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843A - 이종간 정족수 감지 억제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공정 - Google Patents

이종간 정족수 감지 억제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843A
KR20180098843A KR1020170025485A KR20170025485A KR20180098843A KR 20180098843 A KR20180098843 A KR 20180098843A KR 1020170025485 A KR1020170025485 A KR 1020170025485A KR 20170025485 A KR20170025485 A KR 20170025485A KR 20180098843 A KR20180098843 A KR 20180098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organism
inhibiting
water treatment
biofilm form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3802B1 (ko
Inventor
이정학
이기백
이정기
김예원
유두환
조강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8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8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1/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enzymes; Carrier-bound or immobilised microbial cells; Preparation thereof
    • C12N11/02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 C12N11/04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entrapped within the carrier, e.g. gel or hollow fibres
    • C12R1/0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막 수처리 공정에서 분리막 표면에서의 생물막오염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인 미생물의 정족수 감지를 억제하여서 생물막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간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를 불활성화시키는 기능을 갖는 신규한 미생물, 이를 투과성 담체의 내부에 고정화시킨 미생물 고정화 용기 및 상기 미생물 고정화 용기를 포함하는 분리막 수처리 장치/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생물은 그람 음성 박테리아와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으므로 그람 음성 박테리아와 그람 양성 박테리아가 모두 관여될 수 밖에 없는 분리막 생물반응조 공정에서의 생물막오염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간 정족수 감지 억제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공정{Microorganism for Inhibiting Inter-species Quorum Sensing and Membran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mbrane 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리막을 이용한 고도 수처리 공정, 특히, 하폐수 처리에 이용되는 분리막 생물반응조(Membrane bioreactor, MBR) 공정에서 분리막 표면에 생성되는 생물막(Biofilm)에 의해 야기되는 생물막오염(Biofouling)을 억제시킬 수 있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그람 음성 박테리아에서만 한정되어 사용되었던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종래의 미생물이 아닌, 그람 음성 및 그람 양성 박테리아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의 불활성화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공정에 관한 것이다.
분리막을 이용한 고도 수처리 공정, 특히, 하폐수 처리에 이용되는 분리막 생물 반응조 장치/공정의 경우, 처리 효율이 우수하여 수자원 재이용 기술로서 많은 관심과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분리막 공정은 운전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조 내부에 존재하는 박테리아(Bacteria), 곰팡이(Fungi), 조류(Algae), 단세포성 원생생물(Protozoa) 등과 같은 미생물들이 분리막 표면에서 초기 부착 성장을 시작으로 하여 최종적으로는 수십 마이크로미터 내외의 두께를 가지는 막, 즉 생물막(biofilm)을 형성하여 생물막오염(Bio-Fouling)을 유발한다. 이는 분리막 생물반응조 공정뿐만 아니라 통상의 분리막 수처리 공정 또는 나노여과 및 역삼투막 공정의 고도 수처리 공정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생물막오염으로 인해 분리막의 여과 성능을 저하, 분리막 세정주기 감소로 인한 수명 단축, 여과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량 증가 등이 발생하여 분리막 공정의 경제성을 악화시킨다. 또한, 위와 같은 분리막 공정 이외에도 건물, 산업시설 등의 물탱크, 배관과 같은 수계 시스템에서도 수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영향으로 물체 표면에 생물막 또는 물때가 형성되어 장비의 성능을 저하(예를 들어, 금속표면의 부식, 냉각탑의 효율저하, 관망의 미생물 오염)시키거나 외관을 불량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지난 20년간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기존에 주로 연구된 물리적 방법(예컨대, 폭기 조절, 디자인 변경) 및 화학적 방법(예컨대, 약품 투입)으로는 생물막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반응조 내 미생물의 특성 파악, 특히, 분리막 표면에서 생물막의 형성 및 조절 메커니즘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분리막 수처리 공정의 생물막오염의 주요한 원인인 생물막은 한번 형성된 후에는 외부의 물리/화학적 충격에도 높은 내성을 가지므로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기존 물리화학적 방법에 의한 막오염 억제기술들은 주로 생물막 형성의 초기 단계에서는 효과적이지만 생물막이 충분히 형성(maturation)된 후에는 막오염 억제 효과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반응조 내 미생물의 특성, 특히 분리막 표면에서 생물막의 형성 및 성장의 조절 및 제어의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지만, 종래의 물리/화학적인 방법 외의 미생물의 특성 연구에 기초한 해결 기술은 아직 기초적인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한편, 미생물은 온도, pH, 양분 등 여러 가지 주위 환경의 변화에 반응하여 특정 신호 분자를 합성하고, 이를 세포 외부로 배출/흡수하는 방법으로 주변의 세포 밀도를 인지한다. 세포 밀도가 증가하여 이러한 신호분자 농도가 일정수준(Threshold) 이상에 이르게 되면 특정 유전자의 발현이 시작되고, 그 결과 미생물 집단현상(Group behaviors)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를 정족수 감지(Quorum sensing, QS)라고 한다. 이러한 정족수 감지 현상의 대표적인 예로는 공생(Symbiosis), 감염(Virulence), 경쟁(Competition), 접합(Conjugation), 항생제 생산(Antibiotic production), 운동성(Motility), 포자형성(Sporulation), 생물막 형성(Biofilm formation) 등이 보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특히, 부유상에 비해 세포 밀도가 월등히 높은 생물막 조건에서 미생물의 정족수 감지 기작은 보다 쉽고 활발하게 발생할 수 있다. 1998년 Davies 등(비특허문헌 2)에 의해 이러한 미생물 정족수 감지 기작이 병원성 미생물(Pseudomonas aeruginosa)의 생물막 형성 정도, 두께(Thickness) 및 형상(Morphology)과 같은 물리적 구조 특성, 항생제 내성 등과 같은 다양한 특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이래 정족수 감지 현상을 인위적인 조작을 통해 생물막 형성을 억제하는 연구가 최근에 의료 및 농업 등과  같은 일부 분야에서 의료기기의 오염방지(비특허문헌 3), 식물병(비특허문헌 4)의 억제 등을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보고된 정족수 감지 기작을 억제/조절하여 생물막 형성을 억제시키는 방법은 다음의 몇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로, 정족수 감지 기작에 사용되는 신호 분자와 비슷한 구조를 가져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리셉터의 결합 부위를 놓고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진 길항제(antagonist)를 투입하여 생물막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길항제로는 적조류의 일종인 Delisea pulchra가 분비하는 푸라논(furanone) 및 그 할로겐화 유도체들이 보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5 참조).
둘째로, 신호분자 합성 효소의 억제제(Inhibitor)를 투입하여 정족수 감시 신호분자를 애초에 생성할 수 없게 하는 방법으로 정족수 감지를 조절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셋째로, 정족수 감지 기작에 사용되는 신호 분자를 분해하는 효소(미생물 정족수 감지 억제 효소와 같은 생물막 형성 억제 효소: 예컨대, 락토나아제(Lactonase), 아실라아제(Acylase)) 내지는 그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막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Xu 등은 그람 음성균(박테리아)의 신호 분자인 아실-호모세린 락톤(acyl-homoserine lactone: AHL)을 분해하는 효소인 아실라아제 용액을 주입하여 다양한 표면에서의 생물막 형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개발한 바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위와 같은 정족수 감지의 억제 기작을 이용한 생물막 형성 억제 기술을 분리막 생물반응조 장치/공정에서의 분리막 표면의 생물막오염 발생의 저감에 적용하는 시도가 새롭게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는데, 대표적으로 본 발명의 공동 발명자이기도 한 Lee 등은 락토나아제를 생산하는 박테리아(Rhodococcus sp. BH4)를 중공형의 멤브레인 또는 하이드로겔 재질의 고분자 내부에 고정화시킨 담체를 분리막 생물반응조 내에 투입하여서 반응조 내의 수처리 미생물과 관련된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N-acylhomoserine lactone, AHL)를 분해시켜서 분리막 표면에서의 생물막 형성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보고한 바 있다(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 참조).
이와 관련하여, 미생물 정족수 감지의 유형은 크게 종내 정족수 감지(Intra-species quorum sensing)와 종간 정족수 감지(Inter-species quorum sensing)로 대별될 수 있다. 종내 정족수 감지에 사용되는 신호분자는 그람 음성 박테리아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AHL(N-acylhomoserine lactone)과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AIP(Autoinducer oligopeptide)를 들 수 있으며, 종간 정족수 감지에 사용되는 신호분자는 그람 음성 박테리아 및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AI-2 (4,5-dihydroxy-2,3-pentanedione, DPD)를 들 수 있으며 약 80종 이상의 박테리아에서 AI-2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Lee 등의 선행특허들에서와 같이 지금까지 알려진 정족수 감지 억제 기작을 이용한 생물막 형성의 억제 방법의 대부분은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 중에서 그람 음성 박테리아에서만 사용되는 신호분자인 AHL을 분해하는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적용하는 기술이며, 아직까지 자연계 내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중 그람 음성 박테리아 및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신호분자를 분해하여서 생물막 형성을 억제하는 미생물은 아직 보고되지 않은 실정이다.
다양한 미생물의 집합체인 생물반응조 내부의 미생물 집락의 특성상 분리막 생물반응조 장치/공정에서의 분리막 표면의 생물막오염 발생에서는 그람 음성 박테리아 및 그람 양성 박테리아의 정족수 감지 기작이 모두 관여하고 있을 수 밖에 없으므로, 종래와 같은 그람 음성 박테리아에만 적용될 수 있는 신호분자와 관련된 생물막 형성 억제 기술보다는 그람 음성 박테리아 및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신호분자와 관련된 생물막 형성 억제 기술, 이를 위한 미생물의 발굴 및 이를 응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공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6,777,223호 등록특허 제 10-1585169 등록특허 제 10-1270906
Fuqua et al., Ann. Rev. Microbiol., 2001, Vol.50, pp.725-751 Davies et al., Science, Vol.280, pp. 295-298 Baveja et al., Biomaterials, 2004, Vol.50, pp. 5003-5012 Dong et al., Nature, 2001, Vol.411, pp. 813-817 Henzer et al., EMBO Journal, Vol.22, 3803-3815
이에 본 발명은 특정한 유형의 박테리아에만 적용이 가능한 종래의 종내 정족수 감지 억제 기작에 관련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공정 대신에 그람 음성 박테리아 및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 공통으로 적용이 가능한 종간 정족수 감지 기작에 의한 생물막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신규한 미생물, 상기 미생물을 투과성 담체의 내부에 고정화시킨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공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종간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의 불활성화 기능을 갖는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로서,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Acinetobacter oleivorans) 종의 미생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2016년 12월 2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 기탁번호 KCTC 18526P로 기탁된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미생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분자는 AI-2 (4,5-dihydroxy-2,3-pentanedione, DPD)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종간 정족수 감지 억제용 미생물은 그람 음성 및 그람 양성의 미생물 모두의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를 불활성화시키는 활성을 갖는 미생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중 폭기에 의해 유동성을 갖는 투과성 담체 및 상기 담체의 내부에 고정화된 상기 미생물을 포함하는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투과성 담체는 구형; 원기둥형 또는 중공성 기둥형과 같은 기둥형 (도 6a 및 도 6b 참조); 및 시트형 (도 6c 참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형 투과성 담체는 단면의 최대 직경 대 길이의 비율인 어스펙트비(aspect ratio)가 5-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시트형 투과성 담체는 표면적 대 부피 의 비율(SA/V)이 5-1,000 ㎜-1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투과성 담체는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투과성 담체는 알지네이트계, PVA계,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우레탄계 등의 적어도 1종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투과성 담체는 내부의 화학적 가교 결합을 통하여 3차원 망상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투과성 담체는 판상의 탄소계 첨가제를 더 포함하거나, 생체모방형 접착성 고분자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처리수를 수용하는 반응조, 수처리용 분리막 모듈 및 상기 반응조 내부에 배치된 상기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를 포함하는 분리막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물막 형성 억제 미생물 고정화 용기의 존재 하에 피처리수를 분리막에 의해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 수처리 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에 의하면 종래와는 달리 그람 음성 박테리아 및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를 불활성화시켜 생물막 형성을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분리막 수처리 장치/공정에 적용하게 되면 생물반응조 내부의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에 의한 분리막 표면의 생물막오염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수처리 공정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의 각각 투과전자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 및 그의 배양 상등액에서의 AI-2 불활성화를 측정한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에 의해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Aeromonas sp. YB-2, Enterobacter sp. YB-3, E. coli K12)에 의한 생물막 형성이 억제되는 실험 결과 및 DPD 농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분리막 수처리 장치/공정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 및 이를 투과성 담체의 내부에 고정화시킨 미생물 고정화 용기에 의해 분리막 표면에서의 생물막 형성이 억제되어 장기간의 운전에도 막간차압의 상승이 지연되는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각각 비-중공성 및 중공성 원기둥형 투과성 담체 포함)의 개념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시트형 투과성 담체 포함)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이종간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의 불활성화 기능을 갖는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은 아시네토박터 속(Acinetobacter sp .)의 미생물, 보다 구체적으로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Acinetobacter oleivorans) 종의 미생물이며, 예컨대 2016년 12월 2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로 기탁된 미생물(기탁번호: KCTC 18526P)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은, 비제한적으로, 하수 처리장의 활성 슬러지로부터 유래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하수 처리장의 활성 슬러지 시료를 채취한 후 그람 음성 박테리아와 그람 양성 박테리아 모두에 의해 이용되는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 바람직하게는 AI-2를 단일 탄소원으로 하는 배지로부터 분리하여 그로부터 가장 활성이 우수한 단일 균주를 선별ㅇ분리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아시네토박터 속, 오레이보란스 종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DKY-1의 형태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이용하여 관측한 결과, 1.2 내지 2.0 ㎛ 크기의 긴 원형 모양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도1a 및 도1b 참조).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은 그람 음성 박테리아 및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인 AI-2를 불활성화시켜 이종간 정족수 감지의 억제 기작에 의하여 생물막 형성을 억제하는 것인데,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의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이 생산하는 특정한 물질, 예컨대 상기 미생물 균주로부터 얻어지는 배양 상등액(Supernatant)에 존재하는 물질에 의한 것이라고 추측된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은 30℃에서 생장이 가장 활발하며, 배양시간이 길고 상등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AI-2 불활성화에 의한 정족수 감지 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도 3 참조). 또한, AI-2 신호분자에 의한 정족수 감지를 하는 미생물(Aeromonas sp. YB-2, Enterobacter sp. YB-3, E. coli K12)과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을 함께 배양한 결과, 생물막 형성이 억제됨과 동시에 AI-2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DPD) 농도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을 다양한 형태/방식으로, 예컨대 직접 접종시키거나 혹은 투과성 담체의 내부에 고정화시켜서 분리막 수처리 장치/공정에 적용하여서 반응조 내에 존재하는 그람 음성 및 그람 양성 박테리아와 같은 다양한 미생물의 정족수 감지에 사용되는 신호분자의 농도의 저감을 유도함으로써 수처리용 분리막의 표면에서의 생물막 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여서 수처리 공정의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수중 폭기에 의해 유동성을 갖는 투과성 담체 및 상기 담체의 내부에 고정화된 상기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을 포함하는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를 제공하고, 또한 피처리수를 수용하는 반응조, 수처리용 분리막 모듈 및 상기 반응조 내부에 배치한 상기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를 포함하는 분리막 수처리 장치, 및 상기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의 존재 하에 피처리수를 분리막에 의해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 수처리 공정을 제공한다.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을 투과성 담체의 내부에 고정화시킨 미생물 고정화 용기를 제조하는 기술이나 이러한 미생물 고정화 용기를 수처리 장치/공정에 적용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상기 Lee 등의 특허문헌 3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어 있지 않는 한, 관련 내용이 본 명세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담체는 본 발명의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을 수처리 반응조 내의 피처리수로부터 고밀도로 분리하여 배치할 수 있으면서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의 생장 및 활성에 관련되는 산소, 영양분, 대사물질 등의 유출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적절한 투과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구형, 기둥형(원기둥형, 중공성 기둥형을 포함), 시트형 등과 같이 분리막 모듈의 종류에 관계 없이 내부에 고정화된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이 외부의 피처리수 및 분리막 표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면적(즉, 담체 부피 당 표면적)이 충분히 크게 확보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투과성 담체 내부에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이 "고정화"된다는 것은 투과성 담체의 매트릭스 내부의 공간에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이 부착(adhesion) / 포괄(entrapment) / 캡슐화(encapsulation) / 포집(collection) / 담지(supporting)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의 투과성 담체의 구체적인 재질로서는, 담체 내외를 통한 물질 전달이 가능하고 수중 폭기 조건에서 분리막 표면과 접촉하여도 분리막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다면, 투과성 담체의 기계적 강도, 가요성 등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다소 딱딱한 재질을 사용해도 되고 수중의 유체 흐름 속에서 자유롭게 휘어지면서도 복원력이 있는 가요성의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강한 폭기 조건에서 분리막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생물막의 물리적 탈리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가요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의 투과성 담체는 친수성의 고분자로 이루어진 하이드로겔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하이드로겔은 알지네이트계, PVA계, 폴리에틸렌글리콜계 및 폴리우레탄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들 성분의 복합체도 포함)의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의 투과성 담체를 사용함으로써 담체 내외를 통한 물질 전달이 보다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강한 수중 폭기 조건에서 분리막 표면과 접촉하는 경우에도 분리막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의 투과성 담체에는 이러한 친수성 고분자 이외에도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그래핀옥사이드(GO), 탄소나노튜브(CNT) 등과 같은 탄소계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고, 내부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도파민계 고분자, 폴리노르에피네프린계 고분자 등의 생체모방형(bio-inspired) 접착성 고분자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내부의 화학적 가교 결합을 통하여 3차원 망상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을 화학적 가교 결합 사이에 포획시켜서 담체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예컨대, 알지네이트계 고분자는 천연 담체로서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친수성 고분자 물질인데, 염화칼슘 용액 내에서 화학적인 결합인 가교를 통해서 물질 전달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는 망상형 구조로 고형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뿐만 아니라 상기 미생물에 의해 생산된 효소 역시 고정화하는 것도 가능하고,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이 우수하여 수처리용 미생물이 존재하는 반응조 내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성이 높으면서 인체에 무해하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의 피처리수 및 분리막 표면과의 실질적인 접촉 면적(구체적으로, 담체 부피 당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한 구현예로서의 기둥형(columnar) 투과성 담체의 경우에는,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이 길다란 기둥형 투과성 담체(매트릭스)의 내부에 배치되어서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를 형성함으로써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이 외부의 피처리수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서 생물막 형성의 억제 작용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투과성 담체가 분리막 표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서 수중 폭기 중의 유동성에 분리막 표면의 생물막 탈리에 의한 막오염 저감 효과를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의 "기둥형" 투과성 담체는 중심축이 직선 또는 이에 근사한 딱딱한 모양뿐만 아니라 중심축이 곡선인 구불구불한 모양의 담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고, 또한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 모양이 원 모양인 원기둥형(circular columnar) 담체뿐만 아니라 단면 모양이 다각형 모양인 다각기둥형(polygonal columnar) 담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아울러 원기둥형 담체는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이 진원의 모양인 담체뿐만 아니라 타원 또는 이에 유사한 모양인 담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기둥형 투과성 담체의 구체적인 형태로서는, 내부 단면이 꽉 찬(비-중공성인(non-hollow)) 기둥형 투과성 담체이어도 되고, 내부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비어 있는 중공성인(hollow) 기둥형 투과성 담체이어도 된다. 중공성 기둥형 담체의 경우에는, 길이 방향의 외측 표면(쉘측) 외에도 길이 방향의 내측 표면(루멘측)을 통해서도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이 외부의 피처리수와 접촉될 수 있어서, 담체 부피 당 표면적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서 추가적인 생물막 형성 억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기둥형 투과성 담체의 형태는 피처리수 및 분리막 표면과의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면 직경에 비하여 길이가 충분히 긴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기둥 단면의 최대 직경(진원의 단면인 경우에는 그 직경에 해당됨) 대 길이의 수치의 비율인 어스펙트비가 구체적으로 5-500, 보다 구체적으로 20-100인 기둥형 담체가 사용될 수 있다. 어스펙트비가 지나치게 낮으면 기둥형 담체를 제조하기가 어려워지고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의 외부의 피처리수 및 분리막 표면과의 접촉 면적(담체 부피 당 표면적)의 극대화를 달성하기 어려워지며, 어스펙트비가 지나치게 높으면 너무 긴 기둥형 담체가 피처리수 중에 얽히게 되어서 생물막 형성 억제 효소 등의 물질 전달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기둥형 담체의 단면의 직경 및 길이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단면의 직경은 0.2-2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길이는 1-1,00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공성 기둥형 담체의 경우, 단면의 외경은 0.2-20 ㎜이고 단면의 내경은 0.1-10 ㎜이며, 길이는 1-1,00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의 피처리수 및 분리막 표면과의 실질적인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의 시트형(sheet-like) 투과성 담체인 경우에는,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이 얇은 시트형(또는 판상)의 투과성 담체(매트릭스)의 내부에 배치되어서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를 형성함으로써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의 피처리수와의 접촉 면적을 더욱 증가시키면서도, 고형의 물리적 형태의 유지가 용이하여서 분리막 표면과의 넓은 접촉 면적을 실질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시트(또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서 분리막 표면의 생물막의 탈리의 기회가 증대되고, 투과성 담체 간의 엉키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아울러 중공사 분리막 모듈을 채용한 분리막 수처리 공정의 경우 개별 중공사의 사이에 투과성 담체가 끼워져 버려 유동성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생물막 형성 억제 작용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시트형의 투과성 담체는 피처리수 및 분리막 표면과의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담체 부피 당 표면적(모든 표면적의 총합을 담체 부피로 나눈 값)이 충분히 큰 형태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표면적 대 부피(SA/V)의 비율이 구체적으로 5-1,000 ㎜-1, 보다 구체적으로 10-100 ㎜-1인 시트형의 담체가 사용될 수 있다. SA/V 비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의 외부의 피처리수 및 분리막 표면과의 실질적인 접촉 면적을 충분하게 확보하기 어려워져서 생물막 형성 억제 기작 및 분리막 표면의 생물막의 물리적인 탈리(제거)에 의한 투수도 상승 효과가 저감되며, SA/V 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담체의 두께가 너무 얇아지게 되어 담체의 물리적 강도가 크게 떨어지게 된다. 시트형의 투과성 담체의 표면적 및 평균 두께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표면적은 1-200 ㎠, 보다 구체적으로 2-10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평균 두께는 0.1-5 ㎜, 보다 구체적으로 0.2-2 ㎜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구현예의 투과성 담체는 담체의 크기 조절이 용이하므로 마이크로시브, 스크린 등과 같은 수단으로 쉽게 분리 또는 회수할 수 있어서, 종래의 자성-담체 용기에서 문제가 되었던 담체의 회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상기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을 고정화 용기의 내부에 고정화시키는 방법은 투과성 담체의 내부에 미생물을 고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고, 부착(adhesion), 포괄법(entrapment), 캡슐화(encapsulation), 담지(supporting) 등의 방법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에 셀들을 주입시켜서 포집시키는 단순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의 기둥형 투과성 담체의 제조와 관련해서는, 시린지(syringe) 또는 시린지 펌프를 이용하여 미생물 현탁액을 함유하는 담체 용액을 염화칼슘 용액(가교 용액) 중에 일정 유량으로 토출시켜서 내부에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이 고정화된 비-중공성 원기둥형 투과성 담체를 제조하거나, 이중관형 노즐을 사용하여 내측관(inner tube)에는 용매를 통과시키고 외측관(outer tube)에는 담체 용액을 토출시켜서 원중공성 기둥형 투과성 담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의 시트형 투과성 담체의 경우에는, 기둥형 투과성 담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을 물에 현탁한 고농축 미생물 현탁액을 하이드로겔 등과 함께 혼합하여 담체 용액을 제조하고 나서, 평평한 유리판과 같은 평면 위에 캐스팅 나이프를 이용하여 균일한 두께로 도포한 후 염화칼슘 용액(가교 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시트형 투과성 담체를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가 내부에 배치된 수처리 반응조와 수처리용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분리막 수처리 장치, 및 상기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의 존재 하에 피처리수를 분리막에 의해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 수처리 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리막 수처리 장치/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분리막 모듈로서는 생물막오염의 억제 또는 완화를 통하여 투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수처리용 분리막 모듈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의 고정화 용기가 적용되는 분리막 수처리 장치/공정으로서는 반응조 내부의 수많은 종류의 수처리용 미생물 등에 의해 분리막 표면에 생물막이 형성되는 분리막 생물반응조(MBR) 장치/공정뿐만 아니라, 피처리수에 존재하는 미생물로 인하여 분리막 표면에 생물막이 형성되는 정밀여과막 장치/공정, 한외여과막 장치/공정와 같은 통상의 분리막 수처리 장치/공정 외에 나노여과 장치/공정, 역삼투 여과 장치/공정 등의 고도 수처리 장치/공정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균주의 분리 및 선발
그람 음성 박테리아와 그람 양성 박테리아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인 AI-2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실제 운영 중인 하수처리장의 분리막 생물반응조 내의 활성 슬러지로부터 시료를 채취한 후, AI-2를 단일 탄소원으로 하는 배지에서 살아남은 미생물의 집락 약 3개를 분리하였다. 이 중에서 AI-2 신호분자의 불활성화 기능이 가장 좋은 단일 균주를 최종 선택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균주의 동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최종 선택된 균주의 동정은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과 16S rD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2.1. 형태적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균주는 AI-2(DPD)를 30℃, LB 배지(Luria Bertani medium)에서 잘 자라며, 세균의 형태는 투과전자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에 의해서 짧은 막대형으로 관찰되었다(도 1a 및 도 1b).
2.2.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미생물 균주의 16S rD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을 위한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제노텍(Genotech)사의 27F(5'- AGA GTT TGA TCM TGG CTC AG - 3')와 1492R(5'- TAC GGY TAC CTT GTT ACG ACT T - 3') 프라이머를 10 pmol 농도로 사용하였고, 변성 95℃에서 1분, 어닐링 58℃에서 1분, 및 신장 72℃에서 2분의 조건에서 30 사이클로 PCR을 실시하여 DNA를 증폭한 후 서열분석기(Applied Biosystems model 310 automatic DNA sequencer)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염기서열의 계통학적 분류체계는 공공 데이터베이스인 NCBI GenBank와 RDA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미생물 균주는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되는 16S rDNA 염기서열을 갖고 있고, 이로부터 아시네토박터 속, 오레이보란스 종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로 명명하였으며, 2016년 12월 2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TC 18526P).
실시예 3. 본 발명의 미생물 균주의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 불활성화 활성 측정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의 AI-2 불활성화 활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를 24시간 이상 배양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Supernatant)을 수집하였고, 소정량의 상기 세포의 추출물 및 배양 상등액에 AI-2 신호분자인 DPD(O㎜scientific社, USA)를 넣고 각각 반응시킨 후 시간에 따라 샘플링하였다. 이후, 상기 샘플과 DAN(2,3-diaminonaphthalene)을 1:1 부피로 섞어 90℃에서 40분간 반응 후, 잔존 AI-2의 양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의 세포 추출물의 샘플에서는 AI-2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인 DPD가 거의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어 대조구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그러나, 상기 균주의 배양 상등액의 샘플에서는 AI-2(DPD)과 반응 3시간(180분) 후 상기 DPD가 약 85% 이상 감소되었으며(도 2), AI-2(DPD)와 배양 상등액 반응시 배양 상등액의 비율이 높을수록 DPD의 감소폭이 더욱 증가됨을 확인하였다(도 3).
실시예 4. DKY-1 균주의 생물막 형성 억제활성 측정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의 생물막 형성 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미생물이 서로 섞이지 않은 상태로 공생배양(Co-culture)할 수 있는 트랜스웰(Transwell)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를, AI-2 신호분자를 생성하면서 종간 정족수 감지 기작을 나타낸다고 알려진 3 종류의 균주(Aeromonas sp. YB-2, Enterobacter sp. YB-3, E.coli K12)과 각각 공생배양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에 의해 상기 3 종류의 미생물 균주들에 의해 형성되는 생물막이 약 33% 내지 70%까지 감소되었고, 또한 상기 3 종류의 미생물 균주에서 AI-2(DPD)농도가 모두 감소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도 4).
실시예 5. 분리막 생물반응조 장치에 대한 적용
우선,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로서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를 투과성 담체의 내부에 고정화시킨 미생물 고정화 용기를 제조하였다. 투과성 담체의 원료 물질은 미생물 포괄법에 쓰이는 대표적인 천연고분자 물질인 나트륨 알지네이트(sodium alginate, Sigma Co. Ltd. 제조)와 폴리비닐알코올(PVA, Sigma Co. Ltd. 제조)을 혼합한 혼성 담체를 사용하였다.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는 24시간 진탕배양하여 증식시켰으며, 200 ㎖의 진탕배양액을 원심 분리한 후 상등액의 배양액 성분을 제거하였고, 남은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의 응집체를 Tris-HCl 50 mM 완충용액(pH 7.0)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초순수에 재현탁시켰다. 그 후 상기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의 재현탁액을 상기 나트륨 알지네이트/PVA의 혼성 담체와 혼합하여 담체 용액(나트륨 알지네이트 1 중량% 및 폴리비닐알코올 10 중량%)을 만들고 이 담체 용액을 가교용액인 염화칼슘(CaCl2) 4 중량% 및 붕산(H3BO3) 7중량% 혼합 수용액에 분사시키고 나서 2시간 동안 1차 고형화를 시켰으며, 0.5 M 황산나트륨(Na2SO4) 용액에서 4시간 동안 2차 고형화를 시킴으로써, 화학적인 가교 결합을 통해 3차원 망상 구조를 갖는 구형의 투과성 담체의 내부에 상기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가 고정화된 미생물 고정화 용기를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미생물 고정화 용기 (실시예 5), 및 내부에 미생물을 전혀 고정화시키지 않은 상기 투과성 담체 자체 (비교예 1)를 실험실 규모의 분리막 수처리(생물반응조) 장치에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원통의 반응조 내에 활성 슬러지를 2.5 내지 3.0 ℓ 채워 넣었고, 하단부에 산기석을 설치하여 2 ℓ/분의 폭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반응조 내에 각각 직경 4.0 내지 4.5mm의 동일한 규격을 갖는 상기 미생물 고정화 용기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 고정화 투과성 담체) 및 미생물 비-고정화 투과성 담체를 약 250개(반응조 부피의 0.5%에 해당)씩 투입하였다. 이와 함께, 생물반응조 내에 미생물 고정화 용기 또는 투과성 담체를 전혀 투입하지 않는 방식의 통상적인 종래의 생물반응조 장치(비교예 2)도 구성하였다.
연속 공정을 위해 실폐수(COD 약 100 내지 300 ppm)가 유입 펌프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였고, 수리학적 체류시간은 10시간(hr)으로 하여 운전하였다. 반응조 내에 설치된 여과용 분리막은 침지형 중공사 막으로서 Zeeweed-10(GE-Zenon社, 공경 0.04 ㎛)을 사용하였고, 분리막을 투과하는 처리수의 플럭스를 25 ℓ/㎡ㅇhr 으로 운전하였다. 또한, 수위조절기와 3-방향 밸브(3-way-valve)를 통해 처리수의 일부는 반응기로 되돌아오도록 하여 반응기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위와 같은 분리막 수처리 장치에 대하여 약 6개월(180일) 동안 운전한 결과, 상기 미생물 고정화 용기를 생물반응조 내에 투입하지 않은 통상적인 수처리 장치(비교예 2)의 경우는 단지 10일 미만의 운전에도 막간차압이 40 kpa에 도달하여 버렸으며, 내부에 본 발명의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이 고정화되지 않은 투과성 담체의 자체 만을 생물반응조 내에 투입한 경우(비교예 1)는 대략 40일 내지 50일의 운전 경과시에 막간차압이 40 kPa에 도달하여 버렸지만,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 균주가 투과성 담체의 내부에 고정화된 미생물 고정화 용기를 생물반응조 내에 투입한 경우(실시예 5)에는 운전 개시 후 대략 170일이 경과하는 시점에서도 막간차압이 40 kPa에 도달하지 않고 비교적 낮은 값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도 5).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한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을 투과성 담체의 내부에 고정화시킨 미생물 고정화 용기를 분리막 수처리 장치/공정에 적용하면,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분리막의 투수 성능을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적으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526P 20161130
<110>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PAICHAI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Microorganism for Inhibiting Inter-species Quorum Sensing and Membran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mbrane 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the Same <130> 2016-DPA-1731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7F primer for 16S rDNA amplification <400> 1 agagtttgat cmtggctcag 20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492R primer for 16S rDNA amplification <400> 2 tacggytacc ttgttacgac tt 22 <210> 3 <211> 1456 <212> DNA <213> Acinetobacter sp. <400> 3 attgaacgct ggcggcaggc ttaacacatg caagtcgagc ggggtgatgg tgcttgcact 60 atcacttagc ggcggacggg tgagtaatgc ttaggaatct gcctattagt gggggacaac 120 atttcgaaag gaatgctaat accgcatacg tcctacggga gaaagcaggg gatcttcgga 180 ccttgcgcta atagatgagc ctaagtcgga ttagctagtt ggtggggtaa aggcctacca 240 aggcgacgat ctgtagcggg tctgagagga tgatccgcca cactgggact gagacacggc 300 ccagactcct acgggaggca gcagtgggga atattggaca atgggcggaa gcctgatcca 360 gccatgccgc gtgtgtgaag aaggccttat ggttgtaaag cactttaagc gaggaggagg 420 ctactctagt taatacctag agatagtgga cgttactcgc agaataagca ccggctaact 480 ctgtgccagc agccgcggta atacagaggg tgcaagcgtt aatcggattt actgggcgta 540 aagcgcgcgt aggcggctaa ttaagtcaaa tgtgaaatcc ccgagcttaa cttgggaatt 600 gcattcgata ctggttagct agagtgtggg agaggatggt agaattccag gtgtagcggt 660 gaaatgcgta gagatctgga ggaataccga tggcgaaggc agccatctgg cctaacactg 720 acgctgaggt gcgaaagcat ggggagcaaa caggattaga taccctggta gtccatgccg 780 taaacgatgt ctactagccg ttggggcctt tgaggcttta gtggcgcagc taacgcgata 840 agtagaccgc ctggggagta cggtcgcaag actaaaactc aaatgaattg acgggggccc 900 gcacaagcgg tggagcatgt ggtttaattc gatgcaacgc gaagaacctt acctggcctt 960 gacatagtaa gaactttcca gagatggatt ggtgccttcg ggaacttaca tacaggtgct 1020 gcatggctgt cgtcagctcg tgtcgtgaga tgttgggtta agtcccgcaa cgagcgcaac 1080 ccttttcctt atttgccagc gagtaatgtc gggaacttta aggatactgc cagtgacaaa 1140 ctggaggaag gcggggacga cgtcaagtca tcatggccct tacggccagg gctacacacg 1200 tgctacaatg gtcggtacaa agggttgcta cctagcgata ggatgctaat ctcaaaaagc 1260 cgatcgtagt ccggattgga gtctgcaact cgactccatg aagtcggaat cgctagtaat 1320 cgcggatcag aatgccgcgg tgaatacgtt cccgggcctt gtacacaccg cccgtcacac 1380 catgggagtt tgttgcacca gaagtagcta gcctaactgc aaagagggcg gttaccacgg 1440 tgtggccgat gactgg 1456

Claims (17)

  1. 이종간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에 대해 불활성화 기능을 갖는 생물막 형성 억제용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미생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기탁번호 KCTC 18526P로 기탁된 생물막 형성 억제용 아시네토박터 오레이보란스 DKY-1인 미생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그람 음성 및 그람 양성의 미생물 모두의 정족수 감지용 신호분자의 억제 활성을 갖는 미생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호분자는 AI-2(4,5-dihydroxy-2,3-pentanedione, DPD)인 미생물.
  5. 수중 폭기에 의해 유동성을 갖는 투과성 담체 및 상기 담체의 내부에 고정화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담체는 구형인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담체는 기둥형인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담체는 시트형인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 투과성 담체는 단면의 최대 직경 대 길이의 비율인 어스펙트비가 5-500인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투과성 담체는 표면적 대 부피 의 비율(SA/V)이 5-1,000㎜-1인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담체는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알지네이트계, PVA계, 폴리에틸렌글리콜계 및 폴리우레탄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담체는 내부의 화학적 가교 결합을 통하여 3차원 망상 구조를 갖는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
  14.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담체는 판상의 탄소계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
  15.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담체는 생체모방형 접착성 고분자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
  16. 피처리수를 수용하는 반응조, 수처리용 분리막 모듈 및 상기 반응조 내부에 배치된 청구항 5의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를 포함하는 분리막 수처리 장치.
  17. 청구항 5의 생물막 형성 억제용 미생물 고정화 용기의 존재 하에 피처리수를 분리막에 의해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 수처리 공정.
KR1020170025485A 2017-02-27 2017-02-27 이종간 정족수 감지 억제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공정 KR101913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85A KR101913802B1 (ko) 2017-02-27 2017-02-27 이종간 정족수 감지 억제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85A KR101913802B1 (ko) 2017-02-27 2017-02-27 이종간 정족수 감지 억제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843A true KR20180098843A (ko) 2018-09-05
KR101913802B1 KR101913802B1 (ko) 2018-11-02

Family

ID=6359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485A KR101913802B1 (ko) 2017-02-27 2017-02-27 이종간 정족수 감지 억제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8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7078A (zh) * 2019-04-03 2019-08-13 东北师范大学 一种丝状真菌性污泥膨胀抑制剂及其使用方法
KR20200027381A (ko) * 2018-09-04 2020-03-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층 구조의 정족수 억제 담체의 조성 및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생물오염의 제어
CN111573853A (zh) * 2020-05-29 2020-08-25 南京大学 一种削减生物法处理废水毒性的方法
KR102508313B1 (ko) * 2022-10-25 2023-03-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 판토에아 속 pl-1 균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7223B2 (en) 2000-06-19 2004-08-17 Novozymes Biotech, Inc. Methods for eliminating the formation of biofilm
KR101270906B1 (ko) 2011-09-29 2013-06-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물막 형성 억제 미생물이 고정화된 유동상 담체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KR101585169B1 (ko) 2010-10-15 2016-01-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물막 형성 억제 미생물 고정화 컬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7223B2 (en) 2000-06-19 2004-08-17 Novozymes Biotech, Inc. Methods for eliminating the formation of biofilm
KR101585169B1 (ko) 2010-10-15 2016-01-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물막 형성 억제 미생물 고정화 컬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KR101270906B1 (ko) 2011-09-29 2013-06-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물막 형성 억제 미생물이 고정화된 유동상 담체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aveja et al., Biomaterials, 2004, Vol.50, pp. 5003-5012
Davies et al., Science, Vol.280, pp. 295-298
Dong et al., Nature, 2001, Vol.411, pp. 813-817
Fuqua et al., Ann. Rev. Microbiol., 2001, Vol.50, pp.725-751
Henzer et al., EMBO Journal, Vol.22, 3803-3815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381A (ko) * 2018-09-04 2020-03-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층 구조의 정족수 억제 담체의 조성 및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생물오염의 제어
CN110117078A (zh) * 2019-04-03 2019-08-13 东北师范大学 一种丝状真菌性污泥膨胀抑制剂及其使用方法
CN111573853A (zh) * 2020-05-29 2020-08-25 南京大学 一种削减生物法处理废水毒性的方法
CN111573853B (zh) * 2020-05-29 2020-11-20 南京大学 一种削减生物法处理废水毒性的方法
KR102508313B1 (ko) * 2022-10-25 2023-03-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 판토에아 속 pl-1 균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802B1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0441B2 (ja) 生物膜形成抑制微生物固定化容器及びこれを利用した分離膜水処理装置
Deng et al. A comparison study on membrane fouling in a sponge-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and a conventional membrane bioreactor
KR101913802B1 (ko) 이종간 정족수 감지 억제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공정
KR100981519B1 (ko) 생물막 형성 억제 효소를 이용한 분리막 생물반응조 수처리 공정
EP2499098B1 (en) Methods for controlling fouling of a membrane
Jun et al. Comparison of membrane fouling during short-term filtration of aerobic granular sludge and activated sludge
WO2017047882A1 (ko) 생물막 형성 억제 미생물 고정화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US20180028982A1 (en) Container with biofilm formation-inhibiting microorganisms immobilized therein and membran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270906B1 (ko) 생물막 형성 억제 미생물이 고정화된 유동상 담체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Khor et al. Biofouling development and rejection enhancement in long SRT MF membrane bioreactor
JP5150282B2 (ja) 高い重金属吸着能力を有する新規な光合成細菌株、及びかかる細菌株を使用した環境浄化方法
KR102093432B1 (ko) 층 구조의 정족수 억제 담체의 조성 및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생물오염의 제어
KR101429248B1 (ko) 생물막 형성 억제를 위한 정족수 감지 억제 효소 고정화 실리카가 포함된 효소 주머니를 적용한 수처리용 분리막 생물 반응조 시스템
Samantaray et al. Microbial biofilm membranes for water remediation and photobiocatalysis
Lisle et al. Gene exchange in drinking water and biofilms by natural transformation
Khan et al. Quorum sensing control and wastewater treatment in quorum quenching/submerged membrane electro-bioreactor (SMEBR (QQ)) hybrid system
Juang et al. Microbial degradation of phenol in high-salinity solutions in suspensions and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s
Choo et al. Quorum sensing and quorum quenching in membrane bioreactors
Simon et al. Biological activity in expanded clay (EC) and granulated activated carbon (GAC) seawater filters
KR101585169B1 (ko) 생물막 형성 억제 미생물 고정화 컬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KR102508313B1 (ko) 신규 판토에아 속 pl-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468429B1 (ko) 생물막 형성 억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막 수처리 시스템
Rajwar et al. Wastewater treatment: role of microbial biofilm and their biotechnological advances
CN1221478C (zh) 使用膜离生物反应器的废水/水处理的方法
Khanal Pathogen Removal form Domestic Wastewater Using Membrane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