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434A -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434A
KR20180100434A KR1020187023464A KR20187023464A KR20180100434A KR 20180100434 A KR20180100434 A KR 20180100434A KR 1020187023464 A KR1020187023464 A KR 1020187023464A KR 20187023464 A KR20187023464 A KR 20187023464A KR 20180100434 A KR20180100434 A KR 20180100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target
humidification
water
water u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034B1 (ko
Inventor
티에준 리우
싱셍 린
얀안 멍
동동 왕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베이징 스마트미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베이징 스마트미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0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S101)와;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S102)와; 상기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03)를 포함한다. 이리하여, 가습기를 사용하여 가습 작업을 수행할 시,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이번 가습기를 사용하여 가습 작업을 완성하여 가습 목표 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의 물탱크내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습기의 물탱크에 물을 추가하도록 하고, 가습기내의 수량이 적절하지 않아 가습기에 조성되는 손상을 피한다.

Description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출원 번호가 CN201610827278.5이며, 출원일이 2016 년 9 월 14일인 중국특허출원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당해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가전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기의 품질이 점점 사람들의 중시를 받고 있다. 건조한 공기는 인체내의 열을 높여, 피부가 정전기를 발생하기 쉽게 하고 호흡기관에도 나쁜 영향을 초래한다. 따라서, 가습기가 사람들의 생활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사용자가 가습기의 물탱크 내에 물을 추가한 후 공기 가습기를 온 시키면, 가습기는 물탱크의 물을 물 안개로 변화시키고, 송풍기를 이용하여 물 안개를 공기 중에 확산시킴으로써, 공기의 습도를 증가시키고, 양호한 공기 환경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1 양상에 의하면,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을 제공하며, 당해 방법은,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기를 사용하여 가습을 진행할 시,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이번에 가습기를 사용하여 가습을 진행하여 가습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의 물탱크내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습기의 물탱크내에 물을 추가하도록 하고, 가습기내의 수량이 적절하지 않아 가습기에 조성되는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는 목표 습도 또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러가지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통하여 물 사용량을 확정하여, 사용자의 여러가지 가습 목표 수요를 만족시킬 수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습도일 경우,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및 현재 습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기초하여,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정확하게 확정함으로써, 가습기내의 수량이 적절하지 않아 가습기에 조성되는 손상을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는,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V=(t1-t0)ХsХw1이며,
그중, 상기 t1은 목표 습도이고, 상기 t0은 현재 습도이며, 상기 s는 공간 면적이고, 상기 w1은 제 1 계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V=(t1-t0)ХsХw1에 기초하여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할 수 있고, 확정 방식이 간단하고 정확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일 경우,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습기의 모터의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의 회전 속도와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정확하게 확정함으로써, 가습기내의 수량이 적절하지 않아 가습기에 조성되는 손상을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인하는 단계는,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V=tХvХw2이며,
그중, 상기 t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이고, 상기 v는 모터의 회전 속도이며, 상기 w2는 제 2 계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식 V=tХvХw2 따라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할 수 있고, 확정 방식이 간단하고 정확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물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 사용량을 표시하여, 이번 가습 작업을 완성하기 위하여 가습기의 물탱크내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사용자에게 직접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습기의 물탱크내에 물을 추가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물탱크내의 물이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했을 시 상기 가습기가 리마인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가습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 사용량을 가습기로 송신하고, 가습기에 의하여 가습기내 수량을 검출하여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하도록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특별히 눈금선 등 정보를 관찰할 필요가 없게 되고, 사용자가 가습기의 물탱크에 대한 물 추가가 더욱 편리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가습기에 바인딩(binding)된 단말기가 상기 가습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리마인더(reminder)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기와 바인딩된 단말기를 통하여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여 물 사용량을 가습기로 송신하고, 가습기가 가습기내 수량이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함을 자동으로 검출한 후 리마인더 정보를 단말기로 피드백하며, 단말기가 자체가 구비한 하드웨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함으로써, 단말기에 하드웨어 장치를 별도로 추가할 필요가 없어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음성, 그래프, 텍스트 또는 진동의 방식으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웨어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방식으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할 수 있고, 전시 방식은 다종다양하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2 양상에 의하면,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를 제공하며, 당해 장치는,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과;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모듈과;
상기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는 목표 습도 또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습도일 경우, 상기 확정 모듈은,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 1 획득 서브 모듈과;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현재 습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획득 서브 모듈과;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1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정 서브 모듈은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되,
V=(t1-t0)ХsХw1이며,
그중, 상기 t1은 목표 습도이고, 상기 t0은 현재 습도이며, 상기 s는 공간 면적이고, 상기 w1은 제 1 계수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일 경우, 상기 확정 모듈은,
상기 가습기의 모터의 회전 속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 3 획득 서브 모듈과;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확정 서브 모듈은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되,
V=tХvХw2이며,
그중, 상기 t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이고, 상기 w2는 제 2 계수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물 사용량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물탱크내의 물이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했을 시 상기 가습기가 리마인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가습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가습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과,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시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시 모듈은,
음성, 그래프, 텍스트 또는 진동의 방식으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시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3 양상에 의하면,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를 제공하며, 당해 장치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며,
상기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일반적인 서술과 하기의 상세한 서술은 다만 예시적이고 해석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및 장치의 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다.
하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중의 가습기 제어 APP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적 실시예 1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 2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의 확정 모듈(602)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의 확정 모듈(602)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의 블록도이다.
하기에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그 예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하기에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할 경우,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상이한 도면 중의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은 단지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상술하는 본 발명의 일 방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매번 가습기를 사용할 시 물탱크에 물을 얼마나 추가해야 할지를 잘 모른다. 만약 물을 적게 추가하면, 물탱크의 물이 빨리 없어지어, 가습기는 물이 없어진 후 그대로 송풍하게 되며, 만약 물을 많이 추가하면, 이번에 사용 완료후에도 물탱크에 물이 남아 물때가 형성되기 쉽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매번 가습기를 사용할 시, 먼저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한 후,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고, 나중에 당해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이번에 가습기를 사용하여 가습을 진행하여 가습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의 물탱크내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습기의 물탱크내에 물을 추가하도록 하고, 가습기내의 수량이 적절하지 않아 가습기에 조성되는 손상을 피한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이 단말기에 적용됨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기에 의하여 실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단계 S101~S103을 포함한다.
단계 S101에 있어서,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한다.
단계 S103에 있어서, 상기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단말기에는 가습기 제어 APP(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는 당해 APP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습기를 사용하여 가습 대기 공간, 예를 들면, 객실, 침실, 사무실 등과 같은 방안을 가습하려고 할 경우, 단말기중의 가습기 제어 APP를 실행하여, 당해 APP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원하는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리하여, 단말기는 당해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하게 된다.
물론 단말기는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 및 가습 대기 공간의 환경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자주적으로 적당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있다.
단말기는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한 후, 당해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고, 그후, 당해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하기 위하여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안내할 수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기를 사용하여 가습을 진행할 시,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이번에 가습기를 사용하여 가습을 진행하여 가습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의 물탱크내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습기의 물탱크내에 물을 추가하도록 하고, 가습기내의 수량이 적절하지 않아 가습기에 조성되는 손상을 피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는 목표 습도 또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단말기에 설치된 가습기 제어 APP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사용자는 목표 습도로서, 목표 습도의 입력창(21)에 예를 들면 50%RH (Relative Humidity, 상대 습도)와 같은 습도 값을 입력하거나, 또는 사용자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로서,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의 입력창(22)에 예를 들면 2시간과 같은 시간값을 입력하거나, 또는 사용자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의 입력창(22)에 예를 들면 오후 4시와 같은 시간값을 입력하여, 단말기가 현재 시간으로부터 오후 4시까지의 시간대를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로 산출하도록 할 수있다.
여기서, 가습 목표 파라미터는 사용자의 수요에 따라 목표 습도 또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상기 가습 대기 공간에 있는 일정한 시간내에 가습기가 가습을 진행할 것을 원하는 경우,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방안내의 습도가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목표 습도로 설정할 수있다.
단말기는 목표 습도를 획득한 후, 가습기가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을 목표 습도까지 가습하는데 필요한 물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를 획득한 후, 가습기가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만큼 가습하는데 필요한 물 사용량을 산출할 수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예를 들면,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가 2 시간과 같은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입력한 후, "물 사용량"버튼(23)을 클릭하면, 단말기는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을 2 시간 가습하는데 필요한 물 사용량을 산출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단말기는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 및 가습 대기 공간의 환경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자주적으로 적당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습 목표 파라미터는 목표 습도일 수 있고, 만약 사용자의 신체가 건강하고 가습 대기 공간의 온도가 25도일 경우, 단말기는 목표 습도를 50%RH로 확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러가지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통하여 물 사용량을 확정하여, 사용자의 여러가지 가습 목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습도일 경우, 상기 단계 S102는 단계 A1~A2를 포함한다.
단계 A1에 있어서,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및 현재 습도를 획득한다.
단계 A2에 있어서,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을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예를 들면, 객실, 침실 및 서재와 같은, 가습하려고 하는 방의 방 면적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가 가습기를 침실에 놓고 가습을 진행할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 제어 APP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방 옵션(24)이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서재를 가습하려고 할 경우, 방 옵션 중의 방 유형 "서재"를 선택하면, 단말기는 서재의 방 면적을 획득할 수 있고, 당해 방 면적은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s이다. 또는 가습기 제어 APP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방 면적 입력창이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침실을 가습하려고 할 경우, 방 면적 입력창에 침실의 방 면적을 입력하면, 단말기는 당해 방 면적을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는 자체로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을 측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말기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여러 각도에서 가습 대기 공간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고, 가습 대기 공간의 사진을 통하여 이미지 분석을 진행하여, 가습 대기 공간의 길이와 너비를 획득한 후,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는 적외선 거리 측정 방법 또는 레이저 거리 측정 방법에 의하여, 단말기로부터 가습 대기 공간의 전후 및 좌우까지의 거리를 획득하여, 가습 대기 공간의 길이와 너비를 산출한 후,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가습 대기 공간의 현재 습도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가 동일한 경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이 클수록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이 더욱 많아지고,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이 동일한 경우, 증가해야 할 습도가 클수록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도 더욱 많아진다. 즉,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목표 습도 및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의 사이에는 일정한 함수 관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대량의 테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목표 습도 및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 사이의 함수 관계를 통계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리하여, 단말기는 당해 함수 관계에 따라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기초하여,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정확하게 확정함으로써, 가습기내의 수량이 적절하지 않아 가습기에 조성되는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A2는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V=(t1-t0)ХsХw1이며, 그중 t1은 목표 습도이고, 상기 t0은 현재 습도이며, 상기 s는 공간 면적이고, 상기 w1은 제 1 계수이다.
여기서, 제 1 계수 w1은 단위 면적내에 단위 습도를 증가할 때마다 필요한 물 사용량이다. 제 1 계수 w1은 대량의 테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계하여 획득하여, 단말기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리하여, 단말기는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s, 가습 대기 공간의 현재 습도 t0 및 목표 습도 t1에 기초하여, V=(t1-t0)ХsХw1에 따라,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대량의 테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간 면적이 제 1 면적 범위내이고 습도 증폭이 제 1 습도 범위내일 경우, 단위 면적내에서 단위 습도를 증가할 때마다 필요한 물 사용량을 통계 획득할 수 있고; 검색 공간 면적이 제 2 면적 범위내이고 습도 증폭이 제 1 습도 범위내일 경우, 단위 면적내에서 단위 습도를 증가할 때마다 필요한 물 사용량을 통계 획득할 수 있으며, 공간 면적이 제 1 면적 범위내이고 습도 증폭이 제 2 습도 범위내일 경우, 단위 면적내에서 단위 습도를 증가할 때마다 필요한 물 사용량을 통계 획득할 수 있다. 이리하여, 단말기는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에 의하여 공간 면적이 속하는 면적 범위를 확정하고, 가습 대기 공간의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의하여 습도 증폭이 속하는 습도 범위를 확정하며, 그후 이러한 면적 범위 및 습도 범위내에서, 단위 면적내에 단위 습도를 증가할 때마다 필요한 물 사용량을 획득하고, 이어서 상기 단위 면적내에서 단위 습도를 증가할 때마다 필요한 물 사용량에 획득한 공간 면적 및 습도 차이(목표 습도-현재 습도)를 곱하여 얻은 값을,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으로 할 수있다.
여기서, 단말기가 획득한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목표 습도 및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사이의 함수 관계는 기타 유형일 수도 있고, 본 실시 예의 선형 관계V=(t1-t0)ХsХw1에 한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V=(t1-t0)ХsХw1에 기초하여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할 수 있고, 확정 방식이 간단하고 정확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일 경우, 상기 단계 S102는 단계 B1~B2를 포함한다.
단계 B1에 있어서, 가습기의 모터의 회전 속도를 획득한다.
단계 B2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한다.
여기서, 가습기의 모터는 가습기중의 변화된 수증기를 가습기로부터 송풍하기위한 모터이다.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습기의 모터의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습기 모터의 회전 속도는 고정된 하나의 레벨일 수 있고, 조절할 수 있는 여러개의 레벨일 수도 있다.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입력한 가습기의 각 레벨에 대응되는 모터의 회전 속도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가습기의 모터의 회전 속도가 고정된 레벨일 경우, 단말기는 목표 가습시간의 길이를 설정할 시, 직접 가습기의 모터의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가습기의 모터의 회전 속도가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레벨일 경우, 사용자가 가습기를 침실에 놓고 가습을 진행할 시, 가습기 제어APP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모터의 회전 속도의 레벨 옵션이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가습할 시 사용되는 모터의 회전 속도의 레벨을 선택하면, 단말기는 당해 레벨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의 회전 속도가 클수록 단위시간내에 가습기에서 가습 대기 공간으로 확산되는 물안개도 더욱 많아진다. 따라서, 가습시간의 길이가 동일할 경우, 모터의 회전 속도가 클수록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이 더욱 많아지고, 모터의 회전 속도가 동일할 경우, 가습시간의 길이가 클수록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이 더욱 많아진다. 즉, 모터의 회전 속도, 목표 가습시간의 길이 및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사이에는 일정한 함수 관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대량의 테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 및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사이의 함수 관계를 통계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리하여, 단말기는 당해 함수 관계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와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의 회전 속도와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정확하게 확정함으로써, 가습기내의 수량이 적절하지 않아 가습기에 조성되는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B2는 하기와 같은 공식에 기초하여, 상기 가습시간의 길이에 도달할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할 수 있고, V=tХvХw2이며, 그중, t 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이고, 상기v는 모터의 회전 속도이며, 상기w2는 제 2 계수이다.
여기서, 제 2 계수 W2 는 단위 회전 속도에서 단위 시간의 길이를 가습할 때마다 필요한 물 사용량이다. 제 2 계수 W2는 대량의 테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계하여 획득하여, 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수 있다.
이리하여, 단말기는 가습기의 모터 회전 속도 v, 목표 가습 시간 t, 제 2 계수 w2에 기초하여, 공식 V=tХvХw2에 따라,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 V를 확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단말기는 대량의 테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가 제 1 회전 속도의 범위내이고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가 제 1 시간 길이의 범위내일 경우, 단위 회전 속도에서 단위 시간 길이를 가습하는데 필요한 물 사용량을 통계하여 획득할 수 있고; 모터의 회전 속도가 제 1 회전 속도 범위내이고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가 제 2 시간 길이의 범위내일 경우, 단위 회전 속도에서 단위 시간 길이를 가습하는데 필요한 물 사용량을 통계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리하여, 단말기는 가습기의 모터의 회전 속도에 따라 속하는 회전 속도 범위를 확정하고,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따라 속하는 시간 길이의 범위를 확정하며, 그후 이러한 회전 속도 범위 및 시간 길이 범위내에서, 단위 회전 속도에서 단위 시간 길이를 가습하는데 필요한 물 사용량을 획득하며, 이어서 상기 단위 회전 속도에서 단위 시간 길이를 가습하는데 필요한 물 사용량에, 획득한 모터의 회전 속도 v 및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 t를 곱한 값을,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으로 할 수있다.
여기서, 단말기가 획득하는 모터의 회전 속도,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 및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사이의 함수 관계는 기타 유형일 수도 있고, 본 실시예의 선형 관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식 V=tХvХw2 따라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할 수 있고, 확정 방식이 간단하고 정확하다.
일 실시예에있어서, 상기 단계 S103은 단계 C1을 포함한다.
단계 C1에 있어서, 상기 물 사용량을 표시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가습기의 물탱크에는 수량의 눈금선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단말기는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할 경우, 물 사용량을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물 사용량을 본 후, 가습기의 물탱크의 수량 눈금선에 의하여, 가습기의 물탱크에 상기 물 사용량만큼한 물을 추가할 수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 사용량을 표시하여, 이번 가습 작업을 완성하기 위하여 가습기의 물탱크내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사용자에게 직접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습기의 물탱크내에 물을 추가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03는 단계 D1을 포함한다.
단계 D1에 있어서, 물탱크내의 물이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했을 시 상기 가습기가 리마인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가습기로 송신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 할 시, 직접 당해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가습기로 송신한다. 가습기에는 하나의 압력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가습기에 물을 추가하는 과정에서 가습기의 압력 센서에 의하여 가습기의 수량이 당해 물 사용량에 도달했음을 모니터링 한 후, 가습기는 리마인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마인더 정보는 진동 정보, 음성 정보 등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습기에는 버저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습기의 압력 센서는 가습기의 수량이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했음을 모니터링 한 후, 버저에 전기 신호를 송신하여 버저가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하며, 사용자는 경고음을 들은 후에 물 추가를 정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 사용량을 가습기로 송신하고, 가습기에 의하여 가습기내 수량을 검출하여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하도록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특별히 눈금선 등 정보를 관찰할 필요가 없게 되고, 사용자가 가습기의 물탱크에 대한 물 추가가 더욱 편리하도록 한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을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방법은 단말기에 실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습기에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의 방법을 실시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을 단말기에 적용하면, 가습기를 사용하여 리마인더 정보를 출력하므로, 가습기에 하드웨어 설비를 별도로 추가할 필요가 있어 코스트가 높아진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계 E1~E2를 포함한다.
단계 E1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에 바인딩된 단말기가 상기 가습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E2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한다.
여기서, 단말기와 가습기는 블루투스 또는 WiFi를 통해 바인딩을 진행하고, 가습기는 물탱크의 물이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했을 시, 직접 리마인더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수신한 후 가습기에 대한 물 추가를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휴대용 설비일 수 있고, 단말기는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수신 한 후 단말기내에 원래 구비된 하드웨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면 되므로, 단말기에 하드웨어 장치를 별도로 추가할 필요가 없어 코스트를 절감할 수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기와 바인딩된 단말기를 통하여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여 물 사용량을 가습기로 송신하고, 가습기가 가습기내 수량이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함을 자동으로 검출한 후 리마인더 정보를 단말기로 피드백하며, 단말기가 자체가 구비한 하드웨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함으로써, 단말기에 하드웨어 장치를 별도로 추가할 필요가 없어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음성, 그래프, 텍스트 또는 진동의 방식으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성 방식으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재생할 수 있고, 단말기에 구비된 모니터를 이용하여 그래프 방식, 텍스트 방식으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단말기에 구비된 진동기를 이용하여 진동 방식으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웨어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방식으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할 수 있고, 전시 방식은 다종다양하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하기에 여러 실시예에 의하여 실현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가습기 또는 단말기 등 장치에 의하여 실현되며, 단계 S301~S305를 포함한다.
단계 S301에 있어서,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되,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는 목표 습도이다.
단계 S302에 있어서,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s를 획득한다.
단계 S303에 있어서,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현재 습도 t0을 획득한다.
단계 S304에 있어서,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되, V=(t1-t0)ХsХw1이며, 그중, 상기 t1은 목표 습도이고, 상기 w1은 제 1 계수이다.
단계 S305에 있어서, 상기 물 사용량을 표시한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단말기 등 설비에 의하여 실현되며, 단계 S401~S404을 포함한다.
단계 S401에 있어서,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되,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이다.
단계 S402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의 모터의 회전 속도 v를 획득한다.
단계 S403에 있어서,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되, V=tХvХw2이며, 그중, 상기 t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이고, 상기 w2는 제 2 계수이다.
단계 S404에 있어서, 물탱크내의 물이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했을 시 상기 가습기가 리마인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가습기로 송신한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단말기 등 설비에 의하여 실현되며, 단계 S501~S505을 포함한다.
단계 S501에 있어서,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되,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는 목표 습도 또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를 포함한다.
단계 S502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한다.
단계 S503에 있어서, 물탱크내의 물이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했을 시 상기 가습기가 리마인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가습기로 송신한다.
단계 S504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505에 있어서, 음성, 그래프, 텍스트 또는 진동의 방식으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실행할 수있다.
도 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의 블록도이며, 상기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에 의해 전자 설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현할 수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는 획득 모듈(601), 확정 모듈(602) 및 출력 모듈(603)을 포함한다.
획득 모듈(601)은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확정 모듈(602)은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출력 모듈(603)은 상기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는 목표 습도 또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습도일 경우, 상기 확정 모듈(602)은 제 1 획득 서브 모듈(6021), 제 2 획득 서브 모듈(6022) 및 제 1 확정 서브 모듈(6023)을 포함한다.
제 1 획득 서브 모듈(6021)은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을 획득하도록구성된다.
제 2 획득 서브 모듈(6022)은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현재 습도를 획득하도록구성된다.
제 1 확정 서브 모듈(6023)은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정 서브 모듈(6023)은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되, V=(t1-t0)ХsХw1이며, 그중, 상기 t1은 목표 습도이고, 상기 t0은 현재 습도이며, 상기 s는 공간 면적이고, 상기 w1은 제 1 계수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일 경우, 상기 확정 모듈(602)은 제 3 획득 서브 모듈(6024) 및 제 2 확정 서브 모듈(6025)을 포함한다.
제 3 획득 서브 모듈(6024)은 상기 가습기의 모터의 회전 속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제 2 확정 서브 모듈(6025)은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확정 서브 모듈(6025)은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되, V=tХvХw2이며, 그중, 상기 t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이고, 상기 v는 모터의 회전 속도이며, 상기 w2는 제 2 계수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 모듈 (603)은 표시 서브 모듈(6031)을 포함한다.
표시 서브 모듈(6031)은 상기 물 사용량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 모듈 (603)은 송신 서브 모듈(6032)을 포함한다.
송신 서브 모듈(6032)은 물탱크내의 물이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했을 때 상기 가습기가 리마인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가습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수신 모듈 (604) 및 전시 모듈(605)을 더 포함한다.
수신 모듈 (604)은 상기 가습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시 모듈(605)은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시 모듈(605)은 전시서브 모듈(6051)을 포함한다.
전시 서브 모듈(6051)은 음성, 그래프, 텍스트 또는 진동의 방식으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 관하여, 그 각 모듈이 동작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이미 관련되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상세히 서술하였으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도 1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물 사용량 획득 장치에 적용되는 블럭도이고, 당해 장치는 단말기 장치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장치(1300)는 휴대전화, 게임 콘솔, 컴퓨터, 태블릿 장치, PDA 등일 수 있다.
장치(1300)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301), 메모리(1302), 전원 어셈블리(1303),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304), 오디오 어셈블리(1305), 입출력(I/O) 인터페이스(1306),센서 어셈블리(1307) 및 통신 어셈블리(1308) 등 하나 또는 복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1301)는 통상적으로 장치(13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면, 표시,전화 호출,데이터 통신,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1301)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1320)를 구비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프로세스 어셈블리(1301)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프로세스 어셈블리(1301)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션(interaction)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어셈블리(1301)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304)와 프로세스 어셈블리(1301) 사이의 인터랙션이 편리하게 된다.
메모리(1302)에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장치(1300)의 동작을 서포트한다. 이런 데이터의 예로서 장치(13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연락처 데이터,전화번호부 데이터,메시지,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302)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자기 메모리,플래시 메모리,자기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1303)는 장치(13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 어셈블리(1303)는 전원 관리 시스템,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장치(13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304)는 상기 장치(13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304)는 하나의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1300)가 예를 들면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거나 또는 가변 초점거리와 광학 줌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305)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1305)는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하며, 장치(1300)가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에 있을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또한 메모리(1302)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어셈블리(1308)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오디오 어셈블리(1305)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I/O 인터페이스(1306)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301)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휠 키,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307)는 장치(1300)에 각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센서 어셈블리(1307)는 장치(1300)의 온/오프 상태,디스플레이, 키패드와 같은 장치(1300)의 어셈블리의 상대위치결정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어셈블리(1307)는 장치(1300) 또는 장치(1300)의 일 어셈블리의 위치변경,사용자와 장치(1300)사이의 접촉여부, 장치(13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13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307)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 임의의 물리적 접촉이 없는 상황하에서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307)는 예를 들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등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307)는 가속 센서,자이로 센서,자기 센서,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1308)는 장치(1300)와 기타 설비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장치(1300)는 예를 들면 WiFi,2G 또는 3G,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통신 어셈블리(1308) 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1308) 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 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RFID 기술, IrDA 기술, 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13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설비(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소자에 의하여 실현되어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1302)를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장치(1300)의 프로세서(13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의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며;
상기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는 목표 습도 또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습도일 경우,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및 현재 습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는,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V=(t1-t0)ХsХw1이며,
그중, 상기 t1은 목표 습도이고, 상기 t0은 현재 습도이며, 상기 s는 공간 면적이고, 상기 w1은 제 1 계수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일 경우,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습기의 모터의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인하는 단계는,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V=tХvХw2이며,
그중, 상기 t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이고, 상기 v는 모터의 회전 속도이며, 상기 w2는 제 2 계수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물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물탱크내의 물이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했을 시 상기 가습기가 리마인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가습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가습기에 바인딩된 단말기가 상기 가습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음성, 그래프, 텍스트 또는 진동의 방식으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데, 상기 저장매체중의 인스트럭션이 장치(1300)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시, 장치(1300)가 상기의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을 실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매체중의 인스트럭션에 있어서, 또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는 목표 습도 또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매체중의 인스트럭션에 있어서, 또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습도일 경우,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및 현재 습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매체중의 인스트럭션에 있어서, 또한,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는,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V=(t1-t0)ХsХw1이며,
그중, 상기 t1은 목표 습도이고, 상기 t0은 현재 습도이며, 상기 s는 공간 면적이고, 상기 w1은 제 1 계수이다.
상기 저장매체중의 인스트럭션에 있어서, 또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일 경우,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습기의 모터의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매체중의 인스트럭션에 있어서, 또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인하는 단계는,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V=tХvХw2이며,
그중, 상기 t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이고, 상기 v는 모터의 회전 속도이며, 상기 w2는 제 2 계수이다.
상기 저장매체중의 인스트럭션에 있어서, 또한,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물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매체중의 인스트럭션에 있어서, 또한,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물탱크내의 물이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했을 시 상기 가습기가 리마인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가습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매체중의 인스트럭션에 있어서, 또한,
상기 가습기에 바인딩된 단말기가 상기 가습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저장매체중의 인스트럭션에 있어서, 또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음성, 그래프, 텍스트 또는 진동의 방식으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의 블럭도이다. 예를 들면, 장치(1400)는 가습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치(14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411)와, 프로세스 어셈블리(1411)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412)를 대표로 하는 메모리 자원을 포함한다. 메모리(1412)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각각 한 세트의 인스트럭션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프로세스 어셈블리(1411)는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장치(1400)는 장치(1400)의 전원 관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어셈블리(1413), 장치(1400)를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14), 하나의 입출력(I/O) 인터페이스(1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1400)는 메모리(1412)에 저장되어 있는 OS, 예를 들면 Windows ServerTM,Mac OS XTM,UnixTM, LinuxTM,FreeBSDTM 등 혹은 유사한 OS를 조작할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 및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천을 통하여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성적인 원리에 따른 것이며, 본 발명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의 지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보여 준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하고 도면으로 도시한 특정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하에서 각종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1)

  1.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는 목표 습도 또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습도일 경우,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및 현재 습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는,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V=(t1-t0)ХsХw1이며,
    그중, 상기 t1은 목표 습도이고, 상기 t0은 현재 습도이며, 상기 s는 공간 면적이고, 상기 w1은 제 1 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일 경우,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습기의 모터의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인하는 단계는,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V=tХvХw2이며,
    그중, 상기 t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이고, 상기 v는 모터의 회전 속도이며, 상기 w2는 제 2 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물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물탱크내의 물이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했을 시 상기 가습기가 리마인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가습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9. 제 8 항 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에 바인딩된 단말기가 상기 가습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음성, 그래프, 텍스트 또는 진동의 방식으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11.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과;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모듈과;
    상기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는 목표 습도 또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습도일 경우, 상기 확정 모듈은,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 1 획득 서브 모듈과;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현재 습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획득 서브 모듈과;
    상기 가습 대기 공간의 공간 면적, 현재 습도 및 목표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1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정 서브 모듈은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되,
    V=(t1-t0)ХsХw1이며,
    그중, 상기 t1은 목표 습도이고, 상기 t0은 현재 습도이며, 상기 s는 공간 면적이고, 상기 w1은 제 1 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가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일 경우, 상기 확정 모듈은,
    상기 가습기의 모터의 회전 속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 3 획득 서브 모듈과;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확정 서브 모듈은 하기의 공식에 따라, 상기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인 V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되,
    V=tХvХw2이며,
    그중, 상기 t는 목표 가습 시간의 길이이고, 상기 v는 모터의 회전 속도이며, 상기 w2는 제 2 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물 사용량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
  18. 제 1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물탱크내의 물이 상기 물 사용량에 도달했을 시 상기 가습기가 리마인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가습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과;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 모듈은,
    음성, 그래프, 텍스트 또는 진동의 방식으로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전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시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
  21.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가습 대기 공간에 대한 가습 목표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가습 목표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기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확정하며,
    상기 물 사용량이 포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장치.
KR1020187023464A 2016-09-14 2016-12-21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2204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827278.5A CN106403123B (zh) 2016-09-14 2016-09-14 加湿器的用水量获取方法及装置
CN201610827278.5 2016-09-14
PCT/CN2016/111349 WO2018049749A1 (zh) 2016-09-14 2016-12-21 加湿器的用水量获取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434A true KR20180100434A (ko) 2018-09-10
KR102204034B1 KR102204034B1 (ko) 2021-01-18

Family

ID=5799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464A KR102204034B1 (ko) 2016-09-14 2016-12-21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18538B2 (ko)
EP (1) EP3296655B1 (ko)
JP (1) JP6514323B2 (ko)
KR (1) KR102204034B1 (ko)
CN (1) CN106403123B (ko)
RU (1) RU2674634C2 (ko)
WO (1) WO2018049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3123B (zh) * 2016-09-14 2020-01-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加湿器的用水量获取方法及装置
CN107121450B (zh) * 2017-05-02 2021-05-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空气净化设备、滤芯的检测方法及装置
US20190041075A1 (en) * 2017-08-01 2019-02-07 D-M-S Holdings, Inc. Humidifier user interaction
USD873283S1 (en) 2017-08-01 2020-01-21 D-M-S Holdings, Inc. Computerized display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arget humidity
USD865930S1 (en) 2017-08-01 2019-11-05 D-M-S Holdings, Inc. Humidifier
US10830469B2 (en) 2017-08-01 2020-11-10 D-M-S Holdings, Inc. Humidifier measurement and control
CN110056978B (zh) * 2019-03-21 2021-08-31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利用空调器冷凝水的加湿控制方法
CN113108427B (zh) * 2019-05-30 2022-04-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加湿装置的提醒方法、加湿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CN112268407A (zh) * 2020-10-27 2021-01-26 合肥美菱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加湿装置的茶吧机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2524761B (zh) * 2020-11-26 2022-12-09 广东积微科技有限公司 空调器的打水电机保护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储存介质
CN112747441A (zh) * 2021-01-04 2021-05-0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智能加湿器控制的方法、装置及智能加湿器
CN115930416A (zh) * 2022-12-30 2023-04-07 深圳市晨北科技有限公司 一种加湿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704588A (zh) * 2024-02-05 2024-03-15 深圳市智岩科技有限公司 环境感应调控设备及其加湿控制方法和相应的装置、产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052A (ko) * 1997-05-27 1998-12-05 배순훈 가습기의 과 가습 방지 방법
JP2006226554A (ja) * 2005-02-15 2006-08-31 Corona Corp 加湿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35A (ja) * 1994-07-18 1996-02-02 Kubota Corp 加湿装置
KR0181022B1 (ko) * 1997-03-31 1999-05-01 대우전자주식회사 가습기의 동작 제어방법
JPH1128201A (ja) 1997-07-10 1999-02-02 Hitachi Medical Corp X線ct装置
JPH11248201A (ja) * 1998-02-27 1999-09-14 Hitachi Hometec Ltd 加湿器
JP2002005492A (ja) * 2000-06-20 2002-01-09 Fujitsu General Ltd 加湿器
JP4378268B2 (ja) * 2004-12-08 2009-12-02 ウエットマスター株式会社 加湿装置
CN2767887Y (zh) * 2005-01-31 2006-03-29 刘德华 多功能加湿净化器
JP4685806B2 (ja) * 2007-01-15 2011-05-18 エスペック株式会社 環境試験装置の湿度調整方法及び環境試験装置
JP2008298358A (ja) * 2007-05-31 2008-12-11 Diamond Electric Mfg Co Ltd 超音波式加湿器
JP5202934B2 (ja) * 2007-12-04 2013-06-05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超高純度空気の調製方法
WO2009076283A1 (en) * 2007-12-11 2009-06-18 Mcmurry Donald E Rapid on-demand humidification system and humidification processes
WO2012100291A1 (en) * 2011-01-24 2012-08-02 Resmed Limited Humidifier
US8814149B2 (en) * 2011-02-23 2014-08-26 Raytheon Company Humidity generator
IN2014CN04521A (ko) * 2011-12-02 2015-09-11 Koninkl Philips Nv
JP2014074571A (ja) * 2012-10-05 2014-04-24 Daikin Ind Ltd 加湿装置および除湿装置
US20150352585A1 (en) * 2012-10-28 2015-12-10 Axalta Coating Systems Ip Co., Llc Spray booth humidity control
US9823672B2 (en) * 2012-11-30 2017-11-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mot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n HVAC system
CN204026929U (zh) * 2014-09-02 2014-12-17 朱星曈 一种可远程控制的智能加湿器
CN104315662B (zh) * 2014-10-29 2017-08-1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控制空气净化器工作的方法及装置
CN104315664B (zh) * 2014-10-29 2017-07-2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控制空气净化器工作的方法及装置
CN105783177B (zh) * 2014-12-23 2018-11-2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加湿器及其加湿量自动调节方法和装置
CN104896674A (zh) * 2015-06-11 2015-09-09 安庆市达东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湿度智能调节装置
CN105180300A (zh) * 2015-09-01 2015-12-23 天津贝罗尼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自动加湿雾化装置
CN205119362U (zh) * 2015-11-18 2016-03-30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蓝牙智能加湿器控制系统
CN105751685A (zh) * 2016-03-17 2016-07-13 阜阳市飞扬印务有限公司 加湿式印刷机
CN105650795A (zh) * 2016-03-24 2016-06-08 苏州路之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加湿器
CN105650979B (zh) * 2016-03-24 2018-06-08 广东奥迪威传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用雾化加湿装置及加湿控制方法
CN106403123B (zh) * 2016-09-14 2020-01-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加湿器的用水量获取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052A (ko) * 1997-05-27 1998-12-05 배순훈 가습기의 과 가습 방지 방법
JP2006226554A (ja) * 2005-02-15 2006-08-31 Corona Corp 加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034B1 (ko) 2021-01-18
JP6514323B2 (ja) 2019-05-15
US10718538B2 (en) 2020-07-21
WO2018049749A1 (zh) 2018-03-22
EP3296655A1 (en) 2018-03-21
RU2017109445A3 (ko) 2018-09-24
RU2674634C2 (ru) 2018-12-11
CN106403123A (zh) 2017-02-15
CN106403123B (zh) 2020-01-14
US20180073758A1 (en) 2018-03-15
RU2017109445A (ru) 2018-09-24
EP3296655B1 (en) 2023-06-07
JP2018534511A (ja)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0434A (ko) 가습기의 물 사용량 획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1993768B1 (ko)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과 장치
KR101851647B1 (ko) 공기 품질 획득 방법, 공기 품질 획득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9940828B2 (en)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device
RU2641995C2 (ru) Способ и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RU261850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подсказок по очистке воздуха,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и система
US2017004807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and the device thereof
EP3131315A1 (en) Working method and working device of intelligent electric apparatus
JP6317040B2 (ja) スマート機器をコントロールするための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763544B1 (ko) 정보 브로드캐스트 방법 및 장치
KR20160062738A (ko) 모드 전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JP2017538240A (ja) インターフェース表示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50132802A (ko) 촬영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0111026B2 (en)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RU261754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CN107888468B (zh) 信息获取系统、方法及装置
EP32914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identification
EP3208469B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operating data
CN106549835B (zh) 对智能设备状态进行处理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