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408A -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 Google Patents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408A
KR20180101408A KR1020187020795A KR20187020795A KR20180101408A KR 20180101408 A KR20180101408 A KR 20180101408A KR 1020187020795 A KR1020187020795 A KR 1020187020795A KR 20187020795 A KR20187020795 A KR 20187020795A KR 20180101408 A KR20180101408 A KR 20180101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ass
oil
polyether
perf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유키 오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80101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4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3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n alkoxy or aryloxy group, e.g. behenoxy dimethicone or stearoxy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향료를 고배합해도 점도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향료를 5∼15질량%, (b)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를 1.5∼3질량% 및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이고,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2∼10질량%의 탄소수 12∼22개의 탄화수소 분기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1)을 포함하고, 알킬쇄를 갖지 않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2)을 10질량% 이하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b) 성분에 대한 (c1) 성분과 (c2) 성분의 합계 배합량의 비율이 2 이상이고, (a) 성분에 대한 (c1) 성분과 (c2) 성분의 합계 배합량의 비율이 0.8 이상이고, (c1) 성분과 (c2) 성분의 합계 배합량이 4질량% 이상이고, (c2) 성분에 대한 (c1) 성분의 배합량 비율이 0.8 이상이며, 레오미터 경도가 6 이상인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본 발명은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향료를 고배합해도 점도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적당한 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안정한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유중수형 유화 타입의 화장료는 수중유형 유화 타입에 비해서 내수성이 우수한데다가, 에몰리엔트유, 유용성의 약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효율적으로 배합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을 가져, 스킨케어 효과가 높은 화장료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수중유형 유화 타입과 비교해서 안정화가 어렵고, 청량감이 결여되고, 끈쩍임이나 오일리하다는 사용감을 발생시키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의 외상(유상)을 구성하는 유분을 증점 또는 겔화시킴으로써 유화물이 안정화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수팽윤성 점토 광물을 제4급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처리한 유기 변성 점토 광물이 유화제로서 안정한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유화계는 수분을 고배합해도 안정한 유중수형 유화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중수형 유화 타입이면서 산뜻한 사용감의 스킨케어 화장료나 메이크업 화장료에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에탄올 및 청량제를 포함하고, 산뜻한 사용감과 청량감을 갖는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산뜻하고, 독특한 소프트한 사용감을 갖는 겔형상 화장료, 특히 메이크업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크림 등의 화장료에 향료를 사용하여 향이 나게 해서 제품의 매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지만, 일반적인 크림 등의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의 향료의 배합량은 많아도 1질량% 이하이고, 통상은 0.1∼0.5질량% 정도이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실시예 7 및 9 참조). 그리고,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가 상기의 유기 변성 점토 광물에 의해 유화 안정화되어 있어도, 거기에 향료를 고배합(예를 들면, 5질량% 이상 배합)하면, 점도가 저하해서 불안정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일본특허공고 평 3-80531호 공보 일본특허 제3524717호 공보 일본특허 제5384050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제는 향료를 고배합해도 점도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와 특정 구조의 비이온성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조합시켜서 배합하고, 또한, 각 성분 간의 배합량 비율을 특정 범위 내로 함으로써, 향료를 고배합해도 점도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안정한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a) 향료를 5∼15질량%,
(b)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를 1.5∼3질량%, 및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로서,
상기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조성물 전 중량에 대하여 2∼10질량%의 탄소수 12∼22개의 탄화수소 분기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1)을 포함하고, 알킬쇄를 갖지 않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2)을 조성물 전 중량에 대하여 10질량% 이하 포함해도 되고,
상기 (b) 성분에 대한 (c1) 성분과 (c2) 성분의 합계 배합량의 비율[((c1)+ c2))/(b)]이 2 이상이고,
상기 (a) 성분에 대한 (c1) 성분과 (c2) 성분의 합계 배합량의 비율[((c1)+(c2))/(a)]이 0.8 이상이고,
(c1) 성분과 (c2) 성분의 합계 배합량이 4질량% 이상이고, (c2) 성분에 대한 (c1) 성분의 배합량 비율[(c1)/(c2)]이 0.8 이상이고,
25℃에 있어서 레오미터(11.3φ, 3mm 침입(針入))를 이용하여 측정한 조성물의 경도가 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는 향료를 5질량% 이상 고배합해도 점도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안정하하고 적당한 경도를 유지하고, 산뜻한 사용감을 발휘한다. 종래의 크림 등과 비교해서 향료가 고배합되어 있으므로 부향 효과가 높고, 향수나 오드 콜로뉴 등의 프레이그런스 화장료와 같은 고급감을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이하, 단지 「유화 화장료」라고 호칭하는 경우도 있다)는 5∼15질량%의 향료((a) 성분)를 포함하고 있다. 화장료에 배합되는 향료는 일반적으로, 천연 향료, 합성 향료 및 조합 향료로 분류된다. 천연 향료는 식물 또는 동물 유래의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향료이고, 장미유, 자스민유, 네롤리유, 라벤더유, 일랑일랑유, 튜베로즈유, 클라리세이지유, 클로브유, 페퍼민트유, 제라늄유, 파출리유, 샌들우드유, 시나몬유, 코리앤더유, 너트메그유, 페퍼유, 레몬유, 오렌지유, 베르가못유, 오포포낙스유, 베티버유, 오리스유, 오크모스유 등의 식물 유래의 천연 향료, 머스크유, 시베트유, 캐스토리움유, 앰버그리스유 등의 동물 유래의 천연 향료가 있다.
합성 향료는 그 화학 구조 또는 발향기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탄화수소, 알콜, 알데히드, 케톤, 에스테르, 락톤, 페놀, 아세탈 등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다. 구체예로서는 리모넨, β-캐리오필렌(이상, 탄화수소류), 시스-3-헥세놀, 리날롤, 파르네솔, β-페닐에틸알콜, 게라니올, 시트로넬롤, 터피네올, 멘톨, 산탈롤, 박다놀, 브라마놀(brahmanol)(이상, 알콜류), 2,6-노나디에날, 시트랄, α-헥실신나믹알데히드, I-카르본, 시클로펜타데칸온, 리랄, 리리알(이상, 알데히드류), β-이오논, 다마스콘, 메틸이오논, 아이언, 이소 이 슈퍼(Iso E Super), 아세틸세드렌(Acetyl cedrene), 무스콘(이상, 케톤류), 리날릴아세테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아세테이트, 메틸디히드록시자스모네이트, 메틸자스모테이트(이상, 에스테르류), γ -운데카락톤, 자스민락톤, 시클로펜타데카놀리드, 에틸렌브라실레이트(이상, 락톤류), 유게놀(페놀류), 페닐아세토알데히드디메틸아세탈(아세탈류), 로즈 옥사이드, 인돌, 오란티올 등이 열거된다.
조합 향료란 천연 향료나 합성 향료를 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향료이고, 그 주체(보디)가 되는 부분의 향을 갖는 소재를 조합 베이스 향료라 한다. 기본적인 베이스 향료로서는 로즈, 자스민, 뮤게 등의 플로랄, 우디, 시프레, 시트러스, 그린, 푸제아, 오리엔탈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소량 첨가해서 향의 깊이나 폭을 내는 베이스 향료로서, 프루티(fruity), 스파이시, 알데히드, 애니멀 등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향료는 상기의 천연 향료, 합성 향료 및 조합 향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의 향료의 배합량은, 5∼15질량%, 바람직하게는 5∼12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질량%이다. 5질량% 미만에서는 의도하는 부향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15질량%를 초과해서 배합하면 향이 지나치게 강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는 유화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는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b) 성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b) 성분)는 화장료 등의 유상 증점제(또는 겔화제)로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유기 변성 점토 광물의 1종이며, 유분 중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복합체를 형성해서 오일겔을 구축한다(특허문헌 1∼3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성분 b)로서 시판품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벤톤 38V」또는 「벤톤 38VCG」(Elementis Japan K.K. 제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의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b) 성분)의 배합량은 1.5∼3.0질량%, 바람직하게는 1.8∼2.8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5질량%이다. (b) 성분의 배합량이 1.5질량% 미만이면 충분한 유화 안정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는 상기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b) 성분)와 아울러 복합체를 형성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c) 성분)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12∼22개의 탄화수소 분기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1)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탄소수 12∼22개의 탄화수소 분기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1) 성분)은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실리콘 골격의 측쇄에 폴리옥시알킬렌기와 탄소수 12∼22개의 탄화수소기, 바람직하게는 알킬기를 갖는 것이고, 폴리에테르·알킬 공변성 실리콘이라고도 불리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폴리에테르·알킬 공변성 실리콘이 예시된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I)에 있어서,
R은 탄소수 1∼3개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바람직하게는 메틸기);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12개의 알킬기(바람직하게는 수소);
p는 12∼22(바람직하게는 10∼18, 특히 바람직하게는 12∼16);
q는 1∼50(바람직하게는 3);
m은 1∼100;
n, w 및 x는 각각 1∼50;
y는 0∼50이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의 부가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랜덤상 또는 블록상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또한, 알킬쇄(CpH2p+1)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것을 포함한다.
구체예로서는 직쇄상의 실리콘 골격을 갖는 메틸폴리실록산·세틸메틸폴리실록산·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세틸디메티콘 코폴리올이라고도 함), 시판품으로서, ABIL EM90(Degussa사 제품)이 열거된다. 또한, 분기쇄상의 실리콘 골격을 갖는 라우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KF-6038; 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의 탄소수 12∼22개의 탄화수소 분기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1) 성분)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 중량에 대하여 2∼10질량%, 바람직하게는 2∼8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6질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c) 성분)는 알킬쇄를 갖지 않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2)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알킬쇄를 갖지 않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은 일반적으로, 단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이라고 부르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은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실리콘 골격의 측쇄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것이고,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이 열거된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II)에 있어서,
R은 탄소수 1∼3개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바람직하게는 메틸기);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12개의 알킬기(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기);
q는 1∼50(바람직하게는 3);
m은 1∼100;
n 및 x는 각각 1∼50;
y는 0∼50이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의 부가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또한 랜덤상, 블록상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2) 성분)으로서는 실리콘 골격이 분기쇄상인 것(분기쇄 타입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이라고도 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분기쇄 타입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구체예로서는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 시판품으로서 KF-6028(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등이 열거된다. 실리콘 골격이 직쇄상인 것(직쇄 타입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구체예로서는 PEG-10 디메티콘, 시판품으로서, KF-6017 또는 KF-6017P(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의 알킬쇄를 갖지 않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2) 성분)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 중량에 대하여 10질량% 이하(0∼10질량%), 바람직하게는 1∼6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4질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c2) 성분은 필수 성분이 아니고,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는 (c2)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형태를 포함한다. 단,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는 (c1) 성분과 (c2) 성분의 합계 배합량이 4질량% 이상인 것을 필요로 한다. 즉, (c1) 성분의 배합량이 4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화 화장료는 (c2) 성분을 반드시 함유하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가 알킬쇄를 갖지 않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2)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c2) 성분에 대한 (c1) 성분의 배합량 비율[(c1)/(c2)]은 0.8 이상인 것을 조건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9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이 비율이 0.8 미만이면 유화 안정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이 비율의 상한값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탄소수 12∼22개의 탄화수소 분기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1) 성분) 및 알킬쇄를 갖지 않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2) 성분) 이외의 실리콘계 또는 탄화수소계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는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b) 성분)에 대한 (c1) 성분과 (c2) 성분의 합계 배합량의 비율[((c1)+(c2))/(b)]이 2 이상, 바람직하게는 2.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이상이고, 향료((a) 성분)에 대한 (c1) 성분과 (c2) 성분의 합계 배합량의 비율[((c1)+(c2))/(a)]이 0.8 이상, 바람직하게는 0.9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이들의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지 않으면 충분한 유화 안정성이 발휘되지 않는다. 이들의 비율의 상한값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c1)+(c2))/(b)]에 대해서는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고, [((c1)+(c2))/(a)]에 대해서는 5 이하,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는 유분 중에서 (b)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와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복합체를 구축해서 오일겔을 형성하고, 여기에 수상을 분산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 유상을 형성할 수 있는 유분으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동식물유로서 아보카드유, 동백유, 마카다미아너츠유, 옥수수유, 달맞이꽃유, 밍크유, 호호바유, 유채씨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카카오유, 야자유, 미강유, 올리브유, 라놀린, 스쿠알렌 등의 천연 동식물유지류,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 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 글리세롤,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테트라 2-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펜타에리트리톨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 리놀산에틸 등의 극성유, 실리콘유로서는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디엔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메틸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등이 열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에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실리콘계의 계면활성제((c1) 성분 및 임의로 (c2) 성분)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지만, 배합되는 유분은 실리콘유, 특히 휘발성 실리콘유를 포함하지 않아도 안정한 유화계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유기 변성 점토 광물과 직쇄상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에 의하여 증점 또한 안정화된 유중수형 유화물에 있어서는 유분에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등의 휘발성 실리콘유를 포함시키는 것을 필수로 하는 특허문헌 2의 발명으로부터는 예측할 수 없는 특징이다.
이렇게 하여 조제되는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는 25℃에서 레오미터(11.3φ, 3mm 침입)을 이용하여 측정한 경도가 6 이상, 바람직하게는 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이러한 경도를 갖는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는 예를 들면, 자(jar) 용기에 충전하면 흘리는 경우없이 적당한 경도를 유지하고 있다. 경도의 상한값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에는 상기 이외에,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에 통상, 배합될 수 있는 임의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임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아미노벤조산, 호모메틸-7N-아세틸알란토이라닐레이트, 부틸메톡시벤조일메탄, 디-파라메톡시신남산-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아밀살리실레이트, 옥틸신나메이트,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자외선 흡수제,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 등의 보습제, 한천, 메틸셀룰로오스, 아라비아 검, 폴리비닐알콜 등의 증점제, 부틸히드록시톨루엔, 토코페롤, 피틴산 등의 산화 방지제, 벤조산, 살리실산, 소르빈산, 파라옥시벤조산 알킬에스테르(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 헥사클로로펜 등의 항균 방부제, 아실사르코신산 예를 들면, 라우로일코신나트륨), 글루타티온,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등의 유기산,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 비타민 B6 염산염, 비타민 B6 트리팔미테이트, 비타민 B6 디옥타노에이트, 비타민 B2 및 그 유도체, 비타민 B12, 비타민 B15 및 그 유도체 등의 비타민 B류,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 황산 에스테르(염), 아스코르브산 인산 에스테르(염), 아스코르브산 디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 C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비타민 E-아세테이트, 비타민 E-니코티네이트 등의 비타민 E류, 비타민 D류, 비타민 H류, 판토텐산, 판테틴산 등의 비타민류, 니코틴산 아미드, 니코틴산 벤질, γ-오리자놀, 알란토인, 글리틸리틴산(염), 글리틸레틴산 및 그 유도체, 히노키티올, 무시딘, 비사보롤, 유카립톨, 티몰이노시톨,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세파란틴, 플라센털 익스트랙트(placental extract) 등의 각종 약제,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콜을 (바람직하게는 5∼20질량% 정도) 배합함으로써, 화장료의 펴짐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고, 한천, 메틸셀룰로오스, 아라비아 검, 폴리비닐알콜 등의 증점제를 (바람직하게는 0.5∼5질량% 정도) 배합함으로써 더욱 깊이가 있는 사용 느낌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는 고부향된 크림으로서 제공할 수 있는 것외, 적당한 경도를 갖는 프레이그런스 화장료로서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배합량은 특기하지 않는 한, 그 성분이 배합되는 계에 대한 질량%로 나타낸다.
하기의 표 1∼3에 나타낸 조성으로,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크림)를 조제했다.
얻어진 화장료에 대해서, (1) 레오미터 경도, (2) 유화 안정성 및 (3) 실사용 시험에 있어서의 산뜻함, 펴짐의 가벼움을 평가했다.
평가 방법
(1) 경도
25℃의 분위기 하에서, 레오미터(FUDO kougyou, Inc. 제품:NRM-3002D; 직경 11.3mm, 3mm 침입)에 의해 측정한 경도를 각 표에 나타낸다.
(2) 유화 안정성
각 예의 화장료를 목시 관찰해서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안정하고 외관에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
×: 유화물에 분리가 보였다.
(3) 실사용 시험
각 예의 샘플을 전문 패널에게 사용하게 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S: 매우 우수하다.
A: 우수하다.
B: 약간 열악하다.
C: 열악하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1의 참고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료를 배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로 안정화된 유중수형 유화 물이 얻어졌다. 그 계에 5질량% 이상의 향료를 배합한 경우, 향료((a) 성분),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b) 성분)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c) 성분)의 조성, 배합량 범위 및 배합량 비율이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약간의 경도 저하는 보이지만, 유화 안정성 및 사용성이 우수한 화장료가 되었다(실시예 1∼5).
그러나,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b) 성분)의 배합량이 1.5질량%에 만족되지 않는 경우(비교예 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탄소수 12∼22개의 탄화수소 분기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1)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4), 탄소수 12∼22개의 탄화수소 분기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1)과 알킬쇄를 갖지 않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2)의 합계 배합량과 향료((a) 성분) 또는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b) 성분)의 배합량의 비율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2 및 5) 또는 (c1) 성분과 (c2) 성분의 배합량 비율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3 및 6)에는 안정한 유화물이 얻어지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5
표 3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향료의 종류 또는 배합량을 변화시켜도, 본 발명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한, 안정하게 적당한 경도를 유지한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리모넨은 고극성의 향료이고, 페닐에틸알콜은 저극성의 향료이고, 운데실알데히드는 양자의 중간의 극성을 갖는 향료이다.
또한, 표 3의 실시예 9 및 10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에 에탄올을 첨가함으로써 펴짐의 우수함이 더욱 향상하고, 한천을 배합함으로써 산뜻한 감촉이 더욱 향상하는 것이 확인된다.

Claims (3)

  1. (a) 향료를 5∼15질량%,
    (b)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를 1.5∼3질량%, 및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로서,
    상기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화장료 전 중량에 대하여 2∼10질량%의 탄소수 12∼22개의 탄화수소 분기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1)을 포함하고, 알킬쇄를 갖지 않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2)을 화장료 전 중량에 대하여 10질량% 이하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b) 성분에 대한 (c1) 성분과 (c2) 성분의 합계 배합량의 비율[((c1)+(c2))/(b)]이 2 이상이고,
    상기 (a) 성분에 대한 (c1) 성분과 (c2) 성분의 합계 배합량의 비율[((c1)+(c2))/(a)]이 0.8 이상이고,
    (c1) 성분과 (c2) 성분의 합계 배합량이 4질량% 이상이고,
    (c2) 성분에 대한 (c1) 성분의 배합량 비율[(c1)/(c2)]이 0.8 이상이며,
    25℃에 있어서 레오미터(11.3φ, 3mm 침입)를 이용하여 측정한 화장료의 경도가 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2∼22개의 탄화수소 분기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1)이 메틸폴리실록산·세틸메틸폴리실록산·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인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쇄를 갖지 않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c2)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 및 PEG-10 디메티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화장료.
KR1020187020795A 2016-01-18 2016-12-12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KR201801014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7211A JP6588345B2 (ja) 2016-01-18 2016-01-18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JP-P-2016-007211 2016-01-18
PCT/JP2016/086853 WO2017126252A1 (ja) 2016-01-18 2016-12-12 油中水型乳化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408A true KR20180101408A (ko) 2018-09-12

Family

ID=5936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795A KR20180101408A (ko) 2016-01-18 2016-12-12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96872B2 (ko)
EP (1) EP3406238B1 (ko)
JP (1) JP6588345B2 (ko)
KR (1) KR20180101408A (ko)
CN (1) CN108463210B (ko)
HK (1) HK1252897A1 (ko)
WO (1) WO2017126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8407B (zh) * 2018-02-07 2023-10-27 株式会社资生堂 固体w/o化妆品组合物
CN112399846A (zh) 2018-07-20 2021-02-23 株式会社资生堂 油包水型乳化化妆品
CN109700754B (zh) * 2019-02-27 2020-08-04 广东柏俐臣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面部防护喷雾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717A (en) 1975-06-30 1977-01-14 Fujitsu Ten Ltd Automatic tuning receiver
JPS5384050A (en) 1976-12-21 1978-07-25 Sca Development Ab Cellulosic absorbent material and its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JPH0380531A (ja) 1989-05-24 1991-04-05 Hitachi Ltd 表面処理方法と装置及び薄膜部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4717B2 (ja) 1997-06-13 2004-05-10 株式会社資生堂 油中水型乳化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乳化化粧料
JP2000072646A (ja) 1998-08-27 2000-03-07 Chiba Flour Milling Co Ltd 油中水型乳化化粧料
BR0210303B1 (pt) * 2001-06-11 2014-04-15 Firmenich & Cie Composição perfumante livre de álcool, e,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a mesma
JP2009235046A (ja) * 2008-03-28 2009-10-15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5384050B2 (ja) 2008-08-19 2014-01-08 株式会社 資生堂 ゲル状化粧料
JP5041551B2 (ja) * 2009-09-25 2012-10-03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皮膚化粧料
JP5164292B2 (ja) * 2011-08-12 2013-03-21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皮膚美白化粧料
JP5694273B2 (ja) 2012-10-30 2015-04-01 株式会社 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JP5834037B2 (ja) * 2013-03-08 2015-12-16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化粧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717A (en) 1975-06-30 1977-01-14 Fujitsu Ten Ltd Automatic tuning receiver
JPS5384050A (en) 1976-12-21 1978-07-25 Sca Development Ab Cellulosic absorbent material and its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JPH0380531A (ja) 1989-05-24 1991-04-05 Hitachi Ltd 表面処理方法と装置及び薄膜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63210A (zh) 2018-08-28
EP3406238A4 (en) 2019-08-07
CN108463210B (zh) 2021-08-10
US20190038526A1 (en) 2019-02-07
JP6588345B2 (ja) 2019-10-09
HK1252897A1 (zh) 2019-06-06
WO2017126252A1 (ja) 2017-07-27
JP2017128512A (ja) 2017-07-27
EP3406238A1 (en) 2018-11-28
US11096872B2 (en) 2021-08-24
EP3406238B1 (en)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01282B2 (en) Antiperspirant/deodrant composition
JP2008266218A (ja) 外用剤
KR20180101408A (ko)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WO2013024653A1 (ja) 油中水型皮膚美白化粧料
JP5469319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KR102499487B1 (ko)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A3024219A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silicone elastomer
JP4250093B2 (ja) 化粧料
KR10050897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101620294B1 (ko)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JP4684895B2 (ja) サンスクリーン化粧料
KR20140141431A (ko) 모발용 처리제
JP4898011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07161635A (ja) 二層分離型化粧料
CN106102698B (zh) 包含表面活性剂和亲水性活性成分的组合物
JP7041500B2 (ja) 皮膚化粧料
KR101812335B1 (ko) 유화 조성물
JP5346540B2 (ja) タバコ臭用消臭・防臭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配合した頭髪用化粧品組成物
JP2009203179A (ja) 皮膚外用剤
JP2019131507A (ja) 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JP2003226635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H09175947A (ja) 育毛剤組成物
KR10130116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트리베헤닌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6039250B2 (ja) 乳化化粧料
JP6753700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