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525A -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부가 모듈, 및 상기 유형의 부가 모듈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부가 모듈, 및 상기 유형의 부가 모듈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525A
KR20180101525A KR1020187023273A KR20187023273A KR20180101525A KR 20180101525 A KR20180101525 A KR 20180101525A KR 1020187023273 A KR1020187023273 A KR 1020187023273A KR 20187023273 A KR20187023273 A KR 20187023273A KR 20180101525 A KR20180101525 A KR 20180101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ressure
wheel
brake assembly
auxilia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070B1 (ko
Inventor
디터 딩켈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filed Critical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ublication of KR20180101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58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 B60T13/62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both straight and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pumps directly, i.e. without interposition of accumulators or reservoirs
    • B60T13/161Systems with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40Failsafe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 B60T2270/413Plausibility monitoring, cross check, redund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7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 B60T8/368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특히 고도 자동화 주행 중 사용하기 위한,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용 부가 모듈 (70) 이 개시되고, 이 모듈은 적어도 2 개의 브레이크들 (8, 10) 에서 압력을 축적하기 위한 압력 공급 기기 (86) 를 구비한 유압 유닛 (80) 을 포함하고, 브레이크 유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탱크 (120, 130) 가 유압 유닛 (80) 에 통합된다. 또한 상기 유형의 부가 모듈 (70) 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72) 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부가 모듈, 및 상기 유형의 부가 모듈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본 발명은 특히 고도 자동화 주행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보조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조 모듈은 적어도 2 개의 브레이크들에서 압력을 축적하기 위한 압력 제공 기기를 구비한 유압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터 차량 공학에서, "브레이크-바이-와이어" 브레이크 어셈블리들이 점점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브레이크 어셈블리들은 종종 차량 운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활성화가능한 압력 제공 기기 (활성화가능한 "바이-와이어") 를 가지고, 이것에 의해 휠 브레이크들의 작동은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운전 모드에서 일어난다.
이런 최신 브레이크 시스템들, 특히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운전 모드를 갖는 전기유압 브레이크 시스템들에서, 운전자는 브레이크들에 직접 접근하지 않는다. 페달이 작동될 때, 페달 디커플링 유닛과 시뮬레이터가 보통 작동되고, 운전자의 제동 요구는 센서 시스템에 의해 검출된다. 통상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로서 형성되는 페달 시뮬레이터는 가능한 한 익숙하고 편안한 브레이크 페달감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검출된 제동 요구는 설정점 제동 토크의 결정을 이끌고, 그로부터 브레이크들에 대한 설정점 브레이크 압력이 그 후 결정된다. 브레이크 압력은 그 후 압력 제공 기기에 의해 브레이크들에서 능동적으로 (actively) 축적된다.
따라서, 실제 제동은 개루프 및 폐루프 제어 유닛에 의해 활성화되는 압력 제공 기기의 보조로 브레이크 회로들에서 능동 압력 축적에 의해 달성된다. 브레이크 페달 작동이 압력 축적으로부터 유압적으로 디커플링됨으로써, ABS, ESC, TCS, 경사 시동 지원 (slope starting assistance) 등과 같은 다수의 기능들이 이런 종류의 브레이크 시스템들에서 운전자에게 편리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브레이크 시스템들에서는, 유압 폴백 (fall-back) 레벨이 보통 제공되고, 이것에 의해 "바이-와이어" 운전 모드가 실패하거나 중단된다면 운전자는 근력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함으로써 차량을 제동하거나 멈출 수 있다. 정상 모드에서는, 브레이크 페달 작동과 브레이크 압력 축적 사이 전술한 유압 디커플링이 페달 디커플링 유닛에 의하여 실현되는 반면에, 이 디커플링은 폴백 레벨에서 제거되어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매체를 브레이크 회로들로 직접 변위시킬 수 있게 한다. 압력 제공 기기의 보조로 더 이상 압력을 축적할 수 없다면 폴백 레벨로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특히 압력 제공 기기를 리저버에 연결하는 체크 밸브가 더 이상 신뢰성있게 차단되지 않아서, 압력 축적이 더 이상 신뢰성있게 가능하지 않은 경우이다.
전술한 브레이크 시스템들에서 압력 제공 기기는 또한 액추에이터 또는 유압 액추에이터로 지칭된다. 특히, 액추에이터들은, 압력 축적을 위해, 회전-병진운동 메커니즘과 직렬로 구성된 유압 압력 공간으로 피스톤이 축선방향으로 변위되는 선형 액추에이터들 또는 선형 유닛들로서 설계된다. 전기 모터의 모터 샤프트는 회전-병진운동 메커니즘에 의해 피스톤의 축선방향 변위로 변환된다.
DE 10 2013 204 778 A1 은 모터 차량들용 "브레이크-바이-와이어"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개시하였고, 이 어셈블리는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압력 공간들이 각각의 경우에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격리 밸브에 의하여 2 개의 휠 브레이크들을 구비한 브레이크 회로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탠덤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에 유압적으로 연결되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가능한 시뮬레이션 기기, 및 유압 압력 공간을 갖는 피스톤-실린더 배열체에 의해 형성되고, 피스톤이 전기기계적 액추에이터에 의해 변위가능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압력 제공 기기를 포함하고, 압력 제공 기기는 2 개의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활성화 밸브들을 통하여 휠 브레이크들의 입구 밸브들에 연결된다.
정상 운전 중, 운전자는 운전자 격리 밸브들의 전환에 의해 휠 브레이크들로부터 분리되고, 선형 액추에이터는 액추에이터 활성화 밸브들의 전환에 의해 휠 브레이크들에 유압적으로 연결된다. 정지 위치에서 순방향으로 선형 액추에이터의 이동은 압력 축적을 가져오고, 역방향으로 이동은, 휠 브레이크들에서 압력 소실을 가져온다.
이러한 브레이크-바이-와이어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자동화 주행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이 경우에 차량 제어는 부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전적으로 자동화되어서, 운전자는 다른 활동들을 수행할 수 있다.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정상 레벨의 실패 경우에, 운전자가 그 실패를 알아차리고 브레이크 페달을 운전자 자신이 근력에 의해 작동할 때까지 비교적 긴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자동화 주행을 위해, 따라서, 마스터 브레이크 시스템이 고장난 경우에, 운전자가 대신할 때까지 기본 브레이크 기능을 보장할 수 있는 백업 모듈이 요구된다. 정확히 고장이 발생한 때와 운전자가 행동을 취할 준비가 된 때 사이 기간은 따라서 이런 식으로 가교된다.
이 점에서, 이미 다양한 제안된 해결책들이 있다. 이런 기술적 해결책들 중 몇몇의 경우에, 전용 브레이크 유체 탱크가 보조 모듈에 설치되도록 제공되고, 이 전용 브레이크 유체 탱크는 호스 라인을 통하여 주 (primary)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탱크에 연결된다.
하지만, 이러한 배열체는 많은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 그것은 2 개의 브레이크 유체 탱크들 사이에 불안정한 호스 연결부를 가지고, 이것은 쉽게 파손되어 누출을 유발할 수 있다. 모니터링을 위해, 추가 탱크 경보 기기가 필요하다. 상기 유형의 보조 모듈의 패키징은 또한 불리하고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조 모듈을 제공하는 목적을 기반으로 하고 그 경우에 설명한 단점들을 회피하려는 것이다. 특히, 증가된 안전성과 신뢰성을 허용하고 양호한 패키징을 허용하려는 것이다. 또한 대응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보조 모듈에 대해, 상기 목적은 브레이크 유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저버가 유압 유닛에 통합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종속청구항들 (subclaims) 은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예들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어셈블리가 기능을 수행하지 않지만 운전자가 브레이크들의 충분한 제어를 아직 대신하지 못하는 정확히 임계 기간에 능동적이어야 하므로, 보조 모듈이 고도 안전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는 고려를 기반으로 한다. 특히 고도 자동화 주행에서, 운전자가 수반된 시스템의 기능에 의존하고 그 운전자의 주의를 다른 활동에 돌린 경우에, 운전자가 행위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의 충분한 제어를 얻을 때까지 비교적 긴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시, 모듈은 완전히 운전할 준비가 되어 있고 기능을 수행하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이것은, 특히 모듈이 신뢰성있게 제동 프로세스를 지속하거나 개시하고 그에 맞춰 브레이크 압력을 축적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유체의 가용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현재 확인된 바와 같이, 이런 엄격한 요건들은 요구되는 브레이크 유체를 보조 모듈의 유압 유닛에 유지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리저버를 상기 유압 유닛에 통합시킴으로써 충족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브레이크 유체 리저버 탱크로 누출되거나 파괴된 유압 라인으로 인해 필요할 때 불충분한 압력 매체가 이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각각의 리저버가 유압 유닛에 통합된다는 기술은 특히 리저버가 예를 들어 밸브들 및 압력 센서들과 같은 유압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하우징에 배치되고 외부 부품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리저버와 각각의 펌프 사이 유압 라인들이 또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다.
압력 제공 기기는 유리하게도 적어도 하나의 펌프를 포함하고 이 펌프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펌프의 흡입측은 각각의 리저버에 유압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브레이크 유체를 위한 2 개의 리저버들 및 정확히 2 개의 펌프들이 제공되고, 2 개의 펌프들 각각은, 흡입측에서, 흡입 라인을 통하여 정확히 하나의 리저버에 유압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리저버가 하나의 브레이크에 브레이크 유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개의 펌프들은, 양 펌프들을 동시에 구동하는 공통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휠 브레이크에 할당된 입구 밸브들을 개방함으로써, 각각의 펌프는 개별적으로 타겟 방식으로 트리거되어서 브레이크 유체를 운반할 수 있다.
각각의 펌프는 유리하게도 압력측에서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에 연결되고 이 라인은 유압 휠 브레이크에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이런 식으로, 펌프는 브레이크 유체를 유압 휠 브레이크로 운반할 수 있어서, 브레이크 압력이 축적된다.
각각의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은 유리하게도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에서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에 연결되어서, 압력 제어가 또한 보조 모듈에서 수행될 수 있다.
펌프를 제어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 (deenergized) 시 폐쇄되는 밸브가 각각의 흡입 라인으로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유압 리턴 라인은 각각의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유압 리턴 라인은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리저버에 유압적으로 연결된다. 이런 식으로, 브레이크 유체는 타겟 방식으로 대응하는 휠 브레이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것은 보조 모듈에 유압적으로 연결되는 휠 브레이크들에서 다른 브레이크 압력들의 설정을 허용한다.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시 폐쇄되는 리턴 밸브는 유리하게도 각각의 리턴 라인으로 연결된다. 리턴 밸브는 바람직하게 압력 축적 중 밸브의 격리 위치로 전환되고, 필요할 때, 각각의 휠 브레이크에서 압력을 소실하기 위해서 밸브의 통과 위치로 전환된다.
보조 모듈은 유리하게도 각각의 펌프가 매체를 리저버에서 바닥으로부터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가능하다면 여전히 남아있는 임의의 잔류 공기가 리저버로부터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목적으로, 파이프가 리저버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고, 이 파이프를 통하여 펌프가 브레이크 유체를 흡입한다.
부가적인 모듈은 바람직하게 유압 유닛을 위한 하우징, 모터 하우징 및 전자장치 하우징을 포함한다. 유압 유닛을 위한 하우징은 특히 밸브 블록, 특히 알루미늄 밸브 블록이다.
유압 유닛을 위한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전자장치 하우징과 모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다. 이런 식으로, 차량으로 공간 절약형 설치를 허용하는, 특히 콤팩트한 설계가 실현된다. 이것은 취급하기에 편리한 패키징을 유발한다.
각각의 리저버는 바람직하게 대기로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유압 균등화 라인에 연결된다.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에 대해, 전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되고, 이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유압적으로 작동가능한 휠 브레이크들, 휠-특정 브레이크 압력들을 설정하기 위해, 각각의 휠 브레이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휠 밸브, 대기압 하에 있는 압력 매체 리저버 탱크, 휠 브레이크들에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연결가능한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및 압력 공간을 가지는, 휠 브레이크들의 작동을 위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압력 제공 기기로서, 각각의 휠 브레이크는 휠 브레이크 라인에 의해 압력 공간에 유압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압력 제공 기기를 포함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보조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균등화 라인은 바람직하게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압력 매체 리저버 탱크에 연결된다.
압력 제공 기기는 유리하게도 유압 압력 공간을 갖는 실린더-피스톤 배열체에 의해 형성되고, 그것의 압력 피스톤은 전기 모터 및 그것의 하류에 연결된 회전-병진운동 메커니즘에 의해 변위가능하고, 압력 공간은 압력 매체의 보충을 위한 유압 보충 라인을 통하여 압력 매체 리저버 탱크에 연결된다.
보조 모듈은 휠 브레이크들에서 압력을 능동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압력 제공 기기를 구비한 외부의 활성화가능한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연결가능하다.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ESC 브레이크 어셈블리이다.
균등화 라인은 유리하게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 라인 (steel line) 으로 형성된다. 균등화 라인은 바람직하게 압력 매체 리저버 탱크에 직접 연결되고, 탱크는 이 목적으로 바람직하게 별개의 포트를 갖는다. 이런 식으로 유리한 패키징이 실현된다. 대안적인 개선예에서, 균등화 라인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실질적으로 전부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통하여 또는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하우징을 통하여 안내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제 1 휠 브레이크 라인은 보조 모듈의 제 1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으로 개방되고,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제 2 휠 브레이크 라인은 보조 모듈의 제 2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으로 개방되고,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시 개방되는 격리 밸브는 각각의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으로 연결된다.
2 개의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들은 바람직하게 전방 휠 브레이크들에 연결된다.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유리하게도 운전자가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정상 운전 모드에서 브레이크 유체를 운반한 시뮬레이터를 가지고, 운전자의 제동 요구가 결정된다. 운전자의 제동 요구 때문에,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개루프 및 폐루프 제어 유닛은 그 후 휠 브레이크들에서 대응하는 압력을 축적하는 압력 제공 기기를 활성화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장점은 보조 모듈에서 브레이크 유체의 제공을 통하여 보조 모듈을 갖춘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가용성 및 신뢰성이 상당히 증가된다는 사실에 있다. 패키징 및 설치는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브레이크 어셈블리들의 제조 라인들에서 제조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도면을 기반으로 더 상세히 검토될 것이다. 도면에서는,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 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가지고 보조 모듈을 가지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의 유압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조립된 상태로 전자장치 하우징을 가지고, 유압 유닛을 위한 유압 하우징을 가지고 모터 하우징을 가지는 도 1 에 따른 보조 모듈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3 은 전자장치 하우징이 제거된 도 2 에 따른 보조 모듈을 추가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4 는 도 2 에 따른 보조 모듈을 통한 단면을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5 는 하우징이 제거된 도 2 에 따른 보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하우징이 제거된 보조 모듈의 추가 사시도이다.
도 7 은 추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조립된 상태로 전자장치 하우징을 가지고, 유압 유닛을 위한 유압 하우징을 가지고 모터 하우징을 가지는 도 1 에 따른 보조 모듈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8 은 도 7 에 따른 보조 모듈의 유압 하우징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9 는 하우징이 생략된 도 7 에 따른 보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하우징이 생략된 보조 모듈의 추가 사시도이다.
모든 도면들에서,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들로 표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브레이크 어셈블리 (1) 는 작동 또는 브레이크 페달 (1a) 에 의해 작동가능한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2),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2) 와 상호작용하는 시뮬레이션 기기 (3),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2) 에 할당되고 대기압 하에 있는 압력 매체 리저버 탱크 (4), 유압 압력 공간 (37) 을 갖는 실린더-피스톤 배열체에 의해 형성되고 전기 모터 및 회전/병진운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전기기계적 액추에이터에 의해 피스톤 (36) 이 변위가능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압력 제공 기기 (5), 휠-특정 브레이크 압력들을 설정하기 위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압력 조정 기기, 및 전자 개루프 및 폐루프 제어 유닛 (12) 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압력 조정 기기 (구체적으로 지정되지 않음) 는, 각각의 유압적으로 작동가능한 휠 브레이크 (8, 9, 10, 11) 에 대해 그리고 모터 차량 (미도시) 의 각각의 작동가능한 휠 브레이크 (8, 9, 10, 11) 에 대해, 입구 밸브 (6a-6d) 및 출구 밸브 (7a-7d) 를 포함하고, 이 입구 밸브와 출구 밸브는 중심 포트들에 의해 쌍을 이루어 유압적으로 상호 연결되고 휠 브레이크들 (8, 9, 10, 11) 에 연결된다. 입구 밸브들 (6a-6d) 의 입구 포트들은, 브레이크 회로 공급 라인들 (13a, 13b) 을 통하여 압력들을 공급받고 이 압력들은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운전 모드에서 압력 제공 기기 (5) 의 압력 공간 (37) 에 연결되는 시스템 압력 라인 (38) 에 존재하는 시스템 압력으로부터 유도된다. 여기에서, 브레이크들 (8, 9) 은 제 1 브레이크 회로 (27) 에 유압적으로 연결되고, 브레이크들 (10, 11) 은 제 2 브레이크 회로 (33) 에 유압적으로 연결된다.
브레이크 회로 공급 라인들 (13a, 13b) 의 방향으로 개방되는 체크 밸브 (50a-50d) 는 각각의 입구 밸브들 (6a-6d) 과 병렬로 연결된다. 폴백 운전 모드에서, 브레이크 회로 공급 라인들 (13a, 13b) 은, 유압 라인들 (22a, 22b) 을 통하여,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2) 의 압력 공간들 (17, 18) 의 압력들을 공급받는다. 출구 밸브들 (7a-7d) 의 출구 포트들은 리턴 라인 (14b) 을 통하여 압력 매체 리저버 탱크 (4) 에 연결된다.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2) 는, 하우징 (21) 에, 2 개의 피스톤들 (15, 16) 을 가지고, 이 피스톤들은 직렬로 배치되고 유압 압력 공간들 (17, 18) 을 구획한다. 한편으로는, 압력 공간들 (17, 18) 은 피스톤들 (15, 16) 및 대응하는 압력 균등화 라인들 (41a, 41b) 에 형성된 반경방향 보어들을 통하여 압력 매체 리저버 탱크 (4) 에 연결되고, 연결부들은 하우징 (21) 에서 피스톤들 (15, 16) 의 상대 운동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압력 공간들 (17, 18) 은 유압 라인들 (22a, 22b) 에 의해 전술한 브레이크 회로 공급 라인들 (13a, 13b) 에 연결된다.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시 개방되는 밸브 (28) 가 압력 균등화 라인 (41a) 에 포함된다. 압력 공간들 (17, 18) 은,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2) 가 작동되지 않을 때 초기 위치에 피스톤들 (15, 16) 을 위치결정하는 복원 스프링들 (구체적으로 지정되지 않음) 을 포함한다. 피스톤 로드 (24) 는 페달 작동으로부터 기인한 브레이크 페달 (1a) 의 피봇선회 운동을 제 1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피스톤 (15) 의 병진 운동에 결합하고, 피스톤 로드의 작동 트래블은 바람직하게 리던던트 설계를 가지는 트래블 센서 (25) 에 의해 검출된다. 이런 식으로, 대응하는 피스톤 트래블 신호는 브레이크 페달 작동 각도의 척도이다. 그것은 차량 운전자의 제동 요구를 나타낸다.
압력 공간들 (17, 18) 에 연결된 라인 섹션들 (22a, 22b) 에 각각의 격리 밸브 (23a, 23b) 가 배치되고, 이 격리 밸브는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시 바람직하게 개방되는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2/2-방향 밸브로서 설계된다. 격리 밸브들 (23a, 23b) 에 의해,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의 압력 공간들 (17, 18) 과 브레이크 회로 공급 라인들 (13a, 13b) 사이 유압 연결부가 차단될 수 있다. 라인 섹션 (22b) 에 연결된 압력 센서 (20) 는 제 2 피스톤 (16) 의 변위 결과로서 압력 공간 (18) 에서 압력 축적을 검출한다.
시뮬레이션 기기 (3) 는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2) 에 유압적으로 결합가능하고,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시뮬레이터 챔버 (29), 시뮬레이터 스프링 챔버 (30) 및 2 개의 챔버들 (29, 30) 을 서로 분리하는 시뮬레이터 피스톤 (31) 으로 이루어진다. 시뮬레이터 피스톤 (31) 은, 시뮬레이터 스프링 챔버 (30) 에 배치되고 유리하게도 프리로드되는 탄성 요소 (예를 들어 스프링) 에 의해 하우징 (21) 에서 지지된다. 시뮬레이터 챔버 (29) 는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시뮬레이터 밸브 (32) 에 의해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2) 의 제 1 압력 공간 (17) 에 연결가능하다. 페달력이 입력되고 시뮬레이터 밸브 (32) 가 개방될 때, 압력 매체는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압력 공간 (17) 으로부터 시뮬레이터 챔버 (29) 로 유동한다. 시뮬레이터 밸브 (32) 에 대해 유압적으로 역병렬로 배치된 체크 밸브 (34) 는, 시뮬레이터 밸브 (32) 의 전환 상태에 관계 없이, 압력 매체가 시뮬레이터 챔버 (29) 로부터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압력 공간 (17) 으로 크게 제약을 받지 않고 유동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2) 로 시뮬레이션 기기의 다른 실시형태들과 연결을 생각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압력 제공 기기 (5) 는 유압 실린더-피스톤 배열체 또는 단일 회로 전기유압 액추에이터로서 설계되고, 압력 공간 (37) 을 구획하는, 기기의 압력 피스톤 (36) 은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기 모터 (35) 에 의해 마찬가지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회전/병진운동 메커니즘을 통하여 작동가능하다. 전기 모터 (35) 의 회전자 위치를 검출하는 역할을 하는 단지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전자 위치 센서는 도면 부호 44 로 표시된다. 부가적으로 모터 와인딩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압력 공간 (37) 에 둘러싸인 압력 매체에 대한 피스톤 (36) 의 힘의 영향에 의해 발생된 액추에이터 압력은 시스템 압력 라인 (38) 으로 공급되고 바람직하게 리던던트 설계를 가지는 압력 센서 (19) 에 의해 검출된다. 활성화 밸브들 (26a, 26b) 이 개방될 때, 압력 매체는 작동시키기 위해 휠 브레이크들 (8, 9, 10, 11) 로 들어간다. 따라서, 활성화 밸브들 (26a, 26b) 이 개방될 때,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운전 모드에서 정상 제동 운전 중, 모든 휠 브레이크들 (8, 9, 10, 11) 에 대한 휠 브레이크 압력 축적 및 소실은 피스톤 (36) 의 전진 및 후진 변위에 의해 일어난다. 압력 소실 중, 이전에 압력 공간 (37) 에서 휠 브레이크들 (8, 9, 10, 11) 로 변위된 압력 매체는 동일한 루트를 통하여 압력 공간 (37) 으로 유동한다. 반면에, 개별 휠들 사이에서 다르고 입구 및 출구 밸브들 (6a-6d, 7a-7d) 의 보조로 제어되는 휠 브레이크 압력들을 이용한 제동 운전 중 (예컨대 안티록 제어 운전 (ABS 제어) 중), 출구 밸브들 (7a-7d) 을 통하여 배출되는 압력 매체 성분은 압력 매체 리저버 탱크 (4) 로 유입되어서 처음에 휠 브레이크들 (8, 9, 10, 11) 의 작동을 위한 압력 제공 기기 (5) 에 더 이상 이용가능하지 않다. 활성화 밸브들 (26a, 26b) 이 폐쇄되어 있는 동안 부가적인 압력 매체는 피스톤 (36) 의 후퇴에 의해 보충 라인 (58) 을 통하여 압력 공간 (37) 으로 유입될 수 있다.
브레이크 어셈블리 (1) 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의 압력 축적 능력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제동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보조 모듈 (70) 에 유압적으로 연결된다. 이런 식으로, 운전자가 차량의 제동을 대신할 수 있을 때까지 기간을 메울 수 있다. 브레이크 어셈블리 (1) 및 보조 모듈 (70) 은 시스템 또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72) 을 형성한다.
보조 모듈 (70) 은 하우징 또는 유압 하우징 (76) 에 배치된 유압 유닛 (80) 을 갖는다. 압력 제공 기기 (86) 는 전기 모터 (92) 를 포함하고 이 전기 모터에 의해, 필요한 경우, 2 개의 펌프들 (96, 98) 이 운전될 수 있다. 펌프 (96) 는 압력측에서 유압 라인 또는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 (102) 을 통하여 휠 브레이크 (8) 에 연결된다. 펌프 (98) 는 압력측에서 라인 또는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 (108) 을 통하여 휠 브레이크 (10) 에 연결된다.
보조 모듈 (70) 은 필요할 때 제동 기능을 신뢰성있게 대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 목적으로, 유압 유닛 (80) 에 통합되고 유압 하우징 (76) 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유체를 위한 2 개의 리저버들 (120, 130) 이 제공된다. 브레이크 유체 리저버 (120) 는,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시 폐쇄되는 리저버 밸브 (142) 가 연결되는, 유압 라인 (136) 을 통하여 펌프 (96) 의 흡입측에 유압적으로 연결된다. 리저버 (130) 는,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시 폐쇄되는 리저버 밸브 (152) 가 연결되는, 유압 라인 (148) 을 통하여 흡입측에서 펌프 (98) 에 유압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리던던트 설계를 가지는 압력 센서 (160) 는 라인 (102) 에서 압력을 측정한다. 바람직하게 리던던트 설계의 압력 센서 (162) 는 라인 (108) 에서 압력을 측정한다. 개루프 및 폐루프 제어 유닛 (182) 은 신호 입력측에서 압력 센서들 (160, 162) 에 연결된다.
라인 (102) 으로부터, 라인 (102) 을 리저버 (120) 에 유압적으로 연결하는 유압 리턴 라인 (170) 이 분기하고,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시 폐쇄되는 리턴 밸브 (176) 가 리턴 라인으로 연결된다. 라인 (108) 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시 폐쇄되는 리턴 밸브 (186) 가 연결되는 유압 리턴 라인 (180) 이 분기한다.
이하,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에 대한 보조 모듈 (70) 의 유압 연결부가 설명될 것이다. 도 1 에서 파선들로 도시되고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의 하우징 (21) 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안내되는 공통 유압 균등화 라인 (190) 은 2 개의 리저버들 (120, 130) 을 브레이크 매체 리저버 탱크 (4) 에 연결한다.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하우징 (21) 외부로 안내되는 균등화 라인 (192) 은 하우징 (21) 외부에 위치되는 별개의 브레이크 매체 탱크 포트 (196) 에서 브레이크 매체 리저버 탱크 (4) 에 연결된다. 균등화 라인 (190, 192) 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 라인으로서 형성된다.
본원의 경우에 우측 후방 휠 브레이크에 대응하는 휠 브레이크 (9) 는 브레이크 라인 (202) 을 통하여 압력 제공 기기에 연결된다. 좌측 후방 휠 브레이크에 대응하는 휠 브레이크 (11) 는 브레이크 라인 (206) 을 통하여 압력 제공 기기 (5) 에 연결된다. 좌측 전방 휠 브레이크에 대응하는 휠 브레이크 (8) 는 브레이크 라인 (200) 에 의하여 압력 제공 기기 (5) 에 연결된다. 우측 전방 휠 브레이크에 대응하는 휠 브레이크 (10) 는 브레이크 라인 (204) 을 통하여 압력 제공 기기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 (102, 108) 으로도 지칭되는, 상기 브레이크 라인들의 섹션이 보조 모듈 (70) 에 뻗어있도록 보조 모듈 (70) 은 브레이크 라인들 (200, 204) 로 유압적으로 연결된다. 이런 식으로, 보조 모듈은 필요에 따라 브레이크들 (8, 10) 에서 브레이크 압력을 축적할 수 있다. 브레이크 라인 (200) 은, 라인 섹션 (210) 에서, 보조 모듈 (70) 내에 뻗어있다. 여기에서, 라인 섹션 (210) 은 브레이크 어셈블리 (1) 내에 뻗어있는 섹션 (216) 을 유압 라인 (102) 에 연결한다.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시 개방되는 격리 밸브 (220) 는 라인 섹션 (210) 으로 연결되고, 격리 밸브와 병렬로 체크 밸브 (226) 가 연결되고, 이 체크 밸브는, 격리 밸브 (220) 가 차단될 때, 휠 브레이크 (8) 에서 브레이크 유체의 리턴 유동을 방지한다. 압력 센서 (194) 는 브레이크 라인 (200) 에서 압력을 측정한다. 압력 센서의 신호는, 바람직하게, 브레이크 압력 설정이 보조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폴백 레벨에서 운전자 제동 요구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브레이크 라인 (204) 은, 라인 섹션 (234) 에서, 보조 모듈 (70) 내에 뻗어있다. 여기에서, 라인 섹션 (234) 은 브레이크 어셈블리 (1) 내에 뻗어있는 섹션 (238) 을 유압 라인 (108) 에 유압적으로 연결한다.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시 개방되는 격리 밸브 (240) 는 라인 섹션 (234) 으로 연결되고, 격리 밸브와 병렬로 체크 밸브 (246) 가 연결되고, 이 체크 밸브는 격리 밸브 (240) 가 차단될 때 휠 브레이크 (10) 에서 브레이크 유체의 리턴 유동을 방지한다.
브레이크 어셈블리 (1) 가 오작동을 나타내거나 완전히 고장나서, 그것이 휠 브레이크들 (8-11) 에서 요구되는 브레이크 압력을 설정할 수 없다면, 보조 모듈 (70) 이 2 개의 전방 휠 브레이크들 (8, 10) 에서 압력을 축적할 수 있다. 이 목적으로, 2 개의 격리 밸브들 (220, 240) 이 그것들의 격리 위치로 전환되어어서, 휠 브레이크들 (8, 10) 은 압력 제공 기기 (5) 및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2) 로부터 유압적으로 격리된다. 개루프 및 폐루프 제어 유닛 (182) 은 펌프들 (96, 98) 을 활성화하는 전기 모터 (92) 를 활성화한다. 각각의 펌프 (96, 98) 는 그 후 각각의 리저버 (120, 130) 로부터 브레이크 유체를 흡입하고 상기 브레이크 유체를 대응하는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 (102, 108) 을 통하여 휠 브레이크 (8, 10) 로 운반한다. 압력 축적 중, 동일한 브레이크 압력이 양쪽 휠 브레이크들 (8, 10) 에 축적되기만 하면 리턴 밸브들 (176, 186) 은 그것들의 격리 위치로 전환된다. 다른 압력들의 축적을 위해, 리턴 밸브들 (176, 186) 중 하나 또는 양자는, 필요한 경우에, 개방되고 출구 밸브(들)로서 기능하고, 이 출구 밸브(들)를 통하여 브레이크 유체는 각각의 리저버 (120, 130) 로 유입될 수 있다.
운전자가, 유압 폴백 레벨에서, 근력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 (1a) 을 작동함으로써 브레이크력을 축적할 때 보조 모듈 (70) 은 바람직하게 능동 상태로 유지되고, 따라서 브레이크력 부스팅 기능이 여전히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적어도 프런트 액슬에 대해) ABS 기능을 실현하고, 타겟 압력 감소를 통하여, 또한 리어 액슬에 대해 EBD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폴백 레벨에서, 리어 액슬에서, EPB (전자 주차 브레이크) 가 바람직하게 보조 모듈 (70) 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 활성화는, 리어 액슬의 과제동 (로킹 업) 을 회피하도록 운전자가 제동 입력을 수행할 때 철회된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보조 모듈 (70) 의 사시도이다. 유압 유닛 (80) 의 유압 하우징 (76) 은, 사실상, 모터 하우징 (94) 에 배치되는 모터 (92) 와 개루프 및 폐루프 제어 유닛 (182) 이 배치되고 전기 커넥터 플러그 (252) 를 가지는 전자장치 하우징 (250) 사이에 끼워진다. 환언하면, 모터 (92) 는 전자장치 하우징 (250) 에 대해 하우징 (76) 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2 개의 펌프들 (96) 중 하나는 도면에서 하우징 (76) 의 좌측에서 볼 수 있고, 다른 펌프 (98) 는 반대 측에 배치된다. 밸브 리셉터클 (256) 이 또한 도시된다. 포트 (270) 는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브레이크 매체 리저버 탱크, 특히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의 브레이크 매체 리저버 탱크 (4) 에 보조 모듈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휠 브레이크들 (도 1 에서 휠 브레이크들 (8, 10)) 의 유압 출구들 (272, 274) 및 ECU 용 체결 볼트 (262) 를 볼 수 있다.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예를 들어 도 1 에서 섹션들 (216, 238)) 에 연결하기 위해, 유압 입구들 (272a, 274a) 이 제공된다.
또한 2 개의 파이프들 (280, 282) 및 2 개의 폐쇄 커버들 (286, 288) 을 도 2 에서 볼 수 있다. 파이프 (280) 는 폐쇄 커버 (286) 에 의해 폐쇄되는 리저버 (120) 에 배치된다. 파이프 (282) 는 폐쇄 커버 (288) 에 의해 폐쇄되는 리저버 (148) 에 배치된다.
도 3 은 전자장치 하우징 (250) 을 향하고 있는 하우징 (76) 측을 보여준다.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시 개방되는 격리 밸브들 (220, 240) 은 제 1 열에 배치된다. 이 아래에,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시 폐쇄되는 4 개의 밸브들 (142, 152, 176, 186) 의 2 열 그룹이 배치되고, 각각의 경우에, 2 개의 리저버 밸브들 (142, 152) 은 하나의 열에 배치되고, 2 개의 리턴 밸브들 (178, 186) 은 둘 중 하나의 열에 배치된다. 또한, 하나의 열에 배치되는 3 개의 압력 센서들 (160, 162, 194) 을 볼 수 있다.
도 4 는 폐쇄 커버 (286) 에 의해 폐쇄된 리저버 (120) 를 통한, 그리고 리저버 (120) 에 배치되고 펌프 (96) 가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파이프 (280) 를 통한 단면을 측면도로 보여준다.
도 5 는 하우징 (76) 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의 도면이고, 하우징은 이 도면에서 볼 수 없다. 결과적으로, 보조 모듈 (70) 의 밸브 및 센서 위치들을 분명히 볼 수 있다.
도 6 은 보조 모듈 (70) 의 모터 측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고, 하우징 (76) 은 볼 수 없다. 상기 도면에서, 개루프 및 폐루프 제어 유닛 (182) 또는 ECU 에 모터 (90) 를 전기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모터 플러그를 위한 보어 (300) 를 볼 수 있다. 보어들 (306, 310, 312) 은 ECU 의 볼트들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볼트들을 수용한다. 모터 보어 (320) 는 모터 (90) 의 A 베어링 또는 모터의 편심 샤프트 단부를 포함하고 따라서 편심 베어링을 형성한다. 또한 펌프들 (96, 98) 로부터 누출 유체를 위한 리저버 (340) 를 도면에서 볼 수 있다.
추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보조 모듈 (70) 은 도 7 에 도시된다. 이것은, 이제 압력 센서들 (194, 160, 162) 에 더 가깝게 재배치된 밸브들 (152, 142, 186, 176) 의 배치에 의해 도 3 에 도시된 보조 모듈 (70) 의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도 8, 도 9 및 도 10 은 보조 모듈의 이런 실시형태를 추가 사시도들로 다시 도시한다.

Claims (18)

  1. 특히 고도 자동화 주행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용 보조 모듈 (70) 로서,
    적어도 2 개의 브레이크들 (8, 10) 에서 압력을 축적하기 위한 압력 제공 기기 (86) 를 구비한 유압 유닛 (80) 을 포함하고,
    브레이크 유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저버 (120, 130) 가 상기 유압 유닛 (80) 에 통합되는,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용 보조 모듈 (7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제공 기기 (86) 는 전기 모터 (92) 에 의해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96, 98) 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의 흡입측은 각각의 리저버 (120, 130) 에 유압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용 보조 모듈 (70).
  3. 제 2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유체를 위한 정확히 2 개의 리저버들 (120, 130) 및 정확히 2 개의 펌프들 (96, 98) 이 제공되고, 상기 2 개의 펌프들 (96, 98) 각각은, 흡입측에서, 흡입 라인 (136, 148) 을 통하여 정확히 하나의 리저버 (120, 130) 에 유압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용 보조 모듈 (7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펌프들 (96, 98) 은 공통 전기 모터 (92) 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용 보조 모듈 (70).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펌프 (96, 98) 는, 압력측에서, 유압 휠 브레이크 (8, 10) 에 연결하도록 설계되는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 (102, 108) 에 연결되는,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용 보조 모듈 (70).
  6.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 (102, 108) 은 상기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 (102, 108) 에서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160, 162) 에 연결되는,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용 보조 모듈 (70).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 (deenergized) 시 폐쇄되는 밸브 (142, 152) 가 각각의 흡입 라인 (136, 148) 에 연결되는,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용 보조 모듈 (70).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 (102, 108) 으로부터,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리저버 (120, 130) 에 유압적으로 연결되는 유압 리턴 라인 (170, 180) 이 분기되는,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용 보조 모듈 (70).
  9. 제 8 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시 폐쇄되는 리턴 밸브 (176, 186) 가 각각의 리턴 라인 (170, 180) 으로 연결되는,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용 보조 모듈 (70).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모듈은 각각의 펌프 (96, 98) 가 각각의 리저버 (120, 130) 에서 바닥으로부터 매체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용 보조 모듈 (70).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모듈은 유압 유닛 (80) 을 위한 유압 하우징 (76), 모터 하우징 (94), 및 전자장치 하우징 (250) 을 포함하는,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용 보조 모듈 (70).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하우징 (76) 은 전자장치 하우징 (250) 과 모터 하우징 (94)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용 보조 모듈 (70).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저버 (120, 130) 는 대기로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유압 균등화 라인 (190) 에 연결되는,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용 보조 모듈 (70).
  14. 브레이크 어셈블리 (1) 를 포함하는, 특히 고도 자동화 주행을 위한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72) 으로서,
    Figure pct00001
    유압적으로 작동가능한 휠 브레이크들 (8, 9, 10, 11);
    Figure pct00002
    휠-특정 브레이크 압력들을 설정하기 위해, 각각의 휠 브레이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휠 밸브 (6a-6d, 7a-7d);
    Figure pct00003
    상기 휠 브레이크들 (8, 9, 10, 11) 에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연결가능한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2);
    Figure pct00004
    대기압 하에 있는 압력 매체 리저버 탱크 (4); 및
    Figure pct00005
    유압 압력 공간 (37) 을 가지는, 상기 휠 브레이크들 (8, 9, 10, 11) 의 작동을 위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압력 제공 기기 (5) 로서, 각각의 휠 브레이크 (8, 9, 10, 11) 는 휠 브레이크 라인 (200, 202, 204, 206) 에 의해 상기 압력 공간 (37) 에 유압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압력 제공 기기 (5) 를 포함하고;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조 모듈 (70) 을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72).
  15. 제 13 항을 다시 인용하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균등화 라인 (190) 은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의 압력 매체 리저버 탱크 (4) 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72).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균등화 라인 (190)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 라인 (steel line) 으로 형성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72).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 (1) 의 제 1 휠 브레이크 라인 (200) 이 상기 보조 모듈 (70) 의 제 1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 (102) 으로 개방되고,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 (1) 의 제 2 휠 브레이크 라인 (204) 이 상기 보조 모듈 (70) 의 제 2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 (108) 으로 개방되고, 전기적으로 전원 차단시 개방되는 격리 밸브 (220, 246) 가 각각의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 (102, 108) 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72).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개의 휠 브레이크 공급 라인들 (102, 108) 은 전방 휠 브레이크들 (8, 10) 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72).
KR1020187023273A 2016-02-26 2017-01-20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부가 모듈, 및 상기 유형의 부가 모듈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KR102102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3119.8A DE102016203119A1 (de) 2016-02-26 2016-02-26 Zusatzmodul für eine elektrohydraulische Bremsanlage und Bremsanlagensystem
DE102016203119.8 2016-02-26
PCT/EP2017/051171 WO2017144201A1 (de) 2016-02-26 2017-01-20 Zusatzmodul für eine elektrohydraulische bremsanlage und bremsanlagensystem mit einem derartigen zusatzmodu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525A true KR20180101525A (ko) 2018-09-12
KR102102070B1 KR102102070B1 (ko) 2020-05-29

Family

ID=5785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273A KR102102070B1 (ko) 2016-02-26 2017-01-20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부가 모듈, 및 상기 유형의 부가 모듈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01245B2 (ko)
EP (1) EP3419876B1 (ko)
JP (1) JP6633769B2 (ko)
KR (1) KR102102070B1 (ko)
CN (1) CN108698577B (ko)
DE (1) DE102016203119A1 (ko)
WO (1) WO201714420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819A (ko) * 2019-10-08 2021-04-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KR20210050667A (ko) * 2019-10-29 2021-05-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KR20220106462A (ko) * 2021-01-22 2022-07-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및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6118A1 (de) * 2016-10-11 2018-04-1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elektrohydraulischen Bremsanlage und Bremsanlage
DE102017113563A1 (de) * 2017-06-20 2018-12-20 Ipgate Ag Bremssystem
DE102017213858A1 (de) * 2017-08-09 2019-02-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DE102017220308A1 (de) * 2017-11-15 2019-05-1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Überprüfen der Funktionalität eines Bremssystems und Bremssystem
US20190344767A1 (en) * 2018-05-09 2019-11-14 Robert Bosch Gmbh Electro-hydraulic power vehicle-brake system for an autonomously driving land vehicle
KR102146432B1 (ko) 2019-01-03 2020-08-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자제동장치
WO2020210319A1 (en) * 2019-04-09 2020-10-15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Braking system for heavy duty vehicles and related methods
CN110525410A (zh) * 2019-08-23 2019-12-03 芜湖伯特利汽车安全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冗余行车制动辅助系统
USD965637S1 (en) * 2020-04-10 2022-10-04 Dallas Fabian Air manifold for a truck
KR20210137680A (ko) * 2020-05-11 2021-1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57579A (ko) * 2020-06-22 2021-12-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제동장치 및 그 제동방법
US11981303B2 (en) * 2020-08-21 2024-05-14 Robert Bosch Gmbh Vehicle brak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20234559A1 (en) * 2021-01-27 2022-07-28 Advics North America, Inc. Series-connected brake actuators and automatic brake hold method employing same
US11919500B2 (en) 2021-03-01 2024-03-05 ZF Active Safety U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a hydraulic brake system
KR20230010893A (ko) * 2021-07-12 2023-01-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WO2023134830A1 (de) 2022-01-13 2023-07-20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Hydraulische bremsanlage für niedrige temperaturen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bremsanlage
DE102022203990A1 (de) 2022-01-13 2023-07-13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Hydraulische Bremsanlage für niedrige Temperaturen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Bremsanlage
DE102022202832A1 (de) 2022-03-23 2023-09-28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Bremssystem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DE102022202911A1 (de) 2022-03-24 2023-09-28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Bremssystem
KR102658541B1 (ko) 2022-06-13 2024-04-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KR20230171173A (ko) 2022-06-13 2023-1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3369A (ko) * 2011-04-19 2014-02-26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모터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
WO2015106892A1 (de) * 2014-01-15 2015-07-2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ensteuervorrichtung sowie bremsanlage für fahrzeuge
WO2015139983A1 (de) * 2014-03-18 2015-09-2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hydraulisches aggregat und bremsanlag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5860A1 (de) * 1994-12-22 1996-06-27 Teves Gmbh Alfred Schlupfgeregelte hydraulische Bremsanlage
GB9510177D0 (en) * 1995-05-19 1995-07-12 Lucas Ind Plc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onic braking systems
JP3753810B2 (ja) * 1996-10-18 2006-03-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US6428121B1 (en) * 1999-02-01 2002-08-0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Pressure control device
DE10023301A1 (de) * 1999-06-08 2001-01-2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nisch regelbare Bremsanlage
FR2841854B1 (fr) * 2002-07-04 2004-09-24 Bosch Gmbh Robert Dispositif d'assistance de freinage
JP2004338565A (ja) 2003-05-15 2004-12-0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アクチュエータ
CN100577484C (zh) 2004-10-15 2010-01-06 大陆-特韦斯贸易合伙股份公司及两合公司 用于机动车辆的制动设备
JP4630070B2 (ja) * 2005-01-17 2011-0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液圧ブレーキ装置
DE102007036859A1 (de) * 2006-08-10 2008-04-3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Fremdansteuerbare elektro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JP2009090933A (ja) * 2007-10-11 2009-04-30 Honda Motor Co Ltd 制動装置
DE102010030321A1 (de) * 2010-06-22 2011-12-2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JP5193270B2 (ja) * 2010-11-17 2013-05-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ブレーキアクチュエータの車体取付構造
JP5507424B2 (ja) * 2010-11-24 2014-05-28 日信工業株式会社 液圧制御装置
DE102012205862A1 (de) * 2011-04-19 2012-10-2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emsanlage
DE102012205962A1 (de) * 2011-05-05 2012-11-0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emsanlage
DE102013204778A1 (de) 2012-03-22 2013-09-2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haptischen Information des Fahrers eines Kraftfahrzeugs
JP5631937B2 (ja) 2012-07-17 2014-1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制動力発生装置
DE102012217825A1 (de) 2012-09-28 2014-04-0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Kombinierte Bremsanlage für Fahrzeuge sowie Verfahren zu deren Betrieb
DE102013225809A1 (de) * 2013-02-27 2014-08-2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JP2014213628A (ja) * 2013-04-23 2014-1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動システム
JP5881251B2 (ja) 2013-05-23 2016-03-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US9296370B2 (en) 2013-12-04 2016-03-29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Hydraulic and electronic braking system for autonomous braking
JP2015160464A (ja) * 2014-02-26 2015-09-07 株式会社デンソー ブレーキ液圧制御用アクチュエータ
DE102014212537A1 (de) * 2014-06-30 2015-12-3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4212538A1 (de) * 2014-06-30 2015-12-3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Anordnung für eine hydraulische Kraftfahrzeug-Bremsanlage sowie Bremsanlage mit einer solchen Anordnung
DE102016201047A1 (de) * 2015-01-29 2016-08-0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DE102016203111A1 (de) * 2015-03-05 2016-09-0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DE102015104246A1 (de) * 2015-03-20 2016-09-22 Ipgate A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bremse
JP6521309B2 (ja) * 2015-09-01 2019-05-2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3369A (ko) * 2011-04-19 2014-02-26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모터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
WO2015106892A1 (de) * 2014-01-15 2015-07-2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ensteuervorrichtung sowie bremsanlage für fahrzeuge
WO2015139983A1 (de) * 2014-03-18 2015-09-2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hydraulisches aggregat und bremsanlag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819A (ko) * 2019-10-08 2021-04-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KR20210087420A (ko) * 2019-10-08 2021-07-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US11772623B2 (en) 2019-10-08 2023-10-03 Hyundai Mobis Co., Ltd. Electronic hydraulic brake device
KR20210050667A (ko) * 2019-10-29 2021-05-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KR20210080316A (ko) * 2019-10-29 2021-06-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US11485336B2 (en) 2019-10-29 2022-11-01 Hyundai Mobis Co., Ltd. Hydraulic block for redundancy of electronic braking device for vehicle
KR20220106462A (ko) * 2021-01-22 2022-07-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및 제어방법
US11787377B2 (en) 2021-01-22 2023-10-17 Hyundai Mobi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 hydraulic bra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33769B2 (ja) 2020-01-22
US20190016321A1 (en) 2019-01-17
EP3419876A1 (de) 2019-01-02
CN108698577A (zh) 2018-10-23
KR102102070B1 (ko) 2020-05-29
US11001245B2 (en) 2021-05-11
JP2019505438A (ja) 2019-02-28
EP3419876B1 (de) 2020-01-08
WO2017144201A1 (de) 2017-08-31
CN108698577B (zh) 2021-02-05
DE102016203119A1 (de)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070B1 (ko)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부가 모듈, 및 상기 유형의 부가 모듈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KR102479868B1 (ko) 2 개의 압력원들을 가진 제동 시스템 및 2 개의 압력원들을 가진 제동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
US10358119B2 (en) Brak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110520339B (zh) 液压式机动车制动装置和用于运行和用于检查该机动车制动装置的方法
US20200139949A1 (en) Braking system
KR102104191B1 (ko)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브레이크 시스템
JP6774572B2 (ja) 自動車用制動設備及び制動設備の動作方法
KR102244411B1 (ko) 모터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CN107428323B (zh) 用于机动车的制动系统
US10752228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 hydraulic brake system, and brake system
KR20190077543A (ko) 두개의 압력 소스들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두 방법들
US10137877B2 (en) Brake system for motor vehicles
US10259440B2 (en) Hydraulic vehicle braking system with electromechanical actuator,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hydraulic vehicle braking system
US9205821B2 (en) Brake system for motor vehicles
US20170129469A1 (en) Arrangement for a hydraulic motor vehicle brake system, and brake system having an arrangement of said type
KR20170020824A (ko) 자동차용 제동 시스템
KR20150125989A (ko) 압력 제공 디바이스 및 브레이크 시스템
KR102104190B1 (ko) 모터 차량들용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16008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20200055092A (ko)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두 가지 방법들
KR102115251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