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769A -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 - Google Patents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769A
KR20180098769A KR1020170025297A KR20170025297A KR20180098769A KR 20180098769 A KR20180098769 A KR 20180098769A KR 1020170025297 A KR1020170025297 A KR 1020170025297A KR 20170025297 A KR20170025297 A KR 20170025297A KR 20180098769 A KR20180098769 A KR 20180098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transfer
low
paper
poly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355B1 (ko
Inventor
하태준
박반석
전준영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5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355B1/ko
Publication of KR20180098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4Ablative recording, e.g. by burning marks; Spark reco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8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등의 폴리머 고분자 재료 물질을 사용하여 OHP 필름 위에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를 제작하였으며, 2) 120~170℃의 저온, 5-9bar의 저압 용액공정을 통하여 기판을 제조하기 때문에 저비용, 대면적에서 고분자 폴리머 기판의 두께를 조절 가능하며, 3) 외국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고가의 전사용지 없이 고해상도의 레이저 전사 프린터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Low-temperature, low-pressure solution-processed polymer transfer media and transfer optimization method for laser printer}
본 발명은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레이저 프린터에 사용되는 값비싼 전사용지(A지)를 대체할 수 있는 120℃, 5bar의 저온 저압 용액 공정 기반의 고분자 전사용지를 개발하며, 대체된 폴리머 기판(PVDF, Polyvinylidene fluoride)은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용지(B지)에 이미지가 인쇄되어 고분자 폴리머 코팅 필름으로 덮여진 전사지를 최적화된 열처리와 압력 공정으로 피사체를 옮기는 과정을 사용하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체된 폴리머 기판을 사용하여 현재 레이저 프린터의 보급화에 가장 큰 단점으로 손꼽히고 있는 전사 공정 가격 문제를 낮출 수 있으며, 대체 전사지의 개발을 통해 대기업을 중심으로 형성된 프린팅 시장이 일반 가정 및 중소 기업으로 확대가 가능하다.
레이저 프린팅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직물을 피전사체로 하는 전사 방식은 고해상도의 색재현에 적합한 방법으로 다른 전사 방식과 비교하여, 빠른 증착 속도와 우수한 색조절의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레이저 프린팅 기술로 직물에 전사하기 위해서는 값비싼 외국산 전사용지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국내 중소기업 및 일반 가정의 레이저 프린팅 제품의 보급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국내 레이저 프린팅 시장은 외국 기술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소모품 제조 기술을 국내 기술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나, 국내 기업체 및 산업체에서 활발한 연구진행이 아직 미흡하다.
전 세계 프린터 시장에서 컬러 레이저 프린터 관련 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연평균 3.2%의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가의 보급형 레이저 프린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보급에도 불구하고, 국내 프린터 시장의 70~80%는 기업용 시장이다. 소수의 기업만이 고품질 고해상도의 레이저 프린터 기술을 사용한다.
레이저 프린터용 소모품 시장의 성장으로 연평균 6.1%의 성장전망, 시장규모는 929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며, 레이저 프린터 부문 성장 가능성은 크게 전망되지만, 기업의 수익성은 전반적으로 낮다. 국내 기술력이 확보되지 못한 상황에서, 레이저 프린터 소모품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여 가격 경쟁력이 낮은 상황이다.
(1) 화이트 토너 전용 전사 용지 - FOREVER 회사
도 1은 FOREVER 회사의 화이트 토너 전용 전사 용지 사진이다.
화이트 잉크에 최적화된 FOREVER 회사의 전사용지, 이 회사의 전사용지는 A지(전사용지), B지(핫멜트)로 구성되며, 전사하고자 하는 전사체를 전사용지인 A지에 프린팅한 후, 핫멜트와 반응시켜 섬유에 전사하는 방식으로 화이트 잉크의 색재현성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색을 생동감 있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고가의 가격으로 제품 생산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으며, 특허로 인해 가격경쟁력이 매우 높은 제품이다.
(2) OKI 회사 - 화이트 토너 UV 잉크
도 2는 OKI 회사의 화이트 토너 UV 잉크 사진이다.
원하는 피사체를 레이저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출력하고 섬유, 가죽, 금속 등 다양한 증착 기판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뛰어난 경쟁력을 가진다. 현제 전 세계 적으로 OKI 사만이 독점 기술을 가지고 있다.
(3) 코스테크 주식회사 - 잉크젯 프린터용 열점착 승화 전사용지
잉크젯 프린터용 열점착 승화 전사용지에 관하여 개시한다. 전사용지의 원단과 피전사물이 고점착성의 열점착제에 의하여 점착되어 있으므로 피 전사물의 크기에 변화가 없어 전사용지에 인쇄된 이미지를 선명하게 피전사물에 승화 전사시킬 수 있다.
(4) ㈜티엔에프- 잉크젯 프린터용 열 승화 전사용지
잉크젯 프린터용 열 승화 전사용지는 종이 또는 필름으로 제작된 기재와 잉크 흡수층 으로 이루어진 열 승화 전사용지.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전사 잉크의 도포량의 증가없이 다양한 피전사물에 대한 전사를 가능하게 하므로 전사 잉크의 과도포로 인한 전사용지의 컬 현상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사 품질의 표준화와 경제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5) 고분자 박막의 분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기술 - 포항공대 조길원 교수
도 3은 포항공대 조길원 교수 팀의 고분자 박막의 분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기술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잉크젯으로 제조된 마이크로 우물을 이용하면 유기반도체 층을 원하는 위치에 형성이 가능해 소자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복잡한 리소그래피 공정을 거치지 않아 유기전자 소자의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혁신적 기술 개발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1로써, 특허 등록번호 10-1185679에서는 "전사용지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프린터 전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전사용지는, 종이원지; 상기 종이원지 전면에 5 내지 30㎛으로 코팅하는 폴리에틸렌코팅층; 및 상기 폴리에틸렌코팅층 상부에 0.1 내지 30㎛로 도포되고, 박리현상으로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잔상없이 전사시켜 주는 실리콘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고온, 고압으로 인쇄이미지를 융착시키는 레이저프린터의 인쇄방식에 이용하여 이미지를 전사시킬 경우 변형, 훼손이 발생하지 않고, 정밀하며 섬세한 전사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2로써, 특허 공개번호 10-2005-0082825에서는 "잉크젯 프린터용 열점착 승화 전사용지"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원단과; 중합도 200∼900의 PVA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단의 일면에 도포되는 열점착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잉크젯 프린터용 열점착 승화 전사용지는, 승화전사시 200℃에서 수축이 되는 피전사물이라도 수축되지 않는 전사용지의 원단과 피전사물이 고점착성의 열점착제에 의하여 점착되어 있으므로 피전사물의 크기에 변화가 없어 전사용지에 인쇄된 이미지를 선명하게 피전사물에 승화전사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3로써, "잉크젯 프린터용 열 승화 전사용지"를 개시되어 있다.
잉크젯 프린터용 열 승화 전사용지는 종이 또는 필름으로 된 기재와 잉크 흡수층으로 이루어진 열 승화 전사용지에 있어서, 상기 잉크 흡수층은 레진과 무기물, 첨가제를 포함하며, 레진과 무기물의 비율이 85 : 15 ~ 50 : 50의 중량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잉크젯 프린터용 열 승화 전사용지는 전사 잉크의 도포량의 증가없이 다양한 피전사물에 대한 전사를 가능하게 하므로 전사잉크의 과도포로 인한 전사용지의 컬 현상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사 품질의 표준화와 경제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전의 승화 전사에 비해 다양한 피전사물에 대해 낮은 온도에서 빠른 승화 전사가 이루어짐에 따라 전사효율의 향상을 통한 양산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대폭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4로써, 특허 등록번호 10-0788432에서는 "오프셋인쇄에 의한 전사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오프셋인쇄에 의한 전사지의 제조방법은 도자기나 타일 또는 유리 용기나 금속플라스틱 제품 등의 표면에 장식용 문양이나 그림을 인쇄하는데 사용되는 전사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쇄안료를 1~5마이크로미터 크기로 미립자화 하고(S1), 이를 점착제 성분의 바인더와 혼합하여 분산기계에서 분산하여 액상의 안료잉크를 제조하며(S2), 전사용지의 표면을 오프셋 인쇄용 메디움이나 백색잉크 또는 투명잉크로 코팅하고(S3), 인쇄할 문양 또는 그림을 RGB로 색분해하고 다시 7~8가지의 색상으로 분리하며(S4), 출력할 망점의 크기를 고해상도로 선정하고(S5), 7~8가지의 색상으로 분리된 각 분판에 선정된 망점 수를 합쳐 인쇄판으로 출력하며(S6), 출력된 각 인쇄판을 오프셋 인쇄기에 장착하고(S7), 전사용지의 표면에 오프셋 인쇄한 후(S8), 오프셋 인쇄된 전사지 표면에 아크릴수지 용액이나 파라핀 용액으로 코팅(S9)하여 완성한다.
프린팅 기술은 직물, 종이 등의 기판에 토너를 통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전사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로써, 전사방법에는 핸드페인팅 방식, 잉크젯 프린팅(승화전사) 방식, 레이저 프린팅 방식, 플로터 프린팅 방식, 실크스크린(나염) 방식, 직접 프린팅(DTP: desktop publishing) 방식 등이 있고, 이들은 모두 공통적인 인쇄재료의 착색제가 모두 액체 상태로써, 직접 칠을 하거나 분사하는 전사방법이다.
레이저 프린팅 기술로 직물에 전사하기 위해서는 값비싼 외국산 전사용지를 사용해야 하는데 일본, 독일 등의 소수 회사에서 독점적으로 판매하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해외 의존도가 높고 국내 중소기업 및 일반 가정의 레이저 프린팅 제품의 보급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때문에 현재 레이저 프린트를 이용한 기술 보급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기존 레이저 프린트에 사용되는 값비싼 전사용지(A지)를 대체할 수 있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 기반 폴리머 기판을 개발한다.
특허 등록번호 10-1185679 (등록일자 2012년 09월 18일), "전사용지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프린터 전사방법", 노광용 특허 공개번호 10-2005-0082825 (공개일자 2005년 08월 24일), "잉크젯 프린터용 열점착 승화 전사용지", 코스테크 주식회사 특허 등록번호 10-1070273 (등록일자 2011년 09월 28일), "잉크젯 프린터용 열 승화 전사용지", (주)티엔에프 특허 등록번호 10-0788432 (등록일자 2007년 12월 17일), "오프셋인쇄에 의한 전사지의 제조방법", 주식회사 세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레이저 프린터에 사용되는 값비싼 전사용지(A지)를 대체할 수 있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 기반의 고분자 전사용지를 개발하며, 대체된 폴리머 기판(PVDF)은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용지(B지)에 이미지가 인쇄되어 고분자 폴리머 코팅 필름으로 덮여진 전사용지를 간단한 열처리와 압력 공정으로 피사체를 옮기는 과정을 사용하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을 제공한다.
대체된 폴리머 기판을 사용하여 현재 레이저 프린터의 보급화에 가장 큰 단점으로 손꼽히고 있는 전사 공정 가격 문제를 낮출 수 있으며, 대체 전사지의 개발을 통해서 대기업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프린팅 시장이 일반 가정 및 중소 기업으로 확대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120℃, 5bar의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1) Carbon-fluorine 결합을 가지고 있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와 acrylic 또는 acrylic glass 계열의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등의 폴리머 고분자 재료 물질을 사용하여 OHP 필름 위에 대체 전사지를 제작하였으며, 2) 저온 저압 용액공정을 통하여 기판을 제조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고분자 폴리머 기판의 두께를 조절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면적 공정이 용이하며, 3) 외국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고가의 전사용지 없이 고해상도의 레이저 전사 프린터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는, OHP 필름과; 상기 OHP 필름 위에 열/압착기에 의해 120~170℃, 5-9bar의 저온, 저압 용액 공정(solution process)을 통해 고분자 폴리머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된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A지)와;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 위에 형성된 핫멜트지(B지)를 구비하는 레이저 프린터용 전사 용지가 제작되며,
전사용지는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A지), 핫멜트지(B지)로 구성되며, 전사하고자 하는 전사체를 전사용지인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A)지에 프린팅한 후, 상기 핫멜트지(B지)와 반응시켜 섬유에 전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A지 대체 고분자 폴리 기판을 제작하여, 상기 저온 저압 용액 공정에 의해 고분자 폴리머 기판을 제조하기 때문에 저비용, 대면적으로 고분자 폴리머 기판의 두께를 조절 가능하며,
레이저 프린터를 통하여 코팅된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 위에 잉크를 도포하며, 핫멜트지(B지)와의 반응성을 통하여 잉크를 상기 핫멜트지(B지)에 전사하며, 최종적으로 전사된 피사체를 이용하여 섬유 위에 그림을 레이저 프린팅에 의해 전사한다.
상기 OHP 필름은 아세톤, 메탄올, 이소프로판올(IPA), 증류수(DI)에 각각 10분간 음파진동기로 세척하고, 고분자 폴리머 물질과 상기 OHP 필름의 접착성 향상(표면 친수성화)을 위하여 상기 OHP 필름의 표면을 UV 오존 처리(UV ozone treatment, 파장 253nm, 28 mW/cm2의 powder density level)를 일정 시간(2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분자 폴리머 물질은 PVDF(Polyvinylidene fluoride) 고분자 폴리머 물질을 사용한다.
상기 고분자 폴리머 물질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고분자 폴리머 물질 사용한다.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A지)를 사용한 전사 방법은 평면 소재의 전사 또는 유연한 굴곡이나 원형과 같은 소재의 면에도 레이저 프린터 전사가 가능하다.
상기 열/압착기의 압력은 5∼9bar, 열압착 온도는 120~170℃, 열압착 시간은 60~90초 사이 인 최적화된 저온, 저압력의 공정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의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은 (1) OHP 필름 상에 열/압착기에 의해 특정 열에 반응하여 녹는 PVDF, 또는 PMMA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를 증착하는 단계; (2)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전사지) 위에 전사하고자 하는 인쇄물을 레이저 프린터를 사용하여 전사하는 단계; (3) 상기 인쇄물과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의 접합 반응을 위한 1차 열처리 단계; (4) 상기 인쇄물을 전사할 직물위에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를 접착하는 단계; (5) 고분자 폴리머를 제거하기 위한 2차 열처리 단계; 및 (6) 상기 고분자 폴리머가 완전히 제거되고, 상기 인쇄물이 전사된 완성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은 고분자 폴리머 물질을 전사할 OHP 필름을 아세톤, 메탄올, 이소프로판올(IPA), 증류수(DI)에 각각 10분간 음파진동기로 세척하는 단계; 고분자 폴리머 물질과 상기 OHP 필름의 접착성 향상(표면 친수성화)을 위하여 상기 OHP 필름의 표면을 UV 오존 처리(UV ozone treatment, 파장 253nm, 28 mW/cm2의 powder density level)를 20분 동안 시행하는 단계; 핫멜트와 반응하는 PVDF 용액은 P(VDF-TrFE) copolymer powder와 DMF(Dimethylformamide) solvent를 소정 비율로 교반하여 제작하며, PMMA 용액은 Poly(methly methacrylate) powder와 PGMEA 용매를 교반비율 15wt%의 PVDF, PMMA 교반용액을 교반하여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PVDF 용액을 UV 오존 처리된 상기 OHP 필름 위에 스핀 코팅 공정법으로 고분자 폴리머 물질을 전사하며, 스핀 코팅 전사 조건은 첫 번째 스텝에선 1000rpm / 10초, 두 번째 스텝에선 6000rpm/60초로 PVDF 용액을 전사하는 단계; 전사된 PVDF/OHP 필름 구조의 필름을 핫플레이트에 120℃에 60분 가열하여 용매를 날려주어 핫멜트와 반응하는 PVDF 고분자 폴리머 코팅 용지가 제작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또는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고분자 폴리머 물질 사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인쇄물이 전사된 PVDF, PMMA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전사지)에 핫멜트지와 접착을 위해 PVDF 폴리머 시트지는 150℃/ 5bar / 90초로 열/압착기에 반응시켰으며, PMMA 폴리머 시트지는 170℃/ 7-9bar / 90초로 열/압착기에 반응시켜 핫멜트와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4)는 상기 핫멜트지가 접착된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를 직물, 섬유에 인쇄하는 단계로써, 직물, 섬유와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를 상기 열/압착기에서 150℃/ 5bar / 30초로 반응을 시킨 후,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를 섬유와 빠르게 식혀주어 잉크가 섬유에 잘 접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5)는 전사된 직물, 섬유에 남아 있는 잔여 고분자 폴리머가 제거되기 위하여 테프론 시트지를 직물, 섬유에 올려준 후 150℃/ 5bar / 40초 동안 열/압착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은 기존 레이저 프린터에 사용되는 값비싼 전사용지(A지)를 대체할 수 있는 120~170℃의 저온, 5-9bar의 저압 용액 공정 기반의 고분자 전사용지를 개발하며, 대체된 폴리머 기판은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용지(B지)에 이미지가 인쇄되어 고분자 폴리머 코팅 필름으로 덮여진 전사지를 간단한 열처리 방법으로 피사체를 옮기는 과정을 사용하였다.
대체된 폴리머 기판을 사용하여 현재 레이저 프린터의 보급화에 가장 큰 단점으로 손꼽히고 있는 전사 공정 가격 문제를 낮출 수 있으며, 대체 전사지의 개발을 통해 대기업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프린팅 시장이 일반 가정 및 중소 기업으로 확대가 가능하다.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는 1)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등의 고분자 폴리머 재료를 사용하여 OHP 필름을 이용하여 고분자 폴리머 필름을 제작하였으며, A지 대체 기판을 제작하여, 2) 저온 저압 용액공정을 통하여 기판을 제조하기 때문에 저비용, 대면적에서 고분자 폴리머 기판의 두께를 조절 가능하며, 3) 외국 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고가의 전사용지 없이 고해상도의 레이저 전사 프린터가 가능하며, 값비싼 전사용지의 가격 하락을 모색하고, 전사용지에 전사된 이미지와 반응할 수 있는 기판 제작에 하였다. 값비싼 기존의 전사용지를 사용하지 않고, 이미지 전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획기적으로 공정비용을 낮출 수 있다.
화이트 토너를 이용한 레이저 프린팅 방식은 흰색바탕의 뛰어난 색재현성으로 인해 레이저 프린팅 시장의 중심된 공정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폴리머 시트지를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팅 방식은 화이트 토너와 뛰어난 반응을 보이는 기존의 전사용지(A지)를 대체하는 폴리머 시트지를 개발하여 전사가 거의 모든 종류의 전사 대상에 잘 전사되어 인쇄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사방법에 의해 고분자 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전사용지의 사진이나 문구를 전사하여 인쇄하면, 일정 조건의 열/압착기에 의한 열압착으로 사진이나 문구가 전사 대상에 거의 완벽하게 부착되어 인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폴리머 코팅 용지를 사용한 전사방법에 의하면 평면 소재의 전사의 한계를 벗어나 유연한 굴곡이나 원형과 같은 소재의 면에도 전사가 가능한 이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열/압착기의 압력은 5∼9bar, 열압착 온도는 120~170℃, 열압착 시간은 60~90초 사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은 저온, 저압력의 공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공정 단가 면에서도 큰 이점을 지니고 있다.
도 1은 FOREVER 회사의 화이트 토너 전용 전사 용지 사진이다.
도 2는 OKI 회사의 화이트 토너 UV 잉크 사진이다.
도 3은 포항공대 조길원 교수 팀의 고분자 박막의 분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기술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Carbon-fluorine 결합을 가지고 있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의 화학 구조와, PMMA(Poly(methyl methacrylate) 화학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기존의 레이저 프린팅 공정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체된 고분자 폴리머 기판을 이용한 전사 공정 모식도이다.
도 7은 폴리머 종류에 따른 핫멜트와의 반응성 확인 사진이다.
도 8은 폴리머 기판의 contact angle 분석 사진이다.
도 9는 공정 조건 변화에 따른 핫멜트와의 반응성 비교 분석 사진이다.
도 10은 노광 테스트에 따른 피사체 비교 분석 사진이다.
도 11은 견뢰도 테스트에 따른 피사체 비교 분석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Carbon-fluorine 결합을 가지고 있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의 화학 구조와, acrylic or acrylic glass 계열의 PMMA(Poly(methyl methacrylate) 화학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은 기존 레이저 프린터에 사용되는 값비싼 전사용지(A지)를 대체할 수 있는 120~170℃의 저온, 5-9bar의 저압 용액 공정 기반의 고분자 전사용지를 개발하며, 대체된 폴리머 기판은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용지(B지)에 이미지가 인쇄되어 코팅필름으로 덮여진 전사지를 간단한 열처리와 압력 공정으로 피사체를 옮기는 과정을 사용하였다.
대체된 고분자 폴리머 기판을 사용하여 현재 레이저 프린터의 보급화에 가장 큰 단점으로 손꼽히고 있는 전사 공정 가격 문제를 낮출 수 있으며, 대체 전사지의 개발을 통해서 대기업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프린팅 시장이 일반 가정 및 중소 기업으로 확대가 가능하다.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은 1) 120~170℃의 저온, 5-9bar의 저압 용액 공정(solution process)을 기반으로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등의 고분자 폴리머 물질을 사용하여 OHP 필름을 이용하여 고분자 폴리머 필름을 제작하였으며, A지 대체 기판을 제작하여, 2) 저온 저압 용액공정을 통하여 고분자 폴리머 기판을 제조하기 때문에 저비용, 대면적에서 고분자 폴리머 기판의 두께를 조절 가능하며, 3) 외국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고가의 전사용지 없이 고해상도의 레이저 전사 프린터가 가능하며, 값비싼 전사용지의 가격 하락을 모색하고, 전사용지에 전사된 이미지와 반응할 수 있는 기판 제작에 하였다. 값비싼 기존의 전사용지를 사용하지 않고, 이미지 전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획기적으로 공정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작한 용지는 OHP 필름 위에 고분자 폴리머 물질의 코팅을 통하여 전사 용지를 제작하고, 레이저 프린터를 통하여 코팅된 필름 위에 잉크를 도포하였다. 핫멜트(B지)와의 반응성을 통하여 잉크를 핫멜트에 전사. 최종적으로 전사된 피사체를 이용하여 섬유위에 그림을 전사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발명품을 사용한 전사공정은 기존 전사방법과 호환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설비나 공정 인력의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쇄 기술의 발전과 함께 주문형 인쇄가 강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의 시대에 적합한 형태의 인쇄사업을 주도할 수 있다.
기존의 대기업 중심의 레이저 프린터 시장 사업이 아닌 중소기업을 포함한 일반 가정의 레이저 프린터 산업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출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고분자 폴리머로 대체한 전사용지의 기술적 특징을 나타낸다.
구분 기존 전사용지 고분자 폴리머로 대체한 전사 용지
기술 1. 일본 , 독일 등의 소수 회사에서 독점적으로 판매.
2. 레이저 프린터 소모품 전량 수입에 의존, 해외 의존도가 높음.
3. 전사를 위한 소모품의 가격이 매우 높은 편임.
1. 공정과정이 기존의 레이저 프린트 공정과 호환됨으로 별도의 공정 프로세스 추가 불필요
2. 레이저 프린터를 위한 소모품의 해외 의존도 감소
3. 국내 기업의 세계 시장 진출 가능성을 모색
본 발명의 특징은 저온 저압 용액 공정(solution process)을 기반으로 1)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등의 고분자 폴리머 물질을 사용하여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OHP 필름을 이용하여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 필름을 제작하였으며, 2) 저온 저압 용액공정을 통하여 폴리머 기판을 제조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대면적에서 고분자 폴리머 기판의 두께를 조절 가능하며, 3) 외국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고가의 전사용지 없이 고해상도의 레이저 전사 프린터가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였다.
도 5는 기존의 레이저 프린팅 공정 모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체된 고분자 폴리머 기판을 이용한 전사 공정 모식도를 보여 주고 있다.
대체된 폴리머 전사지를 이용한 전사 방법은 레이저 프린팅을 위하여 추가적인 공정 작업 및 복잡한 공정 기기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전사 공정에도 부합하며 값비싼 기존의 전사용지를 사용하지 않고 이미지 전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획기적으로 공정 비용을 낮출 수 있다. 폴리머 물질을 기반으로 제작된 폴리머 기판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값비싼 전사 용지를 대체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OHP 필름 위에 저온 저압 용액 공정으로 제작된 폴리머 물질로 전사 용지를 제작하고, 레이저 프린터를 통하여 코팅된 필름 위에 잉크를 도포하였다. 핫멜트(B지)와의 반응성을 통하여 잉크를 핫멜트에 전사하며, 마지막으로 전사된 피사체를 이용하여 섬유 위에 그림을 전사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는, OHP 필름과; 상기 OHP 필름 위에 열/압착기에 의해 120~170℃의 저온 5-9bar의 저압 용액 공정(solution process)을 통해 고분자 폴리머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된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A지)와;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 위에 형성된 핫멜트지(B지)를 구비하는 레이저 프린터용 전사 용지가 제작되며,
전사용지는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A지), 핫멜트지(B지)로 구성되며, 전사하고자 하는 전사체를 전사용지인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A)지에 프린팅한 후, 상기 핫멜트지(B지)와 반응시켜 섬유에 전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A지 대체 고분자 폴리 기판을 제작하여, 상기 저온 저압 용액 공정에 의해 고분자 폴리머 기판을 제조하기 때문에 고분자 폴리머 기판의 두께를 조절 가능하며,
레이저 프린터를 통하여 코팅된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 위에 잉크를 도포하며, 핫멜트(B지)와의 반응성을 통하여 잉크를 상기 핫멜트지(B지)에 전사하며, 최종적으로 전사된 피사체를 이용하여 섬유 위에 그림을 레이저 프린팅에 의해 전사하며, 일반적인 레이저 프린팅 공정에 의해 색순도와 명암비가 높은 전사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OHP 필름은 아세톤, 메탄올, 이소프로판올(IPA), 증류수(DI)에 각각 10분간 음파진동기로 세척하고, 고분자 폴리머 물질과 상기 OHP 필름의 접착성 향상(표면 친수성화)을 위하여 상기 OHP 필름의 표면을 UV 오존 처리(UV ozone treatment, 파장 253nm, 28 mW/cm2의 powder density level)를 일정 시간(2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분자 폴리머 물질은 PVDF(Polyvinylidene fluoride) 고분자 폴리머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분자 폴리머 물질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고분자 폴리머 물질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A지)를 사용한 전사는 평면 소재의 전사 또는 유연한 굴곡이나 원형과 같은 소재의 면에도 레이저 프린터 전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압착기의 압력은 5∼9bar, 열압착 온도는 120~170℃, 열압착 시간은 60~90초 사이 인 최적화된 저온, 저압력의 공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폴리머 종류에 따른 핫멜트와의 반응성 확인 사진이다.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폴리머 기판이 레이저 프린트에 사용된 잉크와 반응하는 반응성 여부에 관한 것으로 최적화된 공정 조건(열처리 및 압력 공정)을 이용하여 직물에 전사된 이미지를 보여준다. 고분자 폴리머 물질과 잉크와의 반응성에 관한 연구는 레이져 프린터를 이용한 피사체 전사에 있어서 전사 수율을 높이고, 색순도를 높이는 중요한 부분이다. 전사용지(A지)를 대체하여 제작된 폴리머 기판으로 폴리머 기판으로부터 핫멜트와의 반응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대체된 폴리머 기판을 기반으로 직물 위에 피사체 전사를 하였을 때 일반적인 레이저 프린팅 공정 방법으로도 색순도 및 명암비가 높은 전사 공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폴리머 기판의 contact angle 분석 사진이며, 대체된 폴리머 기판(PVDF)의 표면 에너지를 분석함으로써 소수성 특성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Carbon-fluorine 결합을 가지고 있는 PVDF 기판은 contact angle 측정 결과 85.3o로 소수성 표면 특성을 보여준다. 이는 외부에서의 물 분자와의 화학적 결합을 억제함으로써 공정 과정에서 전사 특성을 향상시킨다.
저온 저압 용액 공정(solution process)을 기반으로 제작된 폴리머 기판은 다음과 같이 간단한 전사 공정의 변화를 통하여 피사체 전사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공정 압력의 변화를 통하여 핫멜트와 폴리머 기판의 반응성을 비교 분석하여 피사체 전사에 가장 적합한 공정 조건을 확립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사용된 PMMA, PVDF 등의 고분자 폴리머 기판은 핫멜트와 반응하는 공정 조건이 각기 다르지만 다양한 공정 조건을 통한 핫멜트와 반응을 통하여 기존의 사용되었던 고가의 전사용지(A지)를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공정 조건 변화에 따른 핫멜트와의 반응성 비교 분석 사진이다.
도 10은 노광 테스트에 따른 피사체 비교 분석 사진이다.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제작된 대체된 폴리머 기판을 이용하여 전사된 피사체의 일광도를 측정하였다. 일간 오후 12시에서 3시 사이에 햇빛을 잘 받는 위치에서 노광시키는 작업을 하였으며, 총 7일에 걸쳐 7번의 노광을 시켰다. 피사체의 변색, 갈라짐 현상부분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이는 빛에 의한 외부 자극에도 선명한 색 재현성을 유지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견뢰도 테스트에 따른 피사체 비교 분석 사진이다.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제작된 대체된 폴리머 기판을 이용하여 전사된 피사체의 견뢰도를 측정하는 모습이다. 견뢰도는 70℃ 온도의 물에서 피사체가 전사된 직물을 1분간 담가 두었다가 말리는 과정을 15회 반복하였다. 견뢰도는 직물위에 전사한 피사체를 세탁할 때 피사체의 내구도 등을 측정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5회의 반복 과정에서 변색, 갈라짐 현상부분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구체적인 공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공정 순서
1) OHP 필름 상에 열/압착기에 의해 특정 열에 반응하여 녹는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 증착
① 고분자 폴리머 물질을 전사할 OHP 필름을 아세톤, 메탄올, 이소프로판올(IPA), 증류수(DI)에 각각 10분간 음파진동기로 세척해준다.
② 고분자 폴리머와 OHP 필름의 접착성 향상(표면 친수성화)을 위하여 OHP 필름의 표면을 UV 오존 처리(UV ozone treatment, 파장 253nm, 28 mW/cm2의 powder density level)를 20분 동안 시행한다.
③ 핫멜트와 반응하는 PVDF 용액은 P(VDF-TrFE) copolymer powder와 DMF(Dimethylformamide) solvent를 적절한 비율로 교반하여 제작한다. PMMA 용액은 Poly(methly methacrylate) powder와 PGMEA 용매를 적절한 비율로 교반하여 제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상적인 교반비율은 15wt%의 PVDF, PMMA 교반용액이다.
④ 제작된 PVDF 용액을 UV 오전 처리된 OHP 필름 위에 스핀코팅 공정법으로 폴리머를 전사한다. 스핀 코팅 전사 조건은 첫 번째 스텝에선 1000rpm/10초, 두 번째 스텝에선 6000rpm/60초로 PVDF 용액을 전사한다.
⑤ 전사된 PVDF/OHP 구조의 필름을 핫플레이트에 120℃에 60분 가열하여 용매를 날려주어 핫멜트와 반응하는 PVDF 폴리머 시트지를 제작한다.
2) 폴리머 시트지 위에 전사하고자 하는 인쇄물 전사단계
- 기존 A지와 마찬가지로 전사하고자 하는 대상을 PVDF, PMMA 폴리머 시트지 위에 레이져 프린터를 이용하여 전사한다.
3) 인쇄물과 폴리머 시트지의 접합반응을 위한 1차 열처리 단계
-인쇄물이 전사된 PVDF, PMMA 전사지에 핫멜트와 접착을 위해 PVDF 폴리머 시트지는 150℃/ 5bar / 90초로 열/압착기에 반응시켰으며, PMMA 폴리머 시트지는 170℃/ 7-9bar / 90초로 열/압착기에 반응시켜 핫멜트와 접착시켰다.
4) 인쇄물을 전사할 직물위에 시트지를 접착 단계
핫멜트가 접착된 폴리머 시트지를 직물, 섬유에 인쇄하는 단계로, 직물, 섬유와 폴리머 시트지를 열/압착기에서 150℃/5bar/30초로 반응을 시킨 후, 시트지를 섬유와 빠르게 식혀주어 잉크가 섬유에 잘 접착되게 한다.
5) 고분자 폴리머를 제거하기 위한 2차 열처리단계
전사된 직물,섬유에 남아 있는 잔여 폴리머가 제거되기 위하여 테프론 시트지를 직물, 섬유에 올려준 후 150℃/5bar/40초 동안 열/압착해준다.
6) 고분자 폴리머가 완전히 제거되고, 인쇄물이 전사되는 단계
화이트 토너를 이용한 레이저 프린팅 방식은 흰색바탕의 뛰어난 색재현성으로 인해 레이저 프린팅 시장의 중심된 공정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폴리머 시트지를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팅 방식은 화이트 토너와 뛰어난 반응을 보이는 기존의 전사용지(A지)를 대체하는 폴리머 시트지를 개발하여 전사가 거의 모든 종류의 전사 대상에 잘 전되어 인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사방법에 의해 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전사용지의 사진이나 문구를 전사하여 인쇄하면, 일정 조건의 열/압착기에 의한 열압착으로 상기 사진이나 문구가가 전사 대상에 거의 완벽하게 부착되어 인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전사방법에 의하면 평면 소재의 전사의 한계를 벗어나 유연한 굴곡이나 원형과 같은 소재의 면에도 전사가 가능한 이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열/압착기의 압력은 5∼9bar, 열압착 온도는 120~170℃, 열압착 시간은 60~90초 사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은 저온, 저압력의 공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공정 단가 면에서도 큰 이점을 지니고 있다.
본 기술이 적용 가능한 제품은 레이저 프린팅, 제지(인쇄용지, 산업용지, 특수지 등) 기술, 고품질 UV 인쇄, 화이트 토너 전용 전사용지, 잉크젯 프린트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기술은 프린팅 소자, 가정용 복합기, 화이트 토너, 레이저 프린팅에 일부 응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PVDF : Polyvinylidene fluoride)
PMMA : Poly methyl methacrylate)

Claims (12)

  1. OHP 필름과;
    상기 OHP 필름 위에 열/압착기에 의해 120~170℃의 저온, 5-9bar의 저압 용액 공정(solution process)을 통해 고분자 폴리머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된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A지)와;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 위에 형성된 핫멜트지(B지)를 구비하는 레이저 프린터용 전사 용지가 제작되며,
    전사용지는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A지), 핫멜트지(B지)로 구성되며, 전사하고자 하는 전사체를 전사용지인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A)지에 프린팅한 후, 상기 핫멜트지(B지)와 반응시켜 섬유에 전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A지 대체 고분자 폴리머 기판을 제작하여, 상기 저온 저압 용액 공정에 의해 고분자 폴리머 기판을 제조하기 때문에 고분자 폴리머 기판의 두께를 조절 가능하며,
    레이저 프린터를 통하여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 위에 잉크를 도포하며, 핫멜트지(B지)와의 반응성을 통하여 잉크를 상기 핫멜트지(B지)에 전사하며, 최종적으로 전사된 피사체를 이용하여 섬유 위에 그림을 레이저 프린팅에 의해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HP 필름은 아세톤, 메탄올, 이소프로판올(IPA), 증류수(DI)에 각각 10분간 음파진동기로 세척하고,
    고분자 폴리머 물질과 상기 OHP 필름의 접착성 향상(표면 친수성화)을 위하여 상기 OHP 필름의 표면을 UV 오존 처리(UV ozone treatment, 파장 253nm, 28 mW/cm2의 powder density level)를 일정 시간(2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폴리머 물질은
    PVDF(Polyvinylidene fluoride) 고분자 폴리머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폴리머 물질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고분자 폴리머 물질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A지)를 사용한 전사는 평면 소재의 전사 또는 유연한 굴곡이나 원형과 같은 소재의 면에도 레이저 프린터 전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압착기의 압력은 5∼9bar, 열압착 온도는 120~170℃, 열압착 시간은 60~90초 사이 인 최적화된 저온, 저압력의 공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7. (1) OHP 필름 상에 열/압착기에 의해 특정 열에 반응하여 녹는 PVDF, 또는 PMMA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를 증착하는 단계;
    (2)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전사지) 위에 전사하고자 하는 인쇄물을 레이저 프린터를 사용하여 전사하는 단계;
    (3) 상기 인쇄물과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의 접합 반응을 위한 1차 열처리 단계;
    (4) 상기 인쇄물을 전사할 직물위에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를 접착하는 단계;
    (5) 고분자 폴리머를 제거하기 위한 2차 열처리 단계; 및
    (6) 상기 고분자 폴리머가 완전히 제거되고, 상기 인쇄물이 전사된 완성단계
    를 포함하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고분자 폴리머 물질을 전사할 OHP 필름을 아세톤, 메탄올, 이소프로판올(IPA), 증류수(DI)에 각각 10분간 음파진동기로 세척하는 단계;
    고분자 폴리머 물질과 상기 OHP 필름의 접착성 향상(표면 친수성화)을 위하여 상기 OHP 필름의 표면을 UV 오존 처리(UV ozone treatment, 파장 253nm, 28 mW/cm2의 powder density level)를 20분 동안 시행하는 단계;
    핫멜트와 반응하는 PVDF 용액은 P(VDF-TrFE) copolymer powder와 DMF(Dimethylformamide) solvent를 소정 비율로 교반하여 제작하며, PMMA 용액은 Poly(methly methacrylate) powder와 PGMEA 용매를 교반비율 15wt%의 PVDF, PMMA 교반용액을 교반하여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PVDF 용액을 UV 오존 처리된 상기 OHP 필름 위에 스핀 코팅 공정법으로 고분자 폴리머 물질을 전사하며, 스핀 코팅 전사 조건은 첫 번째 스텝에선 1000rpm / 10초, 두 번째 스텝에선 6000rpm/60초로 PVDF 용액을 전사하는 단계;
    전사된 PVDF/OHP 필름 구조의 필름을 핫플레이트에 120℃에 60분 가열하여 용매를 날려주어 핫멜트와 반응하는 PVDF 고분자 폴리머 코팅 용지가 제작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의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또는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고분자 폴리머 물질 사용하여 제작되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의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인쇄물이 전사된 PVDF, PMMA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전사지)에 핫멜트지와 접착을 위해 PVDF 폴리머 시트지는 150℃/ 5bar/ 90초로 열/압착기에 반응시켰으며, PMMA 폴리머 시트지는 170℃/ 7-9bar / 90초로 열/압착기에 반응시켜 핫멜트와 접착시키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의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상기 핫멜트지가 접착된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를 직물, 섬유에 인쇄하는 단계로써, 직물, 섬유와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를 상기 열/압착기에서 150℃/ 5bar / 30초로 반응을 시킨 후, 상기 고분자 폴리머 시트지를 섬유와 빠르게 식혀주어 잉크가 섬유에 잘 접착되게 하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의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는
    전사된 직물, 섬유에 남아 있는 잔여 고분자 폴리머가 제거되기 위하여 테프론 시트지를 직물, 섬유에 올려준 후 150℃/ 5bar / 40초 동안 열/압착해주는,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의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
KR1020170025297A 2017-02-27 2017-02-27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 KR101928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297A KR101928355B1 (ko) 2017-02-27 2017-02-27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297A KR101928355B1 (ko) 2017-02-27 2017-02-27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769A true KR20180098769A (ko) 2018-09-05
KR101928355B1 KR101928355B1 (ko) 2018-12-12

Family

ID=6359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297A KR101928355B1 (ko) 2017-02-27 2017-02-27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3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825A (ko) 2004-02-20 2005-08-24 코스테크 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용 열점착 승화 전사용지
KR100788432B1 (ko) 2006-02-01 2007-12-24 주식회사 세가 오프셋인쇄에 의한 전사지의 제조방법
KR101070273B1 (ko) 2011-02-16 2011-10-06 (주)티엔에프 잉크젯 프린터용 열 승화 전사용지
KR101185679B1 (ko) 2010-09-02 2012-09-24 노광웅 전사용지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프린터 전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20688D1 (de) * 1999-04-01 2005-07-14 Foto Wear Inc Polymerische zusammensetzung und druck- oder kopiergeräte übertragungsblatt das, diese zusammensetzung enthält
KR200295063Y1 (ko) 2002-08-14 2002-11-18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고광택성 합성수지 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825A (ko) 2004-02-20 2005-08-24 코스테크 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용 열점착 승화 전사용지
KR100788432B1 (ko) 2006-02-01 2007-12-24 주식회사 세가 오프셋인쇄에 의한 전사지의 제조방법
KR101185679B1 (ko) 2010-09-02 2012-09-24 노광웅 전사용지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프린터 전사방법
KR101070273B1 (ko) 2011-02-16 2011-10-06 (주)티엔에프 잉크젯 프린터용 열 승화 전사용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355B1 (ko)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2206B2 (en) Method for printing fabric or leather product, and printed matter printed by using the same
TW405048B (en) Production processes of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8524624A (ja) フィルム接着ラベルおよびその作製方法
US20130071568A1 (en) Manufacture of Embossed Structures by Printing Processes
EP2498997A2 (en) Process for forming an image on a transparent acrylic article
Sarkodie et al. Status and development of transfer printing in textiles—A review
CN102049913A (zh) Uv热压转印成型制程
KR101928355B1 (ko) 저온 저압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한 레이저 프린터용 고분자 전사지 및 전사 공정 최적화 방법
DE60325257D1 (de) Druckplattenoriginal mit lichtempfindlichem harz, prozess zu seiner herstellung und prozess zur herstellung einer harzreliefdruckplatte damit
CN100395568C (zh) 用热敏法制作偏光隐形图象的方法
CN114375261B (zh) 图像记录方法
US20070126833A1 (en) Digital printing using ultraviolet inks
CN110054755A (zh) 一种可表干的uv树脂、制备方法及其应用
CN107923994A (zh) 功能膜层压件
US6000331A (en) Method for making a stencil with a two part adhesive and method of imaging with a thermal head and cleaning solvent
KR101216002B1 (ko) 양각의 문양 조각 효과를 갖는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12659775A (zh) 一种可高温变色的医用热敏胶片
KR101070273B1 (ko) 잉크젯 프린터용 열 승화 전사용지
TW202003728A (zh) 用於高速列印應用之影像接受塗覆
US20080289748A1 (en) Method of applying a design
CN104698527A (zh) 一种在pmma导光板上制备微点阵图案的方法
KR20200072230A (ko)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350757Y1 (ko) 가열용 전사지
KR102655183B1 (ko) 금속판용 장식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 장식판
KR100575528B1 (ko) 가열용 전사지를 이용한 전사방법 및 그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