포탈을 시각적으로 검사하는 단계(204)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자 내에 완전히 안착했을 때 제1 단자의 선단이 제 위치에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포탈(46)을 시각적으로 검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시각적 검사는 사람의 눈 또는 머신 비전 시스템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직각 동축 커넥터(12, 12')와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 12')의 적절한 조립을 검증하는 방법(100, 200)이 제공된다. 커넥터(12, 12')는 동축 케이블(14)의 중심 전도체(32)가 중심 접촉부(30)를 둘러싸는 절연체(44) 내의 포탈(46)을 통해 중심 접촉부(30)에 대해 적절히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이익을 제공한다. 포탈(46)은 배경 기술 섹션에 언급된 적절한 연결을 검증하기 위한 별도의 검사 개구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검사 개구를 제거하는 것은 별도의 생산 공정에서 검사 개구를 밀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커넥터(12), 특히 밀봉된 커넥터(12)의 조립체(10)를 단순화시킨다. 추가적으로, 커넥터(12, 12')는 포탈(46)을 통한 중심 접촉부(30)에 대한 중심 전도체(32)의 연결의 전기적 확인 및/또는 시각적 확인을 허용한다. 이들 검사 공정 모두는 포탈(46) 및 중심 접촉부(30)의 자동 탐침 검사, 또는 포탈(46)의 머신 비전 검사를 통해 자동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후술될 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더욱이, 제1, 제2 등의 용어의 사용은 임의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제1, 제2 등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부정관사의 사용은 개수를 제한하지 않고, 언급된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를 의미한다.

Claims (5)

  1.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이며,
    제1 개구(22) 및 제2 개구(24)를 갖는 하우징(16)으로서, 제1 개구(22)는 제2 개구(24)와 실질적으로 90도로 배향되고, 하우징(16)은 제1 개구(22)로부터 제2 개구(24)까지 연장되는 내부 공동(28)을 형성하는, 하우징(16),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되고 제1 개구(22) 내로 삽입된 동축 케이블(14)의 중심 전도체(3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단자(38),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되고, 제2 개구(24)를 통해 접근 가능하고, 그리고 제1 단자(38)의 선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제2 단자(36)를 형성하는 중심 접촉부(30),
    중심 접촉부(30)를 둘러싸고,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된 전도성 차폐부(52), 및
    차폐부(52)와 중심 접촉부(30) 사이에 있고, 제2 단자(36) 내에 완전히 안착했을 때 제2 개구(24)로부터 제1 단자(38)의 선단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포탈(46)을 형성하는 절연체(44)를 포함하는,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
  2. 제1 항에 있어서,
    하우징(16)이 내부 공동(28)으로의 제3 개구를 갖지 않고, 커버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내부 공동(28)으로의 제3 개구를 갖지 않았던,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
  3.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의 적절한 조립을 검증하는 방법(100)이며,
    a) 제1 개구(22) 및 제2 개구(24)를 갖는 하우징(16)으로서, 제1 개구(22)는 제2 개구(24)와 실질적으로 90도로 배향되고, 하우징(16)은 제1 개구(22)로부터 제2 개구(24)까지 연장되는 내부 공동(28)을 형성하는, 하우징(16),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되고 제1 개구(22) 내로 삽입된 동축 케이블(14)의 중심 전도체(32)에 연결된 제1 단자(38),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되고, 제2 개구(24)를 통해 접근 가능하고, 그리고 제1 단자(38)의 선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제2 단자(36)를 형성하는 중심 접촉부(30), 중심 접촉부(30)를 둘러싸고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된 전도성 차폐부(52), 및 차폐부(52)와 중심 접촉부(30) 사이에 있고 제2 단자(36) 내에 완전히 안착했을 때 제2 개구(24)로부터 제1 단자(38)의 선단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포탈(46)을 형성하는 절연체(44)를 포함하는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를 제공하는 단계(102):
    b) 제2 단자(36) 내에 완전히 안착했을 때 제1 단자(38)의 선단의 위치까지 포탈(46) 내에 제1 전도성 탐침(48)을 삽입하는 단계(104):
    c) 제2 전도성 탐침(60)으로 중심 접촉부(30)에 접촉하는 단계(106):
    d) 제1 탐침(48)과 제2 탐침(60) 사이의 전기적 연속성을 확인하는 단계(108)를 포함하는,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의 적절한 조립을 검증하는 방법.
  4.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의 적절한 조립을 검증하는 방법(200)이며,
    a) 제1 개구(22) 및 제2 개구(24)를 갖는 하우징(16)으로서, 제1 개구(22)는 제2 개구(24)와 실질적으로 90도로 배향되고, 하우징(16)은 제1 개구(22)로부터 제2 개구(24)까지 연장되는 내부 공동(28)을 형성하는, 하우징(16),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되고 제1 개구(22) 내로 삽입된 동축 케이블(14)의 중심 전도체(3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단자(38),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되고, 제2 개구(24)를 통해 접근 가능하고, 그리고 제1 단자(38)의 선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제2 단자(36)를 형성하는 중심 접촉부(30), 중심 접촉부(30)를 둘러싸고 내부 공동(28) 내에 배치된 전도성 차폐부(52), 및 차폐부(52)와 중심 접촉부(30) 사이에 있고 제2 단자(36) 내에 완전히 안착했을 때 제2 개구(24)로부터 제1 단자(38)의 선단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포탈(46)을 형성하는 절연체(44)를 포함하는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를 제공하는 단계(202),
    b) 제2 단자(36) 내에 완전히 안착했을 때 제1 단자(38)의 선단이 제 위치인지 검증하기 위해 포탈(46)을 시각적으로 검사하는 단계(204)를 포함하는,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12)의 적절한 조립을 검증하는 방법(200).
  5. 제4항에 있어서,
    단계 b)가 머신 비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200).
KR1020187024888A 2016-02-01 2017-01-25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 및 적절한 조립 검증 방법 KR102610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11,957 2016-02-01
US15/011,957 US9762001B2 (en) 2016-02-01 2016-02-01 Right angle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s for verifying proper assembly thereof
PCT/US2017/014863 WO2017136200A1 (en) 2016-02-01 2017-01-25 Right angle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s for verifying proper assembly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605A true KR20180101605A (ko) 2018-09-12
KR102610642B1 KR102610642B1 (ko) 2023-12-07

Family

ID=5938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888A KR102610642B1 (ko) 2016-02-01 2017-01-25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 및 적절한 조립 검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62001B2 (ko)
EP (1) EP3411930B1 (ko)
JP (1) JP6865761B2 (ko)
KR (1) KR102610642B1 (ko)
CN (1) CN108701948B (ko)
WO (1) WO2017136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5416B2 (ja) * 2017-08-10 2021-07-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窓を有する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この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を利用した同軸コネクタ装置
JP7032978B2 (ja) * 2018-04-02 2022-03-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826234B2 (en) * 2018-04-23 2020-11-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direct mount housing
CN110416830A (zh) * 2018-04-28 2019-11-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和具有其的车辆
CN110416836A (zh) * 2018-04-28 2019-11-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和具有其的车辆
CN110416784A (zh) * 2018-04-28 2019-11-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和具有其的车辆
CN110416801A (zh) * 2018-04-28 2019-11-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和具有其的车辆
CN108988001B (zh) * 2018-09-05 2023-08-04 四川永贵科技有限公司 一种整体式120度出线电连接器插头
US10680380B2 (en) 2018-09-13 2020-06-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Ang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0741975B2 (en) 2018-10-19 2020-08-11 Aptiv Technologies Limited Sheilded cable assembly and electromagnetic shield terminal assembly for same
US10923861B2 (en) 2018-10-19 2021-02-16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omagnetic shield for an electrical terminal with integral spring contact arms
US10770825B2 (en) 2018-10-24 2020-09-08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tact spring and electrical assembly including same
JP7226520B2 (ja) * 2019-02-27 2023-02-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プローブ素子およびプローブユニット
US10886668B1 (en) 2019-10-07 2021-01-05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JP2022053698A (ja) * 2020-09-25 2022-04-0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の実装方法
US11784482B2 (en) * 2020-10-20 2023-10-10 Apple Inc. Electrical connection monitoring using cable shielding
CN113645395A (zh) * 2021-10-19 2021-11-12 江苏日盈电子股份有限公司 车载360°全景可视摄像头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4874U (ko) * 1990-11-08 1992-06-30
KR20110090929A (ko) * 2008-10-29 2011-08-10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Hf 앵글 플러그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8361A1 (de) * 1989-03-15 1990-09-20 Stocko Metallwarenfab Henkels Pruefvorrichtung
JPH0526706Y2 (ko) 1989-11-07 1993-07-06
GB9507151D0 (en) * 1995-04-06 1995-05-31 Amp Gmbh Right angled coaxial connector
US6036540A (en) 1997-05-29 2000-03-14 The Whitaker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with ring contact having cantilevered fingers
US6116945A (en) * 1997-12-30 2000-09-12 The Whitaker Corporation Microphone connector assembly
GB2336948A (en) * 1998-04-30 1999-11-03 3Com Technologies Ltd BNC test connector
FR2781934B1 (fr) * 1998-07-31 2000-10-06 Radiall Sa Element de connecteur coaxial comportant un raccord pour relier le conducteur central d'un cable coaxial au contact central de l'element de connecteur
US6305947B1 (en) 1998-11-19 2001-10-23 Berg Technology, Inc. Angled coaxial connector module
US6361348B1 (en) 2001-01-15 2002-03-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ight angle, snap o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TW568463U (en) * 2001-10-31 2003-12-21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US6676445B2 (en) 2002-01-25 2004-01-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angle or in-line applications
US6860761B2 (en) 2003-01-13 2005-03-01 Andrew Corporation Right angle coaxial connector
JP4076157B2 (ja) 2003-07-30 2008-04-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US7070440B1 (en) 2005-06-03 2006-07-04 Yazaki North America, Inc. Coaxial cabl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7207839B1 (en) * 2005-07-12 2007-04-24 Yazaki North America, Inc. Wrap-around ferrule for coaxial cable connector
US7458850B1 (en) 2007-05-23 2008-12-02 Corning Gilbert Inc. Right-angled coaxial cable connector
JP4888563B2 (ja) 2008-07-16 2012-02-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US8047872B2 (en) * 2009-07-22 2011-11-01 Corning Gilbert Inc. Coaxial angle connector and related method
US20120252267A1 (en) * 2011-03-31 2012-10-04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Connector having a tapered lock jonit
US8628352B2 (en) 2011-07-07 2014-01-14 John Mezzalingua Associates, LLC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US8647128B2 (en) * 2011-12-20 2014-02-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CN208093894U (zh) * 2018-02-27 2018-11-13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两体式内导体的弯式射频同轴连接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4874U (ko) * 1990-11-08 1992-06-30
KR20110090929A (ko) * 2008-10-29 2011-08-10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Hf 앵글 플러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65761B2 (ja) 2021-04-28
JP2019503576A (ja) 2019-02-07
EP3411930A4 (en) 2019-10-23
US9762001B2 (en) 2017-09-12
CN108701948A (zh) 2018-10-23
WO2017136200A8 (en) 2018-09-13
EP3411930A1 (en) 2018-12-12
EP3411930B1 (en) 2020-09-16
WO2017136200A1 (en) 2017-08-10
US20170222368A1 (en) 2017-08-03
KR102610642B1 (ko) 2023-12-07
CN108701948B (zh)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0642B1 (ko)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 및 적절한 조립 검증 방법
KR101910283B1 (ko) 동축 커넥터 조립체
KR102153633B1 (ko) 커넥터 위치 보증 요소를 갖는 커넥터 시스템
JP5731614B2 (ja) 自動車分野において高圧電流を伝送するための接続装置
JP2011048949A (ja) シールドコネクタ装置
CN111628321B (zh) 屏蔽端子及屏蔽连接器
US7070440B1 (en) Coaxial cabl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W200531387A (en) Coaxial cable connector
KR102039749B1 (ko)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CN109643873A (zh) 具有端子的电源连接器
KR20210091083A (ko) 각형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
TW202135402A (zh) 同軸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US9065198B2 (en) Connector with foreign substance entrance preventing portion
CN110504597A (zh) 屏蔽连接器
US20210408733A1 (en) Plug Connectors for a Plug Connector System, Plug Connector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Plug Connector System
US9761984B2 (en) Contact element
US11032931B2 (en) Electrical housing and process for testing the sealed nature of the electrical housing
US10886668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CN109698441B (zh) 同轴线缆用连接器
KR102657454B1 (ko) 수직형 커넥터
JP7361550B2 (ja) コネクタ
US10892582B2 (en) Connector with upper and lower covers
CN113841302A (zh) 用于屏蔽混合触头组件的触头载体及插接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