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748A - 진피내 제트 주입 전기천공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진피내 제트 주입 전기천공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748A
KR20180099748A KR1020187020992A KR20187020992A KR20180099748A KR 20180099748 A KR20180099748 A KR 20180099748A KR 1020187020992 A KR1020187020992 A KR 1020187020992A KR 20187020992 A KR20187020992 A KR 20187020992A KR 20180099748 A KR20180099748 A KR 20180099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y
cartridge
housing
disposed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 맥코이
케이트 브로데릭
스테판 케머러
Original Assignee
이노비오 파마수티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비오 파마수티컬즈, 인크. filed Critical 이노비오 파마수티컬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09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tissue, e.g. by electro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vaccinating or cleaning the skin previous to the vaccination
    • A61B17/205Vaccinating by means of needles or other punct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61M2005/2013Having specific accessories triggering of discharging means by contact of injector with patien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그 안에 사전 측정된 분량의 에이전트를 포함한 볼륨을 정의한 에이전트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트 주입 및 전기천공 디바이스로서, 전기천공 디바이스는 그것을 통해 연장된 축을 가진 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내에 배치된 노즐, 및 그 안에 에이전트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사이징된 공동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또한 그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전극들을 가진 어레이, 에이전트 카트리지가 공동 내에 배치될 때 카트리지에 동작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추진 카트리지, 및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피내 제트 주입 전기천공 디바이스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특허 출원은 2015년 12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번호 제62/271,96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참조된 출원은 본 출원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개시는, 다른 것들 중에서, 에이전트를 대상(subject)으로 전달하기 위해 바늘이 없는 제트 주입 및 전기천공 조합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용, 핸드-헬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바늘이 없는 제트 주입은 침습성 피하 주사 바늘의 사용 없이 약물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며, 그에 의해 액체의 제트가 고속으로 가속화된다. 그 결과 제트 주입은 액체가 대상의 피부의 각질층을 관통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제공한다.
전기천공은 생체-막에서 미세 경로들(구멍들)을 유도하기 위한 막관통성 전기장 펄스의 사용이다. 이들 구멍들은 일반적으로 "전기 충격에 의한 구멍들(electropores)"로 불리운다. 그것들의 존재는 에이전트가 막의 일 측면에서 다른 것으로 지나가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전기천공은 약물들, DNA 또는 다른 분자들을 다-세포 조직들로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특정한 질병들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될 수 있다.
제트 주입을 통해 에이전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뒤이어 단일 휴대용, 핸드-헬드, 독립형 디바이스에서 전기 천공할 수 있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이 기술분야에서의 요구가 있다.
일 양상에서, 그 안에 사전-측정된 분량의 에이전트를 포함한 볼륨을 정의한 에이전트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상기 전기천공 디바이스는 그것을 통해 연장된 축을 가진 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노즐, 그 안에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사이징된 공동으로서, 상기 노즐은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가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의 볼륨과 유체 연통하는, 상기 공동, 그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전극들을 가진 어레이,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가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에 동작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추진 카트리지, 및 상기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그 안에 사전-측정된 분량의 에이전트를 포함한 볼륨을 정의한 에이전트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상기 전기천공 디바이스는 그 안에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사이징된 공동을 정의한 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와 유체 연통하는 노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장착 위치 및 전개 위치 사이에서 그것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추진 봉으로서, 상기 장착 위치로부터 상기 전개 위치로의 상기 추진 봉의 움직임은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사전-측정된 분량의 에이전트의 적어도 일 부분을 배출하는, 상기 추진 봉, 상기 추진 봉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된 추진 스프링으로서, 상기 추진 스프링은 상기 전개 위치를 향해 상기 추진 봉을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추진 스프링, 그로부터 연장된 하나 이상의 전극들을 가진 어레이, 전원 공급 장치, 및 트리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는 상기 추진 봉이 장착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상기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지 않는 제 1 구성, 및 상기 추진 봉이 상기 장착 및 전개 위치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상기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다.
또 다른 양상에서, 그 안에 사전-측정된 분량의 에이전트를 가진 볼륨을 정의한 카트리지로서, 상기 볼륨의 적어도 일 부분이 플런저에 의해 봉쇄되는, 상기 카트리지, 및 제트 주입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상기 제트 주입 모듈은 그 안에 상기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사이징된 공동을 정의한 제 1 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카트리지와 유체 연통하는 노즐, 및 그로부터 연장된 하나 이상의 전극들을 갖는 어레이로서, 상기 어레이는 상기 전극들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수축 위치, 및 상기 전극들 중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하우징 바깥쪽에 배치되는 확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상기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제트 주입 모듈은 또한 상기 제트 주입 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베이스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장착 위치 및 전개 위치 사이에서 그것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추진 봉으로서, 상기 추진 봉은 상기 카트리지에 동작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상기 추진 봉, 상기 추진 봉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된 추진 스프링으로서, 상기 추진 스프링은 상기 전개 위치를 향해 상기 추진 봉을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된, 상기 추진 스프링,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추진 봉이 장착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상기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지 않는 제 1 구성, 및 상기 추진 봉이 상기 장착 및 전개 위치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상기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트리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트 주입 시스템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뿐만 아니라 추진 카트리지의 실시예)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트 주입 모듈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추진 카트리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5는 카트리지뿐만 아니라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트 주입 및 전기천공(EP) 전달 디바이스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트 주입 모듈 및 EP 어레이 어셈블리 조합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어레이 트리거 메커니즘의 단면 상부 투시도들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와 조합한 전기천공 모듈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트 주입 및 EP 조합 디바이스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어레이 전극들 상에서 그라이드 각도들의 측면도를 묘사한다.
도 10d 및 도 10f는 도 10a 내지 도 10c의 어레이 전극들의 전면도를 묘사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EP 처리 동안 피부 표면을 관통한 어레이 전극들 상에서의 상이한 그라이드 각도들의 단면 측면도를 묘사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트 주입 및 EP 조합 디바이스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트 주입 및 EP 조합 디바이스의 부분 단면도이며 조립 위치에서 플런저를 묘사한다.
도 14는 도 13의 원 "A" 의 클로즈-업 뷰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트 주입 및 EP 조합 디바이스의 부분 단면도이며 함몰 위치에서 플런저를 묘사한다.
도 16은 도 15의 원 "B" 의 클로저-업 뷰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추진 카트리지의 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라인 "A" 의 단면 후면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추진 카트리지의 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라인 "B" 의 단면 전면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ELISA에 의해 측정된 15일차 및 22일차에서 핵단백질 IgG 종점 역가(titer)들을 묘사한다. 그룹들 사이에서의 바들은 t-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p<0.01**의 통계적 차이 또는 유의하지 않음(ns)을 나타낸다.
도 22a 및 도 22b는 ELISA에 의해 측정된 15일차 및 22일차에서 RSV-F 항원 IgG 종점 역가들을 묘사한다. 그룹들 사이에서의 바들은 Student의 t-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p<0.001(***)의 통계적 차이 또는 유의하지 않음(ns)을 나타낸다.
도 23a 및 도 23b는 ELISA에 의해 측정된 15일차 및 22일차에서 핵단백질 IgG 종점 역가들을 묘사한다. 그룹들 사이에서의 바들은 t-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p<0.01**의 통계적 차이 또는 유의하지 않음(ns)을 나타낸다.
도 24a 및 도 24b는 ELISA에 의해 측정된 15일차 및 22일차에서 RSV-F 항원 IgG 종점 역가들을 묘사한다. 그룹들 사이에서의 바들은 Student의 t-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p<0.001(***)의 통계적 차이 또는 유의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참조는 그것의 일부를 형성하며 예시로서 실시될 수 있는 실시예들이 도시되는 수반되는 도면들에 대해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화들이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다음의 축약된, 또는 단축된 정의들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에 제공된 축약된 정의들은 결코 철저하지도 그것들이 분야 또는 사전적 의미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정의에 모순되지도 않는다. 축약된 정의들은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정의들을 보완하거나 또는 보다 명확하게 정의하기 위해 여기에 제공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류" 는 일반적으로 암페어로 표현된, 전위에서의 차이를 가진 두 개의 포인트들 사이에서의 도체 또는 매질에서의 전기 저하의 흐름 또는 유량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암페어" 는 전기 전류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 단위를 나타낸다. 그것은 초당 1 쿨롱(coulomb)의 도체 또는 전도성 매질에서의 전하의 유량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쿨롱(coulomb)" 는 1초 동안 흐르는 1 암페어의 전류에 의해 도체를 통해 수송된 전하 또는 6.28×1018 전자들의 전하와 크기가 동일한 전기 전하의 미터-킬로그램-초 단위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압" 는, 보다 낮은 전위의 포인트로부터 보다 높은 전위의 포인트로 1 쿨롱의 양의 전하를 이동시키기 위해 1 줄(joule)의 일(work)을 요구하는 전기장에서의 두 개의 포인트들 사이에서의 전위의 차이 또는 기전력의 실제 단위들인, 볼트들로 표현된, 기전력, 또는 전기 전위에서의 차이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력" 는 작동하거나 또는 일하게 될 수 있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 힘 또는 에너지의 소스, 예로서 "전기 전력, 수력"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임피던스" 는 전기 회로에 의해 단일 주파수의 교류의 흐름에 제공된 총 저항을 나타낸다. 그것은 저항 및 리액턴스의 조합이며 옴(ohms)으로 측정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필드" 는 공간의 영역에 걸쳐 포인트들에서 특정된 물리적 양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진폭" 는 일반적으로 평균(average 또는 mean)으로부터 극단으로 측정된, 교류 또는 추의 스윙으로서, 극단의 범위의 변동량을 나타낸다. 그것은 물건이 확장되는 양 또는 정도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주파수" 는 시간 단위당 주기적 발진들, 진동들, 또는 파동들의 수를 나타낸다. 그것은 보통 헤르츠(Hz)로 표현된다.
"에이전트"는 폴리펩티드, 폴리뉴클레오티드, 소분자, 고분자, 또는 그것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에이전트는, 여기에서 참조로서 통합되는, PCT/US2014/070188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항체, 그것의 단편, 그것의 변이체, 또는 그것의 조합을 부호화한 재조합체 핵산 서열일 수 있다. 소분자는, 예를 들면 약물일 수 있다. 약물은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 "에이전트"(agent)는 폴리펩티드, 폴리뉴클레오티드, 소분자, 또는 그것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조성물은 여기에서 참조로서 통합되는, PCT/US2014/070188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항체, 그것의 단편, 그것의 변이체, 또는 그것의 조합을 부호화한 재조합체 핵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에이전트는, 예를 들면, 물 또는 완충제에서 제형화될 수 있다. 완충제는 예를 들면, 식염수-구연산 나트륨(SSC) 또는 인산염-완충 식염수(PBS)일 수 있다. 완충제들의 이온 함량은 전도율을 증가시켜서, 타겟팅된 조직에서 증가된 전류 흐름을 야기한다. 제형화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농도는 1㎍ 내지 20 mg/ml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제형화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농도는 예를 들면, 1㎍/ml, 10㎍/ml, 25㎍/ml, 50㎍/ml, 100㎍/ml, 250㎍/ml, 500㎍/ml, 750㎍/ml, 1mg/ml, 10mg/ml, 15mg/ml, 또는 20mg/ml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펩티드",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는 아미노산들의 연결된 서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천연, 합성, 또는 천연 및 합성의 개질 또는 조합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핵산"은 함께 공유 결합으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뉴클레오티드들을 의미한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일 수 있거나, 또는 이중 가닥 및 단일 가닥 서열 양쪽 모두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양쪽 모두 게놈인, DNA 및 cDNA, RNA, 또는 잡종일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디옥시리보- 및 리보-뉴클레오디드들의 조합들, 및 유라실, 아데닌, 티민, 시토신, 구아닌, 이노신, 잔틴 하이포잔틴, 이소시토신, 이소구아닌, 및 합성 또는 비-천연으로 발생한 뉴클레오티드들 및 뉴클레오시드들을 포함한 염기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들은 매개체(vector)일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들은 화학적 합성 방법들에 의해 또는 재조합체 방법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siRNA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매개체"는 복제의 기원을 포함한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 매개체는 바이러스 매개체, 박테리오파지, 박테리아 인공 염색체, 또는 효모 인공 염색체일 수 있다. 매개체는 DNA 또는 RNA 매개체일 수 있다. 매개체는 자기-복제 염색체 외 매개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DNA 플라스미드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고분자" 는 예를 들면, 핵산 서열들, 단백질들, 지질들, 마이크로버블들(예로서, 약물이 실린 소낭들), 및 약들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기천공" "EP" 는 생체-막에서 가역성 미세 경로들(구멍들)을 유도하기 위한 전기장 펄스의 사용을 나타내며; 그것들의 존재는 에이전트들이 세포막의 일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으로 지나가도록 허용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피부 영역" 는 각질층 및 바닥층들 사이에서의 영역을 포함하여, 피부 조직, 진피, 표피, 및 진피내 "ID" 를 나타낸다. 피부 영역은 근육 조직을 포함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바늘이 없는 주입" 는 에이전트가 조직의 표면을 뚫고 하부 조직에 들어가는 이러한 힘을 갖고, 예를 들면, 작은 스트림 또는 제트로서, 바늘의 사용 없이 조직으로의 에이전트의 주입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주입기는 실질적으로 고통 없이 조직을 뚫는 액체의 매우 높은 속도의 제트를 생성한다. 이러한 바늘이 없는 주입기들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대상의 조직들로 에이전트들을 도입하기 위해(즉, 주입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최소 침습성" 는 전기천공 디바이스의 실시예들의 바늘 전극들에 의한 제한된 천공을 나타내며, 비침습성 전극들(또는 비관통 바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은 각질층을 관통하며, 바람직하게는 최외곽 생체 조직 층, 과립층으로 들어가지만 바닥 층을 관통하지 않는 정도까지이다. 관통 깊이는 1.0mm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며, 각질층 뚫고 나아가기 위해 범위가 약 0.01mm 내지 약 1.0mm 및 특히 약 0.01mm 내지 약 0.04mm에 이르는 깊이일 있다. 이것은 각질층을 통한 관통을 허용하지만 깊은 관통을 피하는 전극을 사용하여 성취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피부 영역으로의 에이전트의 관통을 야기하기 위해, 예를 들면, 각질층을 통해 진피 층들로 관통하기 위해 충분한 힘을 갖고, 보통 에이전트의 제트의 전달을 작동시키도록 주입기와 조직 표면을 접촉함으로써, 바늘이 없는 주입기를 사용하여 처리될 조직으로의 직접 또는 간접적 전기 수송(예로서, 주입된)에 적합한 형태로의 원하는 에이전트의 도입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전극 바늘 어레이를 통해 전기장을 제공하며 몸체에서의 선택된 조직, 특히 피부의 세포들로의 에이전트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바늘이 없는 디바이스, 특히 핸드헬드 및 휴대용 디바이스와 관련된다. 바늘이 없는 디바이스는 프로그램된 서열에 따라 전극 바늘 어레이의 전극들을 통과하는 전류 파형(예로서, 펄스 트레인)을 생성하며 절차 동안 모니터링되고 기록될 수 있다. 전극들은 근육 조직을 실질적으로 관통하지 않고 피부 영역에 접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은 제트 주입 및 전기천공의 형태로 환자에게 의학적 치료를 부여하기 위한 임상 및 상업적 환경들 양쪽 모두에서의 사용을 위해 동작 가능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은 제트 주입의 형태로 환자에게 의학적 치료를 부여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5, 도 6, 도 7a, 도 7b, 및 도 9는 제트 주입 및 전기천공의 형태로 환자에게 의학적 치료를 부여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는 조합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제트 주입 모듈 및 전기천공 어레이 어셈블리는 동축으로 정렬되며, 이것은 부정확한 면적을 전기천공할 때 오류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개시의 전극 어레이 어셈블리는 수축 가능하며, 이것은 블레브 형성 즉시 전기천공을 허용하면서 제트 주입 동안 블레브/팽진의 형성을 허용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트 주입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전기천공 모듈로서 조합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베이스 어셈블리(10) 및 제트 주입 모듈(40)을 포함한 바늘이 없는 주입 시스템(1)을 포함한다. 베이스 어셈블리(10)는 상부 단부(12), 하부 단부(14), 및 그 사이에서 제 1 축(A)을 정의하는 연장된 세로 축을 갖는다. 베이스 어셈블리(10)는 하우징(16), 트리거 어셈블리(24), 및 회전식 노브(30)를 포함한다. 하우징(16)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추진 카트리지(6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18)을 정의한다. 회전식 노브(30)는 베이스 어셈블리(10)의 상부 단부(12)에 배치된다. 회전식 노브(30)는 파스너들(33)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상부 부분(32) 및 하부 부분(34)을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상부 및 하부 부분들(32, 34)은,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추진 카트리지(6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내부 부분을 정의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12는 베이스 어셈블리(10)의 트리거 어셈블리(24)를 예시한다. 트리거 어셈블리(24)는 베이스 어셈블리(10)의 길이를 따라 어디든 배치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트리거 어셈블리(24)는 하우징(16)의 하부 단부(14)에 배치된다. 트리거 어셈블리(24)는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트리거 스프링(28), 트리거 포스트(27), 및 시스템(1)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푸시 버튼(26)을 포함한다. 푸시 버튼(26)은 푸시 버튼(26)이 도 1에 예시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함몰 위치(예로서, 하우징(16) 내에서 함몰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6)에 맞도록 구성된다.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이동의 방향은 제 2 축(B)을 정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 2 축(B)은 일반적으로 제 1 축(A)에 수직이다. 트리거 스프링(28)은 푸시 버튼(26)이 제 1 위치를 향하게 한다. 트리거 포스트(27)는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트리거 핀(67)의 채널(152)에 트리거 어셈블리(24)를 동작적으로 결합한다. 더욱이, 트리거 어셈블리(24)는, 또한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기천공 구성요소들과 전기 통신할 수 있다. 트리거 어셈블리(24)는 인체공학적 느낌 및 유체 유입 보호 양쪽 모두를 제공하는 보호성 가로막(예로서, 플라스틱 및/또는 젤 커버; 예시되지 않음) 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도 17, 및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추진 카트리지(60)는 추진 봉(62), 추진 봉(62)의 적어도 일 부분 주위에 배치된 추진 스프링(66), 제 1 하우징(68), 제 2 하우징(70), 및 트리거 핀(67)을 포함할 수 있다. 추진 카트리지(60)는 베이스 어셈블리(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예시된 실시예는 "C" 링(77)이 베이스 어셈블리(10)의 추진 카트리지(6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C" 링(77)은 추진 카트리지(60) 및 베이스 어셈블리(10)를 마찰 결합(예로서, 압축 맞춤에 의해)하기 위해 추진 카트리지(60) 및 베이스 어셈블리(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추진 카트리지(60)는 파스너들, 캐치들에 의해, 또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수단들에 의해 베이스 어셈블리(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C" 링(77)은 생략될 수 있다.
추진 스프링(66)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트 주입을 유발하기 위해 그것과 연관된 압력 프로파일을 갖는다. 추진 스프링(66)은 범위가 약 10 내지 약 50 lbs까지, 약 25 내지 약 45 lbs까지, 및 약 30 lbs 내지 약 40 lbs까지에 이르는 스프링 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추진 스프링(66)의 스프링 레이트는 35 lbs(예로서, 인치당 35파운드)일 수 있다.
추진 카트리지(60)가 스프링-기반 시스템인 것으로 예시되지만, 추진 카트리지(60)는 CO2 기반 시스템, 압축 공기 기반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트리거 핀(67)은 일반적으로 관 형태이며 몸체(150)를 포함한다. 몸체(150)는 제 1 부분(154), 제 2 부분(156), 제 2 부분(156)의 최하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155),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것을 통해 연장된 채널(152)을 갖는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제 2 부분(156)의 외부 직경은 제 1 부분(154)의 외부 직경보다 크다. 트리거 핀(67)은 트리거 포스트(27)에 의해 트리거 어셈블리(24)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2에 예시된, 트리거 포스트(27)는 추진 카트리지(60)의 제 1 하우징(68)에서 애퍼처(182)를 통해 트리거 핀(67)의 채널(152)과 맞물린다. 채널(152)은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수단들을 사용하여 트리거 포스트(27)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트리거 포스트(27) 및 채널(152)은 스레딩되며 스레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12 및 도 19에 예시된, 리프 스프링(69)은 캔틸레버식이며 제 1 단부(151) 및 제 2 단부(153)를 갖는다. 제 2 단부(153)는 그것을 통해 트리거 핀(67)의 돌출부(155)를 수용할 수 있는 오리피스(157)를 갖는다. 리프 스프링(69)의 제 1 단부(151)는 추진 카트리지(60)의 제 1 하우징(68)에 체결된다. 리프 스프링(69)의 제 2 단부(153)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부동성이며 트리거 핀(67)이 제 2 축(B)을 따라 잠금 위치를 향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 애퍼처(182)의 반대편에 있는, 트리거 핀(67)의 제 2 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특히, 트리거 핀(67)은 제 2 축(B)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트리거 핀(67)은 제 2 축(B)과 동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눌려질 때, 트리거 어셈블리(24)는, 트리거 포스트(27)를 통해, 리프 스프링(69)에 의한 촉구 방향의 것의 반대 방향으로 트리거 핀(67)을 작동시킨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트리거 핀(67)의 돌출부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EP 타이밍 시퀀스를 시작하기 위해 마이크로스위치(128)에 동작 가능하게 맞물린다.
추진 카트리지(60)의 제 2 하우징(70)의 하부 단부(73)는 제 1 및 제 2 하우징들(68, 70)이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제 3 축(C)을 추가로 정의하도록 추진 카트리지(60)의 제 1 하우징(68)의 부분(15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 3 축(C)은 제 1 축(A)과 동축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 3 축(C)은 제 1 축(A)에 평행하지만, 그것과 동축이 아닐 수 있다. 함께 결합될 때, 하우징들(68, 70)은 추진 봉(62)이 그것을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된 통로(160)를 가진 실질적으로 원통형 내부를 정의한다. 상부 단부(71)에서, 제 2 하우징(70)은 플랜지(72) 및 플랜지(72)보다 작은 직경의 확장부(74)를 포함한다. 플랜지(72)는 추진 카트리지(60) 및 하우징(16) 사이에서의 단단한 맞춤을 위해 하우징(16)의 상부 단부(12)에서 리세스(162)에 맞도록 성형된다. 확장부(74)는,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추진 봉(62)에 동작 가능하게 맞물리는 복수의 슬롯들(164)을 포함한다. 제 2 하우징(70)은 또한,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추진 스프링(66)의 제 1 단부(168)를 위한 제 1 시트를 제공하기 위해 내부 립(75)을 포함할 수 있다.
추진 봉(62)은 하부 단부(64) 및 상부 단부(65)를 포함한다. 추진 봉(62)의 상부 단부(65)는 추진 봉(62) 및 핀(63)이 "T" 구성을 갖도록 핀(63)을 포함한다. 핀(63)은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추진 봉(62)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하우징(70)의 확장부(74)의 슬롯들(164) 내에 맞도록 구성된다. 하부 단부(64)는 트리거 핀(67)이 그것을 통해 연장될 수 있도록 추진 봉(62)을 통해 연장되는 립(61) 및 슬롯(78)을 포함한다. 립(61)은 추진 스프링(66)의 제 2 단부(170)를 위한 제 2 시트를 제공한다. 트리거 핀(67)과 유사한, 슬롯(78)은 직경이 달라지는 두 개의 섹션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슬롯(78)의 큰 섹션(172)은 트리거 핀(67)의 제 2 부분(156)이 슬롯(78)의 큰 섹션(172) 내에 맞을 수 있도록 트리거 핀(67)의 제 2 부분(156)의 외부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슬롯(78)의 작은 섹션(174)은 트리거 핀(67)의 제 1 부분(154)이 슬롯(78)의 작은 섹션(174) 내에 맞을 수 있도록 트리거 핀(67)의 제 1 부분(154)의 외부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 핀(67)의 제 2 부분(156)은 슬롯(78)의 작은 섹션(174) 내에 맞추기에 너무 큰 외부 직경을 갖는다.
추진 카트리지(60)는 또한 장착 캠(76) 및 리턴 스프링(79)을 포함한다. 장착 캠(76) 및 리턴 스프링(79)은 각각 제 2 하우징(70)의 확장부(74)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리턴 스프링(79)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79)이 회전 노브(3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에 있게 하도록 회전식 노브(30)에 동작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장착 캠(76)은 추진 봉(62)의 핀(63)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나선형 경사 표면들(176)을 포함한다. 장착 캠(76)은 또한,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노브(30)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확장부들(178)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캠(76)은 도 20에 예시된, 리턴 스프링(79)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105)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캠(76)을 향하는 플랜지(72)의 표면은 또한,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79)의 반대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103)을 가질 수 있다. 장착 캠(76) 및 플랜지(72)의 홈들은 리턴 스프링(79)이 장착 캠(76), 및 결과적으로 회전식 노브(30)를 그것의 안정 위치로 돌아가도록 허용한다.
조립된 대로, 추진 카트리지(60)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6) 내에 배치된다. 제 1 하우징(68) 및 제 2 하우징(70)은 추진 봉(62)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통로(160)를 제공하기 위해 결합된다. 추진 스프링(66)은, 슬롯(78) 및 핀(63) 사이에서, 추징 봉(62) 주위에 배치된다. 특히, 추진 스프링(66)의 제 1 단부(168)는 제 1 하우징(68)의 내부 립(75)에 맞닿아 배치되며 추진 스프링(66)의 제 2 단부(170)는 추진 봉(62)의 립(61)에 맞닿아 배치된다. 트리거 핀(67)은 추진 봉(62)이 제 1 축(A)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롯(78)에 배치된다. 특히, 추진 봉(62)은 일반적으로, 도 7b 및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완된 위치, 및 도 7a 및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잠금 또는 장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추진 스프링(66)은 슬롯(78)의 큰 섹션(172)이 제 2 축(B)과 평행한 방향으로 트리거 핀(67)과 정렬되도록 추진 봉(62)이 베이스 어셈블리(10)의 하부 단부(14) 또는 이완된 위치를 향하게 하는 힘을 제공한다. 도 7b에 예시된, 이완된 위치에서, 트리거 핀(67)의 제 1 부분(154)은 슬롯(78) 내에 배치된다. 상기 간단히 설명된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69)은 슬롯(78)의 큰 섹션(172)이 트리거 핀(67)에 제공될 때, 트리거 핀(67)의 제 2 부분(156)이 슬롯(78)으로 이동하도록 트리거 핀(67)이 축(B)을 따르게 하는 힘을 제공한다. 트리거 핀(67)의 제 2 부분(156)이 슬롯(78)의 작은 섹션(174)보다 큰 외부 직경을 가지므로, 추진 봉(62)은 추진 스프링(66)의 강압력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도 7a에 예시된, 이러한 잠금 위치에서, 추진 스프링(66)은 압축되며 주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트리거 어셈블리(24)가 그것의 제 2, 함몰 위치로 작동될 때, 트리거 핀(67)은 리프 스프링(69) 힘의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변위된다. 트리거 핀(67)의 변위는 제 2 부분(156)이 더 이상 슬롯(78) 내에 배치되지 않으며 제 1 부분(154)이 슬롯(78)으로 이동하도록 제 2 부분(156)을 이동시킨다. 트리거 핀(67)의 제 1 부분(154)의 외부 직경은 추진 봉(62)의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도록 슬롯(78)의 크고 작은 섹션(172, 174) 양쪽 모두보다 작다. 이것은 추진 스프링(66)이 이완되며 주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이완된 위치 앞으로 추진 봉(62)을 이동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더욱이, 회전식 노브(30)는 장착 캠(76)의 확장부들(178)에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식 노브(30)가 회전될 때, 장착 캠(76)이 또한 회전된다. 장착 캠(76)은 추진 스프링(66)을 접고/압축하기 위해 회전식 노브(30)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의 변환을 허용한다. 장착 캠(76) 및 리턴 스프링(79)은 양쪽 모두, 핀(63) 및 플랜지(72) 사이에서, 제 2 하우징(70)의 확장부(74) 주위에 배치된다. 장착 캠(76)의 나선형 경사 표면들(176)은, 확장부(74)의 슬롯들(164) 내에 배치되는, 핀(63)에 맞닿아 배치된다. 그러므로, 장착 캠(76)이 회전식 노브(30)에 의해 회전될 때, 나선형 경사 표면들(176)은 제 1 하우징(68)으로부터 떨어져(예로서, 도 9에 대하여 좌측으로) 축(A)에 평행한 방향으로 핀(63)을 밀고 나아간다. 그러나, 추진 봉(62)은 핀(63)이 확장부(74)의 슬롯들(164)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장착 캠(76) 및 회전식 노브(30)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핀(63)에 결합되는, 추진 봉(62)은 트리거 핀(67)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하기 시작하며 추진 스프링(66)은 내부 립(75)에 대하여 압축하기 시작한다. 회전식 노브(30)가 약 180도로 회전될 때, 추진 봉(62)은 슬롯(78)의 큰 섹션(172)이 트리거 핀(67)에 제공되도록 충분히 멀리 이동되었으며,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트리거 핀(67)의 제 2 부분(156)이 슬롯(78)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리턴 스프링(79)은 추진 봉(62)이 잠금 위치로 이동된 후 회전식 노브(30)가 그것의 원래(예로서, 움직이지 않는) 위치를 향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회전식 노브(30)는 이완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추진 봉(62)을 이동시키기 위해 180도 이상 또는 이하로 회전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트 주입 모듈(40)은 각각 상부 단부(44) 및 하부 단부(46) 양쪽 모두에서 개구들(45, 47)을 갖는 주입 하우징(42)을 포함한다. 하부 단부(46)는 개구(47)를 둘러싸는 에지(43)를 정의한다. 상부 단부(44)는 카트리지(120)의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베이스 어셈블리(10)의 하부 단부(14)에서 하우징(16)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트 주입 모듈(40)은 하우징(16)의 하부 단부(14)에서 공동(18)에 배치된 홈(39)으로의 결합을 위해 멈춤쇠들(41)을 포함할 수 있다. 멈춤쇠들(41) 및 홈(39)은 사용자로 하여금 베이스 어셈블리(10)로부터 제트 주입 모듈(40)을 빠르게 제거 및 부착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구성된다. 더욱이, 주입 하우징(42)은 그 안에 배치될 때 카트리지(120)를 지지하기 위해 다양한 측벽들, 리지들, 멈춤쇠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입 하우징(42)은 카트리지(120)에 의해 경험된 압력 경도력들을 흡수하거나 또는 최소화하도록 돕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2)은 또한,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부 단부(46)로부터 하우징(42) 상에서의 포인트로 연장된 외부 리세스들(5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2)은 외부 리세스들(55)로부터 연장되는 내부 리세스들(57)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13 내지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부 리세스들(57)은,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외부 리세스들(55)보다 작으며 그것들 각각의 단부들의 각각에서 해제 핀들(91) 및 래치 멈춤쇠들(93)을 포함할 수 있다.
제트 주입 모듈(40)은 일반적으로 노즐(48) 및 노즐(4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장착 보스(54)를 포함한다. 장착 보스(54)는, 예를 들면, 스파이더 클램프일 수 있다. 주입 하우징(42)에 의해 정의된 볼륨(51)은 그 안에 장착 보스(54)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장착 보스(54)는,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장착 보스(54)가 시스템(1)의 동작 동안 실질적으로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주입 하우징(42)에 마찰 결합될 수 있다(예로서, 압축 맞춤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서, 장착 보스(54)는 파스너들, 캐치들에 의해, 또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은 다른 수단들에 의해 주입 하우징(4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노즐(48)은 근위 단부(50), 원위 단부(52), 및 근위 단부(50) 및 원위 단부(52) 각각이 도관(53)의 개구를 포함하도록 그 사이에 연장된 도관(53)을 갖는다. 근위 단부(50)는, 카트리지(120)가 제트 주입 모듈(40)에 삽입될 때, 카트리지(120)의 격막(121)을 관통할 수 있도록 비스듬할 수 있다. 원위 단부(52)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트 주입을 환자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된 노즐 팁(49)을 포함한다. 노즐(48)은 노즐(48)이 시스템(1)과 동축으로 연장되도록(예로서, 노즐(48)의 세로 축은 제 1 축(A)과 평행하여 연장된다) 장착 보스(54) 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개구들 및 도관(53)의 직경은 이용될 제트 주입 사이클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임의의 구성에 대해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직경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약 0.05mm 내지 약 0.064mm일 수 있으며 피부 표면으로 약 10,000 내지 약 30,000 Psi의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노즐(48)은 장착 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것은 그것이 변화하는 구성들의 노즐들과 상호 교환될 수 있도록 주입 하우징(4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노즐(48)은 다양한 테이퍼링 및 팁(49) 구성들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제트 스트림이 다수의 상이한 패턴들에서 환자의 피부 표면으로 도포되도록 허용한다. 노즐(48)은 또한 제트 스트림이 층류 또는 난류를 갖도록 허용할 수 있는 다양한 내부 퍼널링(funneling)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노즐 팁(49)을 변경하는 것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전기천공의 커버리지 및 액체의 분포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다수의 오리피스 출구들과 같은 것들을 포함함으로써 형질주입을 강화할 수 있다.
대상의 피부의 표면 및 노즐(48)의 원위 단부(52) 사이에서의 거리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에이전트의 점성, 추진 스프링(66)의 스프링 레이트, 및 노즐 팁(49)의 직경을 포함한 다수의 인자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즐 팁(49)은 대상의 피부의 표면 위로 약 0.5cm 내지 약 2.0cm일 수 있다.
베이스 어셈블리(10), 제트 주입 모듈(40), 및 추진 카트리지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플라스틱(예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세라믹, 및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다른 금속들을 포함한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은 EP 어레이 어셈블리(8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EP 어레이 어셈블리(80)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바늘 전극들(110)을 가진 어레이(82), 플렉스 회로(83), 장착 지지 슬라이드(84), 및 어레이 스프링(92)을 포함한다. EP 어레이 어셈블리(80)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입 하우징(42)의 하부 단부(46)에서 볼륨(5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것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f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플렉스 회로(83)는 그것의 중심에 제 1 오리피스(96)를 가진 베이스 판(94), 회로 확장부(98), 및 전기 접촉들(100)을 포함한다. 베이스 판(94)은 어레이(82)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어레이(82)는 전극들(110)이 베이스 판(94)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예로서, 도 10d 내지 도 10f에 대하여 좌측으로) 연장되도록 베이스 판(94) 상에 배치된다. 회로 확장부(98)는 어레이(82) 및 전기 접촉들(100)을 전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회로 확장부(98)는 일반적으로 제 1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예로서, 도 10d 내지 도 10f에 대하여 위로) 베이스 판(94)의 측면(95)으로부터 돌출되며 베이스 판(94)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 계속해서 연장된다. 제 2 방향은 일반적으로 제 1 방향의 반대편이다(예로서, 도 10d 내지 도 10f에 대하여 우측으로).
장착 지지 슬라이드(84)는 베이스 판(94)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함몰부(85)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함몰부(85)는 조립될 때, 회로 확장부(98)가 함몰부(85)의 바깥쪽으로부터 베이스 판(94)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베이스 판(94)의 폭의 약 절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함몰부(85)는 베이스 판(94)의 둘레로 연장된 채널(예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회로 확장부(98)가 그 안에 배치될 수 있도록 성형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장착 지지 슬라이드(84)는 함몰부(85)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다른 방법들에 의해 장착 지지 슬라이드(84) 상에서 베이스 판(94)을 정렬시킨다.
장착 지지 슬라이드(84)는 함몰부(85)의 중심에 배치된 제 2 오리피스(86) 및 두 개의 아우트리거 확장부들(88)을 추가로 포함한다. 베이스 판(94)은 제 1 오리피스(96) 및 제 2 오리피스(86)가 일반적으로 정렬되도록 장착 지지 슬라이드(84) 상에 배치된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아우트리거 확장부들(88)은 장착 지지 슬라이드(84)의 반대 측면들 상에 배치된다. 아우트리거 확장부들(88)은 각각 일반적으로 외부 리세스들(55)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진 넓은 부분(87) 및 일반적으로 내부 리세스들(57)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진 좁은 부분(89)을 포함한다. 각각의 아우트리거 확장부(88)는 내부 리세스들(57)의 단부에 배치된 래치 멈춤쇠들(93)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좁은 부분(89)의 단부에 래치(90)를 포함한다.
조립된 대로, EP 어레이 어셈블리(80)는 주입 하우징(42)의 볼륨(51) 내에서 제 1(예로서, 수축) 위치로부터 제 2 (예로서, 확장)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7a에 예시된 제 1 위치에서, EP 어레이 어셈블리(80)는 주입 하우징(42) 내에 수축된다. 도 7b에 예시된 제 2 위치에서, EP 어레이 어셈블리(80)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어레이(82)가 전기천공을 위한 대상의 피부 영역과 접촉할 수 있도록 제 1 위치로부터 원위로(예로서, 도 7a, 도 7b에 대하여 우측으로) 이동된다.
특히, 어레이 스프링(92)은,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 스프링(92)의 적어도 일 부분이 장착 보스(54) 주위에 배치되도록 주입 하우징(42)의 볼륨(51)으로 삽입된다. 플렉스 회로(83)는 제 1 오리피스(96) 및 제 2 오리피스(86)가 정렬되도록 장착 지지 슬라이드(84)에 결합된다. 플렉스 회로(83) 및 장착 지지 슬라이드(84) 어셈블리는 그 후 주입 하우징(42)의 볼륨(5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아우트리거 확장부(88)의 넓은 부분들(87)은 주입 하우징(42)의 내부 리세스들(57)에 배치될 수 있으며 좁은 부분들(89)은 아우트리거 확장부들(88)의 래치들(90)이 래치 멈춤쇠들(93)에 결합할 수 있도록 장착 지지 슬라이드(84)를 배향시키기 위해 외부 리세스들(55)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 스프링(92)은, 리세스들(55, 57)로의 아우트리거 확장부들(88)의 삽입 후, 장착 지지 슬라이드(84)에 의해 압축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어레이(82) 전개력을 제공하기 위해 지지 슬라이드(84)를 준비한다. 래치들(90)은, 도 13 및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래치 멈춤쇠들(93)로의 결합에 의해 수축 위치에서(즉, 어레이 스프링(92)이 압축되는) EP 어레이 어셈블리(80)를 유지한다. 래치 멈춤쇠들(93)은 트리거 어셈블리(24)가 작동될 때, 래치 멈춤쇠들(93)이 해제 핀들(91)의 쌍을 통해 래치들(90)을 해체하도록 트리거 어셈블리(24)에 결합될 수 있다. 래치들(90) 및 래치 멈춤쇠들(93) 사이에서의 결합 해제는, 도 15 및 도 16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 스프링(92)으로 하여금 장착 지지 슬라이드(84)를 이완시키고 떠밀며, 그러므로 플렉스 회로(83)가 바깥쪽으로(예로서, 도 9에 대하여 우측으로) 전기천공을 위한 어레이(82) 전개력을 제공하도록 허용한다. 해제 핀들(91)은 도 7a, 도 7b, 및 도 13 내지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추진 봉(62)에 부착될 수 있다. 트리거 어셈블리(24)가 작동될 때, 해제 핀들(91)은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추진 봉(62)을 갖고 앞으로 이동하며 래치 멈춤쇠들(93)에 맞물린다. 해제 핀들(91)은 래치 멈춤쇠들(93)을 밀어서, 안쪽으로(예로서, 제 1 축(A)을 향해) 래치 멈춤쇠들(93)을 떠밀고, 어레이 스프링(92)이 팽창하도록 허용한다.
장착 지지 슬라이드(84) 및 플렉스 회로(83)의 전개력은 어레이 스프링(92)의 스프링 레이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어레이 스프링(92)은 범위가 약 1 lb 내지 약 20 lbs까지, 약 2 lbs 내지 약 10 lbs까지, 약 4 lbs 내지 약 6 lbs까지 이르는 스프링 레이트를 가질 수 있으며, 5 lbs(예로서, 인치당 5파운드)일 수 있다. 어레이 스프링(92)은 전달될 에이전트 및 분량에 의존하여 상이한 스프링 레이트들 사이에서 다르도록 전달들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시스템(1)은 또한 사용자에 의해 대상에 배치될 때 EP 어레이 어셈블리(80)에 인가된 힘을 결정하기 위한 센서(예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사용자가 너무 크거나 또는 너무 작은 힘을 인가하지 않도록 대상의 피부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시스템(1)에 인가되는 힘의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청각 및/또는 시각 신호(예로서, 신호 표시기 또는 조명된 LED에 의해)는 사용자가 너무 크거나 또는 너무 작은 힘을 사용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청각 및/또는 시각 신호는 사용자가 정확한 양의 힘을 사용할 때를 표시할 수 있다.
작동(예로서, 어레이 스프링(92)이 장착 지지 슬라이드(84)를 앞으로 떠미는) 후, EP 어레이 어셈블리(80)는 EP 어레이 어셈블리(80)를 다시 수축 위치로 밈으로써 사용을 위해 수동으로 재장착되거나 또는 재-코킹(cock)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트 주입 모듈(40)은 일회용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모듈(40)은 모듈(40)이 베이스 어셈블리(1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기 전에 EP 어레이 어셈블리(80)가 잠금 위치에 있도록 사용할 준비가 된다.
상기 간단히 언급된 바와 같이, 플렉스 회로(83)는 어레이(82)의 대응 전극(110)과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전기 접촉들(100)을 포함한다. 도 6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어레이(82)는 각각이 각각의 전극(110)과 결합하는 두 개의 전기 접촉들(100)을 포함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보다 많거나 또는 보다 적은 전기 접촉들(100)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트 수의 전기 접촉들(100)은, 각각이 상이한 수의 전극들(110)을 갖는, 상이한 크기 어레이들(예시되지 않음)의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d 내지 도 10f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82)는 일 세트의 24개의 전극들(110)(예로서, 한가운데 전극을 가진 5×5 전극 배열이 생략된다) 및 24개 전기 접촉들(1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어레이(82)의 전극들(110)은 한가운데 전극이 생략될 필요가 없도록 이격될 수 있다.
EP 어레이 어셈블리(80)는 환자의 전기천공을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전극들(110)을 배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둘 이상의 전극들(110)이 사용될 때, 전극들(110)은 어레이(82)에 걸쳐, 또는 전극들(110)이 부착되는 베이스 판(94)에 걸쳐, 정사각형, 원형, 삼각형, 또는 다른 패턴들로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배열된다. 또 다른 예에서, 바늘 전극들(110)은, 정사각형 어레이(82)의 에지 상에서의 전극들(110)을 제외하고, 대략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각각의 인접한 전극(110)을 갖고 정사각형 배열로 배열된다. 어레이(82)는 적어도 2 개의 전극들, 2×2 전극들, 3×3 전극들, 4×4 전극들, 5×5 전극들, 6×6 전극들, 7×7 전극들, 8×8 전극들, 9×9 전극들, 10×10 전극들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어레이(82)는 4×4 전극들 또는 5×5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전극(110)은 약 150mm 이하, 약 100mm 내지 약 1mm, 약 50mm 내지 약 1mm, 약 40mm 내지 약 1mm, 약 30mm 내지 약 1mm, 약 20mm 내지 약 1mm, 약 10mm 내지 약 1mm, 약 5mm 내지 약 1mm, 약 5mm 내지 약 1mm, 약 2.5mm 내지 약 1mm, 약 2.5mm 내지 약 0.5mm의 거리에서 각각의 인접한 바늘 전극(1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특히, 전극들(110)은 약 2.5mm 내지 약 0.5mm, 또는 약 1.5mm의 거리에서 이격될 수 있다.
어레이(82)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스탬핑 또는 에칭 방법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극들(110)은 최소 침습성이도록 구성되며 1.0mm를 초과하지 않는 깊이에서, 범위가 약 0.01mm 내지 약 1.0mm에 이르는 깊이에서 및 특히 범위가 약 0.01mm 내지 약 0.04mm에 이르는 깊이에서 상피 조직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전하를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알려진 전극들(110)은 본 개시의 최소 침습성 시스템(1)의 실시예로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들(110)은 25 게이지 피하 주사 바늘과 대체로 같을 수 있다. 어레이(82)의 적어도 두 개의 전극들(110)은 전극(110)의 로딩 단부에서 각진 에지(114)를 가진 팁(112)을 정의하기 위해 플렉스 회로 베이스 판(94)으로부터 떨어져 연장된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극들의 경사각은 전극(110)의 축방향 중심선 및 전극(110)의 각진 에지(114) 사이에 정의된 각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사각은 약 1 내지 약 90도, 약 10 내지 약 45도 사이에서의 임의의 각도일 수 있으며 약 10도, 약 18도, 약 30도, 또는 약 45도일 수 있다. 특히, 경사각은 전극들(110)의 중심선 축으로부터 45도일 수 있다. 상기 유사하게 서술된 바와 같이, 전극들(110)은,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질층 및 바닥층들 사이에서의 상피 조직의 층들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전압 발생기로부터 상피 조직으로 전기 전위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전극들(110)은 통상적으로 최소 침습성 진피내 전기천공과 관련되어 사용된 크기일 수 있다.
예시된 디바이스는 각질층 및 바닥층들 사이에서의 상피 조직의 층들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극들(110)을 갖고 예시되지만, 전극들은 조직의 다양한 층들로(예를 들면, 골격근 조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판 전극들, 미세침들, 및 관통 및 비-관통 바늘 양쪽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전극(110)은 또한 팁(112) 반대편에 있는 전극(110)으로부터 연장된 리드(예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리드는 그것의 대응 전극(110)과 전기 통신하며 로딩 단부에 근접하여 전기적 상호 작용을 생성하기 위해 전극(110)을 통해 전류를 전달한다. 어레이(82)가 설치될 때, 어레이(82)의 각각의 전극(110)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플렉스 회로(83)의 대응하는 전기 접촉(100)에 맞물리며 그것과의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단히 언급된, 사전-충전된 카트리지(120)는 일회용의, 1-회 복용량의 선택 에이전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회용 카트리지(120)는,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입 모듈(40)과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카트리지(120)는, 도 7a, 도 7b, 도 9, 및 도 1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형태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며 주입 모듈(40)의 노즐(48) 및 하우징(16) 및 주입 하우징(42) 내에서의 추진 카트리지(60) 사이에 배치되도록 사이징된다. 카트리지(120)는 몸체(123)를 포함한다. 몸체(123)는 볼륨(126)을 정의하고, 플런저(122)에 의해 제 1 단부(124) 상에 선택적으로 밀봉되며, 격막(121)에 의해 제 2 단부(125) 상에 선택적으로 밀봉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격막(121)은 노즐(48)에 의해 구멍이 생기도록 구성된다. 카트리지의 몸체(123)는 유리, 플라스틱, 또는 다른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카트리지(120)는 또한 볼륨(126) 내에 배치된, 상기 언급된, 플런저(122)를 포함하며 몸체(123)의 제 1 단부(124)에 근접하며 도 7a, 도 15 및 도 16에 예시된 시작 위치, 및 몸체(123)의 제 2 단부(125)에 근접하며 도 7b, 도 13, 및 도 14에 예시된 종료 위치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플런저(122)는 그것이 플런저 헤드(127)에서 몸체(123)의 볼륨(126) 내에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성형된다. 시작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를 향하는 플런저(122)의 움직임은 카트리지(120)의 볼륨(126)이 수축하게 하며, 그에 의해 그 안에 포함된 임의의 유체(예로서, 에이전트)가 구멍이 뚫린 격막(121) 밖으로 빠지도록 구성된다.
바늘이 없는 주입 시스템(1)은 또한 도 5, 도 8, 및 도 12에 예시된, 전기 시스템(129)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시스템(129)은 일반적으로 EP 하우징(130) 및 EP 하우징(130)에 의해 정의된 볼륨 내에 배치된 전기천공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전기천공 어셈블리는, 다른 것들 중에서, 인쇄 회로 보드 "PCB" (136)를 가진 제어기(예시되지 않음), 제어기와 전기 통시나는 파형 로거(예시되지 않음), 제어기와 전기 통신하며 전기 펄스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천공 펄스 발생기/모듈(예시되지 않음), 전기천공 펄스 발생기/모듈과 전기 통신하며 전기 전하를 펄스 발생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원 공급 장치(142), 및 플렉스 회로(83)의 전기 접촉들(100)과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기 리드들 및 접촉들(140)을 포함한다.
EP 하우징(130)은 일반적으로 제 1 케이스(132), 제 2 케이스(134), 및 제 1 케이스(132)를 제 2 케이스(134)에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파스너들(139)을 포함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6)은 제 1 케이스(132) 및 제 2 케이스(134)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립(138)을 가진 하부 돌출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132) 및 제 2 케이스(134) 각각은 하부 돌출부(137)의 립(13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널(133, 135)을 포함한다. 채널(133, 135)은 제 1 케이스(132) 및 제 2 케이스(134)가 하우징(16)에 결합될 때, EP 하우징(130)이 하우징(16) 아래로(예로서, 제 2 축(B)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 1 케이스(132) 및 제 2 케이스(134)의 최상부 측면에 배치된다. 제 1 케이스(132) 및 제 2 케이스(134)가 립(138) 주위에 배치된 후, 파스너들(139)은 제 1 케이스(132)를 제 2 케이스(134)에 결합하기 위해 제 2 케이스(134)의 개구들(131)로 및 제 1 케이스(132)의 스레딩된 결합들(예시되지 않음)로 삽입될 수 있다.
EP 하우징(130)은 또한 일반적으로 접촉 하우징(146) 및 전기 접촉들(140)을 포함하며, 이것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32) 및 제 2 케이스(1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촉 하우징(146)은 제 1 케이스(132) 및 제 2 케이스(134) 사이에서의 공간에 의해 정의된 슬롯(14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접촉들(140)은 지지대(144)를 포함한다. 전기 리드들 및 접촉들(140)은 일반적으로, 상기 및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전기 구성요소들이 서로 전기/동작 가능한 통신을 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시스템(1) 전체에 걸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간단히 언급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장치(142)로부터 전기 접촉들(140)로 및 결과적으로 장착 지지 슬라이드(84)의 전기 접촉들(100)을 통해 전극들(110)로 선택된 전압의 전기 펄스, 전류, 및 지속 기간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EP 어레이 어셈블리(80) 및 전기천공 펄스 모듈.
제어기는, 다른 것들 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입력에 따라 원하는 조직으로 에너지의 펄스를 전달하도록 펄스 발생기에 지시하며, 전달된 에너지의 펄스에 따라 파형 로거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PCB(136)를 포함할 수 있고, 전력 및 동작 제어를 제공하는 복수의 전기 및 전자 구성요소들을 갖고 실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PCB는 프로세싱 유닛(예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또 다른 적절한 프로그램 가능한 디바이스), 메모리, 및 버스를 포함한다. 버스는 메모리를 포함한 PCB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프로세싱 유닛에 연결한다. 메모리는, 예를 들면, 판독-전용 메모리 "ROM" ,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 전기적으로 삭제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EEPROM" ,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또는 또 다른 적절한 자기, 광학, 물리, 또는 전자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은 메모리에 연결되며 RAM(예로서, 실행 동안), ROM(예로서, 일반적으로 영구적으로), 또는 또 다른 메모리 또는 디스크와 같은 또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메모리는 프로세싱 유닛에 포함된다. 제어기는 또한 제어기 내에서의 구성요소들 및 시스템(1)의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루틴들을 포함하는 입력/출력 "I/O" 유닛을 포함한다. 제어기는 또한 제트 주입의 개시 및 전기천공 사이에 지연을 제공하도록 타이밍 시퀀스를 개시하기 위해 마스터 가능 신호를 제공하는, PCB와 전기 통신하는, 상기 간단히 언급된, 마이크로스위치(128)와 전기 통신한다. 예를 들면, 제트 주입의 개시 및 전기천공 사이에서의 지연은 약 100 마이크로초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지연은 0초 내지 2 밀리초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마이크로스위치(128)는 또한,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EP 어레이 어셈블리(80)를 통해 전기 펄스(들)의 시기에 맞는 시퀀스 점호를 발생시킨다. 마이크로스위치(128)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고 도 12에 예시된, 트리거 어셈블리(24)의 푸시 버튼(26)을 누름으로써 활성화된다.
시스템(1)의 몇몇 구현들에 포함된 소프트웨어는 제어기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면, 펌웨어,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 프로그램 데이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들, 및 다른 실행 가능한 지시들을 포함한다. 제어기는 메모리로부터 검색하며 다른 것들 중에서, 상기 및 이하에서 설명된 제어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에 관련된 지시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기는 부가적인, 보다 적은,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PCB(136)는 또한, 다른 구성요소들 중에서, 저항기들, 커패시터들, 인덕터들, 집적 회로들, 및 증폭기들과 같은 복수의 부가적인 수동형 및 능동형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 필터링, 신호 조정, 또는 전압 조절을 포함한 복수의 전기적 기능들을 PCB(136)에 제공하도록 배열되고 연결된다. 기술의 목적들을 위해, PCB(136) 및 PCB(136) 상에 실장된 전기적 구성요소들은 총괄하여 제어기로서 불리운다.
시스템(1)은 또한 사용자에게 사용 또는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으로, 또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다른 방법들에 의해, 상기 간단히 언급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모바일 태블릿,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스탠드, 또는 또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다른 정보에 관해 사용자와 통신하기 위해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스피커(예시되지 않음) 및 LED들(예시되지 않음)을 포함한 신호 표시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은 테더링되지 않은 핸드-헬드 디바이스(예로서, 바늘이 없는 주입 시스템(1))의 유연성 및 이동성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대형,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의 정보 입력 이점들 모두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즉, 베이스 스테이션을 통해) 시스템(1)의 실시예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베이스 스테이션/스탠드(예시되지 않음)와 쌍을 이룰 수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사용자는, 타이핑에 의해(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또는 플래시 드라이브로 정보를 다운로드함으로써, 정보 입력을 위한 다수의 옵션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은 또한 수동 데이터 입력을 단순화한 단계식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더군다나, 베이스 스테이션은 다른 것들 중에서, 절차가 발생함에 따라 단계식 지시들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즉, 실시간 정보) 또 다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보조들 외에, 시스템(1) 및 베이스 스테이션은 복잡한 오디오 지시들(예로서, 단순한 비프음들 이상의)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CODEC 및 스피커로 이루어진 고 충실도 사운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42)는 공칭 AC 또는 DC 전압을 베이스 어셈블리로 공급한다. 전원 공급 장치(142)는 또한 베이스 어셈블리(10) 내에서의 구성요소들 및 회로들을 동작시키기 위해 보다 낮은 전압들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전원 공급 장치(142)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 또는 배터리 팩들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배터리들은 교체 가능한 알칼리 배터리들(예를 들면 AA 또는 AAA 배터리들)이거나 또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유형이다.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들은, 예를 들면, 리튬-이온, 납-산, 니켈 카드뮴, 니켈 수소 합금 등을 포함한다. 리튬-이온 배터리들은 일반적으로 종래의 납-산 배터리들보다 작고 더 가벼우며, 이것은 시스템(1)이 더 작고 더 가벼울 수 있게 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원 공급 장치(142)는 공급 연결들(예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공급 연결들은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들로 하여금 베이스 어셈블리(10)가 외부 전기 공급 장치에 연결될 때 재충전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면, 외부 전기 공급 장치는 휴대용이거나 기타인, 유출구 또는 충전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스템(1)은 유도성 재충전을 허용하기 위해 QI 표준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떤 공급 연결들도 요구되지 않는다. 시스템(1)이 QI 표준 코일들을 포함한다면, 베이스 어셈블리(1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을 재충전하기 위해 베이스 스테이션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유도성 재충전 방법들을 사용한 결과로, 시스템은 교차-오염을 추가로 억제할 수 있다. QI 표준 코일들은 시스템(1) 및/또는 베이스 스테이션의 외부에 있을 수 있는, 별개의 통신 모듈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추가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 정보, 데이터, 직렬 데이터, 및/또는 데이터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와이어들, 파이버를 통해, 및/또는 무선으로 하나 이상의 별개의 통신 모듈들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들 및/또는 파이버를 통한 통신은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네트워크 토폴로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선 및/또는 파이버 통신은 이더넷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무선 네트워크 토폴로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은 다른 것들 중에서, Wi-Fi, 블루투스, Zig-Bee, Z-Wave, 및/또는 ANT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시스템(1)은 미리 결정된 무활동의 시간(예로서, 디바이스와의 사용자 상호 작용이 없는 20분) 후 수면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면 타이머가 만료되면, 디바이스는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턴 오프할 수 있다.
피부 조직에서 세포들의 형질주입을 실시하기 위해 시스템(1)에 의해 사용된 전기 펄스들(즉, 전기천공)은 임의의 알려진 펄스 패턴들이다. 특히 펄스 패턴은 구형파 펄스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전기천공 펄스 발생기는 약 0.01V 내지 약 70V, 약 0.01V 내지 약 50V, 약 0.01V 내지 약 40V, 약 0.01V 내지 약 30V, 약 0.01V 내지 약 20V, 약 0.01V 내지 약 15V, 약 0.1V 내지 약 70V, 약 0.1V 내지 약 50V, 약 0.1V 내지 약 40V, 약 0.1V 내지 약 30V, 약 0.1V 내지 약 25V, 및 약 0.1V 내지 약 15V의 전압 레벨들에서 원하는 조직으로 전기 펄스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전기 펄스는 약 10V 내지 약 25V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는 약 0.02mA 내지 약 100mA, 약 0.1mA 내지 약 100mA, 약 0.2mA 내지 약 100mA, 약 0.5mA 내지 약 100mA, 약 1mA 내지 약 100mA, 약 1mA 내지 약 80mA, 약 1mA 내지 약 60mA, 약 1mA 내지 약 50mA, 약 1mA 내지 약 40mA, 및 약 1mA 내지 약 30mA에서 원하는 조직으로 전류를 전달하는 전기 펄스에 의해 특성화되는 전기 에너지를 전달한다. 특히, 전달된 전류는 약 1mA 내지 약 100mA, 또는 약 1mA 내지 약 30mA, 또는 10mA일 수 있다.
본 개시와 연관된 전기 펄스들은 일반적으로, 약 5 msec 내지 약 250 msec, 약 10 msec 내지 약 250 msec, 약 20 msec 내지 약 250 msec, 약 40 msec 내지 약 250 msec, 약 60 msec 내지 약 250 msec, 약 80 msec 내지 약 250 msec, 약 100 msec 내지 약 250 msec, 약 20 msec 내지 약 200 msec, 약 40 msec 내지 약 200 msec, 약 60 msec 내지 약 200 msec, 약 80 msec 내지 약 200 msec, 약 100 msec 내지 약 200 msec, 약 20 msec 내지 약 150 msec, 약 40 msec 내지 약 150 msec, 약 60 msec 내지 약 150 msec, 약 80 msec 내지 약 150 msec, 약 100 msec 내지 약 150 msec, 약 100 msec 내지 약 140 msec, 약 100 msec 내지 약 130 msec, 약 100 msec 내지 약 120 msec, 및 약 100 msec 내지 약 110 msec의 펄스 길이들을 포함한, 각각의 펄스의 짧은 지속 기간에 의해 특성화될 것이다. 특히, 전기 펄스 길이는 약 100 msec일 수 있다. 전기 펄스들은 다음 펄스보다 앞에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연은 약 5 msec 내지 약 250 msec, 약 10 msec 내지 약 250 msec 펄스, 약 20 msec 내지 약 250 msec, 약 40 msec 내지 약 250 msec, 약 60 msec 내지 약 250 msec, 약 80 msec 내지 약 250 msec, 약 100 msec 내지 약 250 msec, 약 20 msec 내지 약 200 msec, 약 40 msec 내지 약 200 msec, 약 60 msec 내지 약 200 msec, 약 80 msec 내지 약 200 msec, 약 100 msec 내지 약 200 msec, 및 약 150 msec 내지 약 200 msec일 수 있다. 특히, 지연은 약 200 msec일 수 있다. 전달된 전기 펄스들은 각각의 백신 접종 동안 다수의 펄스들을 전달하기 위해 반복된다. 예를 들면, 전달된 전기 펄스들의 수는 1, 2, 3, 4, 5, 6, 7, 8, 9, 또는 10일 수 있다. 특히, 전기 펄스들의 수는 1 내지 6 펄스들, 또는 2 또는 3 펄스들일 수 있다.
카트리지(120)는 주입이 발생할 수 있기 전에 디바이스가 카트리지(120)의 내용물을 검증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식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120)는 카트리지(120)가 어레이(82)에 설치될 때 제어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내장된 RFID 태그 또는 다른 라벨(예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스턴스들에서, 제어기는 주입이 발생하도록 허용하기 전에 적절한 카트리지(120)가 제자리에 있음을 검증할 것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예로서, 독립형 EP 시스템), 시스템(1)은 카트리지(120) 없이 기능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실험 투약을 하지 않은 대상에 대해 적어도 약 5%, 약 10%, 약 20%, 약 30%, 약 40%, 약 50%, 약 60%, 약 70%, 약 80%, 약 90%, 약 100%, 약 110%, 약 120%, 약 130%, 약 140%, 약 150%, 약 160%, 약 170%, 약 180%, 약 190%, 약 200%, 약 220%, 약 230%, 약 240%, 약 250%, 약 260%, 약 270%, 약 280%, 약 290%, 약 300%, 약 310%, 약 320%, 약 330%, 약 340%, 약 350%, 약 360%, 약 370%, 약 380%, 약 390%, 약 400%, 약 410%, 약 420%, 약 430%, 약 440%, 약 450%, 약 460%, 약 470%, 약 480%, 약 490%, 또는 약 500%, 약 550%, 약 600%, 약 650%, 약 700%, 약 750%, 약 800%, 약 850%, 약 900%, 약 950%, 약 1000%, 약 1100%, 약 1200%, 약 1300%, 약 1400%, 약 1500%, 약 1600%, 약 1700%, 약 1800%, 약 1900%, 약 2000%, 약 2100%, 약 2200%, 약 2300%, 약 2400%, 약 2500%, 약 2600%, 약 2700%, 약 2800%, 약 2900%, 또는 약 3000%만큼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실험 투약을 하지 않은 대상에 대해 적어도 약 1.25-접힘(fold), 적어도 약 1.5-접힘, 적어도 약 2-접힘, 적어도 약 3-접힘, 적어도 약 4-접힘, 적어도 약 5-접힘, 적어도 약 8-접힘, 및 적어도 약 10-접힘, 적어도 약 12-접힘, 적어도 약 14-접힘, 적어도 약 16-접힘, 적어도 약 18-접힘, 적어도 약 20-접힘, 적어도 약 25-접힘 또는 적어도 약 30-접힘으로 면역 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동작 시, 대상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적절한 에이전트 및 복용량을 포함한 사전-충전된 카트리지들(120) 중 적어도 하나 및 바늘이 없는 주입 시스템(1)을 획득해야 한다. 시스템(1)이 전원을 켬에 따라, 시스템(1)은 시스템(1)이 처리할 준비가 됨을 확인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테스트들(예로서, 스위칭 매트릭스 내부 테스트 로드)을 포함하며 주입이 발생하도록 허용하기 전에 적절한 카트리지(120)가 제자리에 있음을 검증하는, 다수의 자기-테스트들을 수행할 수 있다. 초기 셋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그 후 카트리지(120)를 삽입할 수 있다. 카트리지(120)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자는 새로운 사용되지 않은 제트 주입 모듈(40)을 획득하거나 또는 하우징(16)의 하부 단부(14)에서의 공동(18) 및 주입 모듈(40)의 주입 하우징(42)의 상부 단부(44)에서의 개구(45)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 어셈블리(10)로부터 제트 주입 모듈(40)을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것이 노즐(48)의 경사진 근위 단부(50)에 가장 가까운 제 2 단부(125)를 가진 주입 모듈(40)과 동축이도록 카트리지(120)를 배향시킨다. 사용자는 그 후 격막(121)이 접촉되며 궁극적으로 노즐(48)의 경사진 근위 단부(50)에 의해 구멍이 뚫릴 때까지 제트 주입 모듈(40)로 카트리지(120)를 축방향으로 도입하며, 따라서 노즐(48)은 카트리지(120)의 볼륨(126)과 유체 연통한다. 카트리지(120)를 가진 하우징(16)에 주입 모듈(40)을 재부착하는 것에 앞서, 따라서 플런저(122)는 추진 봉(62)과 동축으로 정렬되며, 추진 봉(62)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자리에 고정될 것이다. 사용자는 그 후 제트 주입 및 전기천공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하우징(16)에 주입 모듈(40)을 동작 가능하게 결합하기 전에, 사용자는 회전식 노브(30)에 회전력을 인가하며 그에 의해 슬롯(78)의 큰 섹션(172)이 트리거 핀(67)을 통해 이동될 때까지 추진 스프링(66)을 압축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69)은 추진 봉(62)을 제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해 트리거 핀(67)의 제 2 부분(156)이 슬롯(78)의 큰 섹션(172)으로 가게 한다. 사용자는 그 후 베이스 어셈블리(10)에 주입 모듈(40)을 동작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트 주입 및 전기천공을 수용하기 위해 대상에 원하는 조직을 위치시키며, 주입 모듈(40)의 에지(43)를 대상의 피부(2)와 접촉하게 한다. 그 뒤에, 사용자는 작은 섹션(154)이 이제 슬롯(78) 내에 배치되도록 트리거 핀(67)을 이동시키는 푸시 버튼(26)에 맞물린다. 더 이상 제한되지 않는다면, 추진 스프링(66)은 추진 봉(62)이 플런저(122)에 맞물려, 제 1 축(A)과 동축인 주입력을 제공하도록 압축 해제한다. 플런저 헤드(127)는 카트리지(120)의 볼륨(126)을 통해 이동하여, 궁극적으로 노즐(48), 제 1 오리피스(96), 및 제 2 오리피스(86)를 통해 대상의 피부(2)로 복용량을 전개한다. 동시에, 돌출부(155)는 타이밍 시퀀스를 개시하기 위해 PCB(136)에 맞물리는 마이크로스위치(128)를 접촉하며, 따라서 타이밍 시퀀스의 완료 시(제트 주입이 완료되도록 허용하는), 전기천공이 상기 특정한 처리를 위해 규정된 바와 같이 개시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EP 어레이 어셈블리(80)는 추진 봉(62)에 의해 전개된다. 해지 핀들(91)은 래치 멈춤쇠들(93)을 접촉하여, EP 어레이 어셈블리(80)가 전개되도록 허용한다. 전극들(110)은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약 1.0mm까지의 깊이들에서 대상의 피부(2)의 상피 조직들을 관통한다. 타이머가 끝난 후, 제어기는 전류를 접촉들(140)로 전송하기 위해 전원 공급 장치(142)를 위한 신호를 방출한다. 전류는 접촉들(140)로부터 플렉스 회로(83)의 접촉들(100)로 및 최종적으로 대상의 피부(2)의 전기천공이 미리 결정된 파라미터들(예로서, 시간량, 펄스들의 수)에 따라 시작되는 전극들(110)로 이어진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기는 대상의 피부(2)를 계속해서 전기천공하기 위해 전원 공급 장치(142)로 신호들을 계속해서 방출할 수 있다.
신호 표시기 및/또는 LED들(예시되지 않음)은 전기천공의 완료를 표시할 수 있으며 시스템(1)은 대상의 피부(2)로부터 제거되고, 여기에서 사용자는 제트 주입 모듈(40)을 제거하며 새로운 사전-잠금 모듈(40)로 교체하거나 또는 사용자는 래치들(90)이 래치 멈춤쇠들(93)에 결합하도록 수축 위치로 다시 EP 어레이 어셈블리(80)를 밈으로써 사용을 위해 시스템(1)을 수동으로 재장착하거나 또는 재-코킹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EP 디바이스들의 다수의 변화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예들
예 1. 이 예는: (1) 피부 전기천공(SEP)과 조합한 만토우(Mantoux) 주입; (2) SEP와 조합한 제트 주입; 및 (3) 무처리에 의해 피부로 전달된 인플루엔자(pNP(pGX2013) 및 RSV-F(pGX2303))의 사용에 의해 발생된 쥐 B 세포 반응들을 비교한다.
방법들: 연구를 위해, 3개의 그룹들의 쥐들이 면역화되었다: 2개의 그룹들의 10마리의 암컷 실험용(Wistar) 쥐들(생후 8주)은 복부 피부 옆구리들에 pGX2013 및 pGX2303으로 면역화되었으며, 하나의 그룹의 2마리의 실험 투약을 하지 않은(무처리) 암컷 실험용 쥐들(생후 8주) 그룹. 면역화는 1일차 및 15일차에 수행되었다. 처리는 ID 제트 주입 디바이스(오리건주, 타이거드, Bioject Medical Technologies로부터 이용 가능한 Biojector® 2000) 또는 만토우 주입(29 게이지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여)으로 투여된 50μL PBS ID(복부 옆구리, 각각의 플라스미드에 대해 별개의 위치들(좌측 옆구리로 주입된 pGx2303 및 우측 옆구리로 주입된 pGX2013))에서 50 ug pGx2303/15 ug pGX2013의 주입에 의해 행해졌으며 SEP는 각각의 주입 직후 수행되었다. 펄스들(정사각형 펄스 파형) 및 전류 사이에 200 msec 지연을 갖고 펄스당 25V, 100 msec를 사용하여 수행된 피부 천공은 0.5A에서 캐핑되었다.
ELISA: 쥐들은 15일차 및 22일차에 경정맥 샘플링 기술에 의해 채혈되었다. 구십-육(96)-웰 플랫(well flat)-최하부 판들(Costar 3590)은 300 ng/ml의 인플루엔자 NP(Novus Biologicals로부터 이용 가능한 IMR-274) 또는 Hu RSV-F(Sinobiologicals로부터 이용 가능한 11049-V08B)로 4℃에서 밤새 코팅되었다. 판들은 자동 판 세척(0.05% Tween-20을 가진 세척액 PBS)을 사용하여 세척된 X4였으며, 37℃에서 2시간 동안 3% BSA PBS 0.05% Tween-20 완충제로 차단되었다. 판들은 세척되었으며 1% BSA PBS 0.05% Tween-20 완충제에서 1:50 연속 희석에서 시작한 혈청들의 100 uL 부분 표본들이 3배로 부가되었으며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판들은 세척되었으며 1:10,000 희석에서 100 uL의 염소 항-쥐 IgG-HRP(시그마 고양이# A9037)이 37℃에서 1시간 동안 부가되었다. 판들은 세척되었으며 정지액(50 ul)이 부가되기 전에 실온에서 6분 동안 두 개의 구성요소(50 ul의 각각/웰) TMB 마이크로웰 페록시다아제 시스템(Kirkegaard & Perry 연구소로부터 이용 가능한 고양이# 50-76-00)을 사용하여 현상되었다. OD450 측정들은 분자 디바이스들 SpectraMax 384를 사용하여 획득되었으며 종점 역가 컷오프들은 두 번의 PBS 배경의 OD 450 판독에 기초하여 산출되었다.
결과들: 도 21a 내지 도 21b 및 도 22a 내지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트 주입 플러스 전기천공의 조합은 만토우 주입 플러스 전기천공에 비교될 때 피부로 전달된 인플루엔지 pNP(pGX2013) 및 RSV-F(pGX2303) 양쪽 모두에 대해 15일차 및/또는 22일차(면역화-후)에서 보다 높은 항체 반응들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유발되는 보다 빠른 면역 반응을 야기하였다.
예 2. 제 2 실험은 상기 식별된 바와 같이 그룹핑된 새로운 실험용 쥐들을 사용하여 및 예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면역화, SEP, 및 ELISA 방법들에 따라 수행되었다.
결과들: 도 23a 내지 도 23b 및 도 24a 내지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트 주입 플러스 전기천공의 조합은 만토우 주입 플러스 전기천공에 비교될 때 피부로 전달된 인플루엔지 pNP(pGX2013) 및 RSV-F(pGX2303) 양쪽 모두에 대해 15일차 및/또는 22일차(면역화-후)에서 보다 높은 항체 반응들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유발되는 보다 빠른 면역 반응을 야기하였다.
완전성의 이유들로,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이 다음의 넘버링된 항목들에서 시작된다.
항목 1. 그 안에 사전-측정된 분량의 에이전트를 포함한 볼륨을 정의한 에이전트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기천공 디바이스로서,
그것을 통해 연장된 축을 가진 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노즐;
그 안에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사이징된 공동으로서, 상기 노즐은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가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의 볼륨과 유체 연통하는, 상기 공동;
그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전극들을 가진 어레이;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가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에 동작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추진 카트리지; 및
상기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추진 카트리지는 장착 구성 및 전개 구성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며, 상기 추진 카트리지는 상기 전개 구성을 향해 바이어싱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3. 항목 2에 있어서, 상기 장착 구성으로부터 상기 전개 구성으로 상기 추진 카트리지를 조정하는 것은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사전-측정된 분량의 에이전트의 일 부분을 기계적으로 배출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4. 항목 2에 있어서, 트리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는 상기 추진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 구성에 고정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추진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 및 전개 구성들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5. 항목 4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어레이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와 전기 통신하는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어레이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와 전기 통신하지 않는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6.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상기 전극들이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되는 수축 위치, 및 상기 전극들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하우징 바깥쪽에 배치되는 확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7. 항목 6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상기 확장 위치를 향해 바이어싱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8. 항목 6에 있어서, 트리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는 상기 어레이가 상기 수축 위치에 고정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어레이가 상기 수축 및 확장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9. 항목 8에 있어서, 상기 추진 카트리지는 장착 구성 및 전개 구성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며, 상기 트리거는 상기 추진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 구성에 고정되는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추진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 및 전개 구성들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0.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어레이 양쪽 모두와 전기 통신하는 신호 발생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신호 발생기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기 전력을 수신하며 전기천공 신호를 상기 어레이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1. 그 안에 사전-측정된 분량의 에이전트를 포함한 볼륨을 정의한 에이전트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기천공 디바이스로서:
그 안에서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사이징된 공동을 정의한 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와 유체 연통하는 노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장착 위치 및 전개 위치 사이에서 그것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추진 봉으로서, 상기 장착 위치로부터 상기 전개 위치로의 상기 추진 봉의 움직임은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사전-측정된 분량의 에이전트의 적어도 일 부분을 배출하는, 상기 추진 봉;
상기 추진 봉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된 추진 스프링으로서, 상기 추진 스프링은 상기 전개 위치를 향해 상기 추진 봉을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된, 상기 추진 스프링;
그로부터 연장된 하나 이상의 전극들을 가진 어레이;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추진 봉이 상기 장착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상기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지 않는 제 1 구성, 및 상기 추진 봉이 상기 장착 및 전개 위치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상기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트리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2. 항목 1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하우징의 제 1 단부에 근접하여 배치된 제 1 단부, 및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의 볼륨과 유체 연통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3. 항목 11에 있어서, 신호 발생기 및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신호 발생기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신호 발생기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기 전력을 수신하고 전기천공 신호를 상기 어레이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4. 항목 13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5. 항목 11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상기 전극들이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되는 수축 위치, 및 상기 전극들 중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하우징 바깥쪽에 배치되는 확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6. 항목 15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상기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해 하나 이상의 래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들은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어레이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7. 항목 11에 있어서, 이완된 위치로부터 상기 장착 위치로 상기 추진 봉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장착 캠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8. 항목 15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상기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래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들은 상기 수축 위치에 상기 어레이를 유지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9. 전기천공 디바이스로서:
그 안에 사전-측정된 분량의 에이전트를 가진 볼륨을 정의한 카트리지로서, 상기 볼륨의 적어도 일 부분은 플런저에 의해 봉쇄되는, 상기 카트리지;
제트 주입 모듈로서:
그 안에 상기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사이징된 공동을 정의한 제 1 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카트리지와 유체 연통하는 노즐, 및
그로부터 연장된 하나 이상의 전극들을 가진 어레이로서, 상기 어레이는 상기 전극들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수축 위치, 및 상기 전극들 중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하우징 바깥쪽에 배치되는 확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상기 어레이를 포함한, 상기 제트 주입 모듈; 및
상기 제트 주입 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베이스 어셈블리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장착 위치 및 전개 위치 사이에서 그것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추진 봉으로서, 상기 추진 봉은 상기 카트리지에 동작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상기 추진 봉,
상기 추진 봉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서 확장된 추진 스프링으로서, 상기 추진 스프링은 상기 전개 위치를 향해 상기 추진 봉을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된, 상기 추진 스프링,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추진 봉이 상기 장착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상기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지 않는 제 1 구성, 및 상기 추진 봉이 상기 장착 및 전개 위치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상기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트리거 어셈블리를 포함한,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20. 항목 19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는 상기 어레이가 상기 수축 위치에 고정되는 상기 제 1 구성, 및 상기 어레이가 상기 수축 및 확장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기 제 2 구성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Claims (20)

  1. 그 안에 사전-측정된 분량의 에이전트를 포함한 볼륨을 정의한 에이전트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그것을 통해 연장된 축을 가진 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노즐;
    그 안에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사이징된 공동으로서, 상기 노즐은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가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의 볼륨과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상기 공동;
    그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전극들을 가진 어레이;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가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에 동작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추진 카트리지; 및
    상기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진 카트리지는 장착 구성(armed configuration) 및 전개 구성(deployed configuration)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며, 상기 추진 카트리지는 상기 전개 구성을 향해 바이어싱(bias)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착 구성으로부터 상기 전개 구성으로 상기 추진 카트리지를 조정하는 것은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사전-측정된 분량의 에이전트의 일 부분을 기계적으로 배출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4. 청구항 2에 있어서,
    트리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는 상기 추진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 구성에 고정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추진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 및 전개 구성들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어레이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와 전기 통신하는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어레이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와 전기 통신하지 않는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상기 전극들이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되는 수축 위치(retracted position), 및 상기 전극들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하우징 바깥쪽에 배치되는 확장 위치(extended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상기 확장 위치를 향해 바이어싱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8. 청구항 6에 있어서,
    트리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는 상기 어레이가 상기 수축 위치에 고정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어레이가 상기 수축 및 확장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추진 카트리지는 장착 구성 및 전개 구성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며, 상기 트리거는 상기 추진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 구성에 고정되는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추진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 및 전개 구성들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어레이 양쪽 모두와 전기 통신하는 신호 발생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발생기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기 전력을 수신하며 전기천공 신호를 상기 어레이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1. 그 안에 사전-측정된 분량의 에이전트를 포함한 볼륨을 정의한 에이전트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그 안에서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사이징된 공동을 정의한 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와 유체 연통하는 노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장착 위치 및 전개 위치 사이에서 그것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추진 봉(propulsion rod)으로서, 상기 장착 위치로부터 상기 전개 위치로의 상기 추진 봉의 움직임은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사전-측정된 분량의 에이전트의 적어도 일 부분을 배출하는, 상기 추진 봉;
    상기 추진 봉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서 확장된 추진 스프링으로서, 상기 추진 스프링은 상기 전개 위치를 향해 상기 추진 봉을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된, 상기 추진 스프링;
    그로부터 연장된 하나 이상의 전극들을 가진 어레이;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추진 봉이 상기 장착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상기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지 않는 제 1 구성, 및 상기 추진 봉이 상기 장착 및 전개 위치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상기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트리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하우징의 제 1 단부에 근접하여 배치된 제 1 단부, 및 상기 에이전트 카트리지의 볼륨과 유체 연통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신호 발생기 및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발생기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신호 발생기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기 전력을 수신하고 전기천공 신호를 상기 어레이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상기 전극들이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되는 수축 위치, 및 상기 전극들 중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하우징 바깥쪽에 배치되는 확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상기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해 하나 이상의 래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들은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어레이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이완된 위치(relaxed position)로부터 상기 장착 위치로 상기 추진 봉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장착 캠(arming cam)을 더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상기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래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들은 상기 수축 위치에 상기 어레이를 유지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9.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그 안에 사전-측정된 분량의 에이전트를 가진 볼륨을 정의한 카트리지로서, 상기 볼륨의 적어도 일 부분은 플런저(plunger)에 의해 봉쇄되는, 상기 카트리지;
    제트 주입 모듈로서:
    그 안에 상기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사이징된 공동을 정의한 제 1 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카트리지와 유체 연통하는 노즐, 및
    그로부터 연장된 하나 이상의 전극들을 가진 어레이로서, 상기 어레이는 상기 전극들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수축 위치, 및 상기 전극들 중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하우징 바깥쪽에 배치되는 확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상기 어레이를 포함한, 상기 제트 주입 모듈; 및
    상기 제트 주입 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베이스 어셈블리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장착 위치 및 전개 위치 사이에서 그것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추진 봉으로서, 상기 추진 봉은 상기 카트리지에 동작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상기 추진 봉,
    상기 추진 봉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서 확장된 추진 스프링으로서, 상기 추진 스프링은 상기 전개 위치를 향해 상기 추진 봉을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된, 상기 추진 스프링;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추진 봉이 상기 장착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상기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지 않는 제 1 구성, 및 상기 추진 봉이 상기 장착 및 전개 위치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상기 어레이와 전기 통신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트리거 어셈블리를 포함한,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는 상기 어레이가 상기 수축 위치에 고정되는 상기 제 1 구성, 및 상기 어레이가 상기 수축 및 확장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기 제 2 구성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전기천공 디바이스.
KR1020187020992A 2015-12-28 2016-12-28 진피내 제트 주입 전기천공 디바이스 KR201800997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71969P 2015-12-28 2015-12-28
US62/271,969 2015-12-28
PCT/US2016/068972 WO2017117273A1 (en) 2015-12-28 2016-12-28 Intradermal jet injection electropor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748A true KR20180099748A (ko) 2018-09-05

Family

ID=5922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992A KR20180099748A (ko) 2015-12-28 2016-12-28 진피내 제트 주입 전기천공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027071B2 (ko)
EP (1) EP3397144A4 (ko)
JP (2) JP7088843B2 (ko)
KR (1) KR20180099748A (ko)
CN (2) CN113633852B (ko)
AU (2) AU2016382966B2 (ko)
CA (1) CA3009189A1 (ko)
SG (1) SG11201805374RA (ko)
WO (1) WO20171172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2442A (zh) * 2017-08-31 2017-11-21 珠海云动光电科技有限公司 微晶头及微针美容仪
DE102018107100A1 (de) * 2018-03-26 2019-09-26 Henke-Sass, Wolf Gmbh Vorrichtung zum Applizieren eines Fluids
DE102018107103A1 (de) * 2018-03-26 2019-09-26 Henke-Sass, Wolf Gmbh Vorrichtung zum Applizieren eines Fluids
DE102019123730A1 (de) * 2019-09-04 2021-03-04 Henke-Sass, Wolf Gmbh Vorrichtung zum Applizieren eines Fluids
DE102019123735A1 (de) * 2019-09-04 2021-03-04 Henke-Sass, Wolf Gmbh Vorrichtung zum Applizieren eines Fluids
DE102020119751A1 (de) * 2020-07-27 2022-01-27 Henke-Sass, Wolf Gmbh Vorrichtung zum Applizieren eines Fluids
US20240075215A1 (en) * 2022-09-07 2024-03-07 Inocuject Corp. Injector and Injection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0548B (en) * 1993-04-08 1999-06-11 Powderject Res Ltd Products for therapeutic use
US5911223A (en) * 1996-08-09 1999-06-1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ntroduction of modifying agents into skin by electroporation
US5800399A (en) * 1996-08-27 1998-09-01 Johnson & Johnson Medical, Inc. Low-cost method of assembling an extruded cannula holder for a catheter insertion device
ATE342079T1 (de) * 1998-07-27 2006-11-15 Antares Pharma Inc Injektionshilfstorpedo für ein medizinisches injektionssystem
CA2369329A1 (en) 1999-05-10 2000-11-16 Gunter A. Hofmann Method of electroporation-enhanced delivery of active agents
US6224567B1 (en) * 1999-09-08 2001-05-01 Cambridge Biostability Limited Modified disposable injector device
JP2003529417A (ja) * 2000-03-23 2003-10-07 アンタレス・ファーマ・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1回限り使用の使い捨て型ジェット注射器
IL136008A0 (en) 2000-05-07 2001-05-20 Elecsys Ltd Electrically-mediated transdermal drug injection
CN1345607A (zh) * 2000-09-30 2002-04-24 杭州泰士生物科技有限公司 带电极的肌内基因注射针装置
US6912417B1 (en) * 2002-04-05 2005-06-28 Ichor Medical Systm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US7328064B2 (en) * 2002-07-04 2008-02-05 Inovio As Electroporation device and injection apparatus
JP2004041434A (ja) * 2002-07-11 2004-02-12 Kiyohito Ishida エレクトロポレーション装置
AU2004292723A1 (en) * 2003-11-27 2005-06-09 Novo Nordisk A/S Impulse chamber for jet delivery device
JP2007514489A (ja) * 2003-12-18 2007-06-07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皮膚引き伸ばし手段を有するノズルデバイス
US20080058706A1 (en) * 2004-06-30 2008-03-06 Genetronics, Inc. Modular electroporation device with disposable electrode and drug delivery components
US20070043320A1 (en) * 2005-02-09 2007-02-22 Kenany Saad A Microstream injector
WO2008048632A1 (en) 2006-10-17 2008-04-24 Vgx Pharmaceuticals, Inc. Electropor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for electroporation of cells in mammals
US9233213B2 (en) * 2009-10-16 2016-01-12 Janssen Biotech, Inc. Palm activated drug delivery device
CN101804224B (zh) * 2010-04-06 2011-11-30 上海塔瑞莎健康科技有限公司 药械结合的电脉冲导入装置
JP5844541B2 (ja) * 2011-04-20 2016-01-20 株式会社ダイセル 無針注射器
US9457183B2 (en) * 2011-06-15 2016-10-04 Tripep Ab Injection needle and device
KR20230156804A (ko) * 2011-06-28 2023-11-14 이노비오 파마수티컬즈, 인크. 최소 침습 피부 전기천공 장치
US9044582B2 (en) * 2012-06-26 2015-06-02 Franklin J. Cha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dermal fluid delivery
CN105829341A (zh) 2013-12-13 2016-08-03 宾夕法尼亚大学理事会 Dna抗体构建体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01528A (zh) 2018-09-28
US20210260298A1 (en) 2021-08-26
AU2016382966A1 (en) 2018-07-12
CA3009189A1 (en) 2017-07-06
WO2017117273A1 (en) 2017-07-06
US11027071B2 (en) 2021-06-08
AU2022203891A1 (en) 2022-06-23
JP7470737B2 (ja) 2024-04-18
EP3397144A4 (en) 2019-02-13
US20190000489A1 (en) 2019-01-03
JP2022116349A (ja) 2022-08-09
SG11201805374RA (en) 2018-07-30
JP7088843B2 (ja) 2022-06-21
CN113633852A (zh) 2021-11-12
CN113633852B (zh) 2023-09-29
JP2019504723A (ja) 2019-02-21
AU2016382966B2 (en) 2022-03-03
EP3397144A1 (en) 2018-11-07
CN108601528B (zh)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9748A (ko) 진피내 제트 주입 전기천공 디바이스
US7664545B2 (en) Electrode assembly for constant-current electroporation and use
CA2578847C (en) Constant current electropor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ES2902988T3 (es) Electrodo y procedimiento de electropermeabilización sin contacto
JP2005518904A (ja) 電気的刺激の側面を備えた臨床用注射器
AU2009251157B2 (en) Electrode assembly for constant-current electroporation and use
EP1387640A1 (en) Current created transdermal access for drug delivery
CN109414580A (zh) 具有带锁住系统的可拆卸针阵列的电穿孔装置
WO2007115220A2 (en) Hand-held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KR101914152B1 (ko) 다수의 조직 층 전기천공 애플리케이터 및 장치
KR102601524B1 (ko) 미세전극을 사용한 조직 전기이동을 위한 소자
KR102576111B1 (ko) 미들커넥터를 포함하는 가역적 전기천공시스템
CA3178545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issue delivery of drug
JP2022553530A (ja) 電気導入による治療用物質の送達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