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198A -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 - Google Patents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9198A KR20180099198A KR1020170026312A KR20170026312A KR20180099198A KR 20180099198 A KR20180099198 A KR 20180099198A KR 1020170026312 A KR1020170026312 A KR 1020170026312A KR 20170026312 A KR20170026312 A KR 20170026312A KR 20180099198 A KR20180099198 A KR 201800991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at
- cut
- chip
- band saw
- meat chi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93—Handling, transporting or packaging pieces of meat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26—Mincing and grinding m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4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n endless band-knife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18—Trays, reservoirs for waste, chips or cut pro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개시되는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가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와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띠톱에 의해 절단 대상 육류가 절단되어 형성된 절단 육류칩이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부로 낙하 수용되어 컨베이어 벨트에 얹히고, 그 얹힌 상태로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에 의해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외부로 이송됨으로써,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부로 수용되는 상기 절단 육류칩이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부에 적체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절단 대상 육류에 대한 육류 절단 공정이 지속되더라도 상기 절단 육류칩이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에 적체되지 않게 되어, 일부 절단 육류칩이 상기 띠톱에 딸려 올라가서 띠톱 방식 육절기 주변으로 날아가 주변을 오염시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에 적체된 상기 절단 육류칩에 의해 상기 띠톱이 걸려 상기 띠톱이 제대로 회전되지 못하면서 육류 절단 공정이 중단되거나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나게 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에 관한 것이다.
띠톱 방식 육절기는 띠톱, 즉 띠 모양으로 된 강철의 한쪽에 톱니를 만들고 두 끝을 이어 둥근 고리 모양으로 만든 톱을 적용하여, 절단 대상 육류를 요구되는 형태 및 크기로 절단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고, 이러한 띠톱 방식 육절기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일반적으로 띠톱 방식 육절기에서는, 띠 형태의 띠톱을 서로 상하로 이격 설치된 두 개의 회전 풀리에 건 상태에서 상기 회전 풀리 중 하나를 회전시켜 줌에 따라, 띠톱이 회전되면서 육절이 수행된다.
위와 같이 띠톱이 회전되면서 절단 대상 육류를 절단하면 절단 육류칩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절단 육류칩은 낙하되면서 그 아래에 위치된 케이스인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에 수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띠톱 방식 육절기에서는, 육류 절단 공정이 수행될수록 절단 육류칩이 낙하되어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에 수북히 적체되어 가게 되고, 그에 따라 일부 절단 육류칩이 띠톱에 딸려 올라가서 띠톱 방식 육절기 주변으로 날아가는 문제가 있고, 종국에는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에 적체된 절단 육류칩에 의해 띠톱이 걸려 띠톱이 제대로 회전되지 못하면서 육류 절단 공정이 중단되거나 띠톱 방식 육절기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육류 절단 공정이 지속되더라도 절단 육류칩이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에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는 띠톱이 회전되면서 절단 대상 육류를 절단하여 절단 육류칩을 형성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띠톱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절단 육류칩이 수용되는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및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에 수용된 상기 절단 육류칩을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외부로 이송시키는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에 의하면,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가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와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띠톱에 의해 절단 대상 육류가 절단되어 형성된 절단 육류칩이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부로 낙하 수용되어 컨베이어 벨트에 얹히고, 그 얹힌 상태로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에 의해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외부로 이송됨으로써,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부로 수용되는 상기 절단 육류칩이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부에 적체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절단 대상 육류에 대한 육류 절단 공정이 지속되더라도 상기 절단 육류칩이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에 적체되지 않게 되어, 일부 절단 육류칩이 상기 띠톱에 딸려 올라가서 띠톱 방식 육절기 주변으로 날아가 주변을 오염시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에 적체된 상기 절단 육류칩에 의해 상기 띠톱이 걸려 상기 띠톱이 제대로 회전되지 못하면서 육류 절단 공정이 중단되거나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나게 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의 하부를 일부 절단하여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에서 회동부가 선형으로 펼쳐진 모습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에서 회동부가 굽혀진 모습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를 구성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의 작동을 보이는 수평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를 구성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수평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텐션 공급 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의 하부를 일부 절단하여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에서 회동부가 선형으로 펼쳐진 모습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에서 회동부가 굽혀진 모습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를 구성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의 작동을 보이는 수평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를 구성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수평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텐션 공급 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의 하부를 일부 절단하여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에서 회동부가 선형으로 펼쳐진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에서 회동부가 굽혀진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를 구성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의 작동을 보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는 띠톱(140)이 회전되면서 절단 대상 육류를 절단하여 절단 육류칩을 형성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100)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와,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1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100)는 육절 프레임(110)과, 상기 띠톱(140)과, 회전 풀리(130, 135)와, 풀리 회동 수단(131)과,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띠톱(140)은 절단 대상 육류의 절단을 위한 것으로, 일 면(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150)에 수용되는 면과 다른 면)에 톱니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 풀리(130, 135)는 상기 띠톱(140)이 걸려 회전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회전 풀리(130, 135)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육절 프레임(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씩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각 외면에 상기 띠톱(140)이 걸린 것이다.
상기 풀리 회동 수단(131)은 상기 회전 풀리(130, 135)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주는 것으로, 전기 모터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풀리 회동 수단(131)이 작동되면, 상기 회전 풀리(130, 135)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띠톱(140)이 한 쌍의 상기 회전 풀리(130, 135)에 감겨 회전되면서, 상기 절단 대상 육류를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육절 프레임(110)의 일 측에는 수평 형태로 평평하게 이루어진 수평 지지대(111)가 배치되고, 상기 수평 지지대(111) 상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는 왕복 운동 부재(120)가 상기 수평 지지대(111) 위에 놓인다.
상기 왕복 운동 부재(120)의 내부에는 전기 모터, 랙 피니언 기어 등이 구비되어, 상기 왕복 운동 부재(120)가 상기 수평 지지대(111) 위를 왕복 운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왕복 운동을 위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이므로, 그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왕복 운동 부재(120)의 상부에는 상기 절단 대상 육류의 말단을 집어 고정하는 육류 고정 부재(125)가 배치된다.
상기 육류 고정 부재(125)는 상기 왕복 운동 부재(120) 상에서 돌출된 형태의 하부 집게(126)와, 상기 하부 집게(126)와 맞물리거나 그러한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도록 회동될 수 있는 상부 집게(127)와, 상기 상부 집게(127)를 회동시킬 수 있는 유압 실린더 등의 집게 회동 수단(128)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집게(126) 상에 상기 절단 대상 육류의 말단부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집게 회동 수단(128)이 일 방향으로 작동되면, 상기 상부 집게(127)가 상기 절단 대상 육류의 상부를 집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육류 고정 부재(125)가 상기 절단 대상 육류를 집어 고정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왕복 운동 부재(120)가 상기 수평 지지대(111) 위를 왕복 운동하게 되면, 그러한 왕복 운동 중에 상기 수평 지지대(111) 일 측을 상하 방향으로 지나가는 상기 띠톱(140)에 의해 상기 절단 대상 육류가 일정한 두께로 절단된다.
상기 절단 대상 육류에서 절단된 절단 육류칩은 상기 육절 프레임(11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에 수용된다.
상기 절단 대상 육류에 대한 절단이 완료된 후, 상기 집게 회동 수단(128)이 타 방향으로 작동되면, 상기 상부 집게(127)가 상기 절단 대상 육류의 남은 부분의 상부를 집은 상태가 해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육류 고정 부재(125)가 상기 절단 대상 육류의 남은 부분을 고정한 상태가 해제된다.
도면 번호 101은 상기 육절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상기 띠톱(140)의 회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부재이다.
도면 번호 102는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150)에 고압 공기를 제공하는 고압 공기 형성 수단이다.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150)은 상기 띠톱(140)을 회전시켜 상기 절단 대상 육류를 절단하는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100)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세정 유닛 몸체(151)와, 고압 공기 유동 홀(157)과, 고압 공기 분사 홀(154)을 포함한다.
상기 세정 유닛 몸체(151)는 상기 육절 프레임(110)에 고정된 것이다.
상기 고압 공기 유동 홀(157)은 상기 세정 유닛 몸체(151)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띠톱(140) 세정을 위해 외부, 여기서는 상기 고압 공기 형성 수단(102)에서 공급된 고압 공기가 유동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 156은 상기 고압 공기 형성 수단(102)에서 연장되어 고압 공기가 유동되는 연결 배관이고, 도면 번호 155는 상기 세정 유닛 몸체(151)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배관(156)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 배관(156)과 상기 고압 공기 유동 홀(157)을 연통시키는 배관 연결체이다.
상기 고압 공기 분사 홀(154)은 상기 고압 공기 유동 홀(157)을 통해 유동된 고압 공기가 상기 띠톱(140) 세정을 위해 상기 띠톱(140) 쪽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압 공기 형성 수단(102)에 의해 형성된 고압 공기가 상기 고압 공기 유동 홀(157)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고압 공기 분사 홀(154)을 통해 상기 띠톱(140) 쪽으로 분사됨으로써, 상기 띠톱(140)의 회전 중에도 상기 고압 공기 분사 홀(154)을 통해 분사된 고압 공기에 의해 상기 띠톱(140)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되어 세정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150)은 띠톱 말단부 수용 홀(152)과, 띠톱 대면 경사면(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152)은 상기 세정 유닛 몸체(151)에 일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세정 유닛 몸체(151)의 상하 방향으로는 개방됨으로써, 상기 띠톱(140)의 말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152)은 상기 띠톱(140)의 말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세정 유닛 몸체(151)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이루되, 그 함몰된 형태가 상기 세정 유닛 몸체(151)의 상하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띠톱(140)이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152)에 걸리지 않고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152)을 통과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띠톱(140)의 양 측면이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152)의 내벽과 이격되면서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152)에 의해 감싸진 형태가 된다.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152)은 상기 띠톱(140)의 말단부의 외면과 일정 간격을 두도록 형성된다.
상기 띠톱 대면 경사면(153)은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152)에 그 말단부가 수용된 상기 띠톱(140)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152)과 연결된 지점에 비해 상기 띠톱(140)에서 톱니가 형성된 전측 부분 쪽으로 따라갈수록 점진적으로 상기 띠톱(140)과 더욱더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띠톱 대면 경사면(153)은 상기 띠톱(140)의 양 측에 서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면, 한 쌍의 상기 띠톱 대면 경사면(153)이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152)과 연결된 상기 세정 유닛 몸체(151)의 내부에서 상기 띠톱(140)의 전면부(톱니가 형성된 부분) 쪽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는 경사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각 고압 공기 분사 홀(154)이 상기 각 띠톱 대면 경사면(153) 상에 형성되며, 상기 각 고압 공기 분사 홀(154)을 통해 상기 각 띠톱 대면 경사면(153)에 수직이 되도록 고압 공기가 분출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고압 공기 분사 홀(154)을 통해 분사된 고압 공기가 상기 띠톱(140) 표면에 경사지게 입사되면서 상기 띠톱(140)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상기 띠톱(140)의 전방으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150)이 상기 세정 유닛 몸체(151)와, 상기 고압 공기 유동 홀(157)과, 상기 고압 공기 분사 홀(154)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고압 공기 형성 수단(102)에 의해 형성된 고압 공기가 상기 고압 공기 유동 홀(157)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고압 공기 분사 홀(154)을 통해 상기 띠톱(140) 쪽으로 분사됨으로써, 상기 띠톱(140)의 회전 중에도 상기 고압 공기 분사 홀(154)을 통해 분사된 고압 공기에 의해 상기 띠톱(140)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되어 세정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절단 대상 육류에 대한 절단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100)의 정지없이도 상기 띠톱(140)에 대한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상기 띠톱(140)에 대한 세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도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100)의 지속적인 작동이 가능함은 물론, 그러한 상기 띠톱(140)에 대한 세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세정 시간이 수작업에 의할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축되고, 그러한 세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정 작업 중에 날카로운 띠톱(140)에 세정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띠톱(140)이 지속적으로 회전되고, 상기 왕복 운동 부재(120)가 왕복 운동하는 중에, 상기 왕복 운동 부재(120)가 상기 띠톱(140)의 톱니를 마주보면서 상기 띠톱(140)을 향해 이동되는 과정, 즉 실질적으로 상기 절단 대상 육류에 대한 절단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만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150)이 작동되고, 상기 왕복 운동 부재(120)가 상기 띠톱(140)의 톱니가 형성된 쪽의 다른 쪽을 마주보면서 상기 띠톱(140)을 향해 이동되는 과정, 즉 실질적으로 상기 절단 대상 육류에 대한 절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과정에서는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150)이 작동 중지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띠톱(140)에 의해 상기 절단 대상 육류가 실제 절단되는 과정에서만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150)이 작동될 수 있어서,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150)이 작동 중지는 상기 고압 공기 형성 수단(102)의 정지, 별도 댐퍼(미도시) 등의 설치에 따른 상기 고압 공기 유동 홀(157) 또는 상기 고압 공기 분사 홀(154) 닫음 등의 방식으로 가능하다.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는 상기 회전 풀리(130, 135) 중 하부에 위치된 것(135)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띠톱(14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절단 육류칩이 낙하되면서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160)는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에 수용된 상기 절단 육류칩을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 외부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의 하부에는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에 수용된 상기 절단 육류칩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절단 육류칩 이송 홀(116)이 형성된다.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홀(116)은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의 일 측면의 하부가 전체적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160)는 컨베이어 벨트(163)를 포함하는데,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는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로 낙하되어 수용되는 상기 절단 육류칩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의 상단에 얹혀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홀(116)을 통해 외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160)는 내측 벨트 회전축(162a)과, 외측 벨트 회전축(161a)을 더 포함한다.
상기 내측 벨트 회전축(162a)은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 내부에서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홀(116)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의 일 측부가 걸려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외측 벨트 회전축(161a)은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홀(116)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의 타 측부가 걸려 회전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 103은 상기 내측 벨트 회전축(162a)과 상기 외측 벨트 회전축(161a) 중 적어도 하나, 여기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외측 벨트 회전축(161a)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전기 모터 등의 벨트 구동 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가 상기 내측 벨트 회전축(162a)과 상기 외측 벨트 회전축(161a)에 걸려 회전되면서,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 내부로 낙하 수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에 얹힌 상기 절단 육류칩을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 외부로 이송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 내부로 수용되는 상기 절단 육류칩이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 내부에 적체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16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를 받쳐주는 내측 지지 프레임(161)과, 상기 벨트 지지체(16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외측 지지 프레임(162)을 포함한다.
상기 벨트 지지체(161)의 전측, 여기서는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 외측의 말단부에 상기 외측 벨트 회전축(161a)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동 지지체(162)의 후측, 여기서는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의 내측의 말단부에 상기 내측 벨트 회전축(162a)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내측 지지 프레임(161)은 상기 내측 벨트 회전축(162a)을 지지하는 것이고,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162)은 상기 외측 벨트 회전축(161a)을 지지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지지 프레임(161)과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162)이 서로 평평해지도록 연결된 형태가 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가 평평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에 얹힌 상기 절단 대상 육류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측 지지 프레임(161)과 상기 회동 지지체(162)의 연결부에는 회동부(170)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170)에 의해 상기 내측 지지 프레임(161)과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162)이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회동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의 청소 등을 위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의 착탈이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회동부(170)는 상기 내측 지지 프레임(161)과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162)을 회동 가능하게 함께 관통하는 회동축(171)과, 상기 회동축(171)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 상에서 상기 벨트 지지체(161)의 상단 부분부터 그 내측 부분 쪽으로 일정 길이 연속적으로 관통된 회동 관통홀(172)과, 상기 회동 관통홀(172) 중 상기 벨트 지지체(161)의 내측 말단에 형성되되 상기 회동 관통홀(17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삽입 관통홀(173)과, 상기 회동 관통홀(172)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상기 회동 지지체(162)에 형성되는 고정 관통홀(174)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관통홀(174)은 상기 회동 지지체(162)에 형성되되, 상기 회동 관통홀(172)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170)에는 고정 수단(175)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 수단(175)은 상기 고정 관통홀(174)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돌기부(176)와, 상기 고정 돌기부(176)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삽입 관통홀(173)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삽입 돌기부(177)와,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외력 인가부(178)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돌기부(176)의 외면과 상기 고정 관통홀(174)의 내면에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돌기부(176), 상기 삽입 돌기부(177) 및 상기 외력 인가부(178)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지지 프레임(161)과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162)이 서로 평평해지도록 연결된 형태가 되면, 상기 삽입 관통홀(173)과 상기 고정 관통홀(174)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 수단(175)이 상기 회동부(170)에 결합되면, 상기 삽입 돌기부(177)가 상기 삽입 관통홀(173)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 지지 프레임(161)과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162)이 회동 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 상기 고정 돌기부(176)가 상기 고정 관통홀(17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가 분리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외력 인가부(178)가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고정 수단(175)이 상기 회동부(170)로부터 분리되고, 그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상기 내측 지지 프레임(161)이 들리면, 상기 내측 지지 프레임(161)이 상기 회동축(171)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 지지체(162)에 대해 회전된다.
한편,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는 벨트 보호 부재(16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벨트 보호 부재(165)는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홀(116)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격자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의 상공을 덮음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로의 이물질, 예를 들어 상기 회전 풀리(130, 135)로부터 임의로 분리된 상기 띠톱(140) 낙하에 따른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벨트 보호 부재(165)는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홀(116)의 상단 등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168)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트 보호 몸체(166)와, 상기 벨트 보호 몸체(166)에서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 내부 쪽으로 격자망 형태로 연장되는 격자망체(167)를 포함한다.
상기 격자망체(167)는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 내부의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 상공을 모두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절단 육류칩은 통과될 수 있는 격자 크기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하부 집게(126) 상에 상기 절단 대상 육류의 말단부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집게 회동 수단(128)이 일 방향으로 작동되어, 상기 상부 집게(127)가 상기 절단 대상 육류의 상부를 집어서, 상기 육류 고정 부재(125)가 상기 절단 대상 육류를 집어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왕복 운동 부재(120)가 작동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111) 위를 왕복 운동하고, 상기 풀리 회동 수단(131)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 풀리(130, 135)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띠톱(140)도 지속적인 회전을 시작한다.
이러한 작동에 따라, 상기 육류 고정 부재(125)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절단 대상 육류가 상기 띠톱(140)에 의해 일정한 두께로 절단된다.
상기 절단 대상 육류에서 절단된 절단 육류칩은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로 낙하되어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로 낙하되어 수용된 상기 절단 육류칩은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160)에 의해 외부로 지속적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가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와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16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띠톱(140)에 의해 상기 절단 대상 육류가 절단되어 형성된 상기 절단 육류칩이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 내부로 낙하 수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63)에 얹히고, 그 얹힌 상태로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160)에 의해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 외부로 이송됨으로써,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 내부로 수용되는 상기 절단 육류칩이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 내부에 적체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절단 대상 육류에 대한 육류 절단 공정이 지속되더라도 상기 절단 육류칩이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 내에 적체되지 않게 되어, 일부 절단 육류칩이 상기 띠톱(140)에 딸려 올라가서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100) 주변으로 날아가 주변을 오염시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115) 내에 적체된 상기 절단 육류칩에 의해 상기 띠톱(140)이 걸려 상기 띠톱(140)이 제대로 회전되지 못하면서 육류 절단 공정이 중단되거나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100)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나게 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를 구성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이 고압 공기 분지 유동 홀(270)과, 고압 공기 분지 분사 홀(275)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압 공기 분지 유동 홀(270)은 고압 공기 유동 홀(257)에서 분지되어, 상기 고압 공기 유동 홀(257)을 따라 유동되던 고압 공기 중의 일부가 분지 유동되는 것이다.
상기 고압 공기 분지 분사 홀(275)은 상기 고압 공기 분지 유동 홀(270)을 통해 유동된 고압 공기가 띠톱 말단부 수용 홀(252)에 수용된 띠톱(240)의 말단부 쪽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고압 공기 분지 유동 홀(270)과 상기 고압 공기 분지 분사 홀(275)은 상기 띠톱(24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적어도 한 쌍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띠톱(240)의 양 측면에 함께 고압 공기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압 공기 분지 유동 홀(270)과 상기 고압 공기 분지 분사 홀(275)이 더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고압 공기 유동 홀(257)에서 분지되어 상기 고압 공기 분지 유동 홀(270)을 통해 유동된 고압 공기가 상기 고압 공기 분지 분사 홀(275)을 통해 상기 띠톱(240)의 말단부 쪽으로 분사됨으로써, 상기 띠톱(240)의 말단부와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252)에 개재된 이물질이 그 고압 공기에 의해 제거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각 고압 공기 분지 분사 홀(275)을 통해 분사된 각 고압 공기에 의해 상기 띠톱(240)의 양 측면이 동시에 밀려서 상기 띠톱(240)의 말단부가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252)에 임의로 접하거나 충돌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이 고압 공기 방향 전환 홀(2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압 공기 방향 전환 홀(271)은 상기 고압 공기 분지 유동 홀(270)과 상기 고압 공기 분지 분사 홀(275)을 연결하되, 상기 고압 공기 분지 유동 홀(270)을 통해 유동된 고압 공기가 상기 띠톱(240)의 말단부의 후측부를 향해 경사지게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고압 공기 분지 유동 홀(270)을 통해 유동된 고압 공기의 방향을 전환시켜주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고압 공기 방향 전환 홀(271)이 띠톱 대면 경사면(253) 및 상기 띠톱(240)의 전면부 쪽으로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압 공기 방향 전환 홀(271)의 말단과 연통된 상기 고압 공기 방향 전환 홀(271)은 상기 고압 공기 방향 전환 홀(271)의 형성 방향에서 그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252)에서 상기 띠톱(240)의 말단부 배면과 대면되는 면 쪽으로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압 공기 분지 분사 홀(275)에서도 상기 고압 공기 방향 전환 홀(271)에서의 고압 공기 유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고압 공기가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고압 공기 분지 분사 홀(275)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 공기가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252)의 내면과 경사지도록 분사되어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252)에서 상기 띠톱(240)의 말단부 배면과 대면되는 면 쪽으로 향하게 됨으로써,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252)의 구석까지 상기 고압 공기가 모두 전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띠톱 말단부 수용 홀(252)의 구석까지 전체적으로 세정이 가능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텐션 공급 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는 컨베이어 텐션 공급 부재(380)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텐션 공급 부재(380)는 컨베이어 벨트(363)의 텐션이 요구되는 수준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외측 벨트 회전축(361a)과 외측 지지 프레임(361) 사이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361)에는 외부로 지지 플랜지(361c)가 돌출된다.
상세히, 상기 컨베이어 텐션 공급 부재(380)는 상기 외측 벨트 회전축(361a)과 연결되는 축 연결체(384)와, 상기 축 연결체(384)와 연결되되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36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 연결체(381)와, 상기 평행 연결체(381)에서 연장되되 그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플랜지(361c)를 관통하는 텐션 조절봉(382)과, 상기 텐션 조절봉(382)이 관통되되 그 내면에 상기 텐션 조절봉(382)의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텐션 조절 관통체(383)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361)의 말단부에는 상기 축 연결체(384)가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36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동 홀(361b)이 형성된다.
상기 텐션 조절봉(382)이 관통된 상기 텐션 조절 관통체(383)가 상기 지지 플랜지(361c)에 닿아 지지됨으로써, 상기 텐션 조절봉(382)이 상기 지지 플랜지(361c)에 대해 돌출된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텐션 조절 관통체(383)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텐션 조절 관통체(383)에서 상기 텐션 조절봉(382)이 신장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텐션 공급 부재(380)가 공급하는 텐션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축 연결체(384)는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361)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이동 홀(361b)을 따라 이동된다.
한편,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텐션 조절 관통체(383)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텐션 조절 관통체(383) 내로 상기 텐션 조절봉(382)이 수축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텐션 공급 부재(380)가 공급하는 텐션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축 연결체(384)는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361)의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이동 홀(361b)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에 의하면, 육류 절단 공정이 지속되더라도 절단 육류칩이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에 적체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띠톱 방식 육절기
115 :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140 : 띠톱
160 :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
165 : 벨트 보호 부재
115 :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140 : 띠톱
160 :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
165 : 벨트 보호 부재
Claims (5)
- 띠톱이 회전되면서 절단 대상 육류를 절단하여 절단 육류칩을 형성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띠톱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절단 육류칩이 수용되는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및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에 수용된 상기 절단 육류칩을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외부로 이송시키는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에 수용된 상기 절단 육류칩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절단 육류칩 이송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는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로 수용되는 상기 절단 육류칩이 그 상단에 얹혀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홀을 통해 외부로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는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부에서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홀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 측부가 걸려 회전되는 내측 벨트 회전축과,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홀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타 측부가 걸려 회전되는 외측 벨트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부로 수용되는 상기 절단 육류칩이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부에 적체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상기 내측 벨트 회전축과 상기 외측 벨트 회전축에 걸려 회전되면서,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내부로 수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얹힌 상기 절단 육류칩을 상기 절단 육류칩 수용 부재 외부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의 이물질 낙하에 따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홀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격자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공을 덮는 벨트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육류칩 이송 부재는
상기 내측 벨트 회전축을 지지하는 내측 지지 프레임과,
상기 외측 벨트 회전축을 지지하는 외측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이 요구되는 수준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외측 벨트 회전축과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 사이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컨베이어 텐션 공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에는 외부로 지지 플랜지가 돌출되고,
상기 컨베이어 텐션 공급 부재는
상기 외측 벨트 회전축과 연결되는 축 연결체와,
상기 축 연결체와 연결되되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 연결체와,
상기 평행 연결체에서 연장되되 그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플랜지를 관통하는 텐션 조절봉과,
상기 텐션 조절봉이 관통되되 그 내면에 상기 텐션 조절봉의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텐션 조절 관통체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 조절봉이 관통된 상기 텐션 조절 관통체가 상기 지지 플랜지에 닿아 지지됨으로써, 상기 텐션 조절봉이 상기 지지 플랜지에 대해 돌출된 높이가 유지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상기 텐션 조절 관통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텐션 조절 관통체에서 상기 텐션 조절봉이 신장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텐션 공급 부재가 공급하는 텐션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텐션 조절 관통체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텐션 조절 관통체 내로 상기 텐션 조절봉이 수축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텐션 공급 부재가 공급하는 텐션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6312A KR101908107B1 (ko) | 2017-02-28 | 2017-02-28 |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6312A KR101908107B1 (ko) | 2017-02-28 | 2017-02-28 |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8964A Division KR20180099580A (ko) | 2018-07-06 | 2018-07-06 |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9198A true KR20180099198A (ko) | 2018-09-05 |
KR101908107B1 KR101908107B1 (ko) | 2018-10-15 |
Family
ID=63594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6312A KR101908107B1 (ko) | 2017-02-28 | 2017-02-28 |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810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36402A3 (de) * | 2018-09-19 | 2020-07-29 | Robert Bosch GmbH | Lebensmittelschneidevorrichtung mit sicherheitseinhei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2364U (ko) | 2009-06-04 | 2010-12-14 | 주식회사 이레코리아 | 위생관리가 용이한 골절기 |
KR200464516Y1 (ko) | 2010-04-06 | 2013-01-08 | 주식회사 이레코리아 | 육류절단기용 톱날 보호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1716B1 (ko) | 2008-06-16 | 2011-01-28 |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 고속 슬라이서의 절편 스테킹장치 |
-
2017
- 2017-02-28 KR KR1020170026312A patent/KR1019081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2364U (ko) | 2009-06-04 | 2010-12-14 | 주식회사 이레코리아 | 위생관리가 용이한 골절기 |
KR200464516Y1 (ko) | 2010-04-06 | 2013-01-08 | 주식회사 이레코리아 | 육류절단기용 톱날 보호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36402A3 (de) * | 2018-09-19 | 2020-07-29 | Robert Bosch GmbH | Lebensmittelschneidevorrichtung mit sicherheitseinhe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8107B1 (ko) | 2018-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95795A (en) | Poultry gizzard processing system | |
US4073040A (en) | Machine for process of poultry gizzards | |
KR101218909B1 (ko) | 다슬기 탈각기 | |
FR2591997A1 (fr) | Dispositif de retrait des cerclages des balles de cellulose, de papier ou analogue | |
KR101908106B1 (ko) |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을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 | |
KR101908107B1 (ko) |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 | |
KR20140114241A (ko) | 생선 가공장치 | |
KR102143204B1 (ko) | 멸치자숙용 발 세척장치 | |
CN108372544B (zh) | 土豆螺旋切片设备 | |
US20170318823A1 (en) | Device for automatic peeling sauges | |
KR20160144054A (ko) | 육절기용 피가공육 고정장치 | |
KR20180099580A (ko) |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 | |
JP3699593B2 (ja) | 洗浄装置 | |
US625447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nimal intestines | |
US20100099345A1 (en) | Turkey breast defatter | |
US2801661A (en) | Seed potato cutter | |
JP2020137445A (ja) | カボチャの種ワタ除去方法および装置 | |
KR101698587B1 (ko) | 양파껍질 탈피기 | |
JP6391297B2 (ja) | 下葉除去装置 | |
JPH05244917A (ja) | 果実のへた取り・切断装置 | |
CN207369990U (zh) | 一种虾清洗输送装置 | |
DE102008012885B3 (de) | Vorrichtung zum Halten von in Scheiben geschnittenem Brot in Brotschneidemaschinen | |
KR20180099579A (ko) |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을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 | |
JP2022134825A (ja) | 食品切断装置 | |
KR102374831B1 (ko) | 개량된 대파의 뿌리 절단 및 탈피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